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864A - 청소키트 - Google Patents

청소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864A
KR20240015864A KR1020220093645A KR20220093645A KR20240015864A KR 20240015864 A KR20240015864 A KR 20240015864A KR 1020220093645 A KR1020220093645 A KR 1020220093645A KR 20220093645 A KR20220093645 A KR 20220093645A KR 20240015864 A KR20240015864 A KR 2024001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d
frame
stopper
cleaning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09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864A/ko
Priority to PCT/KR2023/010538 priority patent/WO2024025259A1/en
Publication of KR2024001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9/00Accessories for smokers' pipes
    • A24F9/04Cleaning devices f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키트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청소키트는, 길게 연장된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블레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키트{CLEANING KIT}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키트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 성능과 편의를 개선하는 청소키트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대상을 청소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컴팩트한 크기로 제작 가능한 청소키트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된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블레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는 청소키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 성능과 편의를 개선하는 청소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대상을 청소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컴팩트한 크기로 제작 가능한 청소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배터리(10A), 제어부(10B), 및 센서(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A), 제어부(10B) 및 센서(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바디(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는 제1 삽입공간(14, 도 3 참조)을 형성하는 파이프(11, 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11, 12)의 제1 측벽(11)은 제1 삽입공간(1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파이프(11, 12)의 제1 플랜지(12)은 제1 삽입공간(14)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추출기(20)는 내부에 제2 삽입공간(2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추출기(20)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출기(20)의 제2 측벽(21)은 제2 삽입공간(2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추출기(20)의 제2 플랜지(22)은 제2 삽입공간(24)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관통홀(23)은 제2 플랜지(22)의 중심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20)는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될 수 있다. 추출기(20)가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되면 제2 삽입공간(24)은 제1 삽입공간(1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바디(10)의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의 직경은 제1 삽입공간(14)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과 제2 삽입공간(24)은 관통홀(23)을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는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는 제1 플랜지(12)으로부터 상측으로 제1 삽입공간(14)에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는 관통홀(23)을 통과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의 상부는 관통홀(23)을 통해 제2 삽입공간(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는 히터어셈블리(30)는 제2 삽입공간(24)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는 히터로드(31) 및 히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로드(31)는 제1 플랜지(12)으로부터 제1 삽입공간(14)을 향하여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로드(31)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로드(31)의 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로드(31)의 상단은 상측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33)는 히터로드(31)의 중공(3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33)는 히터로드(3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중공(34)은 하측으로 개구되되, 히터캡(35)에 의해 메워질 수 있다. 히터마운트(15)는 제1 플랜지(12)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로드(31)의 하단 및 히터캡(35)은 히터마운트(15)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33)는 저항성히터 일 수 있다. 히터(33)가 발열되면, 열은 히터로드(31)를 통과하여 제2 삽입공간(24)을 가열할 수 있다. 유도코일(13)은 히터(33)를 발열시킬 수 있다. 유도코일(13)은 제1 측벽(11)의 둘레를 상하로 권선하며, 제1 삽입공간(14) 및 히터(33)를 둘러쌀 수 있다. 히터(33)는 서셉터(susceptor)로서, 히터(33)는 유도코일(13)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터(33)를 관통하고, 히터(33)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류는 히터(33)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달리, 히터(33)는 직접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제1 삽입공간(14) 주위의 바디(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추출기(40)는 어퍼케이스(40)와 결합되어, 어퍼케이스(40)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와 결합되면, 추출기(20)는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되고, 히터어셈블리(30)는 제2 플랜지(22)의 관통홀(23)을 통과하여 제2 삽입공간(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구(44)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구(44)는 추출기(40)의 제2 삽입공간(24)의 상측에서 제2 삽입공간(24)과 정렬될 수 있다. 삽입구(44)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커버(45)은 어퍼케이스(4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45)은 삽입구(44) 및 제2 삽입공간(24)을 개폐할 수 있다.
배터리(10A)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A)는, 제어부(10B), 센서(10C), 유도코일(14), 히터봉(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A)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B)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B)는 배터리(10A), 유도코일(14), 센서(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B)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B)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0C)는 히터(33)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0B)는, 센서(10C)가 센싱한 히터(33)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33)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B)는, 센서(10C)가 센싱한 히터(33)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틱(S)은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S)은 삽입구(44)를 통과하여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S)의 상측은 추출기(20) 및 어퍼케이스(2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스틱(S)은 제2 삽입공간(24)에서 제2 측벽(21) 및 제2 플랜지(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관통홀(34)을 관통한 히터로드(31)는,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된 스틱(S)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S)은 히터로드(31) 내부의 히터(33)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스틱(S)의 일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공기는 관통홀(23)을 통해 스틱(S)으로 유입되어 에어로졸을 동반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청소키트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제1 삽입공간(14)과 제2 삽입공간(24)을 청소하는 도구일 수 있다. 청소키트는 프레임(100) 및 로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20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로드(200)의 외주면은 원주방향으로 곡률지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200)는 프레임(10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200)의 상단은,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로드(200)의 하단은, 프레임(100)의 하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로드(200)의 중심의 외부를 횡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청소키트는 제1 블레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로드(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의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첨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의 외주면은 로드(200)의 외주면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어퍼블레이드(310)라 명명될 수 있다.
