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385A -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385A
KR20230066385A KR1020237011453A KR20237011453A KR20230066385A KR 20230066385 A KR20230066385 A KR 20230066385A KR 1020237011453 A KR1020237011453 A KR 1020237011453A KR 20237011453 A KR20237011453 A KR 20237011453A KR 20230066385 A KR20230066385 A KR 20230066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treatment
gas
desorption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무 다테야마
도시아키 하야시
다케마사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62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23Beds in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72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53/48 - B01D53/70, e.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01D53/82Solid phase processes with stationary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4Solv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D2257/702 - B01D2257/7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16Regenerating or reactivating of sorbents or filter aids comprising free carbon,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은, 피처리 가스의 유기 용제를 직렬 다단 접속된 복수의 제1 처리조에서 흡착하는 흡착 처리와, 차례로 선택된 하나의 제1 처리조에서 탈착 처리를 행하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와, 제2 처리조에서 흡탈 처리 및 탈착 처리를 행하는 유기 용제 농축 장치를 구비하고, 선택된 하나의 제1 처리조와 제2 처리조에 있어서 탈착 처리의 개시를 동시에 행한다.

Description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본 발명은 유기 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 용제를 회수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기 용제 함유 가스로부터 유기 용제를 회수하는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흡착제를 갖는 3개의 처리조를 구비한 가스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2개의 처리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흡착 공정이 실시되고, 그 동안, 나머지의 처리조에 있어서, 탈착 공정이 실시된다. 탈착 공정 후의 처리조의 흡착재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희석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2개의 처리조를 갖는 제1 흡탈착 장치와, 제1 흡탈착 장치로부터 배출된 피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를 회수하는 제2 흡탈착 장치를 구비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제2 흡탈착 장치는, 제2 흡탈착 소자에 의해, 피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를 흡착하는 제1 처리부와, 제2 흡탈착 소자에 흡착된 유기 용제를 제2 흡탈착 소자로부터 탈착하는 제2 처리부를 갖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2개의 처리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흡착 공정이 실시됨으로써, 유기 용제의 제거율이 높여져 있고,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에서는, 제1 흡탈착 장치의 어느 처리조와 제2 흡탈착 장치의 제1 처리부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흡착 공정이 실시됨으로써, 유기 용제의 제거율이 높여져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47863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40052호」
근년,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더욱 유기 용제의 제거율을 높이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 요구에 대응시켜서,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2개의 처리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흡착 공정을 실시한 후,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제2 흡탈착 장치에 의해 또한 흡착 공정을 실시하고, 제2 흡탈착 장치로부터 탈착된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가스를, 처리조의 피처리 가스(원 가스)로 되돌리는 시스템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상기 검토한 시스템에서는, 제1 흡탈착 장치의 처리조로부터 배출되어, 제2 흡탈착 장치에 공급되는 피처리 가스 중에, 처리조의 흡착 공정과 탈착 공정의 전환 직후에 발생하는 증기 미스트(이하, 백연)가 수십초 혼입된다. 제2 흡탈착 장치에서 일정량 이상 유기 용제를 흡착한 상태(즉, 제2 흡탈착 장치의 흡착 공정이 어느 정도 행해진 상태)에서, 백연이 포함되는 고온·고습도의 피처리 가스가 제2 흡탈착 장치에 공급되면, 피처리 가스 온도의 상승과 제2 흡탈착 장치에의 수분의 흡착에 의해, 유기 용제의 흡착 속도가 느려져서, 제2 흡탈착 장치의 설계 출구 농도 이상의 유기 용제 가스가 배출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일어난다. 또한 백연에 의한 수분의 흡착은, 제2 흡탈착 장치의 탈착 공정에 요하는 필요한 열 에너지의 증가도 야기한다.
