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683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683A
KR20230114683A KR1020220092614A KR20220092614A KR20230114683A KR 20230114683 A KR20230114683 A KR 20230114683A KR 1020220092614 A KR1020220092614 A KR 1020220092614A KR 20220092614 A KR20220092614 A KR 20220092614A KR 20230114683 A KR20230114683 A KR 2023011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heater
insertion space
upper case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경
박상규
한대남
이재민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3/0009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46220A1/en
Publication of KR2023011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6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제1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2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히터가 결합된 히터홀더;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3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추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의 교체주기가 개선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과열되는 것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 삽입 시 히터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제1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으로 개구된 제2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히터가 결합된 히터홀더;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으로 개구된 제3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추출기를 포함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의 교체주기가 개선된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과열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 삽입 시 히터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배터리(101), 제어부(102) 및 센서(1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1), 제어부(102) 및 센서(103)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바디(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는 스틱(S)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스틱(S)의 하단은 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틱(S)의 상단은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스틱(200)의 상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히터(50)는 스틱(S)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50)는 스틱(S)이 삽입되는 공간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50)는 스틱(S)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30)는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배터리(10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1)는, 제어부(102), 센서(103), 유도코일(15), 히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배터리(101), 유도코일(15), 센서(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03)는 히터(3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센서(103)가 센싱한 히터(30)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3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센서(103)가 센싱한 히터(30)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히터(30)를 둘러싸는 유도코일(15)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히터(30)를 발열시킬 수 있다. 히터(30)는 서셉터(susceptor)로서, 히터(30)는 유도코일(15)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터(30)를 관통하고, 히터(30)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류는 히터(30)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히터(30)는 배터리(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30)는 유도코일(15)이 필요없이, 배터리(101)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직접적으로 발열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는 내부에 제1 삽입공간(1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바디파이프(1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바디파이프(11)는 제1 삽입공간(14)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lateral wall)(111) 및 제1 삽입공간(14)의 바닥을 덮는 하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벽(112)은 바디파이프(11)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은, 바디(11)의 내측벽(inner lateral wall)(111)이라 명명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제1 삽입공간(1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내부에 제2 삽입공간(24)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히터홀더(20)의 파이프(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제2 삽입공간(24)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21) 및 제2 삽입공간(24)의 바닥을 덮는 하벽(22)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20')의 하벽(22)은 바닥(22) 또는 마운트(22)라 명명될 수 있다. 파이프(20')의 하벽(22)은 히터홀더(20)의 바닥(22)을 형성할 수 있다. 히터(50)는 히터홀더(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히터홀더파이프(20')라 명명할 수 있다.
추출기(30)는 제2 삽입공간(2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내부에 제3 삽입공간(34)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추출기(30)의 측벽(31)과 하벽(3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추출기(30)의 외주면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S)의 하단은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되고, 스틱(S)의 상단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50)는 제1 삽입공간(14), 제2 삽입공간(24) 및 제3 삽입공간(34)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50)는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된 스틱(S)을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삽입공간(14, 24, 34)과 삽입공간(14, 24, 34)에 배치된 히터(50)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교체가 어려울 수 있으나, 사용자는, 히터홀더(20)를 에어로졸 생성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히터홀더(20)를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배치시켜, 히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은 히터(50)의 주변 및 히터홀더(20)에 남지 않고, 추출기(3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 주변의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가 용이해지고, 관리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의 성능을 저감시키는 요인을 줄이고, 히터(5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히터(50)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스틱(S)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을 줄일 수 있다.
히터(50)의 하단은 마운트(22)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50)는 제2 삽입공간(24)의 개구를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측으로 뾰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5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히터홀더(20)의 측벽(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써, 히터(50)의 형상은 전술하거나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히터홀더(20)에 결합되어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된 스틱(S)을 가열할 수 있으면 된다.