청소키트는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핀(320)은 제1 블레이드(310)의 중심이 개구되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제1 블레이드홀(314, 도 9 참조)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핀(320)은 제1 블레이드(31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핀(320)은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핀(320)의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청소키트는 제2 블레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로드(20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의 하부는 원통 형상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는 첨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홀(334)은 제2 블레이드(330)의 중심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홀(33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의 외주면은 로드(200)의 외주면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어퍼블레이드(330)라 명명될 수 있다.
청소키트는 제1 캡(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410)은 프레임(10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410)은 로드(200)의 상단 및 제1 블레이드(310)를 감쌀 수 있다. 제1 캡(410)은 어퍼캡(410)이라 명명될 수 있다.
청소키트는 제2 캡(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430)은 프레임(10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캡(430)은 로드(200)의 하단 및 제2 블레이드(330)를 감쌀 수 있다. 제2 캡(430)은 로어캡(430)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캡(410) 및 제2 캡(430)은 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제1 캡(410) 및 제2 캡(430)이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외주면은, 제1 캡(410) 및 제2 캡(430)의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캡(410) 및 제2 캡(430)가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프레임(100)의 외주면을 잡은 상태에서, 제1 캡(410) 또는 제2 캡(43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캡(41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410)은,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된 제1 챔버(414)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200)의 상단, 제1 블레이드(310) 및 핀(320)은 제1 챔버(414)에 삽입되어, 제1 캡(41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1 리세스부(112a)는 프레임(100)의 상부 외주면이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세스부(112a)는 제1 캡(410)의 하부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캡(410)의 하부 내주면은 제1 리세스부(112a)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a)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a)는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a)는 제1 리세스부(112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홈(415)은 제1 캡(410)의 하부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415)은 제1 결합돌기(115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a)는 제1 결합홈(415)에 삽입되어 제1 캡(410)과 프레임(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a)와 제1 결합홈(415)은 분리 가능한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돌기가이드(416)는 제1 결합홈(415)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가이드(416)는 제1 결합홈(415)으로부터 제1 캡(410)의 하단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돌기가이드(416)는 제1 결합돌기(115a)를 제1 결합홈(415)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캡가이드(117a)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가이드(117a)는 제1 리세스부(112a)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캡가이드(117a)는 상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캡가이드(117a)는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417)은 제1 캡(410)의 하부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417)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417)은 제1 캡가이드(117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가이드(117a)는 제1 가이드홈(417)에 삽입되어 제1 캡(410)을 정위치로 배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캡(410)은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캡(410)은 프레임(100)에 대하여 정위치로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제1 캡(4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제1 캡(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푸셔(421)와 연동되는 제2 푸셔(422)는 제1 캡(41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1 챔버(414)를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로드(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푸셔(421) 및 제2 푸셔(422)는 제1 캡(41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로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제1 블레이드(310)의 외주면 및 로드(200)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아우터푸셔(421)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이너푸셔(422)라 명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캡(43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캡(430)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제2 챔버(434)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200)의 하단, 제2 블레이드(330)은 제2 챔버(434)에 삽입되어, 제2 캡(43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2 리세스부(112b)는 프레임(100)의 하부 외주면이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세스부(112b)는 제2 캡(430)의 상부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캡(430)의 상부 내주면은 제2 리세스부(112b)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15b)는 프레임(1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15b)는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15b)는 제2 리세스부(112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홈(435)은 제2 캡(430)의 상부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435)은 제2 결합돌기(115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15b)는 제2 결합홈(435)에 삽입되어 제2 캡(430)과 프레임(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돌기(115b)와 제2 결합홈(435)은 분리 가능한 스냅핏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기가이드(436)는 제2 결합홈(435)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가이드(436)는 제2 결합홈(435)으로부터 제2 캡(430)의 상단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돌기가이드(436)는 제2 결합돌기(115b)를 제2 결합홈(435)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캡가이드(117b)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가이드(117b)는 제2 리세스부(112b)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캡가이드(117b)는 하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캡가이드(117b)는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417)은 제2 캡(430)의 상부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417)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417)은 제2 캡가이드(117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가이드(117b)는 제2 가이드홈(417)에 삽입되어 제2 캡(430)을 정위치로 배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캡(430)은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캡(430)은 프레임(100)에 대하여 정위치로 배열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로드(200)는 제1 로드(210) 및 제2 로드(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로드(210) 및 제2 로드(22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로드(210)는 제2 로드(22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220)는 한 쌍의 제1 로드(2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드(210)는 제2 로드(22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로드(210) 및 제2 로드(220)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제1 로드(210)의 외면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22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로드(210)는 제2 로드(220)로부터 제2 로드(220)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슬릿(204)은 제1 로드(210) 및 제2 로드(2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204)은 제1 로드(210), 제2 로드(220),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4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슬릿(204)은 횡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슬릿(204)은 제2 로드(220)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20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로드(210)의 상단과 제2 로드(220)의 상단은 제1 연결부(2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드(210)의 하단과 제2 로드(220)의 하단은 제2 연결부(24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로드(210)의 