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080A -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080A
KR20230061080A KR1020210145964A KR20210145964A KR20230061080A KR 20230061080 A KR20230061080 A KR 20230061080A KR 1020210145964 A KR1020210145964 A KR 1020210145964A KR 20210145964 A KR20210145964 A KR 20210145964A KR 20230061080 A KR20230061080 A KR 2023006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rmrest
damper
conso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5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080A/ko
Publication of KR2023006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 E05B85/085Manipulato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노브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에 후크의 배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댐퍼가 구비된다. 하나의 댐퍼로 암레스트 횡방향 이동 방지 및 후크 복귀 충돌 소음 방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암레스트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lateral movement of console armrest}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 콘솔에 구비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솔에 대한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센터 콘솔이 마련되며, 센터 콘솔의 상부에는 암레스트가 구비되어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의 팔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콘솔바디의 내부에는 물품 수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암레스트는 물품 수납 공간의 덮개 역할을 수행하도록 후단이 콘솔바디 상단에 힌지로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암레스트는 후단이 힌지로 콘솔바디에 장착되고 전단은 자유단이기 때문에 전단에 횡방향(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의 전방 하면 양측에 돌기(1a)를 형성하고, 그 돌기(1a)들의 외측에 고무재질의 댐퍼(1b)를 설치하여, 암레스트(1)를 닫았을 때 댐퍼(1b)가 콘솔바디(2)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암레스트(1)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였다.
한편, 암레스트(1)의 전단에는 암레스트(1) 잠금 해제를 위한 노브(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노브(3)에는 콘솔바디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후크(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암레스트(1)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브(3)에 설치된 리턴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후크(3a)는 항상 잠금 위치로 힘을 받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노브(3)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후크(3a)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암레스트(1)를 열 수 있다.
그런데 상방으로 당겨진 노브(3)를 놓으면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3a)가 원위치(잠금 위치)로 빠르게 돌아가면서 암레스트(1)의 하부바디 및 콘솔바디의 걸림턱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후크(3a)의 뒷면에 부직포(3b)를 부착하여 충돌 소음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와 후크 복귀 충돌 소음 방지를 위한 구조가 따로 적용되었으므로, 암레스트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도 증가되며, 이에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3143호(2017.02.07.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다 단순한 구조로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후크 복귀 소음까지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솔바디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노브와; 상기 콘솔바디의 전방 상단에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로 복귀했을 때 삽입 안착되도록 형성된 후크안착홈과;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과 후크가 잠금 위치로 복귀할 때의 충돌 소음을 방지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는 후크의 배면에 밀착되는 직사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후크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댐퍼의 양측 사이드부는 후크의 양측면과 상기 후크안착홈의 양측 벽면 사이에 끼인다.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댐퍼의 몸체는 암레스트 하부바디의 전방부에 형성된 후크홀의 후단면에 접촉된다.
상기 댐퍼의 몸체 배면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바디 전방부에 형성된 후크홀의 후단면에 상방으로 수직한 댐퍼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댐퍼접촉부에 상기 유동방지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댐퍼의 몸체 배면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콘솔바디의 후크안착홈 내부에 후크가 걸려지도록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유동방지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의 양측면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양측 사이드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의 양측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후크를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사출되어 상기 연결홀을 통해 댐퍼의 배면부와 양측 사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의 양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댐퍼가 구비됨으로써 댐퍼의 양측 사이드부가 콘솔바디 후크안착홈의 양측 벽면에 맞닿아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되고, 댐퍼의 배면이 암레스트의 하부바디 및 후크안착홈의 걸림턱에 맞닿아 후크의 복귀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크에 설치되는 하나의 댐퍼에 의해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과 후크 복귀 소음을 모두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암레스트의 구조가 보다 단순해지고, 사용되는 부품수도 감소되며, 이에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암레스트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암레스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기술이 적용된 암레스트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정면 중, 노브 설치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상기 노브의 후크부 배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댐퍼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콘솔바디의 사시도 및 후크안착홈 형성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상기 댐퍼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암레스트의 하부바디 전방부의 사시도.
