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58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587A
KR20240055587A KR1020220166863A KR20220166863A KR20240055587A KR 20240055587 A KR20240055587 A KR 20240055587A KR 1020220166863 A KR1020220166863 A KR 1020220166863A KR 20220166863 A KR20220166863 A KR 20220166863A KR 20240055587 A KR20240055587 A KR 2024005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heating element
heater
extractor
heat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3/01599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85584A1/en
Publication of KR2024005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미들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히터홀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에 결합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위치된 발열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발열체로터 발생된 열을 단열시켜, 발열체 이외의 부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홀더를 인서트사출 할 때, 히터홀더가 녹아내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의 전력 효율성을 개선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 삽입 시 히터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의 교체주기가 개선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을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구된 미들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히터홀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에 결합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위치된 발열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발열체로터 발생된 열을 단열시켜, 발열체 이외의 부품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와 전력 효율성을 개선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홀더를 인서트사출 할 때, 히터홀더가 녹아내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과열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한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 삽입 시 히터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의 교체주기가 개선된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틱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배터리(101), 제어부(102) 및 센서(1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1), 제어부(102) 및 센서(103)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바디(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는 스틱(S)이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스틱(S)의 하단은 바디(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스틱(S)의 상단은 바디(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스틱(S)의 상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히터(50)는 스틱(S)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50)는 스틱(S)이 삽입되는 공간에서, 상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50)는 스틱(S)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50)는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배터리(10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1)는, 제어부(102), 센서(103), 유도코일(15), 히터(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배터리(101), 유도코일(15), 센서(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03)는 히터(5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센서(103)가 센싱한 히터(50)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5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센서(103)가 센싱한 히터(50)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히터(50)를 둘러싸는 유도코일(15)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히터(50)를 발열시킬 수 있다. 히터(50)는 서셉터(susceptor)로서, 히터(50)는 유도코일(15)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터(50)를 관통하고, 히터(50)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류는 히터(50)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히터(50)는 배터리(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50)는 유도코일(15)이 필요없이, 배터리(101)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직접적으로 발열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는 내부에 제1 삽입공간(1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바디파이프(1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바디파이프(11)는 제1 삽입공간(14)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lateral wall)(111) 및 제1 삽입공간(14)의 바닥을 덮는 하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벽(112)은 바디파이프(11)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은, 바디(10)의 내측벽(inner lateral wall)(111)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삽입공간(14)은 아우터삽입공간(14)이라 명명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제1 삽입공간(1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내부에 제2 삽입공간(24)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히터홀더(20)의 파이프(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제2 삽입공간(24)의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21) 및 제2 삽입공간(24)의 바닥을 덮는 하벽(22)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20')의 하벽(22)은 바닥(22) 또는 마운트(22)라 명명될 수 있다. 파이프(20')의 하벽(22)은 히터홀더(20)의 바닥(22)을 형성할 수 있다. 히터(50)는 히터홀더(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히터홀더파이프(20')라 명명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은 미들삽입공간(24)이라 명명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제2 삽입공간(2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내부에 제3 삽입공간(34)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추출기(30)의 측벽(31)과 하벽(3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추출기(30)의 외주면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은 이너삽입공간(34)이라 명명될 수 있다.
스틱(S)의 하단은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되고, 스틱(S)의 상단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50)는 제1 삽입공간(14), 제2 삽입공간(24) 및 제3 삽입공간(34)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50)는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된 스틱(S)을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삽입공간(14, 24, 34)과 삽입공간(14, 24, 34)에 배치된 히터(50)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교체가 어려울 수 있으나, 사용자는, 히터홀더(20)를 에어로졸 생성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히터홀더(20)를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배치시켜, 히터(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은 히터(50)의 주변 및 히터홀더(20)에 남지 않고, 추출기(3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 주변의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가 용이해지고, 관리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의 성능을 저감시키는 요인을 줄이고, 히터(5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히터(50)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스틱(S)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을 줄일 수 있다.
히터(50)의 하단은 마운트(22)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50)는 제2 삽입공간(24)의 개구를 향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측으로 뾰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5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히터홀더(20)의 측벽(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로써, 히터(50)의 형상은 전술하거나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히터홀더(20)에 결합되어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된 스틱(S)을 가열할 수 있으면 된다.
