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341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341A
KR20230062341A KR1020220042828A KR20220042828A KR20230062341A KR 20230062341 A KR20230062341 A KR 20230062341A KR 1020220042828 A KR1020220042828 A KR 1020220042828A KR 20220042828 A KR20220042828 A KR 20220042828A KR 20230062341 A KR20230062341 A KR 20230062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groove
mount
flang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KR2023006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개구된 마운트홈을 형성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 가능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되고, 히터를 포함하는 히팅모듈;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커플러홈; 및 상기 마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커플러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를 상기 마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교체가능한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팅모듈을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팅모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개구된 마운트홈을 형성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 가능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되고, 히터를 포함하는 히팅모듈;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커플러홈; 및 상기 마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커플러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를 상기 마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교체가능한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팅모듈을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팅모듈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배터리(11), 제어부(12), 센서(13) 및 유도코일(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바디(10, 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 제어부(12), 센서(13) 및 유도코일(14)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로어바디(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바디(20)는 로어바디(10)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로어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40)는 어퍼바디(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40)는 삽입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S)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파이프(40)는 삽입공간(S)의 측부와 바닥을 덮을 수 있다. 스틱(400)은 삽입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어퍼바디(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삽입공간(S)을 둘러쌀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어퍼바디(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삽입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히팅모듈(30)이 배치된 삽입공간(S)을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히팅모듈(30)을 둘러쌀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유도코일(14)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팅모듈(30)을 관통하고 히팅모듈(30)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류는 히팅모듈(30)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히팅모듈(30)은, 유도코일(14)이 필요없이, 배터리(11)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직접적으로 발열될 수 있다.
스틱(400)은 삽입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의 일단은 어퍼바디(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스틱(400)의 단부를 관통하여 스틱(4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은 히팅모듈(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스틱(400)의 일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스틱(400)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은 궐련(400)이라 명명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제어부(12), 센서(13), 유도코일(14), 히팅모듈(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배터리(11), 유도코일(14), 센서(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3)는 히팅모듈(3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3)는 히팅모듈(30)에 인접하거나, 히팅모듈(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3)가 센싱한 히팅모듈(30)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팅모듈(3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40)는 어퍼바디(2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40)는 삽입공간(S)을 둘러쌀 수 있다. 파이프(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공간(S)의 상측은 개구되고, 하측은 폐쇄될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히터핀(31) 및 히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핀(31)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핀(31)은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핀(31)은 내부에 히터(3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핀(31)은 열 전도성이 높고,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핀(31)은 세라믹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히터핀(31)의 상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핀(31)은 스틱(400, 도 1 참조)을 관통하여 스틱(400)을 고정할 수 있다.
히터(32)는 히터핀(31)의 내부의 공간(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히터(32)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32)는 삽입공간(S) 및/또는 삽입공간(S)에 삽입된 스틱(400, 도 1 참조)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32)가 발열되면, 열은 히터(32)로부터 히터핀(31)을 통과하여 삽입공간(S)으로 전도될 수 있다. 마개(35)는 히터(32)의 하측에서 히터핀(31)의 내부의 공간(34) 배치될 수 있다. 마개(35)는 히터핀(31)에 고정되고, 히터(3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마개(35)는 히터(32)가 히터핀(31)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파이프(40) 및 삽입공간(S)을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파이프(40)의 둘레를 권선할 수 있다. 히터(32)는 유도코일(14)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고, 유도코일(1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히터(32)를 발열시킬 수 있다.
