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512A - 처리 공구 - Google Patents

처리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512A
KR20230053512A KR1020220126823A KR20220126823A KR20230053512A KR 20230053512 A KR20230053512 A KR 20230053512A KR 1020220126823 A KR1020220126823 A KR 1020220126823A KR 20220126823 A KR20220126823 A KR 20220126823A KR 20230053512 A KR20230053512 A KR 2023005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tool
tool holder
rotation stopper
rotation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야나기하라
미쓰루 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Publication of KR2023005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8Chucks holding tools yieldably
    • B23B31/083Chucks holding tools yieldably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8Tool holders equipped with grooves arranged crosswi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etting the cut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05Cylindrical shanks o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1Retention by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41Retention by substantially radially oriented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3Retention by bayonet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1Deburr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processes
    • B23B2220/08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50Devices to counteract clamping forces exerted within the spindle in order to release the tool or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22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82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간이한 구조로 공구 홀더를 탈착 가능하고, 섕크에 대하여 공구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처리 공구를 제공한다. 디버링 공구는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을 가지는 실린더실(15)과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을 가지는 몸체(13), 회전 멈춤홈(25)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실(15)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실(15)을 왕복하는 공구 홀더(16), 상기 실린더실(15)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구 홀더(16)를 선단 방향으로 부세하는 제1 탄성체(21), 상기 몸체(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중심축을 따라 착탈 위치(27)와 가공 위치(29)를 왕복 가능한 커버(31)로서, 가공 위치(29)에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을 덮는 누름면(33)과 절결부(35)를 가지는 커버(31), 상기 커버(31)가 상기 착탈 위치(27)에 위치되고, 상기 공구 홀더(16)가 상기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으로부터 인발될 때 상기 절결부(35)에 수용되는 회전 멈춤체(3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처리 공구{PROCESSING TOOL}
본 발명은 처리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삭공구의 워크에 대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디버링(deburring) 공구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6025580호). 종래의 디버링 공구는 섕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삽(內揷)된 스템, 스템에 대하여 절삭공구 유지 수단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고 회전 방향으로 일체로서 회전하는 절삭공구 안내 수단, 절삭공구 유지 수단을 스템에 대하여 워크에 가압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 부재, 스프링 부재의 초기 길이를 조정하여 스프링 부재에 의한 가압력을 조정하는 초기 길이 조정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은 간이한 구조로 공구 홀더를 착탈 가능하고, 몸체에 대하여 공구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처리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몸체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로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실린더실로서, 선단(先端) 방향으로 개구(開口)를 가지는 공구 홀더 유지 구멍을 가지는 실린더실과
지름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
을 가지는 몸체,
공구 홀더로서, 상기 공구 홀더의 외주(外周)에 형성되는 회전 멈춤홈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실을 왕복하는 공구 홀더,
상기 실린더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구 홀더를 선단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 탄성체,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중심축을 따라 착탈 위치와 가공 위치를 왕복 가능한 커버로서,
상기 가공 위치에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을 덮는 누름면과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오목해지는 절결부
를 가지는 커버,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멈춤홈과 상기 누름면과 사이에서 이동하는 회전 멈춤체로서, 상기 커버가 상기 착탈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공구 홀더가 상기 공구 홀더 유지 구멍으로부터 인발될 때 상기 절결부에 수용되는 회전 멈춤체
를 포함하는 처리 공구이다.
처리 공구는 예를 들어 디버링 공구, 천공 공구, 나사절삭 공구, 브러시이다. 디버링 공구는 가공기에 설치되며 워크에 부착된 버를 제거한다. 가공기는 예를 들어 공구 주축을 장착한 로봇, 선반(旋盤),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터닝 센터(turning center)이다. 디버링 공구의 섕크(shank)는 공구 주축이나 테일 스톡(tail stock)에 장착되며 디버링 공구 전체가 공구 주축과 함께 회전한다.
설명의 편의상 절삭공구나 브러시가 설치되는 쪽은 선단측, 섕크가 배치된 쪽은 기단(基端)측이라 불린다.
