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760A -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760A
KR20230053760A KR1020210136504A KR20210136504A KR20230053760A KR 20230053760 A KR20230053760 A KR 20230053760A KR 1020210136504 A KR1020210136504 A KR 1020210136504A KR 20210136504 A KR20210136504 A KR 20210136504A KR 20230053760 A KR20230053760 A KR 20230053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ank
oil
water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884B1 (ko
Inventor
김남용
안상미
남기동
Original Assignee
김남용
안상미
남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용, 안상미, 남기동 filed Critical 김남용
Priority to KR1020210136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8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3/00Dewatering or demulsification of hydrocarbon oils
    • C10G33/06Dewatering or demulsification of hydrocarbon oils with mechanical means, e.g.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84Enhancing liquid-particle separation using the flotation principle
    • B01D23/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heating, cooling, or pressur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9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10G2300/1007Used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37Hydrocarbon fractions
    • C10G2300/1062Lubricating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폐절삭유를 포함한 액상 폐기물(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일류 등)과 일회용으로 무분별하게 급증하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일회용 컵, 용기, 비닐 쓰레기 등)에 대하여 신재생 에너지로의 활용을 적극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각 처리조(저장탱크나 유화장치 등)를 기준으로 복수의 유로관과 수로관에 의해 일련의 공급,이송,회수 라인으로 회로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히팅, 유화, 증발 농축 및 응축. 여과 과정 후 재생유를 생산(분리된 여과 처리수 물은 방류 또는 공업용수나 설비 자체에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소형화된 설비 대비 처리 효율이 높아 향상된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로부터 발생된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함은 물론 신재생에너지로의 활용이 크게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폐절삭유를 포함한 산업용 액상폐기유에 대하여 가열을 통해 얻어진 열원을 가지고 폐합성수지로부터 유화하는 유화장치에 적용하면서 유화성능을 월등하게 향상시킴은 물론 추가 에너지 소요 비용 없이 자체적으로 열원을 발생시키면서 환경문제를 개선(폐절삭유 등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Eco-friendly hybrid waste resource treatment system with Emulsification line and heat source sharing and filtration recovery circulation line}
본 발명은 폐절삭유를 포함한 액상 폐기물(각종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액상 오일류 등)과 일회용으로 무분별하게 급증하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일회용 컵, 용기, 비닐 쓰레기 등)에 대하여 신재생 에너지로의 활용을 적극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각 처리조(저장탱크나 유화장치 등)를 기준으로 복수의 유로관과 수로관에 의해 일련의 공급,이송,회수 라인을 거쳐 회로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히팅, 유화, 증발 농축 및 응축. 여과 사이클에 따라 고품질의 재생유를 생산(분리된 여과 처리수 물은 방류 또는 공업용수나 처리시스템 설비 자체에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의 대형화되어 있거나 이원화되어 있는 처리설비 대비 설비의 소형화를 가능케하고, 높은 처리 효율로 인해 향상된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로부터 발생된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함은 물론 재생 또는 재활용 에너지로의 활용이 크게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스티렌(PS)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자연 상태에 방치하는 경우 분해가 매우 어려우므로, 통상 토양에 매립하거나 소각장에서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유화장치 및 유화방법은 상술한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의 처리문제(매립이나 소각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양오염이나 대기오염 발생)를 해소하고 자원을 재생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분자량이 매우 큰 고체 석유자원으로서, 이를 액상화한 후 열분해하여 액체와 기체로 조성된 산업연료로 전환함으로써, 디젤유나 가스 등을 생산하는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한편, 유화장치를 이용한 유화방법은 몇가지 방법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 크래킹 방법은 열원을 이용하는 열 분해방식과 촉매를 이용하는 촉매 분해방식으로 다시 구분된다.
