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165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165A
KR20230065165A KR1020220143305A KR20220143305A KR20230065165A KR 20230065165 A KR20230065165 A KR 20230065165A KR 1020220143305 A KR1020220143305 A KR 1020220143305A KR 20220143305 A KR20220143305 A KR 20220143305A KR 20230065165 A KR20230065165 A KR 2023006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eel
side plate
spool
operation uni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무 야스다
모토히로 노노가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파밍성을 높이면서, 낚시용 릴 전체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해당 조작부를 갖고, 해당 스풀을 축 지지하는 제1 측판과, 해당 스풀의 축 방향에서 보아 해당 제1 측판과 대향해서 배치되고, 해당 스풀을 축 지지하는 제2 측판과, 상기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해당 제2 측판을 덮는 반조작부측 커버와, 해당 제2 측판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기판과, 해당 제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제어 기판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전자 기판을 갖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낚시용 양축 릴에서는, 낚싯줄의 감아올림용 모터의 제어나 줄 길이의 표시, 캐스팅 브레이크의 제동 등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 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낚시용 양축 릴에서는, 액정 등의 표시 화면을 갖는 것은, 시인성 확보를 위해 동 양축 릴의 전방 상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전자 기판도 표시 화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표시 화면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특허문헌 1과 같이, 캐스팅 브레이크의 제동을 위해, 전자 기판을 측판과 평행하게 배치하여, 제동력 발생부나 스풀 회전 검출부 등, 전기 부품을 배치하는 개소에 전자 기판을 근접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방수가 용이해지고,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피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08631호 공보
그러나, 전자 기판에 통신이나 데이터 보존 등, 확장 기능을 갖게 하려고 하는 경우, 전자 기판의 면적의 대형화가 불가피해지는 바, 특허문헌 1에 의한 낚시용 릴에서는, 전기 부품은 전자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전기 부품의 크기나 배치는 전자 기판의 연신 방향의 치수, 나아가서는 당해 기판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낚시용 릴의 치수의 영향을 피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파밍성을 높이면서, 낚시용 릴 전체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해당 조작부를 갖고, 해당 스풀을 축 지지하는 제1 측판과, 해당 스풀의 축 방향에서 보아 해당 제1 측판과 대향해서 배치되고, 해당 스풀을 축 지지하는 제2 측판과, 상기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해당 제2 측판을 덮는 반조작부측 커버와, 해당 제2 측판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기판과, 해당 제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제어 기판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반조작부측 커버는, 유저가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측판에서 보아 상기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유저에게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 해당 유저에게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 상기 낚시용 릴의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상기 낚시용 릴의 주변의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환경 발전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측판과, 파밍성을 배려한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의 공간에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파밍성을 향상시키면서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의 내부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의 반조작부측 커버(13)의 외측 표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당해 복수의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 및 이것이 구비하는 제동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낚시용 릴(1)의 공지된 기능의 일부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은 낚시용 릴(1)의 단면도이며, 후술하는 감속 기어 열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낚시용 릴(1)의 공지된 기능의 일부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은, 프레임(릴 본체)(2)과, 스풀(3)과, 피제동부(피제동 수단)(4)와, 베어링(5)과, 제동부(제동 수단)(6)와, 세트 플레이트(7)와, 중간 덮개(8)와, 모터(9)와, 감속 기구(감속 기어 열)(10)와, 전지(11)와, 제어 기판(12)과, 전기 부품(13)과, 반조작부측 커버(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단,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것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프레임(릴 본체)(2)은, 낚싯대(도시 생략)에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은, 종래의 낚시용 릴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 내지 조작 수단(예를 들어, 핸들)을 갖고, 유저의 조작에 의해 스풀(3)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낚싯줄을 권취할 수 있다. 