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332A -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332A
KR20230048332A KR1020237004934A KR20237004934A KR20230048332A KR 20230048332 A KR20230048332 A KR 20230048332A KR 1020237004934 A KR1020237004934 A KR 1020237004934A KR 20237004934 A KR20237004934 A KR 20237004934A KR 20230048332 A KR20230048332 A KR 20230048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positioning
prs
location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빈 토마스
카르티케얀 가네산
안키트 밤리
비제이 난기아
Original Assignee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48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01S13/876Combination of several spaced transponders or reflectors of known locati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72Transmission between mobile stations, e.g. 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01S5/0289Relative positioning of multiple transceivers, e.g. in ad hoc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8Position of single direction-finder fixed by determining direction of a plurality of spaced source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8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Wire Bonding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UE 장치(1100)의 하나의 인스턴스는 기준 노드(720)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610, 615)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SL-PRS")(740)을 수신하고, 기준 노드에 대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측정하고,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타겟 UE(705)를 포함한다. UE 장치(1100)의 다른 인스턴스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810, 815)에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850)을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810, 815)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고, 타겟 UE와 추가적인 UE들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이용한 SL 왕복 시간(RTT)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타겟 UE(80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idelink Timing-Based Positioning Methods"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63,836호, 2020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Sidelink Angular-based and SL RRM-based Positioning Methods"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63,854호, 및 2020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 For SL PRS Transmission Methodology"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63,82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들은 관련 특허법들 및 규칙들 하에서 허용되는 범위까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sidelink timing-based positioning methods)에 관한 것이다.
특정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3GPP 뉴 라디오("NR") 기술을 이용하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 의존적 위치결정이 3GPP 사양들의 릴리스 16에서 최근에 지원되었다. 위치결정 특징들은 5세대("5C") 네트워크 코어 아키텍처 및 인터페이스 향상들은 물론, LTE 및 NR에서 Uu 인터페이스에 대한 RAT 의존적 위치결정 방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물리적 계층 및 계층-2/계층-3 시그널링 절차들을 지원하는 라디오 액세스 노드("RAN") 기능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양한 기존의 시스템들은 사이드링크("SL")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적절한 위치결정 특징들을 갖지 않는다.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들이 개시된다. 이러한 절차들은 장치, 시스템들, 방법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비("UE") 장치가 개시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이드링크("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를 포함하며, 타겟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UE로 하여금,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SL-PRS") 측정치들을 수신하게 하고, 기준 노드에 대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측정하게 하고,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게 한다.
추가적인 UE 장치는 사이드링크("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를 포함하며, 타겟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타겟 UE로 하여금,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에 전송하게 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고; S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에 대한 SL 왕복 시간들(RTT)을 측정하게 하고, SL RTT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SL UE Rx-Tx 차이는,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수신된 타이밍을 측정하는 것;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및 수신 타이밍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SL UE Rx-Tx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다.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 관리 기능("LMF")을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제1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 및 제2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은, 로컬화될 타겟 UE로부터, 기준 노드에 대한 타겟 UE와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2개 이상의 사이드링크("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것 - SL RSTD들은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의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에 기반함 -; 및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은, 로컬화될 타겟 UE로부터,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하나 이상의 SL RTT 측정치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것; 및 UE Rx-Tx 시간차 측정치들에 기반한 SL-RTT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에서 간략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의 더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은 단지 일부 실시예들만을 도시할 뿐이고, 그에 따라,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는 이해 하에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의 이용을 통해 추가적인 구체성 및 상세로 기술 및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5G 뉴 라디오("NR") 프로토콜 스택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NR 빔 기반 위치결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DL") 도달 시간차("TDOA") 보조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DL-TDOA 측정 보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UE의 사이드링크 SL-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을 위한 고정 기준 노드 및 2개의 추가적인 UE를 갖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UE의 SL-TDOA 위치결정을 위한 모바일 기준 노드 및 2개의 추가적인 UE를 갖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UE가 있는 복수의 빔을 이용한 타겟 UE의 SL 왕복 시간("RTT") 위치결정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TDOA 및/또는 SL-RTT 위치결정을 위한 능력 시그널링 교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TDOA 및/또는 SL-RTT 위치결정을 위한 보조 데이터 시그널링 교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장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이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TDOA 위치결정을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RTT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을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시스템, 장치,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전체적인 하드웨어 실시예, 전체적인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들을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맞춤형 초고밀도 집적("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 기성 반도체들, 이를테면, 로직 칩들,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별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들, 프로그래밍가능한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가능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예컨대, 오브젝트, 절차, 또는 함수로서 구성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들은 머신 판독가능한 코드, 컴퓨터 판독가능한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이하에서, 코드로 지칭됨)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유형적, 비일시적, 및/또는 비전송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신호들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들은 코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들만을 이용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이 활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예컨대,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홀로그래픽, 마이크로기계,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된 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 디바이스의 더 구체적인 예들(대략적인 리스트)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된 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본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보유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적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임의의 수의 라인일 수 있고, 파이썬(Python), 루비(Ruby), 자바(Java), 스몰토크(Smalltalk),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 "C" 프로그래밍 언어 등과 같은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 언어들과 같은 머신 언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코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완전히 실행될 수 있거나,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원격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완전히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대해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들의 설명되는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모듈들, 사용자 선택들, 네트워크 트랜잭션들, 데이터베이스 질의들, 데이터베이스 구조들, 하드웨어 모듈들, 하드웨어 회로들, 하드웨어 칩들 등의 예들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이 특정 상세들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방법들, 구성요소들, 재료들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져 있는 구조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실시예의 양태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 "실시예",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및 유사한 언어와 같은 문구들의 출현들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고, 명시적으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모든 실시예들은 아닌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의미할 수 있다. "포함하는", "갖는", 및 그 변형들과 같은 용어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을 의미한다. 아이템들의 열거된 목록은, 명시적으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아이템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가 상호 배타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단수형의 용어들은 또한, 명시적으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의 접속사를 갖는 리스트는 리스트 내의 임의의 단일 아이템 또는 리스트 내의 아이템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컨대, A, B, 및/또는 C의 리스트는 A만을 포함하거나, B만을 포함하거나, C만을 포함하거나, A와 B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B와 C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A와 C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 중 하나 이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리스트는 리스트 내의 임의의 단일 아이템 또는 리스트 내의 아이템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컨대, A, B, 및 C 중 하나 이상은 A만을 포함하거나, B만을 포함하거나, C만을 포함하거나, A와 B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B와 C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A와 C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 중 하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리스트는 리스트 내의 임의의 단일 아이템 중 하나만을 포함한다. 예컨대, "A, B, 및 C 중 하나"는 A만을 포함하거나, B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C만을 포함하고, A, B, 및 C의 조합들을 배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A, B, 및 C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멤버"는 A, B, 또는 C 중 하나만을 포함하고, A, B, 및 C의 조합들을 배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A, B 및 C, 및 그 조합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멤버"는 A만을 포함하거나, B만을 포함하거나, C만을 포함하거나, A와 B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B와 C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A와 C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장치들, 시스템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개략적인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적인 블록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머신을 생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은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지정되는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또한, 코드는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어서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특정 방식으로 기능할 것을 지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들은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지정되는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을 생성한다.
또한, 코드는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코드는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지정되는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들을 제공한다.
도면들 내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가능한 구현들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예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 내의 각각의 블록은 지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분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블록에서 언급되는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되는 순서와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관련된 기능에 따라,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블록들은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시되는 도면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그 부분들과 기능, 로직, 또는 효과에서 동등한 다른 단계들 및 방법들이 구상될 수 있다.
다양한 화살표 유형들 및 라인 유형들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그들은 대응하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제로, 일부 화살표들 또는 다른 커넥터들은 도시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만을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화살표는 도시된 실시예의 열거된 단계들 사이의 지정되지 않은 지속기간의 대기 또는 모니터링 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지정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와 코드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각각의 도면 내의 요소들의 설명은 진행 도면들의 요소들을 지칭할 수 있다.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모든 도면들 내의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일반 개요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을 설명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타이밍 기반 SL-TDOA 및 SL-RTT RAT 의존적 및 RAT 독립적 위치결정 기술들을 이용하여 사이드링크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예를 들어, NR에 대한, 개선된 시그널링 및 측정 프레임워크를 개시한다.
TDOA, RTT, 출발각("AoD") 및 셀 식별자("CID") 및 U-UTRAN 셀 식별자("E-CID")와 같은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 의존적 위치결정 방법들이 롱 텀 에볼루션("LTE") 및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뉴 라디오("NR")에서 Uu 인터페이스에 대해 명시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3GPP에서 이러한 구현들을 실현하기 위한 명시된 방법들이 현재 존재하지 않지만, 이러한 위치결정 기술들은 사이드링크에서의 적용에 대한 높은 잠재력을 나타낸다. 게다가, 유익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사이드링크 위치결정의 양태들은, 기존의 시스템들에서, 예컨대, 차량 대 사물("V2X"), 공공 안전, 상업용 서비스들은 물론, 커버리지내 및 커버리지외 조건들; 후보 주파수 대역들; UE들의 이용 시나리오 및 배치, RAT 의존적 및 RAT 독립적 위치결정, 및 하이브리드들; 모바일 기반(UE에 의해 수행됨) 및 모바일 보조(LMF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됨) 사이드링크 위치결정; 절대 및 상대적 위치결정; 및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주제들에서의 잠재적인 동작 시나리오들 및 설계 고려사항들에서, 사이드링크에 대해 적응되지 않을 수 있는 사이드링크 위치결정에 대한 이용 사례들 및 요건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L 위치결정의 다른 특징은 상대적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며, 이는 모바일 차량 시나리오들에서의 위치 추정에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 위치결정은, 스마트 공장 설정에서 유연하고 모듈식인 조립 영역들이 요구되는 산업용 사물 인터넷("IIoT") 환경들에서 디바이스들의 수평 정확도에서의 성능 요건이다.