도 9는 댐퍼가 설치된 후크의 평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10)는 콘솔바디(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암레스트(10)의 전방 단부에는 암레스트(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노브(30)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30)에는 하방으로 연장 성형된 후크(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콘솔바디(20)의 전방 상단에는 후크안착홈(21)이 형성되며, 후크안착홈(21)의 내부에 걸림턱(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31)가 후크안착홈(21)으로 삽입되어 걸림턱(22)에 걸려짐으로써 암레스트(10)의 상향 개방이 불가한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 노브(30)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31)에 후크(31)의 양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구조의 댐퍼(40)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댐퍼(40)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몸체 양측면에 직각으로 절곡된 사이드부(41)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댐퍼(40)는 후크(31)의 배면부에 밀착 상태로 설치되며, 양측의 사이드부(41)는 각각 후크(31)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사이드부(41)에는 복수의 결합홀(42)이 형성되고, 후크(31)의 양측면에는 결합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홀(42)과 동일한 단면 형상의 결합돌기(32)가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31)의 결합돌기(32)가 댐퍼(40)의 결합홀(42)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댐퍼(40)가 후크(31)에서 이탈되지 않고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후크(31)가 일체로 형성된 노브(30)는 암레스트(10)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힌지핀 및 노브(30)는 암레스트(10)에 대해 회전 동작만 가능하고 힌지핀의 축방향 즉, 암레스트(10)의 횡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는다. 미세한 횡방향 유동이 존재하더라도 그 크기는 암레스트(10)의 전방부 횡방향 유동에 비해 미미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조립 상태에서 후크(31)는 암레스트(10)의 하부바디(11)의 전방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후크홀(12)을 통해 암레스트(10)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다. 후크(31)는 노브(30)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므로 댐퍼(40)의 양측 사이드부(41)는 후크홀(12)의 양측 둘레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후크홀(12)의 하방으로 돌출된 후크(31)의 양측면을 감싸는 사이드부(41) 부분은 후크(31)가 콘솔바디(20)의 후크안착홈(21)에 삽입 안착되었을 때 후크(31)의 양측면과 후크안착홈(21)의 양측 벽면 사이에 끼어 후크(31)가 좌우 방향(=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해준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31)가 일체로 형성된 노브(30)는 암레스트(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이 노브(30)가 콘솔바디(20)에 대해 횡방향으로 고정되면 암레스트(10) 역시 콘솔바디(20)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동이 불가하다.
따라서 상기 댐퍼(40)에 의해 암레스트(10)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40)의 몸체 부분은 후크(31)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복귀할 때 암레스트(10) 하부바디(11)의 상기 후크홀(12) 후단면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탄성을 가진 댐퍼(40)가 후크홀(12)의 후단면에 충돌하게 됨으로써 후크(31)가 직접 충돌할 때에 비하여 충돌 소음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40)에 의해 후크(31)의 복귀 충돌 소음이 방지되는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후크(31)에 설치되는 댐퍼(40)만으로 암레스트(10)의 횡방향 유동 방지 및 후크(31)의 복귀 충돌 소음 방지가 모두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암레스트의 구조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댐퍼(40)의 배면에는 상하 방향 및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유동방지돌기(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돌기(43)는 1개만 형성되어도 효과가 있으나 성능 증가를 위해 2 ~ 3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의 유동방지돌기(43)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상기 유동방지돌기(43)에 대응하여, 도 6과 같이, 콘솔바디(20)의 후크안착홈(21) 내부에는 상기 걸림턱(22)에 유동방지돌기(4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수의 걸림홈(23)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31)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댐퍼(40)의 유동방지돌기(43)가 후크안착홈(21) 내부의 걸림홈(23)에 삽입되어 횡방향으로 걸려짐으로써 후크(31)의 횡방향 유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걸림홈(23)에는 유동방지돌기(43)의 하부 부분만 삽입된다. 즉, 유동방지돌기(43)의 상부 부분을 잡아주는 걸림홈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후크홀(12)의 후단면에 상방으로 댐퍼접촉부(13)가 형성되고, 그 댐퍼접촉부(13)의 정면에 후크안착홈(21) 내부에 형성된 걸림홈(23)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동수의 걸림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댐퍼접촉부(13)의 정면은 후크홀(12)의 후단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수직면이다. 댐퍼접촉부(13)는 상기 정면 부분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면과 상부면이 형성되며, 그 양측면과 상부면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바디(11)의 대응 부분에 연결된다(하부바디(11)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됨).