몸체, 푸셔(pusher), 공구 홀더, 공구는 섕크의 중심축인 섕크축 상에 배치된다. 회전 멈춤체는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에 유지된다. 회전 멈춤체는 회전 멈춤홈을 개재하여 몸체에 부여된 회전 토크를 공구 홀더에 전달한다.
제1 탄성체의 북원력에 의해 푸셔와 공구 홀더가 선단 방향으로 부세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회전 멈춤홈이 공구 홀더에 형성된다. 회전 멈춤홈은 공구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회전 멈춤홈은 섕크축과 평행 또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 멈춤홈은 회전 멈춤체가 슬라이드 가능한 형상을 적당히 선택해도 된다. 복수의 회전 멈춤홈은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회전 멈춤홈이 공구 홀더에 형성된다.
몸체는 회전 멈춤체와 동일한 개수의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을 가진다.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은 몸체를 관통한다.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은 회전 멈춤체 유지면을 가진다. 회전 멈춤체 유지면의 형상은 내주측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원뿔면 또는 원통면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멈춤체 유지면은 원통면이다. 회전 멈춤체 유지면은 지름 방향으로부터 공구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진다.
몸체의 외주면을 덮는 커버를 가져도 된다. 커버는 몸체 중심축을 따라 공구 홀더의 착탈 위치와 공구 홀더를 유지하는 가공 위치를 왕복한다. 커버는 기단측, 선단측의 어느 것에 설치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기단측에 설치된다.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은 회전 멈춤체 유지면의 내주측 개구부에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는 회전 멈춤체를 따른 곡면을 가진다.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는 회전 멈춤체 유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공구 홀더가 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는 회전 멈춤체의 몸체 내측으로의 회전 멈춤체의 탈락을 방지한다.
회전 멈춤체는 회전 멈춤체 유지면과, 커버의 내주의 누름면과, 회전 멈춤홈을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가 가공 위치에 있을 때 회전 멈춤체 직경의 20~45%가 몸체로부터 돌출된다.
회전 멈춤체는 바람직하게는 볼 또는 핀 부재이다. 회전 멈춤홈은 회전 멈춤체와 동수 또는 회전 멈춤체의 수의 자연수배의 수만큼 배치된다. 회전 멈춤체가 핀 부재인 경우에는 공구 홀더측의 단면(端面)을 구면, 커버측의 단면을 구면 또는 평면으로 해도 된다.
공구 홀더는 회전 멈춤홈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공구는 예를 들어 디버링용 날붙이, 천공용 드릴, 나사절삭용 탭, 브러시이다. 공구의 형상은 가공을 행하는 워크의 형상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절결부는 회전 멈춤체가 공구 홀더의 회전 멈춤홈으로부터 이격되어 몸체의 외주측으로 이동되기 위해 커버에 설치된 공간이다. 절결부는 커버의 내주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절결부는 예를 들어 원주홈이나 구면이다. 원주홈은 단면을 향하여 개구하고, 직경이 확대되어도 된다.
처리 공구는 스톱퍼를 가져도 된다.
공구 홀더를 몸체에 장착할 경우, 공구 홀더를 몸체에 압입하며, 회전 멈춤체를 회전 멈춤홈에 유지시킨다.
공구 홀더를 몸체로부터 탈착할 경우, 커버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회전 멈춤체를 절결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 멈춤체에 의한 공구 홀더의 유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공구 홀더를 피스톤으로부터 분리한다.
본 발명의 처리 공구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공구 홀더를 탈착할 수 있어 몸체에 대하여 공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디버링 공구의 가공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3의 (a)는 도 1의 IIIA-IIIA 단면도,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 부분 확대도
도 4의 (a)는 실시형태 1의 공구 홀더의 사시도, 도 4의 (b)는 변형예의 공구 홀더의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디버링 공구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6의 (a)~(d)는 도 3의 (b)의 변형예
도 7은 회전 멈춤체의 변형예
도 8은 실시형태 2의 디버링 공구의 종단면도
도 9는 실시형태 2의 디버링 공구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처리 공구(10)는 예를 들어 디버링 공구, 천공 공구, 나사절삭 공구, 브러시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리 공구(10)의 일례인 디버링 공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버링 공구(10)는 섕크(11), 몸체(13), 공구 홀더(16), 회전 멈춤체(볼)(37), 커버(31)를 가진다. 여기서, 도 1의 우측 반은 공구 홀더(16)가 섕크(1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상태를 나타낸다.
