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592A -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592A
KR20230052592A KR1020210135831A KR20210135831A KR20230052592A KR 20230052592 A KR20230052592 A KR 20230052592A KR 1020210135831 A KR1020210135831 A KR 1020210135831A KR 20210135831 A KR20210135831 A KR 20210135831A KR 20230052592 A KR20230052592 A KR 2023005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 address
vehicle
parking
uni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665B1 (ko
Inventor
이성진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성진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21013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에 의해 보안이 강화된 출입통제 및 주차장 내 위치추적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Security-enhanced unmann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AC address of driver's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에 의해 보안이 강화된 출입통제 및 주차장 내 위치추적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차장 관리자는 주차장에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을 적용하여 최대한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은 차량의 진입 및 진출 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진입 시 인식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입차를 허용하고, 입차 시간을 기록하여 출차 시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입차 시부터 출차 시까지의 주차 시간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출차를 허용한다.
또한, 등록 차량에 대해서,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한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등록되어 차량번호와 일치하면 출입 및 출차를 허용한다.
그러나 최근에 이슈화되고 있는 바와 같이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단순한 차량번호 인식만을 수행하므로 차량의 번호판이 가짜인지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종래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을 설치한 주차장에서 가짜 번호판을 이용한 외부인의 주차장 불법 이용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짜 번호판을 이용한 주차장 이용으로 인해 가짜 번호판의 차량번호를 실제 사용하는 차주에게 주차 비용이 청구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번호판에 홀로그램을 추가하는 방안이 적용되고 있으나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이 홀로그램을 인식하지 못하여 가짜 번호판을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입 차량의 차종, 색 등까지 식별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 또한 동일 색의 동일 차종에 대한 가짜 번호판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원천적인 문제해결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차량의 가짜 번호판을 이용하여 주차장을 이용할 수 없는 보안이 강화된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1973호(2020.06.04.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에 의해 보안이 강화된 출입통제 및 주차장 내 위치추적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은: 주차장 출입구에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인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차량 출입부; 주차영역의 층별로 설치되어 주차영역으로 진입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상기 맥어드레스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차량 추적부; 및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여 주차 관제를 수행하는 주차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출입부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차량번호판의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LPR; 및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신호로부터 접속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맥어드레스, 수신호전계강도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구 위치추적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검출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해 상기 차량 추적부를 통해 추적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정보를 저장하는 주차관제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접속해 있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여 주차 관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하는 입차 처리부; 상기 차량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는 주차 차량 추적부; 및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한 상기 주차영역의 위치가 일정 시간 이상 변하지 않다가 주차영역이 변하되 이동 속도가 느려지면 상기 일정 시간 이상 변하지 않는 주차영역의 위치를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결정한 후 상기 주차관제 DB의 상기 맥어드레스 및 차량번호에 맵핑하여 주차영역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차량 추적부는,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의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차영역을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추적부의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층의 주차영역의 각 위치가 적어도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송수신영역이 중첩되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되되, 상기 주차 차량 추적부는, 하나의 맥어드레스에 대해 적어도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정보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 및 상기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1)의 각 위치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차장을 정기적으로 이용하기로 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차량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 검출부는, 일정 시간 주차영역의 위치 이동이 없는 경우 위치 추적정보에 포함된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맥어드레스가 상기 주차차량 DB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맥어드레스에 맵핑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현재 파악된 주차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주차위치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받아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을 가지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은: 주차장 출입구에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인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차량 출입부; 및 미리 등록된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의 입력 시 운전자에 대응하는 맥어드레스를 선택한 후,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선택된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출차를 허용하는 주차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출입부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차량번호판의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LPR; 및 상기 LPR을 통해 차량번호 인식 시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신호로부터 접속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맥어드레스, 수신호전계강도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구 위치추적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차량 DB, 맥어드레스 검출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예외자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접속해 있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미리 등록된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주차차량 DB에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의 입력 시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한 후, 미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출차를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 및 상기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예외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부;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보안등급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보안 설정부;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의 입력 시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한 후, 미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입차 처리부; 및 상기 출차 처리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출차 감지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출차를 허용하는 출차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부는,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차량번호 등록부; 상기 차량번호 등록 후, 상기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거나 직접 