이러한 백연에 의한 영향에 대한 대책으로서, 제2 흡탈착 장치에 공급되는 피처리 가스의 냉각이나 제습에 대해서도 검토했지만, 냉각 비용이 증가해버린다. 또한, 흡착 속도가 느려지는 것에 대하여 흡착재의 층 길이를 길게 한다는 대책도 검토했지만, 흡착재량이 증가하는 만큼, 장치가 대형화해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그 목적은, 비용 억제, 대형화 억제, 에너지 억제가 가능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1. 유기 용제를 흡탈착 가능한 제1 흡착재가 충전된 제1 처리조를 3개 이상과, 수증기를 도입하는 수증기 공급 유로와, 복수의 상기 제1 처리조를 직렬 다단 접속하는 연결 유로와, 유기 용제를 함유한 피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를 구비하고,
모든 상기 제1 처리조 중, 직렬 다단 접속한 복수의 상기 제1 처리조에서 공급된 상기 피처리 가스에 함유된 유기 용제의 흡착 처리를 행하고 제1 처리 가스를 배출하고, 나머지의 제1 처리조에서 흡착된 유기 용제의 탈착 처리를 도입된 상기 수증기를 사용하여 행하고, 모든 상기 제1 처리조는 상기 흡착 처리와 상기 탈착 처리를 전환하여 연속하여 행하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와,
유기 용제의 흡탈착 가능한 제2 흡착재가 충전된 제2 처리조와, 당해 제2 처리조에 상기 제1 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보냄 유로를 구비하고, 당해 제1 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의 흡착 처리와 탈착 처리를 전환하여 연속하여 행하는 유기 용제 농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조와 상기 제2 처리조에 있어서의 탈착 처리와 흡착 처리의 전환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2. 상기 연결 유로에 희석 가스를 공급하는 희석 가스 공급 유로와, 상기 제2 처리조에서의 탈착 처리에 의해 배출된 탈착 가스를 상기 희석 가스 공급 유로로 되돌리는 복귀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3. 상기 제2 처리조에서의 흡착 처리에 의해 배출된 제2 처리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제2 처리조에서의 탈착 처리용으로 도입하는 접속 유로와, 당해 접속 유로에 마련된 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4. 상기 제2 흡착재는, 입상 활성탄, 활성 탄소 섬유, 또는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5. 상기 제2 흡착재의 탈착 처리에 가열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본 발명에 의해, 전단의 유기 용제 회수 장치와 후단의 유기 용제 농축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조에서의 탈착 처리와 흡착 처리의 전환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후단의 유기 용제 농축 장치에의 백연 유입에 의한 수분의 흡착에 의한 흡착 속도의 저하에 대하여 유기 용제가 포화하고 있지 않은 흡착재의 층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기 용제 농축 장치로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 가스(청정 가스)에 유기 용제가 혼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제 농축 장치의 흡착 공정의 개시 초기에 백연이 들어감으로써, 백연이 안정된 후의 피처리 가스의 통기에 의한 흡착재를 건조시키는 시간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탈착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도 종래 기술 이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있어서의 피처리 가스 중의 유기 용제(디클로로메탄) 농도, 유기 용제(디클로로메탄)의 제거율, 냉각수 및 증기량의 유틸리티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은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와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보냄 유로(L300)와 복귀 유로(L400)를 구비하고 있다.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은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에 있어서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피처리 가스로부터 유기 용제의 제거 및 회수를 행한 후,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제1 처리 가스에 대하여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에 있어서 더욱 유기 용제의 제거 및 농축을 행하여, 제2 처리 가스(청정 가스)를 배출한다. 또한,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로부터 탈착된 탈착 가스를 복귀 유로(L400)를 통하여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 되돌린다.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은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와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의 각 처리조에 있어서, 탈착 처리(탈착 공정)와 흡착 처리(흡착 공정)의 전환을 동시에 행한다. 동시란 거의 동시도 포함한다.
