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217A -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217A
KR20230053217A KR1020210136506A KR20210136506A KR20230053217A KR 20230053217 A KR20230053217 A KR 20230053217A KR 1020210136506 A KR1020210136506 A KR 1020210136506A KR 20210136506 A KR20210136506 A KR 20210136506A KR 20230053217 A KR20230053217 A KR 2023005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equipment
unit
selectively
information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024B1 (ko
Inventor
방병주
Original Assignee
방병주
주식회사 비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병주, 주식회사 비엔아이 filed Critical 방병주
Priority to KR102021013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0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장비 차량에 제공되어, 중장비 차량 주행 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콜렉팅 유닛;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가공하여, 중장비의 차량의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크리에이팅 유닛; 및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 받아,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여 크리에이팅 정보를 시각화하는 에미팅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of heavy equipment by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 selectively}
본 발명은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 현장의 중장비 차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중장비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작업 현장의 안전 기준을 준수하는지 파악하고, 중장비의 운행 정보를 시각화 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2010년 이후, 건설기계 교통사고가 연평균 2000건 가까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사망자도 매년 100명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교통안전공단에서 발간한 '건설기계 교통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9703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535명이 사망, 1만5511명이 부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위 통계에 따르면, 1940건의 건설기계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107명이 사망, 3102명이 부상한 셈이다.
연도별 사고 발생건수는 2011년 1684건, 2012년 1686건, 2013년 1955건, 2014년 2025건, 지난해 2353건 등이다.
사망자는 같은 기간 차례대로 101명, 113명, 114명, 104명, 103명으로 집계됐다. 부상자는 2011년 2664명에서 지난해 3617명으로 증가했다.
건설기계의 안전 사고와 관련하여, 과속으로 기인한 안전사고의 경우, 기존 중장비, 지게차 등에서 속도 센싱 및 제어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것이 대다수이며, 이러한 장비에서는 중장비 속도 감지 및 제한에 따른 추가적인 장치를 통해 안전사고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지게차 등 중장비와 관련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인 시도가 존재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지게차의 주행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등록번호 제10-1343837호, 특허문헌1)”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지게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주행속도 감지수단과; 주행속도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주행속도와 미리 설정된 최고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입력된 주행속도가 더 크면, 엔진이 미리 설정된 출력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고, 주행속도 감지수단에서 입력된 주행속도와 미리 설정된 최저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입력된 주행속도가 더 작으면, 엔진이 미리 설정된 출력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허용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한다. 그리고 주행속도 제어방법은, 지게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주행속도가 최고제한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감지된 주행속도가 최고제한속도 이상이면, 엔진출력제한신호를 출력하여 엔진이 기 설정된 출력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는 단계와; 감지된 주행속도가 최고제한속도 이하이면, 감지된 주행속도가 최저제한속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감지된 주행속도가 최저제한속도 이하이면, 엔진출력상승허용신호를 출력하여 엔진이 기 설정된 출력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공개번호 제10-2019-0138190호, 특허문헌2)”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중장비의 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한 가속도정보와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송신하는 측정 단말기; 가속도정보를 수신하고 가속도의 변화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과 대비하여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중장비가 공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작업기계의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속도 제어방법(공개번호 제10-2016-0041135호, 특허문헌3)”이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작업기계의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속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기계의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은, 작업기계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 임의대로 바꾸기 위한 조향장치; 조향장치의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조향축에 설치되며, 조향각도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각도 감지장치; 조향각도 신호에 의한 조향각도 값에 따라 조향각도량 별 허용 주행속도 데이터와 비교하고, 주행속도 데이터 값을 산출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주행속도 데이터 값을 토대로 구동부 회전수 감소 신호를 발생시켜 주행 구동부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주행속도를 연속적으로 자동 감속시키는 주행속도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지게차에서의 경사로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공개번호 제10-2018-0071733호, 특허문헌4)”이 존재한다.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제어부가 기울기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울기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지게차가 경사로를 주행함을 판단하고, 중량물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중량물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지게차에 중량물이 적재되었음을 판단하고, 가속페달 작동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가속페달 작동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가속페달이 미작동 되었음을 판단하고, 주행속도 감지부로부터의 주행속도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지게차가 가속되었음을 판단하고서, 자체 메모리에 설정된 감속 정도를 확인하여, 해당 설정된 감속 정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유압 구동원에 인가하여서 유압 구동원에 의해 유압식 변속기의 클러치에 인가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경사로에서의 지게차 주행속도를 설정 감속 정도 이내로 감속시키도록 제어한다.
