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699A - 주유장치 - Google Patents

주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699A
KR20230063699A KR1020210149047A KR20210149047A KR20230063699A KR 20230063699 A KR20230063699 A KR 20230063699A KR 1020210149047 A KR1020210149047 A KR 1020210149047A KR 20210149047 A KR20210149047 A KR 20210149047A KR 20230063699 A KR20230063699 A KR 2023006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units
flow
filtering
v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6556B1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21014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61Mean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a chosen level of a sto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6Arrangements of flow-indicators, e.g. transparent compartments, windows, rotary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 B67D2210/00152Automatically
    • B67D2210/00157Level detected electrically by contact with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유장치는, 양측 호스 권취장치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호스 권취장치에 유조탱크에 저장된 각각의 유류를 공급하도록 유류의 배출 방향이 반대인 주유장치로서, 상기 유류가 공급되면서 여과하는 제1, 2 여과부; 상기 제1, 2 여과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유류 수위를 전자식으로 감지하는 제1, 2 수위감지부; 상기 제1, 2 여과부와 연결되며, 통과하는 유류의 유량을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제1, 2 유랑계; 및 상기 제1, 2 유량계를 통과한 유류의 토출을 제어하며, 토출 초기 속도와 토출 후기 속도를 제어하는 제1, 2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류가 다른 유류를 개별 공급하도록 상하 배치하여 공간의 제약 없이 설치 가능하고, 유류 수위를 전자식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구조가 단순하며, 유랑계에서 유량 카운터를 전자식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설치공에서의 유류 유출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유장치 {LUBRICATOR}
본 발명은 주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유차량 등에 설치하여 석유 및 경유 등과 같은 유류를 주유하는 복식 주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를 소비자에게 원하는 양만큼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주유소 등의 지하탱크로부터 소정량의 유류를 공급해 주는 고정식 주유기와, 급유차량 등에 탑재된 탱크로부터 소정량의 유류를 공급해 주는 이동식 주유기로 구분된다.
주유기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와, 이러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가 마련되어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펌핑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해 주게 된다.
그리고 펌프의 상부에는 공기분리수단이 구비되어 유류 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분리수단을 통과한 유류는 유량계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펄스가 발생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유류의 양을 계수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식 주유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40468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혼유 방지를 위해 석유 및 경유에 따라 주유장치를 복수 설치하는 경우 폭이 넓어지면서 주유장치의 장착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40468호(2001.07.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석유 및 경유와 같은 해당 유류를 각각 개별 주유하는 장치를 상하 배치하여 공간이 협소하여도 공간 제약 없이 설치 가능한 주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유장치는, 양측 호스 권취장치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호스 권취장치에 유조탱크에 저장된 각각의 유류를 공급하도록 유류의 배출 방향이 반대인 주유장치로서, 상기 유류가 공급되면서 여과하는 제1, 2 여과부; 상기 제1, 2 여과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유류 수위를 전자식으로 감지하는 제1, 2 수위감지부; 상기 제1, 2 여과부와 연결되며, 통과하는 유류의 유량을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제1, 2 유랑계; 및 상기 제1, 2 유량계를 통과한 유류의 토출을 제어하며, 토출 초기 속도와 토출 후기 속도를 제어하는 제1, 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여과부, 제1, 2 유랑계 및 제1, 2 밸브는 상하로 배치하여 종류가 다른 유류를 개별 공급하고, 상기 제1, 2 유랑계는 제1, 2 카운팅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2 카운팅 센서부는, 상기 제1, 2 유랑계의 외벽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1, 2 지지몸체; 상기 제1, 2 지지몸체의 단부에 유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내부에 영구자석인 제1, 2 자성체가 매립된 제1, 2 회전체; 및 상기 제1, 2 지지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자성체의 회전을 감지하여 유체의 유동량을 계측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여과부는 내부에 에어 충진 여부에 따라 개폐하는 제1, 2 에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류가 다른 유류를 개별 공급하도록 상하 배치하여 공간의 제약 없이 설치 가능하고, 유류 수위를 전자식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구조가 단순하며, 유랑계에서 유량 카운터를 전자식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설치공에서의 유류 유출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유장치가 