이하에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는 피처리 가스로부터 유기 용제를 제거 및 회수하는 장치이다. 피처리 가스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의 계 외에 마련된 피처리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에 공급된다.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는 3개의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와,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와, 연결 유로(L121 내지 L123)와, 취출 유로(L131 내지 L133)와, 수증기 공급 유로(L141 내지 L143)와, 유기 용제 회수 유로(L151 내지 L153)와, 세퍼레이터(120)와, 재공급 유로(L160)와, 희석 가스 공급 유로(L17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는, 유기 용제의 흡착과 유기 용제의 탈착이 가능한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를 갖고 있다.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로서, 입상의 활성탄, 제올라이트, 허니콤상의 활성탄, 제올라이트, 활성 탄소 섬유 등이 있는데,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는, 피처리 가스 공급구에의 피처리 가스의 공급/비공급을 전환하는 개폐 댐퍼(V101 내지 V103),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 통과 후의 처리 가스 배출구의 배출/비배출을 전환하는 개폐 댐퍼(V104 내지 V106)를 갖고 있다.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서는,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에 의한 유기 용제의 흡착과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로부터의 유기 용제의 탈착이 교호로 행해진다. 즉, 3개의 제1 처리조(101 내지 103) 중 1개의 제1 처리조에 있어서, 피처리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피처리 가스로부터 유기 용제를 흡착하여 제1 흡착 후 가스를 배출하는 제1 흡착 공정(흡착 처리)이 행하여짐과 함께, 이 제1 흡착 처리가 행해지는 제1 처리조에 직렬 다단 접속한 다른 제1 처리조에 있어서, 제1 흡착 후 가스로부터 유기 용제를 흡착하여 제1 처리 가스를 배출하는 제2 흡착 공정(흡착 처리)이 행해지고, 그 동안, 나머지 하나의 제1 처리조에 있어서, 제1 흡착재로부터 유기 용제를 탈착하는 탈착 공정(탈착 처리)이 행해진다.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서는, 탈착 공정, 제2 흡착 공정, 제1 흡착 공정이 이 순으로 반복 전환하여 행해진다.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는,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피처리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의 상류측의 단부는 피처리 가스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에는,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유입되는 피처리 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쿨러(C1) 및 히터(H1)가 마련되어 있다.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는,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피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분지 유로(L111 내지 L113)를 갖고 있다. 분지 유로(L111)에는 개폐 밸브(V111)가 마련되어 있다. 분지 유로(L112)에는 개폐 밸브(V112)가 마련되어 있다. 분지 유로(L113)에는 개폐 밸브(V11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연결 유로(L121 내지 L123)는, 3개의 제1 처리조(101 내지 103) 중 1개의 제1 처리조(제1 흡착 공정에서 사용되는 제1 처리조)의 제1 흡착재에 있어서 유기 용제가 흡착된 후의 피처리 가스가 3개의 제1 처리조(101 내지 103) 중 1개의 제1 처리조와는 상이한 다른 제1 처리조(제2 흡착 공정에서 사용되는 처리조)에 있어서의 피처리 가스 공급구에 도입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유로(L121 내지 L123)는, 서로 합류하는 L120을 갖고 있다. 제1 연결 유로(L121) 중 합류 경로(L120)로부터 다시 분지된 부위에는, 개폐 밸브(V121)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연결 유로(L122) 중 합류 경로(L120)로부터 다시 분지된 부위에는, 개폐 밸브(V122)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연결 유로(L123) 중 합류 경로(L120)로부터 다시 분지된 부위에는, 개폐 밸브(V123)가 마련되어 있다.
취출 유로(L131 내지 L133)는,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서 흡착 처리된 후의 처리 가스인 제1 처리 가스를 취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취출 유로(L131 내지 L133)는,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있어서의 처리 가스 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취출 유로(L131)에는 개폐 밸브(V131)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취출 유로(L132)에는 개폐 밸브(V132)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취출 유로(L133)에는 개폐 밸브(V133)가 마련되어 있다. 각 취출 유로(L131 내지 L133)는 서로 합류하는 합류 유로(L130)를 갖고 있다.
수증기 공급 유로(L141 내지 L143)는,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에 흡착된 유기 용제를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로부터 탈착하기 위한 수증기를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제1 수증기 공급 유로(L141)는, 수증기 공급원과 제1 처리조(101)를 접속하고 있고, 제1 수증기 공급 유로에는 개폐 밸브(V141)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증기 공급 유로(L142)는, 수증기 공급원과 제1 처리조(102)를 접속하고 있고, 제2 수증기 공급 유로에는 개폐 밸브(V142)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수증기 공급 유로(L143)는, 수증기 공급원과 제1 처리조(103)를 접속하고 있고, 제3 수증기 공급 유로에는 개폐 밸브(V143)가 마련되어 있다.
유기 용제 회수 유로(L151 내지 L153)는,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로부터 탈착된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수증기(탈착 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유로이다. 각 유기 용제 회수 유로(L151 내지 L153)는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접속되어 있다. 각 유기 용제 회수 유로(L151 내지 L153)는, 서로 합류하는 L150을 갖고 있다. 합류 유로(L150)에는 응축기(122)가 마련되어 있다. 응축기(122)는 합류 유로(L150)에 흐르는 탈착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당해 탈착 가스를 응축시키고, 응축액(탈착 가스의 응축에 의해 생성된 수분과 액상의 유기 용제와의 혼합액)을 배출시킨다.
