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543A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543A
KR20230058543A KR1020237013555A KR20237013555A KR20230058543A KR 20230058543 A KR20230058543 A KR 20230058543A KR 1020237013555 A KR1020237013555 A KR 1020237013555A KR 20237013555 A KR20237013555 A KR 20237013555A KR 20230058543 A KR20230058543 A KR 2023005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socket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753B1 (ko
Inventor
데츠로 세키
마사야 아베
료타 다마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1), 전구용의 소켓(17), 카메라 유닛(33), 및 휴대 단말(13)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33)은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되고, 소켓(17)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카메라 유닛(33)은 카메라(41), 및 통신부(61)를 구비한다.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의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6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카메라와 램프가 마련된다. 램프에 의해서 승강로의 내부가 비추어진다. 카메라에 의해서 승강로의 내부가 촬영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2-1289호 공보
일례로서, 기설(旣設)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칸에 카메라를 장착할 때, 카메라를 위한 전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신설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개시의 목적은,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의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설치할 때 카메라용의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휴대 단말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에 대해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휴대 단말은 제1 표시기와,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된 감시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감시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를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감시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감시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외부 기기는 제1 표시기와,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은, 승강로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제1 소켓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개수하는 방법이다. 본 개수 방법은 전구를 제1 소켓으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전구를 떼낸 제1 소켓을 통해서 카메라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카메라 유닛을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승강로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의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영상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어댑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램프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카메라 유닛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카메라 유닛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영상 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카메라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 장치 및 감시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외부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외부 기기(1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감시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카메라 유닛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램프 유닛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영상 유닛의 기본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는 제어 장치 및 감시 장치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외부 기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6은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는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은 감시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1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2는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균형 추(2)는 승강로(3)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는, 주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3)에 매달린다.
주 로프(4)는 권상기(5)의 구동 시브(6)에 감긴다. 엘리베이터 칸(1)은 구동 시브(6)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제어 장치(7)는 권상기(5)를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은,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1은 권상기(5) 및 제어 장치(7)가 승강로(3)의 상방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권상기(5) 및 제어 장치(7)는, 승강로(3)에 설치되어도 된다.
감시 장치(8)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된다. 감시 장치(8)는 제어 장치(7)와 통신한다. 감시 장치(8)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외부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감시 장치(8)는 네트워크(9)를 통해서 외부 기기(11)와 통신한다. 일례로서, 외부 기기(11)는 원격의 감시 센터(10)에 구비된다.
감시 장치(8)에 액세스 포인트(12)가 접속된다. 액세스 포인트(12)는 감시 장치(8)에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다른 기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감시 장치(8)에 접속되어도 된다. 액세스 포인트(12)는 특정 기기가 감시 장치(8)와 무선 통신을 행할 때 사용된다. 상기 특정 기기에는, 보수용의 휴대 단말(13)이 포함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특정 기기에는, 후술의 영상 유닛(18 및 19)이 포함된다. 휴대 단말(13)은 엘리베이터의 보수원에 의해서 소유된다. 보수원은 휴대 단말(13)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행한다. 또한, 감시 장치(8)는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하는 일 없이 외부 기기(11)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시 장치(8)에 지진계(14)가 접속된다. 지진계(14)는 건물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지진계(14)에 의해서 검출된 가속도의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입력된다. 감시 장치(8)는 지진계(14)에 의해서 특정 레벨 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 지진계(14)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지진계(14)에 의해서 검출된 가속도의 데이터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7)는 지진계(14)에 의해서 특정 레벨 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한다.
지진계(14)는 특정 레벨 이상의 가속도를 검출했을 때 지진 검지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지진계(14)가 감시 장치(8)에 접속되어 있으면, 지진계(14)로부터의 지진 검지 신호는 감시 장치(8)에 입력된다. 감시 장치(8)는 지진계(14)로부터 지진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 지진계(14)가 제어 장치(7)에 접속되어 있으면, 지진계(14)로부터의 지진 검지 신호는 제어 장치(7)에 입력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7)는 지진계(14)로부터 지진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지진 관제 운전을 실시한다. 지진계(14)는 승강로(3)의 피트(3a)에 마련되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1)과 제어 장치(7)의 사이에, 제어 케이블(15)이 접속된다. 제어 케이블(15)은 엘리베이터 칸(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엘리베이터 칸(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어 케이블(15)은, 승강로(3)의 내부에서 방향 전환되어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어 케이블(15)은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승강로(3)의 내부에서 U자 모양으로 매달린다.
엘리베이터 칸(1)에, 전구용의 소켓(16 및 17)이 마련된다. 소켓(16 및 17)은 특정 꼭지쇠를 가지는 시판의 전구를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소켓(16 및 17)은 엘리베이터 칸(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켓(16)은 엘리베이터 칸(1)의 상부에 마련된다. 소켓(17)은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에 마련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영상 유닛(18 및 19)을 구비한다. 영상 유닛(18)은 엘리베이터 칸(1)의 상방의 영상을 얻기 위한 유닛이다. 영상 유닛(19)은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의 영상을 얻기 위한 유닛이다. 영상 유닛(18)에는 소켓(16)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영상 유닛(19)에는 소켓(17)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영상 유닛(18 및 19)의 쌍방을 구비하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다. 본 시스템은 영상 유닛(18)을 구비하고, 영상 유닛(19)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시스템이 영상 유닛(19)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1)에 소켓(17)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시스템은 영상 유닛(19)을 구비하고, 영상 유닛(18)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시스템이 영상 유닛(18)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 칸(1)에 소켓(16)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영상 유닛(19)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영상 유닛(18)의 구성, 기능, 및 동작은, 영상 유닛(19)의 구성, 기능, 및 동작과 같다. 이 때문에, 영상 유닛(18)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베이터 칸(1)은 엘리베이터 칸 실(20), 도어(21), 에이프런(22), 프론트빔(23), 프레임(24), 조작반(25), 및 표시기(26)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승객이 타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프레임(24)에 의해서 지지된다. 프레임(24)은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상하 좌우를 둘러싼다. 프레임(24)은 상부 부재(24a) 및 하부 부재(24b)를 구비한다. 상부 부재(24a)는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상방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횡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하부 부재(24b)는 엘리베이터 칸 실(20)의 하방에서 엘리베이터 칸 실(20)을 횡단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상부 부재(24a)에 주 로프(4)가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칸 실(20)은 천정(27) 및 바닥(28)을 구비한다. 바닥(28)에는 도어(2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문턱이 포함된다. 에이프런(22)은 이 문턱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에이프런(22)은 프론트빔(23)에 지지된다. 프론트빔(23)은 엘리베이터 칸 실(20)에 지지된다. 프론트빔(23)은 바닥(28) 아래에 배치된다.
영상 유닛(18)은 천정(27) 위에 배치된다. 영상 유닛(19)은 바닥(28) 아래에 배치된다. 영상 유닛(19)이 바닥(28)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에이프런(22)은 투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에이프런(22)은 투명한 수지 부재로 형성된다. 에이프런(22)은 전체가 투명한 수지 부재로 형성되어도 된다. 에이프런(22)은 일부가 투명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금속판에 중공부를 마련하고, 그 중공부를 투명한 수지 부재로 막음으로써 에이프런(22)이 형성되어도 된다. 에이프런(22)에 투명한 부재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에이프런(22)은 펀칭 프레스 가공 혹은 슬릿 가공이 실시된 금속판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된다.