본 개시내용은 SL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타이밍 기반 메커니즘들을 개발함으로써 셀룰러 V2X("C-V2X") 위치결정에서 이러한 문제 및 기능의 결여를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SL 위치결정 기술들은 시나리오 및 라디오 환경에 따라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원격 유닛(105),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120), 및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RAN(120) 및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RAN(120)은 원격 유닛(105)이 무선 통신 링크들(115)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베이스 유닛(1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수의 원격 유닛들(105), 베이스 유닛들(121), 무선 통신 링크들(115), RAN들(120), 및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들(14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의 원격 유닛들(105), 베이스 유닛들(121), 무선 통신 링크들(115), RAN들(120), 및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들(140)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구현에서, RAN(120)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사양들에 명시된 5G 시스템에 따른다. 예를 들어, RAN(120)은 뉴 라디오("NR")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 및/또는 롱 텀 에볼루션("LTE") RAT를 구현하는 차세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NG-RAN")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RAN(120)은 비-3GPP RAT(예를 들어, Wi-Fi®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패밀리 준수 WLAN)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RAN(120)은 3GPP 사양들에서 지정된 LTE 시스템에 따른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른 네트워크들 중에서도, 일부 다른 개방 또는 독점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IEEE 802.16-패밀리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한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들(105)은,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스마트 텔레비전들(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텔레비전들), 스마트 기기들(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기기들), 셋톱 박스들, 게임 콘솔들, (보안 카메라들을 포함한) 보안 시스템들, 차량 탑재 컴퓨터들,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라우터들, 스위치들, 모뎀들)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들(105)은, 스마트 시계들, 피트니스 밴드들, 광학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들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들(105)은, UE들, 가입자 유닛들, 모바일들, 이동국들, 사용자들, 단말기들, 모바일 단말기들, 고정 단말기들, 가입자국들, 사용자 단말기들, 무선 전송/수신 유닛("WTRU"), 디바이스,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5)은, 가입자 아이덴티티 및/또는 식별 모듈("SIM"), 및 모바일 종단 기능들(예를 들어, 라디오 전송, 핸드오버, 음성 인코딩 및 디코딩, 에러 검출 및 정정, SIM으로의 시그널링 및 액세스)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비("ME")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5)은 단말 장비("TE")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기기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내장될 수 있다.
원격 유닛들(105)은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 통신 신호들을 통해 RAN(120) 내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21)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UL 및 DL 통신 신호들은 무선 통신 링크들(115)을 통해 운반될 수 있다. 여기서, RAN(120)은 원격 유닛들(105)에게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중간 네트워크이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들)(121)은 제1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셀 및/또는 제2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셀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들(105)은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51)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원격 유닛(105) 내의 애플리케이션(107)(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미디어 클라이언트, 전화 및/또는 VoIP(Voice-over-Internet-Protocol) 애플리케이션)은 RAN(120)을 통해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또는 다른 데이터 접속)을 확립하도록 원격 유닛(105)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PDU 세션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50)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151)와 원격 유닛(105) 사이의 트래픽을 중계한다. PDU 세션은 원격 유닛(105)과 사용자 평면 기능("UPF")(141) 사이의 논리적 접속을 나타낸다.
PDU 세션(또는 PDN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원격 유닛(105)은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에 등록되어야 한다(이것은 또한 4세대("4G") 시스템의 맥락에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원격 유닛(105)은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와 하나 이상의 PDU 세션(또는 다른 데이터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원격 유닛(105)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50)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PDU 세션을 가질 수 있다. 원격 유닛(105)은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들 및/또는 다른 통신 피어들과 통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PDU 세션들을 확립할 수 있다.
5G 시스템("5GS")의 맥락에서, 용어 "PDU 세션"이란, UPF(141)를 통해 원격 유닛(105)과 특정한 데이터 네트워크("DN") 사이에 종단간("E2E") 사용자 평면("UP") 접속성을 제공하는 데이터 접속을 지칭한다. PDU 세션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QoS") 흐름을 지원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특정 QoS 흐름에 속하는 모든 패킷들이 동일한 5G QoS 식별자("5QI")를 갖도록, QoS 흐름과 QoS 프로파일 사이에 일대일 매핑이 있을 수 있다.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과 같은 4G/LTE 시스템의 맥락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EPS 세션이라고도 함)은 원격 유닛과 PDN 사이에 E2E UP 접속성을 제공한다. PDN 접속 절차는 EPS 베어러, 즉, 원격 유닛(105)과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 내의 패킷 게이트웨이("PGW",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터널을 확립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특정 EPS 베어러에 속하는 모든 패킷들이 동일한 QoS 부류 식별자("QCI")를 갖도록, EPS 베어러와 QoS 프로파일 사이에 일대일 매핑이 존재한다.
베이스 유닛들(121)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베이스 유닛(121)은 또한, 액세스 단말기,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기지국, 노드-B("NB"), (eNodeB 또는 "eNB"라고 약칭되고,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노드 B라고도 알려진) 진화된 노드 B, 5G/NR 노드 B("gNB"), 홈 노드-B, 중계 노드, RAN 노드,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들(121)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베이스 유닛(121)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는 RAN, 예컨대 RAN(120)의 일부이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의 이들 및 다른 요소들은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들(121)은 RAN(120)을 통해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에 접속된다.
베이스 유닛들(121)은, 무선 통신 링크(115)를 통해, 서빙 영역, 예를 들어, 셀 또는 셀 섹터 내의 다수의 원격 유닛(105)을 서빙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들(121)은 통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원격 유닛(105)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유닛들(121)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도메인에서 원격 유닛들(105)을 서빙하기 위해 DL 통신 신호들을 전송한다. 또한, DL 통신 신호들은 무선 통신 링크들(115)을 통해 운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들(115)은 허가 또는 비허가 라디오 스펙트럼에서의 임의의 적절한 캐리어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들(115)은 하나 이상의 원격 유닛(105) 및/또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유닛(121)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비허가 스펙트럼 상의 NR("NR-U"로 지칭됨) 동작 동안, 베이스 유닛(121) 및 원격 유닛(105)은 비허가(즉, 공유) 라디오 스펙트럼을 통해 통신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5GC 또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이며, 이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들 중에서도 인터넷 및 개인 데이터 네트워크들과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150)에 결합될 수 있다. 원격 유닛(105)은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에의 가입 또는 다른 계정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단일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NO")에 속한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여러 네트워크 기능들("NF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적어도 하나의 UPF(141)를 포함한다.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또한 RAN(120)을 서빙하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143), 세션 관리 기능("SMF")(145), 위치 관리 기능("LMF")(147), 통합 데이터 관리 기능("UDM") 및 사용자 데이터 저장소("UDR")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복수의 제어 평면("CP") 기능을 포함한다. 특정 수들 및 유형들의 네트워크 기능들이 도 1에 도시되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 및 유형의 네트워크 기능들이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UPF(들)(141)는 5G 아키텍처에서 패킷 라우팅 및 전달, 패킷 검사, QoS 처리, 및 데이터 네트워크("DN") 상호접속을 위한 외부 PDU 세션을 담당한다. AMF(143)는 NAS 시그널링의 종단, NAS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등록 관리, 접속 관리, 이동성 관리, 액세스 인증 및 허가, 보안 컨텍스트 관리를 담당한다. SMF(145)는 세션 관리(즉, 세션 확립, 수정, 해제), 원격 유닛(즉, UE)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 DL 데이터 통지, 및 적절한 트래픽 라우팅을 위한 UPF(141)의 트래픽 조정 구성을 담당한다.
LMF(147)는 (예를 들어, AMF(143)를 통해) RAN(120) 및 원격 유닛(105)으로부터 측정치들을 수신하고 원격 유닛(105)의 위치를 계산한다. UDM은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자격증명들, 사용자 식별 처리, 액세스 허가, 가입 관리의 생성을 담당한다. UDR은 가입자 정보의 저장소이며, 다수의 네트워크 기능을 서비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DR은, 가입 데이터, 정책 관련 데이터,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에 노출되는 것이 허용되는 가입자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DM은 결합된 엔티티 "UDM/UDR"(149)로서 도시된 UDR과 공동위치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또한 정책 제어 기능("PCF")(144)(이는 정책 규칙들을 CP 기능들에 제공함), 네트워크 저장소 기능("NRF")(이는 네트워크 기능("NF") 서비스 등록 및 발견을 제공하여, NF들이 서로 적절한 서비스들을 식별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API들")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함), 네트워크 노출 기능("NEF")(이는 네트워크 데이터 및 리소스들이 고객들 및 네트워크 파트너들에게 쉽게 액세스가능하게 되는 것을 담당함), 인증 서버 기능("AUSF"), 또는 5GC에 대해 정의된 다른 NF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할 때, AUSF는 인증 서버 및/또는 인증 프록시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AMF(143)가 원격 유닛(105)을 인증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인증, 허가, 및 과금("AAA")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는 상이한 유형들의 모바일 데이터 접속들 및 상이한 유형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지원하며, 각각의 모바일 데이터 접속은 특정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 트래픽 유형 또는 통신 서비스에 대해 최적화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의 일부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초고신뢰 저레이턴시 통신("URLLC") 서비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머신 유형 통신("MTC") 서비스, 대규모 MTC("mMTC") 서비스, 사물 인터넷("IoT") 서비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버티컬 서비스, 특정 이용 사례 등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는 단일-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S-NSSAI")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반면, 원격 유닛(105)이 이용하도록 허가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세트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NSSAI")에 의해 식별된다. 여기서, "NSSAI"는 하나 이상의 S-NSSAI 값을 포함하는 벡터 값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SMF(145) 및 UPF(141)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들의 별개의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AMF(143)와 같은 일부 공통 네트워크 기능들을 공유할 수 있다.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 지원이 가정된다.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격 유닛(105)은 네트워크로부터(예를 들어, RAN(120)을 통해 LMF(147)로부터) 측정 구성(125)을 수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5)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고, 위치결정 계산들의 특정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결정 보고(127)를 LMF(147)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위치 서버가 즉시 이용가능하지 않은 시나리오들에서, 타겟 UE는 사이드링크 위치결정 기술들을 로컬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이 5G RAN 및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지만,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설명된 실시예들은 IEEE 802.11 변형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즉, 2G 디지털 셀룰러 네트워크),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 변형들, CDMA 2000,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Sigfox 등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들의 통신 네트워크들 및 RAT들에 적용된다.
또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가 EPC인 LTE 변형에서, 도시된 네트워크 기능들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서빙 게이트웨이("SGW"), PGW, 홈 가입자 서버("HSS") 등과 같은 적절한 EPC 엔티티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143)는 MME에 매핑될 수 있고, SMF(145)는 PGW의 제어 평면 부분 및/또는 MME에 매핑될 수 있고, UPF(141)는 SGW 및 PGW의 사용자 평면 부분에 매핑될 수 있고, UDM/UDR(149)은 HSS에 매핑될 수 있는 식이다.
이하의 설명들에서, 용어 "RAN 노드"는 기지국에 대해 사용되지만, 임의의 다른 라디오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gNB, ng-eNB, eNB,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등에 의해 대체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동작들은 주로 5G NR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제안된 솔루션들/방법들은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다른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도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표 1은 IIoT 또는 실내 공장 설정에서 상이한 시나리오들에 대한 다양한 위치결정 성능 요건들을 열거한다. 릴리스 17("Rel-17")에서의 IIoT에 대해, 특정 위치결정 요건들은 정확도, 레이턴시, 및 신뢰성에 대하여 특히 엄격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이 높은 정확도,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성으로 구현될 수 있게 하도록 의도된다.