입력받아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주차차량 DB의 해당 차량번호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 및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예외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등록하는 예외자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차량번호 획득부;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 수신 시 상기 차량 출입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받는 맥어드레스 획득부;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운전자 추출부; 및 상기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출입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번호 등록부는, 상기 차량번호 등록 시 최대 동승자 수를 더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의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는, 상기 등록된 최대 동승자 수에 대응하는 동승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입력받아 등록하며,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맥어드레스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 및 상기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한 맥어드레스를 동일 차량의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저장하는 동승자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 검증부는,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동승자의 수 및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 검증부는, 보안등급이 1단계인 경우, 차량번호판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보안등급이 2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보안등급이 3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운전자 맥어드레스 및 동승자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방법은: 제어부가 등록부를 통해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 및 주차장 이용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예외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 과정; 상기 제어부가 보안 설정부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보안등급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보안 설정 과정; 상기 제어부가 입차 처리부를 통해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입력 시, 예외자 DB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수신된 맥어드레스로부터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한 후, 미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입차 처리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출차 처리부를 통해 상기 출차 처리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출차 감지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출차를 허용하는 출차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차량번호 등록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번호 등록 후, 상기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거나 직접 입력받아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주차차량 DB의 해당 차량번호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예외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등록하는 예외자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차 처리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차량번호 획득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 수신 시 상기 차량 출입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받는 맥어드레스 획득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운전자 추출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출입 검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번호 등록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번호 등록 시 최대 동승자 수를 더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의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등록된 최대 동승자 수에 대응하는 동승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입력받아 등록하며, 상기 입차 처리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맥어드레스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 및 상기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한 맥어드레스를 동일 차량의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저장하는 동승자 추출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 검증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동승자의 수 및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 검증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보안등급이 1단계인 경우, 차량번호판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제1보안 출입관제 단계; 상기 제어부가 보안등급이 2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제2보안 출입관제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보안등급이 3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운전자 맥어드레스 및 동승자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제3보안 출입 관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번호인식장치(License Plate Recognition: LPR)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가지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에 의한 출입차 관리를 수행하므로 가짜 번호판을 사용하는 차량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의 맥어드레스에 의한 운전자 신원 확인을 수행하므로 주차장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없이도 LPR에 의해 검출된 차량번호와 운전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관리하므로, 어플리케이션 개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번호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관리하므로,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 차량 등과 같은 차량에 대해 반복적으로 검출되는 맥어드레스를 해당 차량의 공용 운전자로 자동 등록하므로 운전자 등록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출입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행 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주차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주차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주차 관제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출입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시행 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주차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주차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은 차량 출입부(10) 및 주차 관제부(3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차량 추적부(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 출입부(10), 차량 추적부(20) 및 주차 관제부(3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접속하여,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접속한 장치들과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은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근거리통신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된 데이터통신망일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 출입부(10)는 차량번호판인식장치(License Plate Recognition: LPR)(11) 및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WiFi AP, 이하 "액세스 포인트(AP)"라 함)(12)를 포함하여, 도 2와 같이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다.
상기 LPR(11)은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입차 LPR(11-1)과 출차 LPR(11-2)로 구성된다.
차량 출입부(10)의 LPR(11)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고, 차량번호판의 질감 및 돌출 판별에 의한 차량번호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고,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차량번호판의 진위정보 및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 관제부(30)로 전송한다.
상기 AP(12)는 입차하는 차량의 탑승자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와 출차하는 차량의 탑승자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를 분리하여 검출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신호 송수신 방향이 반대인 입차 AP(12-1) 및 출차 AP(1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 동적 빔포밍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12)는 자신의 고유한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접속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신호로부터 접속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맥어드레스, 수신신호전계강도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구 위치추적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부(30)로 전송한다.
