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598A -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598A
KR20230066598A KR1020237012209A KR20237012209A KR20230066598A KR 20230066598 A KR20230066598 A KR 20230066598A KR 1020237012209 A KR1020237012209 A KR 1020237012209A KR 20237012209 A KR20237012209 A KR 20237012209A KR 20230066598 A KR20230066598 A KR 20230066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user
portable terminal
emergenc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809B1 (ko
Inventor
노리히로 쵸토쿠
겐지 세리자와
다쿠야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비상시에 있어서 이용자의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비상 연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은 발신기(23)와, 통신부(29)와, 제어부(3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1)에 마련되는 발신기(23)는, 이용자(P)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5)에, 발신기(23)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무선 신호에 의해서 발신한다. 휴대 단말(5)은 발신기(23)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에 이용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부(29)는 휴대 단말(5)로부터 송신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이용 정보는 휴대 단말(5)이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이용자(P)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개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긴급 정지시에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신호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 내에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무선 신호에 의해서,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의 비상 통보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킨다. 휴대 단말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감시 센터에 접속한다. 휴대 단말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이용자가 갇힘 상태에 있는 것을 감시 센터에 통보한다.
일본 특개 2018-83691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비상 통보에 있어서, 이용자와 쌍방향으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감시 센터의 오퍼레이터는 개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감시 센터에 어떻게 전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없다. 이때, 이용자는 불안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의 해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시에 있어서 이용자의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비상 연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은, 승강로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마련되고,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에 무선 신호에 의해서 각각이 발신하는 하나 이상의 발신기와, 휴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발신기 중 어느 것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에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식별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가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은, 승강로를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마련되고,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에 무선 신호에 의해서 각각이 발신하는 하나 이상의 발신기와, 휴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발신기 중 어느 것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에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식별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가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어느 것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비상시에 있어서 이용자의 불안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휴대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의 주요부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1)의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1)는 예를 들면 복수의 층상을 가지는 건물(2)에 적용된다. 건물(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의 승강로(3)가 마련된다. 승강로(3)는 복수의 층상에 걸치는 연직 방향으로 긴 공간이다. 건물(2) 각각의 층상에 있어서, 승강로(3)에 인접하는 승강장(4)이 마련된다.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는, 출발층의 승강장(4)으로부터 목적층의 승강장(4)까지의 이동에 엘리베이터(1)를 이용한다. 이 예에 있어서, 이용자(P)는 휴대 단말(5)을 휴대하고 있다. 휴대 단말(5)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포터블 단말 장치이다. 휴대 단말(5)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정보 단말 등이다. 휴대 단말(5)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기기로부터 해당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또한, 휴대 단말(5)은 네트워크(6)를 통해서 다른 장치 등과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네트워크(6)는 예를 들면 인터넷 또는 전화 회선망 등의 통신망이다. 휴대 단말(5)은 예를 들면 스크린 리더 등의 시각 정보에 의하지 않고 정보의 제시 및 입력 등을 행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휴대 단말(5)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와 제휴하는 제휴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6)를 통해서 이용자(P)가 미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것 등에 의해서 휴대 단말(5)에 인스톨된다.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호출의 등록에 대한 기능 등을 탑재한다.
엘리베이터(1)에 있어서, 비상 연락 시스템(7)이 적용된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은 엘리베이터(1)의 비상시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의 통신 및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엘리베이터(1)의 비상시는, 예를 들어 지진 등의 재해 또는 엘리베이터(1)의 고장 등에 의해서 엘리베이터(1)에 비상 정지가 발생한 경우 등을 포함한다. 비상 연락은 예를 들면 비상 정지가 발생한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 및 해당 엘리베이터(1)의 감시 센터(8)의 오퍼레이터(Q) 사이의 쌍방향의 연락이다. 비상 연락은 예를 들면 음성 통화에 의한 음성 연락 등에 의해서 행해진다. 감시 센터(8)는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감시하는 거점이다. 감시 센터(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적용되는 건물(2)의 외부의 거점이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은 서버 장치(9)를 구비한다. 서버 장치(9)는 예를 들면 감시 센터(8)에 배치된다. 서버 장치(9)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서버 장치(9)는 이용자(P) 및 오퍼레이터(Q) 사이의 비상 연락의 제어 등을 행하는 장치이다. 서버 장치(9)는 비상 연락 외의 다른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서버 장치(9)는 호출의 등록 등의 엘리베이터(1)와 제휴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엘리베이터(1)는 원격 감시 장치(10)를 구비한다. 원격 감시 장치(10)는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이다. 원격 감시 장치(10)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적용되는 건물(2)에 배치된다. 원격 감시 장치(10)는, 엘리베이터(1)의 상태의 정보 등을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6)를 통해서 감시 센터(8)의 서버 장치(9) 등에 접속된다.
