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23A -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23A
KR20230056423A KR1020210140428A KR20210140428A KR20230056423A KR 20230056423 A KR20230056423 A KR 20230056423A KR 1020210140428 A KR1020210140428 A KR 1020210140428A KR 20210140428 A KR20210140428 A KR 20210140428A KR 20230056423 A KR20230056423 A KR 20230056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ssage
discharge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14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423A/ko
Publication of KR2023005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8Drai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보일러와 난방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된 통과수가 통과하기 위한 온수유로를 형성하는 온수통과부; 상기 보일러와 상기 난방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난방장치로부터 배출된 환수를 상기 보일러로 전달하기 위한 환수유로를 형성하는 환수통과부; 및 상기 온수통과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수유로를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하며, 상기 온수통과부에 대해 상기 온수유로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움직임을 가져 통과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난방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온수통과부에 결합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CONNECTOR INCLUDING WATER DISCHARGING STRUCTURE}
본 발명은 물이 통과하되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특히 온수매트용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온수매트는 보일러를 이용해 가열한 물을 매트 내부에 설치된 난방유로를 통해 유동시켜 매트에 난방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보일러와 난방유로가 난방용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물이 순환하는 폐회로를 형성함에 따라 지속적인 물 공급 없이도 최초의 물 공급만으로도 최초 공급된 물이 보일러와 난방유로에서 순환하며 난방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기온이 높아 난방이 요구되지 않는 여름철 또는 이동을 위해 온수매트를 접거나 보일러와 매트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온수매트에서 순환하는 물을 온수매트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온수매트에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물 빼기용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 빼기용 커넥터는, 온수매트가 사용될 때 매트와 보일러를 연결하는 난방용 커넥터의 자리에 난방용 커넥터 대신 설치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물 빼기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물을 빼낼 때, 커넥터의 교체가 필요하고, 매뉴얼을 따라 보일러부와 커넥터를 제어하는 직관적이지 않은 소정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평상시 물 전달을 위한 구조와 물 빼기 구조가 일체화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보일러와 난방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된 통과수가 통과하기 위한 온수유로를 형성하는 온수통과부; 상기 보일러와 상기 난방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난방장치로부터 배출된 환수를 상기 보일러로 전달하기 위한 환수유로를 형성하는 환수통과부; 및 상기 온수통과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수유로를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하며, 상기 온수통과부에 대해 상기 온수유로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움직임을 가져 통과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난방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온수통과부에 결합되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평상시 물 전달을 위한 구조와 물 빼기 구조가 일체화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서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물 빼기용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밸브부와 밸브부를 둘러싼 하우징 등을 포함한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연결위치에 놓인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배출위치에 놓인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손잡이의 하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물 빼기용 커넥터(1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은 예시적인 물 빼기용 커넥터(100)를 생각할 수 있다. 온수매트를 사용하다가 물 빼기가 필요해질 때, 보일러(B)와 매트(M) 사이에 위치하는 난방용 커넥터를 제거하고 도면과 같은 예시적인 물 빼기용 커넥터(100)를 매트(M)와 보일러(B)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보일러(B)가 포함하는 펌프가 작동하면서, 보일러에 연결된 물 빼기용 커넥터(100)의 배출부(103)의 배출유로를 통해 외부로 물이 배출된다. 물 빼기용 커넥터(100)는 외부로 개방된 흡기유로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흡기유로를 포함하는 흡기부(101)와 연결된 매트(M)로 전달하고, 매트(M)의 난방유로에서 유동하는 물은 매트(M)와 보일러(B)를 연결하는 물 빼기용 커넥터(100)의 환수부(102)의 환수유로를 통해 보일러(B)로 전달한다. 공기가 난방유로에서 유동하는 물을 밀어내 환수유로를 통해 보일러(B)로 전달되도록 하고, 보일러(B)를 거친 물은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어 배수가 완료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물 빼기용 커넥터(100)를 통해서는 보일러(B)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외부로 배수될 뿐이고, 매트(M)로 전달되어 난방을 위해 사용될 수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밸브부(30)와 밸브부(30)를 둘러싼 하우징 등을 포함하는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가 연결위치에 놓인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가 배출위치에 놓인 상황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온수통과부(10), 환수통과부(20) 및 밸브부(30)를 포함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상방(Up), 하방(Down), 좌방(Left), 우방(Right), 전방(Front), 후방(Rear)으로 표시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방향으로, 커넥터(1)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물을 가열하는 장치인 보일러와,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난방유로를 내장하여 난방을 제공하는 난방장치에 연결된다. 난방장치는 매트일 수 있다. 난방장치, 보일러 및 커넥터(1)가 연결되어 온수매트를 구성할 수 있다.