조작부 내지 조작 수단(이하, 조작부라고 한다)의 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기어 등의 전달 수단에 의해 스풀(3)에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은,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부(클러치 수단)를 갖고, 유저는 클러치부(클러치 수단)를 조작함으로써, 스풀(3)에의 동력 전달의 접속·해방을 선택할 수 있다. 스풀(3)에의 동력 전달의 접속 상태에서는, 조작부에 의한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풀(3)에의 동력 전달의 해방 상태에서는, 스풀을 정역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어, 낚싯줄이 방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은, 소정값 이상의 토크가 발생했을 때에 스풀(3)을 공회전시킴으로써 낚싯줄의 파단을 방지하는 드래그부 내지 드래그 수단(도시 생략)이나, 조작부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부 내지 역회전 방지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풀(3)의 회전에 따라서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의 위치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취하는 오실레이터 장치(도시 생략)를 마련해도 된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지지되고, 스풀(3)이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풀(3)의 외주 영역에 낚싯줄을 권취할 수 있다. 한편, 루어 등을 투척할 때는, 스풀(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권회된 낚싯줄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낚싯줄의 방출량이 루어 등의 이동량보다도 너무 많으면, 여분의 낚싯줄에 의해 백래시라고 불리는 줄 얽힘이 발생하여, 낚시용 릴(1)의 정상적인 사용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스풀(3)에 대하여 후술하는 제동 장치(10)에 의한 적절한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이러한 백래시를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피제동부(4)는 스풀(3)에 고정되고, 제동부(6)에 의한 제동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제동부(6)로서, 영구 자석에 의해 도체판에 자장을 인가함으로써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와전류식 브레이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제동부(6)에 의해 피제동부(4)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모터(9)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 있어서의 제동부(6)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와 같이, 제동부(6)는 세트 플레이트(7)(도시 생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자석(61)과, 세트 플레이트(7)(도시 생략)에 고정된 고정 자석(62)으로 구성된다. 회전 자석(61)과 고정 자석(62)은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당해 자기 회로에서 생성된 자장은 도체로 구성되는 피제동부(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피제동부(4)는, 당해 자장의 강도와 스풀(3)의 회전 속도에 비례한 제동력이 발생한다.
또한, 기어 등을 통해 모터(9)에서 발생한 동력을 회전 자석(61)에 전달함으로써, 회전 자석(6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회전 자석(61)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회전 자석(61)의 회전에 의해 도 2의 (A)의 상태로부터 도 2의 (B)의 상태로 이동)시켜서, 스풀(3)에 고정된 피제동부(4)에의 제동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풀(3)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제동력을 조정하는 방식에 관해서, 특정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동력을 조정하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피제동부(4)에 대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 방식이나, 스풀(3)에 설치한 영구 자석에 대하여, 코일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발전 브레이크 방식 등, 공지된 제동 방식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동 수단은 본 발명의 필수 기능은 아니며, 제어 회로를 당해 제동 수단의 조정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2)은, 스풀(3)의 축 방향에서 보아, 전술한 조작부를 갖는 측의 프레임(2)의 제1 부분과, 당해 조작부를 갖는 측과는 반대측의 프레임(2)의 제2 부분을 구비하고, 프레임(2)의 당해 제2 부분에 세트 플레이트(7)가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당해 제1 부분은 스풀(3)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제1 면이라 칭한다)을 갖고, 당해 제1 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당해 제2 부분은, 당해 제1 면과 함께 스풀 축을 끼움 지지한다. 이에 의해, 스풀(3)은, 한쪽 단부가 프레임(2)의 제1 부분에, 다른 쪽 단부가 세트 플레이트(7)에, 각각 베어링(5)을 통해 축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프레임(2)의 당해 제1 부분을, 프레임(2)의 제1 측판(21)이라 하고, 프레임(2)의 당해 제2 부분을, 프레임(2)의 제2 측판(22)이라 한다. 또한, 제2 측판에는, 세트 플레이트나 그 외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지만, 특정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경량화, 비용 저감, 강도 확보 등을 위해, 세트 플레이트(7)와 중간 덮개(8)는 다른 재질로 형성한 후, 이들을 비스 등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세트 플레이트(7)와 중간 덮개(8) 사이에 다른 부품을 수납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세트 플레이트(7)와 중간 덮개(8)를 일체 부품으로 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중간 덮개(8)는, 반조작부측 커버(14)에 밀폐해서 고정되도록 해서, 내부에 수납하는 구성 부품에의 물이나 그 외의 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중간 덮개(8)와 반조작부측 커버(14)의 접속부에는, O링 등의 패킹 부재나, 방수 양면 테이프, 레이저 용착부, 인롱 구조나 방수 그리스 등에 의해 실현되는 방수 접합 부재(방수 접합 수단)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폐 루프로서 마련함으로써, 중간 덮개(8)와 반조작부측 커버(14)로 형성되는 공간(내부 공간)에의 외부로부터의 물이나 그 외의 