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170A -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170A
KR20170049170A KR1020150150202A KR20150150202A KR20170049170A KR 20170049170 A KR20170049170 A KR 20170049170A KR 1020150150202 A KR1020150150202 A KR 1020150150202A KR 20150150202 A KR20150150202 A KR 20150150202A KR 20170049170 A KR20170049170 A KR 2017004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beverage
temperatur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휴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
Priority to KR102015015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170A/ko
Publication of KR2017004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로 형성되어 레저 활동 시 등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담긴 음료를 필요 시 가열하여 이렇게 가열된 음료를 직접 음용하거나 다른 음식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음료 출입용 입구를 포함하며 담겨 있는 음료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입구를 노출하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 시 발열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장치와, 상기 발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발열장치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Drink container with function of heating}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로 형성되어 레저 활동 시 등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담긴 음료를 필요 시 가열하여 이렇게 가열된 음료를 직접 음용하거나 다른 음식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밑이 평평한 큰 잔을 말하며, 이러한 텀블러는 커피 등의 음료를 담아 보관하면서 음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텀블러는 대부분 뚜껑을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용기에 비해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우수하고, 이러한 이점 등으로 인해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담아 음용하는 용도로써 그 사용이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테이크아웃 커피점에서 일회용 컵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텀블러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도 개인별 텀블러 사용이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텀블러는 냉온의 음료를 보다 긴 시간 동안 보온 또는 보냉하는 기능을 할 뿐, 담긴 음료를 가열하는 기능을 하지는 못하며, 따라서 텀블러에 담긴 음료를 비교적 빨리 음용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인 잔에 음료를 담아 음용하는 것과 별다른 차이가 없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레저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써, 일례로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캠핑을 포함한 레저 활동 중에 커피 등의 음료를 가볍게 즐기려는 시도도 당연히 증가할 것이지만, 차량을 통한 이동 간 또는 버너 등의 화기 사용이 여의치 못한 환경 등에서는 뜨거운 물을 확보하는 것이 여의치 못해 커피 등의 음료 음용에 큰 제약이 따르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캠핑 등의 레저 활동 시 비교적 부피가 큰 전기 에어 포트를 매번 가지고 다닐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01942호(2001.01.05. 공고), “차량용 컵-히터”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9024호(2004.11.20. 공고),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냉온 겸용 포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음용을 위한 음료를 담는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담긴 음료를 필요 시 가열하여 이렇게 가열된 음료를 직접 음용하거나 다른 음식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로 형성되어 레저 활동 시 등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차량을 통한 이동 간 내지 버너 등의 화기 사용이 여의치 못한 상황에서 차량 전원 등을 이용하여 물이나 음료를 가열 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음료 출입용 입구를 포함하며 담겨 있는 음료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입구를 노출하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 시 발열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장치와, 상기 발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면과 접촉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에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그 외면의 일부 영역이 상기 발열체에 면접촉이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발열장치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내부용기와 마주하는 일면에 출입홀이 형성되는 몸체와, 일측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외부용기 내측에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열 전도성 소재의 열 감지편과, 상기 열 감지편의 온도를 통해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제어부와 발열장치 간 전기적 접속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호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센서부의 몸체 및 보호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기 위해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잘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상한 온도값 및 하한 온도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가열온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상기 가열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온도값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현재 온도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백라이트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까지의 상승 여부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소자의 발광 색상을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제어부, 가열온도 설정부,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한 제어 케이스를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어 케이스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 전원 