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398Y1 -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 Google Patents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398Y1
KR200458398Y1 KR2020090006553U KR20090006553U KR200458398Y1 KR 200458398 Y1 KR200458398 Y1 KR 200458398Y1 KR 2020090006553 U KR2020090006553 U KR 2020090006553U KR 20090006553 U KR20090006553 U KR 20090006553U KR 200458398 Y1 KR200458398 Y1 KR 200458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installation space
spring
fram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906U (ko
Inventor
윤종열
Original Assignee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엘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6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39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e.g. ceramic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프레임(36)은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측벽(38)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38)의 사이에 스프링설치공간(43)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의 사이에 센서설치공간(45)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6)의 측벽(38)에 결합되어 전열체(66)가 설치되는데, 상기 전열체(66)는 상기 프레임(36) 내부의 공간을 차폐하고 외면에 헤어와 접촉되는 접촉면(70)이 구비된다. 상기 전열체(66)에 접촉되게 발열체(60)가 설치된다. 상기 발열체(60)는 전원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내에는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 외부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52)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단부절곡편(54)이 형성된 판스프링(50)이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60)를 지지한다. 센서설치공간(45)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6)가 설치된다. 본 고안은 온도센서(56)를 별도의 절연재로 감싸지 않아도 안전규격을 만족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원가가 줄어들고 부품 사이의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이 발생하지 않아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헤어, 아이론, 히터, 장착홈

Description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Heating device for hair iron}
본 고안은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 처리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는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어아이론의 히팅장치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금속재질로 된 전열체(10)의 일면에는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걸이리브(1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12)의 선단에는 걸이턱(12')이 형성되는데, 양단의 걸이리브(12)의 걸이턱(12')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전열체(10)의 타면은 사람의 헤어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평면으로 된다.
상기 걸이리브(12)의 사이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발열체(14)가 설치된다. 상기 발열체(14)에는 와이어(16)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이 공급되는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발열체(14)의 재질은 세라믹으로 된다.
상기 발열체(14)를 상기 걸이리브(12) 사이의 공간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판스프링(18)을 사용한다. 상기 판스프링(18)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드는 것으로, 대략 중간부가 높고 양단부가 낮게 만들어져 상기 중간부 양단이 상기 걸이턱(12')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전열체(10)의 걸이리브(12) 사이 표면에 상기 발열체(14)가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18)의 일단에는 고정구(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0)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온도센서(22)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22)는 그 외관이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고정구(20)의 곡률반경보다 약간 큰 곡률반경을 가져 상기 고정구(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부호 22'는 와이어이다.
한편, 상기 발열체(14)의 걸이리브(12) 외측에 걸어져 상기 걸이리브(12)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전열체(10)를 둘러싸도록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전열체(10)에서 사람의 헤어에 닿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열체(10)의 걸이리브(12) 사이의 공간에 발열체(14), 판스프링(18) 및 온도센서(22) 등이 모두 설치되어 있고, 특히 온도센서(22)가 판스프링(18)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20)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이들 부품 사이의 통전에 의한 손상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발열체(14)의 와이어(16)를 별도의 절연재로 둘러싸고, 상기 발열체(14)도 전체를 절연물로 감싸야 하며, 온도센서(22)도 별도의 절연재로 둘러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8)이 상기 양측의 걸이리브(12)의 걸이턱(12')에 동시에 걸어져야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판스프링(18)의 폭이 커져야 해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어아이론의 히팅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프레임에 형성된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열체를 전열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판스프링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체를 전열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판스프링이 발열체에 여러 부분에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되고 내부 양단에 스프링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의 사이에 센서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간을 차폐하고 외면에 헤어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구비되는 전열체와, 상기 전열체로 전달되는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열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전열체측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발열체와, 상기 스프링설치공간내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공간 외부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단부절곡편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를 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센서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측벽과 협력하여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격벽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격벽의 사이에 상기 센서설치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센서설치공간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몸체설치부와 상기 몸체설치부보다 폭이 좁아 상기 온도센서의 와이어가 연장되는 와이어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중앙돌출부의 돌출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단부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절곡편의 형성에 의해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돌출부와 지지부 사이의 부분이 양단부에 밀착된다.