Figure pct00001
본 개시내용은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을 설명한다. 유익하게도, 시간차 기반 측정들 및 위치 추정은 타겟 UE에 대한 정확도의 관점에서 높은 해상도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앵커 UE 및 비-앵커 UE 구성들 모두에 대한 TDoA 측정들 및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커버리지외 시나리오들에서의 높은 정확도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며, 공공 안전 및 V2X 시나리오들에 특히 유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기술들은 타겟 UE가 사이드링크에서 UE들의 복수의 쌍 사이의 복수의 빔을 이용하여 TX-RX 거리/범위 계산을 위한 왕복 시간(RTT) 측정들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X-RX 거리 계산을 위한 개시된 RTT 측정들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보조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드 2 SL 동작들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SL 빔은 유니캐스트 시나리오에서 정확한 RTT 측정들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반면, 복수의 UE로부터의 RTT 측정들은 또한 타겟 UE의 바로 옆 주변들의 매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NR 프로토콜 스택(200)을 도시한다. 도 2가 5G 코어 네트워크("5GC") 내의 UE(205), RAN 노드(210) 및 AMF(215)를 도시하지만, 이들은 베이스 유닛(121) 및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140)와 상호작용하는 원격 유닛들(105)의 세트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스택(200)은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201)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203)을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201)은 물리적("PHY") 계층(220),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 계층(225), 라디오 링크 제어("RLC") 하위 계층(230),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하위 계층(235), 및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 계층(240)을 포함한다.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203)은 물리적 계층(220), MAC 하위 계층(225), RLC 하위 계층(230), 및 PDCP 하위 계층(235)을 포함한다.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203)은 또한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계층(245) 및 비-액세스 계층("NAS") 계층(250)을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201)에 대한 AS 계층("AS 프로토콜 스택"이라고도 함)은 적어도 SDAP, PDCP, RLC 및 MAC 하위 계층들, 및 물리적 계층으로 구성된다.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203)에 대한 AS 계층은 적어도 RRC, PDCP, RLC 및 MAC 하위 계층들, 및 물리적 계층으로 구성된다. 계층-2("L2")는 SDAP, PDCP, RLC 및 MAC 하위 계층들로 분할된다. 계층-3("L3")은 제어 평면에 대한 RRC 계층(245) 및 NAS 계층(250)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에 대한 인터넷 프로토콜("IP") 계층 및/또는 PDU 계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L1 및 L2는 "하위 계층들"이라고 지칭되는 반면, L3 및 그 위(예컨대, 전송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는 "상위 계층들" 또는 "상부 계층들"이라고 지칭된다.
물리적 계층(220)은 전송 채널들을 MAC 하위 계층(225)에 제공한다. 물리적 계층(220)은 가용 채널 평가 및/또는 리슨-비포-토크("CCA/LB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계층(220)은 UL 리슨-비포-토크("LBT") 실패의 통지를 MAC 하위 계층(225)에서의 MAC 엔티티에 전송할 수 있다. MAC 하위 계층(225)은 논리적 채널들을 RLC 하위 계층(230)에 제공한다. RLC 하위 계층(230)은 PDCP 하위 계층(235)에 RLC 채널들을 제공한다. PDCP 하위 계층(235)은 SDAP 계층(240) 및/또는 RRC 계층(245)에 라디오 베어러들을 제공한다. SDAP 계층(240)은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5GC)에 QoS 흐름들을 제공한다. RRC 계층(245)은 캐리어 집성 및/또는 이중 접속성의 추가, 수정, 및 해제를 제공한다. RRC 계층(245)은 또한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들("SRB들") 및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들("DRB들")의 확립, 구성, 유지, 및 해제를 관리한다.
NAS 계층(250)은 UE(205)와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5GC)의 AMF(215) 사이에 있다. NAS 메시지들은 RAN을 통해 투명하게 전달된다. NAS 계층(250)은 통신 세션들의 확립을 관리하는데 그리고 UE(205)가 RAN의 상이한 셀들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UE(205)와의 연속적인 통신을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대조적으로, AS 계층은 UE(205)와 RAN(즉, RAN 노드(210)) 사이에 있고 네트워크의 무선 부분을 통해 정보를 운반한다.
다음의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이 시스템(10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DL-TDoA: DL TDOA 위치결정 방법은 UE(205)(즉, 원격 유닛(105))에서 복수의 TP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의 DL RS 시간차("RSTD")(및 선택적으로 DL PRS RS 수신 품질("RSRQ")의 DL PRS RSRP)를 이용한다. UE(205)는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들의 DL RSTD(및 선택적으로 DL PRS RSRP)를 측정하고, 결과적인 측정치들은 다른 구성 정보와 함께 이용되어 이웃하는 전송 포인트들("TP들")과 관련하여 UE(205)를 위치시킨다.
DL-AoD: DL 출발각("AoD") 위치결정 방법은 UE(205)에서 복수의 TP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의 측정된 DL PRS RSRP를 이용한다. UE(205)는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들의 DL PRS RSRP를 측정하고, 결과적인 측정치들은 다른 구성 정보와 함께 이용되어 이웃하는 TP들과 관련하여 UE(205)를 위치시킨다.
멀티-RTT: 다중-왕복 시간("멀티-RTT") 위치결정 방법은 UE(205)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의 DL PRS RSRP 및 UE 수신-전송("Rx-Tx") 측정치들 및 UE(205)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들의 복수의 TRP들에서의 UL SRS-RSRP 및 gNB Rx-Tx 측정치들(즉, RAN 노드(210)에 의해 측정됨)을 이용한다.
UE(205)는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UE Rx-Tx 측정치들(및 선택적으로 수신된 신호들의 DL PRS RSRP)을 측정하고, TRP들은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NB Rx-Tx 측정치들(및 선택적으로 수신된 신호들의 UL SRS-RSRP)을 측정한다. 측정치들은 UE(205)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위치결정 서버에서의 왕복 시간("RTT")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E-CID/NR E-CID: 향상된 셀 ID(CID) 위치결정 방법에서, UE(205)의 위치는 그 서빙 ng-eNB, gNB 및 셀에 대한 지식으로 추정되고 LTE 신호들에 기반한다. 서빙 ng-eNB, gNB 및 셀에 관한 정보는 페이징, 등록, 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NR 향상된 셀 ID(NR E CID) 위치결정은 NR 신호들을 이용한 UE 위치 추정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인 UE 측정들 및/또는 NR 라디오 리소스 및 다른 측정들을 이용하는 기술들을 지칭한다.
NR E-CID 위치결정이 RRC 프로토콜에서의 측정 제어 시스템과 동일한 측정들 중 일부를 이용할 수 있지만, UE(205)는 일반적으로 위치결정의 유일한 목적을 위해 추가적인 측정들을 행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으며, 즉, 위치결정 절차들은 측정 구성 또는 측정 제어 메시지를 공급하지 않으며, UE(205)는 추가적인 측정 동작들을 취하도록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이용가능한 측정들을 보고한다.
UL-TDoA: UL TDOA 위치결정 방법은 UE(205)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들의 복수의 RP들에서의 UL TDOA(및 선택적으로 UL SRS-RSRP)를 이용한다. RP들은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들의 UL TDOA(및 선택적으로 UL SRS-RSRP)를 측정하고, 결과적인 측정치들은 다른 구성 정보와 함께 이용되어 UE(205)의 위치를 추정한다.
UL-AoA: UL 도달각("AoA") 위치결정 방법은 UE(205)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신호들의 복수의 RP들에서의 측정된 방위 및 천정 도달각들을 이용한다. RP들은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들의 A-AoA 및 Z-AoA를 측정하고, 결과적인 측정치들은 다른 구성 정보와 함께 이용되어 UE(205)의 위치를 추정한다.
3GPP 사양들의 릴리스 16("Rel-16")에서 지원되는 일부 UE 위치결정 방법들이 표 2에 열거된다. 표 2에 나타내진 바와 같은 별개의 위치결정 기술들은 LMF 및/또는 UE 능력들의 요건들에 기반하여 현재 구성되고 수행될 수 있다. 표 2는 PRS 신호들에 기반한 TBS 위치결정을 포함하지만, LTE 신호들에 기반한 OTDOA만이 지원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E-CID는 NR 방법에 대한 셀-ID를 포함한다. 지상 비컨 시스템("TBS") 방법은 대도시 비컨 시스템("MBS") 신호들에 기반한 TBS 위치결정을 지칭한다.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의 전송은 UE(205)가 UE의 위치 추정의 계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UE 위치결정 관련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전송 수신 포인트("TRP")마다 구성되며, TRP는 하나 이상의 빔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NR 빔 기반 위치결정을 위한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Rel-16에 따르면, PRS는, PRS가 전체 셀에 걸쳐 전송된 LTE와 비교할 때 비교적 상이한, 주파수 범위 #1("FR1", 즉, 410 MHz 내지 7125 MHz의 주파수들)과 주파수 범위 #2("FR2", 즉, 24.25 GHz 내지 52.6 GHz의 주파수들)에 걸쳐 좁은 빔들을 이용하여 상이한 기지국들(서빙 및 이웃)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205)는 서빙 gNB인 제1 gNB("gNB #1)(310)로부터, 그리고 또한 이웃하는 제2 gNB("gNB #2)(315) 및 이웃하는 제3 gNB("gNB #3)(320)로부터 PRS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PRS는 기지국(즉, TRP)에 대한 PRS 리소스 ID 및 리소스 세트 ID와 로컬로 연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gNB(310, 315, 320)는 제1 리소스 세트 ID(325) 및 제2 리소스 세트 ID(33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205)는 전송 빔들 상에서 PRS를 수신하며; 여기서, 제2 리소스 세트 ID(330)로부터의 PRS 리소스 ID #1 상에서 gNB #1(310)로부터 PRS를 수신하고, 제2 리소스 세트 ID(330)로부터의 PSR 리소스 ID #3 상에서 gNB #2(315)로부터 PRS를 수신하고, 제1 리소스 세트 ID(325)로부터의 PRS 리소스 ID #3 상에서 gNB #3(320)으로부터 PRS를 수신한다. 5G RAN 내에서, NR 위치결정 프로토콜 A("NRPPa")(335)는 신세대("NG")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NGAP")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이용한다. NRPPa 메시지(335)는 NGAP 메시지 내에서 운반된다. LMF(305)는 AMF(143)를 통해 NG-RAN 노드에 접속된다. 베이스 유닛(121)으로서의 NG-RAN 노드는 몇몇 TRP들을 제어할 수 있다. 분할 NG-RAN 아키텍처들, 즉, 중앙집중형 유닛("CU")/분산형 유닛("DU"), 및 비-분할 NG-RAN 아키텍처들 모두가 지원된다. NRPPa의 더 상세한 설명은 3GPP TS 38.455에서 발견될 수 있다.
표 2는 3GPP 사양들의 릴리스 16("Rel-16")에서 지원되는 위치결정 기술들을 열거한다. 표 2는 PRS 신호들에 기반한 TBS 위치결정을 포함하지만, Rel-16에서는 LTE 신호들에 기반한 OTDOA만이 지원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E-CID는 NR 방법에 대한 셀-ID를 포함한다. 지상 비컨 시스템("TBS") 방법은 대도시 비컨 시스템("MBS") 신호들에 기반한 TBS 위치결정을 지칭한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진 바와 같은 별개의 위치결정 기술들은 LMF 및 UE 능력들의 요건들에 기반하여 현재 구성되고 수행될 수 있다.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의 전송은 UE가 UE의 위치 추정의 계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UE 위치결정 관련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전송 수신 포인트(TRP)마다 구성되며, TRP는 하나 이상의 빔을 전송할 수 있다.