조작반(25)은 행선 버튼, 열림 버튼, 및 닫힘 버튼 등을 구비한다. 표시기(26)는 엘리베이터 칸(1)에 타고 있는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보기의 일례이다.
도 2는 영상 유닛(19)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 유닛(19)은 어댑터(30), 램프 유닛(31), 커버(32), 카메라 유닛(33), 및 낙하 방지 와이어(3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켓(17)은 프론트빔(23)에 마련된다. 소켓(17)은,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프론트빔(23)의 측면에 마련되어도 되고, 프론트빔(23)의 하면에 마련되어도 된다. 소켓(17)에 어댑터(30)가 고정된다.
도 3은 어댑터(3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어댑터(30)는 본체(35), 및 꼭지쇠(36)를 구비한다. 꼭지쇠(36)는 본체(35)에 마련된다. 꼭지쇠(36)는 소켓(17)에 착탈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꼭지쇠(36)를 소켓(17)에 넣음으로써, 어댑터(30)를 소켓(17)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35)에 콘센트(37)와 전구용의 소켓(38)이 구비된다. 본체(35)에 복수의 콘센트(37)가 구비되어도 된다. 소켓(38)은 특정 꼭지쇠를 가지는 시판의 전구를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램프 유닛(31)은 어댑터(3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램프 유닛(31)은 어댑터(30)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된다. 램프 유닛(31)은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을 비추기 위한 것이다. 램프 유닛(31)은, 적어도, 가시광을 방사 가능하다. 램프 유닛(31)에는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도 4는 램프 유닛(3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램프 유닛(31)은 본체(39), 및 꼭지쇠(40)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램프 유닛(31)은 전구형의 LED 램프이다. 꼭지쇠(40)는 본체(39)에 마련된다. 꼭지쇠(40)는 소켓(38)에 착탈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꼭지쇠(40)를 소켓(38)에 넣음으로써, 램프 유닛(31)을 어댑터(30)의 소켓(38)에 고정할 수 있다.
커버(32)는 램프 유닛(31)을 보호한다. 커버(32)는 어댑터(30)의 본체(35)에 고정된다. 램프 유닛(31)은 커버(32)에 의해서 덮인다.
카메라 유닛(33)은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된다. 카메라 유닛(33)에는, 소켓(17)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 유닛(33)은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도 5는 카메라 유닛(3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카메라 유닛(33)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 유닛(33)은 카메라(41), 커버(42), 자석(43), 전원선(44), 안테나(45), 및 제어 장치(46)를 구비한다.
카메라(41)는 적어도,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41)에 커버(42)가 고정된다. 커버(42)에 자석(43)이 고정된다. 예를 들면, 자석(43)은 카메라(41)와 커버(4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커버(42)에 접착 고정된다.
도 2는 카메라(41)가 하부 부재(24b)의 면(24c)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면(24c)은 하부 부재(24b)에 형성된 하향의 면이다. 하부 부재(24b)는 주 로프(4)가 끊어져 엘리베이터 칸(1)이 낙하했을 때 완충기(3b)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부재이다. 완충기(3b)는 안전 장치의 하나로서 피트(3a)에 마련되어 있다. 완충기(3b)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부재(24b)의 직하(直下)에 배치된다. 카메라(41)는 완충기(3b)와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면(24c)에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41)는 자석(43)에 의해서 하부 부재(24b)에 흡착 고정된다. 카메라(41)가 면(24c)에 고정되면, 커버(42)는 카메라(41)의 상방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 카메라(41)가 면(24c)에 고정되면, 카메라(41)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방이 촬영되도록 그 방향이 설정된다. 카메라 유닛(33)에, 카메라(41)의 촬영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도 된다.
전원선(44)은 카메라(41)로부터 연장된다. 전원선(44)에는 플러그(44a)가 포함된다. 전원선(44)은 어댑터(30)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44a)가 어댑터(30)의 콘센트(37)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는 전원선(44)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소켓(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선(44)은,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24), 바닥(28), 및 프론트빔(23)에 고정된다. 전원선(44)은 카메라(41)가 하부 부재(24b)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카메라(41)의 하단이 에이프런(22)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도록 엘리베이터 칸(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선(44)에는, 하부 부재(24b)와 소켓(17)의 거리에 따라 연장 케이블이 포함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46)는 기억부(60), 및 통신부(61)를 구비한다.
낙하 방지 와이어(34)는 카메라(41)가 승강로(3)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낙하 방지 와이어(34)의 일방의 단부는 엘리베이터 칸(1)에 고정된다. 낙하 방지 와이어(34)의 다른 일방의 단부는, 카메라(41) 혹은 커버(42)에 고정된다. 낙하 방지 와이어(34)는, 필요에 따라서, 영상 유닛(19)에 구비되어도 된다. 카메라(41)의 고정이 자석(43)에 의해서 행해지는 경우, 영상 유닛(19)은 낙하 방지 와이어(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영상 유닛(19)의 동작은, 영상 유닛(18)의 동작과 같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상 유닛(18)의 카메라 유닛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영상 유닛(19)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례로서, 엘리베이터 칸(1)의 조작반(25)에, 소켓(17)으로의 급전을 행하기 위한 스위치(25a)가 구비된다. 스위치(25a)는 제어 장치(7) 혹은 감시 장치(8)에 구비되어도 된다. 스위치(25a)에 대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된다. 예를 들면, 스위치(25a)는 수동으로 온 혹은 오프로 전한 가능하다. 스위치(25a)가 오프이면, 소켓(17)에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광은 방사되지 않는다.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은 행해지지 않는다.
스위치(25a)는 기본적으로 오프이다. 보수원은 엘리베이터의 점검시에 엘리베이터 칸(1) 내에서 스위치(25a)를 온으로 한다. 스위치(25a)가 온이 되면,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어, 소켓(17)으로부터 영상 유닛(19)에 전력이 공급된다(S101). 즉,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램프 유닛(31)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사된다(S102). 또,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S103). 예를 들면, 카메라(41)에 의해서 피트(3a)의 영상이 촬영된다.
통신부(61)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스위치(25a)가 온이 되는, 즉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된 후에, 통신부(61)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되면, 통신부(61)는 안테나(45)로부터 통신용 전파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46)에서는, 다른 기기와 접속했는지, 즉 다른 기기와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4).
보수원은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특정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을 카메라 유닛(33)에 무선 접속한다. 도 8은 휴대 단말(1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1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3)은 입력 장치(70), 및 표시기(71)를 구비한다. 보수원은 입력 장치(7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70) 및 표시기(71)는, 터치 패널식의 일체형의 장치여도 된다. 입력 장치(70)는 키보드 혹은 마우스여도 된다. 휴대 단말(13)은 기억부(72), 표시 제어부(73), 및 통신부(74)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73)는 표시기(71)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안테나(45)로부터의 전파를 통신부(74)가 수신하면, 표시 제어부(73)는 카메라 유닛(33)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기(71)에 표시한다. 보수원은 입력 장치(70)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지정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통신부(74)는 입력된 패스워드를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접속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1).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정확한 패스워드를 수신하면, 카메라 유닛(33)과 휴대 단말(13)이 무선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S104에서 Yes로 판정된다. 또, S2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 즉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송신한다(S105).
S2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2). S1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74)에 의해서 수신된다(S202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203).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1)에 타면서 피트(3a)의 리얼타임 영상을 볼 수 있다.