플랜지(60)는 히팅모듈(3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히터핀(31)의 하단 둘레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히터핀(3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히터핀(31)과 결합될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플랜지(60)에 고정될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플랜지(60)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 플랜지(60)는 히팅모듈(3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다. 플랜지(60)의 하부는 히터핀(31)의 하부와 마개(35)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50)는 파이프(4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50)는 파이프(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마운트(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플랜지(60)는 마운트(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삽입공간(S)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히팅모듈(30)은 플랜지(60)로부터 삽입공간(S)을 향하여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마운트(50)는 삽입공간(S)을 향해 개구된 마운트홈(54)을 형성할 수 있다. 마운트홈(54)의 둘레와 바닥은 마운트(5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마운트(50)의 바닥(53)은 마운트홈(54)의 바닥을 덮을 수 있다.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은 마운트홈(5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아우터마운트(51)는 이너마운트(52)를 둘러쌀 수 있다. 아우터마운트(51)는 이너마운트(52)와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홈(54)은 플랜지(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6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도 4 참조), 마운트홈(54) 또한 플랜지(60)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마운트홈(54)에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마운트홈(5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너마운트(51)는 플랜지(60)의 외주면(61)을 둘러쌀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플러홈(64)은 플랜지(60)의 외주면(6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60)의 외주면(6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은 플랜지(60)의 외주면(61)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은 반경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70)는 마운트(50)의 내주면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커플러(70)는 플랜지(60)가 마운트홈(54)에 삽입되면, 제1 커플러홈(54)에 삽입되어 플랜지(60)를 마운트(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커플러(70)는 플랜지(60)를 마운트(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방지홈(55)은 마운트홈(54)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홈(55)은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홈(54)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회전방지홈(55)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65)는 플랜지(6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65)는 회전방지홈(55)의 둘레와 대응되는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65)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65)는 회전방지홈(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200, 도 1 참조)의 회전에 따라 플랜지(60)가 마운트(50)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60)는 슬라이딩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66)는 플랜지(6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66)는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반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60)가 마운트홈(5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어퍼바디(20)는 파이프(40) 및 아우터마운트(5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마운트(51)는 파이프(4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바디(20)는 이너마운트(52)에 사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바디(20)는, 이너마운트(52)를 금형에 넣은 뒤 사출물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마운트(51)는 이너마운트(52)의 외주면(522)을 둘러싸며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50)의 바닥(53)은 이너마운트(5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너마운트(52)는 마운트홈(5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521)은 마운트홈(54)을 둘러쌀 수 있다.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521) 및 마운트홈(5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홈(54)은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이너마운트(5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521)과 마운트홈(54)은 플랜지(6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S)은 마운트홈(54)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커플러홈(524)은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521)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플러홈(524)은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52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커플러홈(524)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커플러홈(524)은 제1 커플러홈(64)과 대응될 수 있다. 제2 커플러홈(524)은 마운트홈(54)과 연통될 수 있다.
이너마운트(52)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25)는 아우터마운트(51)에 형성된 걸림홈(535)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너마운트(52)는 둘레방향으로 비원형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526)는 이터마운트(52)의 돌출부(525)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525)는 원주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되, 회전방지부(526)는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35)은 돌출부(525) 및 회전방지부(52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200, 도 1 참조)의 회전에 따라 이너마운트(52)가 아우터마운트(51)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플러(70)는 길게 연장된 막대가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은 플랜지(60)의 외주면(6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70)는 제1 커플러홈(64)을 감싸도록 벤딩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7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되, 커플러(70)의 양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되 인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7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커플러(70)는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러(70)는 제2 커플러홈(524)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러(70)는 위치가 제2 커플러홈(524)에 고정되어, 커플러홈(5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커플러(70)의 일부는 제2 커플러홈(524)에 걸치며, 커플러(70)의 다른 일부는 마운트홈(54)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플러(70)의 내주면(71)의 반경은 마운트홈(54)의 내주면(72)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커플러(70)의 내주면(71)은, 제2 커플러홈(524)으로부터 마운트홈(54)으로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플러(70)의 외주면(72)의 반경은, 마운트홈(54)의 내주면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커플러(70)의 외주면(72)은, 제2 커플러홈(524)에 배치될 수 있다. 커플러(70)의 내주면(71)은 커플러홀(74)을 둘러쌀 수 있다. 커플러홀(74)은 마운트홈(54)과 연통될 수 있다.
커플러(70)의 곡률은 변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70)는 탄성과 강성이 높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플러(70)의 곡률은 감소되거나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커플러(70)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커플러(70)는 곡률이 감소되었다가 다시 원상복구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랜지(60)는 마운트홈(54)으로 삽입되거나 마운트홈(5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플랜지(60)가 마운트홈(54)에 삽입되면, 플랜지(60)는 커플러(70)에 의해 마운트(50)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60)는 마운트홈(54)으로부터 이탈되어 마운트(5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커플러(70)는 제1 곡률을 가지는 제1 상태(70a)와 제2 곡률을 가지는 제2 상태(70b)로 변형될 수 있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플랜지(60)가 마운트홈(6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플러(70)는 제1 곡률을 가지는 제1 상태(70a)일 수 있다. 제1 상태(70a)에서 커플러(70)의 내주면(71)은, 이너마운트(52)의 내주면(524)보다 반경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플랜지(60)가 마운트홈(64)에 삽입될 때, 플랜지(60)의 외주면(61)은 커플러(70)의 내주면(71)에 접촉될 수 있다. 커플러(70)의 내주면(71)이 플랜지(60)의 외주면(61)에 접촉되면 커플러(70)는 제2 곡률을 가지는 제2 상태(70b)로 변형될 수 있다. 제2 상태(70b)의 커플러(70)의 반경은 제1 상태(70a)의 커플러(70)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곡률은 제1 커플러홈(64)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의 곡률은 제2 커플러홈(524)의 곡률과 같을 수 있다.
