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072A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072A
KR20230059072A KR1020210143099A KR20210143099A KR20230059072A KR 20230059072 A KR20230059072 A KR 20230059072A KR 1020210143099 A KR1020210143099 A KR 1020210143099A KR 20210143099 A KR20210143099 A KR 20210143099A KR 20230059072 A KR20230059072 A KR 2023005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ood
feeder
case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김주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072A/ko
Publication of KR2023005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료투입구를 통해 사료케이스 내부로 투입된 사료를 피더의 회전운동을 통해 사료배출구로 이송할 수 있다. 사료케이스의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사료케이스 내부의 사료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피더의 회전속도를 조정한다. 이로써 반려동물에서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et feed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음식물을 제공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보호자와 반려동물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들 제품들 중 정해진 시간에 식음료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자동급식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어 사용자와 반려동물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반려동물에게 맞는 사료, 간식, 물 등의 음식물을 제공하는 것은 반려동물을 기르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특히 반려동물을 홀로 두고 보호자가 집을 비우는 경우 음식물 공급시간과 공급량을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에 반려동물에 음식물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0836호(선행문헌 1)는 보호자 부재시 애완동물에게 정확한 시간에 적정량의 사료를 주도록 하는 사료 자동급식기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스크류가 설정시간 동안 회전하여 사료가 취출되는데 스크류 사이마다 사료가 정량으로 투입되지 않으면 반려동물에 정량 배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21267호(선행문헌 2)에 사료 및 수분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런데, 선행문헌 2는 회전날개부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원하는 양만큼 사료를 외부로 배출하지만, 회전날개부 사이에 사료의 양이 일정하지 않으면 사료의 정량 배출이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8051호(선행문헌 3)에 일정시간 동안 사료이송스크류로 사료를 이송하여 그릇에 일정량의 사료를 담아 애완동물에게 자동으로 공급하는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선행문헌 3도 스크류 사이마다 사료가 정량으로 투입되지 않으면 정량 취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를 혼합하여 배출하는 경우 고르게 혼합되지 않거나 정량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이 공급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083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212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68051호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각각 별도의 보관실에 보관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료케이스 내부의 사료의 양을 감지하여 사료의 양에 따라 배출되는 양을 조정하여 정량의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이 부족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료케이스 내부에서 사료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에 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료케이스 내부에서 이송되는 사료의 존재여부에 따라 사료를 이송하는 속도를 조정하여 원하는 배출량으로 사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서 이너케이스의 내부에 사료저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사료저장실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고, 이들을 서로 다른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과 제2사료저장실에는 각각 제1사료공급모듈과 제2사료공급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은 제1사료를 저장 및 배출하고 제2사료공급모듈은 상기 제1사료와 다른 종류의 제2사료를 저장 및 배출할 수 있다.
제1사료와 제2사료는 예를 들어 건식사료와 습식사료가 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사료와 제2사료는 사료와 간식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사료공급모듈에 사료가 사료투입구로 투입되면 사료배출구로 사료를 이송시켜 사료배출구를 통해 사료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사료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사료의 배출량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료공급모듈을 구성하는 사료케이스 내부에 있는 사료를 여러 위치에서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사료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사료를 이송시키는 피더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사료의 이송량을 조정함으로써 사료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설정시간 동안 피더의 회전속도를 빠른 속도, 중간속도(정격속도), 느린속도를 조정하여 사료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사료케이스에는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사료투입구 근방에 있는 사료는 제1사료감지센서가 감지하고 사료배출구 근방에 있는 사료는 제2사료감지센서가 감지할 수 있다.
제1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고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는 사료투입구 측에는 사료가 있지만 사료배출구 측에는 사료가 없다는 것이다. 이때는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시켜 피더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료를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다.
제1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지 않고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는 경우는 사료투입구 측에는 사료가 없고 사료배출구 측에는 사료가 있다는 것이다. 이때는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로 회전시켜 피더의 회전속도도 중속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료는 중속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모두 사료를 감지하는 경우는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에 각각 사료가 있다는 것이다. 이때는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보다 느리게 회전시켜 피더의 회전속도도 느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료가 느리게 이송될 수 있다.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모두 사료를 감지하지 않으면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에 각각 사료가 없다는 것이다. 이때는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시켜 피더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료를 빠르게 이송할 수 있다.