차량 추적부(20)는 주차장의 층별로 구성되고 해당 층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는 액세스 포인트(21)들을 포함하여, 해당 층에서의 진입한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들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정보를 주차 관제부(30)로 전송한다.
차량 추적부(20)의 액세스 포인트(21)는 천장 또는 기둥 벽면 상단부에 설치되되 도 3 및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송수신영역(2)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추적부(20)의 액세스 포인트(21)는 도 3과 같이 각 송수신영역(2)이 주차장의 주차영역 중 특정 구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주차장의 각 위치가 세 개의 액세스 포인트(21)의 송수신영역(2)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 차량, 즉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가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21)의 설치 위치에 의해 차량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동일한 맥어드레스를 수신하는 세 개의 액세스 포인트(21)의 설치 위치와 상기 맥어드레스를 가지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에 의한 삼각법에 의해 계산되는 모바일 단말기(40)의 위치에 의해 주차위치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주차 관제부(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 관제 서버(3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주차 관제 서버(31)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어플리케이션 서버(32)는 특정 실시예에만 적용되므로 주차 관제 서버(31), 즉 주차 관제 서버(31)만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부(30) 위주로 설명한다.
주차 관제부(30)는 제1실시예에 따라 상기 차량 출입부(10)를 통해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추적부(2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여 주차 관제를 수행한다.
주차 관제부(30)는 제2실시예에 따라 미리 등록된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출입부(10)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수신 시 운전자에 대응하는 맥어드레스를 선택한 후,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선택된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출차를 허용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3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기(40)로 출입차에 따른 출입차 정보 및 주차위치정보를 제공하며, 주차 관제 서버(31)로부터 특정 모바일 단말기(40)로 전송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40)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정보를 주차 관제 서버(31)로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의 주차 관제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 서버부(31), 즉 주차 관제 서버부(31)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부(3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부(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주차차량 DB(111), 주차관제 DB(112) 및 예외자 DB(113)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주차차량 DB(111)는 상기 주차장을 정기적으로 이용하기로 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동승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한다.
주차관제 DB(112)는 상기 차량 출입부(10)를 통해 검출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해 상기 차량 추적부(20)를 통해 추적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위치추적정보는 주차구역정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주차구역정보는 일 예로, 지하1층 A구역 001(B1A001), 지하2층 C구역 123(B2C123), 지하2층 C구역(B2C) 등의 정보일 수 있을 것이다.
예외자 DB(113)는 맥어드레스 검출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이는 차량 출입부(10) 근처에 있을 수 있는 주차장 관리인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액세스 포인트(12)를 통해 검출되는 맥어드레스들로부터 제외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차장 관리자는 주차장 출입구 관리자, 주차장 전체 관리자, 청소 관리자, 경비 관리자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 DB(114)는 액세스 포인트별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 및 설치 위치(예: 출입구 진입 LPR, 지하1층A구역 등)정보를 저장한다. 액세스 포인트 DB(114)는 액세스 포인트의 송수신영역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1)에 연결된 장치들과 제어부(130)가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입차 처리부(160) 및 출차 처리부(19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등록부(140), 보안등급 설정부(150), 주차 차량 추적부(170), 주차 검출부(180)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부(2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부(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입차 처리부(160), 주차 차량 추적부(170), 주차 검출부(180) 및 출차 처리부(190)를 포함하고, 제2실시예에 따라 등록부(140), 보안등급 설정부(150), 입차 처리부(160) 및 출차 처리부(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 실시예에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90)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등록부(140)는 차량번호 등록부(141),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142), 예외자 등록부(143)를 포함한다.
차량번호 등록부(141)는 접속한 주차장 이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부(미도시)로 차량번호 등록 수단을 제공하여 직접 차량번호 및 이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차량등록정보를 획득하여 주차차량 DB(111)에 저장한다.
