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012A -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012A
KR20230066012A KR1020237010434A KR20237010434A KR20230066012A KR 20230066012 A KR20230066012 A KR 20230066012A KR 1020237010434 A KR1020237010434 A KR 1020237010434A KR 20237010434 A KR20237010434 A KR 20237010434A KR 20230066012 A KR20230066012 A KR 20230066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supernatant
stem cells
cells
mesenchymal stem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타로 요시무라
타카코 시라도
나츠미 사이토
윤얀 우
Original Assignee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텔레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텔레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각코우호우진 지치 이카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3006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7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 Adipose stromal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12P21/02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having a known sequence of two or more amino acids, e.g. glutathi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00Preparation of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except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6Lact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유효성과 높은 안전성을 갖는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 HGF, VEGF, PDGF, E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에 의한 대사 노폐물인 젖산 및 암모니아가 제거된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재생의료(regenerative medicine)에 유용한 간엽계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progenitor cell)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detoxified secretome extract) 및, 상기 정화 농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는 생체 중에서도 배양 환경에서도 그 세포 자신이나 주위 세포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생리활성 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체성 줄기세포(somatic stem cell) 및/또는 전구세포(progenitor ell)에서는 그 세포에 특이적인 생리활성 물질(사이토카인, 증식인자, 혈관신생인자, 엑소좀, 효소, 세포외 메트릭스 등)이 방출돼 장기 재생과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줄기세포는 골수 지방 피부 등 온몸의 다양한 곳에 존재한다. 피하 지방조직에 존재하는 줄기세포(지방유래 간엽계 줄기세포 Adipose-derived stromal/stem cells, ASC)는 골수유래 줄기세포와 거의 비슷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방유래 간엽계 줄기세포는 골수유래 간엽계 줄기세포에 비해 조직당 함유량이 많다는 점, 조직으로부터 단리, 증식, 보존의 간편한 방법이 확립되어 있다는 점, 생산하는 각종 인자(간세포 증식인자나 혈관내피세포 증식인자 등)의 양이 많다는 점, 면역 억제능이 높다는 점, 채취 시 환자에게 부담이 적고 채취 후 환자의 장기적인 건강이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 줄기세포 투여에 따른 치료에 대해서는 세포 자체가 생착·분화되어 기능하는 것보다는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액성인자(humoral factor) 효능의 영향이 크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줄기세포 배양 상등액은 조직 복원이나 미용 등의 목적으로 주사제, 외용제, 화장품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허문헌 1에는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의 내표면에 간엽계 줄기세포를 접촉시키는 공정, 중공사막의 내강 및 외강에 세포 배양액을 관류하고 간엽계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공정, 및 중공사막의 내강에 관류한 세포배양액의 회수공정을 포함하는 수정체 경화(phacosclerosis) 방지제 또는 치료제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수용하는 배양용기와, 배양용기로부터 인출되는 세포 현탁액에 대해 막분리 처리를 실시하는 제1 필터막을 갖는 제1 필터부와, 제1 필터막에 의해 저지된 성분을 배양용기로 되돌리는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세포 현탁액의 상기 제1 필터막을 투과한 성분에 대해 막분리 처리를 실시하는 제2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막을 투과한 성분을 배양용기로 되돌리는 제2 순환유로와, 상기 제2 필터막에 의해 저지된 성분을 포함하는 세포를 회수하는 채널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장치(cell culture device)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19-172607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공개 WO 2018/159847호 공보
현재 임상에서 이용되는 배양 상등액은 세포 배양 후 상등액을 배양기에서 회수하여 상등액에 혼입된 줄기세포를 필요에 따라 원심조작이나 필터로 제거처리한 원액 내지 그의 희석액이다. 이러한 배양 상등액은 간세포 증식인자(hepatocellular growth factor, HGF),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혈관내피세포 증식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등 생리활성 물질 농도가 낮고 세포가 방출한 대사 노폐물(유산, 암모니아 등)이 포함되어 있어 효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대사 노폐물을 함유한 배양 상등액을 치료에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조직이나 세포에 위해를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유효성과 높은 안전성을 갖는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수행하였다. 우선,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전구세포의 배양 상등액 중에 생산되는 생리활성 물질의 양은 산소농도, 환경 스트레스, 배양시 세포밀도(confluency), 배양기간, 배지조성, 중력, 기압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배양조건에 주목하여 최적의 배양 프로토콜을 확립함으로써 고기능의 배양 상등액 원액을 획득하였다. 한편, 배양 상등액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에 대해서는 적절한 프로토콜에 의한 정화공정에 의해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정화공정에 따르면, 유해물질 제거와 더불어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농축을 실현할 수 있음이 실증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발명이 제공된다.
1.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 HGF, VEGF, PDGF, EGF, K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에 의한 대사 노폐물인 젖산 및 암모니아가 제거된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detoxified secretome extract).
2. 재생의료용 치료제, 면역억제제, 항염증제 또는 항섬유화제로 사용하기 위한, 1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
3.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 HGF, VEGF, PDGF, EGF, KGF(FGF-7), PDGFR, TGFα 및 TGFβ 모두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
4. 농축 전 배양 상등액과 비교하여 IGFBP, HGF, VEGF, PDGF, E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농도가 1.2배 이상 농축된, 1 내지 3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
5.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전구세포가 지방유래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 혈관내피 전구세포인,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
6. 암모니아 농도가 20μg/dL 이하이고, HGF 농도가 50,000pg/mL 이상인,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
7.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를 배양액 내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 상등액을 수득하는 배양 상등액 수득공정;
상기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유용성분을 농축하는 농축공정; 및
상기 농축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는 정화 공정
을 포함하는,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의 제조방법.
8. 배양 상등액 수득 공정에서 증식기(prolifration phase) 또는 콘플루언트기(confluent phase) 상태에 있는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 배양물로부터 배양 상등액을 수득하는, 7에 기재된 방법.
9. 정화 공정에서 제거되는 대사 노폐물이 젖산 및 암모니아인, 7 또는 8에 기재된 방법.
10. 정화 공정을 한외 여과에 의해 실시하는, 7에서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1. 한외 여과를 분획 분자량 2kDa 내지 30kDa의 여과막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10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회수법에 의해 회수된 배양 상등액과 비교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세포의 증식능을 약 2배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하고 또한 높은 재생치료 효과를 갖는 배양 상등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물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세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타가 유래 세포(allogeneic cell)로부터의 제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ASC(지방유래 간엽계 줄기세포)의 세포증식 활성에 미치는 저해물질의 영향(Mean±SD, n=4, WST8 assay)을 나타낸다.
도 2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CM으로부터의 젖산 배제효과(Mean±SD, n=3)를 나타낸다.
도 3은 세포증식 속도를 가속시키는 산소배양 조건의 검토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ASC 파종 밀도(ASC-deeding density)와 배양 상등액으로 분비되는 HGF량(n=1)을 나타낸다.
도 5는 ASC의 컨플루엔시와 HGF량을 나타낸다.
도 6은 CM 중에 분비된 증식인자의 종류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 5에서 배양 상등액의 회수와 배지교환 스케줄을 나타낸다.