설정시간 동안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계속 사료를 감지하지 않으면 알림출력부에서 알림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료케이스에 사료가 없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는 사료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외부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의 쌍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이 사료케이스를 통과하여 수광부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사료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피더는 서로 연결된 스프링 구조의 후방푸셔와 스크류 구조의 전방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사료감지센서는 후방푸셔의 스프링 피치에 설치되고 제2사료감지센서는 전방푸셔의 스크류 피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후방푸셔의 피치와 전방푸셔의 피치에 공급되는 사료의 존재를 감지하여 피더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외부로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후방푸셔의 피치에 사료가 공급된 상태에서 취출모터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설정시간 동안 전방푸셔의 피치에 사료가 공급되지 않으면 외부로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료를 한번에 많이 투입하는 경우 후방푸셔에서 전방푸셔로 사료가 이동하지 않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과 제2사료공급모듈의 하부에는 제1사료공급모듈과 제2사료공급모듈에서 사료를 배출받는 트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부에는 식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사료공급모듈과 제2사료공급모듈로부터 각각 배출되는 사료는 식기에 담길 수 있다. 트레이부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식기에 음식물이 배출되면 전방으로 인출되어 반려동물이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용 음식물을 각각 별도의 보관실에 보관하고 각 음식물에 맞는 온도 및 습도로 보관할 수 있어 안전한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에게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별개로 또는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에게 정해진 정량의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료케이스에 저장된 음식물의 양을 감지하여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여 음식물의 현재 저장량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이 이송되는 사료케이스에서의 음식물 양을 감지하여 배출되는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정해진 양의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에 많은 사료를 투입해서 사료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료케이스 내부에서 사료의 이송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에 알림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료케이스 내부에서 이송되는 사료의 존재여부에 따라 사료를 이송하는 속도를 조정하여 원하는 배출량으로 사료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이 이너케이스에 구비된 취출모터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사료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료공급모듈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사료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료공급모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 및 사료덕트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제1피더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
도 15는 도 14의 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의 일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케이스 내부에 사료가 투입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일실시례에 따른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트레이를 보인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회전트레이가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보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는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각각 별개의 저장실에 저장하여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래 전반에 걸쳐 기재된 "음식물"은 반려동물에 공급하는 사료, 간식, 물, 음료 등을 통칭하는 용어임을 밝혀둔다. 음식물을 세부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료, 간식, 물, 음료 등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음식물로 사용한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이하 "음식물 공급장치"라 한다)는 대략 육면체의 외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은 아웃케이스(10)에 의해 만들어지고,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아래쪽에는 전방으로 공급스테이션(17)이 구비되고, 공급스테이션(17)에는 트레이부(170)가 안착될 수 있다.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는 서로 같은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사료도어(121)가 인출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10)는 아웃상면부(11), 아웃후면부(12), 아웃측면부(13) 및 아웃저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케이스(1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부품들이 서로 조립되어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아웃저면부(15)는 공급스테이션(17)과 결합될 수 있다. 아웃저면부(15)는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하는 일부이면서 공급스테이션(17)과 연결된 트레이부(17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 장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고, 장착공간(16)은 전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장착공간(16)에 이너케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웃저면부(15)는 별개물로 구성되고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아웃저면부(15)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너케이스(30)가 아웃케이스(10)의 아래쪽에서 장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이너케이스(30)는 장착공간(16)의 전방에서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장착공간(16)의 전방에는 공급스테이션(1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트레이부(170)가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공급스테이션(17)은 대략 사각판상이고, 중심에는 가이드홀(17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7a)은 트레이부(170)의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홀이 될 수 있다.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 케이스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20)는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서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을 수 있다.
케이스커버(20)는 평판구조인 커버플레이트(21)와, 커버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커버스페이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스페이서(23)는 커버플레이트(21)와 아웃후면부(12) 사이에 빈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케이스커버(20)가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어서 결합할 때, 아웃후면부(12)에 배치된 부품들이 차폐될 수 있고, 부품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21)에는 방열그릴(25)이 구비될 수 있다. 방열그릴(25)은 커버플레이트(21)의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이다.
이너케이스(30)는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는 냉각부(60), 음료부(80), 사료부(120)의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30)는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이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이란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이 서로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위 각 공간들은 댐퍼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너케이스(30)는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케이스(3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들 각 공간들이 서로 단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너케이스(30)는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이너케이스(30)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례에서, 이너케이스(30)의 우측 상부에 음료저장실(C1)이 있고, 좌측상부에 사료저장실(C2)이 있고, 이너케이스(30)의 하부에 취출실(C3)이 배치될 수 있다. 취출실(C3)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음료와 사료가 중력에 의해 취출실(C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의 배치는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은 좌우길이 보다 상하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료저장실(C2)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사료저장실(C2a)은 제2사료저장실(C2b)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인 간식이 보관될 수 있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식사료인 일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사료저장실(C2a)은 간식저장실이 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은 사료저장실이 될 수 있다.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이 배치될 수 있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각각 사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례에서는 사료저장실(C2)은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나뉘지 않고 하나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료저장실(C2)에 한 종류의 사료만 보관되거나 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이 서로 연결된 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은 각각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의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의 사이에는 제1단열벽(W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단열벽(W1)은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 사이에 배치되어,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할 수 있다. 제1단열벽(W1)은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제1단열벽(W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단열벽(W1)의 상단은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와 연결되고, 하단은 제3단열벽(W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열벽(W1)은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 사이로 냉기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에는 제2단열벽(W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2단열벽(W2)은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취출실(C3)은 제3단열벽(W3)에 의해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과는 구획될 수 있다. 취출실(C3)의 좌우폭은 상부에 배치된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의 좌우폭을 합친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취출실(C3)에 배치되는 트레이부(170)에는 복수개의 반려동물용 식기(17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냉각부(60)는 음료저장실(C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냉각부(60)는 이너케이스(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부(60)는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까운 이너후면부(32)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60)에서 발생된 냉기는 음료저장실(C1)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냉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퍼질 수 있다.