환수통과부(20)
환수통과부(20)는 보일러와 난방장치를 연결한다. 환수통과부(20)는 환수유로를 형성한다. 환수유로는 난방장치로부터 배출된 환수를 보일러로 전달한다. 환수는 환수유로를 따라 후방으로 흐를 수 있다.
환수통과부(20)는 환수유로를 둘러싸는 환수하우징(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환수하우징(21, 22)은 보일러와 결합되는 제1 환수하우징(21)과, 난방장치와 결합되는 제2 환수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환수하우징(21)과 제2 환수하우징(22)은 서로 결합된다. 제1 환수하우징(21)은 제2 환수하우징(22)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환수하우징(21)의 후단은 보일러의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환수하우징(21)의 후단은 보일러의 단자가 삽입되도록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환수하우징(22)의 전단은 난방장치의 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환수하우징(22)의 전단은 난방장치의 단자가 형성하는 개구에 삽입되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 환수하우징(21)과 제2 환수하우징(22)의 단부 형상은 보일러와 난방장치의 단자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탈착조작부(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탈착조작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조작부(50)는 조작에 따라 보일러의 단자가 온수통과부(10) 및 환수통과부(20)와 결합되도록 서로 고정하거나, 이러한 결합을 해제하는 구성요소이다. 탈착조작부(50)는 제1 환수하우징(21)과 후술할 제1 온수하우징(11)에 결합될 수 있다.
탈착조작부(50)는 조작부재(51)와 래치(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재(51)는 사용자가 누르는 등의 조작을 실시하기에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부분이다. 조작부재(51)와 결합되는 래치(52)는 보일러의 단자가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의 후단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에 고정되도록 보일러의 단자를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의 내측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조작부재(51)를 사용자가 조작하면, 래치(52)가 이동하여 보일러의 단자로부터 이탈해 보일러의 단자가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탈착조작부(50)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조작부재(51)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될 때에는 압축 또는 신장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되, 사용자의 조작부재(51)에 대한 조작이 종료될 경우 본래의 위치로 래치(52)와 조작부재(51)를 복귀시킬 수 있다. 래치(52)의 본래의 위치는, 보일러의 단자를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의 내측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클립(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클립(6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60)은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를 결합하여,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클립(60)은 온수통과부(10)와 환수통과부(20)를 둘러쌀 수 있다. 클립(60)은 제1 환수하우징(21)과 제1 온수하우징(11)에 결합될 수 있다.
흡기부(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흡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부(40)는 물 빼기 동작이 수행될 때, 커넥터(1) 내부로 공기가 들어와 난방장치로 전달되도록 한다.
