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45A -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245A
KR20230061245A KR1020220118653A KR20220118653A KR20230061245A KR 20230061245 A KR20230061245 A KR 20230061245A KR 1020220118653 A KR1020220118653 A KR 1020220118653A KR 20220118653 A KR20220118653 A KR 20220118653A KR 20230061245 A KR20230061245 A KR 20230061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er
opening
guide rai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 키쿠치
요타 히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23006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과제] 염가이고, 장치 전체의 디자인성을 해치는 경우가 없는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어체(2a, 2b)를 닫은 상태 혹은 연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이동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로서, 개폐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 가이드 레일(4)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클로저(40)와, 도어체(2b)측에 장착되고, 주행 롤러(23)가 상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도어체(2b)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앞 쪽 상금구(20)를 구비하고, 문앞 쪽 상금구(20)에는, 해당 문앞 쪽 상금구(20)가 이동하여 클로저(40)와 겹치는 위치에서, 클로저(40)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간섭하지 않도록, 클로저(40)를 문앞 쪽 상금구(20)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클로저용 공간(S1)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Shock absorb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rticle or bifolding doors}
본 발명은, 도어체(扉體)를 닫힌 상태 혹은 열린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이동의 충격을 완충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折戶)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2매(枚)의 도어체를 둘로 접어 개폐하는 접이문 장치가 있다. 이 접이문 장치에 설치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는, 힌지 내에 탄성 부세(付勢) 부재를 장착하고, 그 탄성력을 이용하여 도어체를 개폐 방향으로 부세하여, 도어체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 혹은 열린 상태까지 이 부세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미닫이문(引戶)이나 여닫이문(開戶)에서 사용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접이문 장치에 유용(流用)하여 사용하는 기술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미닫이문 장치에서 사용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는, 미닫이문의 상부에 설치된 주행 롤러 및 클로저(보충 인입 기구)가, 건물 측(建屋側)에 설치된 상(上) 가이드 레일의 레일 내를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클로저에는, 미닫이문을 개폐 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한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세력으로 도어체를 개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32633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80640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58957호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힌지 내에서 회전력을 주기 위해 강한 부세력이 필요하고, 또한, 반복 사용할 수 있기 위한 내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힌지부의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함께, 힌지부를 강고(强固)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염가로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접이문의 문앞 쪽 상금구(戶先側 上金具)가 주행하기 위한 상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클로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용자가 클로저를 시인(視認)할 수 있는 상태로 있어 보기 흉하다. 또한, 장착 작업도 하기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을 접이문 장치에 사용한 경우, 클로저가 개폐 방향으로 기다랗기(長尺) 때문에, 폭(間口)이 작은 접이문 장치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상 가이드 레일 내부의 상측을 클로저가 이동하고, 또한, 상 가이드 레일 내부의 하측을 주행 롤러가 주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상 가이드 레일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디자인성(意匠性)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염가이고, 장치 전체의 디자인성을 해칠 일이 없는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체를 닫힌 상태 혹은 열린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이동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개폐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상 가이드 레일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클로저와, 상기 도어체 측에 장착되며, 주행 롤러가 상기 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체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앞 쪽 상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문앞 쪽 상금구에는, 해당 문앞 쪽 상금구가 이동하여 상기 클로저와 겹치는 위치에서, 상기 클로저와 상기 문앞 쪽 상금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클로저를 상기 문앞 쪽 상금구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클로저용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로저용 공간은, 저판부(底板部)와, 상기 저판부의 전후 방향의 단부(端部)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기립(起立)하는 2개의 측판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부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회전축에 주행 롤러가 각각 장착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주행 롤러의 하측의 위치는, 상기 저판부와 동일 높이, 혹은 그것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접이문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서는, 문앞 쪽 상금구가 이동하여 상기 클로저와 겹치는 위치에서, 상기 클로저와 상기 문앞 쪽 상금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클로저를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클로저용 공간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문앞 쪽 상금구의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건물측의 개구(開口)의 폭이 좁은 것 같은 경우여도, 도어체를 인입하는 길이를 충분히 확보한 개폐체 완충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클로저와 문앞 쪽 상금구가 간섭하지 않도록, 클로저의 위치와 문앞 쪽 상금구가 주행하는 위치를 상하로 나누어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상 가이드 레일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용자가 볼 때 상 가이드 레일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가 장착된 접이문 장치를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 도 1에 있어서 상 가이드 레일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3에서 도어체를 절반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3 및 도 4에서 도어체를 완전히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문앞 쪽 상금구를 왼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문앞 쪽 상금구를 오른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A)는 문앞 쪽 상금구의 평면도, (B)는 (A)의 B-B 단면도이다.