사료부(120)는 이너케이스(30)의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가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식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대적으로 제2사료저장실(C2b)보다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저온보관이 요구되는 습식사료를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이 이너케이스에 구비된 취출모터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사료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료공급모듈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 및 사료덕트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사료부(120)의 전방에는 사료도어(121)가 배치될 수 있다. 사료도어(121)는 아웃케이스(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사료도어(12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22)이 결합될 수 있다.
사료도어(121)가 인출되면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도 사료도어(12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사료를 채워넣을 수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이너케이스(30)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고,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는 사료덕트(123)가 연결될 수 있다.
사료덕트(123)는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된 사료를 하부의 트레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사료덕트(123)는 사료도어(121)가 인출될 때 함께 인출되지 않고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될 수 있다.
사료덕트(123)는 위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사료덕트(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빈 관 구조이므로 사료덕트(123)는 사료를 중력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사료덕트(123)는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사료덕트(123)는 합성수지 재질이나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사료덕트(123)는 4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사료덕트(123)의 상부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연결되는 제1취출부(124)가 있다.
도 9에서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사료배출부(133)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제1사료공급모듈(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취출부(124)의 하부에는 상부연결관(125)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연결관(125)은 제1취출부(124)와 결합할 수 있고, 제1취출부(124)로 유입된 사료를 아래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연결관(125)의 하부에는 제2취출부(126)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취출부(126)의 제2취출입구(126')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제2개구부(153)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서 취출된 사료는 제2취출입구(126')를 통해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취출부(126)의 하부에는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될 수 있다. 트레이배출관(127)은 제1취출부(124)와 제2취출부(126)에서 전달된 사료를 트레이부(170)에 최종적으로 취출하는 출구가 될 수 있다.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사료는 하부의 식기(177)로 배출될 수 있다.
사료덕트(123)에는 진동모듈(BM)이 결합될 수 있다. 진동모듈(BM)은 사료덕트(123)를 진동시켜 사료덕트(123) 내부에 잔존하는 사료와 이물질 등 분체를 털어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진동모듈(BM)은 사료덕트(123) 중에서 제1취출부(124)의 표면에 밀착되어 제1취출부(124)를 진동시켜줄 수 있다.
진동모듈(BM)에는 진동단부(BM')가 구비될 수 있다. 진동단부(BM')는 제1취출부(124)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제1취출부(124)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모듈(BM)은 압축공기에 의해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모터에 의해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킬 수도 있다. 진동모듈(BM)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진동모듈(BM)에 에어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수납될 수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서로 독립된 제1사료케이스(131)와 제2사료케이스(151)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에 저장되는 사료들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제1사료공급모듈(130)에는 높이와 좌우폭보다 전후방향의 길이가 긴 제1사료케이스(131)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사료케이스(131)의 하부는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사료케이스(131)의 형상은 제1사료케이스(131)에 내장되는 제1피더(14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는 평면구조인데, 이를 통해 제1사료공간의 내부체적을 늘릴 수 있다.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부에는 제1사료투입구(132)가 있다. 이러한 제1사료투입구(132)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사료투입구(132)를 통해 사용자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공간에 사료를 채울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사료투입구(132)에는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사료투입구(132)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를 보면,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는 제1정량가이드(13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정량가이드(134)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통해 일정한 양의 사료가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정량가이드(134)는 제1사료투입구(132)의 반대편인 제1사료케이스(13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9에서 보듯이, 제1정량가이드(134)는 제1사료케이스(131)에 형성된 제1사료배출구(133)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정량가이드(134)는 대략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제1정량가이드(134)의 내부에는 제1피더(140)를 구성하는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정량가이드(134)의 측면에는 제1사료배출구(133)와 연결되는 제1정량취출구(13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제1정량취출구(134a)와 