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779A -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779A
KR20230067779A KR1020210152775A KR20210152775A KR20230067779A KR 20230067779 A KR20230067779 A KR 20230067779A KR 1020210152775 A KR1020210152775 A KR 1020210152775A KR 20210152775 A KR20210152775 A KR 20210152775A KR 20230067779 A KR20230067779 A KR 20230067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son
disease
ginseng
composition
improvem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Original Assignee
박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준 filed Critical 박병준
Priority to KR102021015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779A/ko
Publication of KR2023006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킨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윽 상세하게는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국, 황백, 산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추출하여 조성한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이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a natural extract composition that enhances movement improvement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본 발명은 파킨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윽 상세하게는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인 인구 비율이 점차 높아져 가는 고령화 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퇴행성 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퇴행성으로 변한 신경 때문에 운동 작용, 기억, 인지 작용 등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며, 그 중에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알츠하이머 질환 다음으로 가장 발병률이 높은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뇌 질환이다. 파킨슨병은 1817년 영국 의학자인 James Parkinson이 "흔들림성 마비"를 처음으로 기술하였으며, 그로부터 60여년 후에 J.Charout에 의해 파킨슨병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1912년 Kinner wilson에 의해 파킨슨병이 척수의 중추 경로 중 추체계(pyramidal system)가 아닌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system) 관련 질환임을 알게 되었다(Habibi et al., 2011).
파킨슨병의 발병 원인의 규명을 위한 연구가 수십년에 걸쳐 진행되어 왔으나, 그 기전에 대해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그로 인해 파킨슨병은 유효적이고 효과적인 장기 치료방법이 없는 점진적인 신경 장애 난치병으로 분류된다(Pan et al., 2008, Habibi et al., 2011). 다만 파킨슨병 환자에게 발생되는 다양한 병리학적인 요인에 의해서 파킨슨병이 발병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 요인으로서, 중뇌의 흑색질(substantia nigra parcompacta)이 파괴되거나 손상되면서 중뇌의 흑색질에 분포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사멸이 가장 대표적이다(Camins et al., 2008, Smith, 2008). 도파민 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사멸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데, 먼저 환경, 유전, 노화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손상을 입은 미토콘드리아가 단백질 분해 시스템의 기능 장애를 야기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비정상적인 단백질과 세포소기관들이 분해되지 못하고 축적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파킨슨병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 시스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까지 임상에서 파킨슨병 환자에게 가장 높은 비율로 처방되는 약제는 L-dopa 제제이며, 이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전구체인 Levodopa를 직접 주입하여 혈중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켜주는 치료법이다. 직접적인 Levodopa의 주입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증상 완화를 가져오지만,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 용량의 증가가 필수적이며, 용량의 증가에 따라 예측하지 못했던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ck and Peterson, 2006, McGeer and McGeer, 2008). 그러므로 도파민 혈중 농도를 높여주는 L-dopa를 직접 투여하는 치료법 보다는, 도파민 분비를 원활하게 해 주는 신경세포의 보호 및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좀 더 근본적인 치료법 및 약제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단백질 분해 시스템 중 하나인 자가포식작용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 연구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오토파지(Autophagy), 즉 자가포식작용은 자아, 자신이라는 뜻의 “self”와 먹는다는 의미의 “eating”을 칭하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단어로, 세포의 신진대사 균형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운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 희생의 메커니즘으로 알려져 있다(Eisenberg-Lerner et al., 2009). 이러한 자가포식 작용은 자가포 식소체(autophagosome)의 전구체이자 독립된 이중막인 파고폴(phagophore)의 가장자리가 점점 연장되어 세포 내불필요한 단백질을 완전히 에워싸, 소포체인 자가포식소체를 형성할 수 있는 형태학적으로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자가포식소체는 미세소관을 따라 이동하여 세포 내 리소좀(lysosome)과 융합하게 되며 자가포식용해소체(autolysosome)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리소좀 내부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단백질을 분해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은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관련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10-2072471호(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하 선행기술 1)은,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는 자가포식 유도작용으로 뇌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을 제시한바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 10-1610459호(파킨슨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능이 있는 헤파드 X2 천연 조성물, 이하 선행기술 2)를 제시하여,