휴대 단말(13)과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204의 No), 휴대 단말(13)의 처리는 S202로 돌아간다. 휴대 단말(13)과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204의 Yes), 휴대 단말(13)은 처리를 종료한다.
영상 유닛(19)에서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으면, S102 내지 S105에 나타내는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진다. 보수원이 스위치(25a)를 오프로 하면,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이 차단된다(S106의 Yes). S106에서 Yes로 판정되면, 영상 유닛(19)은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영상 유닛(19)에서는, S104에서 Yes로 판정된 후에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은, 카메라 유닛(33)과 휴대 단말(13)의 통신이 확립된 후, 휴대 단말(13)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되어도 된다. 이 때, 카메라 유닛(33)과 휴대 단말(13)의 통신 상황에 따라 카메라(41)의 화질이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이 소켓(17)을 통해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기설의 설비 혹은 설계를 이용하여,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영상 유닛(19)을 위한 전원, 특히 카메라(41)를 위한 전원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가능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을 조합하여 채용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후술의 기능을 채용 가능하다.
먼저, 영상 유닛(19)이 채용 가능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램프 유닛(31)이 없어도 촬영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으면, 영상 유닛(19)은 램프 유닛(31)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램프 유닛(31)의 기능을 카메라 유닛(33)이 구비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어댑터(30)의 본체(35)에, 전구용의 복수의 소켓(38)이 구비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본체(35)는 콘센트(37)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의 소켓(38)에 램프 유닛(31)이 고정된다. 또 하나의 소켓(38)에 카메라 유닛(33)이 고정된다. 소켓(38)에 착탈 가능한 꼭지쇠가 전원선(44)에 포함되어 있으면, 카메라 유닛(33)을 소켓(38)에 고정할 수 있다. 플러그(44a)를 소켓(38)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켓(38)에 착탈 가능한 꼭지쇠와 플러그(44a)를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콘센트를 구비한 다른 어댑터를 더 이용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카메라 유닛(33)은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선을 더 구비해도 된다. 보수원은 보수용의 기기를 이 통신선에 접속하여, 프로그램의 갱신 등을 행해도 된다. 보수원이 휴대 단말(13)에서 피트(3a)의 영상을 볼 때, 이 통신선은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경우, 통신선의 선단에 마련된 커넥터에, 방진용의 캡을 장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카메라 유닛(3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메라 유닛(33)은 마이크(47), 스피커(48), 가속도계(49), 자이로 센서(50), 기압계(51), 온도계(52), 및 습도계(53)를 더 구비해도 된다. 마이크(47), 스피커(48), 가속도계(49), 자이로 센서(50), 기압계(51), 온도계(52), 및 습도계(53)는, 이것들 중 하나 혹은 복수가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유닛(33)에 구비되어도 된다.
마이크(47)는 소리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마이크(47)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마이크(47)에 의해서 검출된 소리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스피커(48)는 제어 장치(46)에 구비된 소리 제어부(62)에 의해서 제어된다.
가속도계(49)는 카메라 유닛(33)의 가속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가속도계(49)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가속도계(49)에 의해서 검출된 가속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자이로 센서(50)는 카메라 유닛(33)의 각속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자이로 센서(5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자이로 센서(50)에 의해서 검출된 각속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보수원은 휴대 단말(13)에서 수신한 가속도의 데이터 또는 각속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승차감에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압계(51)는 기압계(51)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기압을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기압계(51)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기압계(51)에 의해서 검출된 기압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휴대 단말(13)에도 기압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압계(51)가 검출한 기압과 휴대 단말(13)에 구비된 기압계가 검출한 기압의 차를 이용하여, 보수원이 있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온도계(52)는 온도계(52)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온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온도계(5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온도계(52)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습도계(53)는 습도계(53)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습도를 검출한다. 카메라 유닛(33)이 습도계(53)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통신부(61)는 습도계(53)에 의해서 검출된 습도의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휴대 단말(13)에 송신해도 된다. 휴대 단말(13)에서 수신한 온도 데이터 및 습도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제어 장치(7) 등에 구비된 기판의 수명 예측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이 스위치(25a)에 대한 수동 조작에 의해서 행해진다. 다른 예로서, 영상 유닛(19)으로의 전력 공급이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의 기능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 도 11부터 도 16도 참조하여, 영상 유닛(19)에 대한 전력 공급 기능을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가 실현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7)는 기억부(80), 급전부(81), 및 운전 제어부(82)를 구비한다.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급전을 제어한다.
운전 제어부(82)는 설정되어 있는 운전 모드에 따른 운전 제어를 행한다. 운전 모드에는, 예를 들면 자동 모드, 보수 모드, 진단 모드, 관제 모드, 및 복구 모드가 있다. 자동 모드에서는 자동 운전이 행해진다. 자동 운전은 등록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을 차례로 응답시키는 운전이다. 보수 모드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진단 모드에서는,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진단 운전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진단 운전은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관제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지진 관제 운전이 행해진다. 지진 관제 운전은 지진이 발생한 직후에 행해진다. 복구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복구의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복구 운전이 행해진다. 복구 운전은 지진 관제 운전이 행해진 후에 행해진다.
감시 장치(8)는 기억부(90), 조건 판정부(91), 및 통신부(92)를 구비한다.
도 12는 외부 기기(1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기기(11)는 입력 장치(100), 및 표시기(101)를 구비한다.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입력 장치(1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00) 및 표시기(101)는 터치 패널식의 일체형의 장치여도 된다. 입력 장치(100)는 키보드 혹은 마우스여도 된다. 외부 기기(11)는 기억부(102), 표시 제어부(103), 및 통신부(104)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103)는 표시기(101)를 제어한다.
도 13은 제어 장치(7)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승강로(3)의 내부가 빛나면, 이용자가 그 광을 의심스럽게 느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81)는 기본적으로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상술한 것처럼,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광은 방사되지 않는다. 소켓(17)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은 행해지지 않는다. 제어 장치(7)에서는,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을 요구하기 위한 제1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2). S302에서 No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전력 차단을 계속한다.
도 14는 감시 장치(8)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조건 판정부(91)는 촬영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1). 촬영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 시간대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현재 시각이 상기 시간대에 포함되어 있으면, S401에서 Yes로 판정된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9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도 15는 외부 기기(11)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일례로서,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서 보고 싶을 때, 입력 장치(100)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통신부(104)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제2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9)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501).
통신부(9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조건이 성립된다(S401의 Yes). S4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제어 장치(7)에 제1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S402).
S402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1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2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에 전력을 공급한다(S303).
영상 유닛(19)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즉, S303에서의 처리에 의해, 소켓(17)으로부터 영상 유닛(19)에 전력이 공급된다(S101). 이것에 의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사된다(S102). 또,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S103).
또,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되면, 통신부(61)는 안테나(45)로부터 통신용 전파를 송신한다. S402에서 통신부(92)가 제1 요구 신호를 송신한 후에 통신부(92)가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안테나(45)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면, 특정 인증 처리를 거친 후에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이 접속된다(S403의 Yes). 이것에 의해, S104에 있어서도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105).
감시 장치(8)에서는, S403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4). S1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통신부(92)가 수신한다(S404의 Yes). 감시 장치(8)가 제2 요구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S401에서 촬영 조건이 성립됐을 경우, 통신부(92)는 S404에서 통신부(6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405).
