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066A -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9066A KR20230059066A KR1020210143093A KR20210143093A KR20230059066A KR 20230059066 A KR20230059066 A KR 20230059066A KR 1020210143093 A KR1020210143093 A KR 1020210143093A KR 20210143093 A KR20210143093 A KR 20210143093A KR 20230059066 A KR20230059066 A KR 202300590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ed
- take
- feeder
- beverage
- storage compar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7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7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9 Pelti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08—Automatic devices with conveyor bel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01—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 A01K5/007—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with mixing or shredding area contained inside an endless chain or belt convey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65G2812/0527—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사료케이스(131)에는 피더(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더(140)는 모터(M1)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더(140)는 상기 모터(M1)에 연결된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타단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피더(140)의 앞부분에서 사료의 이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가 쏟아지지 않고, 사료는 일정량씩 외부(트레이부)로 공급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사료, 간식 및 음료 등을 공급하기 위한 음식물 컨베이어와, 음식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에게 정량의 사료나 간식 또는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다.
최근에는 사료나 음료 등을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음식물 공급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10-1368051에는 사료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사료를 이송 및 공급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 JP 2007-508819에는 회전하는 이송 유닛을 이용하여 사료를 이송 및 공급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8,701,595에는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사료를 공급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사료 공급장치들은 사료를 단순히 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킬 뿐이며, 사료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스크류구조가 회전하면 사료들은 출구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스크류구조의 블레이드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사료들은 정량보다 많거나 적게 취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크류구조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피치를 좁게 하면, 사료의 취출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하지만 좁은 피치로 인해 사료의 걸림 현상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사료의 이송량도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알갱이 형태의 사료가 컨베이어의 입구를 통해 중력방향을 따라 투입되면, 사료가 스크류구조의 초입에 끼어버리는 걸림(jamm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리는 사료들이 상기 스크류구조의 블레이드 사이의 틈새에 끼거나, 블레이드와 컨베이어의 내벽 사이에 끼어 걸림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걸림현상이 발생하면 회전하는 블레이드에 의해 사료들이 분쇄되어 버리거나, 스크류구조 전체가 멈춰버리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습식사료는 시간이 지나면 습기에 의해 컨베이어의 내벽에 고착되거나, 사료들끼리 뭉쳐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구조가 회전하면 사료들 중 일부는 스크류구조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고착된 상태로부터 풀어질 수도 있지만, 블레이드들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사료들은 서로 뭉쳐진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료에 의해 컨베이어의 출구가 막히거나, 사료들이 반려동물이 쉽게 먹을 수 없는 상태로 취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의 내부에 사료의 보관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컨베이어를 통한 사료의 배출량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에 투입되는 사료들이 스프링형상의 피더 사이에 채워져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들이 컨베이어의 내부에서 고착되거나 뭉쳐지더라도 피더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풀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사료케이스에는 피더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더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케이스의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피더의 앞부분에서 사료의 이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가 쏟아지지 않고, 사료는 일정량씩 외부(트레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더는 세장형(細長型)의 모재가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형성된 코일형상일 수 있다. 이처럼 스프링구조인 상기 피더의 중심부에는 충분히 넓은 빈 공간이 마련되므로, 중력에 의해 다량의 사료들이 투입되더라도 상기 피더의 내부에서 사료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상기 피더의 타단부는 상기 사료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더의 직경 방향의 최외곽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피더의 회전축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는 3° 내지 12°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료는 중력을 극복하면서 적절한 각도의 피더에 안내되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의 피치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의 피치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더의 피치가 줄어들면, 상기 피더의 안쪽 공간도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이송되는 사료의 양도 줄어들어 사료의 배출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가 사료케이스의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눌리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의 타단부에는 복수개의 취출블레이드가 구비된 취출레귤레이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료케이스에는 취출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취출가이드에는 상기 취출레귤레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획된 양만큼만 상기 취출가이드의 출구를 통해서 취출될 수 있고, 취출되는 사료의 양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취출블레이드들과 상기 취출가이드의 회전공간의 내벽 사이에는 정량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취출레귤레이터의 회전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정량공간들은 서로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피더는 사료배출구를 향해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료들은 전방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이송량이 줄어들 수 있다. 피더의 앞부분에서 사료의 이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가 쏟아지지 않고, 사료는 일정량씩 외부(트레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피더는 길이방향을 따라 점점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고, 직경이 좁아지는 구간에서 사료는 중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는 피더에 의해 정밀하게 계량되어 공급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종류나 기호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구조의 피더가 사료들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블레이드를 갖는 취출레귤레이터가 사료들을 일정량씩 외부로 취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료의 이송동작과 배출동작이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해 이원화되어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과적인 사료의 이송/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에는 취출레귤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고, 취출레귤레이터의 취출블레이드는 사료를 일정량씩 구분하여 외부로 취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컨베이어는 미리 설정된 정확한 분량의 사료를 취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에는 취출레귤레이터를 감싸는 취출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취출레귤레이터로 이송된 사료들은 취출레귤레이터의 블레이드들과 취출가이드의 내벽 사이에서 일정량씩 구획되고, 구획된 양만큼만 취출가이드의 출구를 통해서 취출될 수 있다. 따라서 취출되는 사료의 양이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컨베이어에 의하면, 음식물 컨베이어에 투입된 사료들이 먼저 스프링구조의 피더에 채워질 수 있고, 피더가 회전하면 사료들이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스프링구조인 피더의 중심부에는 충분히 넓은 빈 공간이 마련되므로, 중력에 의해 다량의 사료들이 투입되더라도 피더의 내부 또는 피더와 사료케이스의 사이에 사료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므로 컨베이어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구조의 피더는 사료들과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피더와 사료들 사이가 고착될 염려가 적고, 알갱이 형태의 사료들이 피더에 끼어 피더의 회전과정에서 사료들이 분쇄될 가능성도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취출되는 사료의 품질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더에는 폭이 넓은 블레이드가 없으므로, 사료들이 블레이드 사이사이에 구획되어 보관되지 않고 피더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들이 컨베이어의 내부에서 서로 뭉쳐지더라도 피더의 회전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풀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료케이스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사료의 이송 방향도 중력 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가 사료케이스의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눌리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사료의 걸림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사료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이스커버를 제거하고, 냉각부 및 회수덕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압력모듈이 이너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XXXIV-XXX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음료부의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의 측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의 XVIII-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9는 도 1의 XIX-XI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상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도 25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0의 XXVII-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8은 도 1의 XXVIII-X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가 이너케이스에 구비된 회전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부품 중에서 피더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부품 중에서 피더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부품 중에서 피더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6은 도 31에 도시된 음식물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취출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7(a) 내지 도 37(c)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에 의해 사료가 이송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트레이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로부터 회전트레이 및 보울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로부터 트레이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XLIII-XL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인출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6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측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안착된 보울들이 서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도 3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사료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이스커버를 제거하고, 냉각부 및 회수덕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압력모듈이 이너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XXXIV-XXX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와, 음료부의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음료부의 측면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도 1의 XVIII-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9는 도 1의 XIX-XI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사료부에 사료덕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상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사료부에 결합되는 사료덕트의 하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사료덕트를 구성하는 사료배출관의 구조를 도 25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0의 XXVII-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8은 도 1의 XXVIII-X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가 이너케이스에 구비된 회전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부품 중에서 피더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부품 중에서 피더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부품 중에서 피더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6은 도 31에 도시된 음식물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취출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7(a) 내지 도 37(c)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컨베이어의 일실시례에 의해 사료가 이송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에 의해 회전트레이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회전모듈로부터 회전트레이 및 보울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로부터 트레이부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XLIII-XL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인출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6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아웃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인 측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안착된 보울들이 서로 벌어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이하 "음식물 공급장치"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음료와 사료를 적절한 온도로 보관하였다가, 반려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 뿐 아니라,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음식물 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료와 사료는 서로 다른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특히 사료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사료들로 구성되고, 복수의 사료들도 서로 다른 보관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료는 약 15도, 습식사료(간식)는 약 10도, 그리고 건사료는 약 20도의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료와 사료의 보관구조와, 온도조절을 위한 냉기흐름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음식물 공급장치의 앞쪽(전방)은 사용자가 음식물 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이 되고, 뒤쪽(후방)은 그 반대방향이 된다.(도 1의 X축 방향 참조) 그리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왼쪽(좌방)과 오른쪽(우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좌우폭방향(도 1의 Y축 방향 참조)가 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위쪽(상방)과 아래쪽(하방)은 음식물 공급장치의 높이방향(도1의 Z축 방향 참조)이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공급장치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는 대략 육면체의 외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은 아웃케이스(10)에 의해 만들어지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 냉각부(60), 음료부(80), 사료부(12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아래쪽에는 전방으로 공급스테이션(17)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스테이션(17)에는 후술할 트레이부(170)가 안착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음료도어(81), 사료도어(121) 및 트레이도어(171)가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도어(81), 상기 사료도어(121) 및 상기 트레이도어(171) 는 서로 같은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어 있고, 도 20에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어 있으며, 도 42에는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아웃케이스(10)는 아웃상면부(11), 아웃후면부(12, 도 4참조), 아웃측면부(13) 및 아웃저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아웃후면부(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스커버(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아웃후면부(12)에는 냉각가이드(12a)가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냉각가이드(12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0)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체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아웃저면부(15)는 공급스테이션(17)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저면부(15)는 상기 아웃케이스(10)를 구성하는 일부인 동시에, 공급스테이션(17)과 연결되어 후술할 트레이인출모듈(190)에 의해 입출되는 트레이부(17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6)은 전방과 하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이다.