"백복령, 백작약, 창출, 천궁 및 조구등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에 특징이 있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능 이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시한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 1의 경우 벌개미취 추출물은 자가포식소체의 막 단백질인 LC3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하는 인산화된 AMPK와 UK1의 증가 및 자가포식 작용을 억제하는 mTOR의 감소 효과를 통해 자가포식 유도하며, 이로 인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가포식 작용 유도를 통한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파킨슨 질환에 대한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없었던바,
본 발명은 파킨슨 질환의 대하여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 2의 경우 천연 조성물로서 부작용이 없으며 독성 물질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고, 항세포 고사 효과와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나고, 신경세포의 보호 효과가 있지만, 이를 더욱 개선하여 파킨슨 질환의 대하여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국, 황백, 산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추출하여 조성한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이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고, 파킨슨 질환 치료제인 Levodopa(양약)를 투약한 경우 보다 운동 개선 기능을 현저히 높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파킨슨 유발 쥐에 투여한 경우의 Wire Hang Test의 비교실험 결과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이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약침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조구등 100중량부에 백작약 50~150중량부, 인삼 50~150중량부, 후박 50~150중량부, 감초 50~150중량부, 호초 50~150중량부, 계혈등 50~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감국, 황백, 산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추출하여 조성한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조구등 100중량부에 감국 50~150중량부, 황백 50~150중량부 또는 산약 5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조구등 100중량부에 백작약 50~150중량부, 인삼 50~150중량부, 후박 50~150중량부, 감초 50~150중량부, 호초 50~150중량부, 계혈등50~150중량부, 감국 50~150중량부, 황백 50~150중량부 및 산약 50~15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예방과 치료를 위한 약을 의미하며, 여기에 본 발명의 천연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구등(釣鉤藤)은 조구(釣鉤=낚싯바늘), 등(藤=덩굴)으로서 ‘낚싯바늘이 달린 덩굴’이라는 뜻이다. 이 가시는 길이가 3~4㎝에 이르고, 모양이 낚싯바늘처럼 생겼다고 하여 ‘조구’ 또는 ‘조등’이라 하며, 가을부터 다음해 봄까지 가시가 많이 달린 가지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조구등을 달여 만든 차는 중추신경을 억제하며 혈압을 떨어뜨리고,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혈압 강하제로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게다가 부작용이 거의 없어 어린아이에게도 약으로 쓸 수 있다. 어린아이들의 경련과 경간(자다가 깜짝깜짝 놀라거나 입에 거품을 물고 경련을 일으키는 경우)을 가라앉히는 처방에 많이 이용한다.
조구등은 중국의 절강, 복건, 광동, 광서성 등지에 자생하는 식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약재로 쓰기 위해 경북 영천 지방에서 많이 재배되는 편이다. 적당한 습도와 알맞게 차광된 따뜻한 곳에서 잘 자란다. 유기질을 많이 포함한 모래땅이나 자갈이 적당히 섞인 토양이 좋다. 가시에 유효성분이 있기 때문에 조구등을 고를 때는 가시가 많은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백작약은 바구지과 식물인 집함박꽃 Paeonia albiflora Pallas var. trichocarpa Bunge · 산함박꽃 Paeonia obovata Maxim.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집함박꽃(家白芍藥)은 각지에서 심고 산함박꽃은 각지의 깊은 산 그늘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차다. 간경(肝經) · 비경(脾經) · 폐경(肺經)에 작용한다. 혈액을 풍부하게 하고 통증과 땀을 멎게 하며 지혈하고 간화(肝火)를 없애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페오니플로린 성분은 진정(鎭靜) 작용 · 진통 작용 · 진경(鎭驚) 작용 · 해열 작용 · 소염 작용 · 항궤양 작용 · 혈압 강하 작용 · 관상 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고, 페오놀 성분은 진정 작용 · 해열 작용 · 진통 작용 · 진경 작용 · 소염 작용 · 지혈 작용을 나타냈다.
백작약은 항균 작용도 나타낸다. 혈허증(血虛證), 혈허(血虛)로 인한 복통, 위장 경련으로 인한 복통, 팔다리가 오그라들며 아픈 데, 신경통, 류머티스성 관절염, 생리통, 흉통(胸痛), 간화(肝火)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데, 신경쇠약, 월경이 많은 데, 부정자궁출혈, 저절로 땀이 나는 데, 식은땀[도한(盜汗)], 이질, 대하증, 뾰루지에 쓴다. 하루 6~12g을 탕제나 환제 · 산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집함박꽃의 전초도 지사제(止瀉劑)로 쓴다. 허한증(虛寒證)에는 백작약을 쓰지 않으며 여로(藜蘆)와는 배합 금기이다.