이때, 열 분해방식은 촉매 분해방식에 비해 액체 연료유나 기체 연료유나 합성 가스 등의 분해 생성물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중 탄화수소의 분자량 분포가 넓고 품질이 좋지 않으며 탄소의 침적에 따른 공정 중단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반면, 촉매 분해방식은 열 분해 방식에 비해 반응 온도가 100 내지 200℃로 낮고 분해생성물의 선택도가 높고 분자량 분포의 범위가 좁아서 재활용이 용이하지만, 촉매의 적용에 따른 제조비용의 증대는 물론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상기 열 분해 방식에 비해 처리비용이 증대된다.
즉, 촉매 분해방식은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의 종류에 따른 분자량의 범위가 넓어 상기 촉매와의 반응조건이 달라지고,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에 포함된 수증기나 불활성 가스의 존재 유무나 촉매의 종류 및 함량애 따라 생성물이 달라지므로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의 재활용에 따른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 종전의 유화장치를 이용한 유화방법은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를 이용한 재생유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단편적인 시스템으로서, 폐 절삭유를 포함한 액상폐기물과 연동하는 시스템으로의 자원 재생 시스템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즉, 종전의 액상폐기물 등은 많은 비용을 들여 처리하고 있으며 엄청난 에너지와 대형의 규모가 필요하게 되어 이를 처리함에 있어서 생산성과 경제성 등이 낮고 대면적 부지 설정과 높은 인건비 등 시설 설립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일회용 비닐이나 용기 등의 급증으로 인해 2025년에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를 처리할 곳이 없는 실정이 되고, 이렇게 막대한 양의 쓰레기는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서 이는 환경문제와 함께 사회문제로도 이어지게 되는 바, 전문가들 역시도 이점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1000001호(1999.01.0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에 열을 가해 유화시키도록 하되, 이러한 유화장치는 폐절삭유(액상 폐기물)의 가열로부터 유분리된 유수분의 열원 그리고 증발 농축기와 정제탑과의 열원 공유 및 순환 회수 사이클 그리고 방류를 위한 단계식 여과필터가 일련의 플랜트 설비로 시스템 구성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된 처리 설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폐절삭유를 포함한 액상 폐기물(각종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일류 등)과 일회용으로 무분별하게 급증하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일회용 컵, 용기, 비닐 쓰레기 등)에 대하여 신재생 에너지로의 활용을 적극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각 처리조(저장탱크나 유화장치 등)를 기준으로 복수의 유로관과 수로관에 의해 일련의 공급,이송,회수 라인을 거쳐 회로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히팅, 유화, 증발 농축 및 응축. 여과 사이클에 따라 고품질의 재생유를 생산(분리된 여과 처리수 물은 방류 또는 공업용수나 처리시스템 설비 자체에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전의 대형화되어 있거나 이원화되어 있는 처리설비 대비 설비의 소형화를 가능케하고, 높은 처리 효율로 인해 향상된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로부터 발생되는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함은 물론 재생 또는 재활용 에너지로의 활용이 크게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상폐기물(폐절삭유 포함)의 유분과 물이 분리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저류시키도록 하되, 일측에는 유화장치와 연계된 히팅배관이 구비되어 기름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저장분리조(10)와; 저장분리조로부터 분리된 중등수가 이송되어 유분과 잔여 부유물(이물질)이 1차 및 2차에 거쳐 분리(부상 또는 침전)되도록 하되, 일측에는 유화장치와 연계된 히팅배관이 구비되어 기름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부상침전조(20)와; 부상침전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가열된 중등수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켜 후단으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냉각기(30)와; 냉각기로부터 유입된 물에 대하여 중금속 또는 부수 이물이나 잔여 오물을 제거하도록 하되, 1차와 2차로 나뉘어져 가동되도록 하는 여과필터(40)와; 여과필터 후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물을 