외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로드(22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토퍼(213) 제1 로드(210)의 외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스토퍼(213)는 제2 로드(22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스토퍼(213)의 상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 및/또는 제2 스토퍼(213)는 한 쌍의 제1 로드(210)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윙(212)은 제1 스토퍼(21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윙(212)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윙(212)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2 로드(220)로부터 제1 로드(2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1 로드(210)를 마주하는 제2 로드(220)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2 로드(21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2 로드(220)의 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1 스토퍼(21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23)는 제2 로드(220)로부터 제1 로드(2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23)는 제1 로드(210)를 마주하는 제2 로드(220)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23)는 제2 로드(21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23)는 제2 로드(220)의 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4 스토퍼(223)보다 상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보강로드(225)는 제2 로드(220)로부터 제1 로드(210)를 향하여 제2 로드(22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강로드(225)는 제2 로드(22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로드(225)는 제2 로드(220)의 면을 따라 종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보강로드(225)는 제2 로드(22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로드(225)는 제3 스토퍼(221) 및 제4 스토퍼(2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보강로드(225)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스토퍼(223)는 보강로드(225)로부터 양측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로드(225)는 제2 로드(2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로드헤드(232)는 로드(2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드헤드(232)는 제1 연결부(23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드헤드(232)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로드헤드(232)의 외주면과 제1 연결부(231)의 외주면은, 상하로 나란하며,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233)는 제1 로드헤드(232)와 제1 연결부(231)의 사이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33)는 로드(20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로드헤드(242)는 로드(2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헤드(242)는 제2 연결부(23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로드헤드(2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243)는 제2 연결부(241) 및 제2 로드헤드(2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243)의 외주면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디스크(243)의 외주면은 제2 로드헤드(242)보다 반경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로드(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1 로드헤드(2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상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첨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1 블레이드바디(311) 및 제1 블레이드챔퍼(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바디(311)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챔퍼(312)는 제1 블레이드바디(311)의 상단에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챔퍼(312)는 제1 블레이드바디(311)의 상단면이 경사지게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챔퍼(312)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1 블레이드엣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엣지(313)는 제1 블레이드(310)의 끝단에서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챔퍼(312)는 제1 블레이드엣지(313)에서 서로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블레이드챔퍼(312)는 제1 블레이드엣지(313)로부터 양측으로 하측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엣지(313)는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될 수 있다(도 26 내지 도 28 참조).
핀(320)은 제1 블레이드(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핀(320)은 제1 블레이드(310)의 상단 중심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핀(320)은 핀블레이드(321)을 포함할 수 있다. 핀(320)은 핀팁(322)을 포함할 수 있다. 핀팁(322)은 핀블레이드(32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핀블레이드(321)는 제1 블레이드(310)의 상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핀블레이드(321)는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블레이드(321)의 외주면은 세레이션(serration) 형상 또는 나선(spira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팁(322)은 상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핀팁(322)은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320)은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핀블레이드(321) 및 핀팁(322)은 관통홀(23)을 통과할 수 있다(도 26 내지 도 28 참조).
제2 블레이드(330)는 로드(20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2 로드헤드(2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하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첨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2 블레이드바디(331) 및 제2 블레이드챔퍼(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바디(331)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챔퍼(332)는 제2 블레이드바디(331)의 하단에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챔퍼(332)는 제2 블레이드바디(331)의 하면이 경사지게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챔퍼(332)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2 블레이드엣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엣지(333)는 제2 블레이드(333)의 끝단에서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챔퍼(332)는 제2 블레이드엣지(333)에서 서로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블레이드챔퍼(332)는 제2 블레이드엣지(333)로부터 양측으로 상측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엣지(333)는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메탈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의 중심은 개구되어 제2 블레이드홀(3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홀(33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되고, 히터바디(31)는 제2 블레이드홀(334)에 삽입될 수 있다(도 35 내지 도 37 참조).
재1 블레이드(310)의 직경(D1) 또는 폭(D1)은 제2 블레이드(330)의 직경(D2) 또는 폭(D2)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의 직경(D2)은 제1 블레이드(310)의 직경(D1)보다 클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의 직경은, 제2 삽입공간(2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2 삽입공간(24, 도 1 참조))에 삽입되어 제2 삽입공간(24)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의 직경(D1)은, 제2 삽입공간(24)의 직경과 대략 유사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1 삽입공간(14, 도 1 참조)에 삽입되어 제1 삽입공간(14)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의 직경(D2)은, 제1 삽입공간(14)의 직경과 대략 유사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로드(210) 각각은, 제2 로드(220)를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로드(210)와 제2 로드(220)는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로드(210)와 제2 로드(220)의 사이의 슬릿(204)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이때, 제1 로드(210)에 고정된 제1 스토퍼(211), 윙(212) 및 제2 스토퍼(213)는 제1 로드(210)와 함께 제2 로드(22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로드(200)는 강성과 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20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310)는 제1 블레이드픽서(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픽서(315)는 제1 블레이드(3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픽서(315)는 제1 블레이드바디(311)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픽서(315)의 횡단면은 비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레이드픽서(315)의 외주면은, 세레이션 형상이거나, 원주방향으로 마찰을 주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블레이드픽서(315)의 횡단면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로드헤드(232)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제1 블레이드결합홈(2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픽서(315)는 제1 블레이드결합홈(23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로드헤드(232)의 내주면(235)은 제1 블레이드픽서(315)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레이드픽서(315)와 제1 로드헤드(232)의 내주면(235)은 서로 대응되는 세레이션 형상을 가져, 서로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픽서(315) 및 제1 블레이드결합홈(234)의 외주면(235)은 서로 맞물려,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블레이드(310)의 로드(200)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핀(320)은 핀바디(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핀바디(323)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핀바디(323)는 핀블레이드(3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320)은 핀픽서(325)를 포함할 수 있다. 