KR101439499B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499B1
KR101439499B1 KR1020120012249A KR20120012249A KR101439499B1 KR 101439499 B1 KR101439499 B1 KR 101439499B1 KR 1020120012249 A KR1020120012249 A KR 1020120012249A KR 20120012249 A KR20120012249 A KR 20120012249A KR 101439499 B1 KR101439499 B1 KR 10143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ring
packing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908A (ko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ublication of KR2013008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에 이탈방지부 및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링에 패킹부재를 직접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패킹부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를 파이프와 마주하는 직선부 및 파이프측으로 경사진 이빨부로 구성하되 상기 이빨부 및 직선부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파이프의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시에도 상기 이빨부가 파이프를 파고 들어가는 양이 억제되어 파이프가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파이프내로 삽입되는 별도의 지지관을 생략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이프내의 통로가 좁아지는 것도 방지하여 유체의 통과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A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에 이탈방지부 및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파이프(연질파이프 또는 경질파이프) 또는 금속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여러 종류의 파이프 연결구가 공지되어 있는 바, 그 일례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이프 연결구(1)는, 상기 파이프(5)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부(11) 및 확관부(12)가 형성된 연결소켓(10)과, 상기 연결소켓(10)의 확관부(12)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이탈방지링(20)과, 보조링(30) 및 오링(40)과,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15)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20)은 원통형의 지지링부(22)의 상단에 파이프(5)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복수개의 절곡편(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절곡편(21)의 끝단은 상기 파이프(5)를 쉽게 파고 들어가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오링(40)의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오링(40)은 상기 조임너트(15)의 나사조임시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상기 확관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5)는 내부에 고온의 온수가 흐를 경우 쉽게 변형될 수 있고 상기 파이프(5)가 변형될 경우 실링이 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5)의 내부에는 지지관(6)의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소켓(10)의 확관부(12)내에 상기 이탈방지링(20)과, 보조링(30)과, 오링(40)을 삽입하여 조립한 후에 상기 조임너트(15)를 연결소켓(10)의 일단부에 가조립한다.
이후, 상기 파이프(5)를 상기 연결소켓(10)의 수용부(11)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15)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수용부(11)내의 오링(40), 보조링(30), 이탈방지링(20)이 압박을 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오링(40)은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상기 확관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링(20)은 경사진 절곡편(21)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면서 상기 파이프(5)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기밀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1)는,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5)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관(6)을 파이프(5)내에 삽입해야함은 물론 상기 오링(40)을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링(30)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5)내에 지지관(6)을 삽입함에 따라 내부 통로가 좁아지게 되어 유체 통과량이 감소하는 문제도 있었다.
만일, 상기 지지관(6)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파이프(5)내에 고온 또는 고압 발생시 상기 이탈방지링(20)의 절곡편(21)들이 파이프(5)의 외주면을 밀면서 파고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회동 반경이 큰 상기 절곡편(21)들이 파이프(5)의 외주면을 계속 밀게 되면 상기 파이프(5)가 오므라들게 되어 실링이 안됨은 물론 파이프(5)내 통로가 좁아지게 되어 유체 통과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링(20)의 절곡편(21)들이 파이프(5)를 깊게 파고 들어가게 되면 상기 파이프(5)에 구멍이 생기게 되어 누수가 발생함은 물론 파이프(5)를 깊게 파고 들어가는 과정에서 절곡편(21)의 경사각이 펴지게 되어 파이프(5)의 이탈방지기능이 상실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은,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에 이탈방지부 및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링에 패킹부재를 직접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패킹부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를 파이프와 마주하는 직선부 및 파이프측으로 경사진 이빨부로 구성하되 상기 이빨부 및 직선부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파이프의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시에도 상기 이빨부가 파이프를 파고 들어가는 양이 억제되어 파이프가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파이프내로 삽입되는 별도의 지지관을 생략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이프내의 통로가 좁아지는 것도 방지하여 유체의 통과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단차지는 확관부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확관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와 확관부의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확관부의 바닥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패킹부재가 안착되는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의 이탈방지 및 패킹부재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링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확관부내의 패킹부재를 압박하도록 압박부가 형성된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에 이탈방지부 및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링에 패킹부재를 직접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패킹부재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의 직선부 하단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이빨부만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서 상기 파이프를 붙잡아 줌으로써, 상기 이빨부의 경사각이 거의 펴지지 않아 이탈방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파이프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며, 이로인해 상기 