외부 기기(11)에서는, S501에서 통신부(104)가 제2 요구 신호를 송신하면, 감시 장치(8)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502). S405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외부 기기(11)에 있어서 통신부(104)가 수신한다(S502의 Yes).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감시 장치(8)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S503). 이것에 의해, 감시원은, 감시 센터(10)에 있어서 피트(3a)의 리얼타임 영상을 볼 수 있다.
또, 감시 장치(8)에서는, S401에서 촬영 조건이 성립된 후, 촬영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6). 종료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현재 시각이 이 시간대에서 벗어나 있으면 종료 조건이 성립된다. 다른 예로서, 일정시간 계속하여 S4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외부 기기(11)로부터 특정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종료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S406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의 종료를 요구하기 위한 제3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407).
제어 장치(7)에서는, S302에서 Yes로 판정된 후, 감시 장치(8)로부터 제3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4). S304에서 No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에 대한 전력 공급을 계속한다. S407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3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다음으로,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이,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과거의 영상을 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7)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상술한 것처럼,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승강로(3)의 내부가 빛나면, 이용자가 그 광을 의심스럽게 느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급전부(81)는 기본적으로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예를 들면, 급전부(81)는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 제어 장치(7)에서는, 제1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2).
도 16은 감시 장치(8)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운전 제어부(82)가 자동 운전을 행하고 있는 동안, 조건 판정부(91)는 진단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601). 진단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일례로서, 특정 날의 특정 시각이 되면, 진단 조건은 성립된다. 진단 조건이 성립된 것을 조건 판정부(91)가 판정하면(S601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진단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1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602).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진단 운전을 개시한다. 즉, 운전 제어부(82)는 진단 조건이 성립되면 진단 운전을 행한다. 진단 운전에서는,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진단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제어 장치(7)는 진단 운전에서 취득한 진단용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통신부(92)가 제어 장치(7)로부터 수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기억부(90)에 기억된다.
또, 통신부(92)가 S602에서 송신하는 제1 모드 신호에는 제1 요구 신호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S602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1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2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에 전력을 공급한다(S303).
영상 유닛(19)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즉, S303에서의 처리에 의해, 소켓(17)으로부터 영상 유닛(19)에 전력이 공급된다(S101). 이것에 의해, 램프 유닛(31)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사되어(S102),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된다(S103).
도 16의 S603 및 S604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14의 S403 및 S404에 나타내는 처리와 같다. 즉, S602에서 통신부(92)가 제1 모드 신호를 송신한 후에 통신부(92)가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안테나(45)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면, 특정 인증 처리를 거친 후에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이 접속된다(S603의 Yes). 이것에 의해, S104에 있어서도 Yes로 판정된다. S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S105).
감시 장치(8)에서는, S603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604). S1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통신부(92)가 수신한다(S604의 Yes). 진단 조건이 성립되는 것에 의해서 S602에서 제1 모드 신호(제1 요구 신호)가 송신되었을 경우, 통신부(9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기억부(90)에 기억된다(S605). S605에 있어서, 통신부(9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는, 진단 운전에서 취득된 진단용 데이터로서 기억부(90)에 기억된다.
운전 제어부(82)에 의한 진단 운전이 종료되면(S606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607).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2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 제어부(82)가 자동 운전을 재개한다.
또, 통신부(92)가 S607에서 송신하는 제2 모드 신호에는 제3 요구 신호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S607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가 수신하면, S3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급전부(81)는 소켓(17)으로의 전력을 차단한다(S301). 또, S304에서 Yes로 판정되면, S106에서 Yes로 판정된다. 이 예이면, 진단용 데이터에,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동작과는 별개로 행해지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감시 장치(8)에서는, 진단용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제4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701). 일례로서,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진단용 데이터를 취득하고 싶을 때, 입력 장치(100)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가 입력되면, 통신부(104)는 제4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9)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04)는 제4 요구 신호를 정기적으로 감시 장치(8)에 송신해도 된다.
감시 장치(8)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4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S701에 있어서 Yes로 판정된다. S7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기억부(90)에 기억되어 있는 진단용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702). S702에서 통신부(92)가 송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외부 기기(11)에 있어서 통신부(104)가 수신한다.
통신부(104)가 감시 장치(8)로부터 수신하는 진단용 데이터에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감시 장치(8)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감시원은 진단 운전에서 취득된 과거의 영상을 감시 센터(10)에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기설의 엘리베이터를 개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3)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소켓(17)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되어 있다. 보수원은, 먼저, 소켓(17)에 장착되어 있는 기설의 전구를 소켓(17)으로부터 분리한다(S801).
다음으로, 기설의 전구를 떼낸 소켓(17)에, 어댑터(30)를 장착한다(S802). 상술한 것처럼, 어댑터(30)에는 꼭지쇠(36)가 구비된다. 꼭지쇠(36)를 소켓(17)에 넣음으로써, 어댑터(30)를 소켓(17)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유닛(33)을 엘리베이터 칸(1)에 지지시켜(S803), 소켓(17)을 통해서 카메라 유닛(33)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카메라 유닛(33)을 어댑터(30)에 접속한다(S804).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 유닛(33)은 자석(43)을 구비한다. 자석(43)을 면(24c)에 흡착시킴으로써, 카메라 유닛(33)을 엘리베이터 칸(1)의 하부 부재(24b)에 고정시킨다. 또, 전원선(44)의 플러그(44a)를 어댑터(30)의 콘센트(37)에 끼워넣는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는 전원선(44)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소켓(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카메라 유닛(33)에 대한 전력 공급은,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행해진다.
또한, S803의 직후 혹은 S804의 직후에, 엘리베이터 칸(1)과 카메라(41) 혹은 커버(42)를 낙하 방지 와이어(34)에 의해서 연결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
다음으로, 램프 유닛(31)을 어댑터(30)에 장착한다(S805).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램프 유닛(31)은 꼭지쇠(40)를 구비한다. 꼭지쇠(40)를 어댑터(30)의 소켓(38)에 넣음으로써, 램프 유닛(31)을 소켓(38)에 고정시킬 수 있다. 램프 유닛(31)에 대한 전력 공급은, 소켓(17) 및 어댑터(30)를 통해서 행해진다. 다음으로, 커버(32)를 어댑터(30)에 장착하고, 램프 유닛(31)을 커버(32)에 의해서 덮는다(S806).
또한, S805 및 S806에 나타내는 절차는, S803 및 S804에 나타내는 절차보다 먼저 행해져도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필요한 때 영상 유닛(19)에 대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유닛(19)에 대해서 항상 전력이 공급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1) 아래에 배치된 영상 유닛(19)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반복을 생략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1) 위에 배치된 영상 유닛(18)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구성, 기능, 및 동작과 상위한 점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개시하지 않는 구성,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채용 가능하면,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어느 구성, 기능, 및 동작을 채용해도 된다.
도 19는 카메라 유닛(33)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카메라 유닛(33)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카메라(41), 커버(42), 자석(43), 전원선(44), 안테나(45), 및 제어 장치(46)를 구비한다. 또, 제어 장치(46)는 기억부(60) 및 통신부(61)에 더하여, 촬영 조건 판정부(63) 및 통신 검출부(64)를 더 구비한다.
도 20은 램프 유닛(31)이 가지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램프 유닛(31)은 가시광 램프(54), 적외선 램프(55), 및 제어 장치(56)를 더 구비한다. 제어 장치(56)는 선택부(110), 방사 제어부(111), 통신부(112), 및 전환 조건 판정부(113)를 구비한다. 램프 유닛(31)의 외관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가시광 램프(54)는 가시광을 방사한다. 가시광 램프(54)는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수단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가시광 램프(54)로서 백색 LED가 채용된다. 가시광 램프(54)로부터의 가시광은,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해서 방사된다. 가시광 램프(54)는 방사 제어부(111)에 의해서 제어된다.