표 3은 UE에서의 지원되는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 각각에 대한 RS-대-측정 매핑을 열거한다.
기준 신호 시간차("RSTD") 및 PRS RSRP 측정들과 같은 UE 위치결정 측정들은 LTE에서의 경우와 같은 상이한 셀들과는 대조적으로 빔들 사이에서 행해진다. 또한, 타겟 UE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네트워크가 이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UL 위치결정 방법들이 존재한다. 표 3은 UE에서의 지원되는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RS-대-측정 매핑을 열거한다.
Figure pct00003
표 4는 gNB에서의 지원되는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 각각에 대한 RS-대-측정 매핑을 열거한다.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은, 타겟 디바이스(UE)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GNSS, IMU 센서, WLAN 및 블루투스 기술들에 의존하는 RAT 독립적 위치결정 기술들과는 구별되는, 3GPP RAT 및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UE의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한다.
Figure pct00004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은, 3GPP RAT 및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UE의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것을 수반하며, 이들은 타겟 디바이스(즉, UE)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역적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관성 측정 유닛("IMU") 센서, WLAN 및 블루투스 기술들에 의존하는 RAT 독립적 위치결정 기술들과 구별된다.
PRS 설계
3GPP Rel-16의 경우, DL PRS 리소스 세트 내의 DL PRS 리소스 ID는 단일 TRP로부터 전송된 단일 빔과 연관된다(TRP는 하나 이상의 빔을 전송할 수 있다). DL PRS 기회는 DL PRS가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윈도우들(연속적인 슬롯(들))의 하나의 인스턴스이다. DL PRS 리소스의 유형-D를 넘어서는 QCL 관계들과 관련하여, 이러한 QCL 관계들에 대한 지원은 다음의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 1: TRP의 SSB로부터의 QCL-TypeC.
옵션 2: TRP의 DL PRS 리소스로부터의 QCL-TypeC.
옵션 3: TRP의 DL PRS 리소스로부터의 QCL-TypeA.
옵션 4: TRP의 CSI-RS 리소스로부터의 QCL-TypeC.
옵션 5: TRP의 CSI-RS 리소스로부터의 QCL-TypeA.
옵션 6: 유형-D를 넘어서는 어떠한 QCL 관계도 지원되지 않는다.
QCL-TypeA는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평균 지연, 지연 확산을 지칭하고; QCL-TypeB는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을 지칭하고; QCL-TypeC는 평균 지연, 도플러 시프트를 지칭하고; QCL-TypeD는 공간 Rx 파라미터를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DL PRS 리소스에 대해, TRP의 SSB로부터의 QCL-TypeC(옵션 1)가 지원된다. 단일 TRP와 연관된 복수의 DL PRS 리소스 세트들과 연관될 수 있는 ID가 정의된다. 단일 TRP와 연관된 복수의 DL PRS 리소스 세트들과 연관될 수 있는 ID가 정의된다. 이 ID는 DL PRS 리소스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DL PRS 리소스 세트 ID 및 DL PRS 리소스 ID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명칭은 RAN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TRP는 하나의 이러한 ID와만 연관되어야 한다.
DL PRS 리소스 ID들은 DL PRS 리소스 세트 내에서 로컬로 정의된다. DL PRS 리소스 세트 ID들은 TRP 내에서 로컬로 정의된다. 반복된 DL PRS 리소스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DL PRS 리소스 세트가 걸쳐 있는 지속 시간은 DL-PRS-주기성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파라미터 DL-PRS-ResourceRepetitionFactor은 DL PRS 리소스 세트에 대해 구성되고, DL-PRS 리소스 세트의 단일 인스턴스에 대해 각각의 DL-PRS 리소스가 몇 번 반복되는지를 제어한다. 지원되는 값들은 1, 2, 4, 6, 8, 16, 32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시그널링은 하이브리드 RAT 의존적 위치결정 솔루션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을 지원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NR 위치결정과 관련하여, 용어 "위치결정 주파수 계층"은 동일한 SCS 및 CP 유형; 동일한 중심 주파수; 동일한 포인트-A; DL PRS 리소스 세트의 모든 DL PRS 리소스들이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것; 및/또는 동일한 위치결정 주파수 계층에 속하는 모든 DL PRS 리소스 세트들이 DL PRS 대역폭 및 시작 PRB의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TRP에 걸친 DL PRS 리소스 세트들의 집합을 지칭한다.
ms 단위의 DL PRS 심볼들의 지속기간은 272 PRB 할당이 UE 능력이라고 가정하여 UE가 매 T ms마다 처리할 수 있도록 정의될 수 있다.
측정 및 보고 구성
DL 기반 위치결정 기술들에 적용 가능한 UE 측정들이 아래에서 논의된다. 개념적인 개요를 위해, 지원되는 위치결정 기술들 각각에 대해 보조 데이터 구성들(도 9 참조) 및 측정 정보(도 10 참조)가 제공된다.
도 4는 UE 보조 및 UE 기반 NR 다운링크 TDOA를 가능하게 하도록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서버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NR-DL-TDOA-ProvideAssistanceData 정보 요소("IE")를 포함하는 DL-TDOA 보조 데이터(400)의 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또한 NR DL TDOA 위치결정 특정 에러 이유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NR-DL-TDOA-ProvideAssistanceData I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SL-TDOA 또는 SL-RTT 기술들과 같은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특정적인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SL-TDOA 또는 SL-RTT와 같은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특정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공된 보조 데이터 IE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도 5는 NR-DL TDOA 측정치들을 위치 서버에 제공하기 위해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NR-DL-TDOA-SignalMeasurementInformation IE를 포함하는 DL-TDOA 측정 보고(500)의 예를 보여준다. 측정치들은 TRP들의 리스트로서 제공되고, 여기서, 리스트에서의 제1 TRP는 RSTD 측정치들이 보고될 경우에 기준 TRP로서 이용된다. 리스트에서의 제1 TRP는 NR-DL-PRS-AssistanceData에서 표시된 기준 TRP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TRP마다 기준 리소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준 리소스에 기반하여 TRP마다 측정치들을 컴파일링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NR-DL-TDOA-SignalMeasurementInformation I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SL-TDOA 또는 SL-RTT와 같은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특정적인 도달 시간차 신호 측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SL-TDOA 또는 SL-RTT와 같은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특정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TDOA-SignalMeasurementInformation IE를 이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유익하게 포함될 수 있는 정보의 유형들에 대한 추가적인 상세들은 SL-TDOA 기반 위치결정을 위한 표 6 및 표 7 및 SL-RTT 기반 위치결정을 위한 표 9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RAT 의존적 위치결정 측정들
표 5는 DL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이용되는 다양한 DL 측정들을 열거한다. 상이한 DL 측정들은 지원되는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에 필요한 DL PRS-RSRP, DL RSTD 및 UE Rx-Tx 시간차를 포함하며, 표 5에 나타내진다.
Figure pct00005
예를 들어, 셀들의 쌍마다 DL RSTD 측정들의 4개의 쌍이 수행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특정 측정 구성들이 또한 지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정은 단일 기준 타이밍을 갖는 DL PRS 리소스들/리소스 세트들의 상이한 쌍 사이에서 수행된다.
8개의 DL PRS RSRP 측정은 동일한 셀로부터의 상이한 DL PRS 리소스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본 개시내용은 타이밍 기반 방법들에 관련된 SL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리지외, 부분 커버리지, 및 커버리지내 시나리오들에 대한 고정 기준 및/또는 모바일 기준을 이용한 SL 시간차 기반 위치결정을 위한 구성 및 시그널링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시간차 기반 측정들 및 위치 추정은 타겟 UE에 대한 정확도의 관점에서 최고 해상도를 제공한다. 커버리지외 시나리오들에서 높은 정확도의 위치결정을 위한 앵커 UE 및 비-앵커 UE 구성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공공 안전 및 V2X 시나리오들에 특히 유익하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타겟 UE가 사이드링크에서 UE들의 복수의 쌍들 사이의 복수의 빔들을 이용한 TX-RX 거리/범위 계산을 위해 왕복 시간(RTT) 측정들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기술이 설명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RX 거리 계산을 위한 RTT 측정들이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보조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드 2 SL 동작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SL 빔들은 유니캐스트 시나리오에서 정확한 RTT 측정들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반면, 복수의 UE들로부터의 RTT 측정들은 또한 타겟 UE의 바로 옆 주변들의 매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TDOA를 이용한 타겟 UE의 위치 추정은 알려진 위치를 갖는 적어도 3개의 앵커 노드를 요구하며, 여기서, 이들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노드로서 작용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고정 기준(실시예 1) 및 모바일 기준 노드(실시예 2)를 수반하는 상이한 SL-TDOA 위치 추정 시나리오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 1 내지 5 또는 그 일부들은 서로 조합하여 구현되어 개선된 위치 정확도 추정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 1 내지 5의 다양한 양태들은, 예를 들어, 개선된 위치 정확도 추정을 달성하는 등의, 특정의 이유로 서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Sidelink Angular-Based And SL RRM-Based Positioning"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63,854호 및/또는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 For SL PRS Transmission Methodology"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63,824호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들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 고정 기준 노드를 이용한 SL-TDOA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UE(605)의 사이드링크 SL-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을 위한 고정 기준 노드(620) 및 (UE-1(610) 및 UE-2(615)로 지칭되는) 2개의 추가적인 SL UE의 사이드링크 SL-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대한 예시적인 시나리오(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시나리오(600)에서, 타겟 UE(605)는 LMF(635)와, 예를 들어, gNB 또는 RSU(630)를 통해 그리고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610 및 615)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LMF(635)는 독립형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구현되거나 위치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LMF(635)는 서빙/이웃 기지국(gNB), 도로변 유닛(RSU) 또는 위치 측정 유닛(LMU), 취약한 도로 사용자(VRU)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앵커 기준 노드(620)로부터 유래하는 TRP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으로 SL 타겟 UE(605)를 구성하고, 여기서 이 TRP는 Uu 또는 SL 인터페이스에 기반할 수 있다. 2개의 추가적인 UE가 도 6에서 모바일 UE들로서 도시되지만, 2개 이상의 추가적인 노드(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의 TRP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알려진 절대 2D/3D 위치, 진로 방향 및/또는 속도를 갖는 모바일 앵커 노드들;
알려진 절대 2D/3D 위치를 갖는 고정 앵커 노드들; 및
모바일 비-앵커 노드들이 식별된 후 그 각각의 절대 위치들을 결정함으로써 앵커 노드들로 변환되는, 알려지지 않은 절대 위치, 진로 방향, 및/또는 속도를 갖는 모바일 비-앵커 노드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시나리오(600)와 일치하는 특정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630)(예를 들어, gNB 또는 RSU)은 타겟 UE(605)(예를 들어, UE-1(610), UE-2(615))의 바로 옆 부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비-앵커 SL 노드의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LocationInfo 메시지 IE를 이용하여) 위치 보고(645)에 대한 요청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비-앵커 노드들에 대한 위치 보고(645)는 GNSS 또는 IMU 기반 위치결정 기술들과 같은 RAT 독립적 기술들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그들이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위한 앵커 노드들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서빙 gNB(630)는 앵커 노드들의 역할을 하는 업데이트된 3개의 노드의 SL PRS 구성을 전송하기 전에 적절한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NRPPa를 통해 LMF(635)와 그 위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에 따라, 서빙 기지국(630)(예를 들어, gNB)은 gNB 측정 RAT 의존적 위치결정 기술들(예를 들어,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앵커 SL 노드로부터의 업링크 SRS 전송)에 기반하여 타겟 UE(605)의 바로 옆 부근에서의 2개 이상의 비-앵커 SL 노드(예를 들어, UE-1(610), UE-2(6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서빙 gNB는 업데이트된 3개의 앵커 노드의 SL PRS 구성을 전송하기 전에 NRPPa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위치 정보를 LMF(635)와 공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다른 시나리오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알려진 절대 2D/3D 위치, 진로 방향 및/또는 속도를 갖는 하나의 모바일 앵커 노드 및 알려진 절대 2D/3D 위치를 갖는 다른 고정 앵커 노드;
알려진 절대 2D/3D 위치, 진로 방향 및/또는 속도를 갖는 하나의 모바일 앵커 노드 및 알려지지 않은 절대 위치, 진로 방향, 속도를 갖는 다른 모바일 비-앵커 노드; 및
알려진 절대 2D/3D 위치를 갖는 하나의 고정 앵커 노드 및 알려지지 않은 절대 위치, 진로 방향, 속도를 갖는 다른 모바일 비-앵커 노드.