따라서 후크(31)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유동방지돌기(43)의 상부와 하부 전체가 상기 걸림홈(14,23)에 삽입 안착됨으로써 후크(31)의 횡방향 유동 억제력이 증가되어 암레스트(10)의 횡방향 유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돌기(43)는 단면이 이등변삼각형이나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당연히 상기 도형의 밑변에 해당되는 부분이 댐퍼(40)의 표면에 형성되고 양측 등변이 표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14,23)들은 유동방지돌기(43)와 동일한 단면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31)가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이동할 때 유동방지돌기(43)가 걸림홈(14)에 용이하게 삽입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40)는 노브(30) 사출 성형시 이중 사출 공법에 의해 후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31)와 댐퍼(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돌기(32)와 결합홀(42) 같은 결합 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도 9와 같이, 후크(31)에 양측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연결홀(31a)을 형성하고, 후크(31)를 댐퍼 사출 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댐퍼(40)를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공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31)의 연결홀(31a)을 통해 댐퍼(40)의 배면부와 사이드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44)가 형성되는데, 연결부(44)는 후크(31)의 모서리부(31b)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후크(31)와 댐퍼(40)는 구조적으로 분리가 불가능하여 매우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암레스트 11 : 하부바디
12 : 후크홀 13 : 댐퍼접촉부
14 : 걸림홈 20 : 콘솔바디
21 : 후크안착홈 22 : 걸림턱
23 : 걸림홈 30 : 노브
31 : 후크 31a : 연결홀
31b : 모서리부 32 : 결합돌기
40 : 댐퍼 41 : 사이드부
42 : 결합홀 43 : 유동방지돌기
44 : 연결부

Claims (8)

  1. 콘솔바디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크가 일체로 형성된 노브와;
    상기 콘솔바디의 전방 상단에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로 복귀했을 때 삽입 안착되도록 형성된 후크안착홈과;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과 후크가 잠금 위치로 복귀할 때의 충돌 소음을 방지하는 댐퍼;
    를 포함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서, 후크의 배면에 밀착되는 직사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절곡 연장 형성되어 후크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댐퍼의 양측 사이드부는 후크의 양측면과 상기 후크안착홈의 양측 벽면 사이에 끼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잠금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댐퍼의 몸체는 암레스트 하부바디의 전방부에 형성된 후크홀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몸체 배면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바디 전방부에 형성된 후크홀의 후단면에 상방으로 수직한 댐퍼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댐퍼접촉부에 상기 유동방지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몸체 배면에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콘솔바디의 후크안착홈 내부에 상기 후크가 걸려지도록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유동방지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양측면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댐퍼의 양측 사이드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양측면과 배면을 관통하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는 후크를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사출되어 상기 연결홀을 통해 댐퍼의 배면부와 양측 사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KR1020210145964A 2021-10-28 2021-10-28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KR20230061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64A KR20230061080A (ko) 2021-10-28 2021-10-28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964A KR20230061080A (ko) 2021-10-28 2021-10-28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080A true KR20230061080A (ko) 2023-05-08

Family

ID=8638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964A KR20230061080A (ko) 2021-10-28 2021-10-28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0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43B1 (ko)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143B1 (ko)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9984B2 (ja) フック装置
US7478848B2 (en) Door opening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 door outer handle
KR100785231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US7614674B2 (en) Console box
JP634653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アンカーカバー及び車両用シート
KR20070029108A (ko) 로드 플로어 래치
KR101628499B1 (ko)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US10352076B2 (en) Lock device in an armrest console and an armrest console employing the same
JP5788253B2 (ja) ロック装置
KR101738052B1 (ko) 암레스트의 잠금구조
US7556296B2 (en) Vehicle door handle and vehicle door handle manufacturing method
US20180222371A1 (en) Pivotable armrest with bolt mechanism
KR20230061080A (ko) 콘솔 암레스트의 횡방향 유동 방지 구조
KR10200931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KR102624617B1 (ko) 양방향 개폐형 자동차 암레스트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KR100645137B1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이탈방지구조
JP2015182739A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KR100589005B1 (ko)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CN211923872U (zh) 发动机罩锁及车辆
JP7306246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JP5977683B2 (ja) 遊技機
JP6974748B2 (ja) ラッチ装置及びシート装置
JP7472239B1 (ja) 車両用収容装置
KR20020016616A (ko) 로드 플로어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