흡기부(40)는 보일러로부터 배출된 통과수가 밸브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온수유로(1001, 1002)로 흡기가 일어나도록 밸브부(30)와 난방장치 사이에서 온수유로(1001, 1002)를 외부에 대해 개방한다. 온수유로(1001, 1002)는 통과유로(1001)와 흡기유로(1002)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유로(1001)와 흡기유로(1002)가 후술할 밸브부(30)의 연결유로(3101)를 통해 연결되면 온수인 통과수가 보일러로부터 온수유로(1001, 1002)를 통해 난방장치에 전달되어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과유로(1001)와 흡기유로(1002)가 밸브부(30)에 의해 구분되어 통과유로(1001)는 배출유로(3102)에 연결될 때, 흡기유로(1002)에 연결된 흡기부(40)를 통한 외부로부터의 흡기가 일어나 흡기유로(1002)를 통해 공기가 난방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흡기부(40)는 온수통과부(10)의 흡기하우징(14)에 결합되는 흡기몸체(41)를 포함한다. 흡기몸체(41)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흡기하우징(14)에 결합될 수 있고, 흡기개구(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흡기부(40) 개구를 가질 수 있다.
흡기부(40)는 흡기밸브(42)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밸브(42)는 외부로부터 온수통과부(10)의 흡기하우징(14)에 형성되는 흡기개구(140)를 통해 온수유로(1001, 1002)로 흡기되는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되 온수유로(1001, 1002)로부터 흡기개구(140)를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흡기개구(140)에 배치된다. 흡기밸브(42)는 흡기몸체(41)와 결합될 수 있다. 흡기밸브(42)는 하방을 향해 테이퍼진 부분을 하단에 가지고, 이러한 하단의 중심에 미세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흡기가 일어날 때에는 하단의 중심의 슬릿이 개방되어 개구를 형성하고, 흡기가 일어나지 않을 때에는 슬릿이 닫혀 흡기유로(1002) 중의 물이 흡기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흡기밸브(42)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온수통과부(10)
온수통과부(10)는 보일러와 난방장치를 연결한다. 온수통과부(10)는 온수유로(1001, 1002)를 형성한다. 온수유로(1001, 1002)는 보일러로부터 배출된 물인 통과수가 통과한다. 통과수는 온수유로(1001, 1002)를 따라 전방으로 흐를 수 있다. 온수유로(1001, 1002)가 연결유로(3101)와 연결될 경우 통과수는 온수유로(1001, 1002)를 통해 난방장치로 전달된다. 온수유로(1001, 1002)가 배출유로(3102)와 연결될 경우 통과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통과수는 보일러에서 물에 대한 가열이 일어났을 경우 온수일 수 있다.
온수통과부(10)는 온수유로(1001, 1002)를 둘러싸는 온수하우징(11, 12)을 포함할 수 있다. 온수하우징(11, 12)은 보일러와 결합되는 제1 온수하우징(11)과, 난방장치와 결합되는 제2 온수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수하우징(11)과 제2 온수하우징(12)은 서로 결합된다. 제1 온수하우징(11)의 전단(112)과 제2 온수하우징(12)의 후단(122)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수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온수하우징(11)은 제2 온수하우징(12)의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온수유로(1001, 1002)를 구성하는 통과유로(1001)와 흡기유로(1002)는 각각 제1 온수하우징(11)과 제2 온수하우징(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온수하우징(12)은 상측 제2 온수하우징(1201)과, 상측 제2 온수하우징(1201)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제2 온수하우징(1202)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온수하우징(11, 12)이 전후방향을 따라 가지는 길이는 환수하우징(21, 2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 온수하우징(11)의 후단(111)은 보일러의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온수하우징(11)의 후단(111)은 보일러의 단자가 삽입되도록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온수하우징(12)의 전단(121)은 난방장치의 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온수하우징(12)의 전단(121)은 난방장치의 단자가 형성하는 개구에 삽입되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 온수하우징(11)과 제2 온수하우징(12)의 단부 형상은 보일러와 난방장치의 단자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밸브몸체(31)를 중심으로 제2 온수하우징(12)의 후측에 위치하는 통과유로(1001)의 일부분의 직경(D3)은, 연결유로(3101)의 직경(D1)보다 클 수 있고, 이러한 통과유로(1001)의 일부분으로부터 연결유로(3101)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부분을 통과유로(1001)가 가질 수 있다. 밸브몸체(31)를 중심으로 제2 온수하우징(12)의 전측에 위치하는 흡기유로(1002)의 일부분의 직경(D4)은, 상술한 통과유로(1001)의 일부분의 직경(D3)보다 클 수 있고, 이러한 흡기유로(1002)의 일부분으로부터 연결유로(3101)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부분을 흡기유로(1002)가 가질 수 있다.