히터홀더(20)는 히터(50)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고내열성과 우수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홀더(20)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홀더(20)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통홀(35)은 추출기(30)의 하벽(32)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5)은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에 추출기(30)가 삽입되면, 히터(50)는 관통홀(35)을 관통하여 제3 삽입공간(34)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에 스틱(S)이 삽입되면, 히터(50)는 스틱(S)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제1 삽입공간(14)을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의 둘레를 권선할 수 있다. 유도코일(15)는 히터(50)를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히터(50)를 발열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50)는 히터홀더(20)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전력 공급원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스틱(S)은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가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틱(S)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은 히터(50)의 주변 및 히터홀더(20)에 남지 않고, 추출기(3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 주변의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가 용이해지고, 관리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의 성능을 저감시키는 요인을 줄이고, 히터(5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히터(50)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스틱(S)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을 줄일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바디(10)와 추출기(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은 히터홀더(20)의 측벽(21)을 둘러쌀 수 있다. 바디파이프(11)의 하벽(112)은 히터홀더(20)의 하벽(22)을 마주할 수 있다. 히터홀더(20)의 측벽(21)은 추출기(30)의 측벽(31)을 둘러쌀 수 있다. 히터홀더(20)의 하벽(22)은 추출기(30)의 하벽(32)을 마주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측벽(31)은 히터홀더(20)의 측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추출기(30)의 하벽(32)은 히터홀더(20)의 하벽(2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의 사이를 유동하여, 관통홀(35)을 통과한 뒤,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된 스틱(S)에 제공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벽(12)은 바디파이프(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벽(12)은 유도코일(15)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벽(outer lateral wall)(13)은 바디(10)의 상벽(12)의 외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벽(13)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을 마주할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벽(13)은 바디파이프(1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바디파이프(11)와 바디(10)의 외측벽(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제1 삽입공간(14)의 주변과 바디(10)의 상부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구(44)를 구비할 수 있다. 스틱(S)은 삽입구(44)에 삽입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구(44)를 개폐하는 캡(45)을 포함할 수 있다. 캡(45)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삽입구(44)를 개폐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바디(10)와 어퍼케이스(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어퍼케이스바디(4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44)는 어퍼케이스바디(41)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44)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은, 바디(10)의 상벽(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은, 바디(10)의 상벽(12)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캡(45)은 어퍼케이스바디(41)의 상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어퍼케이스윙(4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윙(42)은 어퍼케이스바디(41)의 양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바디(41)의 측부분의 일부는,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도 7 참조). 어퍼케이스윙(42)은 어퍼케이스그립(4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 추출기(30)의 상단은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되며, 추출기(30)의 하단은 어퍼케이스(4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삽입구(44)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삽입구(44)는 제3 삽입공간(3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구(44)는 제3 삽입공간(34)을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추출기(30)의 상단은 어퍼케이스바디(41)에 결합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어퍼케이스바디(4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출기(30)은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는 바디윙(1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윙(16)은 바디(10)의 상벽(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윙(16)은 바디(10)의 상부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바디윙(16)은 어퍼케이스윙(42)과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어퍼케이스(4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바디윙(16)는 어퍼케이스윙(42) 사이로 노출된 어퍼케이스바디(41)의 측부분을 덮을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어퍼케이스윙(42)은 바디(10)의 외측벽(13)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퍼케이스(40)의 외관을 잡고 바디(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된 추출기(30)를 그립하는 불편함없이 추출기(30)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을 잡고 바디(10)로부터 당겨 어퍼케이스(40)와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는 걸림돌기(37)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추출기(30)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돌기(26)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열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삽입구(44) 주변에서 어퍼케이스바디(4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추출기(30)를 어퍼케이스(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어퍼케이스바디(41)에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의 삽입 및 분리 과정에서, 추출기(30)가 어퍼케이스(4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연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히터홀더(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파이프(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3)는 파이프(20')를 중심으로 일측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히터홀더연장부(23)라 명명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20')가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되면,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지지되거나 안착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벽(12)은 연장부를 지지하고, 연장부(23)는 파이프(20')를 지지할 수 있다. 