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872A - 침대 겸용 의자 - Google Patents

침대 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872A
KR20230048872A KR1020210131800A KR20210131800A KR20230048872A KR 20230048872 A KR20230048872 A KR 20230048872A KR 1020210131800 A KR1020210131800 A KR 1020210131800A KR 20210131800 A KR20210131800 A KR 20210131800A KR 20230048872 A KR20230048872 A KR 2023004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ember
cushion
frame
be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완수
원영근
Original Assignee
송완수
원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완수, 원영근 filed Critical 송완수
Priority to KR102021013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872A/ko
Publication of KR2023004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045Seating furniture having loose or by fabric hinge connected cushions changeable to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7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 A47C17/175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with tilting or lifting seat-back-rest pivot
    • A47C17/1753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with tilting or lifting seat-back-rest pivot by sliding,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7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 A47C17/175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with tilting or lifting seat-back-rest pivot
    • A47C17/175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coupled movement of back-rest and seat with tilting or lifting seat-back-rest pivot by pivoted link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하중 분산으로 앉거나 누웠을 때 안정감을 제공함은 물론, 의자 사용모드시 제3쿠션부재의 저면측은 단독적으로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어 고정프레임과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가이드롤러에 하중을 가하는 기존방식의 침대 겸용 의자와는 달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3쿠션부재의 저면이 고정프레임의 수평부분에 비접촉으로 마찰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침대모드 사용시에는 각각 제1쿠션부재는 고정프레임측 가이드롤러에 받쳐지지 않고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상단에 직접 안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롤러의 손상없이 안정감 있는 침대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적용으로 접고 펴는 동작의 취급이 편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 겸용 의자{Chair that doubles as a bed}
본 발명은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침대 혹은 의자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 침대 겸용 의자를 개선하여 사용에 따른 하중 분산으로 앉거나 누웠을 때 안정감을 제공함은 물론, 쿠션부재의 절첩시 발생하였던 쿠션부재의 저부 마찰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며, 쿠션부재의 절첩시 안정감 있는 작동으로 의자와 침대 겸용 사용에 의한 접고 펴는 동작의 취급이 편리하도록 한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자는 사무용부터 특수 목적의 용도에 맞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의자와 침대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의자 용도, 침상용도로 각각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이용자의 편의에 맞게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와 침대를 겸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1430호(명칭: 침대 겸용 의자, 등록일자: 2001년 05월 09,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구성을 살피면, 독립된 상태로 각각 구비된 다수의 쿠션부재와; 이 쿠션부재가 절첩될 수 있도록 각각의 쿠션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이음부재와; 쿠션부재에 대응한 다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침대 겸용 의자는 절첩식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의자 내지 침대로 간편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은 3개의 파트로 이루어진 쿠션부재를 의자 용도로 절첩하거나 침대용도로 펼치는 과정에서 이동프레임에 결합된 쿠션부재의 저면 양측에 마련된 걸림턱 부위와 걸림턱이 마련된 저면은 고정프레임에 구비된 롤러에 마찰되어 쉽게 쿠션부재의 저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측 쿠션부재를 이동시켜 세팅한 상태에서 전반적으로는 이동프레임에 쿠션부재가 받쳐지지만, 의자 사용시 등받이 부분이 되는 쿠션부재의 저면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응되게 구비된 롤러와 수평프레임만에 받쳐지는 형태가 되어 롤러 또한 손상되기 쉽고, 특히 롤러가 받치고 있는 등받이 부분 쿠션부재는 가해진 하중으로 롤러 파손과 함께 쿠션부재 꺼지는 안전사고를 유발시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쿠션부재들을 절첩하여 의자 형태로 세팅하거나, 완전히 펼치는 침대형태로 펼치는 과정에서 오로지 쿠션부재 사이에 마련된 파지부재를 잡고 쿠션부재를 절첩하거나 펼치는 동작은 매끄럽게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는 고정프레임에 연결된 쿠션부재가 브라켓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시 브라켓에 많은 힘이 가해져 브라켓 부위의 손상으로 쿠션부재가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중에는 이동프레임에 연결된 쿠션부재와 고정프렘측에 연결된 쿠션부재 사이에 연결된 또 하나의 쿠션부재 사이는 의자 형태로 세팅시 쿠션부재의 각도를 고려하여 일단측이 경사지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침대로서 펼침 사용시 상기와 같은 경사진 부분은 하나의 골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점은 이용자가 누웠을때 빈 공간을 형성하여 불편함을 제공하며, 작은 물건이 상기와 같은 빈 공간에 떨어지면 반드시 물건을 빼내야만 절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편을 초래한다.