핀픽서(325)는 핀바디(323)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핀픽서(323)의 횡단면은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픽서(323)의 외주면은 세레이션 형상이거나, 원주방향으로 마찰을 주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핀픽서(323)의 횡단면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상측으로 개구된 제1 블레이드홀(3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홀(314)의 외주면은, 핀픽서(323)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픽서(323)의 외주면과 블레이드홀(314)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되는 세레이션 형상을 가져, 서로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핀픽서(325) 및 제1 블레이드홀(314)의 외주면은 서로 맞물려,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핀(320)의 로드(200)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키트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도 26 참조), 제1 블레이드(310) 및/또는 핀(320)이 로드(2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블레이드(310) 및/또는 핀(3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블레이드(330)는 제2 블레이드픽서(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픽서(335)는 제2 블레이드(33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픽서(335)는 제2 블레이드바디(33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픽서(335)의 횡단면은 비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블레이드픽서(335)의 외주면은, 세레이션 형상이거나, 원주방향으로 마찰을 주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블레이드픽서(335)의 횡단면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로드헤드(242)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된 제2 블레이드결합홈(24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픽서(335)는 제2 블레이드결합홈(24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로드헤드(242)의 내주면(245)은 제2 블레이드픽서(335)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블레이드픽서(335)와 제2 로드헤드(242)의 내주면(245)은 서로 대응되는 세레이션 형상을 가져, 서로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픽서(335) 및 제2 블레이드결합홈(244)의 외주면(245)은 서로 맞물려,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2 블레이드(330)의 로드(200)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키트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도 34 참조), 제2 블레이드(330)가 로드(2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블레이드(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로드홀(104)이 형성된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0)의 내벽(120)은 로드홀(104)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로드홀(104)은 프레임(100)의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로드(200)는 로드홀(104)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리세스부(112a) 및 제2 리세스부(112b)는 프레임(100)의 외벽(110)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내벽(120)은 외벽(110)보다 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130)는 프레임(100)의 내벽(120)과 외벽(1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내벽(120)과 외벽(110)을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120)의 내벽(120)은 제1 내벽(120a) 및 제2 내벽(120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내벽(120a)과 한 쌍의 제2 내벽(120b)은 로드홀(104)을 정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내벽(120a)은 로드홀(104)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내벽(120b)은 로드홀(104)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향되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내벽(120a)의 양단은 한 쌍의 제2 내벽(120b) 각각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내벽(120b)의 양단은 은 한 쌍의 제1 내벽(120a) 각각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벽(120a)과 제2 내벽(120b)은 둘레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제1 걸림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21)는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21)는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의 상단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걸림부(121)는 로드홀(104)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제2 걸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123)는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23)는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의 하단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걸림부(123)는 로드홀(104)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23)는 제1 걸림부(121)와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23)는 제1 걸림부(1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21)와 제2 걸림부(123)는, 서로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21)와 제2 걸림부(123)가 이격된 거리는, 제1 스토퍼(211) 및 제2 스토퍼(213)가 서로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슬라이드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홈(124)은 로드홀(104)으로부터 프레임(100)의 제2 내벽(120b)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홈(12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드홈(124)은 로드홀(104)과 연통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홈(124)은 로드홀(104)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제3 걸림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걸림부(125)는 슬라이드홈(124)의 상측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걸림부(125)는 제2 내벽(120b)의 상단으로부터 로드홀(104)을 향하여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걸림부(125)는 로드홀(10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제3 걸림부(125)는 슬라이드홈(124)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걸림부(125)는 로드홀(104)을 중심으로 대향되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결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로드(200)는 프레임(100)의 로드홀(104)을 관통하여, 프레임(100)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될 수 있다. 로드(200)의 일부 둘레는 프레임(100)의 내벽(1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로드(200)는 프레임(100)의 내벽(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캡(410) 및/또는 제2 캡(430)은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200)의 상단(410)은 제1 캡(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200)의 하단은 제2 캡(4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드(220)의 가장자리는 슬라이드홈(12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로드(220)의 가장자리는, 슬라이드홈(124)에서 프레임(100)의 제2 내벽(12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로드(220)의 양측 가장자리는 슬라이드홈(124)과 제2 로드(220)는 상하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대하여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로드(200)가 프레임(100)으로부터 이동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1 로드(210)의 외면은,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의 내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윙(212, 도7 참조)은, 제1 내벽(120a)의 내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스토퍼(221)의 양 끝단은, 양측의 제3 걸림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3 걸림부(12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걸림부(125)는 로드(200)의 양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 스토퍼(223)의 양 끝단은, 프레임(100)의 제2 내벽(120b)의 내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은 제3 스토퍼(221)의 하측을 지지하고, 제1 스토퍼(211)의 상측을 지지하여, 로드(200)를 프레임(10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은 로드(200)를 둘러싸며 지지하여, 로드(200)를 프레임(10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캡(410)은 측벽(411) 및 상벽(41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챔버(414)의 둘레는 제1 캡(410)의 측벽(4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챔버(414)의 상부는 제1 캡(410)의 상벽(41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제1 챔버(414)의 하부는 개구될 수 있다.
