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734A -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734A
KR20230044734A KR1020210127231A KR20210127231A KR20230044734A KR 20230044734 A KR20230044734 A KR 20230044734A KR 1020210127231 A KR1020210127231 A KR 1020210127231A KR 20210127231 A KR20210127231 A KR 20210127231A KR 20230044734 A KR20230044734 A KR 2023004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tinuous
wall
pile
continuou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5263B1 (ko
Inventor
안신환
변영기
Original Assignee
안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신환 filed Critical 안신환
Priority to KR102021012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52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8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transmission of vibrations or movements in the foundation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은, 진동원과 건축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원으로부터 상기 건축물로 전파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지중 방진 구조물로서,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부재들이 맞대어 연결된 연속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VIBRATION-PROOF STRUCTURE USING UNDERGROUND CONTINUOUS WALL}
본 발명은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지중방진벽은 지반 진동의 전파를 방지할 목적으로 진동원과 방진 대상물의 도중에 시공하는 지중 벽을 말한다. 도로, 철도 등의 진동원으로부터 주변 건축물들을 보호하거나, 진동원 인근 주거지역의 진동소음 공해를 줄이기 위한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다짐공법 등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의 진동원으로부터 주변 건축물과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도 적용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8250호(발명명칭: 지반 지동 저감을 위한 방진벽)는 진동원으로부터 건축물로 진동이 진행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지중에 설치하는 방진벽을 보여준다. 방진벽 내부를 지반과 임피던스가 다른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경성채움재로 채워줌으로써 지반 진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7370호(발명명칭: 지중 방진벽 설치공법 및 지중 방진벽) 또한 방진벽 내부를 고탄성의 우레탄 소재를 포함하는 방진액을 주입하여 방진벽을 구축하는 공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들과 같은 기술들은 수진점이 광범위해질수록 채움재의 양도 늘어나야 하므로, 시공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방진벽을 시공할 때뿐만 아니라 향후 방진벽을 제거할 때에도 큰 비용과 시간의 지출을 피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렌치 내부를 채움재 없이 빈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을 통해서도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파를 소멸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빈 공간은 양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토압 또는 지하수압 등에 의해 쉽게 붕괴되어 방진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진 효율과 시공성이 우수한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은, 진동원과 건축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원으로부터 상기 건축물로 전파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지중 방진 구조물로서,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부재들이 맞대어 연결된 연속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속벽은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의 다중 경사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파일부재들은 각각 하나의 시트 재질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파일부재들은 각각, 가운데 벤딩부를 통해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이는 제1 시트부와 제2 시트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마련된, 상기 제1 시트부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시트부의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파일부재들은 제1 파일부재, 제2 파일부재 및 제3 파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일부재의 제2 연결부가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일부재의 제2 시트부와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1 시트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경사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2 연결부가 상기 제3 파일부재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2 시트부와 상기 제3 파일부재의 제1 시트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경사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구간과 상기 제2 경사구간은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구간과 상기 제2 경사구간은 상기 제2 파일부재의 벤딩부에서 교차할 수 있다.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중공 트렌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벽은 상기 중공 트렌치의 바닥부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 트렌치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벽의 최상단은 상기 덮개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기술은 방진 효율과 시공성이 우수한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의 일부에 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단히 '지중 방진 구조물'이라 함)은 연속벽(110)을 포함한다.
연속벽(110)은 진동원(VS)과 건축물(BI) 사이에 설치된다.
연속벽은 건축물에 인접하는 패시브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진동원에 인접하는 포지티브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지중 방진 구조에 패시브 방식이 더 유리하다.
연속벽(110)이 지표면(G)으로부터 소정의 깊이(D1)를 갖도록 설치된다.
연속벽의 설치 깊이가 도면에서 III방향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10m의 깊이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110)은 다수의 파일부재들이 맞대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다수의 파일부재들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항타함으로 연속벽이 설치될 수 있다.