도 8은 산소농도, 혈청(10% FBS) 유무에 의한 HGF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중의 HGF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중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이 hASCs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세포증식 실험)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액에 의한 사람 피부 섬유아 세포, 정상 사람 표피각화 세포증식에의 영향(세포증식 실험)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배양 상등액,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액이 혈관내피세포 관강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내피세포 관강형성 시험, endothelial cell tube formation tes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2형 당뇨병 마우스의 상처 치유 촉진효과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ASC에서 혈소판 용해액(platelet lysate)에 의한 세포증식능, HGF 생산능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ASC에서 각종 증식인자가 HGF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액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본 발명은 체외에서 배양한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전구세포의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고, 정화 농축함으로써 얻어지는 정화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의 배양 상등액에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엑소좀, 혈관신생인자, 효소 등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생리활성 물질은 손상·노화로 손상된 세포의 기능회복 및 조직·장기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재생의료로서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IGFBP-1, IGFBP-2, IGFBP-3, IGFBP-4, IGFBP-6 등), HGF, VEGF(VEGF-A 등), PDGF(PDGF-AA, PDGF-AB 등), EGF, KGF(F-7), PDGF(PDGF-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그 줄기세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IGFBP, HGF, VEGF, PDGF, E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에 있어서는 농축전 배양 상등액과 비교하여 IGFBP, HGF, VEGF, PDGF, EGF, K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것)의 농도가 1.2배 이상 농축된 것이 바람직하며, 농축배율은 1.5배 이상, 3배 이상, 10배 이상, 15배 이상, 20배 이상 또는 30배 이상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에 있어서는 암모니아 농도가 20μg/d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μg/dL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μg/dL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hGF 농도는 50,000pg/mL 이상인 것이 좋고, 5만pg/mL 이상 250만pg/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hGF 농도는 10만pg/mL 이상도 좋고, 20만pg/mL 이상도 무방하다.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로는 지방유래 줄기세포, 골수유래 줄기세포,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유래 줄기세포로는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지방에서 유래하는 다변화능(pluripotency)을 가진 세포로 지방세포(adipocyte), 골아세포(osteoblast), 연골아세포(chondroblast), 근섬유아세포(myfibroblast), 골세포(osteocyte), 근육세포(muscle cell) 또는 신경초세포(nerve sheath cell) 등으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이다. 지방유래 줄기세포 비율은 CD31 음성 및 CD90 양성 세포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나아가 CD45 음성, CD44 양성, CD29 양성, CD13 양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혈관 내피세포란 혈관의 내표면을 구성하는 세포로 혈액이 순환하는 내강(lumen)과 맞닿아 있는 세포로서, 혈관 내피세포 및 혈관 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혈관 내피(전구)세포는 분열 증식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혈관 내피세포는 CD45 음성 및 CD31 양성을 지표로 동정할 수 있으며, CD146 양성 및 CD144 양성으로도 동정할 수 있다.
[2]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를 배양액 내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 상등액을 얻는 배양 상등액 수득공정; 상기 배양 상등액을 농축하는 농축공정; 및, 상기 농축된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는 정화공정을 포함하는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의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유래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는 지방조직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지방조직은 예를 들어 사람 또는 사람 이외의 포유류 또는 조류 등으로부터 외과적 절제(surgical resection)로써 얻을 수 있다. 사람 이외의 포유류로는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염소, 양, 원숭이, 페럿(ferret), 토끼, 마우스, 랫트, 저빌생쥐(gerbil), 기니피그, 햄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조류로는 닭 등을 들 수 있다. 외과적 절제 시 국소 마취를 해도 좋다. 지방조직은 캐뉼라(cannula)를 복부, 대퇴부, 엉덩이 또는 전신의 피하 지방조직에 삽관함으로써 흡인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얻을 수 있는 지방조직의 양은 예를 들어 0.1g 내지 1,000g이며, 바람직하게는 1g 내지 500g, 1g 내지 100g, 2g 내지 50g, 또는 2g 내지 40g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얻어진 지방조직은 육안으로 종양성 병변이나 오염이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조직은 HBV, HCV, HIV, HTLV-1 및 TPHA/RPR에 대하여 모두 음성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지방조직에서 마이코플라즈마가 128배 미만(PA법), 단순 헤르페스가 320배 미만(CF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은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인지방 조직을 정치하고, 오일층, 지방층, 수층을 분리한 후에 오일층 및 수층을 제거하고 지방층만을 회수할 수 있다. 얻어진 지방층은 다음으로 효소처리에 제공될 수 있다. 혹은 세편화된 지방조직을 그대로 배양접시 등에 접착시켜 지방유래 세포증식, 접착 배양을 촉진할 수도 있다.
효소처리 전 지방 조직은 효소처리 전에 실온 또는 37℃ 물 중탕에서 5분 내지 15분간 데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처리는 튜브 내 지방층에 적당량의 효소 반응액을 첨가하고 항온 진탕기에 튜브를 고정하여 진탕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효소처리 온도는 효소반응이 진행되는 한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는 25℃ 내지 5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이며, 예를 들면 37℃이다. 진탕은 왕복진탕(reciprocating shaking)이든 선회진탕(orbital shaking)이든 무방하고, 왕복진탕의 경우 왕복진탕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0rpm 내지 300rpm이고, 바람직하게는 50rpm 내지 200rpm이며, 예를 들어 120rpm이다. 반응시간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는 10분 내지 3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15분에서 1시간이며, 예를 들어 30분간이다.
효소로서는 적어도 콜라게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라게나제란 동물조직세포, 염증세포, 종양세포 또는 Clostridium histolyticum 등의 박테리아 등이 생산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인공적으로 생산되는 재조합 단백질로서, I형, II형, III형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여기에 중성 프로테아제, 서모리신, 트립신, 디스파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효소처리액에서 콜라게나제의 최종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이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2%이다.
효소처리에 사용되는 효소처리액은 콜라게나제 외에 DNase I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DNaseI를 사용할 경우 효소처리액에서 DNaseI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U/m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0U/mL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U/mL이다.
효소처리에 사용하는 효소처리액은 CaCl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소처리액에 있어서 CaCl2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mM 내지 10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5m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4mM이고, 예를 들어 3mM이다.
효소처리에 사용하는 효소처리액은 완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층과 효소액의 혼합물을 효소반응에 적합한 온도(예를 들어, 30℃ 내지4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에서 원심분리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 후 다시 800G로 원심함으로써 위에서 오일층, 지방층, 수층, 침전층(세포층)의 4개층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오일층, 지방층, 수층을 제거함으로써 침전층(세포층)을 얻을 수 있다. 침전층을 적당한 생리식염수에 현탁함으로써 지방유래 세포의 현탁액(간질세포 혈관군, Stromal vascular fraction, SVF)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전구세포를 배양액 중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배양액(배지)은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배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EGM-2(Lonza), αMEM, 둘베코 개변 이글 배지(DMEM), 둘베코 개변 이글 배지/햄 F-12 혼합 배지(DMEM/F12), RPMI 164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배양액에 대해서는 통상 혈청, 각종 비타민, 각종 항생제, 각종 호르몬, 각종 증식인자 등 통상 세포 배양에 적용 가능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배지로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DMEM/F12 또는 EGM-2, EGM-2MV(모두 Lonz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배양은 플라스크 등의 배양용기를 이용하여 5% CO2, 37℃의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지 교환은 예를 들어 이틀 간격으로 하면 된다. 산소농도는 1 내지 21%로 배양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의 산소농도로 배양하였다.
배양기간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일 내지 14일간 배양할 수 있다. 16일간 배양한 뒤 세포를 계대해 예를 들어 36일간 배양을 다시 해도 된다. 계대 횟수 및 배양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세포 현탁액의 파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례로는 5.1×104개의 생존 유핵세포/cm2, 배지량은 0.25mL/cm2 정도로 실시 가능하다. 계대배양이 안정적으로 가능해진 단계 이후에는 한 예로는 4,000개의 생존 유핵세포/cm2, 배지량은 0.25mL/cm2로 할 수 있다.
배양 상등액 수득공정에서는 증식기 또는 콘플루언트기 상태에 있는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전구세포 배양물로부터 배양 상등액을 수득할 수 있다.
배양 상등액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얻어진 배양액을 원심처리하여 적당한 공경(pore diameter)의 필터(또는 스트레이너(strainer))를 통과시킴으로써 배양 상등액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원심처리는 예를 들어 300 내지 1,200g으로 5 내지 20분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양 상등액의 유용 함유물질을 농축하는 농축공정, 및 농축한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는 정화공정을 수행한다. 농축 공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외 여과, 겔여과, 투석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화 공정에서는 희석한 농축 배양 상등액을 동일한 여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대사 노폐물인 젖산 및 암모니아를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사 노폐물을 일정 농도 이하로 줄임으로써 배양 상등액을 무해화(detoxified)할 수 있다.
농축 및 정화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한외 여과(ultrfiltration)로 수행될 수 있다.