추가로 유분리하도록 하되, 열매보일러로 하여금 열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1 리보일러(50)와; 제1 리보일러의 후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정제수에 대하여 높은 고온으로 열을 가열하여 증발시킨 후 수증기를 생성한 뒤 농축시키도록 하는 증발농축기(60)와; 증발농축기의 후단에 형성되어 농축된 수증기를 액화시켜 응축시키도록 함은 물론 저장분리조 및 부상침전조와도 라인이 연결되어 분리된 기화 증기를 응축시키도록 하는 냉각응축기(70)와; 냉각응축기의 후단에 형성되어 방류수에 대하여 정제를 도모하도록 하는 모레, 활성탄 여과기(80)와; 모레, 활성탄 여과기 후단에 구비되어 방류 또는 재이용 전의 여과수에 대하여 미세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하는 RO필터(90)와; RO필터 후단에 형성되어 여과수에 대하여 살균처리하도록 하는 살균기(100)와; 살균기 후단에 형성되어 살균이 완료된 방류수를 설정에 따라 방류하거나 유화장치의 열원으로 재이용되도록 라인이 연결되는 최종 방류조(110)와; 히팅배관이 구비된 탱크에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를 투입한 후 연소시켜(초기 열원은 버너에 의해 제공받고 이후 정제된 기름으로부터 순환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음) 유증기가 생성(슬러지는 별도로 폐기함)되도록 하되, 상기 히팅배관의 고온수 열원(가열온도 제어)은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의 히팅배관 열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유화장치(120)와; 유화장치 일측에 형성되어 유화장치 가동시 발생한 가스를 연료로 공급받도록 하되, 폐유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폐유를 정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매보일러와 회로로 연결되어 가열 열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2 리보일러(130)와; 유화장치에서 이송된 유증기에 대하여 물 외의 용제나 중금속이 제거되도록 정제한 뒤 그 정제수가 증발 농축기로 투입되도록 하되, 탱크의 외측에는 히팅배관이 부설되어 제2 리보일러의 히팅배관으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제탑(140)과; 유화장치에서 발생하는 기름과 저장분리조 및 부상침전조로부터 발생된 기름을 정제탑을 통해 정제한 뒤 생산된 정제유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열매보일러(15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저장분리조(10)와 부상침전조(20)의 주변에 별도의 농축조(160)와 필터프레스(17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농축조(160)와 필터프레스(170)는 저장분리조(10) 및 부상침전조(20)와 일련의 배출라인 또는 회수라인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로부터 배수된 물에 대하여 이물을 여과처리하거나 폐슬러지를 농축시킴은 물론 후처리(위탁 폐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필터 작업 후의 일부 여과수는 저장분리조로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농축기(60)는 일측에 집진기(61)와 제2냉각응축기(62) 및 오염수 저장탱크(63)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집진기(61)는 증발농축시 발생되는 냄세를 제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냉각응축기(62)는 증발농축 작업시 발생되는 폐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63)는 증발농축시 증발되는 오염물질을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제탑(140)은 일측에 제2집진기(141)와 바텀 저장조(142)가 구비되도록 하되, 제2집진기(141)는 정제유 정제시 발생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텀 저장조(142)는 정제시 발생하는 가스와 수분을 회수해 제2 리보일러로 투입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정제탑(140)은 주변에 제2냉각기(143)와 정제유 저장탱크(144)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제2냉각기(143)는 고온의 정제유를 냉각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제유 저장탱크는 정제유(유화장치, 부상침전조에서 발생된 기름을 정제탑으로 하여금 정제한 기름)를 보관하면서 열매보일러의 연료로 순환 공급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폐절삭유를 포함한 액상 폐기물(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일류 등)과 일회용으로 무분별하게 급증하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일회용 컵, 용기, 비닐 쓰레기 등)에 대하여 신재생 에너지로의 활용을 적극 도모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는 각 처리조(저장탱크나 유화장치 등)를 기준으로 복수의 유로관과 수로관에 의해 일련의 