[도 9] (A)는 매달리는 쪽(吊元側) 상금구를 왼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오른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 (A)는 매달리는 쪽 상금구의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1] 클로저의 사시도이다.
[도 12] 클로저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개폐체 완충 장치를 미닫이문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가 장착된 접이문 장치를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상 가이드 레일을 제외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어체를 절반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어체를 완전히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도 5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 가이드 레일을 제외하고 그린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좌측(문 열림측)」 「우측(문 닫힘측)」 「전측(前側)(앞쪽)」 「안쪽(奧側)」 「상측」 「하측」 「전후」의 방향은, 도 1, 도 3~도 5에서 나타내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우측의 단부를 문앞 쪽, 좌측의 단부를 매달리는 쪽이라고 한다.
접이문 장치(1)는, 도 1~도 5에 나타내듯이, 2매의 도어체(제1 도어체(2a), 제2 도어체(2b))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도어체(2a)의 우측 상단 모서리부(右上角部)와, 제2 도어체(2b)의 좌측 상단 모서리부(左上角部)가 힌지(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2매의 도어체(2a, 2b)의 하측에도, 상측과 마찬가지로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2매의 도어체(2a, 2b)는, 도 3~도 5에 나타내듯이, 이용자가 제2 도어체(2b)의 문앞 쪽을 앞쪽으로 끄는(혹은, 이용자가 후측에서 제2 도어체(2b)의 문앞 쪽을 전측으로 미는) 것으로 힌지(3)의 위치가 후측으로 이동하여 접혀져,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열린 상태에서 반대 동작을 함으로써, 닫힌 상태로 이행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 가이드 레일(4)은, 건물측의 개구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도어체(2a, 2b)의 개폐 방향(좌우 방향)에 걸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 가이드 레일(4)의 단면 형상은, 도 2에 나타내듯이, 하측이 개구하는 역디귿자(コ)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 가이드 레일(4)은, 건물 측에 장착되는 상면부(4a)와, 이 상면부(4a)의 전후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b, 4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4b, 4b)의 하측에는, 내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동면부(轉動面部)(4c, 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부(4a)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위치 결정용 벽부(壁部)(4d, 4d)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 가이드 레일(4)의 단면(斷面) 형상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거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 가이드 레일(4)의 내부로서, 이 위치 결정용 벽부(4d, 4d)에 끼워진 영역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클로저(보충 인입 기구)(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클로저(40)는, 상 가이드 레일(4)의 좌우 방향의 소정 위치(도 1~도 5에서는, 상 가이드 레일(4)의 좌우의 양단부)에 간격을 두고 2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클로저(40, 40)는, 각각 동일한 구조의 것이며, 좌측의 클로저(40)의 좌우의 방향을 반전(反轉)시킴으로써, 우측의 클로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듯이, 상 가이드 레일(4)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클로저(40)의 상하 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 가이드 레일(4)의 내부로서, 위치 결정용 벽부(4d)와 측면부(4b)에 끼워진 영역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문앞 쪽 상금구(20)의 주행 롤러(23)가 배치되고, 이 주행 롤러(23)가 전동면부(4c) 위를 개폐 방향으로 주행한다.