히터홀더(20)는 히터(50)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고내열성과 우수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홀더(20)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홀더(20)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통홀(35)은 추출기(30)의 하벽(32)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5)은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삽입공간(24)에 추출기(30)가 삽입되면, 히터(50)는 관통홀(35)을 관통하여 제3 삽입공간(34)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삽입공간(34)에 스틱(S)이 삽입되면, 히터(50)는 스틱(S)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제1 삽입공간(14)을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의 둘레를 권선할 수 있다. 유도코일(15)는 히터(50)를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히터(50)를 발열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50)는 히터홀더(20)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전력 공급원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스틱(S)은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가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틱(S)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은 히터(50)의 주변 및 히터홀더(20)에 남지 않고, 추출기(3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 주변의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가 용이해지고, 관리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의 성능을 저감시키는 요인을 줄이고, 히터(5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히터(50)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스틱(S)의 맛을 변질시키는 요인을 줄일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바디(10)와 추출기(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은 히터홀더(20)의 측벽(21)을 둘러쌀 수 있다. 바디파이프(11)의 하벽(112)은 히터홀더(20)의 하벽(22)을 마주할 수 있다. 히터홀더(20)의 측벽(21)은 추출기(30)의 측벽(31)을 둘러쌀 수 있다. 히터홀더(20)의 하벽(22)은 추출기(30)의 하벽(32)을 마주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측벽(31)은 히터홀더(20)의 측벽(2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추출기(30)의 하벽(32)은 히터홀더(20)의 하벽(2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의 사이를 유동하여, 관통홀(35)을 통과한 뒤, 제3 삽입공간(34)에 삽입된 스틱(S)에 제공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벽(12)은 바디파이프(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벽(12)은 유도코일(15)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벽(outer lateral wall)(13)은 바디(10)의 상벽(12)의 외측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벽(13)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을 마주할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벽(13)은 바디파이프(1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유도코일(15)은 바디파이프(11)와 바디(10)의 외측벽(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제1 삽입공간(14)의 주변과 바디(10)의 상부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구(44)를 구비할 수 있다. 스틱(S)은 삽입구(44)에 삽입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구(44)를 개폐하는 캡(45)을 포함할 수 있다. 캡(45)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삽입구(44)를 개폐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바디(10)와 어퍼케이스(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어퍼케이스바디(4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44)는 어퍼케이스바디(41)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44)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은, 바디(10)의 상벽(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은, 바디(10)의 상벽(12)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캡(45)은 어퍼케이스바디(41)의 상측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어퍼케이스윙(4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윙(42)은 어퍼케이스바디(41)의 양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바디(41)의 측부분의 일부는,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도 7 참조). 어퍼케이스윙(42)은 어퍼케이스그립(4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 추출기(30)의 상단은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되며, 추출기(30)의 하단은 어퍼케이스(4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삽입구(44)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삽입구(44)는 제3 삽입공간(3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구(44)는 제3 삽입공간(34)을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추출기(30)의 상단은 어퍼케이스바디(41)에 결합될 수 있다. 추출기(30)는 어퍼케이스바디(4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출기(30)은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는 바디윙(1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윙(16)은 바디(10)의 상벽(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디윙(16)은 바디(10)의 상부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바디윙(16)은 어퍼케이스윙(42)과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어퍼케이스(40)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바디윙(16)는 어퍼케이스윙(42) 사이로 노출된 어퍼케이스바디(41)의 측부분을 덮을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어퍼케이스윙(42)은 바디(10)의 외측벽(13)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퍼케이스(40)의 외관을 잡고 바디(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2 삽입공간(24)에 삽입된 추출기(30)를 그립하는 불편함없이 추출기(30)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을 잡고 바디(10)로부터 당겨 어퍼케이스(40)와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는 걸림돌기(37)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추출기(30)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돌기(26)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열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삽입구(44) 주변에서 어퍼케이스바디(4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추출기(30)를 어퍼케이스(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어퍼케이스바디(41)에 원주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의 삽입 및 분리 과정에서, 추출기(30)가 어퍼케이스(4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연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히터홀더(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파이프(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3)는 파이프(20')를 중심으로 일측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히터홀더연장부(23)라 명명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20')가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되면,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지지되거나 안착될 수 있다. 바디(10)의 상벽(12)은 연장부를 지지하고, 연장부(23)는 파이프(20')를 지지할 수 있다. 파이프(20')는 연장부(23)에 매달려 바디파이프(11)의 바닥(1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20')의 외주면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어 추출기(30)가 파이프(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히터홀더(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의 내부 또는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제1 결합부재(27) 및 히터(5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제1 연장부(231) 및 제2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파이프(20')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 연장부(232)는 파이프(20')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의 둘레는 제2 연장부(232)의 둘레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형상의 연장부(2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파이프(20')를 기준으로, 일측은 제1 연장부(231)이고, 타측은 제2 연장부(232)로 정의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연장부(23)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진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연장부(23)의 부분 중, 파이프(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더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2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제1 연장부(23)에 수평방향으로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파이프(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재(27)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결합부재(47)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윙(4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2 결합부재(47)는 추출기(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제1 결합부재(27)와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이고, 제2 결합부재(47)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재(27) 및 제2 결합부재(47)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10)의 상벽(12)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결합부재(17)이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에 인접할 수도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제1 결합부재(27)와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이고, 제3 결합부재(17)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결합부재(27) 및 제3 결합부재(17)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20')의 측벽(21)의 외주면은,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20')의 측벽(21)의 외주면의 횡단면은, 다각형일 수 있다. 파이프(20')의 측벽(21)의 외주면은,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각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20')의 외주면은 바디파이프(11)의 측벽(1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히터(50)는 추출기(30)와 파이프(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추출기(30)와 파이프(20')는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로부터 발생한 열이 파이프(20')를 통해 바디파이프(11, 도 3 참조)로 전달되는 양을 줄여,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과열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5)는 파이프(2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파이프(20')와 연장부(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제2 삽입공간(24)의 개구와 접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25)는 제2 삽입공간(24)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5)는 추출기(30)의 하부에 접촉하여, 추출기(30)가 제2 삽입공간(24)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히터(50)의 하단은 마운트(2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히터(50)는 히터봉(51)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봉(51)은 히터(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히터봉(51)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봉(51)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봉(51)은 하측으로 개구된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중공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봉(51) 내부의 중공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봉(51)의 상단은 상측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봉(51)은 높은 열확장성과, 우수한 열 절연성 및 낮은 열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히터봉(51)은 강성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봉(51)은 지르코니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봉(51)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50)는 발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52)는 히터봉(51) 내부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저항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52)로부터 발생된 열은 히터봉(51)을 통해 히터(5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발열부(52)는 제3 삽입공간(34)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발열부(52)의 하단은 관통홀(35)의 하단에 인접할 수 있다.