파일부재는 강제 시트파일(steel sheet pile)과 같은 파일 구조물일 수 있다. 파일부재는 하나의 시트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는 파일 구조물일 수 있다. 이로써 파일구조물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연코일을 적정 크기로 슬리팅 한 이후 스탬핑 과정 등을 통해 냉간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파일부재들은 대체로 20~40cm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지그재그로 맞대어 연속적으로 설치되므로, 설치된 연속벽의 폭은 40~80cm일 수 있다. 연속벽의 폭이 도면에서 I방향으로 표시된다.
연속벽이 설치되는 길이(도면에서 II방향으로 표시됨)는 방진하고자 하는 목적물과 진동원의 스케일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원(VS)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의 다중 경사구간을 갖는 연속벽을 통해 진동파의 진행방향(A)을 매우 효과적으로 틀어줌으로써 방진 효율이 우수한 지중 방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의 일부에 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속벽(110)은 다수의 파일부재들(111, 112, 113, 114, 115)을 포함한다. 다수의 파일부재들이 서로 맞대어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5개의 파일부재들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진 규모를 고려하여 더 많은 수의 파일부재들이 맞대어 연결될 수 있다.
각 파일부재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동일한 형상의 파일부재들을 사용하면 이송 및 적재에 유리하고 설치할 때에도 배열이 직관적이어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인다.
각 파일부재(111, 112, 113, 114, 115)는 양쪽에 연결부위들(Ca, Cb)을 갖는다. 연결부위(Ca)와 연결부위(Cb)는 서로 맞물렸을 때 끼워질 수 있는 상호보완적인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먼저 설치된 파일부재(111)의 연결부위(Cb)에 이어서 파일부재(112)의 연결부위(Ca)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끼워져 항타된다. 파일부재(112)의 항타를 마치면, 이어서 파일부재(113)의 연결부위(Ca)가 직전 파일부재(112)의 연결부위(Cb)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끼워져 항타된다. 계속하여 다른 파일부재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항타되어 최종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술한 연속벽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연결부위의 형상이 동일한 파일부재들을 적용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파일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쪽에 연결부위들이 서로 다르게 생긴(암수 결합구조와 같이) 파일부재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지그재그 구조의 연속벽이 형성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110)은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의 다중 경사구간을 갖는다. 이러한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를 통해 진동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파를 매우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웃하는 파일부재들 사이에 만들어지는 연속된 복수의 경사구간들(S1, S2, S3, S4)이 진동파의 진행방향(A)에 대해 대체로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진동을 저감시킨다. 연속벽의 다중 경사 구조들이 진동을 저감시킨다.
각 파일부재(111, 112, 113, 114, 115)는 가운데 벤딩부(B)를 갖는다. 그리고, 이 벤딩부를 통해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이는 제1 시트부(S1)와 제2 시트부(S2)를 갖는다. 상술한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위(Ca)는 제1 시트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위(Cb)는 제2 시트부의 단부에 마련된다.
파일부재(111)의 연결부위(Cb)가 인접하는 파일부재(112)의 연결부위(Ca)와 연결되어 파일부재(111)의 제2 시트부(S2)와 파일부재(112)의 제1 시트부에 의해 첫 번째 경사구간(S1)이 만들어진다.
파일부재(112)의 연결부위(Cb)가 인접하는 파일부재(113)의 연결부위(Ca)와 연결되어 파일부재(112)의 제2 시트부(S2)와 파일부재(113)의 제1 시트부에 의해 두 번째 경사구간(S2)이 만들어진다.
파일부재(113)의 연결부위(Cb)가 인접하는 파일부재(114)의 연결부위(Ca)와 연결되어 파일부재(113)의 제2 시트부(S2)와 파일부재(114)의 제1 시트부에 의해 세 번째 경사구간(S3)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파일부재(114)의 연결부위(Cb)가 인접하는 파일부재(115)의 연결부위(Ca)와 연결되어 파일부재(114)의 제2 시트부(S2)와 파일부재(115)의 제1 시트부에 의해 네 번째 경사구간(S4)이 만들어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4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후 항타되는 파일부재들에 대해서도 여러 경사구간들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구간들(S1, S2, S3, S4)은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를 갖는다.