온수통과부(10)는 후술할 밸브부(30)의 배출몸체(32)를 둘러싸는 배출하우징(1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하우징(13)은 배출몸체(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개구된 배출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하우징(13)은 상측 제2 온수하우징(1201)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하우징(13)은 제2 온수하우징(1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하우징(13)은 후술할 밸브부(30)의 손잡이(33)와 결합될 수 있다. 배출하우징(13)의 상단부(131)는 그 하측의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하측의 부분과 배출하우징(13)의 상단부(131)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온수통과부(10)는 밸브 스토퍼(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스토퍼(132)는 배출하우징(13)의 상단부(131)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할 손잡이 홈(3311)에 삽입될 수 있다.
온수통과부(10)는 상술한 흡기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흡기하우징(14)은 상측 제2 온수하우징(1201)과 연결될 수 있다. 흡기하우징(14)은 제2 온수하우징(1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기하우징(14)은 배출하우징(13)의 전측에 위치할 수 있다. 흡기하우징(14)이 관통되어 흡기유로(1002)와 연통되는 흡기개구(140)를 형성한다.
밸브부(30)
밸브부(30)는 온수유로(1001, 1002)를 통과하는 통과수를 난방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로를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밸브부(30)는 온수통과부(10)에 배치되어 온수유로(1001, 1002)를 통과유로(1001)와 흡기유로(1002)의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밸브부(30)는 온수통과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밸브부(30)가 온수통과부(10)에 대해 회전하는 축방향은, 온수유로(1001, 1002)가 연장된 전후방향을 가로지르는 기준방향이다. 기준방향은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상하방향일 수 있다. 밸브부(30)는 상하방향을 따라 온수통과부(10)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움직임을 가져, 통과수를 선택적으로 난방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온수하우징(12)에 밸브부(30)의 밸브몸체(31)가 결합되고, 배출몸체(32)는 배출하우징(13)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부(30)는 조작함에 따라 온수통과부(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밸브부(30)와 온수통과부(10)는, 밸브부(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간의 상대적인 위치인 배출위치와 연결위치를 가질 수 있다. 배출위치는 통과수가 밸브부(3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위치이고, 연결위치는 통과수가 온수유로(1001, 1002)를 통해 난방장치로 전달될 수 있는 위치이다.
밸브부(30)는 밸브몸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몸체(31)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밸브몸체(31)의 전측에 흡기유로(1002)가 배치되고, 밸브몸체(31)의 후측에 통과유로(1001)가 배치될 수 있다. 밸브몸체(31)가 관통되어, 밸브몸체(31)에 배출유로(3102)와 연결유로(310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3102)는 통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고, 연결유로(3101)는 밸브부(30)에 의해 구분된 온수유로(1001, 1002)의 2개의 부분인 통과유로(1001)와 흡기유로(1002)를 연결하여 통과수를 보일러로부터 난방장치로 전달하는 유로이다. 상측에서 하방으로 밸브몸체(31)를 바라봤을 때, 밸브몸체(31)에 형성되는 배출유로(3102)의 입구와 연결유로(3101)의 입구를 각각 밸브몸체(31)의 중심과 이은 직선은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밸브몸체(31)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제2 온수하우징(12)의 일부분은 구형의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온수하우징(12)의 일부분의 내측면은 밸브몸체(31)의 외측면에 접촉하거나, 미세하게 이격될 수 있다.