파이프(20')는 연장부(23)에 매달려 바디파이프(11)의 바닥(1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20')의 외주면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어 추출기(30)가 파이프(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히터홀더(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의 내부 또는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제1 결합부재(27) 및 히터(5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제1 연장부(231) 및 제2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파이프(2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 연장부(232)는 파이프(20')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의 둘레는 제2 연장부(232)의 둘레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의 연장부(2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파이프(20')를 기준으로, 일측은 제1 연장부(231)이고, 타측은 제2 연장부(232)로 정의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연장부(23)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진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의 부분 중, 파이프(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더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2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제1 연장부(23)에 수평방향으로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파이프(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재(27)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결합부재(47)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윙(4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2 결합부재(47)는 추출기(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제1 결합부재(27)와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이고, 제2 결합부재(47)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재(27) 및 제2 결합부재(47)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10)의 상벽(12)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결합부재(17)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에 인접할 수도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제1 결합부재(27)와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이고, 제3 결합부재(17)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재(27) 및 제3 결합부재(17)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20')의 측벽(21)의 외주면은,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20')의 측벽(21)의 외주면의 횡단면은, 다각형일 수 있다. 파이프(20')의 측벽(21)의 외주면은,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각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20')의 외주면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히터(50)는 추출기(30)와 파이프(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추출기(30)와 파이프(20')는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로부터 발생한 열이 파이프(20')를 통해 바디파이프(11, 도 3 참조)로 전달되는 양을 줄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과열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5)는 파이프(2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파이프(20')와 연장부(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제2 삽입공간(24)의 개구와 접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제2 삽입공간(24)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5)는 추출기(30)의 하부에 접촉하여, 추출기(30)가 제2 삽입공간(24)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히터(50)의 하단은 마운트(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히터(50)는 히터봉(51)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봉(51)은 히터(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히터봉(51)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봉(51)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봉(51)은 하측으로 개구된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중공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봉(51) 내부의 중공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봉(51)의 상단은 상측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봉(51)은 높은 열확장성과, 우수한 열 절연성 및 낮은 열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히터봉(51)은 강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봉(51)은 지르코니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봉(51)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50)는 발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52)는 히터봉(51) 내부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저항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52)로부터 발생된 열은 히터봉(51)을 통해 히터(5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제3 삽입공간(34)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발열부(52)의 하단은 관통홀(35)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히터(50)는 지지체(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53)는 히터봉(51)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체(53)는 발열부(5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53)는 중공에서 히터봉(51)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53)는 발열부(5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53)의 하단은 마운트(22)의 바닥(2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마운트(22)의 중심에 형성된 홀(22c)은, 히터홀더(20)을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22c)의 폭은, 지지체(5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체(5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홀(22c)은 부재할 수 있다. 지지체(53)는 높은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체(53)는 발열부(52)의 발열에 의해 열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체(53)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체(53)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50)는 플랜지(5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55)는 히터봉(5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5)는 히터봉(51) 하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55)는 히터봉(51)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봉(51)의 하단 및 플랜지(55)는 마운트(22)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22)는 히터홀더(20)가 히터(50)에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플랜지(55)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55)의 외주면의 횡단면은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트(22)의 내주면은, 플랜지(55)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트(22)의 내주면과 플랜지(55)의 외주면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이 히터(50)에 분리되거나 삽입되는 과정에서, 히터(50)가 히터홀더(2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55)는 제1 걸림부(5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플랜지(55)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플랜지(5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플랜지(5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운트(22)는 제2 걸림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22b)는 마운트(22)의 홈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b)는 제1 걸림부(55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제2 걸림부(22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와 제2 걸림부(22b)는 상하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a)는 제1 걸림부(55a)를 지지하여, 플랜지(55)가 마운트(22)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파이프(20') 또는 제2 삽입공간(24)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측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1 연장부(231)의 길이(L1)는 제2 연장부(23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장부(231)의 길이(L1)는 제2 삽입공간(24)의 지름(L0)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제1 연장부(231)의 길이(L1)는 제2 연장부(L2)의 길이보다 제2 삽입공간(24)의 지름(L0)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제1 연장부(23)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되면,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와 결합된 상태로, 어퍼케이스(40)와 함께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홀더(20)가 결합된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추출기(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추출기(30)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히터홀더(20)는 추출기(30)와 함께 결합된 상태로, 추출기(30)와 함께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홀더(20)가 결합된 추출기(3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는 추출기(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 및 제2 결합부재(4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히터홀더(20)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 수 있다. 