제1사료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고 제1취출입구(124')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제1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먼저 제1정량가이드(134)의 안쪽으로 전달된 후에 제1취출구로 투입되므로, 일정한 양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제1사료케이스(131)의 아래쪽에는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사료플레이트(135)는 제1사료케이스(131)가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제1사료플레이트(135)는 사료도어(121)에 연결되어 사료도어(121)가 인출될 때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제1사료공급모듈(130)도 함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에 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제1사료플레이트(135)에는 복수개의 사료감지센서(136a,136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사료감지센서(136a,136b)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사료감지센서(136a,136b)는 제1사료케이스(131) 내부의 특정 위치에 사료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사료케이스(131) 내부에서 사료가 이송될 때 특정 위치에서 사료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료감지센서(136a,136b)는 제1사료케이스(131)를 사이에 두고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양쪽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제1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이므로 발광부와 수광부로 사료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사료감지센서(136a,136b)를 구성하는 발광부(Tx)와 수광부(Rx)의 쌍이 제1사료케이스(131)를 사이에 두고 외부 양측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발광부(Tx)에서 광을 발광하고 수광부(Rx)에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발광부(Tx) 및 수광부(Rx)가 설치된 위치에서 제1사료케이스(131) 내부에 사료가 있다면 수광부(Rx)는 사료에 의해 광을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해당 위치에 사료가 없다면 수광부(Rx)는 광을 정상적으로 수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Tx)에서 광을 송신하는 상태에서 수광부(Rx)에서 광의 수신여부에 따라 사료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사료감지센서(136a,136b)는 제1사료감지센서(136a)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사료감지센서(136a)는 상대적으로 제1사료투입구(132)에 더 가까운 제1위치에 설치되어 제1사료투입구(132) 근처에 사료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사료감지센서(136b)는 제1사료감지센서(136a) 보다 제1사료배출구(133)에 더 가까운 제2위치에 배치되어 제1사료배출구(133) 근처에 사료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제1사료케이스(131)의 전방 쪽에 사료가 남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듯, 제2사료공급모듈(150)도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동일하게 사료감지센서(156a,156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사료플레이트(135)에는 제1연장레일(137)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연장레일(137)은 제1사료플레이트(135)가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제1연장레일(137)은 제1사료플레이트(135)의 하부에 겹쳐지면서 수납되거나 제1사료플레이트(135)로부터 펼쳐지면서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연장레일(137)은 생략되거나,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인출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제1사료공급모듈(130)에 구비된 제1피더(140)를 보면, 제1피더(140)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피더(140)는 회전운동을 통해 사료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피더(140)는 제1취출모터(M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제1피더(140)의 회전에 따라 사료가 밀려서 이송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사료공급모듈(130)은 제1취출모터(M1)에서 분리되어 있는데, 제1취출모터(M1)의 제1클립(M1a)은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제1모터연결부(141)와 맞물릴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피더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공급모듈의 부품 중에서 제1피더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3에서,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는 제1피더(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피더(140)는 제1취출모터(M1)에 연결되는 제1모터연결부(141)와, 제1모터연결부(141)에 결합된 제1후방푸셔(143)와, 제1후방푸셔(143)에 연결된 제1전방푸셔(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과 후방은 사료도어(121)를 기준으로 본 것이다.
그리고, 제1전방푸셔(145)에는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연결될 수 있다. 제1후방푸셔(143), 제1전방푸셔(145) 및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제1취출모터(M1)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면부호 141a는 제1모터연결부(141)의 결합돌부를 나타내고, 143a는 결합돌부(141a)에 끼워지는 제1후방푸셔(143)의 연결단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례에서, 제1후방푸셔(143)는 스프링구조이고, 제1전방푸셔(145)는 스크류 구조일 수 있다.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공간에서 단위체적당 차지하는 부피를 보면, 제1후방푸셔(143)는 제1전방푸셔(145)보다 부피가 작을 수 있다.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를 교반하고 빠르게 이송시킬 수 있고, 제1전방푸셔(145)는 사료의 이송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부호 143b는 제1후방푸셔(143)에서 연장된 연결암으로서 연결암(143a)은 제1전방푸셔(145) 내부의 푸셔삽입홈(145a)에 끼워질 수 있다.
제1후방푸셔(143)는 제1전방푸셔(145)보다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후방푸셔(143)는 사료의 교반 및 빠른 이송기능을 담당할 수 있고,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제1후방푸셔(143)에서는 사료가 스프링 피치 사이에 분포될 수 있으며 제1후방푸셔(143)가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의 회전에 의해 사료가 교반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방푸셔(145)에서는 사료가 스크류 피치 사이에 분포될 수 있으며 제1전방푸셔(145)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 날개의 회전에 의해 사료가 이송될 수 있다.
제1후방푸셔(143)로부터 전달된 사료는 제1전방푸셔(145)의 날개들 사이로 투입되는데, 날개들 사이의 제한된 피치(pitch) 안에서 사료는 정량만큼 나뉘게 될 수 있다.