한편, 침대 모드로 사용시 취췸 중의 이용자 팔이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승강되게 마련된 승강프레임에 팔이 부딪히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고통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특히 침대 겸용 의자를 병동의 보호자용 간이 침상으로 사용시 대부분이 침상의 폭을 넓게 제작할 수 없는 이유에서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의 사용목적에서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침대 혹은 의자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 침대 겸용 의자를 개선하여 사용에 따른 하중 분산으로 앉거나 누웠을 때 안정감을 제공함은 물론, 쿠션부재의 절첩시 발생하였던 쿠션부재의 저부 마찰손상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며, 쿠션부재의 절첩시 안정감 있는 작동으로 의자와 침대 겸용 사용에 의한 접고 펴는 동작의 취급이 편리하도록 한 침대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대 겸용 의자는,
독립된 형태의 제1쿠션부재, 제2쿠션부재 및 제3쿠션부재와;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 및 하나의 지지프레임 양단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상호 대응되는 일측에 가이드롤러가 간격지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제1쿠션부재의 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제1쿠션부재의 회동각도를 지지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조로, 상기 제1쿠션부재의 저면 양측을 받치는 고정프레임과;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 양단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제3쿠션부재의 저면이 연결되어져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진출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쿠션부재, 제2쿠션부재 및 제3쿠션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쿠션부재의 저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롤러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제3쿠션부재를 지지하는 롤러안착부재가 구비되고, 롤러안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에 지지되어 제3쿠션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쿠션부재의 저부에는 제3쿠션부재와 이동프레임의 일측을 들어 올리기 위한 손잡이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안착부재는 판상에 호형의 롤러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쿠션부재가 부착된 이동프레임의 상단부는 제1쿠션부재가 부착된 고정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쿠션부재의 저면은 제2 및 제3쿠션부재의 펼쳐짐시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며, 제1쿠션부재의 폭은 상호 대응되는 고정프레임의 양측 폭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쿠션부재, 제2쿠션부재 및 제3쿠션부재이 수평으로 펼쳐짐에 있어, 제2쿠션부재와 제3쿠션부재 사이를 메우기 위한 메움쿠션이 탈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는, 하중 분산으로 앉거나 누웠을 때 안정감을 제공함은 물론, 의자 사용모드시 제3쿠션부재의 저면측은 단독적으로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어 고정프레임과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가이드롤러에 하중을 가하는 기존방식의 침대 겸용 의자와는 달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3쿠션부재의 저면이 고정프레임의 수평부분에 비접촉으로 마찰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침대모드 사용시에는 각각 제1쿠션부재는 고정프레임측 가이드롤러에 받쳐지지 않고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상단에 직접 안치되기 때문에 가이드롤러의 손상없이 안정감 있는 침대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적용으로 접고 펴는 동작의 취급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침대 겸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쿠션부재를 순차적으로 펼쳐 침대로 전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쿠션부재가 이동프레임에 안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는, 독립된 형태의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30), 고정프레임(40), 이동프레임(50), 이음부재(60, 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30)는 도면에서 미도시하였지만, 하판의 상부에 쿠션재가 안치되고, 외측에는 가죽, 또는 인공피혁으로 된 외피가 이들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게 제작된 것이다.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30)는 수평으로 배치시 하나의 침상쿠션용으로, 제1쿠션부재는 의자의 착석부분, 제2쿠션부재 및 제3쿠션부재는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해당하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은 전후측 다리부(40a)와 다리부를 상호 잇는 수평부(40b)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쿠션부재(10)의 저면 양측을 받치는 프레임이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의 다리부(40a)에는 또 하나의 보강프레임(40c)이 부착되고, 고정프레임의 수평부와 상호 대응되는 다리부에 수평프레임(41) 및 하나의 지지프레임(42)의 양단이 부착 조합된다.