UE 보조 위치결정의 경우, LMF(635)는 타겟 UE(605)를 로컬화하기 위해 SL PRS를 전송하는 앵커 노드들의 2D(x, y) 좌표들뿐만 아니라 전송 시간 오프셋들을 이용한다.
표 6은 타겟 UE(605)에서의 이용을 위해 LMF(635)에 의해 전송되는 각각의 SL PRS 구성 파라미터들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6
이들 파라미터들은 이들 파라미터들이 위치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LMF(635)(UE 보조) 또는 2개 이상의 추가적인 SL UE(610, 615)(UE 기반)에 대해 요구되는지에 기반하여 추가로 구별될 수 있다.
SL TRP ID 또는 SL-PRS ID 또는 SL-PRS 리소스 세트 ID는 앵커 또는 비-앵커 노드에 의해 전송된 고유 SL-PRS 리소스/리소스 세트를 설명한다. RSU ID는 어느 RSU가 SL을 전송할 것인지를 식별하는 관점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인 반면, 구역 ID는 셀이 지리적 기준에 기반하여 직사각형 그리드들로 분할되는 V2X 구역 개념을 이용하여 타겟 UE를 로컬화하기 위한 상보적 보조 정보를 제공한다.
앵커 및/또는 비-앵커 노드들인 고정 및/또는 모바일 노드들의 다양한 조합들이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이용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시나리오(600)는 SL-TDOA 위치결정을 위한 고정 기준 노드(620) 및 2개의 모바일 앵커/비-앵커 UE(UE-1(610) 및 UE-2(615))의 예를 나타낸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타겟 UE(605)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시나리오(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차들("RTD"), 관찰된 시간차들("OTD")(τi3), SL PRS 전송기들의 동기화에 기반한 전송 시간 오프셋들(완벽한 동기화를 위해 (Ti-T3) = 0) 및 측정 에러들(ε)을 수반하는 기준 노드(gNB-3/RSU-3)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RSTD 측정(655)을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아래의 표 7은 타겟 UE(605)에 의한 보고된 측정들의 예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07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LMF(635)는 타겟 UE(605)의 궤적(650)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들(t0, t1, ..., tn)에서 주기적 SL PRS 구성을 타겟 UE(605)에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구성된 시간 인스턴스들 각각에서 RSTD 측정들의 세트가 수행될 수 있다. SL PRS 시간 간격 측정의 주기성 및 길이는 LMF(635)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605)는 또한, 구성된 경우, 위치 추정 정확도를 개선하는데 있어서 LMF(635)를 돕기 위해, 노드 1(UE-1(610))과 노드 2(UE-2(615)) 사이에 추가적인 비-기준 RSTD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추가적인 쌍곡선 추정을 제공하여, 개선된 2D 위치 정확도를 위한 3개의 고유한 RSTD 측정을 낳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UE(605)는
Figure pct00008
개의 별개의 RSTD 측정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N은 SL PRS(640)를 전송할 수 있는 식별되고 구성된 앵커 노드들의 수이다. 일반적으로, 3D 위치 추정을 위해, TDOA 해상도는 5개 이상의 앵커 노드들로 해결될 수 있고, 일부 구현들은 LMF(635)(네트워크)가 위치 추정의 유형, 2D 또는 3D, 및 요구된 정확도에 따라 더 많은 앵커 노드들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더 많은 앵커 노드들에 대한 더 많은 측정들을 통한 증가된 정확도에 대한 트레이드오프는 앵커 노드들의 수가 스케일링됨에 따라 모든 노드들이 시간 동기화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과 관련된 프로세스들뿐만 아니라 SL PRS 스케줄링 복잡도에서의 증가를 수반한다.
SL 위치결정 구성(또는 SL 위치결정 요청)이 LMF(635)에 의해 전송될 때, 이것은 또한 타겟 UE의 소스 L2 ID를 포함할 수 있고, 그 후 PRS(640)를 전송하기 위해 앵커 UE들에 대해 목적지 L2 ID가 전송된다. PRS 리소스 세트는 목적지 L2 ID마다 구성된다. LMF(635)에 대한 타겟 UE의 보고(645)는 위치결정 요청이 전송된 소스 L2 ID 및 목적지 L2 ID를 포함한다. 또한, 타겟 UE(605)로부터의 보고(645)는 복수의 소스/목적지 L2 ID로부터의 복수의 보고를 다중화할 수 있다.
실시예 2 - 모바일 기준 노드를 이용한 SL-TDOA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UE(705)의 SL-TDOA 위치결정을 위한 모바일 기준 노드(720)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UE-1(710) 및 UE-2(715))를 갖는 예시적인 시나리오(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2는 모바일 기준 노드(720)에 대한 타겟 UE(705)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SL-TDOA 기술을 설명한다. LMF/V2X 애플리케이션은 위치결정 관련 서비스들에 대한 V2X 계층을 트리거링할 수 있고, 이것은 UE들의 그룹을 수반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타겟 UE(들)는 그룹 내의 멤버들인 반면, 나머지 멤버들은 SL-TDOA를 수행하기 위한 앵커 노드 역할들을 가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700)에 따른 2개의 시나리오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1) 알려진 절대 위치들을 갖는 모바일 앵커 노드들이 있는 SL-TDOA
LMF/V2X 애플리케이션은 V2X 계층과의 위치결정 관련 그룹캐스트 통신 서비스를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여기서 V2X 계층은 그룹 멤버들 각각에 멤버 ID들을 할당할 수 있다. V2X 계층은 LMF(735)가 앵커 노드들 각각의 절대 위치들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LMF(735)는 UE-3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앵커 기준 노드(720)로부터 유래하는 SL TRP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으로 SL 타겟 UE(705)를 구성한다(또는 모바일 기준 노드는 취약한 도로 사용자("VRU")일 수 있다). 13에 따르면, 타겟 UE는 RTD 측정들 및 동기화 및 클록 에러들로부터 발생하는 에러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준 노드(UE-3)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RSTD 측정을 수행한다.
2) 알려지지 않은 절대 위치들을 갖는 모바일 비-앵커 노드들이 있는 SL-TDOA
LMF/V2X 애플리케이션은 V2X 계층과의 위치결정 관련 그룹캐스트 통신 서비스를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여기서 V2X 계층은 그룹 멤버들 각각에 멤버 ID들을 할당할 수 있다. V2X 계층은 LMF가 기준 앵커 노드에 대한 비-앵커 노드들 각각의 상대 위치들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모드 1: LMF는 UE-3(도 7에 도시됨) 및 다른 비-앵커 UE들(UE-1 및 UE-2)과 같은 하나의 모바일 비-앵커 기준 노드(720)로부터 유래하는 SL TRP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으로 SL 타겟 UE를 구성하고; UE들은 V2X 사용자들 및/또는 취약한 도로 사용자들(VRU들)일 수 있다.
모드 2: 기준 비-앵커 노드(720)는 모든 비-앵커 노드들(UE-1(710), UE-2(715), 및 UE-3(720))로부터 유래하는 SL TRP들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으로 SL 타겟 UE(705)를 구성한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타겟 UE(705)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시나리오(7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차들("RTD"), 관찰된 시간차들("OTD")(τi3), SL PRS 전송기들의 동기화에 기반한 전송 시간 오프셋들((완벽한 동기화를 위해 (Ti-T3) = 0) 및 측정 에러들(ε)을 수반하는 모바일 기준 노드(UE-3)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RSTD 측정(755)을 수행한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타겟 UE(705)는 타겟 UE(705)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RSTD 측정들(755)의 보고(745)를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gNB 또는 RSU(730))을 통해 LMF(735)에 전송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에 의해 수신된 SL PRS는 타겟 UE(705)의 궤적(750)을 따르는 포인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 인스턴스들에서 구성되고 측정된다.
실시예 3: SL-TDOA 동기화
완전히 동기화된 네트워크에서, 전송 시간 오프셋으로 구성된 RTD 파라미터는 0일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LMF(735)는 타겟 UE(705)의 최종 위치 추정을 계산하기 위해 이 RTD 정보를 이용한다. SL-TDOA 위치결정 기술 구현들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SL PRS(740)를 전송하는 앵커/비-앵커 노드들 사이의 엄격한 나노초 동기화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실시예들 1 및 2에 따르면, 고정 및 모바일 기준 노드(620, 720)는 SL PRS(740)를 전송하는 모바일 앵커/비-앵커 노드들(예를 들어, 710, 715)과 함께,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GNSS 시간에 기반하여, 공통 클록과 동기화되도록 구성된다. 고정 기준 노드(620)를 갖는 실시예 1의 경우에, 모바일 앵커/비-앵커 노드들(예를 들어, 610, 615)은 또한 기지국(630)과 동기화하는 옵션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공통 동기화 소스는 우선순위 인덱스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상태는 기준 노드들(620, 720) 및/또는 모바일 앵커/비-앵커 노드들(610, 615, 710, 715)에 대한 커버리지내, 부분 커버리지, 커버리지외일 수 있다. 아래의 표 8은 SL-TDOA/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의 수행과 관련된 UE들 사이에 구현될 우선순위 대 동기화 소스 매핑과 관련된 예시적인 상세들을 나타낸다.