이때, 일실시례에서는 제1사료감지센서(136a)는 제1후방푸셔(143) 측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제2사료감지센서(136b)는 제1전방푸셔(145) 측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사료가 제1후방푸셔(143)에서 제1전방푸셔(145) 방향으로 이송되므로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가 원활하게 이송되는지를 빠르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제2사료감지센서(136b)를 제1전방푸셔(145)의 최후단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제1전방푸셔(145)의 최후단 피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구분된 정량의 사료는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에 전달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제1정량가이드(134)의 제1정량취출구(134a)로 정량의 사료를 취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제1피더(140)는 교반 및 빠른 이송을 담당하는 부분과, 정량을 취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원화될 수 있다.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구조를 보면,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제1전방푸셔(145)보다 날개들의 면적이 넓고 일종의 프로펠러 구조일 수 있다. 제1취출레귤레이터(147)는 제1전방푸셔(145)보다 전후길이가 짧고, 제1정량가이드(134)의 안쪽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제1취출레귤레이터(147)의 날개 사이사이에 투입된 사료는 제1정량취출구(134a)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취출모터(M1)는 후술할 제어부(3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취출모터(M1)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여 제1취출모터(M1)의 회전속도(RPM)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취출모터(M1)에는 제1피더(140)의 회전축에 연결되므로 제1취출모터(M1)의 회전에 따라 제1피더(140)도 회전될 수 있다. 제1취출모터(M1)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제1피더(140)의 회전속도도 증가하여 사료의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 사료의 배출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같은 시간 동안 회전속도의 증감을 통해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초 동안 정격속도로 회전하면 사료가 정량으로 배출되는 경우, 같은 t초 동안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면 사료의 배출량이 많아지고, 반대로 같은 t초 동안 정격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면 사료의 배출량은 적어진다.
또한, 다른 실시례에서 제어부(300)는 제1취출모터(M1)의 구동시간을 제어하여 제1피더(140)의 회전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제1취출모터(M1)의 회전시간이 증가하면 제1피더(140)의 회전시간도 증가하여 사료의 배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는 사료의 배출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제1피더(140)의 다른 실시례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 보듯이, 제1피더(140')에는 제1전방푸셔(145)가 생략되고 제1후방푸셔(143)와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서 보듯이 제1피더(140'')에는 제1취출레귤레이터(147)가 생략되고 제1후방푸셔(143)와 제1전방푸셔(145)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사료케이스(151)에 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제2피더(1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피더(160)는 제2취출모터(M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술한 제1사료공급모듈(13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참고로 제2사료공급모듈(150)을 구성하는 제2사료케이스(151)에는 150번대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제2피더(160)에는 16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부와 연결된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보인 블럭도이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또는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사료공급모듈(130)과 제2사료공급모듈(150)은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사료공급모듈(1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사료감지센서(136a)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위치에 설치되어 제1위치에서 제1사료케이스(131) 내부에서 이송되는 제1사료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사료감지센서(136b)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2위치에 설치되어 제2위치에서 제1사료케이스(131) 내부에서 이송되는 제1사료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사료감지센서(136a)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사료감지센서(136a)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사료투입구(132)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고 제2사료감지센서(136b)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사료배출구(133)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사료감지센서(136a)에 의해 제1사료투입구(132)의 근처에 제1사료가 있는지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에 의해 제1사료배출구(133)의 근처에 제1사료가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및 제2사료감지센서(136a,136b)에서 각각 감지된 사료감지결과를 기초로 제1사료공급장치(130)에서 배출되는 사료의 배출량을 조정하기 위해 제1취출모터(M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취출모터(M1)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료감지센서(136a,136b)는 예컨대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사료감지센서(136a,136b)는 발광부(Tx)와 수광부(Rx)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발광부(Tx)와 수광부(Rx)는 사료케이스(131,151)의 외부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2출모터(M1,M2)로 출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하여 제1,2취출모터(M1,M2)의 회전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알림출력부(301)는 알림메시지를 외부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료감지센서(136a,136b)에서 설정시간 동안 사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알림출력부(302)를 통해 사료가 없음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감지를 위한 사료감지신호의 일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각 사료감지센서(136a,136b)를 구성하는 발광부(Tx)와 수광부(Rx)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료케이스(131,151)를 사이에 두고 외부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Tx)는 사료케이스(131,151)를 통과하여 광을 수광부(Rx)로 발광할 수 있고, 수광부(Rx)는 그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이때, 사료케이스(131,151) 내부에서 이송되는 사료에 의해 수광부(Rx)에서의 수광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료의 존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Tx)와 수광부(Rx)는 각 사료케이스(131,15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료케이스(131,151) 내부에 있는 피더(140,160)도 수광부(Rx)에서의 감지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15의 (a)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사료가 없고 제1피더(140)만 있는 경우에 수광부(Rx)에서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도시된다. 