섕크(11)는 섕크축(12)을 따라 연장된다. 몸체(13)는 섕크(11)에 접속된다. 몸체(13)는 원통 형상이며, 내부에 실린더실(15)을 가진다. 실린더실(15)에는 제1 탄성체(21)(압축 코일 스프링)와 푸셔(19)가 배치된다.
몸체(13)는 몸체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다. 몸체 중심축은 섕크축(12)과 일치한다. 몸체(13)는 실린더실(15),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 2개의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볼 유지 구멍)(17)을 가진다. 몸체(13)는 숫나사부(14)를 가져도 된다. 숫나사부(14)는 몸체(13)의 기단측에 배치된다. 몸체(13)는 중공(中空) 원통형이다. 실린더실(15)은 몸체(13)의 내부 공동(空洞)이다. 실린더실(15)은 섕크축(12)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실(15)은 원통이다. 실린더실(15)은 선단에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을 가진다.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은 섕크축(12)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의 내경은 실린더실(15)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아도 된다. 도 2는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의 내경(36)의 크기를 실린더실(15)의 내경(38)보다 작게 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는 실린더실(15) 내에 단턱(45)이 형성된다. 도 2의 우측 반은 공구 홀더(16)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우측 반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 홀더(16)를 분리할 때 단턱(45)은 제1 탄성체(21)로 압출된 푸셔(19)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돌아와,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은 몸체(13)의 외주면으로부터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까지, 몸체(13)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해도 된다. 각각의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은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을 가지고, 1개의 회전 멈춤체(37)를 유지한다.
실린더실(15)은 그 기단면(저면) 중앙부에 스프링 유지 구멍(24)을 가져도 된다. 푸셔(19)는 상면 중앙부에 스프링 유지 구멍(24)을 가져도 된다. 각각의 스프링 유지 구멍(24)은 제1 탄성체(21)를 유지한다.
공구 홀더(16)는 외통면(外筒面)(26), 2개의 회전 멈춤홈(25), 공구 유지 구멍(28)을 가진다. 공구 홀더(16)는 공구(23)를 유지한다. 공구 홀더(16)는 원통형이다. 외통면(26)은 섕크축(12)의 방향으로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과 슬라이드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구 홀더(16)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회전 멈춤홈(25)을 가진다. 복수의 회전 멈춤홈(25)은 섕크축(12)에 대하여 회전 대칭으로 배치된다. 회전 멈춤홈(25)은 실린더실(15)의 내주면에서 섕크축(1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섕크축(12)의 방향에서의 회전 멈춤홈(25)의 길이는 제거하는 버나 워크의 크기에 따라 임의의 길이로 설정된다. 회전 멈춤홈(25)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공구(23)의 날끝 길이(32)의 1~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5배이다. 도 3의(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홈(25)의 횡단면의 형상은 U자형이다. 회전 멈춤홈(25)은 회전 멈춤체(37)의 외주를 따르도록 형성된다. 회전 멈춤홈(25)의 폭은 회전 멈춤체(37)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회전 멈춤홈(25)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섕크축(1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 멈춤체(37)가 왕복 가능하고, 섕크(11)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회전 멈춤체(37) 및 회전 멈춤홈(25)을 개재하여 공구 홀더(16)에 전달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홈(25)은 공구(23)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배향으로, 기단측으로 나아가는 나선(헬리컬(helical)선) 형상이라도 된다.
도 1에 돌아와, 공구 유지 구멍(28)은 공구 홀더(16)의 선단 방향으로 개구하고, 섕크축(12)을 따라 배치된다. 공구 유지 구멍(28)에 공구(23)가 삽입되어 유지된다. 공구(23)는 버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임의의 공구가 선택된다.