히터(50)는 지지체(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53)는 히터봉(51)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체(53)는 발열부(5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53)는 중공에서 히터봉(51)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53)는 발열부(5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53)의 하단은 마운트(22)의 바닥(22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마운트(22)의 중심에 형성된 홀(22c)은, 히터홀더(20)을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22c)의 폭은, 지지체(5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지지체(5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홀(22c)은 부재할 수 있다. 지지체(53)는 높은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체(53)는 발열부(52)의 발열에 의해 열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체(53)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체(53)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50)는 플랜지(5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55)는 히터봉(5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5)는 히터봉(51) 하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55)는 히터봉(51)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터봉(51)의 하단 및 플랜지(55)는 마운트(22)에 삽입될 수 있다. 마운트(22)는 히터홀더(20)가 히터(50)에 인서트 사출됨으로써, 플랜지(55)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55)의 외주면의 횡단면은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트(22)의 내주면은, 플랜지(55)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트(22)의 내주면과 플랜지(55)의 외주면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S)이 히터(50)에 분리되거나 삽입되는 과정에서, 히터(50)가 히터홀더(20)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55)는 제1 걸림부(5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플랜지(55)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플랜지(5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플랜지(5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마운트(22)는 제2 걸림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걸림부(22b)는 마운트(22)의 홈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b)는 제1 걸림부(55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부(55a)는 제2 걸림부(22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부(55a)와 제2 걸림부(22b)는 상하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a)는 제1 걸림부(55a)를 지지하여, 플랜지(55)가 마운트(22)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23)는 파이프(20') 또는 제2 삽입공간(24)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측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제1 연장부(231)의 길이(L1)는 제2 연장부(232)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장부(231)의 길이(L1)는 제2 삽입공간(24)의 지름(L0)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제1 연장부(231)의 길이(L1)는 제2 연장부(L2)의 길이보다 제2 삽입공간(24)의 지름(L0)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제1 연장부(23)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되면,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와 결합된 상태로, 어퍼케이스(40)와 함께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홀더(20)가 결합된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추출기(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추출기(30)과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히터홀더(20)는 추출기(30)와 함께 결합된 상태로, 추출기(30)와 함께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홀더(20)가 결합된 추출기(3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는 추출기(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 및 제2 결합부재(4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히터홀더(20)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 수 있다. 일례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중 어느 하나는 강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전기력이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인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된다.