첫 번째 경사구간(S1)과 두 번째 경사구간(S2)이 파일부재(112)의 벤딩부(B)를 통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연속된 첫 번째 경사구간(S1)과 두 번째 경사구간(S2)은 파일부재(112)의 벤딩부(B)에서 교차한다.
두 번째 경사구간(S2)과 세 번째 경사구간(S3)이 파일부재(113)의 벤딩부(B)를 통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연속된 두 번째 경사구간(S2)과 세 번째 경사구간(S3)은 파일부재(113)의 벤딩부(B)에서 교차한다.
세 번째 경사구간(S3)과 네 번째 경사구간(S4)이 파일부재(114)의 벤딩부(B)를 통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연속된 세 번째 경사구간(S3)과 네 번째 경사구간(S4)은 파일부재(114)의 벤딩부(B)에서 교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벽은 파일부재들에 의해 생성되는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의 다중 경사구간들을 활용하여 진동파의 진행방향을 촘촘히 효율적으로 틀어줌으로써 방진 효과를 높인다. 연속벽 자체가 갖는 스크린 효과에 더하여 연속된 다중 경사구간에 의한 굴절 효과까지 더해져 효율적으로 방진 효과를 도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100')은 중공 트렌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속벽(110')은 중공 트렌치(120)를 통해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의 연속벽(110)에 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차이점을 위주로 살펴본다.
중공 트렌치(120)는 소정의 깊이(D2)로 굴착된다.
중공 트렌치의 굴착 깊이가 도면에서 III방향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3m의 깊이로 굴착될 수 있다. 이때, 중공 트렌치는 1.4m의 폭으로 굴착될 수 있다. 굴착 폭이 도면에서 I방향으로 표시된다.
대체로, 진동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표면파는 5Hz의 주파수를 갖는다.
중공 트렌치는 진동원(VS)과 건축물(BI) 사이에 설치되되, 건축물에 인접하는 패시브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진동원에 인접하는 포지티브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지중 방진 구조에 패시브 방식이 더 유리하다.
연속벽(110')이 이러한 중공 트렌치(120)의 바닥부(122)를 통해 설치된다. 연속벽(110')은 중공 트렌치의 바닥부(122)로부터 소정의 깊이(D1)를 갖도록 설치된다.
연속벽의 설치 깊이가 도면에서 III방향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7m의 깊이로 설치될 수 있다.
연속벽(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파일부재들이 맞대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다수의 파일부재들을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항타함으로써 연속벽이 설치될 수 있다.
중공 트렌치 및 연속벽이 설치되는 길이(도면에서 II방향으로 표시됨)는 방진하고자 하는 목적물과 진동원의 스케일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벽(110')은 그 최상단(T)이 중공 트렌치(120)의 바닥부(122)와 대체로 일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연속벽의 최상단(T)이 중공 트렌치의 바닥부(122)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중공 트렌치는 표면파 저감에 더욱 유리하고 연속벽은 실체파 저감에 더욱 유리하므로 역할을 분담시켜 필요한 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한다.