가공시에는 푸셔(19)는 워크로부터 공구 홀더(16)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력과 제1 탄성체(21)의 북원력의 밸런스에 의해 실린더실(15) 내를 자유롭게 왕복한다. 공구 홀더(16)가 분리되었을 때는, 푸셔(19)는 제1 탄성체(21)로 압출되어 공구 홀더(16)의 선단으로 이동된다.
회전 멈춤체(37)는 예를 들어 볼이다. 도 3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 멈춤체(37)는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회전 멈춤체 유지면(39)과 누름면(33)에 유지된다. 회전 멈춤체(37)가 회전 멈춤홈(25)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공구 홀더(16)는 실린더실(15) 내를 왕복한다. 회전 멈춤체(37)가 회전 멈춤홈(25)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푸셔(19)의 왕복단이 결정된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지름 방향에 대하여 공구(23)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진다.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원통면이다.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의 공구 홀더(16)측의 선단부(반지름 방향 내측)에는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41)가 설치된다.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41)는 회전 방향 반대측에 위치되고, 유지 구면(球面)(43)을 가진다. 예를 들어, 회전 멈춤체(37)는 직경의 약 40%가 몸체(13)로부터 돌출된다. 회전 멈춤체(37)는 누름면(33)과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원통면)으로 가압됨으로써 섕크(11)의 회전 토크를 회전 멈춤홈(25)을 개재하여 공구 홀더(16)에 전달한다.
커버(31)는 누름면(33), 절결부(35), 암나사부(22)를 가진다. 커버(31)는 내주면에 암나사부(22)를 가진다. 커버(31)는 전체로서 중공 원통형이다. 커버(31)는 몸체(13)의 외주면을 덮는다. 암나사부(22)는 커버(31)의 내주면의 기단부에 배치된다. 암나사부(22)는 숫나사부(14)와 끼워맞춤된다. 절결부(35)는 커버(31)의 내주면의 선단부에 배치된다. 절결부(35)는 예를 들어 원주홈이다.
도 5의 우측 반은 공구 홀더(16)를 몸체(13)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31)는 가공 위치(29)와 착탈 위치(27)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가공 위치(29)에서 커버(31)의 누름면(33)은 회전 멈춤체(37)와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을 덮는다. 회전 멈춤체(37)가 누름면(33)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회전 멈춤체(37)는 회전 멈춤홈(25) 내에 유지된다. 커버(31)가 착탈 위치(27)로 이동되면 섕크축(12)의 방향에서 절결부(35)의 위치가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위치에 일치된다. 이 때, 회전 멈춤체(37)는 절결부(35)에 수납되어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의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공 위치(29)에서 공구 홀더(16)는 푸셔(19)와 맞닿는다. 가공 위치(29)에서 푸셔(19)와 공구 홀더(16)는 제1 탄성체(21)로 가압된다.
커버(31)를 착탈 위치(27)까지 이동시키면 절결부(35)가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위치로 이동된다. 공구 홀더(16)는 푸셔(19)를 개재하여 제1 탄성체(21)로 가압된다. 그리고, 공구 홀더(16)의 회전 멈춤홈(25)의 기단측이 회전 멈춤체(37)를 선단측으로 압출한다. 이로써, 회전 멈춤체(37)가 절결부(35)로 이동되고, 회전 멈춤체(37)와 공구 홀더(16)의 접속이 해제된다. 제1 탄성체(21)가 푸셔(19)를 더 가압하는 것에 의해 공구 홀더(16)가 선단측으로 압출된다. 이와 같이, 공구 홀더(16)가 분리된다.