한외 여과는 분획 분자량 2kDa 내지 30kDa의 여과막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au, 여과막의 분획 분자량은 2kDa 내지 20kDa, 2kDa 내지 10kDa, 2kDa 내지 5kDa 또는 2kDa 내지 4kDa일 수 있다.
배양 상등액의 농축 배율은 이식 시 액체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배,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배이다. 농축을 통해 더 큰 치유 촉진 효과와 면역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농축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한계 없이 더욱 농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농축(concentration)과 정화(purification)를 각각의 공정으로 수행하였다는 점에 있다. 배양 상등액을 플라스크로부터 회수하고 배양 상등액 중에 혼입한 세포를 원심분리(centrification)와 필터(filter, 예를 들면, 0.22μm PES 멸균 필터)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세포 제거 배양 상등액을 얻는다. 세포를 제거한 배양 상등액을 한외 여과막을 통해 농축함으로써 농축한 세포를 제거한 배양 상등액(실시예에서는 "CCM-pre"라 함)이 한외 여과 필터로 회수된다(농축공정). 이어서 한외 여과 필터에 신선한 기초배지를 최대 적재량까지 첨가하고, 다시 한외 여과한다(정화공정). 이로써. 농축액이 저분자량인 경우 기초배지의 성분으로 거의 대체되기 때문에(즉, 암모니아나 젖산 등의 저분자 대사산물이 신선한 기초배지로 치환되어 배제된다), 정화농축 세포제거 배양 상등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농축공정, 정화공정 모두 여러 번 반복해도 된다. 또한, 배지에 대해서는 적절히 임의의 용매(예를 들면, PBS, 링겔액, 증류수 등)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에는 세포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 HGF, VEGF, PDGF, K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에 의한 대사 노폐물인 젖산 및 암모니아는 제거된다.
[3] 치료 또는 미용을 위한 조성물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생체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 변성, 장애나 기능 부전의 치료나 미용을 목적으로 한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재생 의료용 치료제, 면역 억제제, 항염증제 또는 항섬유화제 등의 의약 조성물 또는 미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혈관신생, 조직재생 및 면역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피부에 있어서는, 주름·얼룩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미용이나 회춘의 효과, 또한, ED나 얇은 머리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이 가진 면역억제 효과는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 치료, 류마티스 관절염을 비롯한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치료 혹은 중증 코로나19에서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 치료 등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
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물을 이식함으로써 세포이식에 따른 면역거절, GVHD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투여 시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은 보존이 가능하며 액체 상태에서 동결 보존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 분말품으로서 열화되지 않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아울러, 세포이식에서는 자가이식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정상부위에서 침습적인 방법으로 채취해야 하는데 반하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이식에는 그럴 필요가 없다. 또한,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이식에서는 대량 투여가 가능하다. 아울러, 정화 농축한 배양 상등액을 2 내지 3종류(예를 들어, 지방줄기세포 유래와 혈관내피세포 유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난치성 피부궤양 투여로 치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PRP(다혈소판 혈장)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 줄기세포(stem cell)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장기나 조직을 효율적으로 재생시키고 이식처에 생착시킬 수 있다. 특히, 혈관신생 및 조직의 재생 및 리모델링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지방조직(adipose tissue)과의 조합, 지방조직 유래 간질 혈관세포군(SVF)과의 조합, 지방 줄기세포나 혈관내피(전구)세포와의 조합 등에 의해 유방확대, 유방암 절제 후 유방재건, 눈가나 뺨주름이나 탄력저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한 이식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골아세포(osteoblast)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골절의 치료, 작은 키·골변형·다리 길이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골연장술 등을 목적으로 한 이식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연골세포(chondrocyte)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관절연골의 퇴화·변성·변형 기타 이상과 관련된 질환(예를 들어, 퇴행성 관절증, 류머티즘 관절염, 어깨관절염, 턱관절증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이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농축물은 평활근 세포(smooth muscle cell)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평활근 세포의 상해나 이상에 기인하는 질환(예를 들면, 배뇨장애(뇨누출(incontinence), 빈뇨(frequent urination), 요폐(urinary retention) 등), 평활근종(leiomyoma), 평활근육종(leiomysarcoma)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이식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될 수 있는 매체로 사용되는 수액 제제, 주사용 증류수 또는 배양액으로 희석한 것이라도 좋다. 수액 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생리식염액, 5% 포도당액, 링겔액, 유산 링겔액, 초산 링겔액, 개시액(1호액), 탈수 보급액(2호액), 유지 수액(3호액), 수술 후 회복액(4호액) 등을 들 수 있다. 희석할 때의 세포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103 내지 1×107개/mL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존 안정성, 무균성, 등장성, 흡수성 및/또는 점성을 증가하기 위한 여러 첨가제, 예를 들어 유화제, 분산제, 완충제, 보존제, 습윤제, 항균제, 항산화제, 킬레이트제, 증점제, 겔화제, pH 조절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HES, 덱스트란, 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량은 투여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환자 또는 피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정화 농축물의 1회당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원료가 되는 정화농축 전 배양 상등액의 부피로 표현하면 0.01mL/kg 체중 이상, 0.1mL/kg 체중 이상 또는 1mL/kg 체중 이상이다. 또한, 정화 농축물의 1회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mL/kg 체중 이하 또는 5mL/kg 체중 이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피하주사, 림프절내 주사, 정맥내 주사, 동맥내 주사, 복강내 주사, 흉강내 주사 또는 국소에의 직접 주사도 좋고, 카테터 등에 의해 국소에 직접 이식하는 것 등도 무방하다. 아울러, 연고나 로션으로서의 외용 도포(external application)나 로션으로서의 스프레이 도포(spray coating), 내복약(internal medicine)으로서 투여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 대상은 전형적으로 사람이지만 다른 동물일 수 있다.다른 동물로는 포유류 또는 조류 등을 들 수 있다. 포유류로는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염소, 양, 원숭이, 페럿(ferret), 토끼, 마우스, 랫트, 저빌생쥐(gerbil), 기니피그, 햄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조류로는 닭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물
#1: HBSS without Ca++,without Mg++ (Gibco, #14175-095)
#2: Clostridium histolyticum 유래의 조 정제(roughly purified) 콜라게나제 (후지필름 화광순약, #032-22364)
#3: 조 정제 DNase1 (Worthington, #LS002139)
#4: 원심분리관 (CORNING, #431123)
#5: 스윙식 탁상 원심분리기 (KUBOTA, #S700T)
#6: 항온 진탕기 (야마토과학, #BT100)
#7: 전자 저울
#8 : 스포이트 실리콘 고무 (애즈원, #6-356-04)
#9: 셀 스트레이너 (CORNING, 100μm; #352360, 40μm; #3552340)
#10: 셀 카운터 (Logos Biosystems, #L30001)
#11: 염화칼슘 (후지필름 화광순약, #037-24031)
#12: 실린더 필터 0.22μm 지름 (밀리포어, #2LGV-33RS)
#13: 셀뱅커(Cellbanker) 1 (타카라바이오, #CD011)
#14: 세포배양 디쉬 (CORNING, #353025)
#15 : DMEM / Ham's F-12 (후지필름 와코 순약, #048-29785)
#16: Fetal Bovine Serum(FBS)
#17: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x) (후지필름 화광순약, #168-23191)
#18: CO2 인큐베이터 (Panasonic, #MCO-170AICUVH-PJ)
#19: TrypLE Express (Gibco, #12604-021)
#20: L-(+)-유산 (Sigma-Aldrich, #L6402)
#21: 10% 암모니아수 (후지필름화광순약, #013-17505)
#22: 96well 플레이트 (Perkin Elmer, Spectra Plate-96, #6005650)
#23: Cell Counting Kit-8 (Dojindo, #CK04)
#24: 플레이트 리더 (Perkin Elmer, ARVOMX)
#25: 한외 여과막 (Milipore, Amicon Ultra-1510kDa, #UFC901024)
#26: 유산 정량 키트 (Abbott, GC4+)
#27: 저산소 CO2 인큐베이터 (와켄비텍)
#28: Human HGF ELISA kit(R&D systems, Quantikine 96 well plate #DHG00B)
#29: Growth factor antibody array (Raybio, #AAH-GF-1)
#30: 루미노 이미지 분석기 (후지필름, LAS-3000mini)
※ 1: 1M 염화칼슘 용액의 제조
염화칼슘(#11) 11.1g을 MiliQ 물 100mL로 메스업하여 가압멸균(121℃, 20분)하였다.