상기 수평부(40b)의 일측에는 각각 가이드롤러(43, 44)가 간격지게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수평프레임(41)에는 2개의 힌지브라켓(B)을 이용하여 상기 제1쿠션부재(10)와 연결 설치되며, 제1쿠션부재는 힌지브라켓을 축으로 수평프레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2)과 제1쿠션부재(10)의 일면에는 제1쿠션부재(10)의 회동각도를 지지하는 실린더(45)의 양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45)는 각각 회동가능한 브라켓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쿠션부재(10)의 각도에 따라 회동되고, 이 각도에 따라 작동로드가 진출입되는 실린더이다.
이러한 실린더(45)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혹은 도어의 여닫힘을 단속하는 실린더로서 내부에 오일과 내부 스프링(도면에서 생략함)이 개재되어 오일 압의 변동으로 제1쿠션부재를 쉽게 절첩하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45)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42)의 중간지점은 V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실린더의 회동 동작시 지지프레임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50)은 전후측 다리부(50a)와 다리부를 상호 잇는 수평부(50a)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51) 양단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이 연결되어져 상기 고정프레임(40) 사이에 진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3쿠션부재(30)의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은 힌지브라켓(B)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프레임(50)의 수평부(50b)를 상호 잇는 수평프레임(51)상에 제3쿠션부재(30)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을 기점으로 이동프레임(50)은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를 포함하는 제3쿠션부재(30)와 연결 설치되어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양측이 이격되고 직선방향으로 진출입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이음부재(60)는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2쿠션부재, 제3쿠션부재(30)를 상호 연결하는 경첩으로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부재(70)는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2쿠션부재, 제3쿠션부재(30) 사이에 쿠션재의 외피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 스트립을 덧대어 연결 부착된다.
상기 제1쿠션부재(10)와 제2쿠션부재(20) 사이의 이음부재(70)에는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제3쿠션부재(30)가 모두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를 상향 들어올리기 용이한 손잡이(72)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쿠션부재(30)의 저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롤러(43)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제3쿠션부재(30)를 지지하는 롤러안착부재(32)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안착부재(32)는 판상에 호형의 롤러안착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안착부재(32)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43)에 지지되어 제3쿠션부재(30)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블럭(33)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블럭(33)은 일측이 경사지게 구비되며, 이 경사진 각도는 상기 이동프레임(50)을 고정프레임(40)으로부터 진출시키는 동작에서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이 가이드롤러(43,4 4)에 밀착 안내되는 형태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3쿠션부재(30)의 저부에는 제3쿠션부재와 이동프레임(50)의 일측을 들어 올리기 위한 손잡이부재(34)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3쿠션부재(30)가 부착된 이동프레임(50)의 상단부는 제1쿠션부재(10)가 부착된 고정프레임(4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된 간격은 5~8mm의 간격을 두어 이동프레임의 진출시 제3쿠션부재의 저면이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마찰되는 간섭으로 제3쿠션부재의 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쿠션부재(10)의 저면은 제2 및 제3쿠션부재(20, 30)의 펼쳐짐시 고정프레임(20)의 상단에 안착되며, 제1쿠션부재(10)의 폭은 상호 대응되는 고정프레임(20)의 양측 폭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제1쿠션부재의 저면에 고정프레임의 상단이 받쳐지는 형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10)이 수평으로 펼쳐짐에 있어, 제2쿠션부재(20)와 제3쿠션부재(30) 사이를 메우기 위한 메움쿠션(80)이 탈착되게 구비된다. 상기 메움쿠션(80)의 탈착은 벨크로 타입으로 탈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쿠션부재(10) 또는 제2쿠션부재(20)의 절첩되어 마주하는 일면에 부착부를 두어 메움쿠션(80)은 미사용시 부착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고정프레임(40)과 이동프레임(50)은 4개의 다리부 중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 두개의 다리부에는 캐스터(C)가 구비되고, 나머지 두개의 다리부에는 논슬립형 고정발(D)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프레임에 적용된 캐스터는 전방측의 다리부에, 이동프레임에 적용된 캐스터는 후방측 다리부에 적용시킴으로써, 침대 모드로 사용시 이동프레임의 고정발, 고정프레임의 고정발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되어 쉽게 이동하지 않는 형태로 사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침대 겸용 의자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는 첨부된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고정프레임(40) 내에 이동프레임(50)이 안내된 상태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쿠션부재(30)의 저면 양측에 마련된 지지블럭(33)은 고정프레임(40)의 수평부(40a)에 마련된 두개의 가이드롤러(43, 44) 사이에 위치됨과 동시에, 전방측 가이드롤러(43)의 후방에 상기 지지블럭(33)의 일측이 걸려져 더이상 전방으로 제3쿠션부재(30)가 밀리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측의 가이드롤러(43)는 상기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측 지지블럭(33)의 전방에 마련된 롤러안착부재(32)의 롤로안착홈(32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제3쿠션부재(30)는 의자의 착석 부분이 되고, 제2쿠션부재(20)는 등받이 부분이 되며, 제1쿠션부재(10)는 제2쿠션부재를 받치는 각도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프레임(50)상의 제3쿠션부재(30)는 고정프레임(40)의 수평부(40b)보다 이동프레임(50)의 수평부(B) 높이차이가 바닥면으로부터 높게 형성되어 있고, 제3쿠션부재(30)는 이동프레임(50)의 수평프레임(51)에 힌지브라켓(B)으로 연결되어 안정되게 받쳐진 상태가 된다.
