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572A -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572A
KR20210031572A KR1020190112816A KR20190112816A KR20210031572A KR 20210031572 A KR20210031572 A KR 20210031572A KR 1020190112816 A KR1020190112816 A KR 1020190112816A KR 20190112816 A KR20190112816 A KR 20190112816A KR 20210031572 A KR20210031572 A KR 20210031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utting oil
waste cutting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225B1 (ko
Inventor
김기영
김경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아이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19011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폐절삭유와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교반한 후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상기 페절삭유에 대해 0.15중량% 내지 0.45중량%로 투입되는 것인,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METHOD FOR SEPARATING OIL AND WATER IN WASTED CUTTING OIL}
본 발명은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COD(chemical oxygen demand)가 높은 폐절삭유에서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수 분리 효율을 높이고 상기 폐절삭유로부터 COD가 현저하게 낮아진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삭유는 금속 가공 공업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 인도 및 베트남 시장 등이 빠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절삭유의 사용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절삭유는 주로 금속 가공 과정에서 절삭 공구와 금속간의 마찰을 줄이고, 윤활, 냉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오일 제품이다. 절삭유는 원유를 정제한 기유(Base oil)에 공정 특성에 맞는 첨가제를 혼합함에 따라 비수용성 절삭유(Insoluble oil), 수용성 절삭유(Water-soluble oil), 합성 절삭유(Synthetic oil) 및 준합성 절삭유(Semi-synthetic oil)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환경적 측면에서 비수용성 절삭유의 작업 중과 작업 후에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로 인한 유독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수용성 절삭유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수용성 절삭유는 비수용성 절삭유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고 냉각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금속 절삭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mineral oil (60~85%)과 emulsifier (5~20%), 첨가제(surfactants, biocide, etc.)들로 구성되어 있다. 절삭유는 금속 가공 종류에 따라 그 성분이 약간 다르나 대체적으로 15% 이하의 지방 성분을 함유한 수용액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름 성분과 수용액 성분의 상분리를 막기 위해 계면할성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혼합시켜 안정된 에멀젼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금속 가공 시 윤활 작용과 냉각 작용 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폐절삭유가 포함된 폐수는 주로 물리적, 화학적 방법인 증발 농축 및 액상 소각로의 방법을 이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효율이 낮으며 많은 에너지 및 운전 비용이 소요되고 동시에 2차 대기 오염의 문제로 인해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용성 절삭유에는 절삭 금속과의 습윤성, 윤활성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어 에멀젼화 된 절삭유를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전기 응집, 분리막 여과, 분리막 여과-이온교환, 분리막 여과-오존 처리, 산화 처리, 증발-탈기 등의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처리할 경우 고가의 처리비용이 발생하기 된다. 또한, 처리 과정에서 각종 발암 물질, 발암 전구체 등이 발생하여 인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9-001831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COD가 높은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효율이 높고 COD가 현저하게 낮은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 방법은 폐절삭유와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교반한 후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상기 페절삭유에 대해 0.15중량% 내지 0.45중량%로 투입된다.
2.1에서, 상기 폐절삭유는 COD가 130,000mg/L 이상일 수 있다.
3.1-2에서, 상기 폐절삭유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4.1-3에서, 상기 폐절삭유는 9 내지 11의 pH를 가질 수 있다.
5.1-4에서, 상기 방법은 Ca2+, Na+, Al3+, Fe2+, Fe3+ 중 1종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 상기 폐절삭유를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6.5에서, 상기 금속 이온은 상기 폐절삭유와 상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교반하고 정치한 이후에 상기 폐절삭유에 투입될 수 있다.
7.5에서, 상기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은 상기 폐절삭유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2 중량%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OD가 높은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 효율이 높고 COD가 현저하게 낮은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 방법을 제공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4와 비교예 1-2에서 COD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의한 폐절삭유의 처리 모습이다. 도 2에서 (a)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가 0.2중량%, (b)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가 0.45중량%, (c)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가 0.15중량%, (d)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가 0.35 중량%로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7에서, 폐절삭유의 처리 모습이다. 도 3에서 (a)는 실시예 5, (b)는 실시예 9, (c)는 실시예 7을 나타낸다.
도 4는 비교예 3에서의 폐절삭유 처리 모습이다.