연장부(23)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대응되는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대응되는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23)의 상면은, 어퍼케이스바디(41)에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어퍼케이스바디(41)에 지지되는 면적이 클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제1 연장부(231)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4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 작용에 의해, 제1 연장부(231)는 어퍼케이스바디(4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크류 결합 방식에 의해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어퍼케이스(40)에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체결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히터홀더(20)과 어퍼케이스(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냅핏(snap-fit) 결합 방식에 의해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와 어퍼케이스(40) 중 어느 하나는 결합용 후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후크가 결합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히터홀더(20)가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히터홀더(2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된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한 쌍의 어퍼케이스윙(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20')는 어퍼케이스윙(42)보다 어퍼케이스바디(41)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를 잡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어퍼케이스(4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홀더(20)는 바디(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히터홀더(20)는 바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는 바디(10) 및 히터홀더(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가 바디(10) 및 히터홀더(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는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 및 제3 결합부재(1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히터홀더(20)를 바디(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서로 인력이 작용되는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중 어느 하나는 강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전기력이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인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된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을 덮고, 파이프(20')는 제1 삽입공간(14)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바디(10)의 상벽(12)에 대응하는 수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바디(10)의 일측 상벽(12)에 대응되고, 제2 연장부(232)는 바디(10)의 타측 상벽(12)에 대응될 수 있다. 연장부(23)의 하면은, 바디(10)의 상벽(12)에 수평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31)는 제2 연장부(232)보다 바디(10)에 지지되는 면적이 클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7)는 제1 연장부(231)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바디(10)의 상벽(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17)는 제1 결합부재(2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제1 연장부(231)에 배치되고, 제3 결합부재(17)는 제1 연장부(231)에 덮힌 바디(10)의 일측 상벽(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47) 간의 인력 작용에 의해, 제1 연장부(231)는 바디(10)의 상벽(12)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크류 결합 방식에 의해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디(10)에 스크류 결합 방식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체결용 스크류를 이용하여 히터홀더(20)와 바디(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는 스냅핏(snap-fit) 결합 방식에 의해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홀더(20)와 바디(10) 중 어느 하나는 결합용 후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후크가 결합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 히터홀더(20)가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히터홀더(2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에 결합된 연장부(23)는 바디(10)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한 쌍의 바디윙(1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23)는 한 쌍의 바디윙(16)의 사이에서, 바디(10)의 외측벽(13)(outer lateral wall)에 인접하거나, 외측벽(13)에 상하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를 잡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는 바디(1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바디(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기(30)와 히터홀더(20)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스틱(S)을 히터(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추출기(30)의 내부에 삽입된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는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하고,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는 서로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재(47)와 제3 결합부재(17) 각각은, 자석이고, 제1 결합부재(27)는 제1 결합부재(47)와 제3 결합부재(17)의 사이에서,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 각각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석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는 강자성체이고,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 각각은 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결합부재(27)는 제2 결합부재(47) 및 제3 결합부재(17) 각각과 전기력이나 자기력을 통하여 서로 인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히터홀더(20)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히터홀더(20)를 바디(10) 또는 추출기(30) 측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는 바디(10)에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7) 및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과, 제1 결합부재(27) 및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은,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10)로부터 분리할 때, 히터홀더(20)는 함께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에 히터홀더(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10)에 결합시킬 경우,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에 의해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며,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재(27)와 제2 결합부재(47) 간의 인력은, 제1 결합부재(27)와 제3 결합부재(17) 간의 인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케이스(40) 및/또는 추출기(30)를 바디로부터 분리할 때, 히터홀더(20)는 바디(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스틱(S)은, 히터(50)로부터 이탈되어 추출기(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함께 상측으로 개구된 제4 삽입공간(340)을 정의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 각각은, 제4 삽입공간(340)의 적어도 일측을 덮을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함께 제4 삽입공간(340)의 측부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삽입공간(340)은 결합삽입공간(340)이라 명명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 각각은,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4 삽입공간(34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 각각은, 제4 삽입공간(340)의 동일한 둘레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 각각은, 제4 삽입공간(340)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곡률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히터홀더(200)의 하벽(22)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복수의 측벽(210) 사이마다,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하로 길게 연장된 제1 슬릿(214)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복수의 측벽(210)과 복수의 제1 슬릿(214)은 제4 삽입공간(340)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2개로 형성되며, 제4 삽입공간(3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2개의 측벽(210)의 사이에는, 제4 삽입공간(3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위치한 2개의 제1 슬릿(2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홀더(200)의 측벽(210) 및 제1 슬릿(21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수이거나(도 17 참조)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일례로,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추출기(300)의 하벽(32)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복수의 측벽(310) 사이마다, 상하로 길게 연장된 제2 슬릿(314)이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복수의 측벽(310)과 복수의 제2 슬릿(314)은 제4 삽입공간(340)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2개로 형성되며, 제4 삽입공간(3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2개의 측벽(310) 사이에는, 제4 삽입공간(3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위치한 2개의 제2 슬릿(3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추출기(300)의 측벽(310) 및 제2 슬릿(31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단수이거나(도 17 참조)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추출기(300)는 히터홀더(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추출기(300)가 히터홀더(200)의 내측에 삽입되면,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제2 슬릿(314)에 배치되고,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제1 슬릿(21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제4 삽입공간(34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코일(15)과 히터(50) 사이에 벽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히터(50)의 발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15 및 도 16에서 후술한다.