세퍼레이터(120)는 응축기(122)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고, 유입해 온 응축액을 분리 폐수의 액상과 회수 용제의 액상으로 상분리한다. 회수 용제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의 계 외로 취출된다. 세퍼레이터(120)의 상부에는, 미량의 유기 용제가 존재하는 공간(벤트 가스)이 형성된다.
재공급 유로(L160)는, 세퍼레이터(120)와 피처리 가스 유로(L110)를 접속하는 유로이다. 세퍼레이터(120) 내의 벤트 가스는 재공급 유로(L160) 및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를 통하여 다시 각 제1 처리조(101 내지 103)에 공급된다.
배수 처리 설비(500)는 상기 분리 폐수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를 제거하는 설비이다. 세퍼레이터(120)의 분리 폐수의 액상으로부터 공급되어, 분리 폐수로부터 유기 용제를 제거하고, 처리수를 계 외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배수 처리 설비(500)로서는, 분리 배수를 폭기 처리함으로써 분리 배수 중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를 휘발시켜서,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폭기 가스와 처리수로 분리하는 폭기 설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폭기 가스는 폭기 가스 공급 유로(L61)를 통하여,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L110)의 쿨러(C1)의 상류측에 접속된다. 폭기 가스 공급 유로(L61)에는 폭기 가스 중의 수분을 제거할 목적 제습 수단을 마련해도 된다.
희석 가스 공급 유로(L170)는, 탈착 공정 후의 제1 흡착재(101A 내지 103A)의 건조를 촉진하기 위한 희석 가스를 연결 유로(L21 내지 L23)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희석 가스는, 외기, 계장용 공기,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스로 구성된다.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제1 처리 가스로부터, 또한 유기 용제를 제거하는 설비이다.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처리조를 갖고 있고, 2개인 경우에서 설명하면 제2 처리조(201, 202)는 합류 유로(L130)를 통하여 배출된 제1 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를 흡착 가능한 제2 흡착재(201A, 202A)를 갖고 있다. 제2 처리조(201)에서는, 제2 흡착재(201A)에 의해, 제1 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를 흡착하고, 한편으로 제2 처리조(202)에서는 제2 흡착재(202A)에 흡착된 제1 처리 가스 중의 유기 용제를 탈착한다. 제2 처리조(201과 202)는 흡착 공정과 탈착 공정을 교체하면서 차례로 행해 간다. 제1 처리 가스를 제2 처리조에 통과시킴으로써 또한 유기 용제가 제거된 청정 가스인 제2 처리 가스를 배출할 수 있고, 흡착 완료 후에 제1 처리 가스보다도 소풍량의 가열 가스를 통과시켜서, 흡착재에 흡착된 유기 용제를 탈착시킴으로써, 유기 용제가 농축된 탈착 가스를 배출시킨다. 탈착 가스는 복귀 유로(L400)에 접속된 희석 가스 공급 유로(L170)로부터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 반송된다.
각 제2 처리조(201, 202)는, 유기 용제의 흡착과 유기 용제의 탈착이 가능한 제2 흡착재(201A, 202A)를 갖고 있다. 제2 흡착재(201A, 202A)로서, 입상의 활성탄, 제올라이트, 허니콤 상의 활성탄, 제올라이트, 활성 탄소 섬유가 있는데, 활성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제2 처리조(201, 202)는, 피처리 가스 공급구에의 피처리 가스의 공급/비공급을 전환하는 개폐 댐퍼(V201, V202), 제2 흡착재(201A, 202A) 통과 후의 처리 가스 배출구의 배출/비배출을 전환하는 개폐 댐퍼(V201, V202)를 갖고 있다.
보냄 유로(L300)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부터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에 피처리 가스를 보내기 위한 유로이다. 보냄 유로(L300)에는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에 도입하는 제1 처리 가스의 온도·습도를 조제하기 위한 쿨러(C2) 및 히터(H2)가 마련되어 있다.