종래 기술들의 경우, 속도 제어 장치 혹은 속도 감지 장치 등이 구비되지 않은 중장비에 간단하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존재한다. 즉, 내부의 장치를 개조 혹은 업그레이드하기 위하여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설정 변경이 필요한데, 이는 비용이 크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임비 등의 추가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이러한 장치의 설정과 장착을 진행하는 중에는 중장비를 운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들 종래 중장비 내부 시스템을 조정 변경하는 등의 방법은 차량 개조와 관련된 법규의 규제 법령을 회피해야 하는 문제 혹은 법령 개정이 필요한 문제등이 함께 존재할 뿐만 아니라, 기존 중장비를 개조한다고 하더라도 개조 혹은 설정 변경된 중장비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개조 혹은 설정 변경에서 발생된 번거로움과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343837호 공개번호 제10-2019-0138190호 공개번호 제10-2016-0041135호 공개번호 제10-2018-0071733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중장비에 소정의 센서 등을 장착하여 중장비의 내적 정보를 획득하고자 한다.
둘째, 중장비 운행 시 작업현장의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지 중장비의 내적 정보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중장비의 운행 중 중장비의 내적 정보가 안전 기준에 초과 또는 미달할 경우 소정의 전자기파를 방출하여 알리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장비 차량에 제공되어, 상기 중장비 차량 주행 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콜렉팅 유닛(collecting unit); 상기 콜렉팅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중장비의 차량의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크리에이팅 유닛(creating unit); 및 상기 중장비에 제공되어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받아,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여 상기 크리에이팅 정보를 시각화하는 에미팅 유닛(emitt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콜렉팅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중장비 차량의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리시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외부 서버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는 스탠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와 상기 소정의 기준과 상호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상기 소정의 기준보다 초과되면, 오버 밸류(over value)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오버 일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팅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상기 소정의 기준과 상호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상기 소정의 기준보다 미달되면, 다운 밸류(down value)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다운 일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에미팅 유닛은, 복수 개의 라이팅셀(lighting cell)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라이팅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팅셀을 통해 상기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에미팅 유닛은, 상기 오버 일드부로부터 상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에미팅 유닛은, 상기 오버 일드부로부터 상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라이팅셀을 각각 개별적으로 온오프하여, 미리 설정된 쉐입으로 상기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장비 차량의 상기 소정의 기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중장비 차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중장비 차량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상기 에미팅 유닛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중장비 차량 또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상기 중장비 차량과 상기 모니터링 유닛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되면, 상기 복수 개의 라이팅셀의 인텐서티(intensity)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중장비에 소정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중장비 운행 중에도 중장비의 내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획득한 중장비의 내적 정보와 작업 현장의 안전 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기준 초과 또는 기준 미달 여부를 선택적으로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중장비의 운행 중 중장비의 내적 정보가 안전 기준에 초과 또는 미달할 경우 소정의 전자기파 방출을 통해 크리에이팅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크리에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가상의 경계라인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레졸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미리 설정된 쉐입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인텐서티 조절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버추얼 컨투어 라인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크리에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가상의 경계라인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레졸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미리 설정된 쉐입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인텐서티 조절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에미팅 유닛의 버추얼 컨투어 라인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에서 이동하는 중장비 차량(1) 예컨대, 지게차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운행 중인 중장비의 정보를 획득하고, 작업 현장의 안전 기준을 준수하는지 파악하여, 중장비의 운행 정보를 관리자(2)로 하여금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중장비 차량(1)은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에 쓰이는 것을 총칭하며, 불도저, 굴삭기, 로더, 지게차, 스크레이퍼, 덤프트럭, 기중기, 모더 그레이더, 로울러 등의 건설 기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도1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팅 유닛(collecting unit, 100), 크리에이팅 유닛(creating unit, 200), 에미팅 유닛(emitting unit, 300), 및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 4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콜렉팅 유닛(100)의 경우, 중장비 차량(1)에 제공되어, 중장비 차량(1) 주행 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는 중장비 차량(1)의 중량(운전 중량, 적재 중량), 제동거리, 주행 속도, 주행 위치, 엔진 출력, 유압, 운행 시간, 작업 반경, 제동 거리 등, 중장비 주행 시 측정되는 모든 실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콜렉팅 유닛(100)은 중장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장착되어,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콜렉팅 유닛(100)은 중장비 차량(1)의 바퀴에 장착되어,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 중,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콜렉팅 유닛(100)은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기 센서, 진동 센서, 이미지 센서, 라이다 센서, 초음파 센서, 압력 센서, 또는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중장비에 고정 부착되어,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위에서 상술한 센서들은 이미 상용화된 것으로 자세한 기작을 생략한다.