추출기(300)의 하벽(32)은 제4 삽입공간(340)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하벽(22)은 추출기(300)의 하벽(32)의 하측에 배치되어, 추출기(300)의 하벽(32)의 하측을 덮을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하벽(22)에 고정되어 돌출된 히터(50)는 추출기(300)의 하벽(32)에 형성된 관통홀(35)을 관통하여 제4 삽입공간(340)으로 노출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하벽(22)은 바디파이프(11)의 하벽(1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하벽(22)과 바디파이프(11)의 하벽(112) 사이에는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하벽(32)은 히터홀더(200)의 하벽(2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하벽(32)과 히터홀더(200)의 하벽(22) 사이에는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다. 히터(50)로부터 발생된 열 중 일부는, 히터홀더(200)의 하벽(22)으로부터 측벽(210)으로 전달된 뒤 바디파이프(11)의 하벽(112) 및 측벽(111)으로 전달되며, 열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히터(50)로부터 발생된 열 중 일부는, 히터(50) 주변에서 히터홀더(200)와 추출기(300) 사이에 형성된 에어갭을 통해 열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0)에서 발생된 열이 에어로졸 생성장치 내부의 부품들로 전도되는 양을 줄이고,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50)에서 발생된 열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외부로 전도되는 양을 줄여, 사용자에게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반경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반경 내외의 방향으로 서로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0)와 추출기(300)가 서로 반경방향으로 어긋나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홀더(200)의 측벽(210) 각각은, 양 단부(212)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함몰된 제1 리세스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 각각의 양 단부(212)는 제1 리세스부(211)보다 원주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리세스부(211)는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의 내주면 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외주면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의 단부(212)는 제1 돌기부(212)라 명명할 수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 각각은, 양 단부(312)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함몰된 제2 리세스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 각각의 양 단부(312)는 제2 리세스부(311)보다 원주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리세스부(311)는 외주면 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내주면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의 단부(312)는 제2 돌기부(312)라 명명할 수 있다.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1 리세스부(211)와 제2 돌기부(31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기부(312)는 제1 리세스부(211)에 배치될 수 있다.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제1 돌기부(212)와 제2 리세스부(31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돌기부(212)는 제2 리세스부(3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부(312)는 제1 돌기부(212)와 반경방향으로 오버랩(overlap)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기부(212)와 제2 돌기부(312)는 서로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고,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이 서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예시일 뿐,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의 양단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추출기(300)의 측벽(310)의 양단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의 양단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의 양단이 서로 대응되는 사선으로 형성되어 서로 반경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2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a)와,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b)에 대하여, 유도코일(15)과 히터(50) 사이에 배치된 히터홀더(20, 200)의 측벽(21, 210)과 추출기(30, 300)의 측벽(31, 310) 두께와, 히터(50) 및 유도코일(15) 사이의 거리를 비교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a) 실시예와 (b) 실시예에 대하여, 히터(50)를 소정의 온도까지 발열시키는 데에 소모되는 전력(소모전류 비교)과, 히터(50)를 소정의 온도까지 발열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승온 속도 비교)을 비교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 (a)의 경우, 유도코일(15)과 히터(50) 사이에 배치된 히터홀더(20)의 측벽(21)과 추출기(30)의 측벽(31)이 형성하는 벽의 두께는 A2라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b)의 경우, 유도코일(15)과 히터(50) 사이에 배치된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이 형성하는 벽의 두께는 B2라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 (a)의 경우 히터홀더(20)의 측벽(21)과 추출기(30)의 측벽(31)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하는 벽이 두겹이고, 실시예 (b)의 경우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이 반경방향으로 형성하는 벽은 1겹이다. B2는 A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b)에서 유도코일(15)과 히터(50) 사이의 거리 B1은, 실시예 (a)에서 유도코일(15)과 히터(50) 사이의 거리 A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b)의 경우, 실시예 (a)보다 히터(50)를 소정의 온도까지 발열시키는 데에 소모되는 전류 량이 더 적을 수 있다(도 16 참조). 또한, 실시예 (b)의 경우, 실시예 (a)보다 히터(50)를 소정의 온도까지 발열시키는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도 16 참조).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1개일 수 있다. 제1 슬릿(214)과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1개일 수 있다. 제2 슬릿(314)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는 제1 슬릿(2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제2 슬릿(3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제1 슬릿(214)에 배치되고,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제2 슬릿(31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0)와 추출기(300)를 청소하기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청소 용이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제1 슬릿(214)과 제2 슬릿(314)이 바디윙(16)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제4 삽입공간(340)을 정의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은 제4 삽입공간(340)의 일측을 덮고,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제4 삽입공간(340)의 타측을 덮을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추출기(300)의 측벽(310)은 제4 삽입공간(34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추출기(300)의 하벽(32)은 히터홀더(200)의 하벽(2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유입유로(240)는 히터홀더(200)의 하벽(22)과 추출기(300)의 하벽(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240)는 히터홀더(200)의 측벽(210)과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240)는 추출기(300)의 측벽(3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240)는 양측에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유입유로(240)는 관통홀(35)과 연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4 삽입공간(340)에 삽입된 스틱(S)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유입유로(240)로 유입되어 관통홀(35) 및 스틱(S)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히터(500)는 발열체(510) 및 고정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520)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관통홀(35)을 관통할 수 있다. 고정체(520)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 및 발열체(5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금속이 아닐 수 있다. 고정체(520)는 유도코일(15)의 유도자기장에 의해 발열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하부(522)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중앙부(521)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으로부터 돌출되어 유입유로(240) 및 관통홀(35)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관통홀(35)에 위치하거나 관통홀(35)을 통과하여 결합삽입공간(340) 또는 이너삽입공간(34, 도 3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고정체(520)의 상부(523)에 결합될 수 있다. 발열체(510)는 고정체(520)의 상부(52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발열체(510)의 중앙부(51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열체(510)의 상부(512)는 중앙부(51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개구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발열체(510)의 하부(51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고정체(520)의 상부(523)에 삽입될 수도 있다.
