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541A -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541A
KR20230048541A KR1020237008369A KR20237008369A KR20230048541A KR 20230048541 A KR20230048541 A KR 20230048541A KR 1020237008369 A KR1020237008369 A KR 1020237008369A KR 20237008369 A KR20237008369 A KR 20237008369A KR 20230048541 A KR20230048541 A KR 2023004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ot
pot lid
lid
absorbing material
hea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로트
마누엘 퀸
Original Assignee
베엠에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엠에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엠에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4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에 관한 것으로,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열 흡수 재료를 수용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포함하고 및/또는 열 흡수 재료를 수용하는 유체 밀폐 내부를 포함하며, 열 흡수 재료는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20℃ 내지 <100℃ 범위의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다. 조리 냄비 뚜껑은 사용자에게 간단한 방식으로 더 긴 조리 기간에 걸쳐 수증기를 응축할 수 있고 그 프로세스에서 조리 냄비 뚜껑의 손잡이의 과열을 방지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조리 냄비 뚜껑은 조리될 물품 위로 응축된 물이 균일하게 떨어지게 하는 추가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수증기를 응축하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이 제공되며, 이 조리 냄비 뚜껑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고 및/또는 열 흡수 재료를 수용하는 유체 밀폐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포함하고, 열 흡수 재료는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을 갖고 및/또는 -20℃ 내지 <100℃ 범위의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다. 조리 냄비 뚜껑은, 조리 냄비 뚜껑 손잡이의 과열을 피하면서, 사용자에게 간단한 방식으로 연장된 조리 기간에 걸쳐 수증기를 응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조리 냄비 뚜껑은 응축수가 조리될 음식 위로 균일하게 떨어질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주강으로 제조된 종래 기술의 조리 냄비 뚜껑에서,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의 냉각 작용은 일반적으로 특정 체적(즉, 특정 질량의 재료)의 사용을 통해 제공된다. 뚜껑은 수증기의 특정 응축 작용을 갖지만, 강철이 높은 밀도(약 7.9 g/cm3)을 갖기 때문에 무겁다. 더욱이, 주강은 0.55 J/(g·K) 미만의 낮은 비열 용량만을 가져서, 주강 중량당 수증기 응축을 위해 소량의 열만이 흡수되게 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뚜껑의 경우에, 마찬가지로 형성된 응축수가 조리될 음식 위로 다시 균일하게 떨어지는 것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는, 이들 공지된 뚜껑의 밑면이 상단 또는 하단을 향해 만곡되어 있어, 물이 냄비 에지 또는 냄비 중심을 향해 더 크게 유동하게 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존재한다 하더라도, 수평 표면은 냄비 뚜껑의 밑면에 단지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더욱이,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에 통합되는 돌출부(예컨대, 경사부 또는 돌기)에 의해 이들 단점을 피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조리될 음식에 대한 균일한 응축수 분포는 곡률로 인해 발생하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다양한 각도에 의해 보장될 수 없다.
더욱이, 공지된 조리 냄비 뚜껑은, 조리 냄비 뚜껑 손잡이의 온도가 55℃의 온도를 초과하여, 조리 냄비 뚜껑 사용자가 손잡이에서 화상을 입을 위험이 제기된다는 단점을 갖는 경우가 많다.
US 4,539,899 A호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이 제공되는 조리 냄비 뚜껑을 개시하고, 뚜껑의 내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아치형이며, 응축된 수증기가 조리 냄비의 벽을 따라 유동하게 하여 액적이 음식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US 제2014/0110406 A1호는, 하부 부분의 상부 표면과 상부 부분의 하부 표면이 정의될 주연부를 제외하고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 서로 고정되고, 뚜껑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열 차단부가 있으며, 뚜껑의 하부 부분의 하부 표면이 복수의 하향 지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 냄비 뚜껑을 개시한다.