또한, 차량번호 등록부(141)는 상기 차량번호 등록 수단을 통해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를 직접 입력받아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142)는 차량등록과는 별도로 운전자 맥어드레스를 등록하는 경우 구동되어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 수단을 이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부로 제공하여 직접 맥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주차차량 DB(111)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다른 실시예로, 운전자가 특정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차 차량 등록 장소에서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을 수행하는 경우,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142)는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 수단을 이용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부에 표시하되, 상기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 수단에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의 서비스셋식별정보(Service Set Identification: SSID)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이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용자 모바일 단말기의 SSID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운전자 맥어드레스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외자 등록부(143)는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관리자의 단말부 등의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SSID 및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예외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등록한다.
예외자 등록부(143) 또한 예외자 등록 수단을 관리자의 단말부에 표시하고, 예외자 등록 수단을 통해 직접 예외자의 맥어드레스를 입력받아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안등급 설정부(150)는 보안등급 설정 수단을 관리자의 단말부에 표시하고, 보안등급 설정 수단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보안등급을 입력받아 보안등급을 설정한다.
입차 처리부(160)는 제1실시예에 따라 차량번호 획득부(161), 맥어드레스 획득부(162), 운전자 추출부(163) 및 입차정보 맵핑부(166)를 포함하고, 제2실시예에 따라 차량번호 획득부(161), 맥어드레스 획득부(162), 운전자 추출부(163), 동승자 추출부(164), 출입 검증부(165) 및 입차정보 맵핑부(166)를 포함하며, 제2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실시예로 운전자 자동 등록부(167)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번호 획득부(161)는 상기 차량 출입부(10)의 입차 LPR(11-1)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여 획득한다.
맥어드레스 획득부(162)는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가 차량 출입부(10)로부터 차량번호 수신 시 입차 액세스 포인트(12-1)로부터 입차 액세스 포인트(12-1)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맥어드레스 및 RSSI를 포함하는 출입구 위치추적정보를 획득하고, RSSI가 가장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추출한다.
이때, 맥어드레스 획득부(162)는 가장 강한 맥어드레스가 예외자 DB(113)에 등록되어 있는 예외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이면 제외하고 다음으로 강한 RSSI를 가지는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151)에서 획득된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추출한다.
동승자 추출부(164)는 상기 예외자 및 운전자를 제외한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 동승자의 맥어드레스로 추출하고, 추출된 맥어드레스의 수를 카운트하여 동승자의 수를 카운트한다.
출입 검증부(165)는 상기 보안등급 설정부(150)에서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차량 출입부(10)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되어 주차차량 DB(111)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한다.
또한, 출입 검증부(165)는 보안등급에 따라 입출차하는 차량의 탑승자 수 및 탑승자의 맥어드레스와 주차차량 DB(111)에 미리 등록된 차량별 탑승자 제한 수 및 탑승자의 맥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탑승자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보안등급이 1단계인 경우, 출입 검증부(165)는 차량번호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보안등급이 2단계인 경우, 출입 검증부(165)는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보안등급이 3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운전자 맥어드레스 및 동승자의 수(입출차 시의 동승자 수 일치 여부), 동승자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입차정보 맵핑부(166)는 입차 결정된 차량의 차량번호, 운전자의 맥어드레스, 동승자 수, 동승자의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주차관제 DB(112)에 저장한다.
주차 차량 추적부(170)는 상기 차량 추적부(2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112)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되는 주차위치정보를 주차관제 DB(112)에 저장한다.
운전자 자동 등록부(167)는 상기 운전자 추출부(163)에 검출된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가 주차차량 DB(111)에 상기 차량번호 획득부(161)를 통해 획득된 차량번호의 차량의 운전자로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출입 검증부(165)에서 동일 맥어드레스로 검증에 실패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 주차차량 DB(111)에 등록한다.