일례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중 어느 하나는 강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전기력이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인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된다.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대응되는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대응되는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3)의 상면은, 어퍼케이스바디(41)에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어퍼케이스바디(41)에 지지되는 면적이 클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제1 연장부(231)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 작용에 의해, 제1 연장부(231)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터(20)는 스크류 결합 방식에 의해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어퍼케이스(40)에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체결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히터홀더(20)과 어퍼케이스(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냅핏(snap-fit) 결합 방식에 의해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와 어퍼케이스(40) 중 어느 하나는 결합용 후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후크가 결합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히터홀더(20)가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히터홀더(2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된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어퍼케이스윙(42)보다 어퍼케이스바디(41)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를 잡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어퍼케이스(4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홀더(20)는 바디(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바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는 바디(10) 및 히터홀더(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가 바디(10) 및 히터홀더(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는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 및 제3 결합부재(1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히터홀더(20)를 바디(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중 어느 하나는 강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전기력이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인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된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을 덮고, 파이프(20')는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대응하는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바디(10)의 일측 상벽(12)에 대응되고, 제2 연장부(232)는 바디(10)의 타측 상벽(12)에 대응될 수 있다. 연장부(23)의 하면은, 바디(10)의 상벽(12)에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바디(10)에 지지되는 면적이 클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제1 연장부(231)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10)의 상벽(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제1 연장부(231)에 배치되고, 제3 결합부재(17)는 제1 연장부(231)에 덮힌 바디(10)의 일측 상벽(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47) 간의 인력 작용에 의해, 제1 연장부(231)는 바디(10)의 상벽(12)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크류 결합 방식에 의해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디(10)에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체결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히터홀더(20)와 바디(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냅핏(snap-fit) 결합 방식에 의해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와 바디(10) 중 어느 하나는 결합용 후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후크가 결합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히터홀더(20)가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히터홀더(2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에 결합된 연장부(23)는 바디(10)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한 쌍의 바디윙(1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한 쌍의 바디윙(16)의 사이에서, 바디(10)의 외측벽(13)(outer lateral wall)에 인접하거나, 외측벽(13)에 상하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를 잡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는 바디(1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바디(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하고,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재(47)와 제3 결합부재(17) 각각은, 자석이고, 제1 결합부재(27)는 제1 결합부재(47)와 제3 결합부재(17)의 사이에서,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 각각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이고,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 각각은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결합부재(27)는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 각각과 전기력이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인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히터홀더(20)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를 바디(10) 또는 추출기(30) 측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는 바디(10)에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 및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과, 제1 결합부재(27) 및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은,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분리할 때, 히터홀더(20)는 함께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에 히터홀더(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10)에 결합시킬 경우,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에 의해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며,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은,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로부터 분리할 때, 히터홀더(20)는 바디(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이탈되어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히터홀더(200)는 히터홀더윙(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홀더윙(260)은 히터홀더(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홀더윙(260)은 연장부(2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홀더윙(260)은 연장부(2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히터홀더윙(260) 각각은,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의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 및/또는 제1 결합부재(27)는 히터홀더윙(260)에 배치될 수 있다.
윙삽입홈(415)은, 한 쌍의 어퍼케이스바디(42)의 사이에서, 어퍼케이스바디(41)의 측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윙삽입홈(415)은 한 쌍의 히터홀더윙(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윙삽입홈(415)은 히터홀더윙(26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홀더윙(260)은 히터홀더그립(260)이라 명명될 수 있다. 윙삽입홈(415)은 그립삽입홈(415) 또는 그립홈(415)이라 명명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가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되면, 히터홀더윙(260)은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 사이에서, 어퍼케이스바디(41)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히터홀더윙(260)은 윙삽입홈(415)에 삽입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윙(42)은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의 사이에서 어퍼케이스(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히터홀더윙(260)을 잡고, 어퍼케이스(40)로부터 하측으로 당겨 어퍼케이스(40)와 히터홀더(2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히터홀더윙(260)는, 그립의 편의를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거나,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파이프(21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파이프(210)의 측벽(211)은 제2 삽입공간(2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파이프(210)의 바닥(212)은 파이프(210)의 측벽(211)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파이프(210)의 바닥(212)은 개구될 수 있다.