급유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유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유장치에서 제1, 2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유장치에서 제1, 2 유랑계의 제1, 2 카운팅 센서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유장치가 급유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주유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유장치에서 제1, 2 여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주유장치에서 제1, 2 유랑계의 제1, 2 카운팅 센서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유장치(100)는 제1, 2 여과부(110, 210),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 제1, 2 에어밸브(130, 230), 제1, 2 유랑계(140, 240), 제1, 2 밸브(150, 250)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급유차량(1)의 후방 양측에 위치된 호스 권취장치(200)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 호스 권취장치(200) 중 어느 하나에서 석유 및 경유 등과 같은 해당 유류를 배출하는 방향이 다르도록 주유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1, 2 여과부(110, 210), 제1, 2 유랑계(140, 240) 및 제1, 2 밸브(150, 250)는 상하로 배치되어, 각각의 장치에서 석유 및 경유 등과 같은 유류를 주유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여과부(110), 제1 유랑계(140) 및 제1 밸브(150) 그리고 제2 여과부(210), 제2 유랑계(240) 및 제2 밸브(250)가 상하 배치됨으로써 공간의 제약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제1, 2 여과부(110, 210),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 제1, 2 에어밸브(130, 230), 제1, 2 유랑계(140, 240) 및 제1, 2 밸브(150, 250)는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한다.
제1, 2 여과부(110, 2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조탱크(도면에 미도시)에 저장된 석유 및 경유 등과 같은 유류가 각각 공급되면서 여과하며, 이를 위해 제1, 2 여과본체(112, 212)와, 제1, 2 여과본체(112, 212)의 개구된 상부에 마감되는 제1, 2 커버(114, 214)를 포함한다.
제1, 2 여과본체(112, 212)는 외면 일측에 유입구(1120, 2120)가 각각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토출구(1122, 2122)가 각각 형성된다.
더욱이, 제1, 2 여과본체(112, 212)는 유입구(1120, 2120)를 통해 유입된 유류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을 여과시키는 제1, 2 필터(1124, 2124)가 횡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 2 여과부(110, 210)는 베이스(10)에 직립 설치된 지지대(12)에 상하로 고정된다.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커버(114, 2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2 여과본체(112, 212)의 내부에 저장된 유류의 수위를 전자식으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더욱이,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는 환형으로 형성되면서 제1, 2 커버(114, 214)의 하부에 직립 설치된 제1, 2 가이드부(122, 222)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즉,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는 유류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높이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로 전송하게 된다.
제1, 2 에어밸브(130, 2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커버(114, 214)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 2 여과본체(112, 212) 내부에 에어 충진 여부에 따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제1, 2 에어밸브(130, 230)는 제1, 2 여과부(110, 210)의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지 않으면 폐쇄되고, 에어가 충진되면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가 하강하면서 개방되므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된다.
더욱이, 제1, 2 에어밸브(130, 230)의 개방시 제1, 2 여과부(110, 210)의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면서 제1, 2 여과부(110, 210) 내부로의 유류 주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 2 유랑계(140, 2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하는 유류의 유량을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하며, 제1, 2 유입관(142, 242)을 통해 제1, 2 여과본체(112, 212)와의 사이가 연결되고, 제1, 2 배출관(144, 244)을 통해 제1, 2 밸브(150, 250)와의 사이가 연결된다.
더욱이, 제1, 2 유랑계(140, 240)는 제1, 2 유입관(142, 242)을 통과하는 유류가 제1, 2 배출관(144, 244)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회전량에 따라 유량을 측정하도록 제1, 2 카운팅 센서부(146, 246)가 각각 구비된다.
제1, 2 카운팅 센서부(146, 246)는 전자식 센서로, 종래와 같이 기계식 센서인 경우 센서를 지지 브래킷(도면에 미도시)에 관통 고정시키고 지지 브래킷을 제1, 2 유랑계(140, 240)의 설치공에 나선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장시간 사용시 연결 부위에서 유류가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1, 2 카운팅 센서부(146, 246)는 제1, 2 유랑계(140, 240)의 제1, 2 몸체부(141, 241) 외벽에 홀을 형성하고 홀 내에 오링(O)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일단이 삽입되는 제1, 2 지지몸체(1410, 2410)와, 제1, 2 지지몸체(1410, 2410)의 단부에 유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저항체가 전면에 이격 구비되며 내부에 영구자석인 제1, 2 자성체(1422, 2422)가 매립된 제1, 2 회전체(1420, 2420)와, 제1, 2 몸체부(141, 241)의 외부에 위치된 제1, 2 지지몸체(1410, 2410)의 타단에 구비되어 제1, 2 자성체(1422, 2422)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에서 유체의 유동량을 계측할 수 있게 하는 센서(1430, 2430)가 구비된다.