상기 전열체와 발열체의 사이에는 절연판이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에 판스프링과 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설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판스프링과 온도센서를 설치하므로, 프레임에 설치된 부품들 사이에서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이 방지되어 별도의 절연재를 사용하여 부품들을 둘러쌀 필요가 없으며 히팅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발열체를 전열체에 밀착시키기 위한 판스프링이 각각 의 스프링설치공간에 안착되어 발열체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판스프링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스프링설치공간에 안착된 판스프링이 스프링설치공간의 지지리브에 의해 일부가 지지되면서 판스프링의 중간부와 양단부가 발열체에 접촉되므로 보다 많은 위치에서 판스프링이 발열체에 접촉되어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발열체와 전열체의 밀착상태가 좋아지면서 열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되어 헤어아이론의 성능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 안전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 헤어아이론에서는 발열체를 절연재로 감싸야 하고, 이에 따라 절연체와 발열체 사이에 면 접촉되는 밀착도가 저하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발열체와 동일한 재질(일반적으로 세라믹)로 된 판을 발열체와 전열체의 사이에 설치하여 원가절감, 작업성 개선 및 발열체와 전열체의 밀착상태를 개선하여 열효율이 더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히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헤어아이론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헤어아이론은 제1 및 제2몸체(31,32)의 일단부가 힌지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전열체(66)가 서로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히팅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몸체(31,32) 모두에 구비된다.
상기 몸체(31,32)의 외관을 하우징(34)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4)은 상기 몸체(31,32)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전열체(66)의 접촉면(70)만이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4)의 내부에는 프레임(36)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6)은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프레임(36)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38)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발열체(60)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스톱퍼(39)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스톱퍼(39)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38)의 선단에는 각각 걸이턱(40)이 상기 측벽(38)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양측의 측벽(38)에 형성되는 걸이턱(4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프레임(36)의 측벽(38) 사이의 공간에는 제1 및 제2격벽(41,4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격벽(41,42)은 각각 상기 측벽(38)과 협력하여 스프링설치공간(43)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은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된다.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프레임(46)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지지리브(43')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지지리브(43')의 길이는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의 약 1/2정도의 길이로 된다. 상기 중간지지리브(43')는 아래에서 설명될 판스프링(50)을 지지하여 판스프링(50)의 양단에 형성되는 단부절곡편(54)이 발열체(6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격벽(41)과 제2격벽(42)의 사이에는 센서설치공간(45)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설치공간(45)은 중간부분의 몸체설치부(46)와 양단의 와이어채널(47)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채널(47)은 상기 프레임(36)의 측벽(38)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몸체설치부(46)의 폭은 상기 와이어채널(47)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온도센서(56)가 상기 몸체설치부(46)에서 센서설치공간(45)의 길이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에는 각각 판스프링(50)이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5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간부분인 중앙돌출부(52)가 스프링설치공간(4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돌출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50)의 양단에는 각각 단부절곡편(54)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된다. 물론, 판스프링(50)에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단부절곡편(54) 선단의 높이는 상기 중앙돌출부(52)의 높이보다 높지 않다.
상기 단부절곡편(54)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50)의 양단에는 지지부(5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5)는 상기 중앙돌출부(52)가 돌출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의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센서설치공간(45)의 몸체설치부(46)에는 온도센서(56)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56)는 아래에서 설명될 발열체(60)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체(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미리 정해진 상한값과 하한값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한값이 되면 발열체(60)의 발열이 중단되도록 하고, 하한값이 되면 발열체(60)가 다시 동작할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56)에는 와이어(58)가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와이어(58)는 상기 와이어채널(47)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온도센서(56)는 상기 센서설치공간(45) 내에 위치하므로 절연을 위해 별도의 절연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발열체(60)는 와이어(62)를 통해 공급된 전원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열체(60)는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38) 사이에서 상기 격벽(41,42)에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판스프링(50)에 의해 지지되어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36)의 측벽(38), 보다 정확하게는 걸이턱(40)에 걸어져 상기 측벽(38) 사이의 공간, 즉 상기 판스프링(50), 온도센서(56) 및 발열체(60)가 설치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전열체(66)가 설치된다. 상기 전열체(66)는 상기 발열체(60)에서 발생된 열을 사람의 헤어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열체(66)의 양단에는 걸이리브(68)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6)의 측벽(38)에 형성된 걸이턱(40)에 걸어진다. 상기 전열체(66)의 외면은 사람의 헤어에 접촉되는 접촉면(70)이다.