본 발명의 인삼은 Panax ginseng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삼산업법’에 의하면 ‘인삼류’는 수삼, 홍삼, 태극삼, 백삼과 그 밖의 인삼을 가리키고 있다. 이 중 ‘태극삼(太極蔘)’은 수삼을 물로 익히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익혀서 말린 것을 말하고, ‘그 밖의 인삼’이란 수삼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것(홍삼, 태극삼, 백삼은 제외)으로서 농산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한 것을 말한다.
이로 보면 우리나라 생약공정서에 수재된 인삼류는 정확히 수삼, 백삼, 미삼과 홍삼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생약공정서에 수재된 인삼류도 ‘인삼산업법 시행규칙’ 제15조에 관련된 ‘인삼류의 제조기준’에서의 인삼류를 참고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삼류의 제조기준’ 중의 인삼의 부위에 관한 용어와 같은 항의 ‘인삼류의 제조공정 및 규격’에서의 직삼, 곡삼, 반곡삼을 비롯하여 인삼이 출아(出芽)하여 자란 햇수를 말하는 연근(年根)이 그것이다.
뿌리로 가늘고 원기둥 모양~네모뿔 모양으로 때로 중간쯤에서 2~5개로 뿌리가 갈린다. 길이 5~20cm이며 주근은 지름 0.5~3cm이다. 바깥 면은 연한 황갈색~연한 회갈색을 띠며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자국이 있다. 근두부는 약간 구부러져 있고 줄기의 잔기가 붙어있던 뇌두가 있다. 꺾인 면은 거의 평탄하며 연한 황갈색이고 형성층 부근은 갈색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처음에 조금 달고 후에 약간 쓰다.
본 발명의 후박은 목련과 식물인 후박나무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의 줄기나 뿌리껍질을 말린 것이다.
딴 이름은 후피(厚皮) · 적박(赤朴) · 열박(烈朴)이다. 봄에 20년이상 자란 나무의 껍질을 벗겨 그늘에서 말리거나 끓는 물에 잠깐 담갔다가 건져서 햇볕에 말린 다음 이것을 다시 증기에 쪄서 원통 모양으로 말아 햇볕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경(脾經) ·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복부가 창만한 것을 낫게 하며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담(痰)을 삭인다.
약리 실험에서 항균 작용, 약한 이뇨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위(脾胃)의 한습사(寒濕邪)로 기가 막혀 헛배가 부르면서 그득한 데, 소화 장애, 구토, 설사, 위장염, 위경련,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등에 쓴다. 하루 3~9g을 탕제 · 산제 · 환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임신부에게는 주의하여 써야 한다. 택사(澤瀉) · 소석(消石) · 한수석(寒水石)과 배합하지 않는다[상오(相惡)]. 우리 나라에서 나는 황목련껍질을 후박으로 쓰기도 한다. 후박나무의 열매[후박자(厚朴子)]는 온중소식약(溫中消食藥)으로 헛배가 부른 데 쓰며, 꽃[후박자(厚朴花)]은 이기화습(理氣化濕)약으로 비위(脾胃)에 습탁(濕濁)이 몰려서 가슴이 답답한 데 쓴다.
본 발명의 감초는 우랄감초, 굽은감초라고 하며 러시아(시베리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감숙성, 신강성), 몽골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유럽감초는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유럽감초의 변종으로 러시아감초, 페르시아감초, 이란감초 등이 있지만 약용하지 않는다.
감초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다.[甘平]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이 약은 국로(國老), 미초(美草), 밀감(蜜甘), 밀초(蜜草), 영통(靈通), 첨초(甛草), 로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의 호초는 후추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추나무는 후추과에 속하는 상록덩굴식물로 인도 남부가 원산지이다. 줄기는 목질(木質)이며, 마디에서 착생근(着生根)이 자라서 다른 물체에 붙어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넓은 달걀 모양 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10월 사이에 피며, 수상화서(穗狀花序: 한 개의 긴 꽃자루에 여러 개의 꽃이 이삭처럼 붙어 피는 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5∼6㎜이며 자루가 없고, 10월에서 이듬해 4월 사이에 붉게 익는다. 후추는 고기의 누린내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찍부터 향신료로 이용하여 왔다.
유럽에서는 서기전 400년경 아라비아상인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특히, 유럽에서는 후추를 불로장수의 정력제라 믿었는데 후추의 산지인 인도와의 사이에 아라비아가 가로막고 있어서 아라비아상인을 통하여 금이나 은보다도 비싼 값으로 구입하였다. 중국에는 육조시대(六朝時代)에 인도에서 바로 전해졌다고도 하고, 한나라 때 서역의 호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장건(張騫)이 비단길을 통하여 가져왔다고도 한다.