사료의 이송 없이 제1피더(140)가 일정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감지신호는 (a)와 같이 일정한 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a)를 보면, 제1피더(140)가 회전함에 따라 제1피더(140)에 의해 광이 수신되지 않은 오프(A)와 광이 수신되는 온(B)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프(OFF)는 발광부(Tx)와 수광부(Rx) 사이에 사료가 존재하여 사료에 의해 발광부(Tx)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부(Rx)에서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온(ON)은 발광부(Tx)와 수광부(Rx) 사이에 사료가 존재하지 않아 사료에 의해 발광부(Tx)에서 발광된 광을 수광부(Rx)에서 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5의 (b)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사료가 있는 경우 수광부(Rx)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가 도시된다. (b)에서는, 사료가 있는 경우 제1피더(140)와 사료에 의해 광을 수신하지 못하는 오프(C)가 길게 나타날 수 있다. 이 오프(C) 동안에는 사료가 계속 나오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호감지는 제2사료공급모듈(150)의 사료감지센서(156a,156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수광부(Rx)에서 광의 수신여부에 따른 온/오프를 확인하여 사료케이스(131,151) 내부에서 사료가 이송될 때, 특정위치에서 사료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사료감지센서(136a,136b)의 온/오프 감지신호를 기초로 제1취출모터(M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취출모터(M1)의 제어를 통해 제1피더(1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제1사료감지센서(136a)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의 온(ON)/오프(OFF) 감지신호에 따른 제1피더(140)의 회전속도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사료감지센서(136a)가 오프이고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온인 경우는 제1사료케이스(131)의 제1사료투입구(132)의 근처에는 제1사료가 있고 제1사료배출구(133)의 근처에는 제1사료가 없다는 것이다. 이때는 제1사료배출구(133)에 제1사료가 없으므로 제1사료배출구(133)로 빨리 이송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제1취출모터(M1)의 제어를 통해 제1피더(140)가 기설정된 정격속도(중속)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정격속도는 저속, 중속, 고속 중 중속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사료감지센서(136a)가 온이고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오프인 경우는 제1사료투입구(132) 근처에는 제1사료가 없고 제1사료배출구(133) 근처에는 제1사료가 있다는 것이다. 이때는 제1사료배출구(133)에 있는 제1사료를 정상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제1피더(140)가 정격속도(중속)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사료감지센서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모두 오프인 경우는 제1사료투입구(132) 근처와 제1사료배출구(133) 근처에 제1사료가 있다는 것이다. 이때는 제1사료배출구(133)에 있는 제1사료를 느리게 배출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제1피더(140)가 정격속도(중속)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사료감지센서(136a)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모두 온인 경우는 제1사료투입구(132) 근처와 제1사료배출구(133) 근처에 제1사료가 없다는 것이다. 이때는 제어부(300)가 제1피더(140)가 정격속도(중속)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설정시간 동안 제1사료감지센서(136a)와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모두 온이 계속되면 제어부(300)는 알림출력부(302)에서 사료가 없음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피더(160)의 회전속도 제어과정은 상기한 제1피더(140)의 회전속도 제어과정과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케이스 내부에 사료의 투입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본 실시례에서 사료공급모듈(130)은 전방으로 인출되어 사료케이스(161)의 사료투입구(132)에 사료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투입할 수 있다. 수동으로 사료를 투입할 때 사료를 한번에 너무 많이 투입하게 되면, 도 16의 예시와 같이 제1후방푸셔(143)가 배치된 공간을 꽉 채울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료의 초기 적재구간에서는 재밍(jamm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재밍 현상이 발생되면 제1취출모터(M1)가 구동하여도 제1후방푸셔(143)에서 제1전방푸셔(145) 방향으로 사료가 이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재밍 현상은 제1취출모터(M1)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제1전방푸셔(145)의 스크류 피치로 사료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최대한 빨리 감지하기 위해서는 제2사료감지센서(136b)를 제1전방푸셔(145)의 최후단 피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사료케이스(131)의 초기 적재구간에 한번에 많은 사료가 적재된 상태이므로 제1사료감지센서(136a)에서는 사료를 감지하고 제2사료감지센서(136b)에서는 사료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취출모터(M1)가 구동한 이후 설정시간 내에 제2사료감지센서(136b)에서 사료를 감지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재밍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빨리 판단하여 알림출력부(301)를 통해 외부로 알림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사료감지센서(136b)를 제1전방푸셔(145)의 최후단에, 예컨대 최후단 스크류 피치에 대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재밍 현상을 빨리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다른 실시례에서는 재밍 현상 외에 취출모터의 장착 불량 등 여러 사유로 인해 제1후방푸셔(143)의 스프링 구간에서 제1전방푸셔(145)의 스크류 구간으로 사료가 이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제1전방푸셔(143)의 최후단 피치 측에 설치되므로 이상여부를 최대한 빨리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서는 제1후방푸셔(143)에서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가 공급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먼저 제1사료케이스(131)가 비어 있는 경우 제1,2사료감지센서(136a,136a)가 사료를 감지하지 않는다(S101). 이 경우 알림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사료가 없음을 알릴 수 있고 사용자가 사료를 제1사료케이스(131)에 투입할 수 있다.