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케이스(30) 및 상기 음료부(80) 등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아웃저면부(15)는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아웃저면부(15)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너케이스(3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래쪽에서 상기 장착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공간(16)의 전방에는 공급스테이션(1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트레이부(17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될 때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은 대략 사각판상이고, 중심에는 가이드홀(17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7a)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가이드브릿지(179b, 도 28참고)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가이드홀(17a)을 통해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 및 트레이인출모듈(19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는 케이스커버(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후방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는다. 상기 케이스커버(20)는 평판구조인 커버플레이트(2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커버스페이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스페이서(2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1)와 상기 아웃후면부(12) 사이에 빈 공간인 방열공간(S, 도 11참고)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2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를 덮으면, 상기 아웃후면부(12)에 배치된 부품들이 차폐될 수 있고, 부품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부품들이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압력모듈(76)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2를 보면, 상기 케이스커버(20)의 안쪽에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압력모듈(76)이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1)에는 방열그릴(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으로, 방열공간(S)을 외부로 연결한다. 상기 방열그릴(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방열팬(F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부(60)의 히트싱크(61)와 방열팬(F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F1)은 상기 방열공간(S)에서 상기 방열그릴(25)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바깥쪽인 후방(화살표A 방향)으로 열기를 배출하게 된다. 참고로, 도 11에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와,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 사이에는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 냉각팬(F2) 및 콜드싱크(67)가 배치되는데, 상기 열전소자(65), 냉각팬(F2) 및 콜드싱크(67)는 이너케이스(30)의 냉각플랜지(41a)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리고 상기 냉각플랜지(41a)의 바깥쪽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아웃후면부(12)와,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16)에는 이너케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부(80) 등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와 함께 음식물 공급장치의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케이스(10)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인 단열공간(I)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공간(I)에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단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본 실시례의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를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이 마련되고, 이들은 서로 구획된다. 여기서 구획이란,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이 서로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위 공간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부(D1,D2)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너케이스(3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을 구획하여, 이들 공간이 서로 단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사료저장실(C2) 및 상기 취출실(C3) 사이에서 냉기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공간 사이에서의 냉기유동은 아래에서 설명될 댐퍼부(D1,D2)에 의해 서로 차단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상면부(31), 이너후면부(32), 이너측면부(33) 및 이너저면부(35)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육면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개방된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측면부(33)와 상기 이너후면부(3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필터장착부(3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착부(33a)의 안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수필터(1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101)의 두께와 높이에 따라 상기 필터장착부(33a)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정수필터(101)가 생략된다면 상기 필터장착부(33a)도 생략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냉각부(60),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들이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장착될 때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60), 상기 음료부(80), 상기 사료부(120), 상기 트레이부(170) 등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는데, 이러한 구획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정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정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우측 상부에는 음료저장실(C1)이 배치될 수 있고, 좌측상부에는 사료저장실(C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하부에는 취출실(C3)이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음료와 사료가 중력에 의해 취출실(C3)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실(C1)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공간 중에서 우측에 있고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좌측에 있는데, 이와 반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사료저장실(C2)은 좌우길이 보다 상하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료저장실(C2)은 다시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인 간식이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인 일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은 간식저장실이 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은 건사료저장실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컨베이어(130)가 배치되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컨베이어(150)가 배치된다.(도 3 및 도 5참고)
이와 달리,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저장실(C2)은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로 나뉘지 않고 하나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사료저장실(C2)에 한 종류의 사료만 보관되거나, 또는 제1컨베이어(130)와 제2컨베이어(150)가 서로 연결된 한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은 각각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료저장실(C1), 사료저장실(C2) 및 취출실(C3)의 전방으로부터 부품들이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전방에는 음료공급입구(36)가 개방된다. 상기 음료공급입구(36)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사료저장실(C2)의 전방에는 사료공급입구(37a,37b)가 개방되고, 취출실(C3)의 전방에는 취출입구(38)가 개방된다. 상기 사료공급입구(37a,37b)는 상기 사료도어(121)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취출입구(38)는 취출도어(171)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에는 냉각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홀(41)은 상기 음료저장실(C1)의 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냉각홀(41)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된다. 상기 냉각홀(41)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냉각가이드(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냉각가이드(12a)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냉각홀(41)에 동시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냉각홀(41)에는 냉각플랜지(4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플랜지(41a)는 상기 냉각홀(4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냉각플랜지(41a)는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 콜드싱크(67) 및 냉각팬(F2)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는 유로설치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설치구(43)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취출실(C3)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유로설치구(43)에는 후술할 유로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로모듈(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설치구(43)는 밀폐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취출실(C3) 사이로 냉기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는 탱크가이드레일(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음료탱크(83)의 입출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전후방향으로 구비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브라켓(86)의 바닥면에 형성된 브라켓리브(86a, 도 18참조)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의 사이에는 제1단열벽(W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한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의 상단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와 연결되고,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3단열벽(W3)에 연결된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단열벽(W2)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다. 상기 제1단열벽(W1)은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에서 냉기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충분히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열벽(W1)에는 제1연통로(4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단열벽(W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공기유동 경로이다. 상기 제1연통로(45a)에는 제1댐퍼(D1)가 배치되고, 상기 제1댐퍼(D1)는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게 하거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연통로(45a)는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자연대류에 의해서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냉기가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단열벽(W1)에 상기 제1연통로(45a)가 생략되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는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료저장실(C1)만 냉각되고,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열벽(W1)에 상기 제1연통로(45a)는 형성되지만, 제1댐퍼(D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일정량의 냉기가 상기 음료저장실(C1)에서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되고, 제1사료저장실(C2a)도 어느 정도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에는 제2단열벽(W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벽(W2)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구획하기도 하지만, 상기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단열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단열벽(W2)에는 제2연통로(4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로(45b)는 제2단열벽(W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공기유동 경로이다. 상기 제2연통로(45b)에는 제2댐퍼(D2)가 배치되고, 상기 제2댐퍼(D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로 공기가 유동되게 하거나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면에는 제1회수구(46a)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이 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상기 제1회수구(46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덕트(70)의 제1덕트흡입부(73)가 연결된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를 통해 배출되고,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되며,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연통로(45a)와,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서로 다른 내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회수구(46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통로(45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제1회수구(46a)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통로(45a)는 상기 제1회수구(46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연통로(45a)의 제1댐퍼(D1)를 통해 유입된 찬 공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제1회수구(46a)를 통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로(45b)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사료공급로(4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는 상기 제2단열벽(W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가 장착된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 사료덕트(123)의 상부연결관(125)이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벽(W1)에는 진동설치구(B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설치구(BH)는 상기 제1단열벽(W1)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을 향한 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설치구(BH)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의 진동모듈(BM)이 배치된다. 물론, 상기 진동모듈(BM)이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설치구(BH)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벽(W2)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구획된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되, 유사한 내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제1사료저장실(C2a)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2연통로(45b)를 통해 제2사료저장실(C2b)까지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는 제1사료저장실(C2a)을 거쳐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전달되므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온도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후면에는 제2회수구(46b)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구(46b)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후방으로 개방된 부분이다. 상기 제2회수구(46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덕트(70)의 제2덕트흡입부(75)가 연결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를 통해 배출되고,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냉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순환되며,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제2사료공급로(47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는 상기 제3단열벽(W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가 장착된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이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모듈가이드레일(48,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가이드레일(48,49)은 상기 사료저장실(C2)에 배치된 컨베이어(130,150)의 입출을 안내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바닥에는 제1모듈가이드레일(48)이 있고,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는 제2모듈가이드레일(49)이 있다.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8)과 상기 제2모듈가이드레일(49)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구비되고,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플레이트(135)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리브(138, 도 18참고)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제1모듈가이드레일(4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사료플레이트(155)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리브(158, 도 18참고)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유로통과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통과부(51)는 상기 제2단열벽(W2)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일종의 통로이다. 상기 유로통과부(5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배출노즐(P3d) 및 직수공급관(P2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상기 직수공급관(P2b)은 상기 유로통과부(51)를 통과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사료덕트(123)의 가이드홈(127a,127b)을 통과하여 상기 취출실(C3)로 연장된다. 도 14에는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유로통과부(51)는 그 후방에 가려져 있다.