푸셔홀(4114)은 제1 캡(410)의 측벽(41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푸셔홀(4114)은 제1 챔버(414)와 연통될 수 있다. 한 쌍의 푸셔홀(4114)은 제1 챔버(414)를 중심으로 대향되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는 제1 캡(410)의 상벽(412)의 내면으로부터 제1 챔버(414)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는 상벽(412)의 중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포지셔닝부(413)는 중심으로부터 대향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는 제1 블레이드(310)의 위치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의 하면은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의 하면은, 제1 블레이드(3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의 하면은 제1 블레이드(310)의 상단에 대응되어 기울어질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제1 푸셔(421) 및 제2 푸셔(422)를 구비할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제1 푸셔바(425)를 구비할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제2 푸셔바(426)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푸셔바(425)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푸셔바(425)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푸셔바(426)는 한 쌍의 제1 푸셔바(4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푸셔바(426)는 한 쌍의 제1 푸셔바(425)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푸셔바(426)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푸셔바(425)는 제2 푸셔바(426)의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제1 푸셔바(425)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제1 푸셔바(425)의 외면으로부터 푸셔어셈블리(4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제1 푸셔(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푸셔(422)는 제1 푸셔바(425)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푸셔바(425)는 제1 푸셔(421) 및 제2 푸셔(4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제1 푸셔바(425)를 중심으로 제1 푸셔(422)에 대향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제1 푸셔바(425)의 끝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제1 푸셔바(425)의 내면으로부터 푸셔어셈블리(42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푸셔(422)의 내면은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푸셔(422)의 내면은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제2 푸셔(422)의 내면은 제1 로드(210)의 곡률진 외주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푸셔(422)의 내면은 제1 로드(210)의 외주면의 일측을 감싸며 밀착될 수 있다.
리브(423)는 제1 푸셔바(425)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423)는 제1 푸셔(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리브(423)는 제1 푸셔바(425)의 내면으로부터 제2 푸셔(42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리브(423)는 제2 푸셔(422)를 지지할 수 있다. 리브(423)는 제2 푸셔(422)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리브(423)는 상측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424)은 제2 푸셔바(426)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롯(424)은 제2 푸셔바(42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424)은 포지셔닝부(4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제1 캡(410)의 내부인 제1 챔버(4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푸셔홀(4114)을 관통하여, 제1 캡(4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푸셔(422)는 제1 챔버(414)로 돌출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는 슬롯(424)을 관통하여 슬롯(424)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제1 캡(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푸셔바(425)의 외면은 제1 캡(410)의 측벽(411)의 내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푸셔바(425)는 제1 캡(410)의 측벽(411)을 따라 제1 캡(410)의 상벽(412)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푸셔바(426)의 상면은, 제1 캡(410)의 상벽(412)의 하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푸셔바(426)는 제1 캡(410)에 고정될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탄성과 강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셔어셈블리(42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셔어셈블리(420)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푸셔(421)는 푸셔홀(4114)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캡(410)의 내부를 향하여 제1 푸셔(421)를 누르면, 제1 푸셔바(425)는 제2 푸셔바(426)를 중심으로 제1 캡(410)의 내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제1 푸셔(421) 및 제2 푸셔(422)는 제1 푸셔바(425)와 함께 제1 캡(41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푸셔(422) 간의 간격은 좁아질 수 있다. 제1 푸셔(421)를 누르지 않으면, 제1 푸셔바(425)는 제2 푸셔바(426)를 중심으로 제1 캡(410)의 외측으로 틸팅되어 제1 푸셔(421)와 제2 푸셔(422)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대하여 로드(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2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200)는 제1 위치(도 18 참조)로부터 제2 위치(도 21 및 도 22 참조)까지 프레임(10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200)가 프레임(100)에 대하여 로드(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하 서술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로써, 로드(200)가 이동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위치에서,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에 의해 지지되어 로드(200)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1 스토퍼(211)는 제1 걸림부(121)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스토퍼(213)는 제2 걸림부(123)에 의해 지지되어 로드(2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블레이드(310) 및 핀(320)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의 바닥으로부터 삽입구(44)까지의 높이(H2)는 제1 삽입공간(14)의 높이(H1)보다 높을 수 있다(도 2 참조). 