파이프의 내측에 별도로 삽입되던 지지관을 생략할 수 있어 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를 파이프와 마주하는 직선부 및 파이프측으로 경사진 이빨부로 구성하되 상기 이빨부 및 직선부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복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파이프의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압시에도 상기 이빨부가 파이프를 파고 들어가는 양이 억제되어 파이프가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파이프내로 삽입되는 별도의 지지관을 생략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이프내의 통로가 좁아지는 것도 방지하여 유체의 통과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킹안착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절개하기 시작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부의 갈라진 길이가 짧고, 다시말해 상기 절개부의 길이가 짧아서 상기 파이프의 이탈방지 역할을 할 때 버티는 힘이 더욱 증가되어 파이프 이탈방지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빨부의 복수개 침투편 사이에 평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에 파이프와 마주하는 직선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빨부가 파이프를 계속 파고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링에 패킹안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임너트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가 압박될 때 상기 패킹부재의 하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실링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를 압박하는 상기 조임너트의 압박부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조임너트의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링과 패킹부재의 사이에 중간링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 보다 많이 작더라도 패킹부재가 파이프를 따라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이탈방지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이탈방지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후 파이프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나사조임한 후 이탈방지링의 이빨부가 파이프를 파고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연결몸체와 접속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패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이탈방지링과 패킹부재의 사이에 보조 이탈방지링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이탈방지링과 패킹부재의 사이에 중간링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는, 파이프(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로서, 파이프 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 뿐만아니라, 각종 밸브나 파이프 이음용 엘보, 티 등과 같이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모든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5)로는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파이프와, 금속재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구(100)는, 연결몸체(110)와, 패킹부재(130)와, 이탈방지링(120)과, 조임너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연결몸체(110)는,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1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111)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되는 삽입부(112) 및 상기 삽입부(112)와 단차지는 확관부(1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12)는 유체통로(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유체통로(111)와 단차지게 되며, 상기 확관부(113)는 상기 삽입부(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2)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5)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확관부(113)의 내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링(120)과 패킹부재(130)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연결몸체(110)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4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몸체(11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1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몸체(110)의 형상은 일예로 나타낸 것이며, 밸브, 엘보, 티 등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연결몸체(110)에서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편측의 형상이 접속되는 대상물이나 적용되는 제품(밸브, 엘보, 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몸체(110)가 에어컨의 배관 접속용으로 적용되는 경우를 일예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로인해, 상기 연결몸체(110)에는 상기 에어컨의 접속부재(20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몸체(110)에서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편측 단부 내부에는 상기 유체통로(111)와 단차지는 패킹안착부(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안착부(115)에는 패킹부재(116)가 안착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116)로는 원형 단면의 오링 뿐만아니라, 사각 단면이나 삼각 단면 등 다양한 형태의 패킹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킹안착부(115)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속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01)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16)가 면접하는 패킹안착부(115)의 내주면 부위에는 나사부(115a)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116)가 면접하는 상기 접속부재(200)의 단부에는 경사면부(202)가 형성되어 패킹부재(116)와 안정적으로 면접되면서 실링성을 향상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패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116)는, 머리링부(116a)와, 상기 머리링부(116a)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되 머리링부(116a)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몸체링부(116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머리링부(116a)는 원형 단면, 사각 단면, 삼각 단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20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링부(116b)가 끼워지는 패킹홈(20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몸체(110)의 나사부(115a)를 상기 접속부재(200)의 나사부에 나사결합 하게 되면, 상기 패킹부재(116)가 상기 패킹안착부(115)와 경사면부(202) 및 패킹홈(203)에 꽉 채워지게 되면서 실링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즉, 상기 패킹부재(116)의 머리링부(116a)는 상기 패킹안착부(115)와 경사면부(202)의 사이에 채워지면서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몸체링부(116b)는 상기 패킹안착부(115)와 패킹홈(203)의 사이에 채워지면서 면접촉하게 되어 실링성을 더욱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130)는, 상기 연결몸체(110)의 