도 8과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취출실(C3)은 상기 제3단열벽(W3)에 의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과는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취출실(C3)은 좌우로 구획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취출실(C3)은의 좌우폭은 상부에 배치된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의 좌우폭을 합친 길이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되는 트레이부(170)에는 복수개의 보울(17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실(C3)에는 회전모듈장착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는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회전모듈(18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9를 보면,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트레이회전모듈(180)의 구동기어(183)가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는 냉각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가 상기 제1댐퍼(D1)를 통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상면부(31)에 가까운 상기 이너후면부(32)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부(60)에서 발생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냉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퍼질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히트싱크(61)의 열은 바깥쪽인 후방(화살표A 방향)으로 배출되고, 콜드싱크(67)의 냉기는 음료저장실(C1)인 전방(화살표B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회수덕트(70)의 덕트배출부(72)를 통해서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는 단열공간(I)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는 주변부와 단열되고, 열전소자(65)의 냉기는 전방인 음료저장실(C1)로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6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65)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65)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의 열을 발열면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65)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 된다. 즉,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의 열을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65)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65)에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열전소자(65)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면에는 히트싱크(61)가 결합되고, 상기 흡열면에는 콜드싱크(67)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가 동작하면, 상기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은 콜드싱크(67)를 통해 음료저장실(C1)의 열을 흡수하여 음료저장실(C1)을 냉각하고, 발열면은 히트싱크(61)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팬(F2)은 히트싱크(61)의 전열핀에 냉각공기를 송풍하여 전열핀의 열발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62는 전연핀에 삽입된 히트파이프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63과 66는 상기 열전소자(65)를 둘러싸는 단열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0을 보면, 상기 냉각팬(F2)에는 냉각그릴(6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그릴(68)은 상기 음료저장실(C1)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냉각팬(F2)은 상기 열전소자(65)의 흡열면의 냉기를 상기 음료저장실(C1)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그릴(68)의 중심에는 토출부(69a)가 있고, 토출부(69a)의 주면에는 회수부(69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69a)는 냉각팬(F2)에 의해 냉기가 상기 음료저장실(C1)로 공급되는 부분이고, 회수부(69b)는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가 다시 상기 방열공간(S) 쪽으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가 상기 제1댐퍼(D1)에 의해 서로 차단된 상태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토출부(69a)와 상기 회수부(69b)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60)의 주변에는 상기 회수덕트(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이너후면부(32)에 구비되고, 음식물 공급장치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사료저장실(C2) 내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공급해주기 때문에 냉기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덕트(70)는 사료저장실(C2)의 공기가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보관된 사료에서 발생되는 냄새도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회수덕트(7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긴 관(tube)구조이다.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상기 사료저장실(C2)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의 통로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30)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2에는 상기 케이스커버(20)와 상기 아웃케이스(10)가 제거되고 상기 회수덕트(70)가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보면, 상기 회수덕트(7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회수관(71)과, 상기 메인회수관(71)에서 분기되는 덕트배출부(72),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는 상기 메인회수관(71)으로부터 높이를 달리하여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는 제1덕트흡입부(73) 및 제2덕트흡입부(75)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덕트배출부(7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상기 냉각부(60)의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덕트배출부(72)는 상기 열전소자(65) 및 콜드싱크(67)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10과 도 12를 보면, 상기 덕트배출부(72)가 상기 열전소자(65)와 콜드싱크(67)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상기 제1회수구(46a)에 연결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상기 제2회수구(46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흡입부(73)를 통해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가 회수되고, 상기 제2덕트흡입부(75)를 통해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가 회수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회수하여 상기 냉각부(60)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수덕트(70)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모아 상기 냉각플랜지(41a)를 통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플랜지(41a)를 통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를 거쳐 다시 냉각되어 상기 음료저장실(C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음식물 공급장치 내부의 공기는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된 냉기의 누설이 줄어들 수 있고, 사료저장실(C2)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도 줄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수덕트(70)의 내부에는 공기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필터는 상기 덕트배출부(72)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부(60)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필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 상기 제2덕트흡입부(75) 또는 상기 메인회수관(7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필터는 탈취필터나 광촉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을 보면,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압력모듈(7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압력을 낮추고, 제2사료저장실(C2b)의 일종의 음압실로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보관되는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을 상기 트레이부(170)가 배치된 취출실(C3)과 구획하는 제3단열벽(W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압력모듈(76)은 제3단열벽(W3)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쪽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압력모듈(76)은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진공펌프는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일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얇은 판막을 진동시켜 밀폐된 공간의 용적을 수축/확장시킴으로써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흡입구(77, inlet)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 outlet)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공기흡입구(77)의 입구(77a)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의 출구(78a)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를 향해 개구된다. 이처럼,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의 출구(78a)가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이너케이스(3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냉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의 진공펌프가 동작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사료의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음료탱크(8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커버(84)에 의해 차폐되므로, 음압을 통해 산화를 방지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기준값(예를 들어 1기압) 보다 낮아지면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측정은 별도의 압력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력스위치는 상기 압력모듈(76)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뿐 아니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내부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댐퍼(D1)가 차단되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배기되면서 동시에 제1사료저장실(C2a)도 배기되어, 각각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내부압력이 모두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모듈(76)의 조작은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댐퍼부(D1,D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D1,D2)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과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댐퍼부(D1,D2)는 제1댐퍼(D1)와 제2댐퍼(D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댐퍼(D1)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음료저장실(C1)과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이인 제1연통로(45a)에 배치되고, 상기 제2댐퍼(D2)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인 제2연통로(45b)에 배치된다. 상기 제1댐퍼(D1)와 상기 제2댐퍼(D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댐퍼부(D1,D2)에는 회전되는 댐핑블레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연통로(45a)와 상기 제2연통로(45b)를 각각 차단/개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음료부(80)를 살펴보면, 상기 음료부(80)는 음료를 저장하였다가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음료란, 물 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마실 수 있는 주스, 우유, 이온음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부(80)는 상기 음료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켜 보관할 수 있고,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170)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되면, 반려동물은 적절한 온도의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외부에서 상기 음료부(80)의 내부로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i)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을 통해 외부의 수돗물이나 정수물을 공급하는 방법과, (ii) 또는 상기 음료부(80)의 음료탱크(83)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에 음료탱크(83)의 내부로 음료를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부(80)에 저장된 음료를 반려동물에게 공급하기 위해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으로는, (i)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수돗물이나 정수물을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과, (ii) 먼저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어 냉각된 음료를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음료부(80)는 상기 냉각부(6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음료부(80)는 냉각부(60)로부터 공급된 냉기로 냉각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음료부(80)의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는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되어 설정된 온도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보관되고, 상기 냉각부(60)는 상기 음료저장실(C1)로 냉기를 토출한다.
상기 음료부(8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음료부(80)에는 음료도어(8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음료도어(8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음료도어(81)가 인출되면 상기 음료탱크(83)도 상기 음료도어(8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음료도어(8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82, 도 16참고)이 결합된다.
도 16와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도어(81)의 후방에는 음료탱크(8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음료도어(81)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탱크브라켓(8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탱크브라켓(8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음료탱크(83)는 내부에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저장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로모듈(100)의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이 삽입된다. 상기 탱크주입관(P3a')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로 외부의 음료를 주입하고, 탱크배출관(p3b')은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료를 상기 트레이부(170) 쪽으로 배출한다. 상기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은 아래에서 설명될 음료커넥터(87)를 통해서 음료주입관(P3a)및 음료배출관(P3b)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6를 보면, 상기 음료탱크(83)의 상부에는 탱크커버(8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84)는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탱크커버(84)에는 별도의 마개(85)가 구비되고, 상기 마개(85)를 열고 내부에 음료를 주입하거나,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음료탱크(83)는 상기 탱크브라켓(8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도어(81)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음료탱크(8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탱크(83)의 양측면과 후면, 그리고 저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6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브라켓(86)은 상기 음료탱크(83)의 양측면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8을 보면, 상기 탱크브라켓(86)의 저면에는 브라켓리브(8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리브(86a)는 상기 탱크브라켓(86)의 입출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리브(86a)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바닥에 구비된 탱크가이드레일(44)에 맞물리고, 상기 탱크가이드레일(44)은 상기 탱크브라켓(86) 및 상기 음료탱크(83)의 입출을 안내한다.