적외선 램프(55)는 적외선을 방사한다. 적외선 램프(55)는 적외선을 방사 가능한 수단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적외선 램프(55)로서, 적외선 LED가 채용된다. 적외선 램프(55)로부터의 적외선은,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해서 방사된다. 적외선 램프(55)는 방사 제어부(111)에 의해서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카메라 유닛(33)의 카메라(41)는, 가시광에 의한 촬영과 적외선에 의한 촬영의 쌍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메라(41)는 가시광 램프(54)로부터의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41)는 적외선 램프(55)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선택부(110)는 광원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가시광 램프(54) 또는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방사 제어부(111)는 선택부(110)가 선택한 광원으로부터 전자파를 방사시킨다. 즉, 방사 제어부(111)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면, 가시광 램프(54)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킨다. 방사 제어부(111)는,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면, 적외선 램프(55)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킨다.
통신부(112)는 램프 유닛(31)의 통신 기능을 맡는다. 통신부(112)는 카메라 유닛(33)의 통신부(61)와 통신한다. 또한, 램프 유닛(31)과 휴대 단말(13)의 통신은, 직접 행해져도 되고, 카메라 유닛(33)을 통해서 행해져도 된다. 램프 유닛(31)과 감시 장치(8)의 통신은, 카메라 유닛(33) 및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행해져도 되고, 카메라 유닛(33)을 통하지 않고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행해져도 된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영상 유닛(19)의 기본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엘리베이터에서는, 통상, 자동 운전이 행해진다.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승강로(3)의 내부가 빛나면, 이용자가 그 광을 의심스럽게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촬영 조건 판정부(63)는 촬영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2). 상술한 것처럼, 촬영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902에 있어서 항상 Yes로 판정되어도 된다.
S902에서 Yes로 판정되면, 방사 제어부(111)는 적외선 램프(55)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킨다. 또, S9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행해진다(S903). S903에서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46)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61)가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904).
통신부(61)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S904의 Yes), 요구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한다(S905). 통신부(61)가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S904의 No), 영상 데이터가 기억부(60)에 저장된다(S906). S905에 있어서 기억부(60)로의 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S906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은, 감시 장치(8) 혹은 다른 기기에서 행해져도 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 전환 조건 판정부(113)는 전환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7). 전환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전환 조건으로서, 특정 시각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현재 시각이 해당 시각이 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된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12)가 특정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전환 조건이 성립되어도 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전환 조건이 성립되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S908).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면, 촬영 조건 판정부(63)는 촬영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9). 가시광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은, 적외선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과는 상이하다. 예를 들면, 통신부(61)가 특정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된다. 가시광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은, 적외선으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조건과 같아도 된다. 예를 들면, S909에서는 항상 Yes로 판정되어도 된다.
S909에서 Yes로 판정되면, 방사 제어부(111)는 가시광 램프(54)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킨다. 또, S909에서 Yes로 판정되면,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행해진다(S910). S910에서 카메라(41)에 의한 촬영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46)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61)가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911).
통신부(61)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S911의 Yes), 요구처에 영상 데이터를 송신한다(S912). 통신부(61)가 해당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S911의 No), 기억부(60)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S913). S912에 있어서 기억부(60)로의 영상 데이터의 저장이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S913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은, 감시 장치(8) 혹은 다른 기기에서 행해져도 된다.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도, 전환 조건 판정부(113)는 전환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14). S914에서의 전환 조건과 S907에서의 전환 조건은 상이한 조건이어도 된다.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전환 조건이 성립되면, 선택부(110)는 광원으로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도 22는 제어 장치(7) 및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7)는 기억부(80), 및 운전 제어부(82)에 더하여, 표시 제어부(83)를 더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83)는 표시기(26)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소켓(17)에 대해서 항상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소켓(17)으로의 전력 공급과 전력 차단을 제어하는 급전부(81)의 기능은, 제어 장치(7)에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어 장치(7)는 급전부(81)를 구비하고, 급전부(81)에 의해서 소켓(17)으로의 전력 공급이 항상 행해져도 된다.
감시 장치(8)는 기억부(90), 조건 판정부(91), 및 통신부(92)에 더하여, 이상 검출부(93), 사람 검출부(94), 및 금지부(95)를 더 구비한다.
도 23은 휴대 단말(1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13)은,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더하여, 신호 생성부(75)를 더 구비한다. 도 24는 외부 기기(1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기기(11)는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더하여, 신호 생성부(105)를 더 구비한다.
다음으로,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S902에서는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는 No로 판정된다. 이러한 경우,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계속 저장된다.
도 25는 휴대 단말(1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무선 접속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1). 보수원이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특정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된다(S1001의 Yes).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가시광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2).
일례로서, 휴대 단말(13)의 표시기(71)에, 보수원이 승강로(3) 내의 가시광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1 버튼이 표시된다. 제1 버튼은 입력 장치(70)의 일례이다. 제1 버튼이 눌리면, S10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선택부(110)에 가시광 램프(54)를 선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003).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1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04).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에서는, S1004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7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006).
휴대 단말(13)과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1007의 No), 휴대 단말(13)의 처리는 S1002로 돌아간다. 휴대 단말(13)에서는, S1002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적외선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8).
휴대 단말(13)의 표시기(71)에, 보수원이 승강로(3) 내의 적외선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2 버튼이 표시된다. 제2 버튼은 입력 장치(70)의 일례이다.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2 버튼이 눌리면, S100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선택부(110)에 적외선 램프(55)를 선택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생성한다(S1009). 제2 신호는 상기 제1 신호와는 상이한 신호이다.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2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10).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14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02에서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905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에서는, S1010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7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적외선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006).
휴대 단말(13)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1007의 Yes), 휴대 단말(13)은 처리를 종료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휴대 단말(13)과의 통신이 단절되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도 26은 휴대 단말(13)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3)이 도 26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33)의 제어 장치(46)에는 통신 검출부(64)가 구비된다. 통신 검출부(64)는 통신부(61)와 특정 기기의 통신이 확립된 것을 검출한다.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무선 접속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1). 보수원이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특정 인증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된다(S1101의 Yes).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2).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일례로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또, 휴대 단말(13)이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통신부(61)와 휴대 단말(13)의 통신이 확립된 것이 통신 검출부(64)에 의해서 검출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61)와 휴대 단말(13)의 통신이 확립된 것이 통신 검출부(64)에 의해서 검출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 검출부(64)에 의한 상기 검출이 이루어지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어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휴대 단말(13)에 있어서 통신부(74)가 수신한다(S1102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103).
다음으로, 휴대 단말(13)에서는, 적외선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4). 예를 들면, 제2 버튼이 눌리면, S11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04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제2 신호를 생성한다(S1105).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2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106).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14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휴대 단말(13)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02에서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905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13)에 대해서 송신한다.
휴대 단말(13)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1107의 No), S1106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한 후에,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2). S9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휴대 단말(13)에 있어서 통신부(74)가 수신한다(S1102의 Yes). 표시 제어부(73)는, 통신부(7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킨다(S1103).