아래에 도시된 표 8에 따르면, GNSS는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요구되는 엄격한 동기화 요건들로 인해 기지국 동기화와 비교할 때 동기화 소스로서 우선순위화된다. 기지국은 eNB/gNB와 같은 중앙집중형 라디오 액세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소스 동기화는 커버리지내 또는 부분 커버리지 동안에만 고려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또한, 예를 들어 노드들(610, 615, 620, 710, 715, 720)과 같은, SL PRS를 전송하는 노드들은 특히 모드 1 동작들에 대해, RTD 오프셋을 보상하기 위해 LMF를 주기적으로 보조하는 전송 시간을 LMF에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모드 2 시나리오들에 대한 UE 기반 위치결정의 경우에, RTD 오프셋은 SL PRS 전송과 연관된 SL PRS 전송 타임스탬프에 기반하여 타겟 UE(605, 705)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실시예 4: SL-RTT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UE들(810, 815)이 있는 복수의 빔들을 이용한 타겟 UE(805)의 SL-왕복 시간("RTT") 위치결정의 예시적인 시나리오(8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의 SL 빔(850)을 형성하는 SL-PRS(840)의 왕복 시간(RTT)은 또한 다른 UE에 대한 SL UE의 절대 및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기술의 이점은 거리/범위가 단지 하나의 앵커 노드(810) 및 타겟 UE(805)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타겟 UE(805)에 대한 전체 위치 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SL-RTT에 대한 추가적인 향상들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간략화를 위해, 도 8은 복수의 빔 및 복수의 앵커 노드를 이용하여 수행되게 구성되도록 또한 확장될 수 있는 각각의 SL TRP에 대해 단일 빔(850)을 이용하여 SL-RTT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UE-1(810) 및 UE-2는 SL-RTT 절차를 위해 타겟 UE(805)에 대한 기준 노드들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LMF/V2X 애플리케이션은 타겟 UE(805)와의 SL-RTT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V2X 계층과의 위치결정 관련 유니캐스트 통신 세션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SL-RTT 절차는 SL 모드 1 및 모드 2 동작들 둘 다에 대해 유사하지만, SL-PRS 구성 및 보고가 어떻게 수행되는지는 상이한 모드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트리거는 애플리케이션 요건들에 기반하여 이벤트 기반, 비주기적 또는 주기적일 수 있다. 모드 1에서, SL UE들은 gNB에 의해 보조되고, 이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용 라디오 리소스들을 이용한다. 모드 2에서, SL UE들은 gNB에 의해 이전에 전송된 리소스 풀로부터 라디오 리소스들을 랜덤하게 선택한다.
모드 1: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LMF(835)는 SL-PRS 구성으로 UE-1(810), UE-2(815) 및 타겟 UE를 구성한다. UE-1 및 UE-2는 RSU들/SL-UE들 또는 VRU들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노드 UE-1(810), UE-2(815) 및 타겟 UE(805)는 그 각각의 UE Rx-Tx 차이 측정치들을 빔/SL TRP마다 LMF에 보고하며, 이는 UE 보조 위치결정에 주로 적용가능하다. LMF(835)는
Figure pct00010
에 기반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여기서 c는 광속이고, SL-RTT는 보고된 왕복 시간에 기반한다.
모드 2: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LMF(835)는 위치결정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되도록, SL-PRS 구성을 gNB(830)에 전송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들에서, 디폴트 SL-PRS 구성은 UE들에 대해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UE-1(810), UE-2(815) 및 타겟 UE(805)는 저장된, 미리 구성된, 또는 브로드캐스팅된 SL PRS 구성을 이용하여 SL-RTT 위치결정을 수행한다. UE들(UE-1(810) 및 UE-2(815))은 UE 기반 위치결정을 위해 빔/SL TRP마다의 그 각각의 UE Rx-Tx 차이 측정치를 타겟 UE(805)에게 보고한다. 아래의 표 9 및 표 10은 UE들 각각에 대한 특정 SL PRS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보고 파라미터들을 열거하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이 UE가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LMF에 의해 보조되는 SL 위치결정을 위해 또는 타겟 UE가 SL RTT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그 추정된 위치를 계산하는 SL UE 기반 위치결정을 위해 각각 이용되는지를 표시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실시예 5: SL 위치결정 능력 교환 시그널링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TDOA 및/또는 SL-RTT에 대한 능력 시그널링 교환의 예(9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SL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전에, 타겟 UE(905)는 로컬화될 타겟 UE(905)가 SL-TDOA 및/또는 SL-RTT 위치결정 기술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요구되는 UE 특징들을 갖는지를 문의하는 요청(915)을 LMF(9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타겟 UE는 타겟 UE(905)의 SL-TDOA 및/또는 SL-RTT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LMF(910)에 제공하는 응답(920)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TDOA 및/또는 SL-RTT에 대한 보조 데이터 시그널링 교환의 예(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SL 위치결정을 수행하기 전에, 타겟 UE(1005)는 SL-TDOA 및/또는 SL-RTT 보조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1015)을 LMF(1010)에 전송할 수 있다. 타겟 UE는 요청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는 응답(1020)을 LMF(1010)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장비 장치(110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 장치(1100)는 전술한 솔루션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장비 장치(1100)는 전술한 원격 유닛(105) 및/또는 UE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비 장치(1100)는 프로세서(1105), 메모리(1110), 입력 디바이스(1115), 출력 디바이스(1120), 및 트랜시버(1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115) 및 출력 디바이스(112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단일 디바이스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 장치(1100)는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1115)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11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 장치(1100)는, 프로세서(1105), 메모리(1110), 및 트랜시버(11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디바이스(1115)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11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5)는,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고/있거나 논리적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공지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5)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보조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가능한 제어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105)는 메모리(111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루틴들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05)는, 메모리(1110), 입력 디바이스(1115), 출력 디바이스(1120), 및 트랜시버(112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105)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른 UE 거동을 구현하도록 사용자 장비 장치(110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110)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10)는 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10)는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및/또는 정적 RAM("SRAM")을 포함하는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10)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1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10)는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 구성들, 정책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110)는 또한 장치(1100)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제어기 알고리즘들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1115)는, 일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버튼, 키보드,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115)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로서 출력 디바이스(1120)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115)는, 텍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필기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115)는 키보드 및 터치 패널과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1120)는,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120)는 시각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11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또는 이미지들,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출력 디바이스(1120)는,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사용자 장비 장치(1100)의 나머지와 별개이지만 이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1120)는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전,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랩톱)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차량 대시보드 등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120)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1120)는 가청 경보 또는 통지(예컨대, 비프음 또는 차임음)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120)는 진동들, 모션, 또는 다른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1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입력 디바이스(1115)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1115) 및 출력 디바이스(1120)는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120)는 입력 디바이스(1115)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트랜시버(1125)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기능과 통신한다. 트랜시버(1125)는 메시지들, 데이터, 및 다른 신호들을 전송하고 또한 메시지들, 데이터, 및 다른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프로세서(1105)의 제어 하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5)는 메시지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특정 시간들에서 트랜시버(1125)(또는 그 부분들)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트랜시버(1125)는 적어도 전송기(113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1135)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전송기(113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L 전송들 등의, UL 통신 신호들을 베이스 유닛(121)에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수신기(113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21)으로부터 DL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전송기(1130) 및 하나의 수신기(1135)만이 도시되지만, 사용자 장비 장치(1100)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전송기들(1130) 및 수신기들(113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송기(들)(1130) 및 수신기(들)(1135)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전송기들 및 수신기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시버(1125)는 허가 라디오 스펙트럼을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제1 전송기/수신기 쌍 및 비허가 라디오 스펙트럼을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제2 전송기/수신기 쌍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허가 라디오 스펙트럼을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제1 전송기/수신기 쌍 및 비허가 라디오 스펙트럼을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제2 전송기/수신기 쌍은 단일 트랜시버 유닛, 예를 들어, 허가 및 비허가 라디오 스펙트럼 모두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단일 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전송기/수신기 쌍 및 제2 전송기/수신기 쌍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트랜시버들(1125), 전송기들(1130), 및 수신기들(1135)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와 같은, 공유 하드웨어 리소스 및/또는 소프트웨어 리소스에 액세스하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요소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기(113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1135)는 멀티-트랜시버 칩, 시스템-온-칩, ASIC, 또는 다른 유형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같은 단일 하드웨어 구성요소로 구현 및/또는 통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기(113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1135)는 멀티-칩 모듈로 구현 및/또는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회로들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수의 전송기들(1130) 및/또는 수신기들(1135)과 함께 단일 칩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송기들(1130) 및 수신기들(1135)은 하나 이상의 공통 제어 신호를 이용하는 트랜시버(1125)로서, 또는 동일한 하드웨어 칩 또는 멀티-칩 모듈에서 구현된 모듈식 전송기들(1130) 및 수신기들(1135)로서 논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이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전술한 베이스 유닛(121), RAN 노드, LMF 및/또는 위치 서버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프로세서(1205), 메모리(1210), 입력 디바이스(1215), 출력 디바이스(1220), 및 트랜시버(1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215) 및 출력 디바이스(122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단일 디바이스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1215)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12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프로세서(1205), 메모리(1210), 및 트랜시버(12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디바이스(1215)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12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5)는,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고/있거나 논리적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공지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5)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가능한 제어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05)는 메모리(121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루틴들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5)는, 메모리(1210), 입력 디바이스(1215), 출력 디바이스(1220), 및 트랜시버(122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RAN 노드이다. 여기서, 프로세서(120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gNB/RAN 거동들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를 제어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AMF이다. 여기서, 프로세서(120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AMF 거동들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를 제어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위치 서버이다. 여기서, 프로세서(120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위치 서버 거동들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210)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210)는 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10)는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및/또는 정적 RAM("SRAM")을 포함하는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210)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1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21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210)는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 구성들, 정책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210)는 또한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제어기 알고리즘들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1215)는, 일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버튼, 키보드,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215)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로서 출력 디바이스(1220)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215)는, 텍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그리고/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필기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1215)는 키보드 및 터치 패널과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1220)는,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220)는 시각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1220)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또는 이미지들,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출력 디바이스(1220)는, 이를테면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의 나머지와는 별개이지만 이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1220)는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전,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랩톱)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차량 대시보드 등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220)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1220)는 가청 경보 또는 통지(예컨대, 비프음 또는 차임음)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220)는 진동들, 모션, 또는 다른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2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입력 디바이스(1215)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1215) 및 출력 디바이스(1220)는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1220)는 입력 디바이스(1215)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트랜시버(1225)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기(1230)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1235)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UE와 통신하는데 하나 이상의 전송기(1230)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수신기(123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PLMN 및/또는 RAN에서의 네트워크 기능들과 통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 하나의 전송기(1230) 및 하나의 수신기(1235)가 도시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전송기들(1230) 및 수신기들(123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송기(들)(1230) 및 수신기(들)(1235)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전송기들 및 수신기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0)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회로들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수의 전송기들(1230) 및/또는 수신기들(1135)과 함께 단일 칩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송기들(1230) 및 수신기들(1235)은 하나 이상의 공통 제어 신호를 이용하는 트랜시버(1225)로서, 또는 동일한 하드웨어 칩 또는 멀티-칩 모듈에서 구현된 모듈식 전송기들(1230) 및 수신기들(1235)로서 논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법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TDOA 위치결정을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300)은 적어도 기지국, 사용자 장비(UE), 및 위치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300)은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300)이 시작되고, 타겟 UE 관점에서, UE 기반 위치결정을 위해, 타겟 UE가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위치결정 기준 신호("SL-PRS") 측정치들을 수신하는 단계(1305)를 포함한다. 