발열체(510)는 관통홀(35)을 통과할 수 있다. 발열체(510)는 추출기(30, 3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발열체(510)는 결합삽입공간(340)에 위치하거나, 이너삽입공간(34, 도 3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발열체(510)는 저항성 금속일 수 있다. 발열체(510)는 유도코일(15, 도 3 또는 13 참조)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발열체(510)는 유도코일(15, 도 3 또는 13 참조)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510)로부터 발생된 열 중 일부는 고정체(520)로 분산됨으로써, 히터홀더(200)나 추출기(300)가 열을 전도받아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내부 전자부품들에 열이 전도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파손이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체(510)의 하단의 높이는, 추출기(300)의 하벽(32) 또는 관통홀(35)보다 같거나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510)의 높이는 추출기(300)의 하벽(32) 또는 관통홀(35)보다 t1 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t1 >= 0 일 수 있다. 관통홀(35)의 둘레는 발열체(510)보다 클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단의 높이는, 추출기(300)의 하벽(32) 또는 관통홀(35)보다 같거나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체(520)의 상단의 높이는 추출기(300)의 하벽(32) 또는 관통홀(35)보다 t2 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t2 >= 0 일 수 있다. 관통홀(35)의 둘레는 고정체(520)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510)는 추출기(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틱(S)만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히터홀더(200)나 추출기(300)에 불필요하게 열을 전달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고정체(520)는 제1 중공(52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중공(52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중공(524)은 에어갭을 통해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중공(52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중공(524)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발열체(510)는 제2 중공(5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중공(5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중공(514)은 에어갭을 통해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중공(514)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중공(514)은 제1 중공(524)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510)로부터 발생된 열은, 제1 중공(524) 및 제2 중공(514)에 의해 단열되고, 다른 부품들에 열이 전도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히터홀더(200)는 고정체(520)에 인서트사출 될 수 있다. 인서트사출 시 사출물은 고정체(520)의 하부(522) 외면을 둘러싸며, 히터홀더(200)의 바닥(22)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체(520)의 하부(522) 외면과 히터홀더(200)의 바닥(22)은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고정체(520)의 하부(522)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22a, 도 22 참조)과 히터홀더(200)의 바닥(22)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22b)는 요철형상으로 맞물려 서로 상하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가 고정체(520)에 인서트사출 된 뒤, 발열체(510)는 고정체(520)에 조립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발열체(510)보다 내열성과 열전도성이 낮고, 이에 따라, 인서트사출 시 고정체(520)는 열이 빨리 식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홀더(200)가 고정체(520)에 인서트사출되면, 히터홀더(200)가 발열체(510)에 직접적으로 인서트사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서트사출 직후 히터홀더(200)가 녹아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홀더(200)의 바닥(22)은 제1 돌출부(22d)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시 사출물 중 일부는, 제1 중공(524)의 하측으로 유입되어, 제1 돌출부(22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2d)는 제1 중공(524)의 하부를 메울 수 있다. 제1 돌출부(22d)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의 하단(22a)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체(520)가 히터홀더(200)의 바닥(22)으로부터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발열체(510)의 제2 중공(514)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체(520)는 발열체(510)에 압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도 24 및 도 25 참조). 고정체(520)와 발열체(510)는 후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도 24 및 도 25 참조).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발열체(510)의 하부(513)에 둘러싸여 고정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 외주면은, 발열체(510)의 하부(513)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중앙부(521)는 발열체(510)의 하부(513)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고정체(520)의 제1 중공(524)의 상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발열체(510)는 고정체(520)에 압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510)가 고정체(520)로부터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가 제2 중공(514)에 삽입되는 높이(t2)는 기울어짐과 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고정체(520)의 중앙부(52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중앙부(5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하부(522)는 고정체(520)의 중앙부(52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하부(522)는 중앙부(5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하부(522)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홈(522a)은, 고정체(520)의 하부(522)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522a)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중앙부(521), 상부(523) 및 하부(522)는 제1 중공(524)을 둘러쌀 수 있다.