콜렉팅 유닛(100)에서 획득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들은 외부 서버와의 통신과 네트워킹을 통해 크리에이팅 유닛(200)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리에이팅 유닛(2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팅 유닛(100)으로부터 획득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가공하여, 중장비 차량(1)의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크리에이팅 유닛(2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빙부(210), 스탠다드부(220), 오버 일드부(230), 및 다운 일드부(24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리시빙부(210)의 경우, 콜렉팅 유닛(100)으로부터 획득된 중장비 차량(1)의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구성이다.
리시빙부(210)는 콜렉팅 유닛(100)에서 획득되는 중장비 차량(1)의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 예컨대, 중량(운전 중량, 적재 중량), 제동거리, 주행 속도, 주행 위치, 엔진 출력, 유압, 운행 시간, 작업 반경, 제동 거리 등, 중장비 주행 시 측정되는 모든 정보를 외부 서버를 통해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리시빙부(210)는 중장비 차량(1)의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수신 받도록 한다.
스탠다드부(220)의 경우, 외부 서버를 통해 관리자(2)로부터 소정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는 구성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기준은 각각의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에서의 지정된 안전 기준이나 안전관리 지침서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스탠다드부(220)는 리시빙부(210)로부터 수신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2)로부터 선택적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리시빙부(210)로 수신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일 경우, 스탠다드부(220)는 관리자(2)로부터 속도와 관련된 기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속도와 관련된 기준 정보는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에서 중장비 차량(1)이 지켜야할 규정 속도 정보가 될 수 있다.
오버 일드부(230)는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와 소정의 기준을 상호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소정의 기준보다 초과되면 오버 밸류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 차량(1)으로부터 제공된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 정보(10km)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2)로부터 작업 현장의 규정 속도 정보(5km)를 제공받게 된다.
오버 일드부(230)는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10km)와 작업 현장의 규정 속도(5km)를 비교 분석하여, 현재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가 규정 속도보다 5km 초과된 것을 산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오버 밸류는 5km가 될 수 있다.
다운 일드부(240)는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와 소정의 기준을 상호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소정의 기준보다 미달되면, 다운 밸류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 차량(1)으로부터 주행 속도 정보(3km)를 수신 받고, 관리자(2)로부터 작업 현장의 규정 속도 정보(5km)를 제공받게 된다.
다운 일드부(240)는 현재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3km)와 작업 현장의 규정 속도(5km)를 비교 분석하여, 현재 중장비 차량(1)의 주행 속도가 규정 속도보다 2km 미달되는 것을 산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운 밸류는 2km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리에이팅 유닛(200)은 크리에이팅 정보인 오버 밸류와 다운 밸류 정보를 산출하여, 현재 중장비 차량(1)이 지정된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에미팅 유닛(300)의 경우,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에 제공되어, 크리에이팅 유닛(200)으로부터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 받아,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여, 크리에이팅 정보를 시각화 하는 구성이다.
에미팅 유닛(3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 차량(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고정 부착되는 것이며, 에미팅 유닛(30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중장비 차량(1)의 어느 곳에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미팅 유닛(300)의 소정의 전자기파는 가시광선 영역대(380-750nm)의 전자기파가 선택적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에미팅 유닛(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경계선(line1, line2)을 설정하고, 임의의 경계선(line1, line2)에 따라서 소정의 전자기파의 영역대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각각 상이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경계선(line1, line2)으로 에미팅 유닛(300)의 구역을 선택적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A영역에는 570-590nm, B영역에는 490-570nm, C영역에는 380-420nm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에미팅 유닛(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방출하더라도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미팅 유닛(300)은 이미 상용화된 발광 다이오드와 유사한 원리로 전압이 가해지면 전자기파를 빛 에너지로 방출시키는 것으로 자세한 기작은 생략한다.