즉, 고정프레임(40)의 수평부(40b) 상단으로부터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은 이격된 상태로서, 착석에 의해 제3쿠션부재(30)에 받는 하중은 이동프레임(50)에 의해 받쳐지고, 전방으로의 밀림은 상기 롤러안착부재(32)와 지지블럭(33)에 의해 제3쿠션부재(30)의 밀림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3쿠션부재(30)가 고정프레임(40)의 상단부로부터 5~8mm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이 고정프레임(40)에 닿아 이동시 마찰되어 손상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의자 모드로 사용할 때 상기 제1쿠션부재(10)는 고정프레임(40)의 수평프레임(41)에 힌지브라켓(B)으로 연결되어 있고, 지지프레임(42)측 실린더(45)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는 안정된 의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의자 형태를 침상, 즉 침대형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고정프레임(40)으로부터 이동프레임(50)을 진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에 마련된 손잡이(34)를 잡고 도 5에서와 같이 제3쿠션부재(30)의 선단을 들어 올리면서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지지블럭(33)은 전방측의 가이드롤러(43)를 넘어서고 이때부터 이동프레임(50)을 전방으로 인출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제3쿠션부재(30)와 각도를 이룬 제2쿠션부재(20), 제1쿠션부재(10)가 이음부재(60,70)를 기점으로 펼쳐져 첨부된 도 6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완전히 펼쳐진다.
상기와 같이 각 쿠션부재가 수평으로 펼쳐지는 동작에 있어, 제1쿠션부재(10)와 지지프레임(42)에 양측이 연결된 실린더(42)의 작동은 급작스럽게 쿠션부재들의 펼쳐지지 않는 보조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각 쿠션부재들이 펼쳐진 상태는 이용자가 눕거나 취침하는 용도의 침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쿠션부재(20)와 제3쿠션부재(30)의 펼침에 의해 남게 되는 공간에는 준비된 메움쿠션(80)을 삽입하여 함몰된 부분을 메꾸어 준다.
상기와 같이 침대형으로 사용시의 제3쿠션부재(30)는 이동프레임(50)상에, 제1쿠션부재(10)는 고정프레임(40)의 수평부(40b) 상부에 그 저부가 안착되고, 제2쿠션부재(20)는 이동프레임(50)과 고정프레임(40) 사이에서 브릿지 형태로 받쳐져 안정감 있는 침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1쿠션부재(10)의 양측은 고정프레임(40)의 수평부(40b)에 받쳐지고, 고정프레임(40)의 양측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취침시 이용자의 팔이 바닥측으로 떨어지더라도 프레임에 부딪히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기존의 침대 겸용 의자의 구성중 승강프레임에 부딪히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침대 모드에서 의자 모드로 다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제1쿠션부재(10)와 제2쿠션부재(20) 사이의 이음부재(70)에 구비된 손잡이(72)를 상향 인출시킨 상태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1쿠션부재와 제2쿠션부재는 도시된 도 6과 같은 형태로 소정의 각도로 세워진다.
