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316A -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316A
KR20190018316A KR1020170103139A KR20170103139A KR20190018316A KR 20190018316 A KR20190018316 A KR 20190018316A KR 1020170103139 A KR1020170103139 A KR 1020170103139A KR 20170103139 A KR20170103139 A KR 20170103139A KR 20190018316 A KR20190018316 A KR 20190018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supernatant
precipitation
transfe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열순
이성욱
이돈길
이은일
장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황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황열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0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316A/ko
Publication of KR2019001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316A/ko
Priority to KR1020190127765A priority patent/KR102275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절삭유 폐수에 산성분을 투입하여 오일 성분과 수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단계, 상기 유수분리단계를 통해 오일 성분이 제거된 폐수를 제1폭기조로 이송하여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미생물반응단계,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폐수를 제1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1침전단계, 상기 제1침전단계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제2폭기조로 이송하여 반응시키는 제2미생물반응단계,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2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2침전단계, 상기 제2침전단계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응집조로 이송하여 응집제로 처리하는 응집단계 및 상기 응집단계를 통해 응집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3침전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은 폐절삭유에 함유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폐절삭유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METHOD FOR TREATING SOLUBLE METAL-WORKING WASTE FLUID}
개시된 내용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절삭유에 함유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폐절삭유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삭유는 금속가공 공업에서 폭넓게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중국, 인도 및 베트남 시장 등이 빠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절삭유의 사용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절삭유는 주로 금속가공 과정에서 절삭공구와 금속간의 마찰을 줄이고, 윤활, 냉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오일 제품으로, 원유를 정제한 기유(Base oil)에 공정특성에 맞는 첨가제를 혼합함에 따라 비수용성 절삭유(Insoluble oil), 수용성 절삭유(Water-soluble oil), 합성 절삭유(Synthetic oil) 및 준합성 절삭유(Semi-synthetic oil)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환경적 측면에서 비수용성 절삭유의 작업 중과 작업 후에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로 인한 유독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수용성 절삭유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수용성 절삭유는 비수용성 절삭유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고 냉각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금속 절삭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mineral oil (60~85%)과 emulsifier (5~20%), 첨가제(surfactants, biocide, etc.)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절삭유는 금속가공 종류에 따라 그 성분이 약간 다르나 대체적으로 15%이하의 지방성분을 함유한 수용액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름성분과 수용액 성분의 상분리를 막기 위해 계면할성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혼합시켜 안정된 에멀젼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금속가공 시 윤활작용과 냉각작용 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들 중에서 오일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폐수는 오일의 함유량에 따라서 폐기물로 분류되기도 하고, 또 폐수로 분류되기도 한다. 때로는 그 성분이 명확치 않아서 폐기물로 처리해야 할지, 폐수로 처리해야 할지 모호한 경우가 있어 실무자들이 곤란을 겪기도 하며, 오일이 함유된 폐수는 독성물질 등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서 일반 폐수처리장에서 처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폐절삭유가 포함된 폐수는 주로 물리적, 화학적 방법인 증발 농축 및 액상 소각로의 방법을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효율이 낮으며 많은 에너지 및 운전 비용이 소요되고 동시에 2차 대기오염의 문제로 인해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용성 절삭유에는 절삭 금속과의 습윤성, 윤활성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어 에멀젼(emulsion)화 된 절삭유를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전기응집, 분리막 여과, 분리막 여과-이온교환, 분리막 여과-오존처리, 산화처리, 증발-탈기 등의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고가의 처리비용이 발생하기 된다. 또한, 처리 과정에서 각종 발암물질, 발암 전구체 등이 발생하여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한국특허등록 제10-0110562호(1997.01.11).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004019호(2016.01.12).