공구 홀더(16)를 장착할 경우, 커버(31)를 착탈 위치(27)로 이동시켜 공구 홀더(16)를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에 삽입한다. 그리고, 회전 멈춤홈(25)이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위치에 왔을 때, 커버(31)를 가공 위치(29)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절결부(35)로부터 회전 멈춤체(37)가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과 회전 멈춤홈(25)에 접촉하도록, 회전 멈춤체(37)가 반지름 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공구 홀더(16)가 회전 멈춤체(37)와 접속된다.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지름 방향에 대하여, 공구(23)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에 의해 공구 홀더(16)의 중심을 향하여 회전 멈춤체(37)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섕크(11)의 회전 토크를 회전 멈춤홈(2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의 형상은 원통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 멈춤홈(25)으로의 토크 전달이 가능하고, 공구 홀더(16)의 분리시에 회전 멈춤체(37)가 탈락되지 않으면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임의의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도 6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지름 방향으로 평행한 면을 가져도 된다.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섕크축(12)의 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원뿔면을 가져도 된다. 또한,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공구(2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도 된다.
회전 멈춤체(37)는 볼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 멈춤홈(25)을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멈춤홈(25)으로의 토크 전달과, 공구 홀더(16)의 분리시에 절결부(35)로 이동이 가능하면 회전 멈춤체(37)는 임의의 형상이라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멈춤체는 핀(42)이라도 된다. 핀(42)의 공구 홀더(16)측의 단면은 반구면이다. 핀(42)의 누름면(33)에 접하는 단면은 둥글게 된 형상이다. 핀(42)은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의 경사를 따라 배치된다. 공구 홀더(16)를 몸체(13)로부터 분리할 때 핀(42)은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을 따라 절결부(35)로 이동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리 공구(10)의 일례인 디버링 공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디버링 공구(100)는 몸체(113), 푸셔(119), 커버(131), 탄성체실(146), 제2 탄성체(148)(압축 코일 스프링), 스톱퍼(147)를 가진다. 탄성체실(146)은 몸체(113)와 커버(131) 사이에 설치된다. 도 8의 우측 반은 공구 홀더(16)를 몸체(113)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디버링 공구(100)를 도 8에 대하여 섕크축(12)의 주위로 90도 회전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3)는 2개의 긴 구멍(149)을 가진다. 각각의 긴 구멍(149)은 섕크축(12)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된다. 긴 구멍(149)은 몸체(113)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라도 된다. 긴 구멍(149)은 몸체(113)의 내면에 형성된 홈이라도 된다.
또한, 회전 멈춤홈(25)이 나선 형상인 경우에는 긴 구멍(149)도 동일한 나선 형상이라도 된다.
푸셔(119)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부재(151)를 가진다. 핀 부재(151)의 양단이 긴 구멍(149)을 슬라이드한다. 핀 부재(151)는 예를 들어 푸셔(119)에 고정된다. 핀 부재(151)의 왕복 스트로크가 긴 구멍(149)의 축방향의 길이로 규제됨으로써 푸셔(119)가 몸체(113)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31)는 전체로서 중공 원통형이다. 커버(131)는 몸체(113)의 외주면을 덮는다. 커버(131)의 내면은 몸체(113)의 외주면과 슬라이드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148)은 탄성체실(146)에 수용된다. 커버(131)는 압축 코일 스프링(148)에 의해 선단 방향으로 가압된다. 스톱퍼(147)는 커버(131)의 탈락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디버링 공구(100)의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디버링 공구(10)와 동일하다.
공구 홀더(16)를 디버링 공구(100)로부터 분리할 경우, 커버(131)를 가공 위치(129)로부터 기단측으로 압입하고, 착탈 위치(127)로 이동시킨다. 착탈 위치(127)에서 커버(131)는 절결부(35)를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 및 회전 멈춤체(37)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공구 홀더(16)를 선단측으로 당기면 회전 멈춤홈(25)에 의해 회전 멈춤체(37)가 절결부(35)로 압출된다. 이로써, 회전 멈춤체(37)에 의한 공구 홀더(16)의 유지가 해제되어 공구 홀더(16)를 몸체(113)로부터 분리 가능해진다.