또한, 운전자 자동 등록부(167)는 사전에 맥어드레스 획득부(162)를 통해 획득된 맥어드레스가 아닌 다른 맥어드레스를 가지는 운전자가 등록되어 있을지라도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공유 운전자로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운전자 자동 등록부(167)는 주차차량 DB(111)에 등록되지 않은 운전자의 맥어드레스가 특정 패턴(아침 출근 시간 - 저녁 출근 시간 패턴 등)을 가지고 일정 횟수 이상의 주기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등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차 차량 추적부(17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의 액세스 포인트(21)가 설치된 주차영역을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 차량 추적부(170)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맥어드레스에 대해 적어도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정보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 및 상기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1)의 각 위치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차 검출부(180)는 주차장으로 진입한 차량의 위치추적 중 상기 차량이 주차했는지를 검출 및 판단한다.
주차 검출부(180)는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에 의해 차량이 액세스 포인트(21)의 송수신영역(2)을 지나가는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시간이 상 차량이 특정 송수신영역(2)에 머무르고 있으면 해당 송수신영역(2)의 주차구역, 주차위치에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수신영역(2)에 대응하는 주차구역에 대한 주차영역정보를 생성하여 주차관제 DB(112)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 검출부(180)는 상기 맥어드레스가 특정 송수신영역(2)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렀다가 이전의 송수신영역(2)을 지나가는 속도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가 하차한 후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일정 시간 이상 머물렀던 송수신영역(2)을 주차구역으로 판단하여 주차관제 DB(112)에 주차영역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주차 검출부(180)는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40)에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연동부(2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32)와 연동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40)로 팝업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통해 주차 간주된 주차구역에 주차하였는지를 문의하는 주차 문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아 주차구역을 확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전화번호가 주차차량 DB(11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주차 검출부(180)는 상기 전화번호로 이동통신메시지(SMS, LMS, MMS 등)로 주차 문의 메시지를 발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이동통신메시지를 수신받고, 상기 응답 이동통신메시지를 분석하여 주차구역을 확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출차 처리부(190)는 차량 출입부(10)의 출차 LPR(11-2)을 통한 차량번호 및 출차 액세스 포인트(12-2)를 통한 맥어드레스가 획득되면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입차 시간에 기반한 주차 시간에 따른 주차비 정산 후 해당 차량의 출차를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출차 처리부(19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보안등급에 따라 입차 시와 동일한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에 성공 시 출차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9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32)와 연동하여 서비스 관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40)로 자신의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정보, 주차시간정보, 주차장 이용내역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연동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주차 위치 문의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32)를 통해 주차 관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30)는 차량 출입부(10)의 입차 LPR(11-1) 또는 별도의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차량 진입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111).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입차 LPR(11-1)을 통해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고, 차량번호를 검출한다(S113).
차량번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입차 액세스 포인트(11-1)를 통해 입차 액세스 포인트(11-1)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40)들의 맥어드레스를 획득하고, 획득된 맥어드레스 중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다(S115). 이때, 차량번호판이 가짜이면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운전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차량번호와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주차관제 DB(112)에 저장한다(S117). 이때, 제어부(130)는 예외자 DB(113)를 참조하여 예외자의 맥어드레스를 제거할 수도 있고, 상기 예외자 맥어드레스 및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한 동승자의 맥어드레스를 추출하여 주차관제 DB(112)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맥어드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입차를 허용하여 입차 처리를 하고(S119), 차량 추적부(20)들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추적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가지는 위치추적정보를 전송한 차량 추적부(20)의 액세스 포인트(21)들의 위치정보 또는, 위치정보 및 RSSI에 의해 상기 운전자의 맥어드레스에 대한 차량의 위치를 추적한다(S121).