※ 2: 1×105 units/mL DNase1 용액의 제조
DNase1(#2)을 1×105 units/mL 농도가 되도록 MiliQ 물로 용해하고 주사기 필터(#12)로 멸균, 멸균 튜브에 분사하여 -30℃에서 저장하였다.
※ 3: 효소 반응액의 제조
A액
 0.2%(w/v) 콜라게나제(#2) 0.264g
 3mM 염화칼슘 [1M 스톡액(※1)] 0.396mL
 HBSS(#1) 65.6mL
 주사기 필터 0.22μm 직경(#12) 등의 필터 유닛으로 여과 멸균하였다.
효소 반응액
 A액 60mL
 1000units/mL DNase1 [1×105 units/mL 스톡액(※2)] 1.2mL
 HBSS(#1) 58.8mL
 효소 반응액은 사용 직전에 제조하였다.
 또한, 지방층과의 반응 시에는 효소 반응액과 지방층을 등량으로 혼합하기 때문에, 효소 반응액의 각 농도는 절반으로 반응하였다.
※ 4 : 신선배지의 제조
 DMEM Ham's F-12(#15)500mL
 FBS (#16) 55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7) 5mL
※ 5 : 신선배지 (FBS 미포함)의 제조
 DMEM Ham's F-12 (#15) 500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7) 5mL
SVF의 제조
흡인(sucked) 지방조직을 정치하여, 오일층, 지방층, 수층으로 분리한 다음,오일층 및 수층을 제거하고 지방층을 얻었다. 빈 원심분리관(#4) 무게를 칭량하였다. 원심분리관의 사이즈는 지방층 50g에 대해서 500mL용을 이용하였다. 지방층을 원심분리관으로 옮겨 칭량하고, (원심분리관+지방층)-원심분리관 중량으로부터 지방층의 중량을 산출하였다. 효소 반응액(※3)을 지방층과 등량 첨가하였다. 항온 진탕기(#6)에 원심분리관을 고정하고, 37℃, 120rpm, 30분간 반응시켰다. 튜브를 항온 진탕기에서 꺼내 원심분리기(#5)로 800G,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에는 위에서 오일층, 지방층, 수층, 침전층(세포층)의 4개 층으로 분리되므로, 오일층, 지방층, 수층은 피펫으로 제거하고 침전층을 수득허였다. 지방층 50g에 대해 90mL의 HBSS(#1)가 되도록 침전층에 HBSS를 첨가하고, 피펫으로 부드럽게 현탁하여 세정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셀 스트레이너 100㎛와 40㎛를 통과시켜 조직편을 제거하였다. 원심분리기(#5)로 8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흡인하여 HBSS(#1) 45mL로 재현탁하고, 7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흡인하여 HBSS(#1)에서 지방층 5g에 대해 1mL의 HBSS로 재현탁하였다. 생존 유핵세포수(viable nucleated cell)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SVF는 동결 보존액 Cellbanker 1(#13)에 현탁하여 극저온으로 보존하였다.
ASC의 계대배양
간질 혈관세포군(stromal vascular solution, SVF)은 동결보존액으로부터의 기면(waking up) 또는 신선(fresh) 상태 모두 5.1x104개의 생존 유핵세포/0.25mL 배지(※4)/cm2를 배양 플라스크(#14)에 파종하고, CO2 인큐베이터(#18)(37℃, 5% CO2, Air)에서 배양하였다. 다음날 37℃의 HBSS(#1)에서 3회 세정하여 혈구나 잔존조직편을 제거하고 신선배지(※4)를 첨가하였으며, 3일에 한 번 신선배지로 교환하였다. 7일째 세포(주로 ASC) 회수를 위하여 세포를 분산시켰다. 37℃의 HBS(#1)에서 세척 후 37℃의 1×Tryple express(#19)(1mL Tryple express/15cm2) 첨가하고, 37℃, 5% CO2, 5분간 세포를 분산시켰다. 신선배지(※4)에서 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분리(300G, 5분, 4℃)하여 세포 펠릿을 얻은 다음,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세포(주로 ASC)는 4,000개의 생존 유핵세포/0.25mL 배지(※4)/cm2를 배양 플라스크(#14)에 파종하고, CO2 인큐베이터(#18)(37℃, 5% CO2, Air)에서 배양 하면서, 3일에 한 번 신선배지로 교환하며 7일간 배양하였다.
CM 내 저해물질
CM 중에는 조직 재생 및 세포 배양에 대한 유효성이 기대되는 세포 유래 생리활성 물질이 방출되지만, 세포의 생존·증식을 저해하는 대사산물도 세포에서 방출되며, 통상 유효성분과 저해물질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대사산물의 대표로 신선배지에 순수 젖산 또는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ASC 증식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순서-1
상술한 실시예 1의 SVF의 제조 및 실시예 2의 ASC 계대배양에 의해 ASC를 passage number(P)=2까지 배양하여 ASC의 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생존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96well 플레이트(#22)에 4,000개 또는 1,000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100μL 배지(※4)/well로 파종한 것을 2개 준비하고, CO2 인큐베이터(#18)(37℃, 5% CO2, Air)에서 배양하였다. 신선배지(fresh medium, ※4), 2, 10, 50mM의 젖산(#20)을 포함하는 신선배지(※4), 2, 10, 50mM의 암모니아(#21)를 포함하는 신선배지(※4)를 준비하여 22시간 후 배지 교환하였다. 배양 개시로부터 3일 후(배지 교환으로부터 2일 후)에 cell counting kit(#23)에 의해 세포증식 활성을 확인하였다. 플레이트 리더기(#24)로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신선배지 배양과 비교하여 신선배지에 젖산 또는 암모니아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세포증식 활성 저해가 일어났다. 젖산에서는 50mM 젖산-신선배지에서 배양 저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암모니아에서는 2mM 암모니아-신선배지에서 ASC 배양 저해가 나타났고, 50mM 암모니아-신선배지에서 배양 저해가 현저하게 일어났다. 컨플루언트기에 회수한 배양 상등액(CM)의 암모니아 농도는 1.428M NH4+(2,000μg/dL) 정도였다. 따라서, CM에 포함된 ASC가 분비하는 암모니아 농도는 세포증식을 저해하는 수준을 포함하고 있어, 통상 CM에서는 생리활성 물질(유익)과 대사산물(유해)을 동시에 포함하는 특성이 있다.
순서-2
상술한 실시예 1의 SVF의 제조 및 실시예 2의 ASC 계대배양에 의해 ASC를 passage number(P)=2까지 배양하여 ASC의 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생존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세포 배양 디쉬(#14)에 4,000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0.2mL 배지(※4)/cm2로 파종하였다. 이하의 3조건의 CM을 회수하였다.
(조건 1) 60-70% 컨플루엔시 상태의 신선배지(※4)로 교환하여 72시간 배양한 CM,
(조건 2) 90-100% 컨플루엔시 상태의 신선배지(※4)로 교환하여 72시간 배양한 CM,
(조건 3) 90-100% 컨플루엔시 상태의 신선배지(FBS 미포함)(※5)로 교환하여 72시간 배양한 CM.