확관부(113)내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5)와 확관부(113)의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130)는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와 같이 1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개를 적층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으로 인해 상기 패킹부재(130)가 압박되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상기 확관부(113)의 내주면에 상기 패킹부재(130)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링(120)은, 상기 확관부(113)내에 설치되되, 상기 패킹부재(130)와 상기 확관부(113)의 바닥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이탈방지부(125) 및 상기 패킹부재(130)가 안착되는 패킹안착부(121)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5)의 이탈방지 및 패킹부재(13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링(120)은, 상기 패킹부재(130)가 안착되도록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패킹부재(130)를 지지하는 상기 패킹안착부(121)와, 상기 패킹안착부(121)의 외주면에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113)의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122)와, 상기 패킹안착부(121)의 내주면에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직선부(126) 및 상기 직선부(126)의 끝단에 상기 파이프(5)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파고 들어가는 이빨부(127)를 구비한 상기 이탈방지부(1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직선부(126)는 상기 파이프(5)와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파이프(5)와 마주하되 파이프(5)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파이프(5)의 고온 또는 고압발생시, 상기 파이프(5)가 상기 연결몸체(1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빠져나갈려고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이빨부(127)가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강하게 접촉하거나 도 6과 같이 파이프(5)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게 되면서 파이프(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이빨부(127)만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게 되고, 상기 직선부(126)는 넓은면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마주하고 있으므로 파이프(5)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지 못하며 파이프(5) 이탈방지시 지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직선부(126)는 각도가 90도 또는 90도에 가깝도록 세워져 있어야 파이프(5)의 이탈방지 역할을 할 때 그만큼 버티는 힘도 커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이빨부(127)만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므로 상기 이빨부(127)가 파이프(5)의 외주면을 과도하게 파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5)에 구멍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직선부(126) 하단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이빨부(127)만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서 상기 파이프(5)를 붙잡아 줌으로써, 상기 이빨부(127)의 경사각이 거의 펴지지 않아 이탈방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파이프(5)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켜주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파이프(5)의 내측에 별도의 지지관을 삽입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이탈방지링(120)에 의해 상기 파이프(5)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5)의 내측에 삽입되던 별도의 지지관을 생략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파이프(5)의 내측 통로가 좁아지는 것도 방지하여 유체의 통과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지지부(122) 및 직선부(126)는 각각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직선부(126)는 원통 형태에서 상기 파이프(5)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125)에는, 상기 이빨부(127)가 상기 파이프(5)를 향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절개부(128)가 형성되어, 상기 이빨부(127)를 복수개로 분할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128)는, 상기 패킹안착부(12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직선부(126)의 특정지점에서부터 상기 이빨부(127)의 끝단까지 절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빨부(127) 및 상기 직선부(126)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직선부(126)와 이빨부(127)로 이루어진 상기 이탈방지부(125) 전체를 상기 절개부(128)로 절개하게 되면, 파이프(5)의 이탈방지 역할을 할 때 버티는 힘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이빨부(127)가 파이프(5)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간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부(125)가 쉽게 펴질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125)가 쉽게 펴지게되면 파이프(5)의 이탈방지기능이 상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128)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킹안착부(12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절개하기 시작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갈라진 길이가 짧고, 다시말해 상기 절개부(128)의 길이가 짧아서 상기 파이프(5)의 이탈방지 역할을 할 때 버티는 힘이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부(125)는 상기 절개부(128)가 시작되는 지점에서부터 그 아래부분(직선부(126)의 일부 및 이빨부(127))만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파고 들어가는 상기 이빨부(127)의 회동 반경도 종래 대비 작아지게 된다. 이는 상기 파이프(5)가 오므라드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빨부(127)는, 상기 파이프(5)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금속재질 파이프(5)일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이빨부(127)의 끝단을 라운드로 형성하거나 또는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이탈방지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합성수지 파이프(5)일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이빨부(127)의 끝단을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쉽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합성수지 파이프(5)일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더욱 쉽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128)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된 각 이빨부(127)의 끝단에 뾰족한 복수개의 침투편(127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이빨부(127)에 형성된 복수개의 침투편(127a)은 도면에서와 같이 이빨부(127) 하나당 2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이빨부(127)에는 복수개 침투편(127a)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그 사이에 