이에 대하여, 로드(200)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 로드(200)의 상부가 프레임(100)으로부터 상측으로 더 길게 돌출되도록 하여, 제2 삽입공간(24)을 청소할 수 있게 청소키트를 변형할 수 있고, 또한, 컴팩트한 크기로 청소키트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 푸셔(421)를 누르면, 제1 푸셔바(425)는 제2 푸셔바(426)를 중심으로 제1 캡(410)의 내측으로 틸팅되고, 제1 푸셔(421)와 제2 푸셔(422)는, 제1 캡(4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푸셔(422) 각각은, 한 쌍의 제1 로드(210) 각각을, 제2 로드(220)를 향해 누를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로드(210)는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41)를 축으로, 제2 로드(220)를 향하여 제1 로드(210)의 두께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 로드(210)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벤딩될 수 있다. 슬릿(204)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로드(210)와 함께 제2 로드(22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로드(210) 간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스토퍼(211) 간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 및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 보다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에 의해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캡(41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상측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푸셔어셈블리(420)를 통해 로드(200)를 집어, 제1 위치의 로드(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a)는 제1 결합홈(41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내벽(120a)의 내측에 지지되며, 상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푸셔(421)를 누르는 힘을 줄이면서 제1 캡(41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캡(410)은, 로드(20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푸셔(422)는 제1 로드(210)를 지지하고, 제1 로드(210)를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제1 캡(410)이 로드(200)에 대하여 정렬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제1 푸셔(421)를 누르는 힘을 줄인 상태로 제1 캡(41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푸셔(422)는 이동하다가 함몰부(233)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2 푸셔(422)가 함몰부(233)에 삽입되어 걸리면, 푸셔어셈블리(420)는 제1 로드(210)의 복원력의 저항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제1 푸셔(421)를 누르는 힘을 줄인 상태에서 로드(200)를 프레임(10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로, 제1 푸셔(421)를 같은 힘으로 눌러서, 제2 푸셔(422)가 함몰부(233)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드(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로드(200)가 소정거리만큼 이동하여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면, 벤딩되었던 제1 로드(210)는 제2 로드(220)와 나란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걸림부(121)에 걸릴 수 있다. 제2 스토퍼(213)는 제2 걸림부(123)에 걸릴 수 있다. 제1 스토퍼(211) 및 제2 스토퍼(213) 사이의 제1 로드(210)의 외주면은, 프레임(100)의 제1 내면(12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위치에서, 로드(200)는 프레임(100)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푸셔(421)를 누르지 않으면, 함몰부(233)에 삽입된 제2 푸셔(422)는 함몰부(23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캡(410)을 로드(200)로부터 분리하고, 제1 블레이드(310) 및 핀(32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23을 참조하면, 로드(2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로드(220)는 슬라이드홈(124)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3 걸림부(125)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로드(200)가 이동하면서, 제2 로드(220)는 프레임(100)의 제2 내벽(120b) 및 제3 걸림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디스크(123243)는 프레임(100)의 내면(120)의 하단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200)의 상측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4 스토퍼(223)는 프레임(100)의 제2 내벽(12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로드(2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4 스토퍼(223)는 프레임(100)의 제2 내벽(120b)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3 스토퍼(221)는 제3 걸림부(125)의 상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3 스토퍼(221)는 제3 걸림부(125)로부터 이탈되며, 제4 스토퍼(223)는 제3 걸림부(125)의 하부에 의해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200)의 상측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으로부터 제1 캡(410)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2 위치에 위치한 로드(200), 제1 블레이드(310) 및 핀(320)을 추출기(20)의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상단으로부터 제1 블레이드(310)의 끝단까지의 길이는, 제2 삽입공간(24)의 바닥으로부터 삽입구(44)까지의 높이(H2, 도 2 참조)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 및 로드(200)의 상부가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상단은 어퍼케이스(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의 끝단은, 추출기(20)의 제2 플랜지(22)와 접촉될 수 있다. 핀(320)은 관통홀(23)에 삽입될 수 있다. 로드(200)의 외주면과 제2 삽입공간(24)은 서로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23)은 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레임(100) 및/또는 제2 캡(430)을 잡고 원주방향으로 청소키트를 회전시켜, 제2 삽입공간(24)의 내에서 제1 블레이드(310) 및 핀(320)을 회전시키고, 추출기(20)를 청소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사용하고, 스틱(S, 도 2 참조)을 추출기(20)의 제2 삽입공간(24)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에어로졸의 잔여물(a1, a2, a3)이나, 스틱(S)으로부터 누출된 잔여물(a1, a2, a3)이 추출기(20)의 내부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a1, a2, a3)은,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추출기(20)에 달라붙은 상태로 식으며 고형물이 되어 딱딱하게 굳음으로써, 추출기(20)로부터 떼어내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되어 제2 플랜지(22)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엣지(313)는 제2 플랜지(22)에 접촉될 수 있다. 핀(320)은 관통홀(23)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와 핀(320)은 추출기(20)에 달라붙은 잔여물(a1, a2, a3)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와 핀(320)은 고형물 상태의 잔여물(a1, a2, a3)보다 강성이 높은 메탈로 형성될 수 있다.