도 16을 보면, 상기 탱크커버(84)에는 음료커넥터(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료커넥터(87)는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입출되는 상기 음료탱크(83)와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음료커넥터(87)는 상기 유로모듈(100)과, 상기 음료탱크(83)에 고정된 상기 탱크주입관(P3a') 및 상기 탱크배출관(p3b')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료커넥터(87)에는 유로모듈(100)의 음료주입관(P3a)과 음료배출관(P3b)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음료주입관(P3a)과 음료배출관(P3b)은 상기 음료커넥터(87)를 통해 각각 탱크주입관(P3a')과 탱크배출관(p3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료부(80)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8)는 상기 음료탱크(83)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료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위센서(88)는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수위센서(8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위센서(88)는 상기 탱크브라켓(86)에 배치되는데, 높이를 달리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쪽에 구비된 제1수위센서(88a)는 저장공간에 음료가 충분히 공급되면 상기 유로모듈(100)로부터 음료의 주입을 멈추기 위한 것이고, 아래쪽에 구비된 제2수위센서(88b, 도 15참고)는 저장공간에 음료가 부족함을 감지하고 음료의 주입을 시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료부(80)에는 유로모듈(1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에 음료를 주입하여 저장시키고,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모듈(100)은 상기 음료부(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유로모듈(100)은 다수의 관(tube)와, 정수필터(101), 유로펌프(103),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모듈(100)의 기능을 보면, 상기 유로모듈(100)은 (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음료를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고, (i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음료를 상기 음료탱크(83)에 주입하며, (iii)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어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고, (iv)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나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배관들 내부에 존재하는 잔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유로모듈(100)이 구조를 보면,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정수필터(10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정수필터(101)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앞서 설명한 필터장착부(33a)에 배치된다. 상기 정수필터(10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료 중 물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수필터(101)에는 외부의 음료를 공급받는 외부연결관(P1)과,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친 음료를 배출하는 메인공급관(P2a)이 연결된다.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유로펌프(1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로펌프(103)에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연결되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제2밸브(V2)와 연결되는 음료전달관(P3c)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배출하거나, 세척 등의 목적으로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후술할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V1)에는 상기 메인공급관(P2a), 상기 음료주입관(P3a) 및 직수공급관(P2b)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수공급관(P2b)은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친 외부의 음료가 상기 음료탱크(83)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상기 트레이부(170)에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밸브(V1)는 (i) 상기 메인공급관(P2a)과 상기 직수공급관(P2b) 사이를 연결하여 외부의 물이 정수필터(101)만 거친 후에 반려동물에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ii) 상기 메인공급관(P2a)과 상기 음료주입관(P3a)을 연결하여 외부의 물이 정수필터(101)를 거친 후에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직수공급관(P2b)의 말단에는 직수배출노즐(P2c)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직수공급관(P2b)으로부터 공급된 직수를 트레이부(170)로 취출시킨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제1밸브(V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V2)에는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트레이배출노즐(P3d), 그리고 외부배출관(P4)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은 상기 유로펌프(103)를 통해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연결되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최종적으로 트레이부(170)에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배출관(P4)은 상기 제2밸브(V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서 음료탱크(83) 내부의 잔수나 유로의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서, 상기 제2밸브(V2)는 (i)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연결하여 음료탱크(83)에서 냉각된 음료를 트레이부(170)에 공급하거나, (ii)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상기 외부배출관(P4)을 연결하여 음료탱크(83)의 잔수와, 상기 음료배출관(P3b), 상기 유로펌프(103) 및 상기 제2밸브(V2)에 남은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밸브(V1)와 상기 제2밸브(V2)는 모터(미도시)로 구동되는 밸브일 수 있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직수공급관(P2b)에는 제1체크밸브(K1)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에는 제2체크밸브(K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K1)와 상기 제2체크밸브(K2)는 각각 상기 직수공급관(P2b)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에 남은 잔수가 트레이부(170)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취출실(C3)의 공기가 상기 직수공급관(P2b)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따라 역류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온도를 높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의 구조와 달리, 상기 유로모듈(100)에는 상기 음료탱크(83)를 거치지 않은 음료를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음료는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후에 트레이부(170)에 공급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밸브(V1) 또는 제2밸브(V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료부(120)를 보면, 상기 사료부(12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습식사료가 보관되고,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건사료가 보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료저장실(C1)과 직접 연결되는 제1사료저장실(C2a)은 상대적으로 제2사료저장실(C2b) 보다 온도가 낮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저온보관이 요구되는 습식사료를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는 제1컨베이어(13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는 제2컨베이어(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각각 사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부(12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에 사료를 채워넣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제2컨베이어(150)는 각각 사료를 보관할 수 있고,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제2컨베이어(150)는 일종의 이송장치이자 취출장치로 볼 수 있다.
상기 사료부(1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사료부(120)의 전방에는 사료도어(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사료도어(12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도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사료도어(12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22, 도 29참고)이 결합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제2컨베이어(150)에는 사료덕트(12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에 저장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로 전달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기 사료도어(121)가 인출될 때 함께 인출되지 않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되어 있다.
도 21 내지 도 26을 보면, 상기 사료덕트(123)는 위아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의 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빈 관 구조이므로, 상기 사료덕트(123)는 사료를 중력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와 달리, 상기 사료덕트(123)는 합성수지재질이나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덕트(123)는 총 4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사료덕트(123)의 상부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연결되는 제1취출부(124)가 있다.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사료배출구(13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도 23을 보면, 상기 제1취출입구(124')에는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거나, 개방시킨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평소에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가로막아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취출실(C3)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냄새를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댐퍼(124a)는 회전축(124b)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데, 도 23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회전축(124b)은 상기 제1취출부(1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댐퍼(124a)는 하단부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댐퍼(124a)는 상기 제1취출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사료의 압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료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덕트댐퍼(124a)는 중력에 의해 회전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124b)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덕트댐퍼(124a)가 도 23과 같은 상태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취출부(124)의 하부에는 상부연결관(12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결합하고, 상기 제1취출부(124)로 유입된 사료를 아래쪽으로 전달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2단열벽(W2)의 제1사료공급로(47a)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은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에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사료공급로(47a)의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125)의 하부에는 제2취출부(126)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제2취출부(126)의 제2취출입구(126')는 상기 제2컨베이어(150)의 제2개구부(153)를 향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베이어(15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제2취출입구(126')를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취출입구(126')에도 덕트댐퍼(124a)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4에는 상기 제2취출부(126)와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트레도이부(17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으로 전달된 사료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서 상기 트레이부(17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말단은 덕트노즐로 볼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과 연결되는 제2취출부(126)의 아래쪽에는 유로홀(126a,12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홀(126a,126b)은 제1유로홀(126a)과 제2유로홀(126b)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가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지만, 같은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는 각각 상기 유로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로모듈(100)에 의해 공급되는 음료의 취출방향은 상기 사료덕트(12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부(126)의 하부에는 트레이배출관(127)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1취출부(124)와 상기 제2취출부(126)에서 전달된 사료를 상기 트레이부(170)에 최종적으로 취출하는 출구가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은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에 조립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사료공급로(47b)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25와 도 26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가이드홈(127a,12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면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7a,127b)은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127a)과 상기 제2가이드홈(127b)은 상기 제2취출부(126)의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은 상기 제1유로홀(126a)과 상기 제2유로홀(126b)을 각각 통과하고, 다시 제1가이드홈(127a)과 제2가이드홈(127b)을 따라 아래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과 직수배출노즐(P2c)의 취출방향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내부에는 배출가이드(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내부를 가로질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사료는 상기 배출가이드(128) 양쪽으로 분산된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는 사료의 배출속도를 줄여, 많은 양의 사료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 바깥쪽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에는 가이드경사면(128a)이 형성될 수 있다. 사료는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양쪽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128a)은 생략되거나, 대칭구조가 아니라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5를 보면,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아래쪽에는 장착홈(1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128b)에는 살균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을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홈(128b)은 상기 배출가이드(128)의 저면에 함몰된 구조이고, 여기에 상기 살균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128)도 상기 살균모듈이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살균모듈은 한 쌍의 자외선 조사부(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아래쪽, 즉 상기 트레이부(17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상기 트레이배출관(127)의 출구 보다 안쪽에 배치되므로, 조사된 자외선이 자칫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129는 회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자외선 조사부(L)에서 조사되는 빛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L)는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료덕트(123)에는 진동모듈(BM)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사료덕트(123)를 진동시켜 상기 사료덕트(123) 내부에 잔존하는 사료와 이물질 등 분체를 털어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사료덕트(123) 중에서 제1취출부(124)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취출부(124)를 진동시켜줄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진동모듈(BM)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1단열벽(W1)의 진동설치구(BH)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상기 진동모듈(BM)은 상기 제2취출부(126)를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제1취출부(124)와 제2취출부(126)와 밀착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에는 진동단부(BM')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단부(BM')는 상기 상기 제1취출부(124)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1취출부(124)에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진동모듈(BM)은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키거나, 모터에 의해 진동단부(BM')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BM)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모듈(BM)에 에어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서로 독립된 사료케이스(131)와 사료케이스(151)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서, 제1컨베이어(130)와 제2컨베이어(150)에 저장되는 사료들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를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제2컨베이어(150)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는 높이와 좌우폭 보다 전후방향의 길이가 긴 사료케이스(131)가 포함된다. 상기 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사료케이스(13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하부는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사료케이스(131)의 형상은 상기 사료케이스(131)에 내장되는 피더(14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상부는 평면구조인데, 이를 통해 제1케이스(131)의 내부공간(131a)의 내부체적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상부에는 사료투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상면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사료투입구(132)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사료를 채울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사료투입구(132)에는 별도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투입구(132)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상면이 아니라 측면이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는 취출모터(M1)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0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130)는 상기 취출모터(M1)에서 분리되어 있는데, 상기 취출모터(M1)의 고정클립(M1a)은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피더(140)와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클립(M1a)은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상기 모터연결부(141)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모터(M1)의 구동력이 상기 피더(140)에 전달되고, 상기 피더(140)가 회전될 수 있다.