엘리베이터(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11)을 구비한다. 이 예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는 복수의 유닛(11)을 구비한다. 각각의 유닛(11)은, 복수의 승강장 도어(12)와, 권상기(13)와, 메인 로프(14)와, 엘리베이터 칸(15)과, 균형추(16)와, 제어반(17)을 구비한다.
각각의 승강장 도어(12)는, 어느 층상의 승강장(4)에 배치된다. 각각의 승강장 도어(12)는, 승강장(4) 및 승강로(3)를 구획하는 도어이다.
권상기(13)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모터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쉬브를 구비한다. 권상기(13)는 예를 들면 승강로(3)의 상부 또는 하부 등에 배치된다. 혹은, 엘리베이터(1)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승강로(3)의 상방 등에 기계실이 마련되는 경우에, 권상기(13)는 기계실에 배치되어도 된다.
메인 로프(14)는 승강로(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5) 및 균형추(16)의 하중을 지지하는 로프이다. 메인 로프(14)는 권상기(13)의 쉬브에 감겨 걸려져 있다. 메인 로프(14)는 권상기(13)의 쉬브의 일방측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5)의 하중을 지지한다. 메인 로프(14)는 권상기(13)의 쉬브의 타방측에 있어서 균형추(16)의 하중을 지지한다.
엘리베이터 칸(15)은 승강로(3)를 연직 방향으로 주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를 복수의 층상의 사이에서 수송하는 기기이다. 엘리베이터 칸(15)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와, 도어 센서(19)와,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20)와,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8)는, 엘리베이터 칸(15)이 어느 층상에 정지하고 있는 때에 이용자(P)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해당 층상의 승강장(4)에 배치된 승강장 도어(12)를 연동시켜 개폐하는 기기이다. 도어 센서(19)는 열려 있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의 도어 패널의 개폐 방향에 있는 물체 등을 검출하는 기기이다. 도어 센서(1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의 도어 패널의 단부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20)는 엘리베이터 칸(15)의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은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의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다.
균형추(16)는 권상기(13)의 쉬브의 양측에 걸리는 하중의 균형을 엘리베이터 칸(15)과의 사이에서 잡는 기기이다. 엘리베이터 칸(15) 및 균형추(16)는, 권상기(13)의 모터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서 승강로(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주행한다.
제어반(17)은 해당 제어반(17)을 구비하는 유닛(11)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유닛(11)의 동작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5)의 승강 및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의 개폐를 포함한다. 제어반(17)은, 엘리베이터(1)의 상태로서 유닛(11)의 상태를 통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원격 감시 장치(10)에 접속된다. 유닛(11)의 상태는, 엘리베이터 칸(15)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의 개폐 상태, 도어 센서(19)에 의한 물체의 검출의 유무,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20)가 촬영하는 화상, 및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이 접수한 조작 등을 포함한다. 제어반(17)은 예를 들면 승강로(3)의 상부 또는 하부 등에 배치된다. 혹은, 엘리베이터(1)에 있어서 기계실이 마련되는 경우에, 제어반(17)은 기계실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는 그룹 관리 장치(22)를 구비한다. 그룹 관리 장치(22)는 복수의 유닛(11) 사이에서 호출에 대한 응답 등의 운행 상황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그룹 관리 장치(22)는,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통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원격 감시 장치(10)에 접속된다. 그룹 관리 장치(22)는 각각의 유닛(11)의 제어반(17)으로부터 취득하는 해당 유닛(11)의 상태를 원격 감시 장치(10)에 중계해도 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유닛(11)의 제어반(17)은 원격 감시 장치(10)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기(23)를 구비한다. 이 예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는 복수의 발신기(23)를 구비한다. 각각의 발신기(23)는, 이용자(P)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5)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각각의 발신기(23)는, 예를 들면 무선 비컨 장치이다. 각각의 발신기(23)에 대해서,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식별 정보는 각각의 발신기(23)를 식별하는 ID(IDentification) 등의 정보이다. 