도 5는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5에서의 폐절삭유 처리 모습니다. 도 5에서 (a)는 비교예 4, (b)는 비교예 5의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 6, 비교예 7에서의 폐절삭유 처리 모습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COD(chemical oxygen demand)가 높은 폐절삭유에서 물로부터 유분 즉 오일 또는 오일 함유 입자를 분리하여 처리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특정 함량으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정치함으로써, 상기 COD가 높은 폐절삭유라고 하더라도 유수 분리 효율이 현저하게 높아지고 상기 처리수의 COD가 현저하게 낮아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처리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한 후 최종 얻어지는 침전물을 제외한 상등액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절삭유에서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폐절삭유에서 유수를 분리하는 방법은 폐절삭유와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PAC)를 교반하고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상기 페절삭유에 대해 0.15중량% 내지 0.45중량%[(PAC 분말]/(폐절삭유 원액)의 함량 비율]로 투입된다.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량이 0.15중량% 미만인 경우, 처리수의 COD가 현저하게 낮아지지 않고, floc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응집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량이 0.45중량% 초과인 경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량에 비례하여 COD 저감 효과 상승이 미약하고,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에 의해 작은 floc들이 증가하여 부유하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0.2중량% 내지 0.35중량%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폐절삭유 중에서도 COD가 현저하게 높은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폐절삭유는 COD가 130,000mg/L 이상, 예를 들면 130,000mg/L 내지 500,000mg/L가 될 수 있다. 상기 COD 범위의 폐절삭유는 종래 금속 양이온을 투입하는 등의 약품 처리 방식, pH를 조절하는 방식 또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투입하는 것만으로는 용이하게 COD가 낮아지거나 유수 분리 효율이 높지 않은 범위의 폐절삭유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금속 가공 업체로부터 얻은 폐절삭유 원액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유수 분리 효율 및 COD 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먼저 폐절삭유를 1중량% 내지 20중량%,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10중량%의 물로 희석시켜 유화시킨 다음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량에서 COD 저감 효과 및 유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폐절삭유는 비수용성 금속 가공유, 수용성 금속 가공유, 유화유형, 용해형, 합성유, 준합성유 등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절삭유는 수용성 금속 가공유 또는 유화유형이 될 수 있다.
상기 폐절삭유는 약 알칼리성의 pH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9 내지 11의 pH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폐절삭유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물에 오일 입자들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에 의해 에멀젼을 형성하면서 물 내에 오일이 표면에 음이온으로 안정화되어 있는 오일 입자 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오일 입자들이 표면에 음이온으로 안정화되어 있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시 오일 입자들의 안정성을 깸으로써 유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지방산의 아민 비누, 소다 비누, 알킬술폰산염, 석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리튬 도데실 술페이트, 데실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절삭유는 에스테르계 오일 성분과 금속 절삭 후 스케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알루미늄과 염산으로 만들어진 화합물로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으로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의 분자량은 220 내지 250, 구체적으로 230 내지 24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폐절삭유에 처리시 COD 저감 효과를 높이고 유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폐절삭유에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투입하기 전에 폐절삭유의 pH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투입하기 전에 페절삭유의 pH를 5내지7, 구체적으로 6 으로 조절함으로써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에 의한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pH 조절 단계에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의 산을 추가할 수 있다. pH 조절 단계에서 추가된 염산, 황산 또는 질산은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가 추가로 투입될 경우 유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폐절삭유에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투입하고 교반한 후 정치하는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폐절삭유에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투입한 다음 소정의 온도, 교반 속도 및 교반 시간 하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교반 온도는 20℃ 내지 40℃, 구체적으로 20℃ 내지 3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에 의해 플록(floc)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교반 속도는 100rpm 내지 500rpm, 구체적으로 100rpm 내지 300rpm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에 의해 플록(floc)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플록이 형성된 후 바로 정치하지 않고 추가로 10분 내지 90분, 구체적으로 10분 내지 3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로 정치하지 않고 추가로 교반함으로써 플록이 형성되는 정도를 높이고 생성된 플록이 페절삭유에서 부유하게 됨으로써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정치하는 단계에서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에 의해 응집된 침전물이 침강시키는 단계로서 교반을 마친 다음 10분 내지 90분, 구체적으로 10분 내지 30분 동안 정치한다. 상기 범위에서, 침전물이 완전히 침강될 수 있고, 처리수의 COD를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어 얻은 처리수는 COD가 0mg/L 내지 9,000mg/L, 구체적으로 2,000mg/L 내지 9,000mg/L로서, 본 발명의 방법 처리 전 대비 폐절삭유의 COD가 60% 이상, 구체적으로 90% 내지 99%로 감소될 수 있으며, 유수 분리 효율이 90%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정치시킨 다음에 pH를 7 내지 9, 구체적으로 7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추가적인 COD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폐수로 방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이외에 응집제로서 금속 이온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이온은 폐절삭유에 투입시 오일을 안정화시키는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과 결합하여 불용성의 염을 형성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떨어뜨려 유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으로는 금속 양이온으로서 Ca2+, Na+, Al3+, Fe2+, Fe3+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양이온으로서 Ca2+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Ca2+은 폐절삭유에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와 함께 적용시 다른 금속 이온에 비하여 유수 분리 효율 및 COD 저감 효과가 현저하게 높을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은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투입시 함께 투입되거나,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투입하고 교반 및 정치한 다음에 투입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이온은 상기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의 수용액 또는 염 자체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염으로는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염화제1철, 염화제2철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은 상기 폐절삭유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2중량%[(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폐절삭유 원액)의 함량 비율]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잔량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이 없이 COD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은 상기 폐절삭유에 대하여 0.10중량% 내지 0.20중량%, 또는 1.5중량% 내지 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분할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폐절삭유를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Jar-tester에서 실시하였다.