도 31을 보면,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상부에 형성된 사료투입구(132)를 통해 사료가 아래쪽(화살표① 방향)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취출모터(M1)에 의해 상기 피더(140)가 회전하면, 투입되었던 사료는 사료배출구(133)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된 사료는 상기 사료배출구(133)와 후술할 취출가이드(134)의 정량취출구(134a)가 연결된 출구를 통해서 바깥쪽(화살표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는 취출가이드(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를 통해 일정한 양의 사료가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사료투입구(132)의 반대편인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앞쪽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앞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사료케이스(131)와 함께 원통형상을 만들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전체 길이를 늘린다고 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취출가이드(134)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1과 도 32을 참조하면, 상기 취출가이드(134)는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내부에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내부공간과 연결된 회전공간(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간의 횡단면은 원형일 수 있고, 상기 회전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피더(140)를 구성하는 취출레귤레이터(147)가 배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에는 복수개의 취출블레이드(147c)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데, 서로 이웃한 두 취출블레이드(147c)들과 상기 회전공간의 내벽 사이에는 정량공간(Qs, 도 22와 도 37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공간(Qs)에는 사료들이 투입되고, 투입된 사료들은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회전에 의해 정량취출구(134a)를 통해 일정량씩 배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사료배출구(133)와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정량취출구(134a)가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출구를 만들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공간의 중심은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회전중심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횡단면은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회전중심과 동심인 원형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블레이드말단(147c'', 도 36 참고)과, 상기 회전공간의 내벽 사이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회전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정량공간(Qs)들은 서로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가 회전할 때 일정량의 사료들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측면에는 상기 사료배출구(133)와 연결되는 정량취출구(13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상기 정량취출구(134a)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취출부(124)의 제1취출입구(124')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피더(140)에 의해 이송된 사료는 먼저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안쪽으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1취출부(124)로 투입되므로, 일정한 양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정량취출구(134a)는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일부가 관통되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정량취출구(134a)는 대략 사각형상이고, 상기 정량취출구(134a)의 좌우폭은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좌우폭 보다 좁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취출구(134a)는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회전경로를 따라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취출구(134a)가 곡면형상이므로,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블레이드말단(147c'')과 상기 정량취출구(134a)의 주변 사이에는 빈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고, 그 틈으로 사료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사료배출구(133) 및 정량취출구(134a)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하단부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사료배출구(133) 및 정량취출구(134a)의 하단부(H1)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하단부(H2) 보다 높고, 상기 사료배출구(133) 및 정량취출구(134a)의 상단부는 상기 피더의 회전중심 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피더(140)에 의해 회전되는 사료들이 정량취출구(134a) 근처에서 중력에 의해 한꺼번에 낙하하지 않고, 적어도 정량취출구(134a)의 하단부(H1) 보다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후에 점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량취출구(134a) 또는 사료배출구(133)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사료가 한꺼번에 취출되면서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의 바깥쪽으로 튀어나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출가이드(134) 또는 취출레귤레이터(147)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생략되고, 후술할 푸셔(143)에 의해서 사료가 이송 및 배출될 수도 있다.
도 30을 참고하면,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아래쪽에는 사료플레이트(1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료플레이트(135)는 상기 사료케이스(131)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사료플레이트(135)는 상기 사료도어(121)에 연결되고, 상기 사료도어(121)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사료플레이트(135)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130)도 함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 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사료플레이트(135)에는 잔량감지센서(136a,13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상기 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 존재하는 사료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사료케이스(1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사료플레이트(135)의 양쪽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케이스(1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이므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로 사료의 잔존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잔량감지센서(136a,136b)는 서로 이격된 제1잔량감지센서(136a)와 제2잔량감지센서(1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잔량감지센서(136a)는 상대적으로 사료투입구(132)에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사료투입구(132) 근처에 사료가 잔존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잔량감지센서(136b)는 상기 제1잔량감지센서(136a) 보다 상기 사료도어(121)에 가깝게 배치되어 사료케이스(131)의 전방 쪽에 사료가 남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료플레이트(135)에는 연장레일(1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레일(137)은 상기 사료플레이트(135)가 아웃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장레일(137)은 상기 사료플레이트(135)의 하부에 겹쳐지면서 수납되거나 사료플레이트(135)로부터 펼쳐지면서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연장레일(137)은 생략되거나,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제1컨베이어(130)의 인출거리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상기 피더(1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피더(140)는 상기 취출모터(M1)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140)는 안쪽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사료를 보관할 수도 있다.
상기 피더(140)에는 상기 취출모터(M1)에 연결되는 모터연결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연결부(141)는 상기 취출모터(M1)에 연결되어, 상기 취출모터(M1)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모터연결부(141)는 대략 원판형상이지만, 모터연결부(141)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모터연결부(141)에는 돌출부(도면부호 미부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푸셔(143)의 연결단부(143a)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더(140)는 상기 모터연결부(141)에 결합된 푸셔(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푸셔(143)는 코일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셔(143)에는 상기 모터연결부(141)에 결합되는 연결단부(143a)가 구비되어, 상기 취출모터(M1)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푸셔(143) 자체를 상기 피더(140)로 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푸셔(143)와 후술할 취출레귤레이터(147)가 피더(140)를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 의하면, 스프링구조의 상기 푸셔(143)가 사료들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취출블레이드(147c)를 갖는 취출레귤레이터(147)가 사료들을 일정량씩 외부로 취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료의 이송동작과 배출동작이 서로 다른 구성에 의해 이원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푸셔(143)는 세장형(細長型)의 모재가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형성된 코일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푸셔(143)는 스프링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푸셔(143)는 중심축이 없고, 원통 코일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 푸셔(143)의 회전축은 상기 푸셔(143)의 중심축과 동일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구조의 상기 푸셔(143)의 중심부에는 충분히 넓은 빈 공간이 마련되므로, 중력에 의해 다량의 사료들이 투입되더라도 상기 푸셔(143)의 내부 또는 푸셔(143)와 사료케이스(131)의 사이에 사료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푸셔(143)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가 생략될 수 있다. 사료들이 상기 푸셔(143)의 블레이드 사이사이에 구획되어 보관되지 않고, 상기 푸셔(143)를 구성하는 세장형 모재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들이 제1컨베이어(130)의 내부에서 서로 뭉쳐지더라도 상기 푸셔(143)의 회전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풀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료케이스(131)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사료의 이송 방향도 중력 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료가 사료케이스(131)의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눌리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사료의 걸림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취출모터(M1)의 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더(140)는 상기 취출모터(M1)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형태의 상기 푸셔(143)는 사료들과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푸셔(143)와 사료들 사이가 고착될 염려가 적고, 알갱이 형태의 사료들이 피더(140)에 끼어 피더(140)의 회전과정에서 사료들이 분쇄될 가능성도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푸셔(143)는 상기 취출모터(M1)에 연결된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133) 및 정량취출구(134a)에 가까운 타단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셔(143)의 일단부는 상기 사료투입구(132)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정량취출구(134a)에 가까운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2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푸셔(143)의 왼쪽 부분은 오른쪽 부분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이다.
상기 푸셔(143)의 직경이 사료배출구(133) 쪽에서 더 작게 형성되면, 상기 푸셔(1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료배출구(133) 쪽으로 이송되는 사료의 이송량이 점차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143)의 앞부분에서 사료의 이송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가 쏟아지지 않고, 사료는 사료덕트(123)를 거쳐 트레이부(170)에 일정량씩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사료는 상기 피더(140)에 의해 정밀하게 계량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푸셔(143)의 구조를 더욱 자세히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푸셔(143)는 상기 취출모터(M1)에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왼쪽 방향(상기 사료배출구(133)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푸셔(143)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푸셔(143)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푸셔(143)의 직경이 서로 달라지는 부분에서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α는 상기 푸셔(143)의 직경 방향의 최외곽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푸셔(143)의 회전축이자 중심축과 평행한 연장선의 사이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사이각도, 즉 상기 푸셔(143)의 최외곽부가 경사진 각도는 3°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i) 상기 사이각도가 3°보다 작으면 상기 푸셔(143)의 일단부(우측부분)에서의 사료의 이송량과 사료배출부분인 타단부(좌측부분)에서의 이송량의 차이가 적어지고, (ii) 사이각도가 12°보다 크면 사료배출부분인 타단부(좌측부분)에서의 이송량이 과도하게 줄어들어 사료의 배출속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셔(143)가 상기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상기 푸셔(143)의 타단부는 상기 사료케이스(133)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푸셔(143)의 하단부가 상기 사료케이스(133)의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143)에 의해 이송되는 사료는 중력을 극복하면서 이송되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사료가 한꺼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푸셔(143)는 가상의 중심축의 주변을 나선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사료배출구(133)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푸셔(143)를 구성하는 세장형의 모재는 나선형태를 형성하되, 나선의 피치는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푸셔(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피치(P1,P2,P3)가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도 34에 도시된 다른 실시례를 보면, 상기 푸셔(143)는 상기 취출모터(M1)에 연결된 일단부의 피치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타단부의 피치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143)의 피치가 줄어들면, 상기 푸셔(143)의 안쪽 공간도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이송되는 사료의 양도 줄어들어, 사료의 배출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4를 보면, 상기 취출모터(M1) 쪽에 가까운 상기 푸셔(143)의 일단부의 피치(P1)는 중간부의 피치(P2) 보다 크고, 중간부의 피치(P2)는 상기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타단부의 피치(P3) 보다 크다.