플랜지(60)가 마운트홈(54)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 커플러홈(64)은 제2 커플러홈(5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플러(70)의 내주면(71)은, 제1 커플러홈(64)에 삽입되어 플랜지(60)를 마운트(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상태(70a)인 커플러(70)의 제1 곡률은, 제1 커플러홈(64)의 곡률과 같을 수 있다. 제1 곡률은 제2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마운트홈(54)에 삽입된 플랜지(60)가 마운트홈(54)으로부터 이탈될 때, 커플러(70)의 내주면(71)은 플랜지(60)의 외주면(61)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커플러(70)는 제1 상태(70a)로부터 제2 상태(70b)로 변할 수 있다. 플랜지(60)가 마운트홈(54)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마운트(50)로부터 분리되면, 커플러(70)는 다시 제1 상태(70a)로 복원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66, 도 4 참조)는 커플러(70)의 내주면(71)에 접촉되어, 커플러(70)가 제2 곡률을 가지는 제2 상태(70b)로 변화하도록 커플러홀(74)의 반경을 확장시킬 수 있다. 커플러(70)의 내주면(71)은 반경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은 반경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플러홈(64)의 외주면은, 커플러(70)의 내주면(7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60)는 커플러홀(74) 및 마운트홈(54)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커플러홀(74) 및 마운트홈(54)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개구된 마운트홈을 형성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 가능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되고, 히터를 포함하는 히팅모듈;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커플러홈; 및 상기 마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커플러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를 상기 마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플러홈은,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커플러홈을 감싸도록 벤딩된 고리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마운트의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플러홈에 대응되는 제2 커플러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2 커플러홈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는,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는, 상기 곡률이 변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1 커플러홈에 삽입되면, 상기 커플러의 상기 곡률은 제1 곡률으로 커지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1 커플러홈의 외측에서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면, 상기 커플러의 상기 곡률은 제2 곡률으로 작아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의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1 커플러홈의 곡률과 같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의 상기 제2 곡률은, 상기 제1 커플러홈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커플러홈은, 반경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랜지는, 하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반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홈을 형성하는 이너마운트; 및 상기 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마운트를 감싸며 결합되는 아우터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마운트와 상기 아우터마운트는, 접촉부위에 둘레방향으로 비원형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홈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며, 비원형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홈; 및 상기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회전방지홈에 대응되고,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4)

  1. 일측이 개구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개구된 마운트홈을 형성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 가능한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돌출되고, 히터를 포함하는 히팅모듈;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제1 커플러홈; 및
    상기 마운트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마운트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커플러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를 상기 마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플러홈은,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커플러홈을 감싸도록 벤딩된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플러홈에 대응되는 제2 커플러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2 커플러홈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C'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곡률이 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1 커플러홈에 삽입되면, 상기 커플러의 상기 곡률은 제1 곡률으로 커지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1 커플러홈의 외측에서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면, 상기 커플러의 상기 곡률은 제2 곡률으로 작아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1 커플러홈의 곡률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의 상기 제2 곡률은,
    상기 제1 커플러홈의 곡률보다 작은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홈은,
    반경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하단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반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진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홈을 형성하는 이너마운트; 및
    상기 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마운트를 감싸며 결합되는 아우터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마운트와 상기 아우터마운트는,
    접촉부위에 둘레방향으로 비원형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홈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며, 비원형 형상을 가지는 회전방지홈; 및
    상기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회전방지홈에 대응되고,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20042828A 2021-10-29 2022-04-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62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7018 2021-10-29
KR1020210147018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341A true KR20230062341A (ko) 2023-05-09

Family

ID=8640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828A KR20230062341A (ko) 2021-10-29 2022-04-06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3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686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CA3091254C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30032029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3006234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38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6692309B1 (en) Mercury vapor lamp electrical connector
KR10254202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8150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2023010297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0296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0297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468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0486456Y1 (ko)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KR2023011468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653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6068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7892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2023010567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6826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424B1 (ko) Pet병용 휴대용 온수기
KR20230056536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6068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0380649Y1 (ko) 세라믹히터가 장착된 전기밥솥
KR200458398Y1 (ko)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