금속 가공 업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화유형 절삭유(W1종 1호,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에 의한 오일 에멀젼을 포함)를 5중량% 농도로 희석시켜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폐절삭유 수용액에 대해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를 평가하였으며, COD는 130,000mg/L이었으며 pH는 약 9이었다.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PAC) 0.15중량부를 준비하고, 10중량% 수용액으로 희석시킨 다음, 상기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에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플록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1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한 다음 침전물 상의 상등액을 채취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 유수 분리 효율 및 탁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도 2,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2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35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45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
금속 가공 업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화유형 절삭유(W1종 1호)를 5중량% 농도로 희석시켜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폐절삭유 수용액에 대해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를 평가하였으며, COD는 130,000mg/L이었으며 pH는 약 9이었다.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3중량부를 10중량% 수용액으로 희석시킨 다음, 상기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에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플록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1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염화칼슘 20중량% 수용액을 10중량부로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플록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1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때, 염화칼슘은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로 포함된 것이다.
방치한 다음 침전물 상의 상등액을 채취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 유수 분리 효율 및 탁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염화칼슘 20중량% 수용액 대신에 염화나트륨 20중량% 수용액 40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서, 염화칼슘 20중량% 수용액 대신에 알루미늄염 20중량% 수용액 9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염화칼슘 20중량% 수용액 대신에 염화 제1철 20중량% 수용액 8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5에서, 염화칼슘 20중량% 수용액 대신에 염화 제2철 20중량% 수용액 4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1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폐절삭유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 0.5중량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에 10% 황산을 투입하여 pH를 2, 4, 6으로 변화시켰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플록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1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한 다음 침전물 상의 상등액을 채취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와 유수 분리 효율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에 염화나트륨 20중량% 수용액 4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플록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1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한 다음 침전물 상의 상등액을 채취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와 유수 분리 효율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4에서, 염화칼슘 20중량% 수용액 10중량부 대신에 염화제1철 20중량% 수용액 8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COD와 유수 분리 효율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유화시킨 폐절삭유 수용액에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K1(Dialkyl ester ammonium methosulfate, Stepan Company) 1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상온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플록이 형성되는 시점에서 10분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방치한 다음 침전물 상의 상등액을 채취하고 아래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COD와 유수 분리 효율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6에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K1(Dialkyl ester ammonium methosulfate, Stepan Company) 10중량부 대신에,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BK(Benzalkonium chloride, Sigma Aldrich) 1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
(1)COD(단위: mg/L):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UV-Vis 분광광도계(DR-6000, Hach社)를 사용하여 COD-Cr 조건에서 평가하였다.
(2)유수 분리 효율(단위: %): COD-Cr 결과에 의해 │1-(처리 후 COD-Cr)/(처리 전 COD-Cr)│ x 100으로 유수분리 효율을 평가하였다.
(3)탁도: 탁도는 탁도계(2100Q, Hach社)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PAC 0.15 0.2 0.35 0.45 0.3 0.3 0.3 0.3 0.3
금속이온 - - - - Ca2+ Na+ Al3+ Fe2+ Fe3+
COD 8100 8000 7900 9000 7500 8200 7900 7900 6000
유수 분리 효율 93 94 95 97 98 94 98 98 98
탁도 N.M. N.M. 175 N.M. 170 178 168 N.M. N.M.