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한 내부 공간에, 모터(9)와, 감속 기구(감속 기어 열)(10)와, 전지(11)와, 제어 기판(12)과, 전기 부품(13)을 수납함으로써, 이들 구성 부품을 방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조작부측 커버(14)의 외측 표면에는, 파밍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파밍부(23)는, 유저가 손을 대고 파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반조작부측 커버(14)의 외측 방향(제2 측판(22)에서 보아 조작부(24)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파밍부(23)는, 반조작부측 커버(14)의 외측 방향(제2 측판(22)에서 보아 조작부(24)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개략 구면상으로 볼록형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볼록형의 양태는 파밍성을 고려해서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특정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볼록형이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유저의 손바닥을 둥글게 했을 때와 동일 정도의 곡률 반경을 갖게 한 개략 구면의 일부나 타원체이며, 유저가 손바닥을 댔을 때에 파지하기 쉽고, 위화감을 주지 않기 위해, 큰 돌기 형상이나 예각 형상을 없앤 형상이다. 이에 의해, 투척 중이나 조작부의 조작 시에, 유저는 낚시용 릴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반조작부측 커버(14) 자체를, 반조작부측 커버(14)의 외측 방향(제2 측판(22)에서 보아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재의 두께 균일화를 실현할 수 있어, 반조작부측 커버(14)의 파밍성과 제작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3)과, 해당 조작부를 갖고, 해당 스풀(3)을 축 지지하는 제1 측판(21)과, 해당 스풀(3)의 축 방향에서 보아 해당 제1 측판(21)과 대향해서 배치되고, 해당 스풀(3)을 축 지지하는 제2 측판(22)과, 상기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해당 제2 측판(22)을 덮는 반조작부측 커버(14)와, 해당 제2 측판(22)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14)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기판(12)과, 해당 제어 기판(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제어 기판(12)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14)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1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 의하면,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측판과,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의 공간(후술하는 데드 스페이스)에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파밍성을 향상시키면서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반조작부측 커버(14)는, 유저가 파지 가능하도록 제2 측판(22)에서 보아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방향(반조작부측 커버(14)의 외표면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투척 중이나 조작부의 조작 시에, 유저는 낚시용 릴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측판과,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의 공간에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파밍성을 향상시키면서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기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어 기판(12)은, 인쇄 등에 의해 도체 배선 패턴이 마련된 프린트 기판과,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기판(12)에는, 온도 센서나 모션 센서 등의 각종 검출 수단이나, 버튼 등의 입력 수단, LED 등의 출력 수단, 무선 통신 모듈 등의 통신 수단,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 등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낚시용 릴(1)의 상태를 검지하거나, 당해 정보를 보존하거나, 당해 정보를 외부에 송신 내지는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모터 드라이버를 가짐으로써, 모터(9)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시용 릴(1)의 상태에 따라, 제동 장치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12)의 역할은, 제동 장치의 제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낚시용 릴(1)의 감아올림용 모터, 드래그력 설정용 모터, 클러치 접속·절단의 전환용 모터 등의 각종 모터의 제어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 기판(12)을 다기능화하면 할수록, 상술한 바와 같은 검출 수단, 출력 수단, 입력 수단, 통신 수단 등의 전기 부품은 증가하게 된다. 이들 기능을 프린트 기판 상에 실장하기 위해서는, 당해 프린트 기판은 소정 이상의 면적(프린트 기판의 연신 방향의 면적)이 필요해진다. 또한, 당해 프린트 기판은, 비용이나 제조 방법의 제약으로부터, 일반적으로 개략 직사각형, 개략 원형, 원환형 등의 평면상 단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반조작부측 커버(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에 파밍부를 마련하기 위해서, 개략 구면상 등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3,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 있어서의, 반조작부측 커버(14), 제어 기판(12), 및 전기 부품(13)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지면의 상하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한 도 1의 제어 기판으로부터 상측을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12)의 둘레(도 3의 지면의 상하, 좌우 방향 내지 제어 기판(12)의 연신 방향)에는 반조작부측 커버(14)가 배치되어 있고, 제어 기판(12)을 다기능화시킬수록, 제어 기판(12)의 면적은 반조작부측 커버(14)의 투영 면적에 대하여, 큰 비율을 차지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릴(1)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반조작부측 커버(14)의 내면을 제어 기판(12)의 연신 방향(도 4의 지면의 좌우 방향)의 테두리부 내지 단부를 근접시키면, 데드 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파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조작부측 커버(14)의 내면은 볼록형(예를 들어, 개략 구면상)으로 형성되는 바, 제어 기판(12)은 개략 평면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반조작부측 커버(14)와 제어 기판(12)을 최대한 근접시켰다고 해도, 제어 기판(12)의 상면(제어 기판(12)에 있어서의 도 4의 지면의 상측 방향의 면)과, 반조작부측 커버(14)의 내면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도 4에 도시한 L의 공간 영역)가 생긴다. 