배출유로(3102)와 연결유로(3101)는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로(3102)의 직경(D2)은, 연결유로(3101)의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유로(310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밸브몸체(31)를 봤을 때, 배출유로(3102)는 배출몸체(32)로부터 연장된 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기준방향을 따라 밸브몸체(31)를 봤을 때, 연결유로(3101)는 해당 평면에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밸브몸체(31)의 중심을 지나가는 밸브몸체(31)의 일 직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배출유로(3102)는 연결유로(3101)와 나란하지 않은 밸브몸체(31)의 일 반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유로(3101)는 밸브몸체(31)의 전후측에 배치되는 온수유로(1001, 1002)를 연결하도록, 연결위치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밸브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배출유로(3102)는 후술할 밸브몸체(31) 상측에 연결되는 배출몸체(32)에 형성되는 배수유로(320)와 통과유로(1001)를 연결하도록, 배출위치에서 전방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형성되어 밸브몸체(31)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부(30)는 배출몸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몸체(3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몸체(32)는 밸브몸체(31)로부터 기준방향 일방인 상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배출몸체(32)는 온수통과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 통과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출구를 가진다. 배출몸체(32)는 밸브몸체(31)의 배출유로(3102)와 연통되는 배수유로(320)를 형성한다. 배수유로(320) 역시 배출몸체(32)와 같이 기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술한 출구로 이어짐에 따라, 통과수를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배수유로(320)의 직경은 배출유로(3102)의 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출구와 인접한 배출몸체(32)의 상단부(321)는 상방으로 가면서 테이퍼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몸체(32)의 상단부(321)의 형상에 따라, 호스 등에 배출몸체(32)의 상단부(321)가 결합될 때, 용이한 삽입 및 결합이 일어날 수 있다.
밸브부(30)는 배출몸체(32)로부터 돌출되는 리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35)는 연결위치에서 배출몸체(32)로부터 전후방향으로 2개가 돌출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와 형상 및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밸브부(30)는 밸브몸체(31)와 온수통과부(10)의 경계의 수밀유지를 위해, 배출몸체(32)에 결합되는 오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오링(34)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배출몸체(32)를 둘러쌀 수 있다. 배출몸체(32)에는 내측으로 파여 형성된 오링 홈(32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오링 홈(322)에 오링(34)이 배치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오링(34)이 배출몸체(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오링 홈(322)은 밸브몸체(3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손잡이(33)의 하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밸브부(30)는 손잡이(3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33)는 배출몸체(32)의 상단부(321)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고, 온수통과부(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33)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손잡이(33) 구멍을 가져, 이러한 손잡이(33) 구멍을 통해 배출몸체(32)가 손잡이(33)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33)를 조작함에 따라, 배출몸체(32)와 밸브몸체(31)가 온수통과부(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33)는 배출몸체(32)와 결합되는 손잡이 몸체(331)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몸체(331)는 배출몸체(32)를 둘러쌀 수 있다. 손잡이 몸체(331)로부터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손잡이 조작부(332)가 돌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연결위치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길이가 다른 손잡이 조작부(332)가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부분의 개수, 길이 및 돌출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 몸체(331)의 하면에는, 배출몸체(32)를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호를 따라 손잡이 몸체(331)가 함몰되어 손잡이 홈(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중심각은 18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밸브 스토퍼(132)가 손잡이 홈(33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 홈(3311)과 밸브 스토퍼(132)가 밸브부(30)가 온수통과부(10)에 대해 가질 수 있는 회전움직임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밸브 스토퍼(132)가 손잡이 홈(3311)의 일단에 닿을 때, 배출유로(3102)가 온수유로(1001, 1002)에 연결되는 배출위치에 밸브부(30)와 온수통과부(10)가 놓일 수 있다. 밸브 스토퍼(132)가 손잡이 홈(3311)의 타단에 닿을 때, 연결유로(3101)가 온수유로(1001, 1002)에 연결되는 연결위치에 밸브부(30)와 온수통과부(10)가 놓일 수 있다.