스토퍼(528)는 고정체(520)의 상부(523)와 고정체(520)의 중앙부(5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의 외주면은 고정체(520)의 중앙부(521)의 외주면보다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고정체(520)의 중앙부(521)의 상단에 스토퍼(528)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528)는 상측을 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챔퍼(chamfer)(526)는 고정체(520)의 상부(523)의 상단 외측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퍼(526)는 상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퍼(526)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 외주면은 제1 챔퍼(526)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홈(525)은 고정체(520)의 상부(523)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홈(525)은 고정체(520)의 상부(523)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홈(525)은 고정체(520)의 상부(523)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후크홈(525)은 제1 챔퍼(52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드(mound)(527)는 고정체(520)의 중앙부(521)와 고정체(520)의 하부(5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운드(527)는 고정체(520)의 하부(522) 상단에 형성될 수 잇다. 마운드(527)는 고정체(520)의 하부(522) 상단으로부터 고정체(520)의 중앙부(521) 외주면을 향해 상측으로 곡률지게 연장될 수 있다. 마운드(527)는 고정체(520)의 중앙부(521)가, 고정체(520)의 하부(522)로부터 부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발열체(510)의 중앙부(511)와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제2 중공(514)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중공(514)의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구될 수 있다.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발열체(510)의 중앙부(511)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발열체(510)의 하부(513)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515) 발열체(510)의 하부(513)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515)는 발열체(510)의 하부(513) 내면으로부터 제2 중공(514)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515)는 발열체(510)의 하부(513)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제2 챔퍼(516)는 발열체(510)의 하부(513)의 하단 내측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퍼(516)는 하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퍼(516)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챔퍼(516)는 후크(515)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제2 중공(514)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 외주면의 폭(w2)은 발열체(510)의 하부(513)의 폭(w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체(520)의 상부(523)는 발열체(510)의 하부(513)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발열체(510)가 고정체(520)로부터 이탈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체(510)의 경도는 고정체(520)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
제2 챔퍼(526)의 상단 폭은, 제2 중공(514)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가 제2 중공(514)의 하부에 삽입될 때, 제1 챔퍼(526)와 제2 챔퍼(516)는 서로 슬라이딩되며 고정체(520)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가 제2 중공(514)의 하부에 삽입되면, 스토퍼(528)는 발열체(510)의 하단을 지지하고, 발열체(510)의 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가 제2 중공(514)의 하부에 삽입되면, 발열체(510)의 하부(513)의 내면은 고정체(520)의 상부(523)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고정체(520)의 상부(523)가 제2 중공(514)의 하부에 삽입되면, 후크(515)는 후크홈(525)에 삽입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후크(515)는 분리되지 않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후크홈(525)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515)는 상측을 향하여 경하지게 형성되어 후크홈(525)에 삽입되되, 후크(515)의 상단면과 후크홈(525)의 상단면은 서로 평평하게 접촉되어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후크홈(525)은, 발열체(510)가 고정체(520)에 압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510)의 경도는 고정체(520)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열체(510)가 고정체(520)에 압입되면, 발열체(510)의 후크(515)가 고정체(520) 상부(523)의 외주면을 파고듦으로써, 후크홈(52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고정체(5200)는 히터홀더(200)의 바닥(22)에 결합될 수 있다. 히터홀더(200)는 고정체(5200)에 인서트사출될 수 있다. 고정체(5200)는 추출기(300)의 바닥(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체(5200)의 상면은, 유입유로(240)를 마주할 수 있다. 유입유로(240) 중 일부는 추출기(300)의 바닥(32)과 고정체(520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체(5200)의 외주면은, 히터홀더(200)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고정체(520)의 하부(522)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220a, 도 28 참조)과 히터홀더(200)의 바닥(22)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22b)는 요철형상으로 맞물려 서로 상하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단은 고정체(5200)에 삽입될 수 있다. 발열체(5100)는 고정체(5200)와 결합될 수 있다. 발열체(5100)와 고정체(5200)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발열체(5100)는 고정체(52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발열체(5100)는 관통홀(35)을 통과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부는 유입유로(240)에 위치할 수 있고, 발열체(5100)의 중앙부와 상부는 추출기(3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발열체(5100) 내부에 형성된 제3 중공(514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고정체(5200)는 제2 돌출부(5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5230)는 상측으로 돌출되며, 발열체(5100)의 제3 중공(5140)의 하부를 메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5100)가 고정체(5200)로부터 이탈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발열체(5100)의 중앙부(511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열체(5100)의 상부(5120)는 상측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부(5130)는 중앙부(51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부(5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부(5130) 외주면은, 중앙부(5110)의 외주면보다 내측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후크(5150)는 발열체(5100)의 하부(5130)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5150)는 발열체(5100)의 하부(5130)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고정체(5200)는 상측으로 개구된 끼움홈(5240)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5240)은 고정체(5200)의 상면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5240)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 또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홈(5250)은 끼움홈(5240)의 외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230)는 끼움홈(52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발열체(5100)의 하부(5130) 둘레는 끼움홈(5240)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부(5130) 둘레가 끼움홈(5240)에 끼워지면, 후크(5150)는 후크홈(525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후크(5150)는 분리되지 않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후크홈(525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5150)는 상측을 향하여 경하지게 형성되어 후크홈(5250)에 삽입되되, 후크(515)의 상단면과 후크홈(5250)의 상단면은 서로 평평하게 접촉되어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하부(5130)의 폭(W3')은 끼움홈(5240)의 폭(W4')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발열체(5100)의 경도는 고정체(5200)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5100)의 하부(5130)는 끼움홈(5240)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돌출부(5230)의 폭(w4)은 제3 중공(5140)의 폭(w3)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출부(5230)는 제3 중공(5140)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발열체(5100)가 고정체(520)로부터 