이로부터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단점을 갖지 않는 조리 냄비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조리 냄비 뚜껑은, 연장된 기간 동안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응축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손잡이의 과열을 피할 수 있도록 공지된 조리 냄비 뚜껑에 비교하여 개선된 냉각 기능을 갖는다. 또한, 조리 냄비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조리될 음식에 대한 응축수의 보다 균일한 분배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조리 냄비 뚜껑, 청구항 13의 특징을 갖는 방법, 및 청구항 15의 특징을 갖는 용도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유리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이 제공되며, 조리 냄비 뚜껑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열 흡수 재료를 수용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포함하고, 및/또는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를 수용하는 유체 밀폐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열 흡수 재료는,
a)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b) -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의 한가지 이점은 뚜껑이 냉각력이 높은 열 흡수 재료를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높은 냉각력은 높은 비열 용량 및/또는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 때문이다. 따라서, 열 흡수 재료는 열 흡수 재료의 온도, 및 따라서 조리 냄비 뚜껑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고 관련 범위(100℃ 미만)에서 많은 양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뚜껑에 의해 달성 가능한 냉각 지속 기간은 공지된 조리 냄비 뚜껑에 비교하여 연장되어 더 나은 조리 결과를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이점은 열 흡수 재료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있는 유체 밀폐 용기에 배열되거나 및/또는 조리 냄비 뚜껑의 유체 밀폐 내부 공간에 배열된다는 점이다. 이는, 사용자가 일정한 양의 열 흡수 재료를 이용 가능하고, 이 재료가 누설되지 않으며 및/또는 교체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사용자는 열 흡수 재료(예를 들어, 물)의 증발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뚜껑의 임의의 잔류물(예컨대, 석회 자국)을 조리 냄비 뚜껑의 세정 프로세스 범위 내에서 제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은 사용자가 조리 냄비 뚜껑을 통해 간단하고 덜 노동 집약적인 방식으로 재현 가능한 냉각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 누설로 인한 화상 위험이 사용자에게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은, 조리 냄비 뚜껑 손잡이의 과열을 피하면서, 사용자에게 간단한 방식으로 연장된 조리 기간에 걸쳐 수증기를 응축할 수 있는 공지된 조리 냄비 뚜껑에 비한 이점을 갖는다.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는 "보냉 팩"의 역할을 하며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보관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체 밀폐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점은 사용자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보다 쉽게 유체 밀폐 용기를 위치시키고 다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냄비 뚜껑"이라는 용어는 팬의 뚜껑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하여야 한다.
조리 냄비 뚜껑은, 유체 밀폐 용기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의 상부면 표면적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특히 적어도 90%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점은 뚜껑의 상부면과의 접촉이 매우 넓은 표면적에 걸쳐 발생함으로써, 뚜껑의 상부면으로부터 유체 밀폐 용기의 열 흡수 재료로의 열 전달이 매우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더욱이, 조리 냄비 뚜껑은, 유체 밀폐 내부 공간이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과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 사이에 형성되거나 배열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용접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열 흡수 재료가 유체 밀폐 방식으로 조리 냄비 뚜껑에 일체화되고, 즉, 냉각 기능을 위해, 사용자는 냉각 기능을 달성하도록 가열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배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오래 지속되는 냉각 기능을 원하는 경우,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추가로 배열할 수 있다. 용접은 추가로 먼지가 축적될 수 있는 에지와 공간을 피한다.
열 흡수 재료는 7 g/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6 g/cm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g/cm3 미만,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4 g/cm3 미만, 특히 3 g/cm3 미만의 특정 밀도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점은 조리 냄비 뚜껑의 낮은 중량으로 냉각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열 흡수 재료는 적어도 0.60 J/(g·K),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70 J/(g·K),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80 J/(g·K)의 비열 용량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비열 용량이 낮은 열 흡수 재료(예컨대, 주강)의 경우보다 냉각 기능이 더 오랜 시간 기간 동안 지속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 흡수 재료는 금속, 금속 합금, 준금속 및 탄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실리콘, 흑연,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재료는 낮은 중량을 가지면서 높은 비열 용량을 갖는 이점을 갖는다.