방법(1300)은 계속되고 기준 노드에 대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측정하는 단계(131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치결정은 UE 보조이다(예를 들어, LMF는 타겟 UE로부터의 보고된 측정치들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타겟 추정된 위치를 계산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SL 위치결정은 UE 기반이다(예컨대, UE는 그 자신의 추정된 위치를 계산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300)은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1315)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예를 들어, UE 보조)에서, 방법(1300)은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S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SL 기준 신호 시간차 측정치를 위치 서버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1300)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SL-PRS 측정치들의 도달 시간차를 이용하여 타겟 UE에 대한 위치 추정을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1300)은 종료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방법(1300)은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들과 같은 다양한 기준 및 앵커 또는 비-앵커 노드들, 구성들, 기술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방법(1300)은 도 1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UE 장치(1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방법들(1300)은 방법(1300)의 하나 이상의 방법 단계 또는 그 변형들의 수행을 돕는 위치 서버 및/또는 LMF를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SL-RTT를 이용한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방법들을 위한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하나 이상의 앵커 또는 비-앵커 기준 노드, 및/또는 위치 서버와 통신하는 원격 유닛(105)과 같은 UE에 의해 수행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의 단계들은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방법(1400)이 시작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타겟 UE가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에 전송하는 단계(1405)를 포함한다. 방법(1400)은 계속되고 타겟 UE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1410), 및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이용한 SL 왕복 시간(RTT)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1415)를 포함하며, 여기서 SL RTT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SL UE Rx-Tx 차이는,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수신된 타이밍을 측정하는 것;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및 수신 타이밍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SL UE Rx-Tx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방법(1400)은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들과 같은 다양한 기준 및 앵커 또는 비-앵커 노드들, 구성들, 기술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방법(1400)은 1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UE 장치(1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방법들(1400)은 방법(1400)의 하나 이상의 방법 단계 또는 그 변형들의 수행을 돕는 위치 서버 및/또는 LMF를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 장치(1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들은 사이드링크("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UE 장치를 포함하고, 타겟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UE로 하여금,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위치결정 기준 신호("SL-PRS") 측정치들을 수신하게 하고; 기준 노드에 대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측정하게 하고;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게 한다. 일부 UE 기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는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추정된 위치를 로컬로 계산함으로써 추정된 위치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UE 보조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타겟 UE는, Uu 인터페이스, SL 인터페이스, 또는 둘 다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SL RSTD들의 측정치들을 위치 서버(또는 코어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구현된 LMF)에 보고하는 것; 및 위치 서버에 의해 계산되는 SL RSTD들의 측정치를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는 추정된 위치를 위치 서버(또는 LMF)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의해 추정된 위치를 결정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는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는,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내에 포함된 앵커 UE들로부터 수신된 절대 위치 정보; 위치 관리 기능("LMF")이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중에 포함된 비-앵커 UE들의 각각의 절대 위치들을 결정함으로써 비-앵커 UE들에 대한 통신 네트워크의 LMF로부터 수신된 절대 위치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기준 노드는 기지국, 도로변 유닛("RSU"), SL-UE, 및 취약한 도로 사용자("VRU")로부터 선택된 고정 노드이고, 기준 노드는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PRS")를 전송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는 수신된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에 기반하여 RSTD를 측정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준 노드는 SL-UE 및 VRU로부터 선택된 비-앵커 모바일 노드이다. 특정 구현들에서,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는 비-앵커 노드들이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타겟 UE는 비-앵커 모바일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유래하는 SL 전송 수신 포인트들(TRP들)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들을 비-앵커 모바일 기준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구성된 SL-TDOA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대 사물("V2X") 계층과 LMF 사이에서 그룹캐스트 통신 세션이 개시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기준 노드는 SL-UE 및 VRU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기준 노드이고,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는 비-앵커 노드들이고, 타겟 UE는 LMF로부터, 모바일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유래하는 SL 전송 수신 포인트들(TRP들)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들 및 특정 아이덴티티들, 및 V2X 계층과 LMF 사이에서 개시되는 그룹캐스트 통신 세션에 기반한 모바일 기준 노드에 대한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의 상대 위치들을 수신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UE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들("PSCCH들"), 물리적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들("PSBCH들"), 및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들("PSSCH"),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SL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SL-PRS를 수신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에 의해 수신되는 SL PRS는 타겟 UE의 궤적을 따르는 포인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구성되고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SL PRS를 전송하고 있는 기준 노드와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중의 노드들은 TDOA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함에 있어서 실시간차("RTD") 오프셋들을 보상하기 위해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추가의 예시적인 UE 장치는 사이드링크("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를 포함하고, 타겟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타겟 UE로 하여금,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에 전송하게 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고,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이용한 SL 왕복 시간(RTT)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게 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SL RTT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SL UE Rx-Tx 차이는,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수신된 타이밍을 측정하는 것,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및 수신 타이밍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 및 하나 이상의 SL UE Rx-Tx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는, 유니캐스트 통신 세션에 기반하여 SL-RTT 구성을 수신하고, 구성된 SL-RTT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UE들인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의 대응하는 Rx-Tx 차이 측정 보고들과 함께 이용할 Rx-Tx 차이 측정 보고를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 관리 기능("LMF")에 전송한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타겟 UE는,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능력 정보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위치 서버 또는 위치 관리 기능("LMF")으로부터 수신하고,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요청된 능력 정보를 위치 서버 또는 LMF에 전송하는 것; 및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위치 서버 또는 위치 관리 기능("LMF")에 전송하고, 위치 서버 또는 LMF로부터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요청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UE 보조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수반하는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치 서버 또는 위치 서버 상에 구현되거나 코어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구현되는 LMF는 앵커 또는 비-앵커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타겟 UE 및/또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보고들을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위치 서버 또는 위치 서버 상에 구현되거나 통신 네트워크의 독립형 코어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구현되는 위치 관리 기능("LMF")을 위한 방법은, 로컬화될 타겟 UE로부터, 기준 노드에 대한 타겟 UE와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2개 이상의 사이드링크("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것 - SL RSTD들은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의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에 기반함 -, 및 SL RSTD들에 기반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위치 서버 또는 위치 서버 상에 구현되거나 통신 네트워크의 독립형 코어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구현되는 위치 관리 기능("LMF")을 위한 방법은, 로컬화될 타겟 UE로부터,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하나 이상의 SL RTT 측정치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UE Rx-Tx 시간차 측정치들에 기반한 SL-RTT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들, 시스템들, 또는 방법들 중 어느 것에 있어서, 다양한 비-앵커 노드들이 위에서 설명된 특정 단계들을 이용하여 앵커 노드들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들, 시스템들, 또는 방법들은 위치 서버 또는 LMF에 대한 적시의 액세스가 이용가능한 경우에 UE 보조일 수 있고 위치 서버 또는 LMF에 대한 적시의 액세스가 특정 기간 동안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UE 기반일 수 있는 SL TDOA 및 SL RTT를 포함하는, 낮은 레이턴시를 갖는 더 정확하고 SL 기반의 위치결정 기술들을 제공함으로써 UE 로컬화 기술을 개선한다.
실시예들은 다른 특정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모든 면들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만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표시된다. 청구항들의 등가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들은 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비("UE") 장치로서,
    사이드링크("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positioning)을 이용하여 로컬화(localize)될 타겟 UE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상기 UE로 하여금,
    기준 노드 및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SL-PRS") 측정치들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기준 노드에 대해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측정하게 하고;
    상기 SL RSTD들을 이용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게 하는, UE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는 상기 SL RSTD들을 이용한 상기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는 상기 추정된 위치를 로컬로 계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UE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는,
    Uu 인터페이스, SL 인터페이스, 또는 둘 다로부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SL RSTD들의 측정치들을 위치 서버에 보고하는 것; 및
    상기 위치 서버에 의해 계산되는 상기 SL RSTD들의 측정치를 이용한 상기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는 상기 추정된 위치를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
    에 의해 상기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UE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는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내에 포함된 앵커 UE들로부터 수신된 절대 위치 정보;
    위치 관리 기능("LMF")이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중의 비-앵커 UE들의 각각의 절대 위치들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비-앵커 UE들에 대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LMF로부터 수신된 절대 위치 정보; 및
    이들의 조합들
    로부터 선택되는, UE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노드는 기지국, 도로변 유닛("RSU"), SL-UE, 및 취약한 도로 사용자("VRU")로부터 선택된 고정 노드이고, 상기 기준 노드는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PRS")를 전송하고;
    상기 타겟 UE는 수신된 위치결정 기준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RSTD를 측정하는, UE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노드는 SL-UE 및 VRU로부터 선택된 비-앵커 모바일 노드이고;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는 비-앵커 노드들이고;
    상기 타겟 UE는 비-앵커 모바일 기준 노드 및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유래하는 SL 전송 수신 포인트들(TRP들)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들을 상기 비-앵커 모바일 기준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UE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구성된 SL-TDOA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대 사물("V2X") 계층과 위치 관리 기능("LMF") 사이에서 그룹캐스트 통신 세션이 개시되는, UE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노드는 SL-UE 및 VRU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기준 노드이고;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는 비-앵커 노드들이고;
    상기 타겟 UE는 상기 LMF로부터,
    모바일 기준 노드 및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유래하는 SL 전송 수신 포인트들(TRP들)에 대응하는 SL PRS 구성들 및 아이덴티티들; 및
    상기 V2X 계층과 상기 LMF 사이에서 개시되는 상기 그룹캐스트 통신 세션에 기반한 상기 모바일 기준 노드에 대한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의 상대 위치들
    을 수신하는, UE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들("PSCCH들"), 물리적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들("PSBCH들"), 및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들("PSSCH"), 및 이들의 조합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SL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상기 SL-PRS를 수신하는, UE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SL PRS는 상기 타겟 UE의 궤적을 따르는 포인트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구성되고 측정되는, UE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L PRS를 전송하고 있는 상기 기준 노드와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중의 노드들은 상기 TDOA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함에 있어서 실시간차("RTD") 오프셋들을 보상하기 위해 전송 시간을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UE 장치.