복귀 유로(L400)는,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로부터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 탈착 가스를 복귀시키기 위한 유로이다. 복귀 유로(L400)는 희석 가스 공급 유로(L170)와 접속되어 있다.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는 제2 처리조(201, 202)로부터 배출된 제2 처리 가스를 청정 가스 배출 유로(L220)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는 접속 유로(L230)와 히터(H3)를 갖고 있다.
접속 유로(L230)는 청정 가스 배출 유로(L220)와 제2 처리조(201, 202)를 접속하고 있고, 제2 처리 가스의 일부를 탈착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탈착에 외기를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와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의 처리조 전환에 필요한 댐퍼 제어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적절한 장치를 배치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의 처리 대상으로 되는 피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아크롤레인 등의 알데히드류, 메틸에틸케톤, 디아세틸,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1,4-디옥산, 2-메틸-1,3-디옥솔란, 1,3-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식초 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유기산, 페놀류,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등의 방향족 유기 화합물, 디에틸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염소 유기 화합물,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유기 화합물 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피처리 가스는, 이들을 1종 또는 다종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의 상세를, 이하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기 설명한 도 1에 도시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1)을 사용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시하였다. 제1 흡착재(101A, 102A, 103A)와,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의 제2 흡착재(201A, 202A)에는, 활성 탄소 섬유를 사용하였다. 제1 흡착재(101A, 102A, 103A)에 사용한 활성 탄소 섬유는 3.8Kg/조, 제2 흡착재(201A, 202A)에 사용한 활성 탄소 섬유는 3.7Kg/조였다. 피처리 가스의 일례로서, 유기 용제로서 디클로로메탄을 26000ppm 함유하는 25℃의 피처리 가스를 사용하였다. 풍량 5.3N㎥/min으로,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계 외로 배출하는 디클로로메탄의 설계 농도는 5ppm 이하로 하였다.
먼저,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에서 처리 가스를 풍량 5.3N㎥/min으로 제1 흡착 공정이 되어 있는 제1 처리조(101)에 송풍하였다. 계속하여 제1 처리조(101)로부터 배출되는 제1 흡착 공정 출구 가스는, 제2 흡착 입구 가스로서 제2 흡착 공정으로 되어 있는 제1 처리조(102)에 송풍하였다. 이때, 제2 흡착 입구 가스는 9.5N㎥/min, 45℃가 되도록 희석 가스 및 탈착 가스로 조절되었다. 제1 처리조(102)에서 처리된 후의 가스는 제1 처리 가스로서 배출하고, 보냄 유로(L300)를 통해서,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에 송풍하였다. 제1 처리조(101)로부터 배출되는 제1 흡착 공정 출구 가스의 디클로로메탄 농도가 100ppm에 달한 시점에서, 각 공정을 전환하였다.
제1 처리조(101)가 제1 흡착 공정 및 제1 처리조(102)가 제2 흡착 공정을 행하고 있는 동안, 제1 처리조(103)에는 수증기를 도입하여 탈착 공정을 행하였다. 이때, 흡착조 전환 직후 1분간은 백연을 포함하고 있고, 제1 처리 가스의 온도는 60℃, 습도 100%이며, 1분 경과 후의 제1 처리 가스 중의 디클로로메탄 농도는 100ppm, 가스 온도는 45℃, 습도 55%였다.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제1 처리 가스를 보내 유로(L300)로부터 제2 처리조(201)에 통기시켜 흡착 공정을 행하여, 제2 처리 가스(청정 가스)를 배출하였다. 또한, 제2 처리 가스의 일부를 L230으로부터 히터(H3)로 130℃로 과열하고, 제2 처리조(202)에 공급하여 탈착 가스를 배출하였다. 탈착 가스의 전량은 복귀 유로(L400)를 통하여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의 희석 가스 공급 유로(L170)에 공급하였다.