평면부(127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이빨부(127)에 평면부(127b)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5)내 고온 또는 고압발생시 상기 이빨부(127)의 복수개 침투편(127a)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원활하게 파고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평면부(127b)에 걸려 더이상 파고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직선부(126)에 의해서도 상기 침투편(127a)이 계속 파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긴 하지만, 상기 평면부(127b)까지 형성함으로써, 상기 침투편(127a)이 파이프(5)를 계속 파고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부(125)는 상기 이빨부(127)의 평면부(127b) 위치(직선부(126)의 끝단 위치)까지만 상기 파이프(5)를 파고 들어간 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패킹안착부(12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13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패킹안착부(121)는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시 상기 조임너트(140)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130)가 압박될 때 상기 패킹부재(130)의 하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실링성을 향상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링(120)을 통해 파이프(5) 이탈방지 역할은 물론 상기 패킹부재(13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까지 제공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130)를 안착 지지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부품(종래의 보조링)을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40)는, 상기 연결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확관부(113)내의 패킹부재(130)를 압박하도록 압박부(141)가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조임너트(140)의 압박부(141) 하단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시 상기 패킹부재(130)의 표면 복수지점을 압박하여 조임너트(1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요철(142)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142)은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시 상기 톱니 형태의 요철(142)이 상기 패킹부재(130)의 상측면을 압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패킹부재(130)의 상측면은 굴곡되게 된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톱니 형태의 요철(142)이 패킹부재(130)의 상측 굴곡면에 걸리게 되어 조임너트(140)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130)가 오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오링의 상,하측면에 원주방향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미리 굴곡면을 형성할 경우 상기 압박부(141)의 요철(142)이 상기 패킹부재(130)의 돌출부에 걸리게 되므로 조임너트(1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상기 확관부(113)내에서 상기 이탈방지링(120)과 패킹부재(130)의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5)의 삽입시 상기 패킹부재(130)가 파이프(5)를 따라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이프 이탈방지기능을 보조해주는 보조 이탈방지링(150)이 더 설치되되,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은 평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5)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파고 들어가는 복수개의 이탈방지편(151)이 구비된다.
즉, 상기 패킹부재(130)의 내경이 상기 파이프(5)의 외경 보다 많이 작을 경우, 상기 연결몸체(110)내로 파이프(5)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5)의 단부가 패킹부재(130)에 걸리게 되고, 이때 파이프(5)를 계속 삽입하게 되면 상기 패킹부재(130)가 파이프(5)를 따라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링(120)과 패킹부재(130)의 사이에 보조 이탈방지링(15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패킹부재(130)의 내경이 파이프(5)의 외경 보다 많이 작더라도 패킹부재(130)가 파이프(5)를 따라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5)의 재질이 연질일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이빨부(127)가 파이프(5)의 외주면을 쉽게 파고 들어가므로 이탈방지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지만, 상기 파이프(5)의 재질이 경질일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이빨부(127)가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무는 힘만으로 이탈방지기능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탈방지기능이 연질 파이프(5) 대비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상측에 보조 이탈방지링(150)을 설치하여 경질의 파이프(5) 외주면에 강하게 접촉하여 물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링(120) 만으로 약해질 수 있는 이탈방지기능을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으로 보조해주게 되어 이탈방지기능을 더욱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120)과 보조 이탈방지링(150)은 모두 금속재질로 형성되지만,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므로 상기 이탈방지링(120) 보다 상대적으로 경도 및 강도가 강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경질의 파이프(5) 외주면을 강하게 물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질의 파이프(5) 내부에 지지관이 없을 경우,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이빨부(127)와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의 이탈방지편(151)이 모두 연질의 파이프(5)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지지하여 파이프(5)의 원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5)가 내측으로 오므라드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5)의 재질이 연질일 경우에는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물론 상기 파이프(5)의 재질이 경질일 경우에는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은 상기 파이프(5)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이탈방지링과 패킹부재의 사이에 중간링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 9의 중간링(160)은, 도 8의 보조 이탈방지링(150)에서 이탈방지편(151)을 제거한 구조이다.
즉, 상기 중간링(160)은, 이탈방지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파이프(5)의 삽입시 상기 패킹부재(130)가 파이프(5)를 따라 들어가는 것만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링(160)은 연질의 파이프(5)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 대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130)의 내경은,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상기 패킹부재(130)의 내경이 파이프(5)의 외경 보다 많이 작을경우에만 상기 중간링(16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30)의 내경이 상기 파이프(5)의 외경 보다 작게 되면, 상기 파이프(5)의 삽입시 패킹부재(130)의 상측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파이프(5)가 상기 패킹부재(130)의 원형 단면 기준 1/4 이상 걸리게 되면 상기 파이프(5) 삽입시 패킹부재(130)가 따라 들어가게 되므로 이 경우에만 상기 중간링(160)을 설치하면 된다.