접속용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소켓과 접속되는 플러그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차량의 시거잭에 접속되기 위한 시거잭 플러그가 형성되는 전원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상기 내부용기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의 개폐를 위한 마개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로 형성되는 음료용기가 음용을 위한 음료를 담는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담긴 음료를 필요 시 가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에 따라, 가열된 음료를 직접 음용하거나 커피나 인스턴트 식품 등 다른 음식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열기기의 구성을 갖는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인 음료용기를 레저 활동 시 등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차량을 통한 이동 간 내지 버너 등의 화기 사용이 여의치 못한 상황에서 차량 전원 등을 이용하여 물이나 음료를 가열 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분해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절개 영역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서 전원연결 케이블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분해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절개 영역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에서 전원연결 케이블을 보인 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100)는 내부용기(110), 외부용기(200), 발열장치(300),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100)는 센서부(150), 제어부(160), 가열온도 설정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덮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110)는 음료 출입용 입구(111)를 형성한 것으로서, 즉, 내부용기(110)는 음료를 실제 수용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내부용기(110)는 담겨 있는 음료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내부용기(110)가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되며, 상단 전체가 음료 출입용 입구(111)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컵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용기(120)는 내부용기(110)를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내부용기(110)가 입구(111)를 노출하는 상태로 외부용기(120)에 수용되어 외부용기(1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연 설명하면, 외부용기(120)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내부용기(110)를 삽입시켜 수용하며, 이에 따라 외부용기(120)는 상단 전체가 개방된 일반적인 컵의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외부용기(120)는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의 단열을 위해 단열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가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내부용기(110)의 상측 외면에 나선부(112)가 형성되고 외부용기(120)의 상측 내면에 나선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열장치(130)는 외부용기(120)에 설치되며, 이러한 발열장치(130)는 전원 공급 시 발열하여 내부용기(110)에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발열장치(130)가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 내부용기(110)와 면접촉되어 열을 전달하는 구성이고, 이에 따라 발열장치(130)가 내부용기(110)의 외면과 면접촉되기 위한 발열체(131)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발열장치(130)의 발열체(131)가 외부용기(12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외부용기(120)에 수용되는 내부용기(110)의 외측 바닥면이 발열체(131)의 일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내부용기(110)는 그 나선부(112) 및 외부용기(120)의 나선부(123) 간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면서 그 외측 바닥면을 발열체(131)의 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전원공급부(140)는 발열장치(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원공급부(140)는 소켓(141) 및 전원연결 케이블(1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키로 한다.
센서부(150)는 내부용기(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센서부(150)는 감지되는 내부용기(110)의 온도값을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제어부(160)는 이렇게 센서부(150)로부터 제공되는 내부용기(110)의 온도값에 따라 발열장치(130)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센서부(150)는 몸체(151), 열 감지편(152), 연산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51)는 외부용기(12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이며, 이러한 몸체(151)의 내부용기(110)와 마주한 일면에는 열 감지편(152)의 출입을 위한 출입홀(151a)이 형성된다.
열 감지편(152)은 몸체(151)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그 일부를 몸체(151)의 출입홀(151a)을 통해 외부용기(120) 내측에 노출시킨다. 그리고 열 감지편(152)은 외부용기(120)의 내부로 수용되는 내부용기(110)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내부용기(110)의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
연산부(153)는 열 감지편(152)의 온도를 통해 내부용기(110)의 온도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즉, 연산부(153)는 내부용기(110)로부터 열이 전도되는 열 감지편(152)의 온도를 통해 내부용기(110)의 온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외부용기(120)는 제어부(160)와 발열장치(130) 간의 전기적 접속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호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10)는 외부용기(120)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구성을 갖는 센서부(150)의 몸체(151) 및 보호 하우징(121)의 존재로 인해 축소된 지름을 갖는 잘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센서부(150)의 몸체(151) 및 보호 하우징(121)은 외부용기(120)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부용기(120)의 상측 입구를 통해 삽입 방식으로 수용되는 내부용기(110)는 대략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가 축소된 지름을 갖는 잘록부(113)를 형성하여 센서부(150)의 몸체(151) 및 보호 하우징(121)의 사이로 수용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잘록부(113)의 일부 영역이 센서부(150)의 열 감지편(152)을 가압하면서 열 감지편(152)과 접촉된다.