한편, 상기 전열체(66)와 발열체(60) 사이에는 절연판(64)이 위치된다. 상기 절연판(64)은 상기 발열체(60)와 전열체(66) 사이에서 절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판(64)은 상기 발열체(60)와 동일한 재질(일반적으로 세라믹)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해 헤어아이론의 히팅장 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36)에 부품들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에는 각각 판스프링(50)이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50)은 양단의 지지부(55)가 스프링설치공간(43)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55)와 중앙돌출부(52)사이 부분이 상기 중간지지리브(43')의 양단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설치공간(45)에는 온도센서(56)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몸체설치부(46)에 온도센서(56)가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채널(47)에 온도센서(56)의 와이어(58)가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발열체(60)를 상기 프레임(36)의 측벽(38) 사이, 즉 상기 스톱퍼(39)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판스프링(50)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상기 판스프링(50)은 상기 중앙돌출부(52)가 상기 발열체(60)에 접촉된다. 물론, 상기 발열체(60)는 상기 전열체(66)가 프레임(36)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50)의 중앙돌출부(52) 및 단부절곡편(54)에 접촉된다. 즉, 각 판스프링(50)이 3군데에서 상기 발열체(60)와 접촉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판스프링(50)의 중앙돌출부(52)가 눌러지면 상기 지지부(55)와 중앙돌출부(52) 사이가 상기 중간지지리브(43')의 단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단부절곡편(54)이 들어올려지기 때문이다.
상기 발열체(6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판(64)을 얹고 상기 전열체(66)를 상기 프레임(36)에 결합하면 상기 프레임(36)과 전열체(66)의 사이 공간에 설치된 부분들이 고정된다. 특히, 상기 전열체(66)에 의해 상기 발열체(60)가 눌러지면서, 상기 발열체(60)는 상기 판스프링(50)의 중앙돌출부(52)와 양단의 단부절곡편(54)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절연판(64)과 함께 전열체(66)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56)의 와이어(58)는 와이어채널(47)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열체(60)의 와이어(62)는 상기 발열체(60)가 판스프링(50)에 의해 상기 격벽(41,42)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이들 와이어(58,52)사이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50)은 두 개가 상기 발열체(60)의 양단에서 각각 발열체(60)를 여러 지점에서 지지하므로 안정적으로 발열체(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판스프링(50)을 사용하므로, 각각의 판스프링(50)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판스프링(50)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헤어아이론의 히팅장치에서는 상기 발열체(60)가 와이어(6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열은 상기 절연판(64)을 거쳐 전열체(66)로 전달되어, 상기 전열체(66)의 접촉면(70)에 접촉된 헤어처리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60)의 온도는 상기 온도센서(56)에 의해 감지되는데, 미리 설정된 상한값이 되면, 상기 발열체(60)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60)의 온도가 내려가 온도센서(56)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하한값이 되면, 상기 발열체(6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링설치공간(43)과 센서설치공간(45)은 반드시 격벽(41,42)에 의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프레임(36)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히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헤어아이론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제1몸체 32: 제2몸체
34: 하우징 36: 프레임
38: 측벽 40: 걸이턱
41: 제1격벽 42: 제2격벽
43: 스프링설치공간 43': 중간지지리브
45: 센서설치공간 50: 판스프링
52: 중앙돌출부 54: 단부절곡편
55: 지지부 56: 온도센서
58: 와이어 60: 발열체
62: 와이어 64: 절연판
66: 전열체 68: 걸이리브
70: 접촉면

Claims (5)

  1.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측벽이 형성되고 내부 양단에 스프링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의 사이에 센서설치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간을 차폐하고 외면에 헤어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구비되는 전열체와,
    상기 전열체로 전달되는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전열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전열체측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발열체와,