마운트(220)는 파이프(2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220)는 파이프(210)의 바닥(212)에 형성된 개구를 덮을 수 있다. 히터(5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55)는 마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50)는 마운트(220)로부터 제2 삽입공간(24)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운트(220)는 파이프(21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210)는 후크(27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70)는 파이프(210)의 바닥(21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270)는 파이프(21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마운트(220)는 걸림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227)는 후크(27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7)는 후크(270)에 체결되어, 마운트(220)와 파이프(210)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마운트(220)가 파이프(210)에 결합되면, 후크(270)는 마운트(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220)는 파이프(210)에 분리 가능한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210)는 파이프림(213)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림(213)은 파이프(2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림(213)은 파이프(210)의 측벽(21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파이프(210)의 바닥(21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파이프림(213)은 파이프(210)의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파이프림(213)은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마운트(220)는 상측으로 개구된 림삽입홈(224a)을 포함할 수 있다. 림삽입홈(224a)은 마운트(220)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림삽입홈(224a)은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마운트(220)는 바닥(22a), 내둘레벽(222) 및 외둘레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22a)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둘레벽(223)은 바닥(22a)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둘레벽(223)은 바닥(22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둘레벽(222)은 바닥(22a)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둘레벽(222)은 외둘레벽(223)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림삽입홈(224a)은 외둘레벽(223)과 내둘레벽(2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림삽입홈(224a)은 파이프림(21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림(213)은 림삽입홈(224a)에 삽입되거나, 압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마운트(2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트(220)는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운트(220)는 러버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운트(220)의 소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걸림부(227)는 외둘레벽(223)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227)는 외둘레벽(223)으로부터 림삽입홈(224a)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270)는 파이프림(213)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파이프림(213)이 림삽입홈(224a)에 끼워지면 후크(270)는 걸림부(227)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홀(224b)은 걸림부(227) 및 후크(27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운트(220)의 바닥(22a)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홀(224b)은 림삽입홈(224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홀(224b)은 림삽입홈(224a)과 연통될 수 있다. 후크(270)는 후크홀(224b)에 삽입되어 걸림부(227)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270)가 걸림부(227)에 체결될 때, 후크홀(224b)과 림삽입홈(224a)은 탄성 변형을 통해 벌어질 수 있다. 후크홀(224b)은 변형홀(224b)이라 명명될 수 있다.
파이프림(213)과 림삽입홈(224a)은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림(213)의 둘레와 림삽입홈(224a)의 둘레의 횡단면은 각각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림(213)의 둘레와 림삽입홈(224a)의 둘레는 각각 곡선구간과 직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림(213)과 림삽입홈(224a)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의 외주면은 파이프(210)의 외주면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의 외주면은 제1 삽입공간(14)의 둘레보다 작을 수 있다.
마운트(220)는 파이프(2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은 파이프(210)의 하단을 둘러쌀 수 있다. 마운트그립(225)은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운트그립홈(225a)은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그립(225)은 마운트그립홈(225a)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운트그립(225)과 마운트그립홈(225a)은 걸림부(227) 및 후크(270)와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운트그립(225)은 마운트(2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운트(220)를 잡고 파이프(210)로부터 분리하여, 히터(50)나 히팅홀더(20)를 청소하거나, 히터(50)를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운트그립(225)을 잡고 마운트(220)를 벤딩시켜, 후크체결을 해제하고, 마운트(220)와 파이프(21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이 히터(5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마운트(220)가 파이프(21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한 쌍의 마운트그립(225)은 마운트(22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227)는 마운트(22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부(227)가 형성된 방향은, 축방향(DS) 또는 고정단방향(DS)이라 정의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운트그립(225)이 형성된 방향은, 그립방향(DG)이라 정의될 수 있다. 축방향(DS)과 그립방향(DG)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축방향(DS)과 그립방향(DG)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걸림부(227)는 제1 경사면(2271) 및 제1 평탄면(22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271)은 걸림부(227)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271)은 걸림부(227)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내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탄면(2272)은 걸림부(227)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평탄면(2272)은 수평방향으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평탄면(2272)은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의 내주면으로부터 축방향(DS)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평탄면(2272)은 축방향(DS)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돌출된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후크(270)는 제2 경사면(271) 및 제2 평탄면(2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271)은 후크(27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면(271)은 후크(27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외측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후크(27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수평방향으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제1 평탄면(2272)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파이프림(213)으로부터 축방향(DS)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돌출된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가장자리가 