  12.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사용자 장비("UE") 장치로서,
    사이드링크("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UE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여 상기 타겟 UE로 하여금,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에 전송하게 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고;
    상기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되는 상기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을 이용한 SL 왕복 시간(RTT) 위치결정 기술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SL RTT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SL UE Rx-Tx 차이는,
    PRS를 포함하는 SL 서브프레임들의 수신된 타이밍을 측정하는 것;
    PRS를 포함하는 상기 SL 서브프레임들의 전송 및 수신 타이밍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 및
    상기 하나 이상의 SL UE Rx-Tx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는 것
    에 의해 획득되는, UE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는,
    유니캐스트 통신 세션에 기반하여 SL-RTT 구성을 수신하고;
    구성된 SL-RTT 위치결정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UE들인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의 대응하는 Rx-Tx 차이 측정 보고들과 함께 이용할 Rx-Tx 차이 측정 보고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 관리 기능("LMF")에 전송하는, UE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UE는,
    상기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능력 정보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위치 서버 또는 위치 관리 기능("LMF")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요청된 능력 정보를 상기 위치 서버 또는 상기 LMF에 전송하는 것; 및
    상기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상기 위치 서버 또는 상기 위치 관리 기능("LMF")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서버 또는 상기 LMF로부터 상기 SL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에 관련된 요청된 보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UE 장치.
  15.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 관리 기능("LMF")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 및 제2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로컬화될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은,
    로컬화될 상기 타겟 UE로부터, 기준 노드에 대한 상기 타겟 UE와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2개 이상의 사이드링크("SL") 기준 신호 타이밍 차이들("RSTD들")을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것 - 상기 SL RSTD들은 상기 기준 노드 및 상기 2개 이상의 추가적인 UE로부터의 SL 위치결정 기준 신호들("PRS")에 기반함 -; 및
    상기 SL RSTD들에 기반한 도달 시간차("TDOA")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기술은,
    로컬화될 상기 타겟 UE로부터, 상기 타겟 UE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UE 사이의 하나 이상의 SL RTT 측정치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것; 및
    UE Rx-Tx 시간차 측정치들에 기반한 SL-RTT 위치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UE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4934A 2020-08-10 2021-08-10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KR20230048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63824P 2020-08-10 2020-08-10
US202063063836P 2020-08-10 2020-08-10
US202063063854P 2020-08-10 2020-08-10
US63/063,824 2020-08-10
US63/063,836 2020-08-10
US63/063,854 2020-08-10
PCT/IB2021/057347 WO2022034483A2 (en) 2020-08-10 2021-08-10 Sidelink timing-based positio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332A true KR20230048332A (ko) 2023-04-11

Family

ID=807361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804A KR20230050334A (ko) 2020-08-10 2021-08-10 자율적인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
KR1020237004934A KR20230048332A (ko) 2020-08-10 2021-08-10 사이드링크 타이밍 기반 위치결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804A KR20230050334A (ko) 2020-08-10 2021-08-10 자율적인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230309066A1 (ko)
EP (3) EP4193167A2 (ko)
JP (1) JP2023537985A (ko)
KR (2) KR20230050334A (ko)
CN (3) CN116018867A (ko)
AU (2) AU2021326057A1 (ko)
BR (2) BR112023002504A2 (ko)
CA (2) CA3186670A1 (ko)
MX (1) MX2023001664A (ko)
WO (3) WO20220344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851A1 (ko) * 2019-10-15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37369A (ko) * 2020-09-17 2022-03-24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디바이스-간 조정을 핸들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368829A (zh) * 2020-10-09 2023-06-30 苹果公司 使用辅助ue信令确定目标ue的位置
US11974335B2 (en) 2020-12-17 2024-04-30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20220232409A1 (en) * 2021-01-19 2022-07-21 Mediatek Singapore Pte. Ltd. Resource Allocation Enhancement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11804935B2 (en) * 2021-07-23 2023-10-3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ccess techniques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S11754665B2 (en) * 2021-08-13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positioning sessions during cell timing source outages
WO2023046261A1 (en) * 2021-09-21 2023-03-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assisted positioning for out of coverage terminals
US11943156B2 (en) * 2021-09-24 2024-03-26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according to priority
US20230166759A1 (en) * 2021-12-01 2023-06-01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localization accuracy by sharing dynamic object localization information
US20230266423A1 (en) * 2022-02-18 2023-08-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sidelink-based positioning in unicast session
KR20230129287A (ko) * 2022-03-01 2023-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l 측위를 위한 sl prs 전송 방법 및 장치
EP4240073A1 (en) * 2022-03-01 2023-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positioning group in nr v2x
WO2023172345A1 (en) * 2022-03-08 2023-09-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for sidelink positioning and sidelink communication sessions
WO2023168676A1 (en) * 2022-03-10 2023-09-14 Nokia Shanghai Bell Co., Ltd. Sidelink ranging and positioning
US20230319739A1 (en) * 2022-03-16 2023-10-05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synchronization source selection
US20230300822A1 (en) * 2022-03-18 2023-09-21 Sharp Kabushiki Kaisha Schedul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across different subcarrier spacings
CN117280237A (zh) * 2022-03-29 2023-1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测距侧行链路定位策略确定方法及设备
WO2023193220A1 (en) * 2022-04-08 2023-10-12 Zte Corporation Wireless-based sidelink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3193216A1 (en) * 2022-04-08 2023-10-12 Zt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evice-to-device positioning
CN116963265A (zh) * 2022-04-12 2023-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基于旁路的定位方法和设备
WO2023204546A1 (ko) * 2022-04-18 2023-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l 측위를 위한 센싱 기반 sl prs 전송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WO2023206128A1 (zh) * 2022-04-27 2023-11-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7014114A (zh) * 2022-04-27 2023-11-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基于旁路的定位方法和设备
WO2023208352A1 (en) * 2022-04-28 2023-1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sitioning devices and methods
WO2023211450A1 (en) * 2022-04-28 2023-11-02 Rakuten Mobile, Inc. A system,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positioning accuracy with inter-device coordination
WO2023211582A1 (en) * 2022-04-29 2023-11-02 Qualcomm Incorporated Response time based management for sl positioning resources
WO2023232240A1 (en) * 2022-06-01 2023-12-07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duction of interference in location determination
WO2023237213A1 (en) * 2022-06-10 2023-12-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CN117716750A (zh) * 2022-06-20 2024-03-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于测距和/或直连链路定位能力协商的方法、装置和软件
WO2023245406A1 (zh) * 2022-06-21 2023-12-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侧行定位的方法、装置、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4010354A1 (ko) * 2022-07-05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인트 사이드링크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486152A (zh) * 2022-07-21 2022-12-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时间信息交互方法、装置
KR20240015355A (ko) * 2022-07-27 202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포지셔닝 절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31581A1 (en) * 2022-08-11 2024-02-15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communication
WO2024033034A1 (en) * 2022-08-11 2024-02-15 Nokia Technologies Oy Reference information for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WO2024032953A1 (en) * 2022-08-12 2024-02-15 Nokia Technologies Oy Side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KR20240035191A (ko) * 2022-09-08 2024-03-15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포지셔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50743A1 (en) * 2022-09-08 2024-03-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Target node for positioning systems
WO2024070767A1 (en) * 2022-09-29 2024-04-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delink beam alignment
WO2024069537A1 (en) * 2022-09-29 2024-04-04 Lenovo (Singapore) Pte. Ltd. Resource configuration for side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WO2024068469A1 (en) * 2022-09-30 2024-04-04 Sony Group Corporation A method and device for sidelink positioning coordination
WO2024076071A1 (ko) * 2022-10-06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포지셔닝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54601A (ko) * 2022-10-19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포지셔닝 방법 및 장치
WO2024084044A1 (en) * 2022-10-20 2024-04-25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delink positioning
WO2024090813A1 (ko) * 2022-10-27 202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포지셔닝을 위한 사이드링크 캐스트 타입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4096787A1 (en) * 2022-11-03 2024-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performing sidelink positioning using one or more reference user equipme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117B2 (en) * 2014-09-25 2017-07-18 Intel Corporation Device-to-device assisted positioning in wireless cellular technologies
US20190230618A1 (en) * 2018-01-23 2019-07-25 Nokia Technologies Oy Using sidelink information in radio-based positioning
KR20200116950A (ko) * 2018-02-06 2020-10-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사용자 디바이스 사이의 측위 신호의 송수신 방법
WO2019160973A1 (en) * 2018-02-13 2019-08-22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v2x autonomous directional resource selection
US11451926B2 (en) * 2018-10-31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CN111343579B (zh) * 2018-12-19 2021-08-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和相关设备
WO2021133104A1 (ko) * 2019-12-26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 측위를 위한 사전 구성된 prs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34285A (zh) 2023-04-28
EP4193166A2 (en) 2023-06-14
BR112023002504A2 (pt) 2023-04-04
WO2022034485A1 (en) 2022-02-17
EP4193731A1 (en) 2023-06-14
AU2021325422A1 (en) 2023-03-09
US20230309066A1 (en) 2023-09-28
EP4193167A2 (en) 2023-06-14
WO2022034483A3 (en) 2022-04-21
CN116018867A (zh) 2023-04-25
US20230296752A1 (en) 2023-09-21
WO2022034484A2 (en) 2022-02-17
BR112023002513A2 (pt) 2023-04-04
MX2023001664A (es) 2023-03-08
CN116075738A (zh) 2023-05-05
JP2023537985A (ja) 2023-09-06
CA3186407A1 (en) 2022-02-17
AU2021326057A1 (en) 2023-03-09
KR20230050334A (ko) 2023-04-14
US20230305099A1 (en) 2023-09-28
WO2022034484A3 (en) 2022-05-05
CA3186670A1 (en) 2022-02-17
WO2022034483A2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6752A1 (en) Sidelink timing-based positioning
US2020013771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ing uplink and downlink positioning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US202001542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US20230345408A1 (en) Configuring positioning measurements and reports
US20240163835A1 (en) Receiving a sidelink positioning resource grant
US20240137906A1 (en) Sidelink ranging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ypes
US20240137173A1 (en) Sidelink ranging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ypes
US20240137899A1 (en) Sidelink ranging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ypes
US20240151802A1 (en) Positioning measurement reporting using small data transmissions
US20240019525A1 (en) Ultra-wideband measurements for radio access technology-independent positioning
WO2023187750A1 (en) Techniques for sidelink power control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CA3239371A1 (en) On-demand prs configuration parameters
WO2023105447A1 (en) Rat-independent positioning in sidelink
WO2023062547A1 (en) Sidelink cooperative positioning in nlos scenario
WO2023209574A1 (en) Techniques for beam identification for radio sensing participation
WO2023152662A1 (en) On-demand prs configuration parameters
WO2023209573A1 (en) Configuring participation in a radio sensing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