제2 도어체(2b)의 상측으로서,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는, 문앞 쪽상금구(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문앞 쪽 상금구(20)는, 제2 도어체(2b)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2 도어체(2b)가 개폐하는 움직임에 맞추어 회전한다. 또한, 문앞 쪽 상금구(20)는, 주행 롤러(23)에 의해 상 가이드 레일(4)의 내부에서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도어체(2a)의 상측으로서, 좌측의 위치에는, 매달리는 쪽 상금구(3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매달리는 쪽 상금구(30)도, 문앞 쪽 상금구(20)와 마찬가지로, 제1 도어체(2a)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1 도어체(2a)가 개폐하는 움직임에 맞추어 회전한다. 또한, 매달리는 쪽 상금구(30)는, 문앞 쪽 상금구(20)와 달리, 상 가이드 레일(4)의 좌단부(左端部)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는, 이들 문앞 쪽 상금구(20), 매달리는 쪽 상금구(30), 및 클로저(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문앞 쪽 상금구(20)를 왼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문앞 쪽 상금구(20)를 오른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A)는 문앞 쪽 상금구(20)의 평면도, (B)는 (A)의 B-B 단면도이다.
문앞 쪽 상금구(20)는, 판금을 가공하여 형성된 러너(21)와, 이 러너(21)의 하측에 매달리는 태양(態樣)으로 장착된 도어 계합부(扉係合部)(25)로 구성되어 있다.
러너(21)는, 저면을 구성하는 저판부(21a)와, 이 저판부(21a)의 좌측에 위치하고, 저판부(21a)의 전후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기립하는 좌측판부(21b, 21b)와, 저판부(21a)의 우측에 위치하고, 저판부(21a)의 전후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기립하는 우측판부(21c, 21c)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판부(21b, 21b), 우측판부(21c, 21c)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축(22)이 각각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22)에는, 각각 주행 롤러(2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의 내측의 단부는, 좌측판부(21b, 21b), 우측판부(21c, 21c)의 내측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저판부(21a), 좌측판부(21b, 21b), 우측판부(21c, 21c)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부분에는, 도 6~도 8에 나타내듯이, 클로저용 공간(S1)이 형성된다. 이 클로저용 공간(S1)의 전후 방향의 간격은, 도 2에 나타내듯이, 클로저(40)의 전후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러너(21)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로저(40)의 위치에 도달했다 하더라도, 이 클로저용 공간(S1) 내에 클로저(40)가 들어가, 문앞 쪽 상금구(20)가 주행할 때에 클로저(40)를 내측으로 하여 통과함으로써, 클로저(40)와 러너(21)가 동일 높이 위치에서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주행 롤러(23)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클로저(40)의 전후 방향의 외측의 위치에서, 상 가이드 레일(4)의 전동면부(4c)에 지지되면서 주행한다. 이 주행 롤러(23)의 하측(하단)의 위치는, 클로저(40), 및, 저판부(21a)의 하측(하단)의 위치와 대략 같은 높이, 혹은, 그보다도 상측이 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 가이드 레일(4)의 높이 치수가 불필요하게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저판부(21a)의 좌측에는, 저판부(21a)의 상면에 피포착(被捕捉) 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피포착 부재(24)는, 저판부(21a)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24a)와, 이 베이스부(24a)의 좌우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피계합부(被係合部)(24b)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4a)는, 리벳(26)에 의해, 저판부(21a)에 고정되어 있다. 피계합부(24b)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대략 L자 모양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클로저(40)의 포착 부재(42)(도 11 및 도 12 참조)에 의해 포착되어, 클로저(40)에 의해 문앞 쪽 상금구(20)가 개폐 방향의 어느 하나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도어 계합부(25)는, 제2 도어체(2b)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태양으로 장착된다. 또한, 도어 계합부(25)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저판부(21a)에서 하측으로 연재하는 회전축(27)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도어체(2b)의 이동에 맞추어 수평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回動)한다.