위치추적 중에 제어부(10)는 주차 검출부(180)를 통해 상기 맥어드레스가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이 주차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23), 해당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정보를 주차관제 DB(112)에 저장한다(S125).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등록부(140)를 통해 주차장을 정기적으로 이용한 이용자의 주차 차량을 등록한다(S211). 이때, 등록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번호,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 최대 동승자 수, 동승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 예외자의 모바일 단말기(40)의 맥어드레스 중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하여 주차차량 DB(111)에 저장할 것이다.
제어부(130)는 주차 차량의 등록 후, 차량 출입부(10)의 입차 LPR(11-1)을 통해 차량 진입이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13),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입차 LPR(11-1)을 통해 차량번호를 획득한다(S215).
차량번호가 획득되면 제어부(130)는 입차 액세스 포인트(12-1)를 통해 맥어드레스를 수집하고(S217), 수집된 맥어드레스들 중 예외자 맥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 제거한다(S219).
예외자의 맥어드레스가 제거되면 제어부(130)는 탑승자 맥어드레스를 검출하고, 동승자 수(운전자(1)를 뺀)를 카운트한다(S2221). 탑승자 맥어드레스는 상기 예외자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한 전체 맥어드레스가 될 것이다.
탑승자 맥어드레스가 추출되면 제어부(130)는 탑승자 맥어드레스 중 RSSI가 가장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검출한다(S223).
차량번호, 운전자의 맥어드레스, 동승자의 수 및 동승자의 맥어드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설정된 보안등급이 1레벨인지(S225), 2레벨인지(S227), 3레벨인지(S229)를 판단한다.
1레벨이면 제어부(130)는 입차 LPR(11-1)을 통해 감지된 차량번호와 주차차량 DB(111)에 등록된 차량번호만을 비교하는 차량번호 검증만을 수행하여(S231), 일치 여부(S233)에 따른 입차 처리를 수행한다(S261).
반면, 2레벨이면 제어부(130)는 먼저 입차 LPR(11-1)을 통해 감지된 차량번호와 주차차량 DB(111)에 등록된 차량번호를 비교하는 차량번호 검증을 수행하고(S241), 그 일치 여부(S243) 판단을 수행한다.
차량번호의 일치 시 제어부(130)는 입차 액세스 포인트(12-1)를 통해 추출된 운전자의 맥어드레스와 주차차량 DB(111)에 등록된 차량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비교하는 운전자 맥어드레스 검증을 수행하고(S245) 그 검증의 성공, 즉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S247) 일치하면 입차 처리를 수행한다(S261).
그리고 3레벨이면 제어부(130)는 상술한 2레벨과 동일하게 검증을 수행하여(S251 ~S257) 검증 성공 시 입차 액세스 포인트(12-1)를 통해 수집된 동승자 수 및 동승자의 맥어드레스와 주차차량 DB(111)에 등록된 최대 탑승자 수 및 동승자의 맥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S259), 일치 시 입차 처리를 수행한다(S261).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차량 출입부 11: LPR
12, 21: 액세스 포인트 20: 차량 추적부
30: 주차 관제부 31: 주차 관제 서버
32: 어플리케이션 서버 40: 모바일 단말기
110: 저장부 111: 주차차량 DB
112: 주차 관제 DB 113: 예외자 DB
114: AP DB 120: 통신부
130: 제어부 140: 등록부
141: 차량번호 등록부 142: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
143: 예외자 등록부 150: 보안등급 설정부
160: 입차 처리부 161: 차량번호 획득부
162: 맥어드레스 획득부 163: 운전자 추출부
164: 동승자 추출부 165: 출입 검증부
166: 입차정보 맵핑부 167: 운전자 자동 등록부
170: 주차 차량 추적부 180: 주차 검출부
190: 출차 처리부 200: 어플리케이션 연동부

Claims (20)

  1. 주차장 출입구에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인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차량 출입부;
    주차영역의 층별로 설치되어 주차영역으로 진입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고, 상기 맥어드레스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차량 추적부; 및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여 주차 관제를 수행하는 주차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부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차량번호판의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LPR; 및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신호로부터 접속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맥어드레스, 수신호전계강도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구 위치추적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검출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해 상기 차량 추적부를 통해 추적되는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정보를 저장하는 주차관제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접속해 있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여 주차 관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의 수신 시 검출되는 상기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하는 입차 처리부;
    상기 차량 추적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추적정보의 맥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상기 주차관제 DB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찾고, 찾아진 맥어드레스에 맵핑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에 기반한 주차영역의 위치를 추적하는 주차 차량 추적부; 및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한 상기 주차영역의 위치가 일정 시간 이상 변하지 않다가 주차영역이 변하되 이동 속도가 느려지면 상기 일정 시간 이상 변하지 않는 주차영역의 위치를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주차한 것으로 결정한 후 상기 주차관제 DB의 상기 맥어드레스 및 차량번호에 맵핑하여 주차영역정보를 저장하는 주차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차량 추적부는,
    상기 위치 추적정보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의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차영역을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추적부의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층의 주차영역의 각 위치가 적어도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송수신영역이 중첩되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되되,
    상기 주차 차량 추적부는,
    하나의 맥어드레스에 대해 적어도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추정정보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 및 상기 셋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21)의 각 위치에 의해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차장을 정기적으로 이용하기로 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차량 DB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차 검출부는,
    일정 시간 주차영역의 위치 이동이 없는 경우 위치 추적정보에 포함된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맥어드레스가 상기 주차차량 DB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맥어드레스에 맵핑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현재 파악된 주차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요청하는 주차위치 확인 메시지를 발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받아 상기 맥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차량번호를 가지는 차량의 주차 위치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8. 주차장 출입구에 구성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인접한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차량 출입부; 및