손잡이(33)는 리브삽입홈(3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홈(3311)이 형성된 면과 동일한 손잡이 몸체(331)의 하면에서 손잡이 몸체(331)가 함몰되어 리브삽입홈(3312)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삽입홈(3312)이 손잡이 몸체(331)에서 배치되는 위치는 리브(35)가 배출몸체(32)에서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배출몸체(3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리브(35)가 리브삽입홈(3312)에 삽입되어, 손잡이(33)와 배출몸체(32)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33)는 손잡이 몸체(331)의 하면에 배출몸체(32)를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손잡이 몸체(331)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3312, 3313)을 복수 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홈(3312, 3313) 중 일부는 리브삽입홈(3312)일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역삽방지홈(3313)일 수 있다. 이러한 역삽방지홈(3313)은, 밸브 스토퍼(132)가 역삽방지홈(3313)에 잘못 삽입되었을 때 밸브부(30)의 회전움직임이 불가하도록 해서, 조립자가 올바른 위치인 손잡이 홈(3311)에 밸브 스토퍼(132)를 삽입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가 난방 상황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는 손잡이(33)를 조작하여 연결위치에 밸브부(30)와 온수통과부(10)를 위치시킨다. 보일러는 가열된 통과수인 온수를 커넥터(1)로 전달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온수유로(1001, 1002)가 연결유로(310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5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온수가 온수유로(1001, 1002)를 따라 유동해 난방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환수유로를 통해서는 난방장치에서 열을 빼앗긴 환수가 보일러로 전달될 수 있다.
커넥터(1)가 물 빼기 상황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는 손잡이(33)를 조작하여 배출위치에 밸브부(30)와 온수통과부(10)를 위치시킨다. 보일러는 통과수를 커넥터(1)로 전달하고, 도 6에서와 같이 통과유로(1001)가 배출유로(3102) 및 배수유로(3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6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통과수가 통과유로(1001)-배출유로(3102)-배수유로(320)를 순서대로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흡기유로(1002)를 통해서는 흡기부(4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난방장치로 전달되고, 환수유로를 통해서는 난방장치의 난방유로에 남아있는 물과 공기가 보일러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커넥터
10 : 온수통과부
11 : 제1 온수하우징
12 : 제2 온수하우징
13 : 배출하우징
14 : 흡기하우징
20 : 환수통과부
21 : 제1 환수하우징
22 : 제2 환수하우징
30 : 밸브부
31 : 밸브몸체
32 : 배출몸체
33 : 손잡이
34 : 오링
35 : 리브
40 : 흡기부
41 : 흡기몸체
42 : 흡기밸브
50 : 탈착조작부
51 : 조작부재
52 : 래치
60 : 클립
100 : 예시적인 물 빼기용 커넥터
101 : 예시적인 흡기부
102 : 예시적인 환수부
103 : 예시적인 배출부
111 : 제1 온수하우징의 후단
112 : 제1 온수하우징의 전단
121 : 제2 온수하우징의 전단
122 : 제2 온수하우징의 후단
130 : 배출개구
131 : 배출하우징의 상단부
132 : 밸브 스토퍼
140 : 흡기개구
320 : 배수유로
321 : 배출몸체의 상단부
322 : 오링 홈
331 : 손잡이 몸체
332 : 손잡이 조작부
1001 : 통과유로
1002 : 흡기유로
1201 : 상측 제2 온수하우징
1202 : 하측 제2 온수하우징
3101 : 연결유로
3102 : 배출유로
3311 : 손잡이 홈
3312 : 리브삽입홈
3313 : 역삽방지홈
B : 보일러
M : 매트

Claims (15)

  1. 보일러와 난방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된 통과수가 통과하기 위한 온수유로를 형성하는 온수통과부;
    상기 보일러와 상기 난방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난방장치로부터 배출된 환수를 상기 보일러로 전달하기 위한 환수유로를 형성하는 환수통과부; 및
    상기 온수통과부에 배치되어 상기 온수유로를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하며, 상기 온수통과부에 대해 상기 온수유로가 연장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기준방향을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움직임을 가져 통과수를 선택적으로 상기 난방장치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온수통과부에 결합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온수통과부는, 통과수가 상기 밸브부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대적인 위치인 배출위치와, 통과수가 상기 온수유로를 통해 상기 난방장치로 전달될 수 있는 상대적인 위치인 연결위치를 가지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통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 및 통과수를 상기 난방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온수유로의 구분된 2개의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밸브몸체를 가지고,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연결유로는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몸체로부터 기준방향 일방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온수통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 통과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출구를 가지는 배출몸체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온수통과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손잡이 몸체와,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상기 배출몸체를 중심으로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호를 따라 상기 손잡이 몸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홈을 포함하고,