곡률지게 곡선을 형성하며, 돌출된 방향으로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2 평탄면(272)은 그립방향(DG)을 따라 양 단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후크(270)는 걸림부(227)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270) 및 걸림부(2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크(270)가 걸림부(227)에 체결될 때, 외둘레벽(223)을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270)를 걸림부(227)에 체결할 때, 제1 경사면(2271)과 제2 경사면(271)이 서로 접촉되면,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은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후크(270)가 후크홀(224b)을 향해 인입되어 걸림부(227)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변형된 외둘레벽(223)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후크(270)와 걸림부(227)는, 상하 외력으로는 해체되지 않는 스냅핏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평탄면(2272) 및 제2 평탄면(272)은 서로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270)가 걸림부(227)에 체결되면, 제1 평탄면(2272)과 제2 평탄면(272)은 서로 수평방향으로 면접촉될 수 있다. 제1 평탄면(2272)과 제2 평탄면(272)이 서로 접촉되는 면을 접촉면(A)이라 정의할 수 있다. 하측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제1 평탄면(2272)은 접촉면(A)에서 제2 평탄면(272)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에 히터(50)가 삽입될 때, 스틱(S)이 마운트(220)에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마운트(220)가 파이프(210)로부터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엣지(2273)는 걸림부(227)가 돌출된 방향을 기준으로, 걸림부(227)의 끝단에서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엣지(273)는 제2 평탄면(272)이 돌출된 방향을 기준으로, 후크(270)의 끝단에서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엣지(2273)와 제2 슬라이딩엣지(273)는 접촉면(A)의 가장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엣지(2273)는 걸림부엣지(2273)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엣지(273)는 후크엣지(273)라 명명될 수 있다.
어느 한 제1 슬라이딩엣지(2273)와 어느 한 제2 슬라이딩엣지(273)는 두 접점(B)에서 교차될 수 있다. 접촉면(A)은, 그립방향(DG)을 따라 양 접점(B)으로 향할수록 면적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엣지(2273)는 접점(B)으로부터 접촉면(A)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엣지(2273)가 접첨(B)으로부터 접촉면(A)의 외측으로 연장된 구간을 벤딩구간(2273a)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엣지(273)는 접점(B)으로부터 접촉면(A)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에 히터(50)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마운트(220) 및 히터(50)가 히터모듈(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마운트(220)를 벤딩시켜 파이프(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도 22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마운트그립(225)은 그립방향(DG)을 기준으로 마운트(22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그립(225)과 마운트그립홈(225a)은 파이프(2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마운트그립홈(225a)은 파이프(210)의 바닥(212)과 마운트그립(2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쌍의 마운트그립(225) 중 적어도 하나를 잡고 파이프(210)로부터 하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때, 마운트(220)는 축방향(DS)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270)와 한 쌍의 걸림부(227)를 고정단으로 하여, 하측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 23은, (a)에서부터 (b), (c)까지 순차적으로, 고정단으로부터 마운트(220)의 벤딩각도가 점차 커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접촉면(A)은, 그립방향(DG)을 따라 양 접점(B)으로 향할수록 면적이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마운트(220)를 벤딩시킬 때, 접점(B)으로부터 접촉면(A)의 외부로 연장된 제1 슬라이딩엣지(2273)의 벤딩구간(2273a)은 후크(270)의 저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운트(220)가 벤딩되면, 벤딩구간(2273a)은 마운트(220)가 벤딩되는 방향으로 함께 벤딩될 수 있다. 벤딩구간(2273a)은 제2 슬라이딩엣지(273)에 슬라이딩 접촉되고, 마운트(220)의 외둘레벽(223)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마운트(220)의 벤딩각도가 커질수록, 접점(B)으로부터 접촉면(A)의 외부로 연장된 제1 슬라이딩엣지(2273)의 길이는 점차 길어질 수 있다. 마운트(220)의 벤딩각도가 커질수록, 두 접점(B) 간의 거리는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운트(220)의 벤딩각도가 커질수록, 후크(270)와 걸림부(227)의 접촉면(A)이 점차 작아짐으로써, 후크(270)과 걸림부(227) 간의 체결력이 서로 분리될 때까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에 히터(50)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마운트(220) 및 히터(50)가 히터모듈(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마운트(220)를 벤딩시켜 파이프(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제1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2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히터가 결합된 히터홀더;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3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추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 주변을 덮고, 상기 추출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삽입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된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히터홀더에 배치된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외측을 덮는 히터홀더윙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히터홀더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과 인력이 작용되는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 및 상기 바디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히터홀더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 사이의 인력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3 결합부재 사이의 인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제2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파이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의 개구 주변에서 상기 파이프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삽입공간의 개구 주변에서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가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 주변을 덮고, 상기 추출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삽입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케이스;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는, 바닥에 상기 제3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2 삽입공간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제3 삽입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 주변을 덮고, 상기 추출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삽입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홀더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2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히터홀더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제1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추출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제1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하로 개구된 제2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하단에 