개시된 내용은 폐절삭유에 함유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폐절삭유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폐절삭유 폐수에 산성분을 투입하여 오일 성분과 수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단계, 상기 유수분리단계를 통해 오일 성분이 제거된 폐수를 제1폭기조로 이송하여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미생물반응단계,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폐수를 제1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1침전단계, 상기 제1침전단계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제2폭기조로 이송하여 반응시키는 제2미생물반응단계,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2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2침전단계, 상기 제2침전단계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응집조로 이송하여 응집제로 처리하는 응집단계 및 상기 응집단계를 통해 응집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3침전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산성분은 황산, 염산 및 염화제이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폭기조는 Pseudomonas aeruginosa, Citrobacter amalonaticus 및 Stenotrophomonas pavani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이 투입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폭기조는 단위용적부하가 3 내지 10kgCODcr/m3·day이며, 상기 제2폭기조는 단위용적부하가 0.5 내지 1.5kgCODcr/m3·day일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에서는 상기 제1폭기조에 연결된 영양제저장탱크를 통해 영양제가 공급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염화제2철, 황산제2철 및 폴리염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은 폐절삭유에 함유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폐절삭유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된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은 폐절삭유 폐수에 산성분을 투입하여 오일 성분과 수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단계(S101), 상기 유수분리단계(S101)를 통해 오일 성분이 제거된 폐수를 제1폭기조(400)로 이송하여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폐수를 제1침전조(5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1침전단계(S105), 상기 제1침전단계(S105)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제2폭기조(700)로 이송하여 반응시키는 제2미생물반응단계(S107),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2침전조(8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2침전단계(S109), 상기 제2침전단계(S109)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응집조(900)로 이송하여 응집제로 처리하는 응집단계(S111) 및 상기 응집단계(S111)를 통해 응집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10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3침전단계(S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수분리단계(S101)는 폐절삭유 폐수에 산성분을 투입하여 오일 성분과 수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로, 제1집수조(100)에 모아진 폐절삭유 성분을 전처리조(200)로 이송하고 산성분을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에 유수분리장치(300)로 이송하여 폐절삭유에 함유된 오일성분과 수용성 성분을 분리하여 이루어지는데, 폐절삭유의 pH가 1.5 내지 3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산성분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처리조(200)에서의 유수분리 반응은 30 내지 60분 동안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성분은 황산, 염산 및 염화제이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처리조(200)는 pH센서에 의한 컨트롤 시스템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 시스템에는 유입되는 폐절삭유의 유량과 pH에 따른 산성분의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산성분 공급장치가 구비되며, 폐절삭유 와 황산을 혼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유수분리장치(300)에서 발생된 오일성분은 상기 유수분리장치(300)에 연결된 오일 회수조(310)로 이송되어 저장되며, 오일 회수조(310)에는 회수된 오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Level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수분리단계(S101)를 통해 회수한 오일의 재생유 재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강철용 및 알루미늄용 폐절삭유로부터 상기 유수분리단계(S101)를 통해 회수된 오일의 품질 분석을 한국석유관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 도 1에 나타내었다. 분석을 실시한 오일은 유수분리단계에서 회수된 오일을 그대로 분석한 것이며, 대체로 정제연료유 및 재생연료유의 기준에 충족하는 결과를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수용성 폐절삭유로부터 회수한 오일의 발열량은 45,450 J/g으로, 연료유로 사용하고 있는 B-C 유의 발열량인 40,950 J/g보다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제 공정을 거친다면 연료유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없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또한, 오일이 분리된 상태의 폐절삭유 폐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CODcr 기준으로 40 내지 60%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노말헥산추출물질의 경우 90% 이상의 감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와 제2미생물반응단계(S107)에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시에 유기물의 부하를 경감시켜주며, 폐수처리의 규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아래 표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는 상기 유수분리단계(S101)를 통해 오일 성분이 제거된 폐수를 제1폭기조(400)로 이송하여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로, 상기 유수분리단계(S101)를 통해 오일성분이 제거된 폐수를 단위용적부하가 3 내지 10kgCODcr/m3·day이며 Pseudomonas aeruginosa, Citrobacter amalonaticus 및 Stenotrophomonas pavani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이 투입되어 있는 제1폭기조(400)로 이송하여 폐수 내에 오염물질과 상기 미생물을 반응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다.