회수한 CM을 원심분리관에 신속하게 회수하고 스윙식 원심분리기로 8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CM중의 세포와 데브리스를 침전시켜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등액을 한외 여과막(#25)으로 농축해 CCM-pre를 얻었다. 한외 여과막 상에 농축한 CCM-pre에 신선배지(FBS 미포함)(※5)를 적재 최대량까지 첨가(희석)하고 다시 농축하였다. 이상에 의해 3배양 조건의 CM 각각에 대해서 CM, 신선배지로의 치환 농축(정화)된 CCM, CM을 한외 여과하였을 때의 플로우 스루가 되는 폐액 waste of CM을 얻었다. 젖산 정량 키트(#26)로 각 배지의 젖산 정량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측정 키트의 성질에 의해, 0.3 mM 젖산 이하에서는 0.30이라고 표시되어 낮은 값이지만 실측치는 측정할 수 없었다. 측정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농축 및 신선배지로의 치환 농축에 의해 유익한 생리활성 물질을 농축함과 동시에 유해한 저분자 대사산물을 배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순서-3
상술한 실시예 1의 SVF의 제조 및 실시예 2의 ASC 계대배양에 의해 ASC를 passage number(P)=2까지 배양하여 ASC의 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생존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96well 플레이트(#22)에 4,000개 또는 1,000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100μL 배지(※4)/well로 파종하였다. 저산소 CO2 인큐베이터(#27)(37℃, 5% CO2) 21% 또는 6% 또는 1% O2로 배양하였다. 배양 3일차 및 배양 6일차에서 cell counting kit(#23)에 의해 세포증식 활성을 확인하였다. 플레이트 리더기(#24)로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산소환경은 저산소(6% 및 1%)가 21% O2보다 증식효율이 좋았고 특히 6% O2가 좋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37℃, 5% CO2, 6% O2의 배양조건에서 CM을 제조하기로 하였다.
CM의 제조
유효성분이 많이 분비된 CM을 얻기 위하여, 생리환경에 근접한 산소농도(6% O2)로 배양하면서, 최적의 세포파종밀도(cell seeding density), 배지량(medium amount), 배양기간(culture period)을 검토하였다.
순서-1
상술한 실시예 1의 SVF의 제조 및 실시예 2의 ASC 계대배양에 의해 ASC를 passage number(P)=1까지 배양(단, 배양산소농도는 6%로 변경)하여 ASC의 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생존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세포 배양 디쉬(#14)에 이하의 2조건으로 세포를 파종하였다.
(조건 1) 2×104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0.2mL 배지(※4)/cm2(파종 다음날 ASC가 90% 컨플루엔시가 되는 파종밀도),
(조건 2) 3.5×104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0.2mL 배지(※4)/cm2(파종 다음날 ASC가 100% 컨플루엔시가 되는 파종 밀도).
다음날, 같은 용량의 신선배지(※4)로 교환하고, 3일 후(배양 개시로부터 4일 후)에 배지를 원심분리관에 신속하게 회수한 다음, 스윙식 원심분리기로 800G, 10분 원심분리하여 세포와 데브리스를 침전시켜, 상등액을 CM으로서 회수하였다. ASC가 배양 상등액하게 분비하는 증식인자 중 문헌 보고가 있는 HGF량에 대해 Human HGF ELIAkit(#28)에서 정량하고, 측정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조건 1(2x104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파종 다음날 ASC가 90% 컨플루엔시가 되는 파종밀도)과 조건 2(3.5x104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파종 다음날 ASC가 100% 컨플루엔시가 되는 파종밀도)는 CM 내 HGF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상에서 CM의 제조를 위한 ASC 파종밀도 및 배지량은 6% O2 환경에서 조건 2(3.5×104개 ASC 생존 유핵세포수/0.2mL 배지(※4)/cm2로 하였다.
순서-2
상술한 실시예 1의 SVF의 제조 및 실시예 2의 ASC 계대배양에 의해 ASC를 passage number(P)=1까지 배양하여 ASC의 세포 현탁액을 얻었다. 생존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10)로 계수하였다. 세포배양 디쉬(#14)에 6% O2 환경에서 조건 2(3.5104개 생존 유핵세포수/0.2mL 배지(※4)/cm2)로 ASC를 파종하였다. Day 3, 6, 8, 11에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고, 같은 양의 신선배지(※4)를 첨가하였다. Day 11만 신선배지군(※4) 및 신선배지(FBS 미포함)군(※5)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은 원심분리관에 신속하게 회수하고 스윙식 원심분리기로 800G, 10분 원심분리하여 세포와 데브리스를 침전시키고 상등액을 CM로서 회수하여 -80℃에서 보관하였다. HGF량에 대해 Human HGF ELIA kit(#28)로 정량하고, 측정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하의 4조건, (1) D3-D6, (2) D8-D11 with FBS, (3) D8-D11 without FBS, (4) 컨트롤 신선배지(FBS 미포함)(※5)에 대해서 Growth factor antibody array(#29)에서 CM 내 분비인자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촬영은 루미노 이미지 분석기(#30)로 하였고, 측정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항체 어레이에 포함된 41종류의 증식인자는 다음과 같다:
Amphiregulin, bFGF, b-NGF, EGF, EGFR, FGF-4, FGF-6, FGF-7, G-CSF, GDNF, GM-CSF, HB-EGF, HGF, IGFBP-1, IGFBP-2, IGFBP-3, IGFBP-4, IGFBP-6, IGF-1, IGF-1sR, IGF-2, M-CSF, M-CSF R, NT-3, NT-4, PDGFRa, PDGFRb, PDGF-AA, PDGF-AB, PDGF-BB, PLGF, SCF, SCF R, TGF alpha, TGF beta 1, TGF beta 2, TGF beta 3, VEGF-A, VEGFR2, VEGFR3, 및 VEGF-D.
파종 다음날 ASC가 100% 컨플루엔시가 되는 파종밀도에서 ASC는 중첩되었다. HGF량은 배양 전반(증식기)보다 배양 후반(분화기)에서 증대되었다(참조: 도 5).
각 조건의 배양 상등액(CM)에 대해서 화살표로 나타낸 증식인자의 증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참조: 도 6). 조건에 따라 양 및 증식인자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필요에 따른 조건으로 CM을 회수할 수 있었다. 또한,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정화 농축에 의해, 이러한 증식인자는 보다 농축되었다.
항체 어레이와 ELISA의 측정결과를 조합하여 추측되는 농축액에서 각 사이토카인의 농도 추측치는 다음과 같다:
배양 상등액을 30배 농축할 경우 농축액 중
VEGF: 250ng/mL
FGF7(KGF): 12,000pg/mL
PDGF-AA: 50ng/mL
PDGFR-β: 125ng/mL
TGFβ: 1,500pg/mL
IGFBP-6: 2,000ng/mL
IGFBP-4: 350ng/mL
IGFBP-3: 170ng/mL
IGFB-2: 270ng/mL
IGFBP-1: 40ng/mL
산소농도, 혈청(10% FBS) 유무가 HGF 생산에 미치는 영향
측정방법 및 키트
ELISA법,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R&D Systems, #DHG00B)
측정대상 시료
(1) 배양 상등액 시료의 회수
hASCs를 통상 파종밀도(2x104cells/cm2)로 플라스크에 파종하고 37℃, 5% CO2, 산소농도에서는 1% O2, 6% O2, 21% O2 설정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의 회수와 배지교환 스케줄은 도 7에 나타내었다. D 6(6일째) 회수 후 배지 교환에서는 혈청(10% FBS) 있음과 혈청 없는 배지로 구분해 사용하였다.
(2) 배양 상등액 시료 처리
회수한 배양 상등액은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 파편 등을 제거하고, 상등액은 -80℃에서 보존하였다.
결과
측정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혈청 유무에 관계없이 1% O2 환경 배양에서 배양 상등액 중 HGF의 검출이 극히 근소하였다. 한편, 6% O2, 21% O2 배양 조건 모두 무혈청 배지와 비교하여 10%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서의 배양에서는 HGF 생산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6% O2와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한 ASC는 HGF를 더 많이 방출하였다.
생체 내 환경에서 산소농도는 평균 5 내지 7% 정도로 대기 중의 산소농도(통상 산소 환경)와 비교하여 저산소 환경이다. 생체 내 환경에 가장 가까운 6% O2에서는 ASC 생존에 더 적절하며 HGF 생산에도 좋은 조건으로 여겨졌다.