도 9(A)는 매달리는 쪽 상금구(30)를 왼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오른쪽 경사진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A)는 매달리는 쪽 상금구(30)의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이다.
매달리는 쪽 상금구(30)는, 상 가이드 레일(4)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31)와, 이 고정 부재(31)의 하측에 매달리는 태양으로 장착된 도어 계합부(25)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31)는, 저면을 구성하는 저판부(31a)와, 이 저판부(31a)의 전후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기립하는 측판부(31b, 3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저판부(31a)와 측판부(31b, 31b)의 사이에는, 러너(21)와 마찬가지로, 도 9, 도 10에 나타내듯이, 클로저용 공간(S2)이 형성된다. 이 클로저용 공간(S2)은, 클로저용 공간(S1)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클로저용 공간(S2)의 전후 방향의 간격은, 클로저(40)의 전후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클로저용 공간(S2) 내에 클로저(40)를 수용한 상태로, 클로저(40)와 함께 상 가이드 레일(4)에 장착된다.
또한, 측판부(31b)의 전후 방향의 외측에는, 조절 부재(32, 3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 조절 부재(32, 32)의 전후 방향의 두께 치수는, 러너(21)의 주행 롤러(23)의 두께 치수와 동일하고, 고정 부재(31)를 상 가이드 레일(4) 내에 장착했을 때에, 조절 부재(32)가 상 가이드 레일(4)의 측면부(4b)의 내면과 전후 방향으로 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절 부재(32)의 하측의 위치는, 주행 롤러(23)와 마찬가지로, 클로저(40), 및, 저판부(21a)의 하측의 위치와 대략 같은 높이, 혹은, 그보다도 상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 계합부(25)는, 문앞 쪽 상금구(20)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조이며, 제1 도어체(2a)의 상측 좌단부(左端部)에 설치되는 태양으로 장착되며, 제1 도어체(2a)의 이동에 맞추어 수평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한다.
도 11은, 클로저(4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클로저(40)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클로저는, 특허문헌 3에서 사용하는 것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그린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클로저의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클로저(40)는, 도어체(2a, 2b)의 닫힘 시에 클로저(40)의 포착 부재(42)가 문앞 쪽 상금구(20)의 피계합부(24b)를 포착하고, 도어체(2a, 2b)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가 될 때까지 끌어들임으로써, 도어체(2a, 2b)가 반열림 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열림 시에 피계합부(24b)를 포착하여, 도어체(2a, 2b)가 완전하게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어체(2a, 2b)를 세게 닫았을(열었을) 때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부드럽게 닫은(연)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클로저(40)는, 종래(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와 동일 구조, 기능을 하는 것이다. 다만, 종래 구조에서는, 클로저(40)를 개폐 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롤러를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클로저(40)가 상 가이드 레일(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주행 롤러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이하다. 그 때문에, 구조, 기능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 주요 부분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클로저(40)의 본체부(41)의 내부에는, 포착 부재(42)를 끌어들이기 위한 스프링 부재(44)와, 도어체(2a, 2b)의 힘을 완충하기 위한 댐퍼(43)가 설치되어 있다. 포착 부재(42)는, 링크 핀(42b)이 가이드 구멍(41 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하로 이동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러너(21)의 피계합부(24b)를 포착 혹은 포착을 해제한다. 포착한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44)의 부세력에 의해 피계합부(24b)(문앞 쪽 상금구(20))를 끌어들임과 함께, 댐퍼(43)에 의해 끌어들일 방향으로의 충격을 흡수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10)의 동작·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클로저(40)를 상 가이드 레일(4)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고 있으며, 이동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조와 같이 주행 롤러를 설치하는 부분을 없앰으로써, 클로저의 개폐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건물의 개구의 폭이 작은 경우여도,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 가이드 레일(4)을 따라 개폐 방향으로 문앞 쪽 상금구(20)가 주행하고, 정면에서 보아 클로저(40)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겹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문앞 쪽 상금구(20)의 클로저용 공간(S1) 내에 클로저가 들어간다. 