휴대 단말(13)에서는, S1104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가시광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8). 예를 들면, 제1 버튼이 눌리면, S110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1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75)는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109). 통신부(74)는, 신호 생성부(75)가 생성한 제1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110).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13)의 표시기(71)에,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가시광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13)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1107의 Yes), 휴대 단말(13)은 처리를 종료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휴대 단말(13)과의 통신이 단절되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다른 예로서, 감시 센터(10)에 있는 감시원이, 카메라(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 기기(11)에서 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외부 기기(11)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1)에서는, 카메라 유닛(33)과 접속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1). 감시 센터(10)의 감시원은,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기(101)에서 보고 싶을 때, 외부 기기(11)를 카메라 유닛(33)에 접속한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1)와 감시 장치(8)는, 네트워크(9)를 통해서 유선 접속된다.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은,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무선 접속된다.
외부 기기(11)에서는,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면, 가시광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2). 일례로서, 외부 기기(11)의 표시기(101)에, 감시원이 승강로(3) 내의 가시광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3 버튼이 표시된다. 제3 버튼은 입력 장치(100)의 일례이다. 제3 버튼이 눌리면, S1002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2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105)는 제1 신호를 생성한다(S1003). 통신부(104)는, 신호 생성부(105)가 생성한 제1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04).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대해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61)는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감시 장치(8)는,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9)를 통해서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
외부 기기(11)에서는, S1004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10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S1006).
외부 기기(11)와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어 있지 않으면(S1007의 No), 외부 기기(11)의 처리는 S1002로 돌아간다. 외부 기기(11)에서는, S1002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적외선 영상의 요구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8).
일례로서, 외부 기기(11)의 표시기(101)에, 감시원이 승강로(3) 내의 적외선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누르기 위한 제4 버튼이 표시된다. 제4 버튼은 입력 장치(100)의 일례이다. 외부 기기(11)가 카메라 유닛(33)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4 버튼이 눌리면, S1008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8에서 Yes로 판정되면, 신호 생성부(105)는 선택부(110)에 적외선 램프(55)를 선택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생성한다(S1009). 통신부(104)는, 신호 생성부(105)가 생성한 제2 신호를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010).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14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외부 기기(11)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S902에서 Yes로 판정되고, S904에서 Yes로 판정된다. S905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대해서 송신한다.
외부 기기(11)에서는, S1010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면,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5). S905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부(104)에 의해서 수신된다(S1005의 Yes). 표시 제어부(103)는 통신부(104)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적외선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킨다(S1006).
외부 기기(11)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의 통신이 단절되면(S1007의 Yes), 외부 기기(11)는 처리를 종료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외부 기기(11)와의 통신이 단절되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외부 기기(11)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해져도 된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유닛(33)의 제어 장치(46)에는 통신 검출부(64)가 구비된다. 즉,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61)와 외부 기기(11)의 통신이 확립된 것이 통신 검출부(64)에 의해서 검출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즉 가시광 영상이 표시기(101)에 표시된다(S1103).
다음으로,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엘리베이터의 운전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감시 장치(8)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즉, 운전 제어부(82)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조건 판정부(91)는 진단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601). S6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제1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602).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진단 운전을 개시한다. 진단 운전에서는, 진단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제어 장치(7)는 진단 운전에서 취득한 진단용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07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즉, 엘리베이터에서 진단 운전이 행해지면, 선택부(110)는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1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진단용 데이터로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감시 장치(8)에서는, S602에서 통신부(92)가 제1 모드 신호를 송신한 후, S604에 있어서 진단용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어 장치(7)가 송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604의 Yes). 감시 장치(8)와 카메라 유닛(33)이 접속되어 있으면(S603의 Yes),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진단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604의 Yes). 통신부(92)가 수신한 진단용 데이터는, 기억부(90)에 기억된다(S605).
운전 제어부(82)에 의한 진단 운전이 종료되면(S606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자동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607).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2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 제어부(82)가 자동 운전을 재개한다.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2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14에서 Yes로 판정되고, 선택부(110)는 S901에서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이 예이면, 진단용 데이터에,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장치(8)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동작이 별도로 행해져도 된다.
도 27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도 16에 나타내는 동작 후에 행해지는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진단 운전에서 취득된 진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시 장치(8)에 있어서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 감시 장치(8)에는 이상 검출부(93)가 구비된다.
감시 장치(8)에서는, 이상 검출부(93)가 기억부(90)에 기억된 진단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201). 예를 들면, 이상 검출부(93)는 진단용 데이터와 대응하는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93)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S120의 Yes), 통신부(92)는 이상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202).
도 28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운전 제어부(82)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감시 장치(8)에서는, 지진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01). 지진계(14)로부터 특정 레벨을 나타내는 가속도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S1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지진계(14)가 지진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지진계(14)로부터 지진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S1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301에서 Yes로 판정되면,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관제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3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에 송신한다(S1302).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3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지진 관제 운전을 개시한다. 지진 관제 운전은 지진이 발생한 직후에, 엘리베이터 칸(1) 안에 있는 승객을 피난시키기 위한 운전이다. 지진 관제 운전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이 최근처층에 정지되고, 도어(21)가 개폐된다.
감시 장치(8)에서는, S1302에서 제3 모드 신호를 송신하면, 조건 판정부(91)가, 복구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3). 복구 조건은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지진계(14)에서 특정 레벨을 나타내는 가속도가 검출되고 또한 지진 관제 운전이 종료된 후에 엘리베이터 칸(1)이 무인이 되면, 복구 조건이 성립된다. 복구 조건이 성립된 것을 조건 판정부(91)가 판정하면(S1303의 Yes), 통신부(92)는 운전 모드를 복구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제4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304).
제어 장치(7)에서는, 감시 장치(8)로부터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복구 운전을 개시한다. 즉, 운전 제어부(82)는 복구 조건이 성립되면 복구 운전을 행한다. 복구 운전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복구의 가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복구용 데이터가 취득된다. 제어 장치(7)는 복구 운전에서 취득한 복구용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한편,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통신부(112)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즉, 엘리베이터에서 복구 운전이 행해지면, 선택부(110)는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통신부(61)가 감시 장치(8)로부터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복구용 데이터로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감시 장치(8)에서는, S1304에서 통신부(92)가 제4 모드 신호를 송신하면, 복구용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05). 제어 장치(7)가 송신한 복구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1305의 Yes). S912에서 통신부(61)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복구용 데이터)는,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S1305의 Yes). 통신부(92)가 수신한 복구용 데이터는, 기억부(90)에 기억된다(S1306). 이 예이면, 복구용 데이터에,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검출부(93)는 기억부(90)에 기억된 복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7). 예를 들면, 이상 검출부(93)는 복구용 데이터와 대응하는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93)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면(S1307의 Yes), 통신부(92)는 이상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308).
이상 검출부(93)에 의해서 이상이 검출되는 일 없이 복구 운전이 종료되면(S1309의 Yes), 감시 장치(8)는 엘리베이터를 가(假)복구시킨다(S1310). 가복구에서는, 운전 제어부(82)는 속도 제한 등의 일정한 제한을 마련한 다음, 등록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을 차례로 응답시키는 운전을 행한다. 또, 표시 제어부(83)는 완전한 복귀가 아니라는 취지를 표시기(26)에 표시시킨다.
S1309에서 Yes로 판정되면, 감시 장치(8)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종료 후 영상 데이터는, 복구 운전이 종료된 후에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종료 후 영상 데이터는, 가시광 영상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 장치(8)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통신부(92)는 취득한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311).