호초라는 명칭도 호나라에서 전래된 초(椒)라는 뜻이다. 이리하여 후추는 동양과 서양을 가릴 것 없이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입맛을 돋우는 향신료로서 군림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때 이인로(李仁老)가 지은 『파한집』에서 처음 그 명칭이 보인다. 따라서, 고려 중엽에는 이미 우리나라에 알려져 있었고, 송나라와의 교역으로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신안 앞바다에서 인양한 원나라 때의 선박에서도 후추가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계혈등은 우리나라에서는 콩과의 밀화두(Spatholobus suberectus Dunn : 密花豆)의 덩굴줄기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와 같고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계혈등이란 이름은 덩굴의 즙액이 마치 닭의 피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선한 줄기를 자르면 적갈색의 닭의 피같은 액즙이 흘러나오는데 이 액즙이 마르면 굳어지고 딱딱해지며, 꺾으면 박편상으로 된다.
이 약은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 [苦甘溫]
계혈등은 혈액순환촉진 작용이 있어 생리통, 월경불순 등에 효과가 있고 사지마비동통에도 효과가 있다. 허약하고 빈혈이 있는 경우에도 활용하며 고혈압, 심장병, 협심증에도 효과를 보인다.
약리작용으로 소염, 진통작용, 신장과 자궁대사활성화, 자궁흥분작용, 관상동맥 확장, 백혈구 증가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타원형 또는 긴네모꼴 원형 또는 불규칙한 절편으로 두께 3~10㎜이다. 코르크층은 회갈색이고 가끔 회백색의 반점이 보이며 코르크층이 떨어진 곳은 홍갈색을 나타낸다. 절단면 목질부는 적갈색이며 많은 도관이 있고 인피부에는 짙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의 수지상 분비물이 있다. 이 약은 굵기가 균일하고 꺾은면에는 적갈색의 환상의 층이 보이며 삼출액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계혈등은 혈풍등(血風藤), 활혈등(活血藤), 홍등(紅藤), 혈풍등(血風藤)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감국은 황국(黃菊)이라고도 한다. 주로 산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고 줄기의 높이는 60∼90cm이며 검은색으로 가늘고 길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인데 보통 깃꼴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다.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9∼10월에 줄기 윗부분에 산방꼴로 두화(頭花)가 핀다. 꽃은 지름 2.5cm 정도이며, 설상화(舌狀花)는 노란색이나 흰색도 있다.
10월에 꽃을 말려서 술에 넣어 마시고, 어린 잎은 나물로 쓴다. 꽃에 진한 향기가 있어 관상용으로도 가꾼다. 한방에서 열감기·폐렴·기관지염·두통· 위염·장염·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는 풀 전체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생초를 달인 물로 환부를 씻어낸다. 한국·타이완·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의 황백은 산초과 식물인 황경피나무(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의 껍질을 말린 것이다.
딴 이름은 자벽(子蘗) · 소벽(小蘗) · 단환(檀桓)이다. 황경피나무는 각지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봄부터 여름 사이에 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벗겨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신경(腎經) · 방광경(膀胱經) · 대장경(大腸經) · 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독을 제거한다.
황백 탕약과 베르베린 성분이 혈압강하 작용, 혈액응고 촉진 작용, 이담(利膽) 작용, 자궁수축 작용, 결핵균을 비롯한 일련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작용, 소염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베르베린은 또한 고미건위(苦味健胃) 작용, 해열 작용, 소장에 대한 진경 작용, 백혈구의 탐식 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濕熱泄瀉), 이질, 황달, 오로(惡露), 임증(淋證), 폐결핵, 유정(遺精), 음부 가려움증, 헌데, 습진 등에 쓴다. 세균성 적리(赤痢), 장결핵, 방광 및 요도의 염증, 골관절 결핵 등에도 쓰고 고혈압증과 입맛이 없는데도 쓴다. 하루 6~9g을 탕제 · 산제 · 환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서 기초(약)제에 개어 바른다. 베르베린을 뽑아 염산염이나 유산염을 만들어 담낭염, 담석증, 만성 간염에 쓴다.
본 발명의 산약은 마과 식물인 마 Dioscorea batatas Dcne. 또는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이다.