공급,이송,회수 라인을 거쳐 회로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히팅, 유화, 증발 농축 및 응축, 여과, 살균 사이클에 따라 고품질의 재생유를 생산(분리된 여과 처리수 물은 방류 또는 공업용수나 처리시스템 설비 자체에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전의 대형화되어 있거나 이원화되어 있는 처리설비 대비 설비의 연속화를 가능케하고, 높은 처리 효율로 인해 향상된 생산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로부터 발생된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현저하게 개선함은 물론 재생 또는 재활용 에너지로의 활용이 크게 보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에 열을 가해 유화시키도록 하되, 이러한 유화장치는 폐절삭유(액상 폐기물)의 가열로부터 유분리된 유수분의 열원 그리고 증발 농축기와 정제탑과의 열원 공유 및 순환 회수 사이클 그리고 방류를 위한 단계식 여과필터가 일련의 플랜트 설비로 시스템 구성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된 처리 설비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장분리조, 부상침전조, 냉각기, 여과필터, 제1 리보일러, 증발농축기, 냉각응축기, 모레, 활성탄 여과기, RO필터, 살균기, 최종 방류조, 유화장치, 제2 리보일러, 정제탑, 열매보일러, 농축조, 필터프레스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저장분리조(10)는 액상폐기물(폐절삭유 포함)의 유분과 물이 분리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저류시키도록 하되, 일측에는 유화장치와 연계된 히팅배관이 구비되어 기름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상침전조(20)는 저장분리조로부터 분리된 중등수가 이송되어 유분과 잔여 부유물(이물질)이 1차 및 2차에 거쳐 분리(부상 또는 침전)되도록 하되, 일측에는 유화장치와 연계된 히팅배관이 구비되어 기름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저장분리조(10)와 부상침전조(20)의 주변에 별도의 농축조(160)와 필터프레스(170)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농축조(160)와 필터프레스(170)는 저장분리조(10) 및 부상침전조(20)와 일련의 배출라인 또는 회수라인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로부터 배수된 물에 대하여 이물을 여과처리하거나 폐슬러지를 농축시킴은 물론 후처리(위탁 폐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필터 작업 후의 일부 여과수는 저장분리조로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각기(30)는 부상침전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가열된 중등수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켜 후단으로 배수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40)는 냉각기로부터 유입된 물에 대하여 중금속 또는 부수 이물이나 잔여 오물을 제거하도록 하되, 1차와 2차로 나뉘어져 가동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리보일러(50)는 여과필터 후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물을 추가로 유분리하도록 하되, 열매보일러로 하여금 열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증발농축기(60)는 제1 리보일러의 후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정제수에 대하여 높은 고온으로 열을 가열하여 증발시킨 후 수증기를 생성한 뒤 농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농축기(60)는 일측에 집진기(61)와 제2냉각응축기(62) 및 오염수 저장탱크(63)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집진기(61)는 증발농축시 발생되는 냄세를 제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냉각응축기(62)는 증발농축 작업시 발생되는 폐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63)는 증발농축시 증발되는 오염물질을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응축기(70)는 증발농축기의 후단에 형성되어 농축된 수증기를 액화시켜 응축시키도록 함은 물론 저장분리조 및 부상침전조와도 라인이 연결되어 분리된 기화 증기를 응축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레, 활성탄 여과기(80)는 냉각응축기의 후단에 형성되어 방류수에 대하여 정제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RO필터(90)는 모레, 활성탄 여과기 후단에 구비되어 방류 또는 재이용 전의 여과수에 대하여 미세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살균기(100)는 RO필터 후단에 형성되어 여과수에 대하여 살균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최종 방류조(110)는 살균기 후단에 형성되어 살균이 완료된 방류수를 설정에 따라 방류하거나 유화장치의 열원으로 재이용되도록 라인이 연결된다.