또한, 상기 제1폭기조(400)로 폐수가 이송될 때에는 폐수 유량조절장치를 통해 폐수의 적정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제1폭기조(400) 내에 투입되는 미생물은 일반 활성오니와는 다른 세균성 미생물(Bacteria)로 일반 광학현미경으로는 식별이 힘들고, 호기성 상태에서 유기물 처리속도가 일반적인 활성오니의 5 내지 10배 빠른 특징으로 가지고 있으며, 독성 물질에 대한 내성이 있고, 40 내지 60℃의 고온 환경에서도 높은 활성을 유지하는 특징을 나타내는데, Pseudomonas aeruginosa PAO1 (KCTC13O98BP), Citrobacter amalonaticus strain CECT 863 (KCTC 13O96BP) 및 Stenotrophomonas pavanii strain LMG25348 (KCTC13O97BP)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폭기조(400)에는 고농도의 독성 폐절삭유 폐수의 처리시 폭기조의 DO(용존산소), pH 및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DO센서, pH센서 및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농도 유기성 또는 고염도의 폐수를 제1폭기조에 공급하는 라인에는 유입폐수량 컨트롤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폭기조(400)에는 상기 제1폭기조(400)의 외부에 설치된 블로워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미세한 공기방울로 전환시키는 산기관이 구비되는데, 산기관은 공기 중에 음향에너지를 공급하여 산소용해작용을 촉진시키고, 소용돌이 현상에 의해 산소공급률을 증가시키고 전력비용을 감소시키는 음향공진산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에서는 상기 제1폭기조(400)에 연결된 영양제저장탱크를 통해 영양제가 공급될 수도 있는데, 상기 영양제는 질소, 인, 황, 철,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및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제1폭기조(400) 내로 상기에 나열된 영양제 성분이 투입되면 제1폭기조(400) 내에 미생물이 고농도 독성 폐절삭유 폐수 내에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 필요한 대사촉진력이 향상되어 폐수 내 독성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제1침전단계(S105)는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폐수를 제1침전조(5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S103)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폐수를 제1침전조(500)로 이송한 후에 침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1침전조의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가 존재하게 되며, 제1침전조(500)의 상부에는 상등수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상등수는 제2집수조(600)로 보내져 집수된 후에 제2폭기조(700)로 이송되고, 상기 슬러지는 상기 제1폭기조(400)로 반송시키거나 탈수를 위해 상기 농축장치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침전조(500)의 표면부하는 표준활성슬러지법의 통상적인 설계 기준인 16 내지 32㎥/㎡ㆍday의 50% 이하인 8 내지 16㎥/㎡ㆍday 범위에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침전조(500) 대신에 가압부상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S107)는 상기 제1침전단계(S105)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제2폭기조(700)로 이송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로, 상기 제1침전단계(S105)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제2집수조(600)에서 집수한 후에 일반 활성오니가 투입되며, 단위용적부하가 0.5 내지 1.5kgCODcr/m3·day인 제2폭기조(700)로 이송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다.
상기와 같이 일반 활성오니가 투입되며, 상기의 단위용적부하를 나타내는 제2폭기조(700)는 원생생물 및 일부 세균성 미생물로 구성되어 독성이 없는 일반 폐수를 처리하는 폭기조로, 상기 제1폭기조(400)를 통해 이송된 세균성 미생물 등은 침강성이 불량하나 상기 제2폭기조(700)에서 원생생물의 작용으로 인해 미세 부유물질 및 세균성 미생물들을 포식함으로써 상기 제2침전조(800)에서 우수한 침강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폭기조(700)에는 DO(용존산소), pH 및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DO센서, pH센서 및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외부에 설치된 블로워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산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침전단계(S109)는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2침전조(8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S107)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2침전조(800)로 이송하여 침전과정을 통해 제2침전조(800)의 하부에는 침전된 침전물이 존재하게 되며, 제2침전조(800)의 상부에는 상등수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상등수는 상기 응집조(900)로 이송된다.
상기 응집단계(S111)는 상기 제2침전단계(S109)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응집조(900)로 이송하여 응집제로 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제2침전단계(S109)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응집조(900)로 이송한 후에 황산알루미늄, 염화제2철, 황산제2철 및 폴리염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응집제를 투입하여 상등수 내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응집조(900)에는 응집조(900) 내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장치, 수산화나트륨 공급장치, 고분자 응집제 공급장치, 반응조 내에 pH를 측정하는 pH 센서 및 교반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침전단계(S113)는 상기 응집단계(S111)를 통해 응집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10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응집단계(S111)를 통해 부유물이 응집제에 의해 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1000)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응집단계(S111)를 통해 응집제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1000)로 이송하여 침전과정을 통해 제3침전조(1000)의 하부에는 응집제로 응집되어 침전된 침전물이 존재하게 되며, 제3침전조(1000)의 상부에는 상등수가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상등수는 방류조를 통해 방류된다.
상기 제3침전단계(S113)를 통해 침전된 슬러지는 상기 제3침전조(1000)에 연결된 농축장치로 이송된 후에 슬러지개량시설 등을 거치고, 교반탱크와 필터프레스 등의 여과장치를 통해 처리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의 내용을 바탕으로 강철용과 알루미늄용 절삭유 폐수를 아래 표 4 내지 6의 조건으로 처리한 후에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4> 유입폐수의 설계 조건
Figure pat00004