    상기 스프링설치공간내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설치공간 외부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단부절곡편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를 지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센서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측벽과 협력하여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격벽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격벽의 사이에 상기 센서설치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센서설치공간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몸체설치부와 상기 몸체설치부보다 폭이 좁아 상기 온도센서의 와이어가 연장되는 와이어채널을 구비하는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는 중앙돌출부가 중간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에 상기 중앙돌출부의 돌출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단부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절곡편의 형성에 의해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설치공간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지지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돌출부와 지지부 사이의 부분이 양단부에 밀착되는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체와 발열체의 사이에는 절연판이 더 설치되는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KR2020090006553U 2009-05-29 2009-05-29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KR200458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553U KR200458398Y1 (ko) 2009-05-29 2009-05-29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553U KR200458398Y1 (ko) 2009-05-29 2009-05-29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06U KR20100011906U (ko) 2010-12-08
KR200458398Y1 true KR200458398Y1 (ko) 2012-02-27

Family

ID=4420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553U KR200458398Y1 (ko) 2009-05-29 2009-05-29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3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63B1 (ko) * 2011-05-26 2013-01-21 이준석 습식퍼머용 발열판의 제조방법 및 습식퍼머용 발열판과 이를 이용한 헤어아이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377Y1 (ko) 2002-03-08 2002-08-10 강영춘 헤어 아이론의 가열판
KR20050063632A (ko) * 2003-12-26 2005-06-28 김기섭 헤어 아이론용 히터장치
KR100498767B1 (ko) 2003-06-19 2005-07-01 주식회사케이엔씨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KR200437601Y1 (ko) 2006-11-14 2007-12-17 (주) 케이.아이.씨.에이 헤어 아이롱의 히터 고정을 위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377Y1 (ko) 2002-03-08 2002-08-10 강영춘 헤어 아이론의 가열판
KR100498767B1 (ko) 2003-06-19 2005-07-01 주식회사케이엔씨 헤어용 플랫아이롱의 히팅장치
KR20050063632A (ko) * 2003-12-26 2005-06-28 김기섭 헤어 아이론용 히터장치
KR200437601Y1 (ko) 2006-11-14 2007-12-17 (주) 케이.아이.씨.에이 헤어 아이롱의 히터 고정을 위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906U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034B1 (ko) 전기 레인지
JP4651019B2 (ja) 両口金形ランプ用の高温ランプコネクタおよびソケット
US20150201762A1 (en) Suspension Device For Presenting Goods, Having A Current-Carrying Profiled Rail And Primary Support Which Can Be Hung Therein
JP5980963B2 (ja) アレイホルダーおよびアレイホルダーを有するledモジュール
KR200458398Y1 (ko) 헤어아이론용 히팅장치
JP5081064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US3935376A (en) Ceramic insulator for supporting a ribbon-type heating element
US9466906B2 (en)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CN212273798U (zh) 一种集成吊顶龙骨式磁吸安装轨道灯用轨道
CN104868415A (zh) 电气接线箱
JP7418925B2 (ja) プラグイン端子構造
US6300605B1 (en) Radiant electric heater
KR101074480B1 (ko) 헤어 아이론
CN104734571A (zh) 节能型一体式单相交流电机起动保护器
JP5629091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2005241135A (ja) 電気炉
US7388175B2 (en) Temperature-limiting device
US9653245B2 (en) Temperature switch and method for adjusting a temperature switch
KR100603525B1 (ko) 전기 히터용 인슐레이터
KR101610799B1 (ko) 벌브 소켓 어셈블리
KR20030018790A (ko) 전기 히터용 인슐레이터 고정판의 장착구조
KR940004190Y1 (ko) 개량 전기 히이터
KR20030018786A (ko) 전기 히터용 인슐레이터
KR20030018785A (ko) 전기 히터용 인슐레이터
CN105261521B (zh) 一种精细陶瓷机构及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