이후, 이 스페이스를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라 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이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에 전기 부품(13)을 배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당해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전기 부품(13)으로서, 예를 들어 유저에게의 통지음을 출력 가능한 버저나 진동을 출력 가능한 페이저용 모터 등의 통지부·수단, 무선 통신용 안테나나 유선 통신용 커넥터 등의 통신부·수단, LED나 액정 화면 등의 표시부·수단, 광 전지나 진동 발전부·수단, 온도차 발전부·수단 등 장치 주변의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환경 발전부·수단, 버튼 전지 등의 전원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전기 부품(13)은, 전기 부품 단체로서 배치되거나, 또는 제어 기판(12)과는 독립된 플렉시블 케이블이나 프린트 기판 상에 배치되어, 유선 케이블 등으로 제어 기판(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버저 및 플렉시블 케이블 상에 인쇄된 무선 통신용 안테나가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에 배치되어, 양면 테이프 등으로 반조작부측 커버(14)의 내면에 첩부하도록 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1)에서는, 낚시용 릴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낚시용 릴의 다기능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12)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평면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는 반면, 반조작부측 커버(14)는 파밍성 향상을 위해 볼록형(예를 들어, 개략 구면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조작부측 커버(14)와 제어 기판(12) 사이에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가 생긴다. 전기 부품(13)은, 본래라면 데드 스페이스가 되는 개소에 유효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기판(12)의 연신 방향의 대형화, 나아가서는 반조작부측 커버(14)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낚시용 릴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전기 부품 중에는, 통신용 안테나, 광 전지 등, 투영 면적이 클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전기 부품을 사용한 경우에는 특히 얻어지는 효과가 크다. 제어 기판(12)의 연신 방향으로 이들 부품을 배치하면, 낚시용 릴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지만,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에 전기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제어 기판(12)과 전기 부품(13)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일부가 이들의 두께 방향(도 4의 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어 기판(12)의 연신 방향(도 3, 지면의 상하·좌우 방향, 도 4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소면적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 부품으로서 버저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에게의 통지를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들 수 있다. 전기 부품으로서의 버저는, 부품의 진동의 배가 되는 개소에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버저를 보유 지지하는 부품과 함께 버저가 진동하여, 통지음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조작부측 커버(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덮개(8)와 밀폐하도록 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그 밀착면이 진동의 마디가 된다.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는, 밀착면으로부터 멀어, 진동의 배가 되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스페이스에 버저를 설치함으로써, 통지음을 크게 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전기 부품으로서 페이저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가 직접 파지하는 개소의 바로 뒤쪽 등에 페이저용 모터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에게의 통지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 부품으로서 LED나 액정 화면 등의 표시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수단을 장치(낚시용 릴)의 최외 영역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의 통지를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기 부품으로서 통신부·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치(낚시용 릴)의 최외 영역에 안테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품으로부터의 전파 간섭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통신부·수단으로서 유선 커넥터를 사용한 경우, 장치(낚시용 릴)의 최외 영역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빼고 꽂기 조작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도 얻어진다.
또한, 전기 부품으로서 환경 발전부·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발전을 행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환경 발전부·수단으로서 광 전지를 사용한 경우, 장치(낚시용 릴)의 최외 영역에 광 전지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 성능을 확보하기 쉽다.