그 외에도, 열 흡수 재료는 ≥0℃ 내지 90℃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범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범위, 특히 30℃ 내지 55℃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열 흡수 재료는 조리 프로세스 동안 물을 응축시키기에 적절한 온도로 조리 냄비 뚜껑을 장시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5℃ 이상의 상 전이 온도는, 심지어 냉장고 온도가 액체에서 고체로의 상 전이를 유발하기에 충분하고, 즉, 조리 냄비 뚜껑의 냉각 기능을 다시 제공하기에 충분하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조리 냄비 뚜껑의 사용자는 냉동고를 이용 가능할 필요가 없고 냉장고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30℃ 이상의 상 전이 온도의 이점은 실온(25℃)이 이미 조리 냄비 뚜껑의 냉각 기능을 재생하기에 충분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조리 냄비 뚜껑의 사용자는 새로운 조리 프로세스를 위해 조리 냄비 뚜껑의 냉각 기능을 다시 제공하도록 냉장고도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열 흡수 재료는 적어도 300 MJ/m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0 MJ/m3,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MJ/m3, 특히 적어도 450 MJ/m3의 특정 융해 엔탈피를 갖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높은 열 에너지가 고체에서 액체로의 열 흡수 재료의 상 변화를 유발하기에 필요하고, 즉, 조리 냄비 뚜껑의 온도가 물의 응축을 가능하게 하는 값으로 장시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유리하다.
열 흡수 재료가 상 전이 재료인 경우, 물, 파라핀, 염, 금속 수산화물, 지방산,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열 흡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물, 아세트산나트륨 삼수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바륨, 암모늄 명반, 황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임의로 아세트산나트륨 삼수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바륨, 암모늄 명반, 황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전술한 열 흡수 재료는 관련 범위의 상 전이 온도 및 높은 융해 비엔탈피를 갖는 이점이 있고, 즉, 이들 재료는 조리 냄비 뚜껑의 응축 기능을 통해 매우 긴 조리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열 흡수 재료는 적어도 0.2 cm·r2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 cm·r2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 cm·r2π, 특히 0.4 cm·r2π 내지 0.5 cm·r2π의 체적을 가질 수 있고, r은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반경(cm 단위)이다. 조리 냄비 뚜껑은 또한 이러한 열 흡수 재료의 체적을 통해 매우 긴 조리 프로세스에 걸쳐 그 냉각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열 흡수 재료의 예시적인 체적(열 흡수 재료의 적어도 0.4 cm의 높이에서)은 적어도 0.4·(8 cm)2·π = 적어도 80 cm3(16 cm의 밑면 직경을 갖는 조리 냄비 뚜껑용 열 흡수 재료)이고, 적어도 0.4 cm·(14 cm)2·π = 적어도 246 cm3(28 cm의 밑면 직경을 갖는 조리 냄비 뚜껑용 열 흡수 재료)이다.
(열 흡수 재료로 제조되지 않는) 조리 냄비 뚜껑의 적어도 일부, 및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은 금속, 유리, 200℃까지 내열성인 플라스틱 재료,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람직하게는 강철, 스테인리스강, 크롬강, 실리콘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금속의 경우에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시트로 형성되거나 주물로서 존재한다.
더욱이, 유체 밀폐 용기의 용기 벽은 이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유체 밀폐 용기의 용기 벽은 일 측면(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에 단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체 밀폐 용기가 조리 프로세스 동안 주변 영역으로부터 열을 적게 흡수하여, 장시간에 걸쳐 그 냉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물과 같은) 열 전달 재료는 유체 밀폐 용기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밀폐 용기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열 교환이 보장될 수 있다. 이 외에, 유체 밀폐 용기 및/또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은 유체 밀폐 용기를 조리 냄비 뚜껑에 기계적으로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취급이 단순화될 수 있고,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 및/또는 상부면은 임의로 전체 표면에 걸쳐 유체 밀폐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은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표면적은 중심 영역 및 에지 영역을 포함한다.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중심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중심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특히 적어도 90%를 차지한다. 이점은 조리 냄비 뚜껑의 이 영역에서 응축된 물이 상단 또는 하단을 향해 만곡된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 상의 중심 영역보다 조리될 음식에 더 균일하게 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에지 영역은 중심 영역에 대해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의 방향으로 1°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4°내지 6°의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다. 이점은 조리 냄비 뚜껑의 이 영역에서 응축된 물이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중심 영역의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되고 거기에서 조리될 음식 위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은 dm3당 적어도 10개의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dm3당 적어도 12개의 돌출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dm3당 적어도 14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돌출부 중 하나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중심에 배열된다. 표면적 당 돌출부의 개수가 많을수록, 응축된 물이 조리될 음식 위로 보다 균일하게 떨어질 수 있어, 조리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에 배열된 돌출부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에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 방향으로) 스탬핑될 수 있다.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은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의 밑면일 수 있다.