배양 상등액 중 최대한으로 HGF 방출하기 위하여서는 배양용기의 접착면이 컨플루엔트가 되도록 hASCs를 대량으로 파종하고, 10% FBS 첨가한 배지 및 6% O2 조건에서 계속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중의 HGF 정량
측정방법 및 키트
ELISA법,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R&D Systems, #DHG00B)
측정대상 시료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각각을 3회분의 혼합물로서 준비하였다 [정상산소(21% O2) 조건으로 배양)]
방법
배양 상등액 중에 생산된 유용인자(예를 들면, HGF)는 hASCs 세포수와 양(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회수일의 차이에 따라 HGF 농도도 다를 것을 상정하여 회수 코스(recovery course) 1개월을 Day 1-9, Day 10-18, Day 19-30의 3군으로 나눈다.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각각 3회분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HGF를 정량하였다. Day 1-9에서 회수한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중의 HGF를 정량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결과
배양 상등액 중 hASCs 세포에서 분비된 HGF가 확인되었다. 농축액에 HGF 농도는 농축 전의 약 30배였다. 농축 후 폐액 중 HGF의 잔존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고찰
배양 상등액의 여과 및 농축에 의해 농축액에서 유용 인자의 증가가 상정되었다. 이번에는 배양 상등액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증식인자인 hepatocyte growth factor(HGF)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회수 코스에서 농축액 중 HGF 농도에서는 농축 전 배양 상등액과 비교하여 20배 내지 30배 높았다.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중 암모니아 농도 측정
측정방법
후지 드라이켐 NX10N (후지필름메디컬주식회사)
후지 드라이켐 슬라이드 NH3-PII (혈장용) (후지필름메디컬주식회사)
측정대상 시료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 각각 10회분(1개월)의 혼합물. 대조군으로서 D-MEM/Ham's F-12(10% FBS, 1% PS)를 이용하였다.
결과
후지 드라이켐 슬라이드 NH3-PII(혈장용)에서 암모니아 농도의 정량 가능한 범위는 10 내지 500μg/dL이다. 따라서, 상기 시료를 정량범위 내에 되도록 희석하여 측정하고, 희석배수를 더 곱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치를 계산할 수 있었다.
측정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고찰
상기 측정결과에서는 배양 상등액, 농축액과 농축 후 폐액에 암모니아 농도의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질량으로 환산하면 농축액에 암모니아의 양에서는 배양 상등액의 약 30분의 1이 되었다. 농축액을 희석하고, 한외 여과를 행하는 횟수를 늘림으로써, 액중의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 한계 이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여과 후 농축액에 기초 배지(멸균한 증류수나 초순수 혹은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등)를 첨가하여 희석(예를 들면, 30배 희석)하였다. 희석액을 교반형 한외 여과장치에서 2차 한외 여과를 실시하였다(예를 들면, 30배 농축). 이것에 의해 농축액이 저분자량인 것(특히, 유해물질인 암모니아, 젖산 등)에 관해서는 기초배지 등의 성분으로 대부분 대체된다. 또한, 증식인자를 비롯한 유효인자에서는 대분자량이기 때문에, 대부분 농축액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농축과 정화의 공정은 그 정도와 횟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종 농축과 정화의 정도는 무한하다.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이 hASCs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세포증식 실험)
측정대상 시료
배양 상등액, 농축액, 농축 후 폐액의 원액, 각각을 10회분(1개월)의 혼합물로 준비하였다.
배양 상등액 원액, 농축액과 단계 희석액, 농축 후 폐액과 단계 희석액을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1% PS를 함유 D-MEM/Ham's F-12(이하에서는 'DMEM-F12'로 약함)를 이용하고, 비히클(vehicle)군에서는 DMEM-F12/10% FBS/1% PS를 사용하였다.
그룹 구성 성분
비히클 DMEM-F12/10% FBS/1% PS
대조군 DMEM-F12/1% PS
CM 배양 상등액의 원액
CCM_1/100 농축 원액을 100배 희석
CCM_1/30 농축 원액을 30배 희석
CCM_1/10 농축 원액을 10배 희석
CCM_1/3 농축 원액을 3배 희석
CCM 농축 원액
W/CCM_1/100 농축 폐액을 100배 희석
W/CCM_1/30 농축 폐액을 30배 희석
W/CCM_1/10 농축 폐액을 10배 희석
W/CCM_1/3 농축 폐액을 3배 희석
W/CCM 농축 폐액 원액
방법
세포증식능 측정을 위하여 Cell Counting Kit-8(CCK-8, 주식회사 동인화학연구소, #CK04)을 이용하였다. 세포 내 탈수소 효소에 의해 생산되는 NADH는 전자전달물질인 1-Methoxy PMS를 통해 수용성 테트라졸륨염(WST-8)을 주황색 포르마잔(formazan)으로 환원된다. 이 포르마잔 색소의 양(극대 흡수 파장 450nm)은 생세포 수에 비례하며 흡광도 측정에 의해 생세포 수 측정이 가능하다. hASCs는 계대수 P4를 사용해 3,000 cells/well(96-well plate)로 파종하고(n=4), 37℃, 5% CO2, 21% 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준비된 시료를 100μL/well 첨가하고 배양 4일째 CCK-8 assay를 실시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흡광도(O.D..450nm)를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DMEM-F12, 1% PS)과 비교해 농축액의 100배 희석액(CCM_1/100)에서도 세포증식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증식촉진능은 비히클(DMEM-F12/10% FBS/1% PS)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농축 희석액(10배 희석액 CCM_1/10, 3배 희석액 CCM_1/3)과 농축 원액에서는 현저하게 세포증식을 촉진시켰다. 비히클군과 비교하여 농축 후 폐액 3배 희석액(W/CCM_1/3) 첨가에 의해 세포증식능을 유의하게 억제시키고, 농축 후 원액(W/CCM)에서는 세포증식능을 현저하게 저하시켰다.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액이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 정상인 표피 각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세포증식 실험)
시약·방법
정상인 피부 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또는 정상인 표피 각화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HEK)를 1x105 cells/mL로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였다(n=4). 24시간 후 대조군 내지 단계적으로 희석된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액으로 교체하였다.
NHDF에서는 대조군의 D-MEM/Ham's F-12 내지 5% FBS 첨가한 D-MEM/Ham's F-12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한 CCM(농축 원액)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NHEK에서는 대조군의 KGM-Gold(Lonza, #192060) 배지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한 CCM(농축 원액)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세포증식능 측정을 위하여, Cell Counting Kit-8(CCK-8, 주식회사 동인화학연구소, #CK04)을 이용하였다.
배양 72시간 뒤 CCK-8 assay를 실시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로 흡광도(O.D.450nm)를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5% FBS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세포증식능은 CCM-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참조: 도 12의 왼쪽 그래프).
정상 사람 표피각화 세포(epidermal keratinocyte)에서도 CCM 첨가에 의해 세포증이 촉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참조: 도 12의 오른쪽 그래프).
배양 상등액,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액이 혈관내피세포 관강형성능에 미치는 영향(내피세포 관강형성시험)
측정 시료
배양 상등액(표 1에 기재된 CM) 및 배양 상등액정화 농축액(표 1에 기재된 CCM)을 아래 표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그룹 EBM2 D-MEM/Ham's F-12 CM CCM
대조군 9 1
CM_1/10 9 1
CCM_1/100 9 0.9 0.1
방법
내피세포 관강형성능(tube-forming ability)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 제대정맥 내피세포(human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를 사용하였다. hUVEC를 로그 증식기에 들어갈 때까지 EGM-2 배지(Lonza, #CC-4176)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관강형성의 분석에 앞서 HUVEC을 12시간 동안 무혈청 상태로 방치하였다. 마트리겔 기저막 메트릭스(Corning, #356231)를 4℃에서 하룻밤에 걸쳐 해동하고 실험 중에는 항상 빙상에 방치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웰에 해동한 마트리겔을 50μL씩 넣고 인큐베이터에 1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TryplE Express를 이용하여 기아 상태의 HUVEC를 떼어낸 후 HUVEC를 펠릿화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은 상기 표와 같이 제조하여 HUVEC를 1×105개/mL의 밀도로 다시 부유시키고, 마트리겔이 들어 있던 웰에 세포 현탁액을 100μL씩 넣었다(웰 1개당 세포수는 1×104개). 플레이트를 37℃, 5% CO2 조건 하에 두고 4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플레이트상의 세포를 위상차 현미경(Leica)으로 40배의 배율로 촬영하였다. 관강형성능의 정도는 무작위로 촬영한 5개의 현미경 화상을 이용하여 형성된 관강의 길이를 화상분석 소프트웨어인 ImageJ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측정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CM 희석액 첨가군은 뚜렷한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농축액 희석액 첨가군에서는 관강형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보였다.