사료가 제1사료케이스(131)에 투입되면 제1후방푸셔(143)로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후방푸셔(143)의 스프링 피치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일정시간을 대기하는 동안(S103), 사용자에 의해 제1사료케이스(131)에 사료가 투입되어 제1사료감지센서(136a)가 사료를 감지하면(S105), 제1취출모터(M1)가 구동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S107). 제1취출모터(M1)의 구동조건은 예를 들어 음식물 배출시간이나 사용자 조작신호 입력이 될 수 있다.
이후, 제1취출모터(M1)의 구동조건이 만족하면 제1취출모터(M1)가 구동될 수 있다(S109). 그리고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사료를 감지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11).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제1취출모터(M1)가 구동되면 제1피더(140)가 회전하여 제1후방푸셔(143)에서 사료가 제1전방푸셔(145)로 이송될 수 있고, 이로써 제1전방푸셔(145)에 설치된 제2사료감지센서(136b)가 사료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사료감지센서(136b)에서 정상적으로 사료를 감지하면(S111), 제1취출모터(M1)의 회전속도를 현재 속도보다 감속시킬 수 있다(S113).
그러나, 재밍 현상이나 취출모터의 결합불량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제1전방푸셔(145)로 사료가 이송되지 않으면 제2사료감지센서(136b)에서 사료를 감지할 수 없다. 만약, 제2사료감지센서(136b)에서 사료를 감지하지 못하면(S111), 설정시간 동안 기다렸다가(S115), 설정시간 내에도 사료를 계속 감지하지 못하면 이상발생을 알리는 알림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17). 이로써 사용자는 이상발생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위 제1사료케이스(131)에 대한 동작방법은 제2사료케이스(15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9는 상기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0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트레이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회전트레이가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설정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의 내부에서 음료와 사료를 공급받을 수 있고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음료와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 내부에서 회전하여 다수개의 식기(177)에 각각 음료와 사료를 담을 수 있고, 취출실(C3)의 외부로 인출되어 식기(177)에 담긴 음료와 사료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부(170)에는 트레이도어(171)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도어(171)는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도어(171)는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트레이도어(171)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트레이부(170)의 회전트레이(175)와 회전트레이(175)에 안착된 식기(177)들도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트레이도어(17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의 바닥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위쪽에는 아웃저면부(15)와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트레이가이드(1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가이드(173)는 트레이도어(171)에 결합되어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각 식기(177)들이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식기(177)들은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각각의 식기(177)들이 서로 멀어져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각 식기(177)들이 서로 멀어지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서로 간섭 없이 각 식기(177)에 담긴 사료나 음료를 먹을 수 있다.
트레이부(170)에는 회전트레이(175)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트레이(175)는 트레이가이드(173)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식기(177)들이 보관될 수 있다.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 식기(177)들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식기(177)들이 특정 위치로 회전되면서 각각의 식기(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길 수 있다.
회전트레이(175)는 대략 사각판구조이고,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식기가이드(176)가 구비될 수 있다. 식기가이드(176)는 회전트레이(175)의 상면에 안착되고, 식기가이드(176)의 안쪽에는 식기(177)이 안착될 수 있다.