가열온도 설정부(170)는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의 상한 온도값 및 하한 온도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160)에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즉, 가열온도 설정부(170)를 통해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에 대한 상한 온도값을 제어부(160)에 설정하면, 제어부(160)는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가 사전 설정된 상한 온도값을 넘지 않도록 발열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가열온도 설정부(170)를 통해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에 대한 하한 온도값을 제어부(160)에 설정하며, 제어부(170)는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의 온도가 사전 설정된 하한 온도값 아래로 떨어지면 발열장치(130)를 동작시켜 내부용기(110)의 음료를 가열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가열온도 설정부(170)가 상기 상한 온도값 및 하한 온도값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제어부(160)에 입력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60)가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가 사전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여 가열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된 온도 아래로 떨어지면 다시 사전 설정된 온도값까지 자동 가열될 수 있게 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가열온도 설정부(170)를 통해 상기 상한 온도값 및 하한 온도값을 1℃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가열온도 설정부(170)를 통해 설정되는 온도값 및 센서부(150)를 통해 감지되는 내부용기의 현재 온도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내부용기(110)에서 가열 중인 음료의 현재 온도 및 내부용기(110)의 음료 가열을 위해 사전 설정된 한계 온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백라이트 소자(1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이러한 백라이트 소자(181)의 발광을 내부용기(110)의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내부용기(110)의 온도가 가열온도 설정부(170)를 통해 설정된 온도까지의 상승 여부에 따라 백라이트 소자(181)의 발광 색상을 구분시켜, 사용자가 이렇게 백라이트 소자(181)의 색상을 통해 내부용기(110)의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내부용기(110)의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 시 제어부(160)는 백라이트 소자(181)의 발광 색상이 청색이 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백라이트 색상이 청색인지 다른 색상인지 여부를 통해 내부용기(110)의 온도가 사전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였는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외부용기(120)는 제어부(160), 가열온도 설정부(170), 디스플레이부(180)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한 제어 케이스(122)를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100)의 주요 전기적 구성을 제어 케이스(122)를 통해 외부로부터 가려지는 형태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외부용기(120)가 제어 케이스(122)가 위치되는 일부 영역만 돌출시킨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 케이스(122)에 전원공급부(140)의 외부 전원 접속용 소켓(141)이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케이스(122)에 설치되는 소켓(141)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며, 전원공급부(140)는 이렇게 소켓(141)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통해 발열장치(130), 제어부(160) 등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100)의 전기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40)는 소켓(141)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 케이블(14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공급부(140)에 대한 외부 전원으로써 차량 전원이 사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전원연결 케이블(142)은 소켓(141)과의 접속을 위한 플러그(142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량의 시거잭에 접속되기 위한 시거잭 플러그(142b)가 형성된다.
덮개(190)는 내부용기(110)의 입구(111)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덮개(190)에는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191) 및 토출구(191)의 개폐를 위한 마개부(192)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덮개(190)는 내부용기(110)의 입구(111)를 막아 내부용기(110)에 담긴 음료가 입구(111)를 통해 쏟아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토출구(191)를 통해 내부용기(110) 내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필요 시 마개부(192)를 이용하여 토출구(191)를 막을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는,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로 형성되어 음용을 위한 음료를 담는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담긴 음료를 필요 시 가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짐에 따라, 가열된 음료를 직접 음용하거나 커피나 인스턴트 식품 등 다른 음식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열기기의 구성을 갖는 통상의 텀블러 크기 정도로 형성됨에 따라, 레저 활동 시 등에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차량을 통한 이동 간 내지 버너 등의 화기 사용이 여의치 못한 상황에서 차량 전원 등을 이용하여 물이나 음료를 가열 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료를 실제 수용하는 내부용기 및 내부용기 내 음료 가열을 위해 전기적 구성을 설치한 외부용기가 탈착 가능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 후 간단한 물 세척 내지 물에 장시간 담아 묵은 때를 불려 세척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음료용기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료 가열 시의 한계 온도 및 음료가 식는 과정에서의 한계 온도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 기호에 따라 음료의 끓는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음료가 지나치게 고온으로 가열되는데 따른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또한 따뜻한 커피 등과 같이 적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음료인 경우 사용자가 빨리 음용하지 않으면서도 음용에 적합한 온도가 자동 유지되는 상태에서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110 : 내부용기