핀(320)이 관통홀(23)을 관통하면, 관통홀(23)의 주위에 달라붙은 제1 잔여물(a1)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잔류하는 제1 잔여물(a1)은, 핀블레이드(321)가 관통홀(23)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잔류된 제1 잔여물(a1)을 긁어냄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핀블레이드(321)의 최대 직경(D3)은, 관통홀(23)의 직경(D4)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핀팁(322)은 챔퍼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잔여물(a1)이 관통홀(23)의 직경(D4)을 좁히더라도, 용이하게 관통홀(23)을 관통하여 제1 잔여물(a1)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310)는 제2 플랜지(22)를 향해 이동하여, 제2 플랜지(22)의 상면에 달라붙은 제2 잔여물(a2) 및 제3 잔여물(a3)에 충돌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엣지(313)는 제2 잔여물(a2) 및 제3 잔여물(a3)과 충돌하여 제2 잔여물(a2) 및 제3 잔여물(a3)을 분해할 수 있다. 제2 잔여물(a2) 및 제3 잔여물(a3)은 위 과정이 반복되며 더 작은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 내에 위치한 제1 블레이드(310)는, 제2 플랜지(22)에 인접하거나 접촉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분해되지 않은 제2 잔여물(a2) 및 제3 잔여물(a3)을 긁어내어 분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잔여물(a2) 및 제3 잔여물(a3)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제1 캡(410)이 다시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로드(200)를 제1 위치로 밀어내고, 제2 캡(43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블레이드(33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로드(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블레이드(310) 및 핀(320)은 제1 캡(410) 내부의 제1 챔버(4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포지셔닝부(413)의 하면은 제1 블레이드챔퍼(312, 도 23참조)에 접촉될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의 하면은, 한 쌍의 제1 블레이드챔퍼(312)와 서로 대략 대응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포지셔닝부(413)의 하면은, 제1 블레이드챔퍼(312)에 접촉되어, 포지셔닝부(413)의 위치가 제1 블레이드챔퍼(312)에 정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캡(410)은, 프레임(100)에 대하여 정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 푸셔(422) 각각은 한 쌍의 제1 로드(210)의 외주면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돌기(115a)와 제1 결합홈(415)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1 캡가이드(117a)와 제1 가이드홈(417)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제1 캡(410)이 프레임(100)에 대하여 정위치로 정렬된 상태에서, 제1 푸셔(421)를 제1 캡(410)의 내측으로 누를 수 있다. 제1 푸셔(421)를 누르면, 제1 푸셔바(425)는 제2 푸셔바(426)를 중심으로 제1 캡(410)의 내측으로 틸팅되고, 제1 푸셔(421)와 제2 푸셔(422)는, 제1 캡(4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 푸셔(422) 각각은, 한 쌍의 제1 로드(210) 각각을, 제2 로드(220)를 향해 누를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로드(210)는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41)를 중심으로, 제2 로드(220)를 향하여 제1 로드(210)의 두께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 로드(210)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벤딩될 수 있다. 슬릿(204)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로드(210)와 함께 제2 로드(22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로드(210) 간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스토퍼(211) 간의 폭은 좁아질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걸림부(121) 및 프레임(100)의 제1 내벽(120a)보다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걸림부(121)에 의해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캡(410)을 하측으로 밀어, 제2 위치의 로드(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1 내벽(120a)의 내측에 지지되며, 하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제1 캡(410)을 하측으로 밀어, 로드(200)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 캡(410)을 프레임(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푸셔(421)를 누르지 않으면,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는 제2 걸림부(123)에 지지되어 로드(2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 도 14 참조)는 제3 걸림부(125)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3 스토퍼(221)는 제3 걸림부(125)에 지지되어 로드(20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11)와 제3 스토퍼(221)는 프레임(200)에 의해 지지되어 로드(200)를 프레임(100)에 고정할 수 있다.
로드(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캡(43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면, 제2 블레이드(33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로드(200)의 하단 및 제2 블레이드(330)는 프레임(100)의 하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으로부터 제2 캡(430)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1 위치에 위치한 로드(200) 및 제2 블레이드(330)를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할 수 있다.
프레임(100)의 하단으로부터 제2 블레이드(330)의 끝단까지의 길이는, 제1 삽입공간(14)의 높이(H1, 도 2 참조)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 및 로드(200)의 하부가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100)의 하단은 바디(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레임(100) 및/또는 제1 캡(410)을 잡고 원주방향으로 청소키트를 회전시켜, 제1 삽입공간(14) 내에서 제2 블레이드(330)를 회전시키고, 제1 삽입공간(14)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사용하고, 스틱(S, 도 2 참조)을 제2 삽입공간(24)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에어로졸의 잔여물(a4, a5, a6)이나, 스틱(S)으로부터 누출된 잔여물(a4, a5, a6)아 제1 삽입공간(14)의 내부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잔여물(a4, a5, a6)은,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파이프(11, 12)와 히터어셈블리(30)의 외주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식으며 고형물이 되어 딱딱하게 굳음으로써, 파이프(11, 12)나 히터어셈블리(30)로부터 떼어내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되어 제1 플랜지(12)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엣지(333)는 제1 플랜지(12)에 접촉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는 제2 블레이드홀(33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의 외주면과 제2 블레이드홀(334)의 외주면(제2 블레이드(330)의 내주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파이프(11, 12)와 히터어셈블리(30)에 달라붙은 잔여물(a4, a5, a6)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고형물 상태의 잔여물(a4, a5, a6)보다 강성이 높은 메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어셈블리(30)가 제2 블레이드홀(334)에 삽입되면, 제2 블레이드(330)의 내주면은, 히터어셈블리(30)의 외주면에 달라붙은 제4 잔여물(a4)을 긁어내어, 제4 잔여물(a4)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홀(334)의 직경(D5)은 히터어셈블리(30)의 직경(D6)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청소키트를 회전시켜 잔류하는 제4 잔여물(a4)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2 블레이드(330)의 내주면은 세레이션 형상 등의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는 제1 플랜지(12)를 향해 이동하여, 제1 플랜지(12)의 상면에 달라붙은 제5 잔여물(a5) 및 제6 잔여물(a6)에 충돌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엣지(333)는 제5 잔여물(a5) 및 제6 잔여물(a6)과 충돌하여 제5 잔여물(a5) 및 제6 잔여물(a6)을 분해할 수 있다. 제5 잔여물(a5) 및 제6 잔여물(a6)은 위 과정이 반복되며 더 작은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 내에 위치한 제2 블레이드(330)는, 제1 플랜지(12)에 인접하거나 접촉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분해되지 않은 제5 잔여물(a5) 및 제6 잔여물(a6)을 긁어내어 분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잔여물(a5) 및 제6 잔여물(a6)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디스크(243)의 외주면은 파이프(11, 12)의 제1 측벽(1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330)의 외주면은 제1 측벽(1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블레이드(330)에 접촉 저항이 작아져,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1, 12)나 제2 블레이드(33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키트는, 길게 연장된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블레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폭(D1)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1 블레이드엣지;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엣지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한 쌍의 제1 블레이드챔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블레이드의 끝단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2 블레이드엣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엣지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한 쌍의 제2 블레이드챔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요철 형상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핀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핀블레이드의 외주면은, 세레이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핀은, 끝단에 형성되며,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를 가지며 돌출된 