더욱이, 돌출부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 방향으로 일 측면에서 유체 밀폐 용기 또는 유체 밀폐 용기의 재료와 접촉할 수 있으며, 대향 측면은 임의로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의 상부면이다. 이러한 접촉은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표면으로부터 열 흡수 재료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도시키거나 소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전체 표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며, 밑면은 임의로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의 밑면이다. 돌출부의 균일한 분포는 응축된 물이 조리될 음식 위로 균일하게 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욱이, 돌출부는 반구 형상, 반타원체 형상, 원추형 형상, 피라미드 형상, 리브 형상, 원통형 형상,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형상을 적어도 영역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들 형상은 의도적으로 응축된 물을 떨어뜨리는 데 특히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게다가, 돌출부는 0.5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범위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돌출부의 높이는 특히 밑면의 중심으로부터 밑면의 에지 영역으로 감소된다. 돌출부의 이러한 치수 및 진행은 응축된 물이 균일하게 떨어지는 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외에, 돌출부는 1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돌출부의 폭은 특히 밑면의 중심으로부터 밑면의 에지 영역으로 감소된다. 돌출부의 이러한 치수 및 진행은 응축된 물이 균일하게 떨어지는 데에도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조리 냄비 뚜껑은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이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용접 조인트, 접착 조인트, 나사 조인트,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인트에 의해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과 100 mm2 미만의 표면적, 특히 60 내지 80 mm2의 표면적에서만 접촉할 때 유리하다. 이 상대적으로 작은 접촉 표면의 이점은, 열 흡수 재료가 사용자에 의해 높은 취급 온도로서 인식되는 온도(예를 들어, 55℃ 초과)에 이미 도달한 경우에도 손잡이가 단지 천천히 가열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은 접촉 표면은, 손잡이가 단지 그러한 높은 온도에 시간 지연을 두고 도달하거나 전혀 도달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손잡이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대한 거리는 적어도 30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mm이다.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거리의 이점은, 이 상부면이 사용자에 의해 불쾌한 것으로 인식되는 온도에 이미 도달한 경우, 사용자가 손과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 사이의 접촉에 대해 보호된다는 것이다. 거리는 추가로 열 가교부의 역할을 하여, 이 섹션이 조리 냄비 뚜껑의 표면에서 우세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심지어 완전히 방지한다.
손잡이는 금속, 유리, 최대 200℃까지 내열성인 플라스틱 재료,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강철, 스테인리스강, 크롬강, 실리콘,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이,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조리 냄비 뚜껑을 제공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배열하는 단계; 또는
b)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과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을 제공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열 흡수 재료를 배열하고,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유체 밀폐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 및 임의로 또한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은 열 흡수 재료와 접촉하며,
열 흡수 재료는,
i)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ii) -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이 제조된다.
더욱이,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서 유체 밀폐 용기에 수용되는 열 흡수 재료의 용도가 제공된다.
더욱이, 조리 냄비 뚜껑의 유체 밀폐 내부 공간에서 열 흡수 재료의 용도가 제공된다.