후크가 형성된 파이프; 및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삽입공간의 하측 개구를 덮고,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 돌출되는 히터가 고정된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는, 서로 체결되면, 수평방향으로 접촉면(A)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크는, 상기 파이프 하단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마운트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는, 상기 한 쌍의 걸림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하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의 벤딩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접촉면의 면적은 작아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걸림부의 끝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엣지; 및 상기 후크의 끝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슬라이딩엣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딩엣지와 상기 제2 슬라이딩엣지는, 상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접점(B)에서 서로 교차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접점을 향할수록 면적이 점차 작아지고, 상기 제1 슬라이딩엣지는, 상기 접점으로부터 상기 접촉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운트와 함께 벤딩되는 벤딩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가 벤딩되면, 상기 벤딩구간이 벤딩되면서 제2 슬라이딩엣지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상기 접촉면의 면적이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는, 상기 고정단에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외둘레벽으로부터 돌출된 마운트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형성된 파이프림; 및 상기 마운트의 외둘레벽과 내둘레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파이프림이 삽입되는 림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크는, 상기 파이프림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외둘레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체결될 때, 상기 걸림부와 상기 외둘레벽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밀어내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서, 상기 마운트의 바닥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림삽입홈과 연통되는 변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림은, 상기 외둘레벽과 상기 내둘레벽의 사이에 압입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림과 상기 마운트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히터와 상기 마운트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3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바닥에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추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제1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0)

  1. 상측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상기 제1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2 삽입공간을 제공하고, 히터가 결합된 히터홀더;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제3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 주변을 덮고, 상기 추출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삽입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된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에 배치된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의 외측을 덮는 히터홀더윙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과 인력이 작용되는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어퍼케이스 및 상기 바디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 사이의 인력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3 결합부재 사이의 인력은 서로 다른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제2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파이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의 개구 주변에서 상기 파이프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삽입공간의 개구 주변에서 상기 바디에 지지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3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바디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 주변을 덮고, 상기 추출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삽입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케이스;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어퍼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는,
    바닥에 상기 제3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2 삽입공간의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가 상기 제3 삽입공간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 주변을 덮고, 상기 추출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3 삽입공간의 개구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홀더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2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히터홀더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추출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20092614A 2022-01-25 2022-07-26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4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0977 WO2023146220A1 (en) 2022-01-25 2023-01-19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0832 2022-01-25
KR1020220010832 2022-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683A true KR20230114683A (ko) 2023-08-01

Family

ID=8756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614A KR20230114683A (ko) 2022-01-25 2022-07-26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9360B1 (en) System comprising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dapter element
RU2689410C2 (ru) Мультиплита
JP705686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20040161951A1 (en) Quick-release appliance cord assembly
KR2023011468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468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TW202045040A (zh) 氣溶膠產生裝置
US20230180854A1 (en)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KR2024003185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5558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173503A1 (en) Heated tobacco product
CN209234988U (zh) 加热器
CN104810697B (zh) 电连接器及其相应的固定装置
CN217609538U (zh) 气溶胶生成装置
CN115226952A (zh) 气溶胶产生装置
KR101580913B1 (ko) 튜브밀착형 튜브클립
KR10225304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482321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5738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0296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0297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7041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15864A (ko) 청소키트
KR20240015865A (ko) 청소키트
CN114641224A (zh) 液体加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