각각의 발신기(23)는, 무선 신호에 의해서 식별 정보를 발신한다. 이 예에 있어서, 각각의 층상의 승강장(4)에 하나의 발신기(23)가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유닛(11)의 엘리베이터 칸(15)에 하나의 발신기(23)가 배치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의 정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은 행선지층 조작부(24)와, 개폐 조작부(25)와, 비상 연락 조작부(26)와, 인터폰(27)과, 인디케이터(28)를 구비한다. 행선지층 조작부(24)는 행선지층을 지정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의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다. 행선지층 조작부(24)는 예를 들면 각각의 층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을 가진다. 개폐 조작부(25)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의 개폐의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다. 개폐 조작부(25)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18)의 도어 개방 및 도어 폐쇄에 대응하는 2개의 버튼을 가진다. 비상 연락 조작부(26)는 비상시에 있어서 이용자(P) 및 오퍼레이터(Q) 사이의 비상 연락의 개시의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다. 비상 연락 조작부(26)가 접수하는 조작은,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예이다. 비상 연락 조작부(26)는 예를 들면 비상 연락 버튼을 가진다. 인터폰(27)은, 음성 연락에 의해서 비상 연락이 행해지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15)의 내부의 이용자(P)로부터의 음성의 수음(收音) 및 오퍼레이터(Q)로부터의 음성의 엘리베이터 칸(15)의 내부로의 음향 발생 등을 행하는 부분이다. 인디케이터(28)는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인디케이터(28)에 표시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5)의 주행 방향 및 엘리베이터 칸(15)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상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상 연락 조작부(26)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오조작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에 있어서의 다른 버튼보다 작은 비상 연락 버튼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있다. 또한, 비상 연락 조작부(26)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에 있어서의 다른 버튼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예를 들어 휠체어 등을 사용하고 있는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는, 비상 연락 버튼에 닿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시각 장애가 있는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는, 비상 연락 버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가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비상 연락 시스템(7)은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의 비상 연락 조작부(26)에 의하지 않고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이용자(P)에게 제공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휴대 단말(5) 및 서버 장치(9)의 구성의 예가 나타내진다.
서버 장치(9)는 통신부(29)와, 검출부(30)와, 등록부(31)와, 제어부(32)를 구비한다. 통신부(29)는 서버 장치(9)의 외부의 기기 등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검출부(30)는 각각의 유닛(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를 검출하는 부분이다. 검출부(30)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20)가 촬영하는 화상 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를 검출한다. 등록부(31)는 엘리베이터(1)에 호출을 등록시키는 부분이다. 제어부(32)는 엘리베이터(1)의 비상 연락 등의 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다. 제어부(32)가 행하는 비상 연락의 제어는, 예를 들면 이용자(P)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의 제공 등을 포함한다.
비상 연락 시스템(7)에 있어서 제어부(32)로부터 이용자(P)로의 비상 연락 개시의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해당 이용자(P)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5)을 통해서 행해진다. 여기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5)에 표시되는 비상 연락 버튼 등이다. 이때, 제어부(32)는, 통신부(29) 및 네트워크(6)를 통해서 인터페이스 정보를 휴대 단말(5)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휴대 단말(5)에 이용자(P)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행하게 한다. 인터페이스 정보는 감시 센터(8)의 서버 장치(9) 등을 송신 목적지로 하는 통신의 수신처 정보 등이어도 된다. 수신처 정보는 예를 들면 전화 번호 또는 네트워크(6) 상의 어드레스 정보 등이다.