공구 홀더(16)를 장착할 경우, 커버를 착탈 위치(127)로 이동시켜 공구 홀더(16)를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에 삽입한다. 그리고, 회전 멈춤홈(25)이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위치에 왔을 때, 커버(131)를 가공 위치(129)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절결부(35)로부터 회전 멈춤체(37)가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과 회전 멈춤홈(25)으로 이동되고, 공구 홀더(16)가 회전 멈춤체(37)와 걸림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각종 대체예, 수정예, 변형예 혹은 개량예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100 디버링 공구
11 섕크
12 섕크축
13, 113 몸체
14 숫나사부
15 실린더실
16 공구 홀더
17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
18 공구 홀더 유지 구멍
19, 119 푸셔
21 제1 탄성체
22 암나사부
23 공구
24 스프링 유지 구멍
25 회전 멈춤홈
26 외통면
27, 127 착탈 위치
28 공구 유지 구멍
29, 129 가공 위치
31, 131 커버
33 누름면
35 절결부
37 회전 멈춤체
39 회전 멈춤체 유지면
147 스톱퍼
148 제2 탄성체
149 긴 구멍
151 핀 부재

Claims (16)

  1. 몸체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13)로서,
    상기 몸체(13)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실린더실(15)로서, 선단(先端) 방향으로 개구(開口)를 가지는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을 가지는 실린더실(15)과
    지름 방향으로 상기 몸체(13)를 관통하는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
    을 가지는 몸체(13),
    공구 홀더(16)로서, 상기 공구 홀더(16)의 외주(外周)에 형성되는 회전 멈춤홈(25)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실(15)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실(15)을 왕복하는 공구 홀더(16),
    상기 실린더실(15)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구 홀더(16)를 선단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제1 탄성체(21),
    상기 몸체(13)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 중심축을 따라 착탈 위치(27)와 가공 위치(29)를 왕복 가능한 커버(31)로서,
    상기 가공 위치(29)에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을 덮는 누름면(33)과
    상기 커버(31)의 내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오목해지는 절결부(35)
    를 가지는 커버(31),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멈춤홈(25)과 상기 누름면(33) 사이에서 이동하는 회전 멈춤체(37, 42)로서, 상기 커버(31)가 상기 착탈 위치(27)에 위치되고, 상기 공구 홀더(16)가 상기 공구 홀더 유지 구멍(18)으로부터 인발될 때 상기 절결부(35)에 수용되는 회전 멈춤체(37, 42)
    를 포함하는 처리 공구(10,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3)는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37)를 유지하는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을 가지고,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멈춤체(37, 42)의 빠짐을 방지하는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41)를 더 포함하는 처리 공구(10, 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 빠짐방지부(41)는 상기 회전 멈춤체(37, 42)를 따른 유지 구면(球面)(43)을 포함하는 처리 공구(10, 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상기 회전 멈춤체(37, 42)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 중심축과 직교하는 선에 대하여 경사지는 처리 공구(10, 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원통면인 처리 공구(10, 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의 둘레 방향에서의 중심축은 상기 몸체 중심축을 통과하지 않는 처리 공구(10, 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면(39)은 상기 회전 멈춤체(37, 42)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몸체 중심축과 직교하는 선에 대하여 처리 공구(10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처리 공구(10, 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37, 42)가 상기 커버(31)의 상기 누름면(33)과 상기 회전 멈춤홈(25)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 멈춤체(37)의 중심이 상기 회전 멈춤체 유지 구멍(17)에 위치되는 처리 공구(10, 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37)는 볼(37)인 처리 공구(10, 100).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체(42)는 핀(42)인 처리 공구(10, 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홈(25)은 상기 몸체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처리 공구(10, 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홈(25)은 디버링(deburring) 공구(10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의 배향으로, 기단(基端)측으로 나아가는 나선 형상인 처리 공구(10, 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실(15) 내를 왕복하고, 상기 공구 홀더(16)를 선단 방향으로 부세하는 푸셔(pusher)(19)를 더 포함하는 처리 공구(10, 1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3)와 상기 커버(131)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실(146)과
    상기 탄성체실(146)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131)를 상기 착탈 위치(129)로부터 상기 가공 위치(127)를 향하여 부세하는 제2 탄성체(148)를 더 포함하는 처리 공구(10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홀더(16)는 공구를 탈착 가능한 처리 공구(10, 10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섕크(11)로서, 상기 몸체(13)와 접속되는 섕크(11)를 더 포함하는 처리 공구(10, 100).