이에, 상기 유화장치(120)는 히팅배관이 구비된 탱크에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를 투입한 후 연소시켜(초기 열원은 버너에 의해 제공받고 이후 정제된 기름으로부터 순환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음) 유증기가 생성(슬러지는 별도로 폐기함)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히팅배관의 고온수 열원(가열온도 제어)은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의 히팅배관 열원으로 사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화장치는 주변에 별도의 제3집진기(121)가 부수적으로 구비되어 유화 과정 중 발생된 유해물질을 집진하여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리보일러(130)는 유화장치 일측에 형성되어 유화장치 가동시 발생한 가스를 연료로 공급받도록 하되, 폐유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폐유를 정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매보일러와 회로로 연결되어 가열 열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정제탑(140)은 유화장치에서 이송된 유증기에 대하여 물 외의 용제나 중금속이 제거되도록 정제한 뒤 그 정제수가 증발 농축기로 투입되도록 하되, 탱크의 외측에는 히팅배관이 부설되어 제2 리보일러의 히팅배관으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제탑(140)은 일측에 제2집진기(141)와 바텀 저장조(142)가 구비되도록 하되, 제2집진기(141)는 정제유 정제시 발생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텀 저장조(142)는 정제시 발생하는 가스와 수분을 회수해 제2 리보일러로 투입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정제탑(140)은 주변에 제2냉각기(143)와 정제유 저장탱크(144)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제2냉각기(143)는 고온의 정제유를 냉각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정제유 저장탱크는 정제유(유화장치, 부상침전조에서 발생된 기름을 정제탑으로 하여금 정제한 기름)를 보관하면서 열매보일러의 연료로 순환 공급시키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열매보일러(150)는 유화장치에서 발생하는 기름과 저장분리조 및 부상침전조로부터 발생된 기름을 정제탑을 통해 정제한 뒤 생산된 정제유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폐절삭유 및 액상폐기물(유분이 혼합된 물)을 폐유저장탱크에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즉, 액상 폐기물은 폐유저장탱크에 보관되는 것으로, 폐절삭유나 유분을 함유한 기름 등은 기름과 물의 비중차이로 분리되며 기름은 탱크 상부로 물은 탱크 하부로 분리된다.(필요에 따라 히팅배관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폐유저장탱크는 제2 리보일러와 관로로 연결되어 폐유를 정제하기 위해 제2 리보일러로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1차, 2차)는 내부에 히팅배관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히팅배관의 열원은 유화장치에서 발생된 열원(고온수)을 통해 제공된다.
이때,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의 주변에는 농축조와 필터프레스가 형성되는데, 상기 농축조는 농축슬러지를 회수 처리하도록 형성되고, 필터프레스는 농축슬러지를 압축 필터하면서 여과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필터프레스에서 발생된 여과수는 저장분리조로 다시 이송되어 농축처리시 활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1차, 2차 부상침전조에서 이송되는 중등수는 별도의 제어장치(컨트롤러)로 하여금 온도가 조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단 냉각기를 통해 온도가 다운된 뒤 여과필터로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이후, 정제된 여과수는 모레 활성탄 여과기->RO필터->살균기 파트를 통해 단계별로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최종 방류조로 하여금 방류되도록 형성된다.(일부는 유화장치의 히터배관으로 공급)
한편, 상기 유화장치는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를 태워 유증기를 생성하면서 기름을 추출하도록 형성되며, 유화시 발생되는 열은 히팅배관(히팅배관은 수관으로서 해당 물은 최종 방류조를 통해 순환 공급받음)으로 하여금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의 열원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정제탑은 유화장치를 통해 제2 리보일러를 거친 정제유를 정제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정제탑에서 정제된 기름 또한 정제유는 열매보일러를 가동하는 연료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증발농축기에서 증발된 물은 냉각응축기의 콘덴서로 하여금 응축시켜 필터한 후 저장한 뒤 자체 공업용수로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저장분리조 20 ... 부상침전조
30 ... 냉각기 40 ... 여과필터
50 ... 제1 리보일러 60 ... 증발농축기
61 ... 집진기 62 ... 제2냉각응축기
63 ... 오염수 저장탱크
70 ... 냉각응축기 80 ... 모레, 활성탄 여과기
90 ... RO필터 100 ... 살균기
110 ... 최종 방류조 120 ... 유화장치
121 ... 제3집진기
130 ... 제2 리보일러 140 ... 정제탑
141 ... 제2집진기 142 ... 바텀 저장조
143 ... 제2냉각기 144 ... 정제유 저장탱크
150 ... 열매보일러 160 ... 농축조
170 ... 필터프레스

Claims (3)

  1. 액상폐기물(폐절삭유 포함)의 유분과 물이 분리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저류시키도록 하되, 일측에는 유화장치와 연계된 히팅배관이 구비되어 기름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저장분리조(10)와;