한편, 도 35에는 상기 푸셔(143)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푸셔(143)는 상기 푸셔(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사료배출구(133)로 갈수록 점점 피치가 짧아질 수 있다. 즉, 도 35에서 P1>P2>P3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푸셔(143)의 피치가 점점 짧아지면, 상기 푸셔(143)의 안쪽 공간도 좁아지게 되고, 따라서 이송되는 사료의 양도 줄어들어, 사료의 배출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실시례로, 상기 푸셔(143)는 코일 형상이 아니라, 블레이드가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스크류 형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푸셔(143)의 블레이드의 직경은 상기 취출모터(M1)에 가까운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133)에 가까운 타단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7를 참고하면, 상기 푸셔(143)의 일단부인 연결단부(143a)는 상기 취출모터(M1)와 연결되고, 상기 푸셔(143)의 타단부인 연결암(143b)은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푸셔(143)는 회전을 통해 사료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로 전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정량취출구(134a)로 사료를 취출한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피더(140)는 사료의 보관, 교반 및 이송을 담당하는 부분과, 정량을 취출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원화될 수 있다.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구조를 보면, 도 36에서 보듯이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중심부에는 회전축인 취출루트(147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루트(147b)는 일종의 원통형상이고, 상기 취출루트(147b)에는 연결바(148, 도 37 참고)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148)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루트(147b)의 중심에 개구된 축홀(147a)에는 상기 푸셔(143)의 연결암(143b)이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푸셔(143)와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암(143b)은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취출루트(147b)에는 복수개의 취출블레이드(147c)가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는 상기 사료들을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정량취출구(134a)로 취출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 전체 또는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사료의 분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일단부에는 상기 취출루트(147b)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연결부(147c')가 있고, 타단부에는 블레이드말단(147c'')이 있다. 상기 블레이드연결부(147c')는 상기 취출루트(147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각각의 취출블레이드(147c)의 길이는 상기 취출루트(147b)의 길이와 같다. 즉,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는 일종의 프로펠러 구조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들은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바깥쪽으로 사료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들 사이사이 공간에는 일정한 양의 사료들이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취출루트(147b)에는 총 4개의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가 구비된다. 이와 달리,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는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개수가 늘어나면 상기 정량공간(Qs)의 체적이 줄어들어 사료의 취출량은 줄어들지만, 보다 정확한 양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료들이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표면에 계속 마찰되므로,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면, 사료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컨베이어(150)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사료케이스(151)에 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사료케이스(151)에는 취출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피더(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150)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제2컨베이어(150)를 구성하는 사료케이스(151)에는 150번대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상기 제2컨베이어(150)를 구성하는 피더(160)에는 16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7에는 사료(F)가 취출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7(a)에서 보듯이, 상기 제1피더(140)가 회전하면, 사료(F)는 상기 푸셔(143)의 회전(화살표①)에 의해 전방(화살표②)으로 이송된다. 상기 푸셔(143)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사료(F)를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로 전달하고,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는 사료(F)를 상기 정량취출구(134a)와 상기 사료배출구(133)가 서로 연결된 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사료 취출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트레이부(170)를 살펴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의 내부에서 음료와 사료를 공급받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음료와 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 내부에서 회전하여 다수개의 보울(177)에 각각 음료와 사료를 담을 수 있고, 취출실(C3)의 외부로 인출되어 담긴 음료와 사료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트레이도어(17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아웃케이스(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도어(171)가 인출되면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안착된 보울(177)들도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트레이도어(171)에는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가스켓(172, 도 41참고)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는 상기 취출실(C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170)는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면의 위쪽에는 상기 아웃저면부(15)와 소정높이만큼 이격되어 트레이가이드(173)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도어(17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가이드(173)는 대략 사각판상 구조일 수 있고, 중심에는 트레이회전공간(17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을 통해서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회전모듈(18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후단에서 중심부까지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트레이회전공간(173a)은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부(170)에는 회전트레이(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177)들이 보관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되면 상기 보울(177)들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보울(177)들이 특정 위치로 회전되면서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길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대략 사각판구조이고,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부에는 보울가이드(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의 안쪽에는 보울(177)이 안착된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보울(177)을 감싸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거나 입출할 때 보울(177)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울가이드(176)에는 보울(177)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보울(177)은 사료나 음료가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식기이다. 상기 보울(177)은 상기 보울가이드(176)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보울(177)을 세척한 후에 다시 보울가이드(176)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은 총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3개의 보울(177)들은 서로 다른 반려동물들에게 각각 음료나 사료를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보울(177)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나 사료들이 담겨 반려동물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보울(177)들은 회전을 통해 상기 사료덕트(123)의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보울(177)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음료나 사료가 공급된 후에,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회전하여 다른 보울(177)이 상기 트레이배출관(127) 하부에 배치되어 음료나 사료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9과 도 40을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와 상기 보울(177)들이 회전하여, 보울(177)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41을 보면,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에는 센서누름부(174)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센서누름부(174)는 상기 트레이가이드(173)가 상기 취출실(C3)에 완전히 수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누름부(174)는 상기 취출실(C3)의 안쪽에 배치된 복귀스위치(미도시)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말단부에서 후방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메인회전기어(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회전모듈(180)의 제2구동기어(183b)와 맞물린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트레이(175)는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트레이부(170)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고정된 부품이므로,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면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제2구동기어(183b)와는 분리된다.
이처럼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구비되지만,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회전모듈(18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177은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감싸는 기어펜스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저면에는 누름돌기(178)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돌기(178)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회전감지센서(188)를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188)가 상기 누름돌기(178)에 의해 눌리면, 상기 회전감지센서(188)는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특정 각도까지 회전된 것을 인식하고, 제어부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배치된 세 개의 보울(177)들이 각각 특정 위치(트레이배출관(127)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총 3개의 누림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하부에는 인출브라켓(179, 도 45참고)이 연결되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입출을 위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도어(171)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해 상기 트레이도어(171)에 연결되는데, 가이드브릿지(179b)가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의 입출을 위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보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는 회전모듈(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180)은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회전모터(18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듈(180)은 상기 취출실(C3)의 바닥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모듈장착부(5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를 도시한 도 38를 보면, 상기 회전모듈(180)에는 트레이회전모터(18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는 구동기어(183)가 맞물린다. 상기 구동기어(183)는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1구동기어(183a)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83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상기 트레이도어(171), 상기 트레이가이드(173) 및 상기 회전트레이(175)를 포함하는 트레이부(17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전후방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는 자동으로 입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식물 공급장치에는 트레이인출모듈(190)이 구비된다.