핀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홀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로드와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청소키트는, 상기 로드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로부터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면,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로드; 로서, 상기 로드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가 돌출되는 제1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한 쌍의 제1 로드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로드의 두께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의 프레임에 의한 지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키트는, 프레임; 길게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로드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드의 일측 및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는 캡; 및 상기 캡으로부터 상기 로드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로드에 대하여 대향되는 한 쌍의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로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로드의 양측을 가압하고, 상기 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로부터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로드; 로서, 상기 로드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가 돌출되는 제1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한 쌍의 제1 로드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로드의 두께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의 프레임에 의한 지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푸셔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 로드 각각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로드를 두께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면,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셔는, 상기 캡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캡을 관통하여 상기 캡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푸셔; 및 상기 제1 푸셔와 연동되며, 상기 캡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청소키트는,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푸셔를 지지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의 끝단 주변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푸셔가 삽입되어 걸리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셔는, 상기 캡의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의 끝단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블레이드엣지; 및 상기 블레이드엣지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한 쌍의 블레이드챔퍼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블레이드챔퍼를 지지하고, 상기 블레이드챔퍼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져, 상기 로드에 대한 상기 캡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포지셔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를 감싸며, 상기 푸셔를 구비하는 제1 캡;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를 감싸는 제2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7)

  1. 길게 연장된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로드의 타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는 제2 블레이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블레이드홀을 포함하는 청소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폭(D1)은,
    상기 제2 블레이드의 폭(D2)보다 작은 청소키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1 블레이드엣지; 및
    상기 제1 블레이드엣지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한 쌍의 제1 블레이드챔퍼를 포함하는 청소키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블레이드의 끝단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2 블레이드엣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엣지로부터 양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한 쌍의 제2 블레이드챔퍼를 포함하는 청소키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끝단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요철 형상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핀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청소키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핀블레이드의 외주면은,
    세레이션 형상을 가지는 청소키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끝단에 형성되며,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를 가지며 돌출된 핀팁을 포함하는 청소키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홀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청소키트.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로드와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로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청소키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원주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는 청소키트.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청소키트.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청소키트.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가능한 청소키트.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로부터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청소키트.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면,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청소키트.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면,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로드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로드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하는 청소키트.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로드; 로서, 상기 로드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가 돌출되는 제1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한 쌍의 제1 로드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 로드의 두께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제1 스토퍼 또는 상기 제2 스토퍼의 프레임에 의한 지지상태를 해제하는 청소키트.
KR1020220093645A 2022-07-28 2022-07-28 청소키트 KR20240015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45A KR20240015864A (ko) 2022-07-28 2022-07-28 청소키트
PCT/KR2023/010538 WO2024025259A1 (en) 2022-07-28 2023-07-21 Cleaning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45A KR20240015864A (ko) 2022-07-28 2022-07-28 청소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864A true KR20240015864A (ko) 2024-02-06

Family

ID=8970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645A KR20240015864A (ko) 2022-07-28 2022-07-28 청소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5864A (ko)
WO (1) WO20240252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5427C1 (ru) * 2018-03-13 2021-03-25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чистки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JP2019208445A (ja) * 2018-06-06 2019-12-12 株式会社テクニカルエージェント 加熱式たばこ喫煙具の清掃装置
KR102160040B1 (ko) * 2018-08-16 2020-09-25 김유정 궐련형 전자담배 청소장치
KR102333223B1 (ko) * 2020-03-11 2021-1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KR20230002369A (ko) * 2020-04-21 2023-01-05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세정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259A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5503B1 (en) Brush head for electric toothbrush
US9439518B2 (en) Cutlery dispenser
JP7157870B2 (ja) 緩め機構及びエアロゾル発生装置
EP2934825A1 (en) Shaver
EP2907000B1 (en) D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nd undocking multiple electronic instruments
KR102369446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12089635B2 (en)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JP5968388B2 (ja) 接地部材及び該接地部材を有するハードディスク用支持フレーム
KR20240015864A (ko) 청소키트
KR20240015865A (ko) 청소키트
KR200478170Y1 (ko) 하드디스크 장착용 결합체
EP4173503A1 (en) Heated tobacco product
US8550414B2 (en) Chassis module for fixing electronic devices
JP4809771B2 (ja) 改良型積載用歯構成を備えた輸送容器
KR200449621Y1 (ko) 인서트
JP2020011024A (ja) 電気ロースター
CN103313637B (zh) 烹饪器具的可拆卸握持装置
US6959641B1 (en) Barbeque stick for barbeque stove
WO2016170657A1 (ja) マイクロチューブ保持装置
CN110604342A (zh) 低温烘烤烟具及其分体式推管结构
KR101283637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탑재용 인서트
KR2020014277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468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04090630B (zh) 电子设备及其弹出装置
US1694930A (en) Dispensing device for safety mat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