이때의 상기 실린더(45)는 눕혀진 상태에서 회동되면서 작동로드는 인출되고, 이동프레임(50)은 후방, 즉, 고정프레임(40) 내부 사이로 수용되어 오며, 여기서 제3쿠션부재(30)의 하부측 지지블럭(33)은 가이드롤러(43)를 타고 넘어 후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3쿠션부재의 저면은 고정프레임의 수평부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동프레임(50)의 후방 이동에 따라 제3쿠션부재의 하부 양측에 마련된 롤러안착부재(32)의 롤러안착홈(32a)에 상기 가이드롤러(43)가 안착되는 상태가 되면, 처음과 같이 의자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쿠션부재 20: 제2쿠션부재
30: 제3쿠션부재 32: 롤러안착부재
32a: 롤러안착홈 33: 지지블럭
34: 손잡이부재 40: 고정프레임
40a: 다리부 40b: 수평부
40c: 보강프레임 41: 수평프레임
42: 지지프레임 43,44: 가이드롤러
45: 실린더 50: 이동프레임
50a: 다리부 50b: 수평부
51: 수평프레임 60, 70: 이음부재
72: 손잡이 80: 메움쿠션
B: 힌지브라켓 C: 캐스터
D: 고정발

Claims (7)

  1. 독립된 형태의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30)와;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41) 및 하나의 지지프레임(42) 양단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상호 대응되는 일측에 가이드롤러(43, 44)가 간격지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2)과 제1쿠션부재(10)의 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제1쿠션부재(10)의 회동각도를 지지하는 실린더(45)를 포함하는 구조로, 상기 제1쿠션부재(10)의 저면 양측을 받치는 고정프레임(40)과;
    하나 이상의 수평프레임(51) 양단에 평행하게 부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제3쿠션부재(30)의 저면이 연결되어져 상기 고정프레임(40) 사이에 진출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프레임(50)과;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30)를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재(60, 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쿠션부재(30)의 저면 양측에 상기 가이드롤러(43)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제3쿠션부재(30)를 지지하는 롤러안착부재(32)가 구비되고, 롤러안착부재(32)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43)에 지지되어 제3쿠션부재(30)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블럭(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쿠션부재(30)의 저부에는 제3쿠션부재와 이동프레임(50)의 일측을 들어 올리기 위한 손잡이부재(3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안착부재(32)는 판상에 호형의 롤러안착홈(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쿠션부재(30)가 부착된 이동프레임(50)의 상단부는 제1쿠션부재(10)가 부착된 고정프레임(4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재(10)의 저면은 제2 및 제3쿠션부재(20, 30)의 펼쳐짐시 고정프레임(20)의 상단에 안착되며, 제1쿠션부재(10)의 폭은 상호 대응되는 고정프레임(20)의 양측 폭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재(10), 제2쿠션부재(20) 및 제3쿠션부재(10)이 수평으로 펼쳐짐에 있어, 제2쿠션부재(20)와 제3쿠션부재(30) 사이를 메우기 위한 메움쿠션(80)이 탈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KR1020210131800A 2021-10-05 2021-10-05 침대 겸용 의자 KR20230048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00A KR20230048872A (ko) 2021-10-05 2021-10-05 침대 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800A KR20230048872A (ko) 2021-10-05 2021-10-05 침대 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872A true KR20230048872A (ko) 2023-04-12

Family

ID=8598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00A KR20230048872A (ko) 2021-10-05 2021-10-05 침대 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88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828B2 (en) Multi-position reclining bed
US8881325B2 (en) Sleeper sofa
JP2021520284A (ja) 多機能車いす
JPH1118863A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US20220322836A1 (en) Sofa bed with glide system
KR20230048872A (ko) 침대 겸용 의자
CN109124120B (zh) 一种助站式躺椅用铁架及其工作方法
JP4552041B2 (ja) 介護用車椅子装置
CN209933245U (zh) 能结合轮椅的照护床
JP3201241U (ja) 介護用ベッド
CN210433150U (zh) 椅子及共享椅
KR101931677B1 (ko) 소파 겸용 침대
JP3014516B2 (ja) 乗物用座席
JP2006288496A (ja) 車椅子
KR101434715B1 (ko) 환자용 목욕 보조구
JP4403567B2 (ja) 車椅子の車台
JP3225261U (ja) 車椅子と結合可能な介護ベッド
CN220141180U (zh) 抽拉式三折椅
JP3219802U (ja) 車椅子
CN214341240U (zh) 一种带有易调节腿拖的座椅
KR200170106Y1 (ko) 마사지용 침대
CN220833346U (zh) 一种居家医养上门护理的多功能椅
JP2001333938A (ja) 介護用車椅子
CN210330934U (zh) 集躺椅、座椅和站立功能于一体的多功能护理装置
JP3144765B2 (ja) 椅子のレッグ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