    저장분리조로부터 분리된 중등수가 이송되어 유분과 잔여 부유물(이물질)이 1차 및 2차에 거쳐 분리(부상 또는 침전)되도록 하되, 일측에는 유화장치와 연계된 히팅배관이 구비되어 기름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부상침전조(20)와;
    부상침전조의 후단에 형성되어 가열된 중등수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켜 후단으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냉각기(30)와;
    냉각기로부터 유입된 물에 대하여 중금속 또는 부수 이물이나 잔여 오물을 제거하도록 하되, 1차와 2차로 나뉘어져 가동되도록 하는 여과필터(40)와;
    여과필터 후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물을 추가로 유분리하도록 하되, 열매보일러로 하여금 열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1 리보일러(50)와;
    제1 리보일러의 후단에 형성되어 유입된 정제수에 대하여 높은 고온으로 열을 가열하여 증발시킨 후 수증기를 생성한 뒤 농축시키도록 하는 증발농축기(60)와;
    증발농축기의 후단에 형성되어 농축된 수증기를 액화시켜 응축시키도록 함은 물론 저장분리조 및 부상침전조와도 라인이 연결되어 분리된 기화 증기를 응축시키도록 하는 냉각응축기(70)와;
    냉각응축기의 후단에 형성되어 방류수에 대하여 정제를 도모하도록 하는 모레, 활성탄 여과기(80)와;
    모레, 활성탄 여과기 후단에 구비되어 방류 또는 재이용 전의 여과수에 대하여 미세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하는 RO필터(90)와;
    RO필터 후단에 형성되어 여과수에 대하여 살균처리하도록 하는 살균기(100)와;
    살균기 후단에 형성되어 살균이 완료된 방류수를 설정에 따라 방류하거나 유화장치의 열원으로 재이용되도록 라인이 연결되는 최종 방류조(110)와;
    히팅배관이 구비된 탱크에 폐합성수지를 투입한 후 연소시켜 유증기가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히팅배관의 고온수 열원은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의 히팅배관 열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유화장치(120)와;
    유화장치 일측에 형성되어 유화장치 가동시 발생한 가스를 연료로 공급받도록 하되, 폐유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폐유를 정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열매보일러와 회로로 연결되어 가열 열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2 리보일러(130)와;
    유화장치에서 이송된 유증기에 대하여 물 외의 용제나 중금속이 제거되도록 정제한 뒤 그 정제수가 증발 농축기로 투입되도록 하되, 탱크의 외측에는 히팅배관이 부설되어 제2 리보일러의 히팅배관으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제탑(140)과;
    유화장치에서 발생하는 기름과 저장분리조 및 부상침전조로부터 발생된 기름을 정제탑을 통해 정제한 뒤 생산된 정제유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열매보일러(15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분리조(10)와 부상침전조(20)의 주변에 별도의 농축조(160)와 필터프레스(17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농축조(160)와 필터프레스(170)는 저장분리조(10) 및 부상침전조(20)와 일련의 배출라인 또는 회수라인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저장분리조와 부상침전조로부터 배수된 물에 대하여 이물을 여과처리하거나 폐슬러지를 농축시킴은 물론 후처리(위탁 폐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필터 작업 후의 일부 여과수는 저장분리조로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농축기(60)는 일측에 집진기(61)와 제2냉각응축기(62) 및 오염수 저장탱크(63)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집진기(61)는 증발농축시 발생되는 냄세를 제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냉각응축기(62)는 증발농축 작업시 발생되는 폐증기를 냉각 응축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염수 저장탱크(63)는 증발농축시 증발되는 오염물질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KR1020210136504A 2021-10-14 2021-10-14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KR10255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04A KR102558884B1 (ko) 2021-10-14 2021-10-14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04A KR102558884B1 (ko) 2021-10-14 2021-10-14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760A true KR20230053760A (ko) 2023-04-24
KR102558884B1 KR102558884B1 (ko) 2023-07-24

Family

ID=8614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04A KR102558884B1 (ko) 2021-10-14 2021-10-14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884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205B1 (ko) * 1995-06-05 1998-08-01 손영목 폐타이어/폐유의 복합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장치와 그 방법
KR100592856B1 (ko) * 2004-01-29 2006-06-23 변희준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100736845B1 (ko) * 2006-08-28 2007-07-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유정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분해유화시스템