    상기 온수통과부는, 상기 배출몸체를 둘러싸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는 배출하우징과, 상기 배출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 홈에 삽입되는 밸브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스토퍼가 상기 손잡이 홈의 일단에 닿을 때, 상기 배출유로가 상기 온수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스토퍼가 상기 손잡이 홈의 타단에 닿을 때, 상기 연결유로가 상기 온수유로에 연결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몸체로부터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홈이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홈이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측면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역삽방지홈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몸체를 봤을 때,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배출몸체로부터 연장된 현을 따라 형성되는, 커넥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밸브몸체와 상기 온수통과부의 경계의 수밀유지를 위해, 상기 배출몸체에 결합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3항에 있어서,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몸체를 봤을 때, 상기 연결유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밸브몸체의 중심을 지나가는 상기 밸브몸체의 일 직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연결유로와 나란하지 않은 상기 밸브몸체의 일 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커넥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직경은, 상기 연결유로의 직경보다 작은,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통과수가 상기 밸브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온수유로로 흡기가 일어나도록 상기 밸브부와 상기 난방장치 사이에서 상기 온수유로를 외부에 대해 개방하는 흡기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온수통과부에 형성되는 흡기개구를 통해 상기 온수유로로 흡기되는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되 상기 온수유로로부터 상기 흡기개구를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상기 흡기개구에 배치되는 흡기밸브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10140428A 2021-10-20 2021-10-20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KR20230056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28A KR20230056423A (ko) 2021-10-20 2021-10-20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428A KR20230056423A (ko) 2021-10-20 2021-10-20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23A true KR20230056423A (ko) 2023-04-27

Family

ID=8610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428A KR20230056423A (ko) 2021-10-20 2021-10-20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4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5387A (ja) 患者体温制御システム
JPH10148291A (ja) 二つの円管部材を接続する継手装置
ES2947860T3 (es) Conjunto de colector y válvula integrado
US8505580B2 (en) Reversing valve
KR20230056423A (ko)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KR20230056424A (ko) 물 빼기 구조를 포함한 커넥터
CN214999568U (zh) 恒温阀、热水器及用水设备
KR20100097945A (ko) 난방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CN112815114A (zh) 恒温阀、热水器及用水设备
CN209990950U (zh) 混水阀、热水器、热水系统
KR100828160B1 (ko) 수도꼭지
JPH0751386A (ja) 導管の選択的な接続に用いられるカップリングおよび導管用の制限装置
JP3342684B2 (ja) ガス栓
RU97106834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 с шаровым клапаном
JP6428530B2 (ja) 切替弁及び給湯機
KR970070823A (ko) 가스보일러의 배관구조
CN215334638U (zh) 阀门、热水器及用水设备
DK162618B (da) Tilslutningsarmatur for radiatorer
CN211315224U (zh) 接头和热水器
US20220325827A1 (en) Water circulation pipeline, control box and massage water pool
JP2005069368A (ja) 温水配管構造
TWI703289B (zh) 龍頭閥座之出水結構
CN113375345B (zh) 回水阀和供水系统
ITMI20012087A1 (it) Raccordo di connessione ad innesto con valvola di intercettazione incorporata particolarmente per il collegamento di tubi flessibili a linee
US20200393858A1 (en) Bar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