    미리 등록된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입력 시 운전자에 대응하는 맥어드레스를 선택한 후,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선택된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출차를 허용하는 주차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출입부는,
    차량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차량번호판의 차량번호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LPR; 및
    상기 LPR을 통해 차량번호 인식 시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상기 수신신호로부터 접속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상기 맥어드레스, 수신호전계강도 및 액세스 포인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구 위치추적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부로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주차차량 DB,
    맥어드레스 검출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예외자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접속해 있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LPR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미리 등록된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 및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주차차량 DB에 등록하고,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입력 시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한 후, 미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출차를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 및 상기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예외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부;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보안등급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보안 설정부;
    상기 차량 출입부를 통해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입력 시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한 후, 미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입차 처리부; 및
    상기 출차 처리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출차 감지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출차를 허용하는 출차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차량번호 등록부;
    상기 차량번호 등록 후, 상기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거나 직접 입력받아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주차차량 DB의 해당 차량번호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 및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예외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등록하는 예외자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차량번호 획득부;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 수신 시 상기 차량 출입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받는 맥어드레스 획득부;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운전자 추출부; 및
    상기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출입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등록부는,
    상기 차량번호 등록 시 최대 동승자 수를 더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의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부는,
    상기 등록된 최대 동승자 수에 대응하는 동승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입력받아 등록하며,
    상기 입차 처리부는,
    상기 맥어드레스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 및 상기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한 맥어드레스를 동일 차량의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저장하는 동승자 추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 검증부는,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동승자의 수 및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검증부는,
    보안등급이 1단계인 경우, 차량번호판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보안등급이 2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보안등급이 3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운전자 맥어드레스 및 동승자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16. 제어부가 등록부를 통해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 차량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등록 차량 정보 및 주차장 이용 예외자인 주차장 관리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예외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 과정;
    상기 제어부가 보안 설정부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보안등급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보안 설정 과정;
    상기 제어부가 입차 처리부를 통해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입력 시, 예외자 DB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를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수신된 맥어드레스로부터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한 후, 미리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입차 처리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출차 처리부를 통해 상기 출차 처리된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해 출차 감지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출차를 허용하는 출차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주차관제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차장에 대한 정기 주차권을 구매한 이용자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차량번호 등록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번호 등록 후, 상기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해 있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거나 직접 입력받아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주차차량 DB의 해당 차량번호에 맵핑하여 등록하는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를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고 표시된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하나를 선택받아 상기 예외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등록하는 예외자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주차관제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처리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차량번호 획득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출입부로부터 차량번호 수신 시 상기 차량 출입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받는 맥어드레스 획득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하고 수신신호전계강도가 제일 강한 맥어드레스를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운전자 추출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출입 검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주차관제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등록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번호 등록 시 최대 동승자 수를 더 입력받아 상기 주차차량 DB의 상기 차량번호와 맵핑하여 등록하고,