휴대 단말(5)은 무선 통신부(33)와, 기억부(34)와, 표시부(35)와, 입력부(36)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33)는 휴대 단말(5)의 외부의 기기 등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기억부(34)는 휴대 단말(5)에 있어서 정보를 기억하는 부분이다. 기억부(34)에 있어서, 예를 들면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의 특정 정보, 및 해당 이용자(P)의 설정 정보 등이 기억된다. 특정 정보는 이용자(P)를 특정하는 ID 등의 정보이다. 혹은, 특정 정보는 이용자(P)에게 휴대되는 휴대 단말(5)을 송신 목적지로 하는 통신의 수신처 정보 등이어도 된다. 수신처 정보는 예를 들면 전화 번호 또는 네트워크(6) 상의 어드레스 정보 등이다. 설정 정보는 이용자(P)에 의해서 설정된 엘리베이터(1)의 이용에 관한 정보 등이다.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의 정보를 포함한다. 혹은, 설정 정보는 이용자(P)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P)의 속성으로서 「시각 장애인」 또는 「휠체어 사용자」 등의 속성이 설정되어 있을 때에, 속성 정보에 따라서 해당 이용자(P)의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가 나타내져도 된다. 설정 정보는 이용자(P)의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표시부(35)는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표시부(35)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이다. 비상 연락 시스템(7)에 있어서 이용자(P)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표시부(35)에 표시된다. 표시부(35)에 표시된 정보는, 예를 들면 스크린 리더의 기능 등을 이용하여 음성에 의해서 이용자(P)에게 제시되어도 된다. 입력부(36)는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의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다. 입력부(36)는 예를 들면 버튼 혹은 터치 패널, 또는 마이크 등이다. 비상 연락 시스템(7)에 있어서 이용자(P)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휴대 단말(5)의 입력부(36)를 통해서 조작된다.
도 4 및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휴대 단말(5)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이다.
도 4에 있어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표시의 예가 나타내진다. 이용자(P)는, 도 4의 설정 화면에 있어서, 체크 박스(37)의 체크의 유무를 전환함으로써, 설정 정보의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를 전환한다. 혹은, 설정 화면은 이용자(P)의 속성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이어도 된다.
도 5에 있어서, 비상 연락의 개시의 인터페이스의 예가 나타내진다. 표시부(35)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로서 비상 연락 버튼(38)이 표시된다. 이용자(P)는, 표시부(35)에 표시된 비상 연락 버튼(38)의 조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을 이용하지 않고 비상 연락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P)는 스크린 리더 등의 기능을 통해서 음성에 의해서 비상 연락 버튼(38)을 인식해도 된다. 이용자(P)는 음성 입력 등에 의해서 비상 연락 버튼(38)을 조작해도 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비상 연락 시스템(7)의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7)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제휴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휴대 단말(5)의 동작, 서버 장치(9)의 동작, 및 건물(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1)의 동작의 예가 나타내진다.
도 6에 있어서, 호출의 등록에 관한 비상 연락 시스템(7)의 동작의 예가 나타내진다.
도 6에 있어서의 호출의 등록의 처리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가 엘리베이터(1)를 이용하기 위해서 출발층의 승강장(4)까지 이동하는 것 등에 의해서 개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출발층의 승강장(4)에 마련된 발신기(23)의 무선 통신의 통신 범위는, 해당 승강장(4)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P)가 승강장(4)에 도착할 때에, 휴대 단말(5)은 해당 발신기(23)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휴대 단말(5)은 무선 통신부(33)가 어느 발신기(23)로부터 무선 신호에 의해서 식별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휴대 단말(5)의 동작은,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휴대 단말(5)의 동작은,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휴대 단말(5)은 서버 장치(9)에 이용 정보를 송신한다. 이용 정보는 이용자(P)의 엘리베이터(1)의 이용에 관한 정보이다. 이용 정보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33)가 발신기(23)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 그리고 기억부(34)가 기억하고 있는 특정 정보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 예에 있어서, 이용 정보는 이용자(P)가 출발층의 승강장(4)에 도착할 때에 해당 승강장(4)에 마련된 발신기(23)로부터 휴대 단말(5)이 수신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용 정보는 설정 정보로서 이용자(P)의 음성 통화의 가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용 정보는 설정 정보로서 이용자(P)의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용 정보를 송신한 후에, 호출의 등록에 관한 휴대 단말(5)의 동작은 종료한다.