그 때문에, 클로저(40)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간섭하지 않고, 문앞 쪽 상금구(20)가 클로저(40)와 동일 높이 위치에서 개폐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문앞 쪽 상금구(20)의 주행 롤러(23)는, 클로저용 공간(S1)의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문앞 쪽 상금구(20)가 개폐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이 주행 롤러(23)와 클로저(40)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주행 롤러(23)가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상 가이드 레일(4)의 높이 치수를 클로저(40)의 높이 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로까지 단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에서는, 클로저(40)와 주행 롤러(23)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었으므로, 상 가이드 레일(4)의 높이 치수는, 클로저(40)와 주행 롤러(23)의 높이 분의 합계의 치수가 필요했지만, 그것을 클로저(40)의 높이 치수와 동등한 길이로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접이문 장치에서는, 도어체의 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한다고 하는 미닫이문 장치에는 없는 특유의 과제가 있기 때문에, 도어체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려 안정되기 어렵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클로저용 공간(S1)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의 외측에 주행 롤러(23)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전후 방향의 한 쌍의 주행 롤러(23)의 거리를 종래의 거리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주행 롤러(23)를 전후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전후 방향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 의하면, 개폐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 가이드 레일(4)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클로저(40)와, 도어체(2b)측에 장착되고, 주행 롤러(23)가 상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도어체(2b)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앞 쪽 상금구(20)를 구비하고, 문앞 쪽 상금구(20)에는, 문앞 쪽 상금구(20)가 이동하여 클로저(40)와 겹치는 위치에서, 클로저(40)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간섭하지 않도록 클로저(40)를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클로저용 공간(S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문앞 쪽 상금구(20)의 개폐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건물측의 개구의 폭이 좁은 것 같은 경우여도, 도어체(2b)를 끌어들이는 길이를 충분히 확보한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클로저(40)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간섭하지 않도록, 클로저(40)의 위치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주행하는 위치를 상하로 나누어 구성할 필요가 없고,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클로저(40)와 문앞 쪽 상금구(20)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 가이드 레일(4)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용자가 볼 때 상 가이드 레일(4)을 눈에 띄지 않게 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클로저용 공간(S1)은, 저판부(21a)와, 저판부(21a)의 전후 방향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기립하는 2개의 측판부(21b, 21c)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부(21b, 21c)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회전축(22)에 주행 롤러(23)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므로, 클로저(40)의 장착 위치와 문앞 쪽 상금구(20)가 주행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보아 서로 겹치는 위치에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롤러(23)의 하측의 위치는, 저판부(21a)와 동일 높이, 혹은 그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 가이드 레일(4)의 높이 치수를, 클로저(40)의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 가이드 레일(4)의 높이 치수를 단축할 수 있고,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접이문 장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접이문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접이문 장치(1)의 전체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위치하는 주행 롤러(23)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도어체(2a, 2b)의 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하는 접이문 장치의 특유의 과제를 극복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개폐체 완충 장치에 대해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기(旣)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근거하여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개폐체 완충 장치(10)를 접이문 장치(1)에 사용하고 있으나, 도 13에 나타내듯이, 미닫이문(102)을 개폐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일반적인 미닫이문 장치(100)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상 가이드 레일(4)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짧게 구성함으로써, 이용자가 눈으로 보게 되는 상 가이드 레일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1 접이문 장치