제공된 용도에서, 사용된 열 흡수 재료는,
a)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b) -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로 주제를 제한하지 않고 다음의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조리 냄비 뚜껑은 2-부품 설계를 갖고, 즉, 하부 부분(6)에 결합된(여기서는, 용접된) 상부 부분(5)을 포함하고,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 사이에 유체 밀폐 내부 공간(3)이 존재한다. 유체 밀폐 내부 공간(3)은 열 흡수 재료(4)(여기서는, 알루미늄)를 포함한다. 중심 영역에 있는 다수의 돌출부(8)에 추가하여,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7)은 돌출부가 없는 평면형 표면적(9)을 포함한다. 밑면(7)의 에지 영역에서, 돌출부가 없는 표면적(9)은 돌출부가 없는 평면형 표면적(9)에 대해 일정 경사각(여기서: 약 5°) 만큼 상향으로(즉,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5)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조리 냄비 뚜껑의 이러한 변형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의 B)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조리 냄비 뚜껑의 우측 섹션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조리 냄비 뚜껑이 서로 결합되는(여기서는, 함께 용접되는)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으로 조립된다는 것이 더 쉽게 명백해지고,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 사이에는 열 흡수 재료(4)(여기서는, 알루미늄)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내부 공간(3)이 존재한다. 또한, 경사각(N)(여기서는, 약 5°) 만큼 평면형 중심 영역(Z)에 대해 경사진, 돌출부가 없는 표면적(9)의 평면형 중심 영역(Z)으로부터 돌출부가 없는 표면적(9)의 에지 영역(R)으로의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7)의 전이가 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조리 냄비 뚜껑의 이러한 변형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2의 A)는 위쪽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 상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는 손잡이(1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 조리 냄비 뚜껑의 아래로부터의 본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밑면(7)의 돌출부가 없는 평면형 표면적(9)으로부터 나오는 복수의 돌출부(8)가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7)에서 명백하다. 여기서, 돌출부의 직경은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7)의 중심(M)으로부터 조리 냄비 뚜껑의 반경(r)을 따라 조리 냄비 뚜껑의 에지 영역(R)을 향해 감소된다.
도 3의 A)는 위쪽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 상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는 손잡이(10)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이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1)를 상부면(2) 상에 포함한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 조리 냄비 뚜껑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일체형 설계를 갖고, 밑면(7)에서, 돌출부가 없는 밑면(9)으로만 이루어지고, 즉, 밑면(7)에 돌출부가 없다. 더욱이,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1)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 놓이는 방식이 명백하다. 손잡이(10)는 조리 냄비 뚜껑이 조리 냄비(또는 팬) 위에 쉽게 놓이고 조리 냄비(또는 팬)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한다.
도 4의 A)는 위쪽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 상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는 손잡이(10)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이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1)를 상부면(2) 상에 포함한다.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 조리 냄비 뚜껑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2-부품 설계를 갖고, 즉, 서로 결합되는(여기서는, 함께 용접되는)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으로부터 조립된다.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 사이의 유체 밀폐 내부 공간(3)은 열 흡수 재료(4)를 포함한다. 밑면(7)에서, 이 조리 냄비 뚜껑은 밑면(7)의 돌출부가 없는 표면적(9)으로부터 나오는 돌출부(8)를 포함한다. 더욱이, 열 흡수 재료(4)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1)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 놓이는 방식이 명백하다. 손잡이(10)는 조리 냄비 뚜껑이 조리 냄비(또는 팬) 위에 쉽게 놓이고 조리 냄비(또는 팬)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한다.
도 5의 A)는 위쪽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 상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는 손잡이(10)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이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유체 밀폐 용기(1)를 상부면(2) 상에 포함한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 조리 냄비 뚜껑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2-부품 설계를 갖고, 즉, 서로 결합되는(여기서는, 함께 용접되는)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으로부터 조립된다. 상부 부분(5)과 하부 부분(6) 사이의 유체 밀폐 내부 공간(3)은 열 흡수 재료(4)를 포함한다. 밑면(7)에서, 이 조리 냄비 뚜껑은 밑면(7)의 돌출부가 없는 표면적(9)으로부터 나오는 돌출부(8)를 포함한다. 더욱이, 열 흡수 재료(4)를 포함하는 2개의 유체 밀폐 용기(1)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2)에 놓이는 방식이 명백하다. 손잡이(10)는 조리 냄비 뚜껑이 조리 냄비(또는 팬) 위에 쉽게 놓이고 조리 냄비(또는 팬)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게 한다.
1: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
2: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
3: 조리 냄비 뚜껑의 유체 밀폐 내부 공간;
4: 열 흡수 재료;
5: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
6: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
7: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
8: 돌출부;
9: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돌출부가 없는 표면적;
10: 손잡이;
Z: 표면적(9)의 중심 영역;
R: 표면적(9)의 에지 영역;
N: 표면적(9)의 중심 영역에 대한 에지 영역의 경사각(예를 들어, 5°);
M: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중심;
r: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반경.