도 44 및 도 45를 보면,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리드스크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는 상기 아웃저면부(15)에 고정되고, 상기 인출모터(191)에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축(193)이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축(193)은 앞서 설명한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 하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인출모터(191)는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키고, 스크류축(193)은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부(17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스크류축(193)은 상기 가이드홀(17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크류축(193)에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인출브라켓(179)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스크류너트에 해당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193)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있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스크류축(193)이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브라켓(179)에는 가이드브릿지(179b)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을 따라 상기 트레이부(170)가 직선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이드홀(17a)을 통해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부(17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3a는 상기 스크류축(193)이 상기 인출모터(191)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는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도어(171)의 사이가 아니라,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상기 트레이가이드(173)의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은 볼스크류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크류축(193)의 나사산과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상대나사산 사이에는 볼(강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은 일종의 볼베어링 역할을 하여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의 작동효율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193)의 양쪽에는 가이드축(19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94)은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연결단부(179a)와 연결되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4을 보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하부에는 스토퍼(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95)는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앞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브라켓(179)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모터(191)에 의해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195)에는 눌림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부(170)가 끝까지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음식물 공급장치의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부(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전방, 즉 상기 음료저장실(C1) 방향(화살표B)로 토출된다. 그리고 열전소자(65)에서 발생한 열은 후방인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화살표A)으로 토출된다. 상기 음료저장실(C1)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음료저장실(C1)을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음료의 온도가 15도라면,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설정온도는 15도로 냉각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제1댐퍼(D1)가 개방되고 상기 음료저장실(C1)의 냉기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댐퍼(D1)를 통해 상기 음료저장실(C1)의 공기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공급되는 경로가 화살표①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에도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4에서 화살표②는 제1사료저장실(C2a)의 냉기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전달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차가운 냉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제1덕트흡입부(73)가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는 상기 제1덕트흡입부(73)의 방향(도 14의 화살표①'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0)로 회수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도 역시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회수덕트(70)의 제2덕트흡입부(75)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제2덕트흡입부(75)의 방향(도 14의 화살표②'방향)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덕트(70)로 회수된 공기는 상기 냉각부(6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의 공기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회수덕트(70)를 통해 회수되어 상기 냉각부(60) 쪽으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료와 간식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도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음료저장실(C1),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및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각 온도가 설정 온도를 만족하면, 상기 제1댐퍼(D1)와 상기 제2댐퍼(D2)는 차단되어 상기 각 실이 서로 독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건사료가 보관될 경우에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온도는 실온으로 유지되어도 무방하므로, 상기 제2댐퍼(D2)를 통해 냉기가 전달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제2사료저장실(C2b)은 음압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30)에는 압력모듈(76)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이너케이스(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음료저장실(C1)에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의 압력을 낮추고, 제2사료저장실(C2b)을 일종의 음압실로 만든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보관되는 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흡입구(77, inlet)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펌프의 공기배출구(78, outlet)는 상기 음료저장실(C1)에 연결된다.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진공펌프에 의해 음압이 형성될 수 있고, 사료의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음료탱크(8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커버(84)에 의해 차폐되므로, 음압을 통해 산화를 방지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내부의 압력이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에 작동을 시작하고, 기준값(예를 들어 1기압) 보다 낮아지면 작동을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모듈(76)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뿐 아니라,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 내부의 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 사이를 연결하는 제2댐퍼(D2)가 개방되고, 동시에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음료저장실(C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댐퍼(D1)가 차단되면, 상기 제1사료저장실(C2a)과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은 서로 연결되어 압력이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하면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이 배기되면서 동시에 제1사료저장실(C2a)도 배기되어, 각각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료부(80)와 유로모듈(10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료는 물인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물이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취출되거나, (ii) 수돗물이나 정수물 등 외부의 물이 상기 음료탱크(83)에 주입되어 냉각된 후 트레이부(170)에 취출될 수 있다.
먼저 물이 곧바로 트레이부(170)에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P1)을 통해 상기 정수필터(101)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쳐 정화된 물은 상기 메인공급관(P2a)을 통해 상기 제1밸브(V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음료주입관(P3a)을 차단하고, 직수공급관(P2b)을 개방시켜 정화된 물을 상기 직수공급관(P2b)에 연결된 직수배출노즐(P2c)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직수배출노즐(P2c)을 통해서 정화된 물이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외부연결관(P1)을 통해 상기 정수필터(101)에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정수필터(101)를 거쳐 정화된 물은 상기 메인공급관(P2a)을 통해 상기 제1밸브(V1)로 전달된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직수공급관(P2b)을 차단하고, 음료주입관(P3a)을 개방시켜 정화된 물이 음료탱크(83)에 주입되도록 한다.
상기 음료탱크(83)에 담긴 물은 냉각된 후에, 상기 유로펌프(103)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로펌프(103)는 상기 음료배출관(P3b)과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음료를 제2밸브(V2)에 전달한다.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음료전달관(P3c)과 트레이배출노즐(P3d)을 각각 개방시켜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을 통해 보울(177)에 냉각된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로펌프(103)와 상기 제1밸브(V1) 및 제2밸브(V2)를 이용하여 상기 음료탱크(83)와 상기 유로를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밸브(V1)에 의해 상기 직수공급관(P2b), 상기 메인공급관(P2a) 및 상기 음료주입관(P3a)이 각각 차단되고, 상기 제2밸브(V2)에 의해 상기 트레이배출노즐(P3d)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료탱크(83)가 작동하면 상기 음료배출관(P3b)으로부터 상기 음료탱크(83)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어 상기 음료전달관(P3c)을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물은 제2밸브(V2)에 연결된 외부배출관(P4)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의 잔수와, 상기 유로에 남은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모듈(100)을 통해 상기 음료탱크(83)에 물을 다시 채우고, 채워진 물을 앞선 과정을 통해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음료탱크(83)를 세척할 수도 있다.
다음로,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제1사료저장실(C2a)에 저장된 사료(습식사료인 간식 등)와, 상기 제2사료저장실(C2b)에 저장된 사료(건사료)는 서로 독립적으로 취출될 수 있다. 먼저 제1사료저장실(C2a)의 사료가 취출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취출모터(M1)가 회전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피더(140)가 회전하면서 사료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도 37를 참고하면, 도 37(a)에서 보듯이 사료(F)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사료케이스(131)에 형성된 사료투입구(132)로 투입된다. 투입된 사료(F)들은 푸셔(143)의 안쪽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구조의 상기 푸셔(143)의 중심부에는 충분히 넓은 빈 공간이 마련되므로, 중력에 의해 다량의 사료(F)들이 투입되더라도 상기 푸셔(143)의 내부 또는 푸셔(143)와 사료케이스(131)의 사이에 사료(F)가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143)가 회전하면, 사료(F)들이 제1컨베이어(130)의 내부에서 서로 뭉쳐진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푸셔(143)의 회전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풀어지고,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사료(F)들의 중력과 사료케이스(131)의 내벽에 의해 생성된 마찰로 인해, 사료(F)들은 상기 푸셔(143)의 스프링구조에 밀려 사료케이스(131)의 바닥을 따라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푸셔(143)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푸셔(143) 내부에 투입된 사료들은 점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푸셔(143)는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사료들의 이송량과 이송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사료(F)의 배출량은 푸셔(143)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사료(F)는 상기 푸셔(143)의 경사각에 의한 중력을 극복하면서 이송되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사료(F)가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푸셔(143)에 의해 정밀하게 정량된 사료들은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에 전달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는 상기 취출가이드(134)의 정량취출구(134a)로 사료를 취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취출블레이드(147c)들은 충분히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회전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바깥쪽으로 사료(F)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가둔 상태로 회전된다.
이처럼,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의 취출블레이드(147c)들 사이사이에 투입된 사료는 상기 정량취출구(134a)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취출레귤레이터(147)에 의해 한 번에 배출되는 사료의 양은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들 사이의 공간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두 취출블레이드(147c)들과 상기 회전공간의 내면 사이에 구획된 정량공간(Qs)에는 사료들이 투입되고, 투입된 사료들은 상기 취출블레이드(147c)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료배출구(133)와 정량취출구(134a)가 연결된 출구를 통해 일정량씩 배출되는 것이다. 도 37(c)에는 사료(F)들이 정량공간(Qs)에 투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서 취출된 사료는 상기 사료덕트(123)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부(170)의 보울(177)에 담긴다. 그리고 상기 제2컨베이어(150)에 의한 건사료의 공급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울(177)들은 다수개로 구성되므로, 각 보울(177)에 서로 다른 사료나 음료를 담기 위해서는 상기 트레이부(170)의 회전이 필요하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면, 상기 회전모듈(180)의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가 회전하면, 상기 트레이회전모터(181)에 맞물리는 제1구동기어(183a)와, 상기 제2구동기어(183b)가 맞물려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기어(183b)는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메인회전기어(185)와 맞물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를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회전기어(185)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보울(177)들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9의 상태에서 상기 회전트레이(175)가 270도 회전하면 도 4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각도는 상기 회전감지센서(188)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회전을 통해서 상기 각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각각 담길 수 있다.
상기 보울(177)들에 사료와 음료가 담긴 후에는, 상기 트레이부(170)가 인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사료와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인출과정을 보면,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을 구성하는 인출모터(19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축(193)을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축(193)이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축(193)을 따라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기 인출브라켓(179)은 상기 가이드브릿지(179b)를 통해 상기 트레이부(170)의 트레이도어(171)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브라켓(179)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부(17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부(17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트레이(175)의 보울(177)들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48를 보면, 상기 트레이부(170)를 구성하는 트레이도어(171), 트레이가이드(173), 회전트레이(175) 및 보울(177)들이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브라켓(179)이 상기 공급스테이션(17)의 가장 앞쪽까지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195)에 닿게 되고 동작을 멈추게 된다.