에미팅 유닛(300)은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팅셀을 통해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에미팅 유닛(3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개수와 크기는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미팅 유닛(300)의 레졸루션(resolution)은 단위 면적당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크기와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6의(a)의 라이팅셀(301a)과 도6의 (b)의 라이팅셀(301b)을 통해 에미팅 유닛(300)의 레졸루션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도6의 (b)의 라이팅셀(301b)의 사이즈가 더 작고 개수는 많으므로, 도6의 (b)의 에미팅 유닛(300)의 레졸루션이 높으며, 에미팅 유닛(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소정의 전자기파를 통해 선명하고 섬세하게 크리에이팅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에미팅 유닛(300)의 레졸루션은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에미팅 유닛(300)은 크리에이팅 유닛(200)으로부터 산출된 크리에이팅 정보를 소정의 전자기파 형태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에미팅 유닛(300)으로 오버 일드부(230)로부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다운 일드부(240)로부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는 오버 밸류와 다운 밸류에 따라 상이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것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630-750nm의 전자기파가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미팅 유닛(300)은 오버 일드부(230)로부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을 각각 개별적이고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미리 설정된 쉐입으로 소정의 전자기파를 방출하도록 한다.
아울러, 에미팅 유닛(300)은 다운 일드부(240)로부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을 각각 개별적이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미리 설정된 쉐입으로 소정의 전자기파를 방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설정된 쉐입은 각각의 오버 밸류와 다운 밸류의 정보를 시각화하기 위한 쉐입으로 관리자(2)와 미리 약속된 형상으로, 관리자(2)가 중장비 차량(1)을 모니터링할 때, 오버 밸류와 다운 밸류를 단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쉐입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쉐입의 크기와 형상은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미팅 유닛(300)의 경우, 임의로 설정 가능한 버추얼 컨투어 라인(virtual contour line, 302)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이란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위에 형성되는 가상의 라인을 의미한다.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은 육안으로는 확인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지털 방식으로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 상에 개념적으로 구획 짓는 것으로 폐루프(closed loop)와 같은 것이다.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은 얼마든지 목적하는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어레이(array)를 정의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그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의 형상이 목적하는 바에 따라 임의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의 크기 또한 목적하는 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라이팅셀로 이루어진 집합체로 정의할 수 있다.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은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어레이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미리 설정된 쉐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어레이 내에 속하는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는 미리 설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지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가 선택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버추얼 컨투어 라인(302)은 육안 관찰이 되지 않는 가상의 라인에 해당되지만, 어레이 내에 속한 복수 개의 라이팅셀(302)로부터 방출되는 소정의 전자기파의 형상을 통해 어레이의 형태가 드러나게 된다.
모니터링 유닛(400)의 경우, 중장비 차량(1)의 소정의 기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관리자(2)로 하여금 중장비 차량(1)을 모니터링하여 중장비 차량(1)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기 위한 구성이다.
모니터링 유닛(400)은 관리자(2)로 하여금 작업 현장이나 공사 현장에서 운행 중인 중장비 차량(1)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모니터링 유닛(400)에서는 중장비 차량(1)의 위치와 모니터링 유닛(4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각각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에미팅 유닛(300)은 중장비 차량(1)의 위치 정보와 모니터링 유닛(400)의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중장비 차량(1)과 모니터링 유닛(40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중장비 차량(1)과 모니터링 유닛(400)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되면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인텐서티(intensity)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중장비 차량(1)에 모니터링 유닛(400)이 근접할 경우, 도8의 (a)와 같이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인텐서티는 감소되며, 도8의 (b)와 같이 중장비 차량(1)과 모니터링 유닛(4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인텐서티는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라이팅셀(301)의 인텐서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관리자(2)의 위치와 상관없이 목적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중장비 차량
2: 관리자
100: 콜렉팅 유닛
200: 크리에이팅 유닛
210: 리시빙부
2 20: 스탠다드부
230: 오버 일드부
240: 다운 일드부
300: 에미팅 유닛
301: 복수 개의 라이팅셀
302: 버추얼 컨투어 라인
400: 모니터링 유닛

Claims (10)

  1. 중장비 차량에 제공되어, 상기 중장비 차량 주행 시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콜렉팅 유닛(collecting unit);
    상기 콜렉팅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중장비의 차량의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크리에이팅 유닛(creating unit); 및
    상기 중장비 차량에 제공되어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상기 크리에이팅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 받아,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여 상기 크리에이팅 정보를 시각화하는 에미팅 유닛(emitt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콜렉팅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중장비 차량의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리시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외부 서버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는 스탠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와 상기 소정의 기준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상기 소정의 기준보다 초과되면, 오버 밸류(over value)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오버 일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와 상기 소정의 기준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내적 정보가 상기 소정의 기준보다 미달되면, 다운 밸류(down value)를 선택적으로 산출하는 다운 일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팅 유닛은,