이때, 센서(1430, 2430)는 일예로 회전량을 전기적인 펄스신호로 검출하도록 홀 센서를 포함하는 자계 검출부가 이에 적용된다.
즉, 제1, 2 카운팅 센서부(146, 246)는 전자식 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지지 브래킷을 관통시키지 않고 체결 가능하므로 유류가 유출되지 않는다.
제1, 2 밸브(150, 2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유랑계(140, 240)의 제1, 2 배출관(144, 244) 단부에 설치되어, 제1, 2 유랑계(140, 240)를 통과한 유류의 토출을 제어하며, 토출 초기 속도와 토출 후기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제1, 2 밸브(150, 250)는 설정량만큼 유류를 주유할 때 일정량까지는 고속으로 배출되게 하고, 일정량에서 배출 종료량까지는 저속으로 배출되게 하여 유류 넘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작업자가 신속하게 후속 조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2 밸브(150, 250)는 제1, 2 고속 조작부(도면이 미도시) 및 제1, 2 저속 조작부(도면에 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타어머(도면에 미도시) 설정 후 제1, 2 고속 조작부를 조작하면 유류가 고속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제1, 2 저속 조작부를 조작하면 유류가 저속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제1, 2 밸브(150, 250)는 배출구에 주유건(도면에 미도시)이 연결된다.
제어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 제1, 2 에어밸브(130, 230), 제1, 2 유랑계(140, 240) 및 제1, 2 밸브(150, 25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표시기(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유류의 배출량을 확인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주유장치(100)는 제1 여과부(110), 제1 유랑계(140) 및 제1 밸브(150) 그리고 제2 여과부(210), 제2 유랑계(240) 및 제2 밸브(250)가 상하 배치된 상태에서 개별 유조탱크에 각각 저장된 석유 및 경유 등과 같은 유류가 유입구(1120, 2120)를 통해 제1, 2 여과부(110, 210)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고, 유입구(1120, 2120)에 설치된 제1, 2 필터(1124, 2124)를 통과하면서 유류에 잔류하는 이물질 등을 여과시킨다.
그리고 이물질 등이 여과된 유류는 제1, 2 여과본체(112, 212)의 내부에 저장되며, 수위에 따라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가 제1, 2 가이드부(122, 222)에서 승강하게 되고, 제어부로 전송되면서 수위 파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1, 2 여과부(110, 210)의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지 않으면 제1, 2 에어밸브(130, 230)가 폐쇄되고, 에어가 충진되면 제1, 2 수위감지부(120, 220)가 하강하면서 제1, 2 에어밸브(130, 230)가 개방되므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제1, 2 여과부(110, 210) 내부로의 유류 주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1, 2 유입관(142, 242)을 통해 제1, 2 유랑계(140, 240)의 내부로 유동하고 전자식 제1, 2 카운팅 센서부(146, 246)에 의해 유류 배출량이 제어부로 각각 전송된다.