스텝 S20에 있어서, 서버 장치(9)의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휴대 단말(5)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해서 이용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스텝 S20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수신한 이용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P)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1)를 특정한다. 제어부(32)는 예를 들면 식별 정보에 의해서 식별되는 발신기(23)가 마련된 엘리베이터(1)를, 이용자(P)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1)로서 특정한다. 그 후,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등록부(31)는 호출 등록 요구를 생성한다. 호출 등록 요구는 예를 들면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한다. 등록부(31)는 예를 들면 이용 정보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의해서 식별되는 발신기(23)가 마련되는 승강장(4)의 층상을 호출의 출발층으로 한다. 등록부(31)는 예를 들면 이용 정보에 설정 정보로서 포함되는 행선지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의 행선지층을 설정한다. 여기서, 설정 정보에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등에, 호출 등록 요구는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이용자(P)의 행선지층은, 예를 들면 이용자(P)가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에 있어서 지정된다. 등록부(31)는 생성한 호출 등록 요구를 엘리베이터(1)의 원격 감시 장치(10)에 통신부(29)를 통해서 송신한다. 호출 등록 요구를 송신한 후에, 호출의 등록에 관한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종료한다.
스텝 S3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의 원격 감시 장치(10)는, 서버 장치(9)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해서 호출 등록 요구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엘리베이터(1)의 동작은,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엘리베이터(1)의 동작은, 스텝 S31로 진행한다.
스텝 S3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1)의 그룹 관리 장치(22)는, 원격 감시 장치(10)가 수신한 호출 등록 요구에 기초하는 호출을 어느 유닛(11)에 할당한다. 그룹 관리 장치(22)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이용률 등의 운행 상황에 따라서 호출의 할당을 행한다. 그룹 관리 장치(22)는 호출을 할당한 유닛(11)의 제어반(17)에 해당 호출을 등록한다. 그룹 관리 장치(22)는 호출을 할당한 유닛(11)을 서버 장치(9)에 통지해도 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1)의 동작은, 스텝 S32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호출이 할당된 제어반(17)은, 할당된 호출에 응답한다. 제어반(17)은 엘리베이터 칸(15)을 주행시켜 출발층에 정지시킨다. 제어반(17)은 출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5)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8)를 도어 개방시킨다. 이용자(P)가 출발층의 승강장(4)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한 후에, 제어반(17)은 엘리베이터 칸(15)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8)를 도어 폐쇄시킨다. 제어반(17)은 엘리베이터 칸(15)을 주행시켜 행선지층에 정지시킨다. 제어반(17)은 행선지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5)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8)를 도어 개방시킨다. 이용자(P)가 엘리베이터 칸(15)으로부터 행선지층의 승강장(4)에 하차한 후에, 제어반(17)은 엘리베이터 칸(15)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8)를 도어 폐쇄시킨다. 그 후, 호출의 등록에 관한 엘리베이터(1)의 동작은 종료한다.
도 7에 있어서, 비상 연락에 관한 비상 연락 시스템(7)의 동작의 예가 나타내진다.
도 7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의 처리는, 예를 들면 비상 정지가 발생한 엘리베이터(1)의 원격 감시 장치(10)로부터 서버 장치(9)의 통신부(29)가 통보를 받는 것 등에 의해서 개시한다. 원격 감시 장치(10)로부터의 통보는, 예를 들면 어느 유닛(11)의 제어반(17) 등에 있어서 비상 정지가 발생할 때에 행해진다. 혹은, 비상 연락의 처리는, 엘리베이터(1)가 마련되는 지역에 있어서의 지진 발생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 감시 장치(10)로부터의 통보에 관계없이 개시되어도 된다. 이때, 지진 등에 의해서 비상 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엘리베이터(1)에 대해서도, 비상 정지가 실제로 발생한 엘리베이터(1)와 마찬가지로 비상 연락의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스텝 S25에 있어서, 서버 장치(9)의 제어부(32)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을 특정한다. 제어부(32)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5)로부터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는 호출 등록 요구에 의해서 호출을 할당한 유닛(11)이 그룹 관리 장치(22)로부터 통지되는 경우에, 해당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으로서 해당 유닛(11)의 엘리베이터 칸(15)을 특정한다. 제어부(32)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것으로서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비상 연락에 관한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종료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 있어서, 제어부(32)는 비상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는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제어부(32)는, 예를 들어 비상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15)의 유닛(11)에 호출 등록 요구에 의해서 호출이 할당된 경우에, 해당 호출 등록 요구에 대응하는 이용 정보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용자(P)는 비상 연락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제어부(32)가 판정하는 경우에,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스텝 S27로 진행한다. 한편, 이용자(P)는 비상 연락 조작이 가능하다고 제어부(32)가 판정하는 경우에,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종료한다.