    복수 개의 라이팅셀(lighting cell)로 구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라이팅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팅셀을 통해 상기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팅 유닛은,
    상기 오버 일드부로부터 상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팅 유닛은,
    상기 오버 일드부로부터 상기 오버 밸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라이팅셀을 각각 개별적으로 온오프하여, 미리 설정된 쉐입으로 상기 소정의 전자기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장비 차량의 상기 소정의 기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중장비 차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중장비 차량을 선택적으로 콘트롤하는 모니터링 유닛(monitor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팅 유닛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중장비 차량 또는 상기 모니터링 유닛의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상기 중장비 차량과 상기 모니터링 유닛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되면, 상기 복수 개의 라이팅셀의 인텐서티(intensity)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36506A 2021-10-14 2021-10-14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8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06A KR102582024B1 (ko) 2021-10-14 2021-10-14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06A KR102582024B1 (ko) 2021-10-14 2021-10-14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17A true KR20230053217A (ko) 2023-04-21
KR102582024B1 KR102582024B1 (ko) 2023-09-25

Family

ID=8609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06A KR102582024B1 (ko) 2021-10-14 2021-10-14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02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323A (ko) * 2011-11-15 2013-05-23 에스엘 주식회사 위치 기반 헤드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43837B1 (ko) 2006-12-27 2013-12-20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주행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044491A (ja)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警報装置、端末装置、警報システム、警報出力方法、通知方法
EP2826667A1 (en) * 2013-07-03 2015-01-21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system
KR20150049649A (ko) * 2013-10-30 2015-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게차 제어 시스템
KR20160041135A (ko) 2014-10-06 2016-04-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기계의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속도 제어방법
KR20180071733A (ko) 2016-12-20 2018-06-28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에서의 경사로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1824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138190A (ko) 2018-06-04 2019-12-12 (주)에이스개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37B1 (ko) 2006-12-27 2013-12-20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주행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3323A (ko) * 2011-11-15 2013-05-23 에스엘 주식회사 위치 기반 헤드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4044491A (ja)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警報装置、端末装置、警報システム、警報出力方法、通知方法
EP2826667A1 (en) * 2013-07-03 2015-01-21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system
KR20150049649A (ko) * 2013-10-30 2015-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게차 제어 시스템
KR20160041135A (ko) 2014-10-06 2016-04-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기계의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속도 제어방법
KR20180071733A (ko) 2016-12-20 2018-06-28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에서의 경사로 주행속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1824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90138190A (ko) 2018-06-04 2019-12-12 (주)에이스개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024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29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an industrial vehicle
CA2768583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riving direction of an electric drive machine
CN103403778B (zh) 行驶支援装置及方法
JP5990285B2 (ja) 運搬車両
US20160200252A1 (en) Surroundings monitoring device for work machine
US20120130582A1 (en) Machine control system implementing intention mapping
EP3967813A1 (en) Work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JP6266809B1 (ja)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管理システム
JP7483737B2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US20160355184A1 (en) Mine Truck to Mine Truck Communication
US201701136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chine
KR20120067762A (ko) 능동 안전을 위한 저속 근거리 충돌회피알고리즘을 이용한 충돌방지장치
KR20230053217A (ko) 선택적 전자기파 방출을 통한 중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CN111731266B (zh) 基于车轮滑移的轮缘拉力极限
US10776638B2 (en) Cold planer rotor collision avoidance
KR20210101634A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건설 장비
KR20200133876A (ko) 건설장비의 장애물 충돌방지시스템
US12036962B2 (en) Monitoring machine brake performance
KR102331429B1 (ko) 선택적 제한 속도 설정을 통한 중장비 바퀴 장착형 속도 모니터링 시스템
CA3124562A1 (en) Brake dragging detection and mitigation
JP2021031835A (ja) 記録システム
JP7467256B2 (ja) 建設車両の障害物検知装置
WO2023080114A1 (ja) 作業機械
KR20220157006A (ko) 셀프 차징이 가능한 중장비 바퀴 장착형 속도 모니터링 시스템
JP2022043418A (ja) 重機の自動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