방법
8주령의 db/db 마우스(BKS.Cg-+Leprdb/+Leprdb/J) 및 그의 대조군 마우스(BKS.Cg-Dock7m+/Dock7m+/J)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마우스는 한 마리씩 다른 케이지에서 사육해 개체 식별을 하였다. 이소플루란(isoflurane) 흡입 하에 마우스 등 부분을 바리캉으로 면도하고, 면도부에 멸균 바이옵시 펀치(biopsy punch, 6.0mm 직경, Kai industries사)로 피부 전층을 박리하여 궤양(ulcer)을 형성하였다. 상처의 수축(wound contraction)을 막기 위하여, 도넛 모양의 실리콘 스프린트(silicone splint, 도넛 구멍 직경 9mm, 외경 15mm, 두께 1mm, 공화공업)를 6-0 나일론으로 고정하였다. 궤양 작성일을 0일차로 하여, 0일차, 3일차, 6일차에 각각의 시료를 1마리당 표 1에 기재한 농축 원액 CCM 0.1ml씩 주사기를 이용하여 궤양 주위 피하에 4방향으로 나누어 균등하게 주사하였다. 상처 부위(wound portion)는 모이스킨 패드(Moiskin Pad)로 드레싱해 실리콘 스프린트 탈락 및 상처 부위의 건조를 막았다. CCM은 ASC를 배양 시 배양 상등액을 정화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다. 0일차부터 21일차까지의 상처 부위의 경과를 일안 반사식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로 매크로 촬영해 상처 면적으로부터 상처치유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우스는 21일째에 5% 이소플루란 흡입으로 안락사시켰다.
그룹 마우스 주사
대조군 1 (C1) Control (-/-) DMEM + 0.2%HA 6
대조군 1 (C2) db/db DMEM + 0.2%HA 7
실험군 1(E1) db/db CCM + 0.2%HA 6
합계 19
결과
평가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CCM을 투여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마우스(type 2 diabetic mouse)의 상처 치유 지연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에서 혈소판 용해액이 세포증식능, HGF 생산능에 미치는 영향
시약 키트
혈소판 용해액(human plateletlysates, hPL)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TrypLE Express (Gibco, #12604-021)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DHG00B)
측정대상 시료
(1) 배양 상등액 시료의 회수
hASCs를 2.5×104 cells/mL로 100mm 접시에 파종하고,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한 후 배지를 10% FBS, 5% hPL 각각 첨가한 D-MEM/Ham's F12로 교환하여 7일간 배양하였다.
(2) 배양 상등액 시료의 처리
7일간 배양 후 각 디쉬의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 파편 등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80℃에서 보존하였다. 배양 상등액 회수 후 세포를 TryplE Express에 의해 박리하고, 유핵세포수를 셀 카운터(Logos Biosystems, #L30001)로 계수하였다.
결과
측정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의 왼쪽 그래프와 같이 10% FBS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ASC를 배양하는 경우는 Day0(D0) 파종시와 비교하여 D7에서는 2배 정도 세포수가 증가하고 있었다. 반면, 5% hPL 첨가한 배지에서는 세포 수를 약 8배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D 7에 회수한 배양 상등액 중 HGF 농도를 비교한 결과, 5% hPL에서 배양한 hASCs보다 방출한 HGF량은 분명히 많은 것도 확인되었다(참조: 도 15의 오른쪽 그래프).
고찰
사람 혈소판 용해액(human plateletlysates, hPL)에서 FBS보다 hASCs의 세포증식능 및 HGF 생산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SC에서 각종 증식인자가 HGF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시약 키트
Recombinant Human FGF basic/FGF2 (R&D Systems, #233-GMP)
Recombinant Human FGF basic/FGF2 (R&D Systems, #233-GMP)
Recombinant Human LR3 IGF-1/IGF-1 GMP (R&D Systems, #8335D-GMP)
Recombinant Human PDGF-BB (R&D Systems, #AF220)
Recombinant Human EGF (R&D Systems, #236-EG-200)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DHG00B)
측정대상 시료
(1) 배양 상등액 시료의 회수
hASCs를 5×104 cells/mL로 48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37℃, 5% CO2, 21% 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한 후, 배지를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EGF(epidermal growth factor), PDGF-BB(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BB)를 각각 첨가한 D-MEM/Ham's F12로 교환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hASCs에서의 각종 증식인자의 최종농도는 0, 2.5, 5.0, 10.0, 20.0, 50.0, 100.0ng/mL였다.
(2) 배양 상등액 시료의 처리
72시간 배양 후 각 웰의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 등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80℃에 저장하였다.
결과
HGF 생산능력의 측정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hASCs에서 bFGF, PDGF-BB에서는 HGF 생산에 촉진하는 작용을 보였다. bFGF의 최적 농도에서는 20ng/mL이고 PDGF-BB에서는 100ng/mL였다. 반면, IGF, EGF에서는 HGF 생산에 영향이 인정되지 않았다.
고찰
bFGF 및 PDGF-BB 두 인자 모두 HGF 생산을 촉진하였는데, bFGF에서는 비교적 낮은 농도로 효과가 나타나는 한편, 이 효과가 bFGF 종농도 20ng/mL까지 나타났다.한편, PDGF-BB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HGF 생산을 촉진하였다.
PDGF-BB는 혈소판 유래 증식인자로 혈소판 용해액(plateletlysates, PL)에는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ASC 배양에서 FBS 이외에 PL을 보충제로서의 유용성도 고려할 수 있었다.
줄기세포 배양방법 및 정화농축 공정의 조정이 정화 농축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시약 키트
혈소판 용해액(human plateletlysates, hPL)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DHG00B)
후지 드라이켐 NX10N (후지필름메디컬주식회사)
후지 드라이켐 슬라이드 NH3-PII (혈장용) (후지필름메디컬주식회사)
측정대상 시료
(1) 배양 상등액 시료의 회수
hASCs를 2.5×105 cells/mL로 150mm 접시에 파종하고,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D-MEM/Ham's F12에 5% hPL 및 특정 보충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7일마다 배양 상등액 회수 및 배지 교환을 실시하였다. 회수 일마다 로트 번호를 매겼다.
(2) 배양 상등액의 한외 여과
회수된 배양 상등액은 원심분리를 통해 세포 파편 등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약 30배 농축하도록 교반형 한외 여과장치로 1차 여과를 실시하였다. 그 후, 1차 여과 후 얻은 「1차 농축액」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서 30배로 희석하고, 재차 한외 여과를 실시하였다. 이로써, (1)에서 회수된 로트별 배양 상등액 각각 340mL에 대해, 2차 한외 여과를 거쳐 약 10mL 정화 농축액을 얻었다. 2차 여과 후 정화 농축액을 대상으로 HGF 농도 및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
HGF 농도는 Human HGF Quantikine ELISA Ki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농도의 측정은 후지 드라이켐 NX10N 및 후지 드라이켐 슬라이드 NH3-PII(혈장용)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측정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로트# 암모니아 (μg/dL) HGF (pg/mL)
B21176J 9.3 398,547.0
B21202J 8.7 437,734.9
B21226J 7.3 456,603.8
B21203J 9.0 122,040.0
고찰
배양방법(기초배지에 첨가하는 보충제) 및 한외 여과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HGF 농도가 높고 암모니아 농도가 낮은 정화 농축액을 얻을 수 있었다.