KR20090083588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고온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폐액의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2011236390A (ja) * 2010-05-13 2011-11-24 Kassui Plant Kk 廃油の精製方法
KR101534197B1 (ko) * 2014-10-24 2015-07-06 주식회사 알엠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KR101736204B1 (ko) * 2015-11-26 2017-05-30 (주)대방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KR20190018316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KR102095746B1 (ko) * 2019-04-26 2020-04-02 주식회사 브이엘홀딩스 폐기물 열분해용 오일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KR102115245B1 (ko) * 2019-08-26 2020-05-26 홍승구 폐유 정제 방법
KR20200063611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이동형 폐합성수지 열분해유화 재활용장치
KR102262779B1 (ko) *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205B1 (ko) * 1995-06-05 1998-08-01 손영목 폐타이어/폐유의 복합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장치와 그 방법
KR100592856B1 (ko) * 2004-01-29 2006-06-23 변희준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100736845B1 (ko) * 2006-08-28 2007-07-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유정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분해유화시스템
KR20090083588A (ko) * 2008-01-30 2009-08-04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고온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폐액의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JP2011236390A (ja) * 2010-05-13 2011-11-24 Kassui Plant Kk 廃油の精製方法
KR101534197B1 (ko) * 2014-10-24 2015-07-06 주식회사 알엠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KR101736204B1 (ko) * 2015-11-26 2017-05-30 (주)대방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KR20190018316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KR20200063611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에코인에너지 이동형 폐합성수지 열분해유화 재활용장치
KR102095746B1 (ko) * 2019-04-26 2020-04-02 주식회사 브이엘홀딩스 폐기물 열분해용 오일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KR102115245B1 (ko) * 2019-08-26 2020-05-26 홍승구 폐유 정제 방법
KR102262779B1 (ko) *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884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3412C (en) Co2 recovery system and co2 recovery method
US20180355256A1 (en) Production of hydrocarbon fuels from plastics
JP5800313B2 (ja) 熱分解システム及び熱分解オイルの製造方法
Junaydullaevich BITUMENS AND BITUMEN COMPOSITIONS BASED ON OIL-CONTAINING WASTES
KR20160090094A (ko)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 선순환 시스템
CN104817470A (zh) 一种dmac或dmf废液的五塔三效精馏系统及其回收方法
CN104813102B (zh) 回收蒸汽动力装置过程排水的方法
EA000667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работанных масел
CN109607927B (zh) 一种含油危废的炼化油品再利用的方法
KR102558884B1 (ko)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Toth et al. COD reduction of process wastewater with vacuum evaporation
CN102140367A (zh) 一种废油再生装置及方法
US20090050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water
EP3353346B1 (en) System and process for stripp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oul condensate
KR102266988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KR101996570B1 (ko) 폐윤활유 상압증류 및 자동재생 촉매장치에 의한 고질화 정제방법
JP2019522067A (ja) 炭化器高温ガスの炭化水素再生利用
KR20100009287U (ko) 폐유 정제 시스템
CN108862802B (zh) 一种含氯、含氟废液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9437350B (zh) 化工三废综合治理系统及方法
KR102610865B1 (ko) 열분해 오일의 고품질 경질유 정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3073U (ko) Al-PE 폐기물의 저온 연소처리장치
CN204848562U (zh) 一种煤气化废水处理系统
KR102563035B1 (ko)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스템
RU2745596C2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к безопасному вскрыти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