물론, 상기 파이프(5)가 상기 패킹부재(130)의 원형 단면 기준 1/4 미만으로 걸리게 될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5) 삽입시 패킹부재(130)를 벌리면서 삽입되므로 상기 중간링(160)을 생략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몸체(110)의 확관부(113)내 바닥측에서부터 상기 이탈방지링(120)과, 패킹부재(13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지지부(122)는 상기 확관부(113)의 바닥에 안착되게 된다.
이후, 상기 조임너트(140)를 연결몸체(110)의 나사부(114)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조임너트(140)를 완전히 나사조임하지 않고 파이프(5)를 쉽게 삽입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가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조립된 파이프 연결구(100)는 도 5와 같다.
이렇게 가조립된 파이프 연결구(100)를 공급받은 작업자는, 도 5와 같이 파이프 연결구(100)에 파이프(5)를 삽입하게 되는데, 즉, 상기 파이프 연결구(100)의 삽입부(112)까지 파이프(5)를 밀어넣게 되면 파이프(5)는 패킹부재(130), 이탈방지링(120)의 내측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5)가 이탈방지링(120)을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이탈방지부(125)를 벌리면서 관통하게 되므로,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이빨부(127)가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조임너트(140)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조임너트(140)의 압박부(141)가 상기 패킹부재(130)를 압박하게 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링(120)의 이탈방지부(125)의 이빨부(127)가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물고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파이프(5)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이 완료된 파이프 연결구(100)는 도 6과 같다.
여기서, 도 6의 경우는, 상기 파이프(5)내에 고온 또는 고압이 발생하여 상기 이탈방지부(125)의 이빨부(127)가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이 완료되면, 상기 조임너트(140)의 압박부(141) 하단에 형성된 요철(142)이 상기 패킹부재(130) 상측면을 압박한 상태이므로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도 조임너트(140)가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 연결구(100)를 에어컨 등의 접속부재(200)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조립된 파이프 연결구(100)에 상기 파이프(5)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연결몸체(110)의 나사부(115a)를 상기 접속부재(200)의 나사부(201)에 먼저 나사결합 한 후, 상기 파이프 연결부(100)에 파이프(5)를 삽입하게 된다.
100: 파이프 연결구 5: 파이프
110: 연결몸체 111: 유체통로
112: 삽입부 113: 확관부
114,115a,201: 나사부 116: 패킹부재
120: 이탈방지링 121: 패킹안착부
122: 지지부 125: 이탈방지부
126: 직선부 127: 이빨부
127a: 침투편 128: 절개부
130: 패킹부재 140: 조임너트
141: 압박부 142: 요철
150: 보조 이탈방지링 160: 중간링
200: 접속부재 202: 경사면부
203: 패킹홈

Claims (9)

  1. 파이프(5)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도록 유체통로(11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111)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되는 삽입부(112) 및 상기 삽입부(112)와 단차지는 확관부(113)가 형성된 연결몸체(110)와,
    상기 확관부(113)내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5)와 확관부(113)의 사이를 실링하는 패킹부재(130)와,
    상기 패킹부재(130)와 상기 확관부(113)의 바닥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이탈방지부(125) 및 상기 패킹부재(130)가 안착되는 패킹안착부(121)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5)의 이탈방지 및 패킹부재(130)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링(120)과,
    상기 연결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상기 확관부(113)내의 패킹부재(130)를 압박하도록 압박부(141)가 형성된 조임너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링(120)은,
    상기 패킹부재(130)가 안착되도록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패킹부재(130)를 지지하는 상기 패킹안착부(121)와,
    상기 패킹안착부(121)의 외주면에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113)의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122)와,
    상기 패킹안착부(121)의 내주면에 하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직선부(126) 및 상기 직선부(126)의 끝단에 상기 파이프(5)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파고 들어가는 이빨부(127)를 구비한 상기 이탈방지부(1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125)에는, 상기 이빨부(127)가 상기 파이프(5)를 향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절개부(128)가 형성되어, 상기 이빨부(127)를 복수개로 분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28)는, 상기 패킹안착부(12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직선부(126)의 특정지점에서부터 상기 이빨부(127)의 끝단까지 절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빨부(127) 및 상기 직선부(126)의 일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28)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된 각 이빨부(127)의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쉽게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뾰족한 복수개의 침투편(12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140)의 압박부(141) 하단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40)의 나사조임시 상기 패킹부재(130)의 표면 복수지점을 압박하여 조임너트(1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요철(1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113)내에서 상기 이탈방지링(120)과 패킹부재(130)의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5)의 삽입시 상기 패킹부재(130)가 파이프(5)를 따라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이프 이탈방지기능을 보조해주는 보조 이탈방지링(150)이 더 설치되되,