2a 제1 도어체
2b 제2 도어체
3 힌지
4 상 가이드 레일
4a 상면부
4b 측면부
4c 전동면부
4d 위치 결정용 벽부
10 개폐체 완충 장치
20 문앞 쪽 상금구
21 러너
21a 저판부
21b 좌측판부(측판부)
21c 우측판부(측판부)
22 회전축
23 주행 롤러
24 피포착 부재
24a 베이스부
24b 피계합부
25 도어 계합부
26 리벳
27 회전축
30 매달리는 쪽 상금구
31a 저판부
31b 측판부
32 조절 부재
40 클로저(보충 인입 기구)
41 본체부
41a 가이드 구멍
42 포착 부재
42b 링크 핀
43 댐퍼
100 미닫이문 장치
102 미닫이문
S1, S2 클로저용 공간

Claims (4)

  1. 도어체를 닫힌 상태 혹은 열린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이동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개폐체 완충 장치로서,
    개폐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 가이드 레일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클로저와,
    상기 도어체측에 장착되고, 주행 롤러가 상기 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도어체가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앞 쪽 상금구를 구비하고,
    상기 문앞 쪽 상금구에는, 해당 문앞 쪽 상금구가 이동하여 상기 클로저와 겹치는 위치에서, 상기 클로저와 상기 문앞 쪽 상금구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클로저를 상기 문앞 쪽 상금구의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클로저용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용 공간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전후 방향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기립하는 2개의 측판부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부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회전축에 주행 롤러가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행 롤러의 하측의 위치는, 상기 저판부와 동일 높이, 혹은 그것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 완충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폐체 완충 장치를, 접이문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문 장치.
KR1020220118653A 2021-10-28 2022-09-20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 KR20230061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77002A JP2023066322A (ja) 2021-10-28 2021-10-28 開閉体緩衝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折戸装置
JPJP-P-2021-177002 2021-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245A true KR20230061245A (ko) 2023-05-08

Family

ID=8632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653A KR20230061245A (ko) 2021-10-28 2022-09-20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066322A (ko)
KR (1) KR2023006124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633A (ja) 2006-06-14 2007-12-27 Sugita Ace Kk 蝶番
JP2012158957A (ja) 2011-02-02 2012-08-23 Murakoshi Mfg Corp 開閉体閉止装置
JP2012180640A (ja) 2011-02-28 2012-09-20 Skb:Kk 折り畳みドアのアシ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2633A (ja) 2006-06-14 2007-12-27 Sugita Ace Kk 蝶番
JP2012158957A (ja) 2011-02-02 2012-08-23 Murakoshi Mfg Corp 開閉体閉止装置
JP2012180640A (ja) 2011-02-28 2012-09-20 Skb:Kk 折り畳みドアのアシ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6322A (ja)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341B2 (en) Actuating system and folding panel assembly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US9493056B2 (en) Front door device in vehicle
US20160114659A1 (en) Vehicle door structure
JP2016205128A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KR20230061245A (ko) 개폐체 완충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접이문 장치
KR101612439B1 (ko) 개찰구용 자동 게이트
KR101262765B1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JPH08121012A (ja) 引き違い扉装置
EE200200503A (et) Lengi suhtes liikuva aknatiivaga akna või ukse sulusesõlm ning avatava aknatiiva ja paigalseisva lengiga aken või uks
KR200389929Y1 (ko) 냉동컨테이너의 슬라이드도어 개폐장치
JP3671036B2 (ja) 引戸構造
JP3577537B2 (ja) 吊戸におけるスライド式吊りレール構造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880996B1 (ko) 전후 방향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닫히는 양방향 여닫이문
JPH1144157A (ja) 連動引き戸装置
JP4386506B2 (ja) 窓用ステー
KR102112601B1 (ko) 자동 게이트
KR102373332B1 (ko) 스윙 도어
JP2016130391A (ja) 引戸装置
JPH03260277A (ja) 丁番
KR20220077423A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JPS6133810Y2 (ko)
JPH0720318Y2 (ja) スクリーン巻取装置
KR100712316B1 (ko) 장애인용 화장실 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