도 49을 보면, 상기 각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트레이(175)에는 분리레일(R)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가이드(176)들은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리레일(R)은 세 갈래를 형성하고, 각각의 분리레일(R)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분리레일(R)은 상기 회전트레이(175)에 고정된 레일고정부와, 상기 레일고정부에 결합되는 인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레일은 상기 레일고정부를 따라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분리레일(R)의 전체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울가이드(176)는 상기 인출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인출레일과 함께 상기 레일고정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보울가이드(176)들을 상기 분리레일(R)을 따라 이동시키면, 각각의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져 도 49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처럼 각 보울(177)들이 서로 멀어지면, 여러 마리의 반려동물들이 서로 간섭 없이 각 보울(177)에 담긴 사료나 음료를 먹을 수 있다. 반려동물들이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보울(177)들을 다시 가까워지도록 원위치시키고 상기 트레이인출모듈(190)이 작동하면, 상기 트레이부(170)가 다시 상기 취출실(C3)로 수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아웃케이스
17: 공급스테이션
17a: 가이드홀 20: 케이스커버
30: 이너케이스 31: 이너상면부
32: 이너후면부 33: 이너측면부
35: 이너저면부 41: 냉각홀
41a: 냉각플랜지 43: 유로설치구
44: 탱크가이드레일 45a: 제1연통로
45b: 제2연통로 46a: 제1회수구
46b: 제2회수구 47a: 제1사료공급로
47b; 제2사료공급로 48,49: 모듈가이드레일
51: 유로통과부 60: 냉각부
61: 히트싱크 65: 열전소자
67: 콜드싱크 68: 냉각그릴
70: 회수덕트 71: 메인회수관
72: 덕트배출부 73: 제1덕트흡입부
75: 제2덕트흡입부 76: 압력모듈
77: 공기흡입구 78: 공기배출구
80: 음료부 81: 음료도어
83: 음료탱크 86: 탱크브라켓
87: 음료커넥터 88: 수위센서
100: 유로모듈 101: 정수필터
103: 유로펌프 120: 사료부
121: 사료도어 123: 사료덕트
124: 제1취출부 125: 상부연결관
126: 제2취출부 127: 트레이배출관
128: 배출가이드 128a: 가이드경사면
130: 제1컨베이어 131: 사료케이스
132: 사료투입구 134: 취출가이드
135: 제1사료플레이트 140: 제1피더
141: 모터연결부 143: 푸셔
147: 취출레귤레이터 147c: 취출블레이드
150: 제2컨베이어 160: 제2피더
170: 트레이부 171: 트레이도어
173: 트레이가이드 175: 회전트레이
177: 보울 178: 누름돌기
179: 인출브라켓 180: 회전모듈
181: 트레이회전모터 183: 구동기어
185: 메인회전기어 190: 트레이인출모듈
191: 인출모터 193: 스크류축
BM: 진동모듈 C1: 음료저장실
C1a: 제1사료저장실 C1b: 제b사료저장실
C3: 취출실 D1: 제1댐퍼
D2: 제2댐퍼 L: 조사부
P1: 외부연결관 P2a: 메인공급관
P2b: 직수공급관 P2c: 직수배출노즐
P3a:음료주입관 P3b: 음료배출관
P3c: 음료전달관 P3d: 트레이배출노즐
P4: 외부배출관 V1: 제1밸브
V2: 제2밸브 W1: 제1단열벽
W2: 제1단열벽 W3: 제3단열벽
17a: 가이드홀 20: 케이스커버
30: 이너케이스 31: 이너상면부
32: 이너후면부 33: 이너측면부
35: 이너저면부 41: 냉각홀
41a: 냉각플랜지 43: 유로설치구
44: 탱크가이드레일 45a: 제1연통로
45b: 제2연통로 46a: 제1회수구
46b: 제2회수구 47a: 제1사료공급로
47b; 제2사료공급로 48,49: 모듈가이드레일
51: 유로통과부 60: 냉각부
61: 히트싱크 65: 열전소자
67: 콜드싱크 68: 냉각그릴
70: 회수덕트 71: 메인회수관
72: 덕트배출부 73: 제1덕트흡입부
75: 제2덕트흡입부 76: 압력모듈
77: 공기흡입구 78: 공기배출구
80: 음료부 81: 음료도어
83: 음료탱크 86: 탱크브라켓
87: 음료커넥터 88: 수위센서
100: 유로모듈 101: 정수필터
103: 유로펌프 120: 사료부
121: 사료도어 123: 사료덕트
124: 제1취출부 125: 상부연결관
126: 제2취출부 127: 트레이배출관
128: 배출가이드 128a: 가이드경사면
130: 제1컨베이어 131: 사료케이스
132: 사료투입구 134: 취출가이드
135: 제1사료플레이트 140: 제1피더
141: 모터연결부 143: 푸셔
147: 취출레귤레이터 147c: 취출블레이드
150: 제2컨베이어 160: 제2피더
170: 트레이부 171: 트레이도어
173: 트레이가이드 175: 회전트레이
177: 보울 178: 누름돌기
179: 인출브라켓 180: 회전모듈
181: 트레이회전모터 183: 구동기어
185: 메인회전기어 190: 트레이인출모듈
191: 인출모터 193: 스크류축
BM: 진동모듈 C1: 음료저장실
C1a: 제1사료저장실 C1b: 제b사료저장실
C3: 취출실 D1: 제1댐퍼
D2: 제2댐퍼 L: 조사부
P1: 외부연결관 P2a: 메인공급관
P2b: 직수공급관 P2c: 직수배출노즐
P3a:음료주입관 P3b: 음료배출관
P3c: 음료전달관 P3d: 트레이배출노즐
P4: 외부배출관 V1: 제1밸브
V2: 제2밸브 W1: 제1단열벽
W2: 제1단열벽 W3: 제3단열벽
Claims (18)
-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사료투입구 및 사료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사료케이스;
상기 사료케이스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세장형(細長型)의 모재가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형성된 코일형상인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상기 피더의 타단부는 상기 사료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직경 방향의 최외곽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피더의 회전축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는 3° 내지 12°인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의 피치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의 피치가 더 작게 형성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가상의 중심축의 주변을 연속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사료배출구를 향해 연장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타단부에는 복수개의 취출블레이드가 구비된 취출레귤레이터가 연결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취출레귤레이터는
상기 피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취출레귤레이터의 회전축이 되는 취출루트;와
상기 취출루트로부터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취출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취출블레이드의 블레이드연결부는 상기 취출루트의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연결부는 상기 취출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료케이스에는 취출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취출가이드에는 상기 사료배출구와 연결되는 정량취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취출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취출레귤레이터가 배치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취출가이드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취출가이드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공간의 중심은 상기 취출레귤레이터의 회전중심과 같은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료케이스 및 상기 취출가이드는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원통형상을 갖는 음식물 컨베이어.
- 청구항 13에 있어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상기 취출블레이드들과 상기 회전공간의 내벽 사이에는 정량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취출레귤레이터의 회전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정량공간들은 서로 동일한 체적을 갖는 음식물 컨베이어.
- 사료투입구 및 사료배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료케이스;
상기 사료케이스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사료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는 세장형(細長型)의 모재가 연속적으로 감긴 코일구조이며, 상기 피더는 상기 사료배출구를 향해 점차 피치가 좁아지거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음식물 컨베이어.
- 사료투입구 및 사료배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료케이스;
상기 사료케이스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사료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에서 상기 피더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음식물 컨베이어.
- 내부에 사료저장실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사료저장실에 배치되고, 사료를 보관 및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케이스로부터 입출되는 트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사료투입구 및 사료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사료케이스;
상기 사료케이스에 결합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더;를 포함하며,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에 연결된 일단부 보다 상기 사료배출구에 가까운 타단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093A KR20230059066A (ko) | 2021-10-25 | 2021-10-25 |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093A KR20230059066A (ko) | 2021-10-25 | 2021-10-25 |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9066A true KR20230059066A (ko) | 2023-05-03 |
Family
ID=8638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093A KR20230059066A (ko) | 2021-10-25 | 2021-10-25 |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59066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8819A (ja) | 2003-10-20 | 2007-04-12 | Tkt株式会社 | 動物用離乳食自動給餌システム |
KR101368051B1 (ko) | 2012-04-25 | 2014-02-27 | 홍순용 |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
US8701595B2 (en) | 2012-06-15 | 2014-04-22 | Samuel Zhihui Jin | Pet food dispenser |
-
2021
- 2021-10-25 KR KR1020210143093A patent/KR2023005906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8819A (ja) | 2003-10-20 | 2007-04-12 | Tkt株式会社 | 動物用離乳食自動給餌システム |
KR101368051B1 (ko) | 2012-04-25 | 2014-02-27 | 홍순용 | 애완동물용 사료의 자동공급장치 |
US8701595B2 (en) | 2012-06-15 | 2014-04-22 | Samuel Zhihui Jin | Pet food dispens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92051C (en) |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 |
KR20230059058A (ko) |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CN211197921U (zh) | 上料装置 | |
WO2009038378A2 (en) | Dispenser of automatically distributing various shaped tablets in medicine packing machine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 |
CN102472548A (zh) | 冰箱 | |
KR20230059059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6A (ko) | 음식물 컨베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RU2437038C1 (ru) | Льдогенератор | |
US10408520B2 (en) | Airflow containment device for an ice maker | |
CN115875921A (zh) | 一种冰箱 | |
KR20230059065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8A (ko) | 공급스테이션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2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102698969B1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9A (ko) | 슬라이딩도어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7A (ko) | 압력모듈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0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9061A (ko) | 반려동물용 음료 공급장치 | |
KR20230058805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KR20230058804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
US6659040B1 (en) | Self-metering feed dispensing system | |
KR20230059071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CN106697694B (zh) | 智能发药机 | |
KR20230059073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KR20230059063A (ko) | 반려동물용 음식물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