스텝 S27에 있어서, 제어부(32)는 비상 연락을 행하는 이용자(P)의 휴대 단말(5)에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32)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휴대 단말(5)의 수신처 정보를, 예를 들면 이용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 등에 기초하여 특정한다. 이용자(P)와의 사이의 비상 연락이 종료한 후에, 서버 장치(9)의 동작은 종료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휴대 단말(5)은 서버 장치(9)로부터 네트워크(6)를 통해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비상 연락에 관한 휴대 단말(5)의 동작은 종료한다. 한편,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휴대 단말(5)의 동작은,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 있어서, 휴대 단말(5)은 수신한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의 이용자(P)에게로의 제공을 행한다. 휴대 단말(5)의 표시부(35)는, 비상 연락 버튼(38) 등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5)의 입력부(36)는, 비상 연락 버튼(38) 등의 인터페이스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한다. 이용자(P) 및 오퍼레이터(Q) 사이의 비상 연락이 종료한 후에, 휴대 단말(5)의 동작은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7)은, 하나 이상의 발신기(23)와, 통신부(29)와, 제어부(3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1)는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15)을 가진다.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15)은, 승강로(3)를 승강한다. 휴대 단말(5)은 엘리베이터(1)의 이용자(P)에게 휴대된다. 각각의 발신기(23)는, 엘리베이터(1)에 마련된다. 각각의 발신기(23)는, 식별 정보를 휴대 단말(5)에 무선 신호에 의해서 발신한다. 식별 정보는 각각의 발신기(23)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휴대 단말(5)은 어느 발신기(23)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에 이용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부(29)는 휴대 단말(5)로부터 송신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한다. 이용 정보는 휴대 단말(5)이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어느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이용자(P)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용자(P)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가 이용자(P)에게 자동적으로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 등의 조작이 곤란한 이용자(P)라도, 자신이 휴대하는 휴대 단말(5)을 통해서 오퍼레이터(Q)와의 비상 연락을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다. 이용자(P)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21)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터(Q)를 개재하여 쌍방향의 비상 연락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1)의 상황뿐만 아니라, 자신 또는 동승자의 긴급도 등의 상황을 오퍼레이터(Q)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1)의 비상시에 있어서도 이용자(P)의 불안감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휴대 단말(5)로부터 수신한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호출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칸(15)을, 해당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으로서 특정한다. 제어부(32)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킨다. 또한, 제어부(32)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보류해도 된다.
이용자(P)는 제휴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서 등록된 호출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의 특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P)가 정밀도 좋게 특정된다. 이용자(P)는 보다 확실히 비상 연락을 개시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P)의 불안감이 보다 저감된다.
또한, 제어부(32)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으로서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5)이 해당 이용자(P)의 출발층으로부터 행선지층까지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 비상 정지할 때에,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휴대 단말(5)에 제공시켜도 된다. 제어부(32)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으로서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5)이 해당 이용자(P)의 출발층에 도착하기 전, 또는 해당 이용자(P)의 행선지층에 도착한 후에 비상 정지할 때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보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P)가 엘리베이터 칸(15)에 실제로 승차하고 있는지 여부가 보다 정밀도 좋게 판정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발신기(23)는, 어느 엘리베이터 칸(15)에 마련되는 발신기(23)를 포함한다. 해당 발신기(23)는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의 예이다. 이때, 제어부(32)는, 이용 정보가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을 특정해도 된다. 제어부(32)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킨다. 또한, 제어부(32)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보류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5)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의 무선 통신의 통신 범위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의 내부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P)가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을 때에, 해당 이용자(P)의 휴대 단말(5)은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5)을 휴대하는 이용자(P)는,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P)가 실제로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의 특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이용자(P)의 호출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15)과 다른 엘리베이터 칸(15)에 이용자(P)가 승차한 경우에 있어서도, 실제로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이 특정된다.
또한,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엘리베이터(1)의 호출의 등록에 대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마련되는 건물(2)의 설비 등과 제휴하는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혹은, 제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마련되는 건물(2)에 있어서 제공되는 서비스 등과 제휴하는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발신기(23)는, 엘리베이터(1)의 승강장(4)에 마련되는 발신기(23)를 포함한다. 해당 발신기(23)는 승강장 발신기의 예이다. 이때, 제어부(32)는, 이용 정보가 승강장(4)의 승강장 발신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통신부(29)가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해당 승강장(4)이 마련되는 층상으로부터 출발한 엘리베이터 칸(15)을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제어부(32)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킨다. 또한, 제어부(32)는, 해당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보류해도 된다.