<표 5> 고효율 및 저농도 폭기조 용적산정
Figure pat00005

<표 6> 폭기조 공기 공급량
Figure pat00006

<표 7> 폐절삭유 처리 결과
Figure pat00007
위에 표 7에 나타낸 것처럼, 개시된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을 이용하면 강철용 폐절삭유나 알루미늄용 폐절삭유가 방류기준 항목을 모두 만족시키는 조건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개시된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은 폐절삭유에 함유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폐절삭유에 함유된 독성성분을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101 ; 유수분리단계
S103 ; 제1미생물반응단계
S105 ; 제1침전단계
S107 ; 제2미생물반응단계
S109 ; 제2침전단계
S111 ; 응집단계
S113 ; 제3침전단계
100 ; 제1집수조
200 ; 전처리조
300 ; 유수분리장치
310 ; 오일 회수조
400 ; 제1폭기조
500 ; 제1침전조
600 ; 제2집수조
700 ; 제2폭기조
800 ; 제2침전조
900 ; 응집조
1000 ; 제3침전조

Claims (6)

  1. 폐절삭유 폐수에 산성분을 투입하여 오일 성분과 수용성 성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단계;
    상기 유수분리단계를 통해 오일 성분이 제거된 폐수를 제1폭기조로 이송하여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미생물반응단계;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폐수를 제1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1침전단계;
    상기 제1침전단계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제2폭기조로 이송하여 반응시키는 제2미생물반응단계;
    상기 제2미생물반응단계를 통해 미생물로 처리된 상등수를 제2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2침전단계;
    상기 제2침전단계를 통해 발생된 상등수를 응집조로 이송하여 응집제로 처리하는 응집단계; 및
    상기 응집단계를 통해 응집처리된 상등수를 제3침전조로 이송하여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는 제3침전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성분은 황산, 염산 및 염화제이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폭기조는 Pseudomonas aeruginosa, Citrobacter amalonaticus 및 Stenotrophomonas pavani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폭기조는 단위용적부하가 3 내지 10kgCODcr/m3·day이며, 상기 제2폭기조는 단위용적부하가 0.5 내지 1.5kgCODcr/m3·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미생물반응단계에서는 상기 제1폭기조에 연결된 영양제저장탱크를 통해 영양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염화제2철, 황산제2철 및 폴리염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KR1020170103139A 2017-08-14 2017-08-14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KR20190018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139A KR20190018316A (ko) 2017-08-14 2017-08-14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KR1020190127765A KR102275086B1 (ko) 2017-08-14 2019-10-15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139A KR20190018316A (ko) 2017-08-14 2017-08-14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765A Division KR102275086B1 (ko) 2017-08-14 2019-10-15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16A true KR20190018316A (ko) 2019-02-22

Family

ID=6558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139A KR20190018316A (ko) 2017-08-14 2017-08-14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3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6310A (zh) * 2020-07-03 2020-10-27 江南大学 一种含有嗜麦芽寡养单胞菌的菌酶混合制剂及其应用
KR20210031572A (ko) * 2019-09-11 2021-03-22 (주)아이제이에스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KR20230053760A (ko) * 2021-10-14 2023-04-24 김남용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19A (ko) 2014-07-02 2016-01-12 (주) 한림기연 폐절삭유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19A (ko) 2014-07-02 2016-01-12 (주) 한림기연 폐절삭유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572A (ko) * 2019-09-11 2021-03-22 (주)아이제이에스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CN111826310A (zh) * 2020-07-03 2020-10-27 江南大学 一种含有嗜麦芽寡养单胞菌的菌酶混合制剂及其应用
CN111826310B (zh) * 2020-07-03 2022-02-01 江南大学 一种含有嗜麦芽寡养单胞菌的菌酶混合制剂及其应用
KR20230053760A (ko) * 2021-10-14 2023-04-24 김남용 액상 폐기물과 폐합성수지(폐플라스틱) 간 병행처리식 유화 라인과 열원 공유 및 여과 회수 순환라인을 갖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방식의 폐자원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086B1 (ko)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EP0473653B1 (en) Effluent treatment
CN110937761A (zh) 高浓度含油重金属废液高效处理系统及其工艺
CN104355504A (zh) 一种工业废水处理系统
JP6422649B2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KR100957851B1 (ko) 응집제 투입시기에 따른 수처리방법
KR20190018316A (ko)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Ansari et al. Performance of full-scale coagulation-flocculation/DAF as a pre-treatment technology for biodegradability enhancement of high strength wastepaper-recycling wastewater
CN111056653A (zh) 一种冷轧废水处理系统及其方法
JP2007029825A (ja) 廃水処理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CN212102447U (zh) 高浓度含油重金属废液高效处理系统
CN106830422A (zh) 一种切削废液的短程预处理方法
CN107381828B (zh) 一种用于辅助处理废切削液的复合微生物制剂及使用方法
CN109761446A (zh) 一种危废处置中心综合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CN115367969A (zh) 一种高浓度水性油墨废水处理方法及处理系统
CN110590063B (zh) 具有创能及节能功效之含油废水处理方法
CN211847562U (zh) 切削液废水处理装置
US20130075341A1 (en) Method for clarifying industrial wastewater
Makara et al.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production of meat-bone meal
Lazarević et al. Scaling up the chemical treatment of spent oil-in-water emulsions from a non-ferrous metal-processing plant
CN112830650A (zh) 一种微生物处理原油开采过程中产生的含油污泥的工艺
KR20100060488A (ko)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폐오일 처리방법
JP2016137429A (ja) 重金属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重金属含有排水の処理装置
KR20060087058A (ko) 음식물 쓰레기 탈리액의 정화방법
CN215924703U (zh) 危废填埋场渗滤液蒸发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