이탈되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후크홈(5250)은, 발열체(5100)가 고정체(5200)에 압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5100)의 경도는 고정체(5200)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열체(5100)가 고정체(5200)에 압입되면, 발열체(5100)의 후크(5150)가 고정체(5200)를 파고듦으로써, 후크홈(52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측이 개구된 미들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히터홀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에 결합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위치된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하부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 어느 하나는,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의 하부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후크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홈은, 상기 발열체의 하부의 둘레(perimeter) 및 상기 고정체 상부의 둘레(perimeter)를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홈은, 분리되지 않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제1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은, 상하로 개구되며, 상기 발열체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의 상부는,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체의 상부 외주면의 폭은, 상기 발열체의 하부의 폭보다 크거나 같음으로써, 상기 고정체의 상부가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압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의 상단 코너는, 상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단의 폭이 상기 제2 중공의 폭보다 좁고, 상기 고정체 상단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챔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제1 중공의 하부를 메우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고정체와 상기 히터홀더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히터홀더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측이 개구된 이너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추출기; 로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추출기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이너삽입공간에 위치되는 추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추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홀더의 측벽과 상기 추출기의 측벽은, 상측으로 개구된 결합삽입공간을 함께 정의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추출기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삽입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발열체의 하단은, 관통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하측으로 개구되는 제3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3 중공의 하부를 메우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7)

  1. 상측이 개구된 미들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히터홀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에 결합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위치된 발열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의 하부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 어느 하나는,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의 하부 및 상기 고정체의 상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후크홈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홈은,
    상기 발열체의 하부의 둘레(perimeter) 및 상기 고정체 상부의 둘레(perimeter)를 따라 복수로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홈은,
    분리되지 않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히터홀더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제1 중공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은,
    상하로 개구되며,
    상기 발열체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상부는,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체의 상부 외주면의 폭은, 상기 발열체의 하부의 폭보다 크거나 같음으로써, 상기 고정체의 상부가 상기 발열체의 하부에 압입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상단 코너는,
    상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단의 폭이 상기 제2 중공의 폭보다 좁고, 상기 고정체 상부의 둘레(perimeter)를 따라 연장되는 챔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는,
    상기 제1 중공의 하부를 메우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와 상기 히터홀더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홀더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아우터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측이 개구된 이너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추출기; 로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추출기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이너삽입공간에 위치되는 추출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추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홀더의 측벽과 상기 추출기의 측벽은, 상측으로 개구된 결합삽입공간을 함께 정의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추출기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삽입공간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5. 제13 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발열체의 하단은, 관통홀보다 높게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하측으로 개구되는 제3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3 중공의 하부를 메우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의 하부 외주면을 둘러싸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20166863A 2022-10-20 2022-12-02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55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5996 WO2024085584A1 (en) 2022-10-20 2023-10-17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358 2022-10-20
KR20220135358 2022-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587A true KR20240055587A (ko) 2024-04-29

Family

ID=9088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863A KR20240055587A (ko) 2022-10-20 2022-12-02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55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8278B1 (en) Device for heating fluid in a container
WO2020025746A1 (en) System comprising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dapter element
EP3061356B1 (en) Heat-insulating and heat-dissipating component of a vaporizer device of a cotton-free electronic cigarette, method for heat insulation and heat dissipation of a cotton-free electronic cigarette and a cotton-free electronic cigarette
JP2022524410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US8596190B2 (en) Liquid food fountain
KR102545084B1 (ko) 로스팅 흡연 세트
JP2017086744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24005558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66033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KR2024003185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731152A (zh) 低温真空烹饪器具
CN217609538U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11468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1468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8382379A (zh) 气溶胶生成装置
KR102622601B1 (ko) 분리형 서셉터 구조를 갖는 히팅 디바이스
KR2023016068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6068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429518B2 (ja) 液体加熱装置
CN211242989U (zh) 多功能恒温箱
KR101190296B1 (ko) 휴대용 무선 그릇
WO2013118995A1 (ko) 발열 부재를 채용한 보온 용기
KR20170049170A (ko)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CN218354679U (zh) 气溶胶产生装置及其发热组件
CN118382374A (zh) 提取器和包括该提取器的气溶胶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