Claims (15)

  1.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에 있어서,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포함하고, 및/또는 조리 냄비 뚜껑은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열 흡수 재료는,
    a)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b) -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밀폐 용기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의 상부면 표면적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특히 적어도 90%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 밀폐 내부 공간은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과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 사이에 형성되거나 배열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흡수 재료는,
    i) 7 g/cm3 미만, 바람직하게는 6 g/cm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g/cm3 미만,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4 g/cm3 미만, 특히 3 g/cm3 미만의 특정 밀도를 갖는 재료; 및/또는
    ii) 적어도 0.60 J/(g·K),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70 J/(g·K),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80 J/(g·K)의 비열 용량을 갖는 재료; 및/또는
    iii) 금속, 금속 합금, 준금속 및 탄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실리콘, 흑연,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흡수 재료는,
    i) ≥0℃ 내지 90℃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범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범위, 특히 30℃ 내지 55℃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재료; 및/또는
    ii) 적어도 300 MJ/m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0 MJ/m3,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0 MJ/m3, 특히 적어도 450 MJ/m3의 특정 융해 엔탈피를 갖는 재료; 및/또는
    iii) 물, 파라핀, 염, 금속 수산화물, 지방산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람직하게는 물, 아세트산나트륨 삼수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바륨, 암모늄 명반, 황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아세트산나트륨 삼수화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바륨, 암모늄 명반, 황화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흡수 재료는 적어도 0.2 cm·r2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 cm·r2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 cm·r2π, 특히 0.4 cm·r2π 내지 0.5cm·r2π의 체적을 갖고, r은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반경(cm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리 냄비 뚜껑의 적어도 일부, 및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 및/또는 하부 부분은 금속, 유리, 200℃까지 내열성인 플라스틱 재료,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람직하게는 강철, 스테인리스강, 크롬강, 실리콘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고, 금속의 경우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시트로 형성되거나 주물로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 및/또는 상부면은 임의로 전체 표면에 걸쳐 유체 밀폐 설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은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표면적은 중심 영역 및 에지 영역을 포함하며;
    i) 중심 영역은 실질적으로 평면형 설계를 갖고, 중심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특히 적어도 90%를 차지하고; 및/또는
    ii) 표면적의 에지 영역은 표면적의 중심 영역에 대해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의 방향으로 1°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4°내지 6°의 각도만큼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은 dm3당 적어도 10개의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dm3당 적어도 12개의 돌출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dm3당 적어도 1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특히 돌출부 중 하나는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중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i)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방향으로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에 스탬핑되며, 밑면은 임의로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의 밑면이고; 및/또는
    ii) 조리 냄비 뚜껑의 방향으로 일 측면에서 유체 밀폐 용기의 재료 또는 유체 밀폐 용기와 접촉하며, 대향 측면은 임의로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의 상부면이며; 및/또는
    iii) 조리 냄비 뚜껑의 밑면의 전체 표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고, 밑면은 임의로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의 밑면이고; 및/또는
    iv) 반구 형상, 반타원체 형상, 원추형 형상, 피라미드 형상, 리브 형상, 원통형 형상,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형상을 적어도 영역적으로 가지며; 및/또는
    v) 0.5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범위의 높이를 갖고, 돌출부의 높이는 특히 밑면의 중심으로부터 밑면의 에지 영역으로 감소되며; 및/또는
    vi) 1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m 범위의 폭을 갖고, 돌출부의 폭은 특히 밑면의 중심으로부터 밑면의 에지 영역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은 손잡이를 포함하고,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a) 바람직하게는 용접 조인트, 접착 조인트, 나사 조인트,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인트에 의해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손잡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과 100 mm2 미만의 표면적, 특히 60 내지 80 mm2의 표면적에서만 접촉하며; 및/또는
    b)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섹션을 포함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대한 거리는 적어도 30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mm이며; 및/또는
    c) 금속, 유리, 200℃까지 내열성인 플라스틱 재료,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바람직하게는 강철, 스테인리스강, 크롬강, 실리콘 및 그 조합 및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냄비 뚜껑.