식기가이드(176)는 식기(177)를 감싸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거나 입출할 때 식기(177)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식기가이드(176)는 회전트레이(175)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회전트레이(175)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식기가이드(176)에는 식기(177)가 수납될 수 있다. 식기(177)는 사료나 음료가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그릇이다. 식기(177)는 식기가이드(176)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식기(177)를 세척한 후에 다시 식기가이드(176)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식기(177)는 3개로 구성된다. 3개의 식기(177)들은 서로 다른 반려동물들에게 각각 음료나 사료를 공급할 수 있고, 또는 3개의 식기(177)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나 사료들이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식기(177)들은 회전을 통해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식기(177)들 중 어느 하나가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음료나 사료가 공급된 후에,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여 다른 식기(177)가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되어 음료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을 보면, 회전트레이(175)와 식기(177)들이 회전함으로써 각각의 식기(177)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트레이부(170)에는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기 위한 트레이회전모터(181)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회전모터(181)은 후술할 제어부(3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트레이도어(171), 트레이가이드(173) 및 회전트레이(175)를 포함하는 트레이부(170)는 아웃케이스(10)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트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례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는 사료케이스 내부의 사료량에 따라 피더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정량의 사료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뿐 아니라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서 제공되는 사료는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될 수 있고, 각 사료에 맞게 적절한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식과 같은 습식사료는 약 10℃, 건식사료는 약 20℃의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아웃케이스 17: 공급스테이션
17a: 가이드홀 20: 케이스커버
30: 이너케이스 31: 이너상면부
32: 이너후면부 33: 이너측면부
35: 이너저면부 80: 음료부
81: 음료도어 84 : 탱크커버
100: 유로모듈 120: 사료부
121: 사료도어 123: 사료덕트
124: 제1취출부 125: 상부연결관
126: 제2취출부 127: 트레이배출관
130: 제1사료공급모듈 131: 제1사료케이스
132: 제1투입구 134: 제1정량가이드
135: 제1사료플레이트 136a: 제1사료감지센서
136b: 제2사료감지센서 140: 제1피더
141: 제1모터연결부 143: 제1전방푸셔
145: 제1후방푸셔 147: 제1취출레귤레이터
150: 제2사료공급모듈 151: 제2사료케이스
152: 제2투입구 154: 제2정량가이드
155: 제2사료플레이트 156a: 제3사료감지센서
156b: 제4사료감지센서 160: 제2피더
161: 제2모터연결부 163: 제2전방푸셔
165: 제2후방푸셔 167: 제2취출레귤레이터
170: 트레이부 171: 트레이도어
173: 트레이가이드 175: 회전트레이
177: 식기 181: 트레이회전모터
BM: 진동모듈 C1: 음료저장실
C1a: 제1사료저장실 C1b: 제b사료저장실
C3: 취출실 M1: 제1취출모터
M2: 제2취출모터 W1: 제1단열벽
W2: 제1단열벽 W3: 제3단열벽

Claims (15)

  1. 사료투입구와 사료배출구가 마련된 사료케이스;
    상기 사료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료케이스 내부의 사료를 상기 사료배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를 구동시키는 취출모터;
    상기 사료케이스의 제1위치의 사료를 감지하는 제1사료감지센서;
    상기 사료케이스의 제2위치의 사료를 감지하는 제2사료감지센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의 사료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취출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는 서로 연결된 스프링 구조의 후방푸셔와 스크류 구조의 전방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는 상기 후방푸셔의 스프링 피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는 상기 전방푸셔의 스크류 피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는 상기 전방푸셔의 최후단 스크류 피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사료를 이송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취출모터는 상기 피더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더를 회전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상기 사료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후에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가 상기 사료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출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피더를 회전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출모터의 구동 이후부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상기 사료를 계속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알림출력부가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취출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고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사료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로 회전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모두 사료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보다 느리게 회전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모두 사료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출모터를 설정된 정격속도보다 빠르게 회전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계속 사료를 감지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출력부에서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 및 제2사료감지센서는 상기 사료케이스를 사이에 두고 외부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의 쌍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사료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14. 서로 연결된 후방푸셔 및 전방푸셔로 구성된 피더가 사료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의 회전에 의해 사료를 이송시켜 사료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방푸셔에서의 사료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제1사료감지센서와 상기 전방푸셔에서의 사료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각각 상기 사료를 감지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제1사료감지센서가 상기 사료케이스로 투입된 사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피더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피더의 회전 이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상기 사료를 감지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상기 사료가 계속 감지되지 않으면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회전 이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2사료감지센서에서 상기 사료를 감지하면 상기 피더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43099A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99A KR20230059072A (ko)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99A KR20230059072A (ko)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072A true KR20230059072A (ko) 2023-05-03

Family

ID=8638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099A KR20230059072A (ko) 2021-10-25 2021-10-25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0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836A (ko) 2008-01-22 2009-07-27 김병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68051B1 (ko) 2012-04-25 2014-02-27 홍순용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KR20200121267A (ko) 2018-12-24 2020-10-23 박수현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836A (ko) 2008-01-22 2009-07-27 김병수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급식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68051B1 (ko) 2012-04-25 2014-02-27 홍순용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KR20200121267A (ko) 2018-12-24 2020-10-23 박수현 반려동물 사료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사료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83B1 (ko)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JP2019010088A (ja) 回転式投餌装置
KR101839082B1 (ko)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KR101721023B1 (ko) 축양장 먹이 공급장치
KR20130071277A (ko) 자동 사료 급이기
US10408520B2 (en) Airflow containment device for an ice maker
KR20120108301A (ko) 사료 자동 급이 시스템
KR20230059072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77616B1 (ko)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방법
KR20230059070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방법
KR101485981B1 (ko) 얼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230059043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방법
KR20230059058A (ko)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EP1300070B1 (en) An assembly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n amount of feed to a dairy animal in a predetermined period
JP5818662B2 (ja) アイスディスペンサ
KR20130119638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스크류 구조
KR20230059059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66A (ko)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20230059071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59073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0316405A (ja) 循環搬送装置
KR20230059046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KR102485168B1 (ko) 양식용 사료 자동 급이기
KR20230059044A (ko)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60149059A (ko) 물 보충 기능을 가진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