배양 상등액, 정화 농축액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
시약 키트
Human IL-6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D6050)
Lipopolysaccharides from Escherichia coli 055:B5 (Sigma-Aldrich, #6529)
배양 상등액 및 정화 농축액을 아래 표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그룹 구성 성분
대조군 DMEM-F12
비히클 DMEM-F12/10% FBS
CM 배양 상등액 원액
CCM_1/100 농축 원액보다 100배 희석
CCM_1/30 농축 원액보다 30배 희석
측정대상 시료
(1) 정상인 피부섬유아세포 순화배양액 시료의 회수
정상인 피부섬유아세포(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를 3×105 cells/mL로 6웰 플레이트(2개)에 파종하고, 37℃, 5% CO2, 21% 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한 후, 배지를 D-MEM/Ham's F12로 교환하고 6시간 동안 무혈청 상태(serum-free state)로 유지하였다. 기아 상태의 NHDF를 위한 배지를 표 5와 같이 제조된 배지로 교환하였다. 24시간 경과한 후, 배지를 흡인기(asperator)로 제거하고 NHDF 세포를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NHDF 세포를 Lipopolysaccharides(LPS)를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LPS의 최종농도가 100ng/mL이 되도록 첨가한 D-MEM/Ham's F12 배지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시간 경과한 후, 각 조건에서의 NHDF 세포순화 배양액을 각각 회수하였다.
(2) NHDF 세포순화배양액 시료 처리
상기 (1)에서 회수된 NHDF 세포순화 배양액(dell-acclimatized culture)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 등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80℃에서 보존하였다.
측정방법
NHDF 세포순화 배양액 중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NHDF 세포에 LPS를 100ng/mL 가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대조군과 비교해 배양 상등액 원액(CM) 첨가군에서는 NHDF 세포의 IL-6 분비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축 원액의 100배 희석액(CCM_1/100) 및 농축 원액의 30배 희석액(CCM_1/30) 첨가군에서는 IL-6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
IL-6는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IL-6를 과다 생산하면 다양한 병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줄기세포 배양 상등액에서는 가벼운 항염증 작용을 보였지만, 배양 상등액 농축액에서는 첨가량이 소량이라도 뚜렷한 항염증 작용을 보였다. 배양 상등액의 농축액은 항염증제로 응용될 가능성도 시사되었다.

Claims (11)

  1.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 HGF, VEGF, PDGF, EGF, K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에 의한 대사 노폐물인 젖산 및 암모니아가 제거된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detoxified secretome extract).
  2. 제1항에 있어서,
    재생의료용 치료제, 면역억제제, 항염증제 또는 항섬유화제로 사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농축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가 분비하는 IGFBP, HGF, VEGF, PDGF, EGF, KGF(FGF-7), PDGFR, TGFα 및 TGFβ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농축물.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축 전 배양 상등액과 비교하여 IGFBP, HGF, VEGF, PDGF, EGF(FGF-7), PDGFR, TGFα 및 TGFβ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농도가 1.2배 이상 농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농축물.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전구세포가 지방유래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 혈관내피 전구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농축물.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모니아 농도가 20μg/dL 이하이고, HGF 농도가 50,000pg/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 농축물.
  7.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를 배양액 내에서 배양함으로써 배양 상등액을 수득하는 배양 상등액의 수득공정;
    상기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유용성분을 농축하는 농축공정;
    상기 농축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대사 노폐물을 제거하는 정화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화 농축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배양 상등액 수득 공정에서 증식기(proliferation phase) 또는 콘플루언트기(confluent phase) 상태에 있는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전구세포 배양물로부터 배양 상등액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정화 공정에서 제거되는 대사 노폐물이 젖산 및 암모니아인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화 공정을 한외 여과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한외 여과를 분획 분자량 2kDa 내지 30kDa의 여과막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10434A 2020-09-03 2021-09-03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66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8193 2020-09-03
JPJP-P-2020-148193 2020-09-03
PCT/JP2021/032402 WO2022050373A1 (ja) 2020-09-03 2021-09-03 間葉系幹細胞又はそれに由来する前駆細胞の培養上清の浄化濃縮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012A true KR20230066012A (ko) 2023-05-12

Family

ID=804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434A KR20230066012A (ko) 2020-09-03 2021-09-03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13144A1 (ko)
EP (1) EP4209584A1 (ko)
JP (1) JP2022043013A (ko)
KR (1) KR20230066012A (ko)
CN (1) CN116249539A (ko)
WO (1) WO2022050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72145A (en) * 2020-01-20 2021-07-29 Stem Cell Medicine Ltd Cosmetic preparations with protein concentrate from a conditioned growth medium of stem cells from adipose tiss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847A1 (ja) 2017-03-03 2018-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細胞培養装置及び細胞培養方法
JP2019172607A (ja) 2018-03-28 2019-10-10 東洋紡株式会社 水晶体の硬化防止剤または治療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047A1 (en) * 2009-12-09 2011-06-15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Adult stem cell derived conditioned medium and/or adult stem cells for use in the therapeutic treatment of a tumor disease
EP2894218B1 (en) * 2012-09-07 2018-09-12 JCR Pharmaceuticals Co., Ltd. Medium, for culturing corneal endothelial cells, containing conditioned medium from mesenchymal stem cells
MY186324A (en) * 2013-08-29 2021-07-09 Stempeutics Res Pvt Ltd Stromal cells derived conditioned medium, method of obtaining said conditioned medium compositions, formula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20050068A1 (ja) * 2018-09-06 2020-03-12 日機装株式会社 乳酸吸着剤および乳酸の除去方法
JP7075054B2 (ja) * 2018-09-06 2022-05-25 日機装株式会社 アンモニア吸着剤およびアンモニアの除去方法
JP7274170B2 (ja) * 2019-05-17 2023-05-16 日機装株式会社 被処理液の再生方法および被処理液の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9847A1 (ja) 2017-03-03 2018-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細胞培養装置及び細胞培養方法
JP2019172607A (ja) 2018-03-28 2019-10-10 東洋紡株式会社 水晶体の硬化防止剤または治療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9584A1 (en) 2023-07-12
WO2022050373A1 (ja) 2022-03-10
CN116249539A (zh) 2023-06-09
JP2022043013A (ja) 2022-03-15
US20230313144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dwards et al. Functional analysis reveals angiogenic potential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from Wharton’s jelly in dermal regeneration
CA2592840C (en) Adipose-derived stem cells for tissue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EP3092989A1 (en) Mesenchymal stem cells-hydrogel-biodegradable or mesenchymal stem cells-hydrogel-non-degradable support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wound healing
Udehiya et al. Comparison of autogenic and allogenic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or repair of segmental bone defects in rabbits
JPWO2008018450A1 (ja) 脂肪組織由来多分化能幹細胞を含有する細胞製剤
US20190192574A1 (en) Pluripotent stem cell for treating diabetic skin ulcer
WO2015004609A2 (en) Adherent cells from placenta and use thereof in treatment of injured tendons
WO2014053420A1 (en) Method for the isol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from mammalian blood and use thereof
Broeckx et al. Intravenous application of allogenic peripheral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 safety assessment in 291 equine recipients
US20170296700A1 (en) Stem cell compositions, systems and uses thereof
KR102161850B1 (ko) 히알루론산과 동결건조된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창상 치료 촉진용 조성물
KR102091442B1 (ko) 건 또는 인대 손상 치유를 위한 자가 및 동종의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4747A (ko)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
JPWO2018235834A1 (ja) 表皮水疱症の治療剤
KR20230066012A (ko) 간엽계 줄기세포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전구세포 배양 상등액의 정화 농축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8709401B2 (en) Primed stem cells and uses thereof to treat inflammatory conditions in joints
US2022023359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20150138700A (ko) 건 또는 인대 손상 치유를 위한 자가 및 동종의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03025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body conditions
US20210269769A1 (en) Colostrum Derived Stem Cells, Neural Differentiation, Compositions and Supplements for Enhancing Mammalian Health
Ma et al. Utilizing muscle-derived stem cells to enhance long-term retention and aesthetic outcome of autologous fat grafting: pilot study in mice
US20180296605A1 (en) Use of allogeneic interstitial vessel-layer cell and allogeneic mesenchymal progenitor cell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US11020436B2 (en) Multipotent and immunocompatible stem cell concentrate
KR102190231B1 (ko) 조직 유래 침지액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
Wang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adjunctive management of diabetic foot ulcer: Focus on noninvasive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