승강장(4)에 도착한 이용자(P)는, 그 후에 해당 승강장(4)의 층상으로부터 출발하는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할 가능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P)가 실제로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의 특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제휴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서 호출의 등록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이 특정된다. 또한, 제어부(32)는,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15)이 출발한 후에, 승강장 발신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이용자(P)가 출발층에 아직 체류하고 있다고 판정할 때에,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의 특정을 취소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5)의 혼잡 등에 의해서 이용자(P)가 승차를 미룬 경우 등에 있어서도, 이용자(P)가 실제로 승차하는 엘리베이터 칸(15)의 특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휴대 단말(5)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동안에 어느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켜도 된다. 이때, 제어부(32)는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15)을 특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어부(32)는, 통신부(29)가 휴대 단말(5)로부터 이용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어느 엘리베이터 칸(15)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보류해도 된다.
통신부(29)가 이용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비상 정지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이용 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P)는 비상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32)는, 예를 들면 통신부(29)가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의 이용 정보에 대해서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의 판정을 미리 행함으로써, 이용자(P)가 비상 연락을 보다 신속하게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상 연락 시스템(7)은 검출부(30)를 구비한다. 검출부(30)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를 검출한다. 제어부(32)는, 비상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를 검출부(30)가 검출하는 경우에,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5)에 제공시켜도 된다. 또한, 제어부(32)는, 비상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15)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P)를 검출부(30)가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보류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검출부(3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5)에 실제로 이용자(P)가 승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므로, 필요없는 비상 통보를 행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비상 연락 시스템(7)에 있어서, 발신기(23)는 승강장(4)에만 배치되어도 된다. 어느 층상에 있어서, 발신기(23)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혹은, 발신기(23)는 엘리베이터 칸(15)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유닛(11)의 엘리베이터 칸(15)에 있어서, 발신기(23)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등록부(31)는 호출을 할당하는 유닛(11)을 지정한 호출 등록 요구를 생성해도 된다. 등록부(31)는 예를 들면 설정 정보 등에 기초하여 지정하는 유닛(11)을 선택한다. 이때, 제어부(32)는 등록부(31)에 있어서 지정된 유닛(11)의 엘리베이터 칸(15)을, 이용자(P)가 승차하는 엘리베이터 칸(15)으로서 특정해도 된다.
또한, 발신기(23)는 휴대 단말(5)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때, 발신기(23)는 휴대 단말(5)과, 서버 장치(9) 또는 엘리베이터(1)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해도 된다.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는, 버튼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수반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는, 이용자(P)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5)로부터 입력 등이 가능한 것이면, 예를 들면 음성 인터페이스 등이어도 된다.
통신부(29), 검출부(30), 등록부(31), 및 제어부(32) 등의 비상 연락 시스템(7)에 있어서의 서버 장치(9)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엘리베이터(1)가 마련되는 건물(2)에 배치되는 하드웨어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해당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각각의 유닛(11)의 제어반(17), 그룹 관리 장치(22), 또는 원격 감시 장치(10) 등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용자(P)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적용되는 건물(2)의 관리실 등에 주재하고 있는 관리인과의 사이에서 비상 연락을 행해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1)는 하나의 유닛(11)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때, 엘리베이터(1)는 그룹 관리 장치(22)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도 8을 이용하여, 비상 연락 시스템(7)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7)의 주요부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는 프로세서(100a) 및 메모리(100b)와 함께, 혹은 그것들의 대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용 하드웨어(200)를 구비해도 된다.