N.M.(No Mesureable) : 측정불가
비교예
1 2 3 4 5 6 7
PAC 0.1 0.5 - - - - -
pH - - 2 - - - -
금속 이온 - - - Na+ Fe2+ - -
양이온계면활성제 - - - - - KI BK
COD 24000 17000 40000 21000 15000 25600 27500
유수 분리 효율 82 87 70 84 87 80 79
탁도 N.M. N.M. N.M. 178 N.M. N.M. N.M.
N.M.(No Mesureable) : 측정불가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 방법은 COD가 높은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효율이 높고 COD가 현저하게 낮은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폐절삭유에서 유수 분리 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는 상기 표 2, 도 4, 도 5,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 대비 COD 처리 효율이 현저하게 좋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폐절삭유와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교반한 후 정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는 상기 페절삭유에 대해 0.15중량% 내지 0.45중량%로 투입되는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절삭유는 COD가 130,000mg/L 이상인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절삭유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절삭유는 9 내지 11의 pH를 갖는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a2+, Na+, Al3+, Fe2+, Fe3+ 중 1종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 상기 폐절삭유를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은 상기 폐절삭유와 상기 폴리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교반하고 정치한 이후에 상기 폐절삭유에 투입되는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염은 상기 폐절삭유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2중량%로 투입되는 것인,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KR1020190112816A 2019-09-11 2019-09-11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KR102322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816A KR102322225B1 (ko) 2019-09-11 2019-09-11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816A KR102322225B1 (ko) 2019-09-11 2019-09-11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572A true KR20210031572A (ko) 2021-03-22
KR102322225B1 KR102322225B1 (ko) 2021-11-10

Family

ID=7522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816A KR102322225B1 (ko) 2019-09-11 2019-09-11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474A (ja) * 1996-02-23 1997-09-02 Kurita Water Ind Ltd オリノコ油含有エマルション排水処理装置
JPH11267658A (ja) * 1998-03-24 1999-10-05 Shinohara Seiki Kk 懸濁廃油用凝集沈殿装置
KR100839828B1 (ko) * 2007-12-31 2008-06-19 홍성수 폐절삭유의 유수분리방법
KR20190018316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474A (ja) * 1996-02-23 1997-09-02 Kurita Water Ind Ltd オリノコ油含有エマルション排水処理装置
JPH11267658A (ja) * 1998-03-24 1999-10-05 Shinohara Seiki Kk 懸濁廃油用凝集沈殿装置
KR100839828B1 (ko) * 2007-12-31 2008-06-19 홍성수 폐절삭유의 유수분리방법
KR20190018316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한독이엔지 수용성 폐절삭유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225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9960B1 (en) Machining fluid of water soluble type using organic surfactants
US4129509A (en) Metalworking flu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stabilizing same
CN106893622B (zh) 一种水性切削液的醚羧酸复配剂、制备方法及水性切削液
CN101870909B (zh) 一种镁合金切削液
TWI705942B (zh) 具有創能及節能功效之含油廢水處理方法與設備
CN107541328B (zh) 无排放可循环使用的水性切削液及其制备方法
CN111004676A (zh) 乳化型切削液及其制备方法
CN106350189A (zh) 一种具有超高润滑性能的黑色金属专用合成切削液及其制备方法
CN109294714A (zh) 一种免清洗新型环保切削液
JPS59147093A (ja) 鋳鉄の機械加工のための方法とその方法において用いられる水成の濃縮液
KR102322225B1 (ko) 폐절삭유의 유수 분리 방법
CN106010742A (zh) 一种数控机床金属加工用防锈切削液及其制备方法
CS212712B2 (en) Emulsion for metal machining processes
US4382009A (en) Hydraulic fluid containing water and an α,ω-polybutadienedicarboxylic acid
TWI761276B (zh) 具有高效節能之切削油廢水處理方法
JP2011074186A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
SU1071630A1 (ru) Бактерицидна присадка к смазочно-охлаждающим жидкост м на водомасл ной основе
CN112646655A (zh) 一种高品质低油雾植物基础油微乳化切削液及其制备方法
CN109517660A (zh) 一种切削液
CA1087156A (en) Metalworking flu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stabilizing same
RU2228950C2 (ru) Концентрат водоэмульсионной смазочно-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ов
CZ2015544A3 (cs) Způsob modifikace průmyslově dodávané chladicí a/nebo mazací procesní kapaliny užívané v průběhu třískového obrábění kovových materiálů
CN112708498B (zh) 一种不锈钢水性切削液及其制备方法
JP2006312735A (ja) 金属加工用電解水溶液
JP2881384B2 (ja) 含油廃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