  13.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의 제조 방법이며,
    i) 조리 냄비 뚜껑을 제공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유체 밀폐 용기를 배열하는 단계; 또는
    ii)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과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을 제공하고,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열 흡수 재료를 배열하고,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유체 밀폐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조리 냄비 뚜껑의 하부 부분, 및 임의로 또한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 부분은 열 흡수 재료와 접촉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 흡수 재료는,
    a)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b) -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리 냄비 뚜껑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조리 냄비 뚜껑의 상부면에서 유체 밀폐 용기에 수용된 열 흡수 재료의 용도 및/또는 조리 냄비 뚜껑의 유체 밀폐 내부 공간에서 열 흡수 재료의 용도에 있어서, 열 흡수 재료는,
    a) 적어도 0.55 J/(g·K)의 비열 용량; 및/또는
    b) - 20℃ 내지 <100℃ 범위인 고체에서 액체로의 상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237008369A 2020-08-14 2021-07-08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48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10401.8A DE102020210401A1 (de) 2020-08-14 2020-08-14 Kochtopfdeckel zur Kondensation von Wasserdamp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20210401.8 2020-08-14
PCT/EP2021/068966 WO2022033779A1 (de) 2020-08-14 2021-07-08 Kochtopfdeckel zur kondensation von wasserdampf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541A true KR20230048541A (ko) 2023-04-11

Family

ID=7716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369A KR20230048541A (ko) 2020-08-14 2021-07-08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95983B1 (ko)
KR (1) KR20230048541A (ko)
CN (1) CN116261414A (ko)
DE (1) DE102020210401A1 (ko)
WO (1) WO2022033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1882B (zh) * 2021-01-12 2022-11-22 绵阳市川星锅厂 一种锅表面石墨粉污渍去除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84595A (de) 1919-05-23 1920-07-01 Siegfried Herzog Wärmeaufspeicherungsfähiges Gefäß
FR936679A (fr) * 1946-11-30 1948-07-27 Couvercle à bain d'eau, pour récipients de cuisson
FR937348A (fr) * 1946-12-13 1948-08-13 Fonderie Tech De Vitry Sur Sei Couvercle pour récipient de cuisson
FR2490475A1 (fr) 1980-09-24 1982-03-26 Cousances Aux Forges Haut Four Recipient pour la cuisson des aliments avec couvercle a refroidissement
DE3213852A1 (de) 1982-04-15 1983-10-27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Deckelfoermiger rueckflusskondensator fuer kochgefaesse
US6698420B2 (en) * 1999-10-04 2004-03-02 Michael M. Anthony Cooking pot apparatus with pot lid having heat exchange means for containing food aromas
US20120074141A1 (en) 2010-09-27 2012-03-29 Currimjee Abbas Bi-functional cookware lid
US20170150840A1 (en) 2010-11-03 2017-06-01 Jong Peter Park Multi-purpose double layered container
DE202011104626U1 (de) * 2011-08-17 2011-11-24 Wilhelm SCHUHBECK Kochtopfdeckel isoliert
US20140110406A1 (en) 2012-10-19 2014-04-24 Nambe, LLC Self-basting lid
US10264921B2 (en) * 2015-12-22 2019-04-23 Tuesday Morning Partners, Ltd. Cookware lid with basting proj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61414A (zh) 2023-06-13
EP4195983B1 (de) 2024-02-21
WO2022033779A1 (de) 2022-02-17
EP4195983A1 (de) 2023-06-21
DE102020210401A1 (de)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9866A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heat through a double walled container
US6698337B1 (en) Air core cookware
US8776673B2 (en) Boilerless steaming oven and method
KR20230048541A (ko)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조리 냄비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1362U (ko) 가열 용기
CA1204627A (en) Device for condensing cooking vapours
KR100762060B1 (ko) 조리용기
CA1193875A (en) Lid-shaped reflux condenser for cookers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0449795Y1 (ko) 보온불판
CN108814260B (zh) 节能健康止逸汽锅
CN111642983A (zh) 一种烧烤架
RU2102914C1 (ru) Емкост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 устранением деформации днища
JPS6327632Y2 (ko)
KR102471200B1 (ko) 등온 프라이팬
KR200175044Y1 (ko) 리브형의 히트 파이프 조리기
JP6841527B1 (ja) 加熱調理器の調理用プレート
KR200292903Y1 (ko) 음식물 가온장치
KR101214815B1 (ko) 조리용의 후라이팬
KR20060124369A (ko)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조리용기
KR200393652Y1 (ko)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조리용기
JPS6237532Y2 (ko)
JPS5845616Y2 (ja) 蒸し器
JP3159147U (ja) 液体用加熱器
JPS612418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