여기서,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의 각 제1 처리조의 공정 전환은,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의 각 제2 처리조의 공정 전환과 동시에 행하였다. 구체예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제1 처리조(101)에서의 탈착 공정으로부터 제1 흡착 공정에의 전환, 제1 처리조(102)에서의 제1 흡착 공정으로부터 제2 흡착 공정으로의 전환, 제1 처리조(103)에서의 제2 흡착 공정으로부터의 탈착 공정으로의 전환, 제2 처리조(201)에서의 흡착 공정으로부터 탈착 공정으로의 전환, 제2 처리조(202)에서의 탈착 공정으로부터 흡착 공정으로의 전환을 동시에 행하였다. 전환 때마다 동시에 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는, 디클로로메탄 제거율은 99%이며, 냉각수 유틸리티 사용량은 0, 수증기 사용량은 4kg/hr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피처리 가스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 및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에서 처리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100)의 각 제1 처리조의 공정 전환은,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의 흡착 공정 개시부터 7분 후로 하고,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는 흡착 공정 출구 가스의 디클로로메탄 농도가 5ppm에 달한 시점에서, 각 공정을 전환하도록 운전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과 동등한 성능, 즉 제거율 99%로 배출되는 출구 가스 농도 5ppm 이하로 되도록 백연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서, 백연을 50℃까지 냉각·제습할 필요가 있었다.
비교예 1에서는, 디클로로메탄 제거율은 99%이며, 냉수 유틸리티의 사용량은 0.3kg/hr, 냉각수 유틸리티 사용량은 5.3kg/hr이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있어서의 피처리 가스 중의 디클로로메탄 농도 및 제거율, 냉수 유틸리티의 사용량을 도 2에 도시한다.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대하여 각 처리조에서의 공정 전환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백연 유입에 의한 수분의 흡착에 의한 흡착 속도의 저하에 대하여 유기 용제가 포화하고 있지 않은 흡착재의 층 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백연의 냉각을 행하지 않고 백연의 영향에 의한 피처리 가스 중 유기 용제의 처리 가스에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제 농축 장치(200)의 흡착 공정의 개시 초기에 백연이 들어감으로써, 백연이 안정된 후의 피처리 가스의 통기에 의한 흡착재의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탈착에 필요한 에너지도 종래 기술 이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개시한 실시 형태, 각 변형예 및 실시예는 모두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 각 변형예 및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유효하며,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경·수정·치환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은, 유기 용제 회수 장치의 처리조와 유기 용제 농축 장치의 처리조의 공정 전환을 연동시킴으로써, 백연 방지를 위한 냉각 비용이나 탈착에 필요한 수증기량을 종래 시스템 이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산업계에 대단히 공헌할 수 있다.
1: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100: 유기 용제 회수 장치
101 내지 103: 제1 처리조
101A 내지 103A: 제1 흡착재
110: 공급 유로
120: 세퍼레이터
200: 유기 용제 농축 장치
201, 202: 제2 처리조
201A, 202A: 제2 흡착재
500: 배수 처리 설비
H1 내지 H3: 히터
C1, C2: 쿨러
L110: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
L121 내지 L123: 연결 유로
L130: 합류 유로
L131 내지 L133: 취출 유로
L140: 수증기 공급 유로
L151 내지 L153: 유기 용제 회수 유로
L160: 재공급 유로
L170: 희석 가스 공급 유로
L230: 접속 유로
L300: 보냄 유로
L400: 복귀 유로
V111 내지 V113, V121 내지 V123, V131 내지 V133, V141 내지 V143: 개폐 밸브
V101 내지 V106, V201 내지 V203: 개폐 댐퍼

Claims (5)

  1. 유기 용제를 흡탈착 가능한 제1 흡착재가 충전된 제1 처리조를 3개 이상과, 수증기를 도입하는 수증기 공급 유로와, 복수의 상기 제1 처리조를 직렬 다단 접속하는 연결 유로와, 유기 용제를 함유한 피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피처리 가스 공급 유로를 구비하고,
    모든 상기 제1 처리조 중, 직렬 다단 접속한 복수의 상기 제1 처리조에서 공급된 상기 피처리 가스에 함유된 유기 용제의 흡착 처리를 행하고 제1 처리 가스를 배출하고, 나머지의 제1 처리조에서 흡착된 유기 용제의 탈착 처리를 도입된 상기 수증기를 사용하여 행하고, 모든 상기 제1 처리조는 상기 흡착 처리와 상기 탈착 처리를 전환하여 연속하여 행하는 유기 용제 회수 장치와,
    유기 용제의 흡탈착 가능한 제2 흡착재가 충전된 제2 처리조와, 당해 제2 처리조에 상기 제1 처리 가스를 공급하는 보냄 유로를 구비하고, 당해 제1 처리 가스에 포함되는 유기 용제의 흡착 처리와 탈착 처리를 전환하여 연속하여 행하는 유기 용제 농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조와 상기 제2 처리조에 있어서의 탈착 처리와 흡착 처리의 전환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에 희석 가스를 공급하는 희석 가스 공급 유로와,