    운전자 맥어드레스 등록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등록된 최대 동승자 수에 대응하는 동승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입력받아 등록하며,
    상기 입차 처리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맥어드레스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맥어드레스 중 상기 예외자 DB의 맥어드레스 및 상기 운전자의 맥어드레스를 제외한 맥어드레스를 동일 차량의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로 저장하는 동승자 추출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 검증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동승자의 수 및 동승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더 반영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성공 시 입차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주차관제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검증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보안등급이 1단계인 경우, 차량번호판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제1보안 출입관제 단계;
    상기 제어부가 보안등급이 2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및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제2보안 출입관제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보안등급이 3단계인 경우, 차량번호, 운전자 맥어드레스 및 동승자 맥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제3보안 출입 관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주차관제방법.
KR1020210135831A 2021-10-13 2021-10-13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KR102612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831A KR102612665B1 (ko) 2021-10-13 2021-10-13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831A KR102612665B1 (ko) 2021-10-13 2021-10-13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592A true KR20230052592A (ko) 2023-04-20
KR102612665B1 KR102612665B1 (ko) 2023-12-11

Family

ID=8614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831A KR102612665B1 (ko) 2021-10-13 2021-10-13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6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07B1 (ko) * 2013-03-15 2013-11-01 (주)지란지교소프트 차량 탑승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170038649A (ko) * 2015-09-30 2017-04-0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2072A (ko) * 2016-12-08 2017-12-01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90106917A (ko) * 2019-02-21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차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11973B1 (ko) 2018-02-27 2020-06-04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LoRa 통신 기반의 차량번호 인식장치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07B1 (ko) * 2013-03-15 2013-11-01 (주)지란지교소프트 차량 탑승자 인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170038649A (ko) * 2015-09-30 2017-04-07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모바일 주차권 발행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모바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2072A (ko) * 2016-12-08 2017-12-01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111973B1 (ko) 2018-02-27 2020-06-04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LoRa 통신 기반의 차량번호 인식장치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90106917A (ko) * 2019-02-21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차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65B1 (ko)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3734B2 (ja) 駐車オブジェクト検出システム
KR102511364B1 (ko) 주차 영역 접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772187B2 (ja) 出入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8004265A1 (ko) 주차료 자동정산 시스템
US20150294567A1 (en) Automatic regulated parking system and method
KR10140832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WO2016067105A2 (en) Smart parking barrier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US10417853B2 (en) Par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system
KR20170019573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KR102437111B1 (ko)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93279B1 (ko) Qr 코드 인식을 통한 부정주차 판별 시스템
JP6324578B1 (ja) 出庫支援システム
KR101737805B1 (ko) 스마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516433B (zh) 停车场停车控制方法及装置
CN111798622A (zh) 在车队系统中提供移动物体共享服务的方法及设备
KR102001146B1 (ko)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2665B1 (ko) 운전자 모바일 단말기의 맥어드레스를 이용한 보안 강화 무인 주차관제시스템 및 방법
Pareek et al. IoT based prototype for smart vehicle an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123728B1 (ko)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80010396A (ko) 인식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공간 임대 시스템
JP6912972B2 (ja) 路側機、車載器、車載器通信システム、車載器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1351135A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移動体管理制御装置、移動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240878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방법
KR102408808B1 (ko) 이중 번호판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