KR1020220126823A 2021-10-14 2022-10-05 처리 공구 KR20230053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68775A JP7260612B1 (ja) 2021-10-14 2021-10-14 処理工具
JPJP-P-2021-168775 2021-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512A true KR20230053512A (ko) 2023-04-21

Family

ID=8399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23A KR20230053512A (ko) 2021-10-14 2022-10-05 처리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24359A1 (ko)
EP (1) EP4166263A1 (ko)
JP (1) JP7260612B1 (ko)
KR (1) KR20230053512A (ko)
CN (1) CN115971574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910B1 (ko) * 1967-07-13 1975-02-25
US3521314A (en) * 1967-09-19 1970-07-21 Numertap Inc Torque limiting tool holder
JPS4936059Y1 (ko) * 1968-01-24 1974-10-01
JPS50305Y1 (ko) * 1969-05-17 1975-01-07
JPS4867378U (ko) * 1971-11-26 1973-08-27
JPS5352703Y2 (ko) * 1974-10-12 1978-12-16
DE2511148C3 (de) * 1975-03-14 1981-08-13 Otto Bilz, Werkzeugfabrik, 7302 Ostfildern Überlastkupplungseinrichtung für Gewindeschneidfutter oder Schnellwechseleinsätze für diese
GB1603885A (en) * 1977-05-23 1981-12-02 Boeing Co Tool for use in a tool-holding chuck
JP3359288B2 (ja) 1998-06-30 2002-12-24 政人 石井 チャック
EP1607160B1 (en) 1999-10-19 2008-09-10 Kabushiki Kaisha Miyanaga A cutter for use with a quick exchange chuck
JP6025580B2 (ja) 2013-01-24 2016-11-16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バリ取り工具
DE102013103937B4 (de) 2013-04-18 2014-12-04 Bilz Werkzeugfabrik Gmbh & Co. Kg Schnellwechselsystem für eine Werkzeugaufnahme
DE102015106162A1 (de) 2015-04-22 2016-10-27 Röhm Gmbh Präzisionsspannsystem
DE202016100106U1 (de) * 2016-01-12 2016-03-29 Shin-Yain Industrial Co. Ltd. Einstellbarer Schwingungsdämpfungs-Schneidenhalter
JP6467546B1 (ja) 2018-07-05 2019-02-13 カトウ工機株式会社 加工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8946A (ja) 2023-04-26
CN115971574A (zh) 2023-04-18
EP4166263A1 (en) 2023-04-19
US20230124359A1 (en) 2023-04-20
JP7260612B1 (ja)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529B2 (en) Router bit system
JP4308250B2 (ja) 外科用回転駆動ハンドピース
US5435672A (en) Hole saw having plug ejection feature
US5427480A (en) Boring tool having an adjustable cutter element
CN112643136B (zh) 飞边去除工具以及飞边去除方法
US7568866B2 (en) Cutting tool
KR102360161B1 (ko) 스핀들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US20040040424A1 (en) Expanding collet assembly for pick-off spindle
KR20230053512A (ko) 처리 공구
JP2022074543A (ja) バリ取り工具及びバリ取り方法
US3762732A (en) Clamping device or chuck
JP7065055B2 (ja) バリ取り工具およびバリ取り方法
EP3838458B1 (en) Clamping device for tool holder
KR100319349B1 (ko) 슬로팅 공구
US20020134203A1 (en) Hand-operated multifunction tool
US20220126374A1 (en) Deburring apparatus and deburring method
JP3246578U (ja) 処理工具
JP3978010B2 (ja) ねじ山バリ取り工具
EP3995241B1 (en) Deburring tool and deburring method
CN219703606U (zh) 钻接杆
JP4287723B2 (ja) 工具連結構造及び工具装着部材
US20240075541A1 (en) Deburring tool
JP4088072B2 (ja) 保持具
SU161852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инструмента в шпинделе станка
JPH022945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