    상기 제2 처리조에서의 탈착 처리에 의해 배출된 탈착 가스를 상기 희석 가스 공급 유로로 되돌리는 복귀 유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조에서의 흡착 처리에 의해 배출된 제2 처리 가스의 일부를 상기 제2 처리조에서의 탈착 처리용으로 도입하는 접속 유로와, 당해 접속 유로에 마련된 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재는, 입상 활성탄, 활성 탄소 섬유, 또는 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재의 탈착에 가열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KR1020237011453A 2020-09-11 2021-09-03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KR20230066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52927 2020-09-11
JP2020152927 2020-09-11
PCT/JP2021/032561 WO2022054733A1 (ja) 2020-09-11 2021-09-03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385A true KR20230066385A (ko) 2023-05-15

Family

ID=8063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453A KR20230066385A (ko) 2020-09-11 2021-09-03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30587A1 (ko)
EP (1) EP4212231A1 (ko)
JP (1) JPWO2022054733A1 (ko)
KR (1) KR20230066385A (ko)
CN (1) CN116322942A (ko)
TW (1) TW202216273A (ko)
WO (1) WO2022054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0214A1 (ja) * 2022-03-31 2023-10-05 東洋紡エムシー株式会社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7435934B1 (ja) 2022-07-20 2024-02-21 東洋紡エムシー株式会社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7435933B1 (ja) 2022-07-20 2024-02-21 東洋紡エムシー株式会社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7863A (ja) 2013-01-31 2014-08-21 Toyobo Co Ltd ガス処理装置およびガス処理方法
JP2014240052A (ja) 2013-06-12 2014-12-25 東洋紡株式会社 有機溶剤含有ガス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8877A (ja) * 1982-03-31 1983-10-05 日本酸素株式会社 ガス精製方法
JP2006083311A (ja) * 2004-09-17 2006-03-30 Ebara Corp 消化ガスの精製装置及びその方法
JP4875473B2 (ja) * 2006-11-27 2012-02-15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ガス化ガスの浄化方法
JP5643680B2 (ja) * 2011-03-04 2014-12-17 東邦化工建設株式会社 有機溶剤の除去方法及び除去装置
JP2015000381A (ja) * 2013-06-17 2015-01-05 東洋紡株式会社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WO2018101255A1 (ja) * 2016-12-01 2018-06-07 東洋紡株式会社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及び有機溶剤回収方法
KR20210118897A (ko) * 2019-01-31 2021-10-0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7863A (ja) 2013-01-31 2014-08-21 Toyobo Co Ltd ガス処理装置およびガス処理方法
JP2014240052A (ja) 2013-06-12 2014-12-25 東洋紡株式会社 有機溶剤含有ガス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30587A1 (en) 2023-10-19
EP4212231A1 (en) 2023-07-19
CN116322942A (zh) 2023-06-23
WO2022054733A1 (ja) 2022-03-17
JPWO2022054733A1 (ko) 2022-03-17
TW202216273A (zh) 202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6385A (ko) 유기 용제 회수 시스템
KR101173011B1 (ko) 농축 및 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JP5588163B2 (ja) 溶剤回収装置
JP7380571B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2011031159A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EP4082649A1 (en) Organic solvent recovery system
KR20210024086A (ko) 가열 및 냉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잠수함을 위한 재생 co₂흡수기
JP6946730B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6880602B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US4436534A (en) Method for reducing desorbent consumption in recovery systems
WO2024070943A1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3069578B2 (ja) 溶剤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5581550B2 (ja) 吸脱着式濃縮装置
JP2011092870A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7435934B1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WO2023190214A1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WO2022270380A1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JP7435367B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WO2024128082A1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および有機溶剤処理システム
JP7367900B1 (ja) ガス処理装置及びガス処理方法
JP7494838B2 (ja) 有機溶剤回収システム
WO1995022393A1 (en) Gas desiccation and contaminant disposal method and apparatus
JP2971127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JP2021104505A5 (ko)
JP2006026577A (ja) 空気清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