그리고 제1, 2 유랑계(140, 240)를 통과한 유류는 제1, 2 배출관(144, 244)을 통해 제1, 2 밸브(150, 250)로 유동하고, 제1, 2 밸브(150, 250)를 통해 주유 속도를 시작과 끝 부분에 대해 조절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주유장치
110, 210: 제1, 2 여과부
120, 220: 제1, 2 수위감지부
130, 230: 제1, 2 에어밸브
140, 240: 제1, 2 유랑계
150, 250: 제1, 2 밸브

Claims (3)

  1. 양측 호스 권취장치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호스 권취장치에 유조탱크에 저장된 각각의 유류를 공급하도록 유류의 배출 방향이 반대인 주유장치로서,
    상기 유류가 공급되면서 여과하는 제1, 2 여과부;
    상기 제1, 2 여과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유류 수위를 전자식으로 감지하는 제1, 2 수위감지부;
    상기 제1, 2 여과부와 연결되며, 통과하는 유류의 유량을 전자식 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제1, 2 유랑계; 및
    상기 제1, 2 유량계를 통과한 유류의 토출을 제어하며, 토출 초기 속도와 토출 후기 속도를 제어하는 제1, 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여과부, 제1, 2 유랑계 및 제1, 2 밸브는 상하로 배치하여 종류가 다른 유류를 개별 공급하고,
    상기 제1, 2 유랑계는 제1, 2 카운팅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2 카운팅 센서부는,
    상기 제1, 2 유랑계의 외벽에 일단이 삽입되는 제1, 2 지지몸체;
    상기 제1, 2 지지몸체의 단부에 유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 가능하며 내부에 영구자석인 제1, 2 자성체가 매립된 제1, 2 회전체; 및
    상기 제1, 2 지지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자성체의 회전을 감지하여 유체의 유동량을 계측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여과부는 내부에 에어 충진 여부에 따라 개폐하는 제1, 2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장치.
KR1020210149047A 2021-11-02 2021-11-02 주유장치 KR10257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47A KR102576556B1 (ko) 2021-11-02 2021-11-02 주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047A KR102576556B1 (ko) 2021-11-02 2021-11-02 주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99A true KR20230063699A (ko) 2023-05-09
KR102576556B1 KR102576556B1 (ko) 2023-09-08

Family

ID=8640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047A KR102576556B1 (ko) 2021-11-02 2021-11-02 주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5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468B1 (ko) 1996-06-28 2000-01-15 배동만 카드 오조작 감지장치 및 방법
JP3053830B2 (ja) * 1990-02-08 2000-06-19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油装置
KR100951059B1 (ko) * 2009-04-08 2010-04-07 대한민국 야전용 주유장치
JP2015105105A (ja) * 2013-11-29 2015-06-08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KR101893797B1 (ko) * 2016-12-15 2018-08-31 주식회사 루브캡이엔에스 종횡 이동형 운반기기의 그리스 급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830B2 (ja) * 1990-02-08 2000-06-19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油装置
KR100240468B1 (ko) 1996-06-28 2000-01-15 배동만 카드 오조작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951059B1 (ko) * 2009-04-08 2010-04-07 대한민국 야전용 주유장치
JP2015105105A (ja) * 2013-11-29 2015-06-08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KR101893797B1 (ko) * 2016-12-15 2018-08-31 주식회사 루브캡이엔에스 종횡 이동형 운반기기의 그리스 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556B1 (ko)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520B2 (en) Increased sensitivity for liquid meter
US60953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fluid additives to fluids
ES2713959T3 (es) Sistema de lubricación de alta presión
US20040035220A1 (en) Increased sensitivity for turbine flow meter
CN103852121B (zh) 深冷液体的计量系统和方法
MX2010010563A (es) Dispositivo de medicion de la presion diferencial.
KR20230063699A (ko) 주유장치
US5158207A (en) Leak detection device
JP5995149B2 (ja) 漏洩検知装置
KR20150081254A (ko) 유체 주입 시스템
CN207437245U (zh) 一种卡车双油箱燃油供给系统
CN210293682U (zh) 用于注油及抽油的设备
FI119802B (fi) Menetelmä separaattorin käyttämiseksi ja separaattori
DE153251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nahme und zum Messen von Milch,die in Tankwagen angeliefert wird
KR101905627B1 (ko) 기포제거형 액체계량시스템
JP6265825B2 (ja) 燃料供給装置
EP2034186B1 (de) 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Flüssigkeiten
JPH0551098A (ja) 給油システム
KR102419197B1 (ko) 밸브개폐 원격제어용 유량계
KR102520395B1 (ko) 유량 측량계
CN206753687U (zh) 带计量功能的球阀放油螺栓
KR20160042425A (ko) 증발 연료 처리 장치
JP2526069B2 (ja) 給油装置
CN215026702U (zh) 滤油机的过滤器滤芯堵塞程度自动显示和报警装置
US4964307A (en) Liquid flow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