    상기 보조 이탈방지링(150)은 평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5)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5)의 외주면에 접촉하거나 파고 들어가는 복수개의 이탈방지편(1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110)에서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되는 측의 반대편측 단부 내부에는 상기 유체통로(111)와 단차지는 패킹안착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안착부(115)에는 패킹부재(116)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패킹안착부(115)의 내주면에는 상대 접속부재(20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접속부재(200)의 일단부에는 상기 패킹부재(116)와 면접촉하는 경사면부(2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200)의 외주면에는 패킹홈(203)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16)는, 상기 패킹안착부(115)와 경사면부(202)의 사이에 채워지면서 면접촉하는 머리링부(116a)와, 상기 머리링부(116a)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되 머리링부(116a)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킹안착부(115)와 패킹홈(203)의 사이에 채워지면서 면접촉하는 몸체링부(11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120012249A 2012-01-26 2012-02-07 파이프 연결구 KR101439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656 2012-01-26
KR20120007656 2012-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908A KR20130086908A (ko) 2013-08-05
KR101439499B1 true KR101439499B1 (ko) 2014-09-12

Family

ID=4921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249A KR101439499B1 (ko) 2012-01-26 2012-02-07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723B1 (ko) 2016-10-07 2017-02-24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파이프 연결구
KR20190015920A (ko)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더윈테크 파이프 연결구조체
KR20190018858A (ko) 2017-08-16 2019-02-26 주식회사 더윈테크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JP2019090503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タブチ 管継手
KR20230068822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5831B (zh) * 2014-11-14 2017-06-20 惠安县昌瑞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自膨胀油管连接头及其使用方法
WO2019208841A1 (ko) * 2018-04-23 2019-10-31 Lim Min Sub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위한 조임장치
CN110242806B (zh) * 2019-07-09 2020-12-04 浙江环台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防止热胀冷缩的管道接头紧固件
KR102305236B1 (ko) * 2020-12-18 2021-09-24 박강훈 원 홀 수전 조립체의 씰링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30Y1 (ko) 1996-11-07 1999-06-01 오승일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30061298A (ko) * 2002-12-09 2003-07-18 박강훈 관 연결구
KR101005763B1 (ko)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104085B1 (ko) * 2011-01-05 2012-01-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30Y1 (ko) 1996-11-07 1999-06-01 오승일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30061298A (ko) * 2002-12-09 2003-07-18 박강훈 관 연결구
KR101005763B1 (ko)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104085B1 (ko) * 2011-01-05 2012-01-12 박강훈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723B1 (ko) 2016-10-07 2017-02-24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파이프 연결구
KR20190015920A (ko)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더윈테크 파이프 연결구조체
KR20190018858A (ko) 2017-08-16 2019-02-26 주식회사 더윈테크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1977210B1 (ko) * 2017-08-16 2019-05-10 주식회사 더윈테크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JP2019090503A (ja) * 2017-11-16 2019-06-13 株式会社タブチ 管継手
JP7045684B2 (ja) 2017-11-16 2022-04-01 株式会社タブチ 管継手
KR20230068822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구
KR102549182B1 (ko) 2021-11-11 2023-06-30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908A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499B1 (ko) 파이프 연결구
US20170205013A1 (en) Fittings and connectors for irrigation systems
EP0558844B1 (en) Plastics push-in tube fitting
US9903518B2 (en)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JP5709096B2 (ja) 管継手
KR101506467B1 (ko) 파이프 연결구
US9829135B2 (en) Pipe joint
US20150167884A1 (en) Fittings for pipes, and presses for installing the fittings to pipes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JP2004092903A (ja) 管接続装置
JP4145183B2 (ja) 管継手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101104085B1 (ko) 파이프 연결구
JPH04236888A (ja) 差し込み継手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10167632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102392302B1 (ko) 관 이음 장치
JP6829795B2 (ja) 配管構造および工法
KR200461502Y1 (ko) 파이프 마개
KR100962465B1 (ko) 배관용 커플링
CA3058575A1 (en) Connector for piping networks
KR20160095571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101586171B1 (ko) 배관연결구
KR200479605Y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