S1311에서 종료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하면, 감시 장치(8)에서는,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12). 감시 센터(10)에서는, 외부 기기(11)가 수신한 종료 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본(本)복구시켜도 좋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은, 예를 들면, 영상을 본 복수의 사람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엘리베이터를 본복구시켜도 좋다고 판정되면,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가 송신된다.
감시 장치(8)는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를 수신하면(S1312의 Yes), 엘리베이터를 본복구시킨다(S1313). 본복구에서는, 예를 들면, 통신부(92)가 제2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운전 제어부(82)가 통상 운전을 재개한다. 표시 제어부(83)는 완전한 복구가 아니라는 취지의 표시를 표시기(26)로부터 소거한다. 또, 램프 유닛(31)에서는,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
도 28에서는, 감시 장치(8)가 외부 기기(11)로부터 복구 허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본복구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다른 예로서, 현장에 찾아온 보수원이 특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수동으로 본복구시켜도 된다. 또, 지진계(14)가 제어 장치(7)에 접속되는 경우는,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제어 장치(7)에서 행해져도 된다.
도 29는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동작은 도 28에 나타내는 동작과 비교하여, S13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의 동작이 상위하다. 도 29는 S13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S1303에서는 복구 조건이 성립됐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지진 관제 운전이 종료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해도 S1303에서 Yes로 판정되지 않으면, 감시 장치(8)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정지 후 영상 데이터는, 지진 관제 운전이 종료된 후,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하고 있을 때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정지 후 영상 데이터는, 가시광 영상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시 장치(8)가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면, 통신부(92)는 취득한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한다(S1314).
S1314에서 정지 후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11)에 송신하면, 감시 장치(8)에서는, 외부 기기(11)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15). 감시 센터(10)에서는, 외부 기기(11)가 수신한 정지 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구 운전을 개시해도 좋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은, 예를 들면, 영상을 본 복수의 사람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구 운전을 개시해도 좋다고 판정되면, 외부 기기(11)로부터 개시 신호가 송신된다.
감시 장치(8)에서는, S1303에서 No로 판정되었을 경우라도, 외부 기기(11)로부터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S1315의 Yes), 통신부(92)가 제4 모드 신호를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송신한다(S1304). 제4 모드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7)와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서는,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지진계(14)가 제어 장치(7)에 접속되는 경우는, 도 29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제어 장치(7)에서 행해져도 된다.
도 30은 감시 장치(8)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동작 플로우는,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운전 모드에 따라 이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운전 제어부(82)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감시 장치(8)에서는, 보수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401).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조작반(25)에, 운전 모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25b)가 구비된다. 스위치(25b)는 운전 모드를 보수 모드로 설정하는 수단의 일례이다. 스위치(25b)는 제어 장치(7) 혹은 감시 장치(8)에 구비되어도 된다. 스위치(25b)에 대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설정된다. 스위치(25b)에 의해서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S1401의 Yes), 사람 검출부(94)는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402).
한편, 램프 유닛(31)에서는, 엘리베이터에서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으면,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한다(S901). 예를 들면, 자동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된 적외선 영상이 기억부(60)에 저장된다.
선택부(110)가 적외선 램프(55)를 선택하고 있을 때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전환 조건이 성립된 것을 전환 조건 판정부(113)가 판정한다(S907의 Yes). 이것에 의해, 선택부(110)는 S908에서 가시광 램프(54)를 선택한다. 또,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설정되면, S909에서 Yes로 판정되고, S911에서 Yes로 판정된다. S912에 있어서, 통신부(61)는 카메라(41)에 의한 영상 데이터를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통신부(61)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는, 감시 장치(8)에 있어서 통신부(92)에 의해서 수신된다. 사람 검출부(94)는, 통신부(9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S1402의 Yes). 예를 들면, 사람 검출부(94)는 카메라 유닛(33)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승강로(3)의 피트(3a)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사람 검출부(94)는 영상 유닛(18)의 카메라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 위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면, 금지부(95)는 자동 운전이 행해지는 것을 금지한다(S1403). 예를 들면, 자동 운전에서의 엘리베이터 칸(1)의 가동 범위는, 보수 모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1)의 가동 범위보다 넓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이면, 승강로(3)에 사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 운전이 개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었을 경우는, 승강로(3)에 있는 사람을 향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른 알림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면, 방사 제어부(11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라서, 가시광 램프(54)로부터의 가시광의 방사 모드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방사 제어부(111)는 엘리베이터 칸(1)이 피트(3a)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점멸 속도가 빨라지도록 가시광 램프(54)를 제어한다. 방사 제어부(11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라서, 가시광 램프(54)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색을 변화시켜도 된다.
다른 예로서, 승강로(3)에 사람이 있는 것이 사람 검출부(94)에 의해서 검출되면, 소리 제어부(62)는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48)로부터 소리를 출력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소리 제어부(62)는, 엘리베이터 칸(1)이 어느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면, 스피커(48)로부터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3)에 있는 사람에게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설의 엘리베이터를 개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실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은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1의 S801부터 S806에 나타내는 절차는, 도 18의 S801로부터 S806에 나타내는 절차와 같다.
상술한 것처럼,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3)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소켓(17)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소켓(17)에 대한 전력 공급이 항상 행해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보수원은, S807에 있어서, 램프 유닛(31) 및 카메라 유닛(33)에 대해서 소켓(17)을 통해서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설정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보수원은, 카메라 유닛(33)이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서 감시 장치(8)에 송신할 수 있도록, 통신부(61)와 액세스 포인트(12)의 통신을 확립한다(S808). 또, 필요에 따라서, 통신부(112)와 액세스 포인트(12)의 통신을 확립한다.
도 31의 S809에 나타내는 절차 및 S810에 나타내는 절차는, 필요에 따라서 채용된다. 엘리베이터 칸(1)에 금속제의 에이프런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금속제의 기설의 에이프런을 투광성을 가지는 에이프런(22)으로 교환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S809). 이것에 의해, 에이프런(22)에 덮여 있는 부분의 영상을 카메라(41)에 의해서 촬영할 수 있다.
보수원의 휴대 단말(13)에, 신호 생성부(75)를 새롭게 추가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S810). 이것에 의해, 휴대 단말(13)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부(110)에 가시광 램프(54)를 선택시켜, 카메라(41)에 의한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7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11)에, 신호 생성부(105)를 새롭게 추가하는 공정을 더 구비해도 된다(S810). 이것에 의해, 외부 기기(11)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부(110)에 가시광 램프(54)를 선택시켜, 카메라(41)에 의한 가시광 영상을 표시기(101)에 표시시킬 수 있다.