환경 발전부·수단으로서 진동 발전부·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반조작부측 커버(14)의 진동의 배가 되는 개소에 진동 발전부·수단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발전 성능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환경 발전부·수단으로서 온도차발전부·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유저가 손으로 파지하는 개소의 근처이며, 또한 외기에 가까운 장소에 온도차 발전부·수단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체온으로 따뜻하게 하거나, 외기로 차갑게 하거나 하는 것이 용이해져서, 발전 성능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전기 부품으로서 버튼 전지 등의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장치(낚시용 릴)의 최외 영역에 전지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빼고 꽂기 조작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점도 들 수 있다. 볼록형 스페이스 내지 렌즈형 스페이스(L)에 전지를 배치하기 위해서, 박형의 버튼 전지나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을 사용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 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각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설명한 실시 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고,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 낚시용 릴
2: 프레임(릴 본체)
3: 스풀
4: 피제동부(피제동 수단)
5: 베어링
6: 제동부(제동 수단)
7: 세트 플레이트
8: 중간 덮개
9: 모터
10: 감속 기구(감속 기어 열)
11: 전지
12: 제어 기판
13: 전기 부품
14: 반조작부측 커버
21: 제1 측판
22: 제2 측판
23: 파밍부
24: 조작부
61: 회전 자석
62: 고정 자석

Claims (3)

  1. 조작부에 의한 조작으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해당 조작부를 갖고, 해당 스풀을 축 지지하는 제1 측판과, 해당 스풀의 축 방향에서 보아 해당 제1 측판과 대향해서 배치되고, 해당 스풀을 축 지지하는 제2 측판과, 상기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해당 제2 측판을 덮는 반조작부측 커버와, 해당 제2 측판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 기판과, 해당 제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제어 기판과 해당 반조작부측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을 구비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조작부측 커버는, 유저가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측판에서 보아 상기 조작부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볼록형으로 형성되는, 낚시용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유저에게의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 해당 유저에게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 상기 낚시용 릴의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상기 낚시용 릴의 주변의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환경 발전부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
KR1020220143305A 2021-11-04 2022-11-01 낚시용 릴 KR20230065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80324A JP2023068888A (ja) 2021-11-04 2021-11-04 魚釣用リール
JPJP-P-2021-180324 2021-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165A true KR20230065165A (ko) 2023-05-11

Family

ID=8614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305A KR20230065165A (ko) 2021-11-04 2022-11-01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33436A1 (ko)
JP (1) JP2023068888A (ko)
KR (1) KR20230065165A (ko)
CN (1) CN116058344A (ko)
TW (1) TWI81778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631A (ja) 2003-01-06 2004-07-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7810A (ja) * 2005-01-18 2006-08-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883241B2 (ja) * 2011-06-30 2016-03-09 株式会社シマノ カウンタケース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8631A (ja) 2003-01-06 2004-07-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8888A (ja) 2023-05-18
US20230133436A1 (en) 2023-05-04
TWI817782B (zh) 2023-10-01
TW202327449A (zh) 2023-07-16
CN116058344A (zh) 2023-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535B1 (ko) 화상 표시 장치
CN1672507B (zh) 钓鱼用渔线轮、钓鱼信息显示装置和钓鱼信息显示系统
EP4012490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KR20140064606A (ko) 전동 릴
KR20230065165A (ko) 낚시용 릴
JP6606327B2 (ja) 電動リール
CN102197794B (zh) 电动渔线轮的计数器盒体
KR20230065164A (ko) 낚시용 릴
CN209843150U (zh) 一种用于组成机械旋转点阵屏的舵机组件
US8147151B2 (en) Shutter device
JP2016106568A5 (ko)
JP6262103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TWI843247B (zh) 釣魚用捲線器
JP7316244B2 (ja) 制動装置、糸長計測装置及びいずれか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WO2023112608A1 (ja) 制動部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US11812733B2 (en) Braking device that brakes spool and fishing reel provided with the same
JP7469544B2 (ja) 魚釣用リール
CN109964891B (zh) 钓鱼用绕线轮开关
US11895996B2 (en) Fishing reel
JPS60125154A (ja) ブラシレスモ−タ
JP598672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96562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20240081347A (ko) 낚시용 릴
KR20240081348A (ko) 낚시용 릴 및 전지 박스
KR20230100235A (ko) 디스플레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