딴 이름은 서여(薯?) · 산우(山芋) · 옥연(玉延) · 산저(山藷)이다. 마는 각지의 산기슭에서 자라고 참마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덩이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쪼개어 그대로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脾經) · 위경(胃經) · 폐경(肺經) · 신경(腎經)에 작용한다. 원기와 비위(脾胃)를 북돋우고 설사를 멎게 하며 진액을 생기게 한다. 또한 폐(肺)와 신(腎)을 튼튼하게 하고 시력과 청력을 아주 좋게 한다. 마는 신상선 피질을 자극하고 몸의 저항성을 높이며 혈중 콜레스테롤 양을 낮추고 녹말 소화를 빠르게 하는 것이 밝혀졌다.
허약한 데, 병이 나은 뒤, 비기허증(脾氣虛證), 유정(遺精), 야뇨증, 요통, 소변을 자주 누는 데, 이명(tinnitus), 대하증, 식은땀, 건망증, 소갈(消渴),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데, 유종(乳腫) 등에 쓴다. 만성 위염, 만성 신염, 신경쇠약증 등에도 쓸 수 있다. 하루 10~20g을 탕제 · 환제 · 산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생것을 짓찧어 붙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재료를 혼합한 원재료(100중량부)를 정제수(100~5,000 중량부)와 혼합하여 가열한 것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한 재료를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를 70~90 질량% 주정(알코올) 1000~2000ml를 넣고 2~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것을 여과하여 얻은 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수득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득한 농축된 용액을 freeze dryer로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한 후 초저온 냉장고(-80도씨)에서 보관하여 실험에 따라 필요한 농도로 증류수로 희석하여 조성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조성물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가 있다,
<실시예>
1. (주) 옴니허브에서 상기한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구입하여 정선한 후, 조구등 12g, 백작약 12g, 인삼 12g, 후박 12g, 감초 12g, 호초 12g, 계혈등 12g을 혼합하여 준비한다.(실시예 1)
2. 또한 (주) 옴니허브에서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 감국, 황백, 산약을 구입하여 정선한 후, 조구등 12g, 백작약 12g, 인삼 12g, 후박 12g, 감초 12g, 호초 12g, 계혈등 12g, 감국 12g, 황백 12g, 산약 12g을 혼합하여 준비한다.(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 2에서 준비된 원재료에 80 V% 주정 (C2H5OH) 1200 ㎖을 넣고 3시간 동안 환류추출 후 여과액을 얻어 rotary vacuum evaporator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freeze dryer로 동결 건조하여 분말 4.6~6g(실시예 1(OM1), 실시예 2(OM2))을 얻었으며, 얻어진 분말은 초저온 냉동고 (-8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따라 필요한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한 천연조성물(이를 "OM" 이라고 함)을 희석[분말 5g을 증류수 100g에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
<실험결과>
1. 실험동물인 수컷 5주령의 DBA/1 생쥐 (16∼22 g)는 ㈜중앙실험동물 (Seoul, Korea)에서 공급 받아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 (㈜퓨리나)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 ± 2℃, 습도 55 ± 15%, 12시간-12시간 (light-dark cycle)의 환경에서 2주간 적응시킨 후 MPTP라는 파킨슨 유발 합성마약성 물질은 1주간 투여하여 파킨슨병을 유발시킨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파킨슨병을 유발시킨 생쥐를 식염수를 투약한 경우, 양약인 Levodopa라는 파킨슨 병 치료제를 10mg/kg, 실시예 1(OM1)을 30mg/kg, 실시예 2(OM2) 30mg/kg을 3주 이상 주입하여 총 8회에 걸쳐 Wire Hang Test를 실시하여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측정하였다.
Wire Hang Test(WHT)는 정상쥐와 파킨슨 질환이 유발된 쥐의 운동 능력 측정을 위해 줄에 매달리는 비교시험을 의미하는 것으로, 매달리는 시간이 오래될 수록 파킨슨 질환이 호전되었음을 의미한다.
2. 실험 결과
(1) 정상 쥐(Untreated), 파킨슨 유발 쥐에 식염수를 투약한 경우(Vehecle), 파킨슨 질환 치료제 Levodopa(양약)를 투약한 경우(L),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투약한 경우(OM1), 실시예 2를 투약한 경우(OM2) 8회에 걸쳐 WHT를 한 결과가 아래와 같다.
(2) 실험결과
① 정상 쥐(Untreated)
Untreated
1 2 3 4 5 6 7 8 ave.