S808에 나타내는 절차 및 S809에 나타내는 절차는,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예에 있어서 채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60~64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46)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32는 제어 장치(46)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 장치(4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121)와 메모리(12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120)를 구비한다. 기억부(60)가 가지는 기능은 메모리(122)에 의해서 실현된다. 제어 장치(46)는 메모리(12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2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61~66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33은 제어 장치(46)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46)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21), 메모리(122), 및 전용 하드웨어(12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120)를 구비한다. 도 33은 제어 장치(46)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12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46)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12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110~113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56)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56)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56)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 장치(5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 장치(56)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80~83에 나타내는 각부는,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제어 장치(7)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7)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 장치(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 장치(7)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90~95에 나타내는 각부는,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감시 장치(8)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감시 장치(8)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8)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감시 장치(8)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감시 장치(8)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72~75에 나타내는 각부는, 휴대 단말(13)이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휴대 단말(13)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3)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13)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휴대 단말(13)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휴대 단말(13)이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호 102~105에 나타내는 각부는, 외부 기기(11)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외부 기기(11)의 하드웨어 자원은, 도 32 혹은 도 33에 나타내는 예와 같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11)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외부 기기(11)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외부 기기(11)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외부 기기(11)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에 전구용의 소켓이 마련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2: 균형 추
3: 승강로 3a: 피트
3b: 완충기 4: 주 로프
5: 권상기 6: 구동 시브
7: 제어 장치 8: 감시 장치
9: 네트워크 10: 감시 센터
11: 외부 기기 12: 액세스 포인트
13: 휴대 단말 14: 지진계
15: 제어 케이블 16~17: 소켓
18~19: 영상 유닛 20: 엘리베이터 칸 실
21: 도어 22: 에이프런
23: 프론트빔 24: 프레임
24a: 상부 부재 24b: 하부 부재
24c: 면 25: 조작반
25a: 스위치 25b: 스위치
26: 표시기 27: 천정
28: 바닥 30: 어댑터
31: 램프 유닛 32: 커버
33: 카메라 유닛 34: 낙하 방지 와이어
35: 본체 36: 꼭지쇠
37: 콘센트 38: 소켓
39: 본체 40: 꼭지쇠
41: 카메라 42: 커버
43: 자석 44: 전원선
44a: 플러그 45: 안테나
46: 제어 장치 47: 마이크
48: 스피커 49: 가속도계
50: 자이로 센서 51: 기압계
52: 온도계 53: 습도계
54: 가시광 램프 55: 적외선 램프
56: 제어 장치 60: 기억부
61: 통신부 62: 소리 제어부
63: 촬영 조건 판정부 64: 통신 검출부
70: 입력 장치 71: 표시기
72: 기억부 73: 표시 제어부
74: 통신부 75: 신호 생성부
80: 기억부 81: 급전부
82: 운전 제어부 83: 표시 제어부
90: 기억부 91: 조건 판정부
92: 통신부 93: 이상 검출부
94: 사람 검출부 95: 금지부
100: 입력 장치 101: 표시기
102: 기억부 103: 표시 제어부
104: 통신부 105: 신호 생성부
110: 선택부 111: 방사 제어부
112: 통신부 113: 전환 조건 판정부
120: 처리 회로 121: 프로세서
122: 메모리 123: 전용 하드웨어

Claims (18)

  1.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휴대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해서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제1 표시기와,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제1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스위치에 대해서 상기 특정 조작이 행해지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승강로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외측에 마련된 전구용의 제1 소켓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카메라 유닛과,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된 감시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고 상기 감시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감시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는
    제1 표시기와,
    상기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1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제1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특정 제1 조건이 성립되면, 상기 제1 소켓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급전부에 의해서 상기 제1 소켓에 대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에 고정된 어댑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 지지되고,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램프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구용의 제2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소켓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제1 방사 수단과,
    적외선을 방사 가능한 제2 방사 수단과,
    상기 제1 방사 수단 또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1 방사 수단으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키고,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키는 방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방에 배치된 완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낙하했을 때 상기 완충기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부재에 형성된 하향의 면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자석과,
    상기 어댑터에 접속된 전원선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자석에 의해서 상기 면에 고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문턱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에이프런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선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면으로부터 떨어진 경우에 상기 카메라의 하단이 상기 에이프런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승강로의 내부를 비추기 위한 전구가 제1 소켓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개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구를 상기 제1 소켓으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상기 전구를 떼낸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카메라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가시광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구를 떼낸 상기 제1 소켓에 어댑터를 장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램프 유닛을 상기 어댑터에 장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소켓 및 상기 어댑터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구용의 제2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소켓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가시광을 방사 가능한 제1 방사 수단과,
    적외선을 방사 가능한 제2 방사 수단과,
    상기 제1 방사 수단 또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1 방사 수단으로부터 가시광을 방사시키고,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방사 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 적외선을 방사시키는 방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방사 수단으로부터의 적외선에 의한 촬영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낙하했을 때 완충기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부재에 형성된 하향의 면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7.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에 상기 제1 소켓을 통해서 전력이 상시 공급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18.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지지시킨 후, 상기 통신 수단과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을 확립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감시 장치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1020237013555A 2020-09-25 2020-09-25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102544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6322 WO2022064642A1 (ja) 2020-09-25 2020-09-25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改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543A true KR20230058543A (ko) 2023-05-03
KR102544753B1 KR102544753B1 (ko) 2023-06-20

Family

ID=8084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555A KR102544753B1 (ko) 2020-09-25 2020-09-25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26667B2 (ko)
KR (1) KR102544753B1 (ko)
CN (1) CN116323462A (ko)
WO (1) WO202206464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869U (ko) * 1977-08-24 1979-03-16
JP2012001289A (ja) 2010-06-14 2012-01-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遠隔操作の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010B (fi) * 2004-11-01 2006-05-15 Kone Corp Hissin kauko-ohjaus
JP2009171143A (ja) * 2008-01-15 2009-07-30 Sharp Corp 監視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US9143741B1 (en) 2012-08-17 2015-09-22 Kuna Systems Corporation Internet protocol security camera connected light bulb/system
JP5951684B2 (ja) * 2014-06-09 2016-07-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US20160261824A1 (en) * 2014-11-06 2016-09-08 SkyBell Technologies, Inc. Light socket surveillance systems
JP2016098063A (ja) * 2014-11-19 2016-05-3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昇降路内形状測定装置、エレベータ昇降路内形状測定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内形状測定プログラム
US9661713B2 (en) 2015-02-26 2017-05-23 Intel Corporation Intelligent LED bulb and v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7117519A (zh) * 2017-05-12 2017-09-01 长沙慧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及其运行状态监测方法
WO2020208687A1 (ja) * 2019-04-08 2020-10-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カメラユニット、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改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869U (ko) * 1977-08-24 1979-03-16
JP2012001289A (ja) 2010-06-14 2012-01-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遠隔操作の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753B1 (ko) 2023-06-20
WO2022064642A1 (ja) 2022-03-31
JPWO2022064642A1 (ko) 2022-03-31
JP7226667B2 (ja) 2023-02-21
CN116323462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25715B (zh) 电梯系统以及电梯的改造方法
KR101827733B1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398806B (zh) 电梯的省电力系统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32823B1 (ko) 엘리베이터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JP2019219736A (ja) 監視システム
KR10252735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00056726A (ko) 화재 대응 시스템 및 방법
JP6681981B2 (ja) 災難警報及び災難訓練機能を備えたled照明灯システム
KR10254475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20160054350A (ko) 조난신호 발생장치
KR100750651B1 (ko) 층수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수표시방법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JP2021077325A (ja) 報知用発光の検査方法
JP7145691B2 (ja) エレベーター、情報機器、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エレベーターの復旧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2321015B1 (ko) 스카이워크 영상 제어시스템
JP2007070061A (ja) 乗客コンベアの運転管理装置
TWI841683B (zh) 升降梯系統以及升降梯修改方法
JP2022180786A (ja) 昇降機作業告知方法及び昇降機作業告知システム
KR102183746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93482A (ko) 화재 발생시 사람의 위치와 수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6173070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の制御方法
JP6188878B1 (ja) 保守作業支援装置および保守作業支援方法
WO2023058109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