처리 회로가 프로세서(100a)와 메모리(100b)를 구비하는 경우,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된다. 그 프로그램은 메모리(100b)에 격납된다. 프로세서(100a)는, 메모리(100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100a)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100b)는, 예를 들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처리 회로가 전용 하드웨어(200)를 구비하는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은, 각각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혹은,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은, 통합해서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도 있다.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200)로 실현하고, 다른 부분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전용 하드웨어(200),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비상 연락 시스템(7)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본 개시에 따른 비상 연락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엘리베이터 2 : 건물
3 : 승강로 4 : 승강장
5 : 휴대 단말 6 : 네트워크
7 : 비상 연락 시스템 8 : 감시 센터
9 : 서버 장치 10 : 원격 감시 장치
11 : 유닛 12 : 승강장 도어
13 : 권상기 14 : 메인 로프
15 : 엘리베이터 칸 16 : 균형추
17 : 제어반 18 : 엘리베이터 칸 도어
19 : 도어 센서 20 : 엘리베이터 칸 카메라
21 :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 22 : 그룹 관리 장치
23 : 발신기 24 : 행선지층 조작부
25 : 개폐 조작부 26 : 비상 연락 조작부
27 : 인터폰 28 : 인디케이터
29 : 통신부 30 : 검출부
31 : 등록부 32 : 제어부
33 : 무선 통신부 34 : 기억부
35 : 표시부 36 : 입력부
37 : 체크 박스 38 : 비상 연락 버튼
P : 이용자 Q : 오퍼레이터

Claims (9)

  1. 승강로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마련되고,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에 무선 신호에 의해서 각각이 발신하는 하나 이상의 발신기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발신기 중 어느 것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에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동안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상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를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4. 승강로를 승강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마련되고, 각각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에 무선 신호에 의해서 각각이 발신하는 하나 이상의 발신기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발신기 중 어느 것으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에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있어서의 비상 연락 조작의 가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어느 것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에게 비상 연락을 개시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호출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이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신기는,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어느 것에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 정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발신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특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발신기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는 승강장 발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 정보가 상기 승강장 발신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한 후에 상기 승강장이 마련되는 층상으로부터 출발한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이용자가 승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이용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동안에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 어느 것이 비상 정지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각각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상 정지하는 엘리베이터 칸에 승차하고 있는 이용자를 상기 검출부가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제공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KR1020237012209A 2020-09-16 2020-09-16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KR10255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5103 WO2022059097A1 (ja) 2020-09-16 2020-09-16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598A true KR20230066598A (ko) 2023-05-16
KR102551809B1 KR102551809B1 (ko) 2023-07-06

Family

ID=8077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209A KR102551809B1 (ko) 2020-09-16 2020-09-16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60068B2 (ko)
KR (1) KR102551809B1 (ko)
CN (1) CN116056997B (ko)
WO (1) WO2022059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4452B1 (ja) 2022-08-02 2024-02-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遠隔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22A (ja) * 2000-08-29 2002-03-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非常連絡装置
JP2012006753A (ja) * 2010-06-28 2012-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201520291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JP2018083691A (ja) 2016-11-24 2018-05-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883A (ja) * 2008-09-12 2010-03-25 Toshiba Elevator Co Ltd 集合住宅におけるエレベータの利用状況監視システム
KR20130065973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CN104609270B (zh) * 2015-02-05 2016-10-05 北京索德电气工业有限公司 一种智能电梯控制系统及方法
JP6889092B2 (ja) * 2017-11-28 202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CN110182660B (zh) * 2018-02-23 2022-03-25 东芝电梯株式会社 电梯系统
JP6570047B1 (ja) * 2018-04-25 2019-09-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527353B1 (ko) * 2018-09-26 2023-04-28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10517412B (zh) * 2019-08-23 2021-07-06 北京易云达科技有限公司 乘梯云收费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22A (ja) * 2000-08-29 2002-03-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非常連絡装置
JP2012006753A (ja) * 2010-06-28 2012-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201520291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JP2018083691A (ja) 2016-11-24 2018-05-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56997A (zh) 2023-05-02
JPWO2022059097A1 (ko) 2022-03-24
JP7260068B2 (ja) 2023-04-18
CN116056997B (zh) 2024-04-26
KR102551809B1 (ko) 2023-07-06
WO2022059097A1 (ja)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495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호출 등록 시스템
JP6570047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57199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6668520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KR20130043673A (ko) 엘리베이터의 모니터 제어 장치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6841379B2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呼び登録システム
JP2006327746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JP6194061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2551809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CN110182660B (zh) 电梯系统
JP7226665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20191565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42967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595551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JP2019142698A (ja) エレベータ
CN115461291B (zh) 电梯的被困救援的辅助系统、便携终端和存储介质
JP2012020824A (ja) エレベータの運行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19064371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105730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05466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309162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531329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