1주차 2.19 7.98 5.81 3.27 6.62 8.5 2.03 4.83 5.15
2주차 8.24 3.69 11.98 5.23 8.57 6.02 4.58 8.37 7.09
3주차 11.1 5.03 6.13 4.12 6.46 7.46 5.82 8.04 6.77
② 파킨슨 유발 쥐에 식염수를 투약한 경우(Vehecle)
Vehicle
1 2 3 4 5 6 7 8 ave.
1주차 2.48 7.84 3.4 3.86 1.86 3.27 2.41 3.27 3.55
2주차 1.9 4.79 3.42 3.08 1.58 4.3 3.99 1.56 3.08
3주차 1.83 7.47 3.27 3.12 3.47 3.46 2.68 1.76 3.38
③ 파킨슨 질환 치료제 Levodopa(양약)를 투약한 경우(L)
L
1 2 3 4 5 6 7 8 ave.
1주차 2.22 2.42 2.01 1.96 4.12 3.66 8.27 6.86 3.94
2주차 1.96 5.29 3.33 2.94 3.22 3.34 8.91 3.72 4.09
3주차 3.01 3.01 3.86 5.64 3.54 4.18 6.87 6.4 4.56
④ 실시예 1을 투약한 경우(OM1)
OM1
1 2 3 4 5 6 7 8 ave.
1주차 5.11 3.27 4.37 2.31 3.92 3.62 7.66 8.05 4.79
2주차 6.02 3.73 7.98 7.07 4.19 10.95 4.25 6.15 6.29
3주차 6.03 3.34 9.43 3.61 11.45 4.58 9.81 5.77 6.75
⑤ 실시예 2를 투약한 경우(OM2)
OM2
1 2 3 4 5 6 7 8 ave.
1주차 5.22 4.56 4.97 3.08 3.92 4.39 7.14 4.98 4.78
2주차 6.22 7.94 3.8 4.46 5.88 5.56 8.78 7.49 6.27
3주차 6.45 8.25 5.27 6.54 7.45 4.65 9.22 8.04 6.98
(3) 상기 실험 결과에 대한 평가
상기의 [표 1] 내지 [표 5 ]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OM1, OM2)를 파킨슨 유발 쥐에 대하여 투약을 한 결과,
OM1의 경우 1주 후에는 L(Levodopa(양약)를 투약한 경우) 보다 WHT의 향상률(((OM1-L)/L)*100)이 이 21.54%, 2주 후에는 53.90%, 3주 후에는 47.96%로 현저히 높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OM2의 경우 1주 후에는 L(Levodopa(양약)를 투약한 경우) 보다 WHT의 향상률(((OM2-L)/L)*100)이 이 21.38%, 2주 후에는 53.26%, 3주 후에는 43.03%로 현저히 높고 점점 더 WHT의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또한 OM1 및 OM2의 경우 3주 후에는 모두 정상쥐(untreated)의 WHT의 능력과 동일한 수준으로 치료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OM1, OM2)은 파킨슨 유발 쥐에 대하여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현저히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조성물을 제조, 생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조성물을 제조, 생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Claims (3)

  1. 조구등, 백작약, 인삼, 후박, 감초, 호초, 계혈등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감국, 황백, 산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추출하여 조성한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이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0152775A 2021-11-09 2021-11-09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KR20230067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75A KR20230067779A (ko) 2021-11-09 2021-11-09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75A KR20230067779A (ko) 2021-11-09 2021-11-09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779A true KR20230067779A (ko) 2023-05-17

Family

ID=8654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775A KR20230067779A (ko) 2021-11-09 2021-11-09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7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ster et al. A field guide to medicinal plants and herbs of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010069936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20200060598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Reid A Handbook of Chinese Healing Herbs: An Easy-to-Use Guide to 108 Chinese Medicinal Herbs and Dozens of Prepared Herba l Formulas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701410A (zh) 健胃益气保健酒及其生产方法
CN103749839A (zh) 一种灵芝万寿果茶
CN110064017A (zh) 一种预防和治疗心脑血管疾病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961349B1 (ko)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205022B (zh) 一种治疗真菌感染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30067779A (ko) 파킨슨 질환의 운동 개선 기능을 높이는 천연 조성물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528984A (zh) 一种通过涂抹乳房治疗乳腺疾病的膏霜配方及制备方法
CN105617268A (zh) 一种治疗鳞屑角化型脚气的药物
KR101756273B1 (ko) 가시오가피와 진득찰을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CN104721248B (zh) 具有抗抑郁作用的组合物及其用途
KR102632013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KR20190004936A (ko) 보양밥의 제조방법
KR102218990B1 (ko) 총명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쌍화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