111 : 입구 112 : 나선부
113 : 잘록부 120 : 외부용기
121 : 보호 하우징 122 : 제어 케이스
123 : 나선부 130 : 발열장치
131 : 발열체 140 : 전원공급부
141 : 소켓 142 : 전원연결 케이블
142a : 플러그 142b : 시거잭 플러그
150 : 센서부 151 : 몸체
151a : 출입홀 152 : 열 감지편
153 : 연산부 160 : 제어부
170 : 가열온도 설정부 180 : 디스플레이부
181 : 백라이트 소자 190 : 덮개
191 : 토출구 192 : 마개부

Claims (12)

  1. 음료 출입용 입구를 포함하며 담겨 있는 음료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입구를 노출하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 시 발열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장치;
    상기 발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는 상기 내부용기의 외면과 접촉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에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어 그 외면의 일부 영역이 상기 발열체에 면접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값에 따라 상기 발열장치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내부용기와 마주하는 일면에 출입홀이 형성되는 몸체;
    일측이 상기 출입홀을 통해 상기 외부용기 내측에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열 전도성 소재의 열 감지편;
    상기 열 감지편의 온도를 통해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제어부와 발열장치 간 전기적 접속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호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센서부의 몸체 및 보호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기 위해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잘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상한 온도값 및 하한 온도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기 위한 가열온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온도값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내부용기의 현재 온도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백라이트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용기의 온도가 상기 가열온도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온도까지의 상승 여부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소자의 발광 색상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제어부, 가열온도 설정부, 디스플레이부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한 제어 케이스를 외면에 돌출된 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어 케이스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 전원 접속용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소켓과 접속되는 플러그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 차량의 시거잭에 접속되기 위한 시거잭 플러그가 형성되는 전원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내부용기에 담긴 음료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의 개폐를 위한 마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KR1020150150202A 2015-10-28 2015-10-28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KR20170049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02A KR20170049170A (ko) 2015-10-28 2015-10-28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202A KR20170049170A (ko) 2015-10-28 2015-10-28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170A true KR20170049170A (ko) 2017-05-10

Family

ID=5874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202A KR20170049170A (ko) 2015-10-28 2015-10-28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1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86B1 (ko) 2019-12-02 2020-06-12 장병철 혼성집적회로 기술을 이용한 휴대용 온열기기
KR20220168442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유로 보냉온 및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786B1 (ko) 2019-12-02 2020-06-12 장병철 혼성집적회로 기술을 이용한 휴대용 온열기기
KR20220168442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유로 보냉온 및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8111A1 (en) Container with heating/cooling assembly and removable power source modules
EP2775217B1 (en) Steam cooking appliance
KR101572533B1 (ko) 휴대용 유도가열기
US9265371B2 (en) Portable heating devices for hot beverage containers having insulating sleeves
US9565964B2 (en) Steam cooking appliance
CN112804917A (zh) 电水壶
US9986867B2 (en) Nasal rinse system
US9186006B2 (en) Portable liquid warmer
US20180279826A1 (en) Warm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US10786110B2 (en) Portable heating rod
GB2560176A (en) Beverage making appliance
US20220079379A1 (en) Food warming system
KR20170049170A (ko) 가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US10492639B1 (en) Convective heating system for a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JP2007252620A (ja) 炊飯器
JP7023706B2 (ja) 炊飯器
US20180310758A1 (en) Portable liquid heating apparatus
KR20150034975A (ko) 전기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및 그 제어방법
KR102248151B1 (ko) 스마트 전기가열보온기
KR101978759B1 (ko) 발열유아식판
KR102038222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컵 홀더
KR102067828B1 (ko) 스팀 오븐 레인지
KR101612261B1 (ko)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기능성 텀블러
KR101664343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튀김장치
KR20140074811A (ko) 즉석 조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