중공 트렌치의 내부 공간은 파일 항타시 타격을 가하는 해머(미도시)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연속벽 설치 작업을 돕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원(VS)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진동파는 크게 표면파인 R파, 실체파인 P파와 S파로 구분될 수 있는데, 중공 트렌치는 표면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고, 연속벽은 실체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킨다. 즉,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파들 중 R파가 중공 트렌치에 의해 지배적으로 저감되고,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파들 중 P파 및 S파가 연속벽에 의해 지배적으로 저감됨으로써 방진 효율이 우수한 지중 방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파들 중 가장 큰 충격을 지상 건축물에 전달하는 표면파를 저감시키기 위한 중공 구조물이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됨으로써 시공성 또한 우수한 지중 방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방진 구조물의 연속벽(110')은 중공 트렌치(120)를 통해 설치되되, 그 최상단(T)이 중공 트렌치의 하부 바닥부(122)에서 상부 개구부(124)에 이르는 구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도 5 내지 도 6에서는 연속벽의 최상단(T)이 중공 트렌치의 하부 바닥부(122)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고, 도 7에서는 연속벽의 최상단(T)이 중공 트렌치의 상부 개구부(124)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중 방진 구조물의 중공 트렌치(120)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그 상부 개구부(124)가 덮개(130)에 의해 덮혀질 수 있고, 이와 같이 덮개가 존재하는 경우 연속벽의 최상단(T)이 중공 트렌치의 상부 개구부(124)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중공 트렌치(120)가 지면으로부터 굴착된 깊이가 D2로, 연속벽(110')이 지면으로부터 항타된 깊이가 D1으로 참조된다.
연속벽의 최상단이 덮개의 하부면과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연속벽은 덮개의 지지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중공 트렌치는 1.4m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덮개는 중공 트렌치의 폭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고, 이때, 덮개의 하부 지지구조를 위해 연속벽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연속벽의 최상단이 덮개를 밑에서 떠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덮개가 중공 트렌치의 개구부 위에 존재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만약 덮개의 일부가 중공 트렌치 내부로 삽입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그 삽입된 길이만큼 연속벽이 깊게 항타됨으로써 덮개의 지지역할을 할 수도 있다.
덮개는 그 위로 도로나 보행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의 스틸이나 내식성을 겸비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 트렌치의 개구부가 덮개에 의해 커버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연속벽이 덮개의 지지를 위해 중공 트렌치 내부에 존재하도록,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벽의 최상단이 중공 트렌치의 상부 개구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항타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속벽의 하부로 줄어든 길이 보전을 위해 더 긴 길이의 시트 파일이 적용될 수 있으나(따라서 필요한 자재의 사용이 늘어날 수 있으나), 연속벽이 덮개의 지지구조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덮개 자체에 보강구조를 덧대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증가는 상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방진 구조물은, 촘촘한 여러 개의 연속된 경사구간들을 형성하여 진동파의 진행방향에 대해 보다 높은 방진 효율을 달성한다. 지중 방진 구조물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입사하는 진동파들을 연속된 지그재그의 다중 경사구조들을 통해 효율적으로 반사시킨다. 기존의 시트파일에서 보이는 수평구간 없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촘촘하게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를 형성하고 이로써 진동 저감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구조물인 중공 트렌치는 표면파 위주의 방진에 필요한 깊이만으로 굴착되면 충분하므로, 얕은 만큼 붕괴의 위험성을 낮추고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110: 연속벽
111, 112, 113, 114, 115: 파일부재
S1: 제1 시트부
S2: 제2 시트부
B: 벤딩부위
Ca, Cb: 연결부위
S1, S2, S3, S4: 경사구간
T: 연속벽의 최상단
120: 중공 트렌치
122: 바닥부
124: 개구부
130: 덮개
BI: 건축물
VS: 진동원
W: 지하수

Claims (8)

  1. 진동원과 건축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원으로부터 상기 건축물로 전파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지중 방진 구조물로서,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파일부재들이 맞대어 연결된 연속벽;을 포함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벽은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의 다중 경사구간을 갖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일부재들은 각각 하나의 시트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일부재들은 각각,
    가운데 벤딩부를 통해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이는 제1 시트부와 제2 시트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마련된, 상기 제1 시트부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시트부의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파일부재들은 제1 파일부재, 제2 파일부재 및 제3 파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일부재의 제2 연결부가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일부재의 제2 시트부와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1 시트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경사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2 연결부가 상기 제3 파일부재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파일부재의 제2 시트부와 상기 제3 파일부재의 제1 시트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경사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경사구간과 상기 제2 경사구간은 연속된 지그재그 구조를 갖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구간과 상기 제2 경사구간은 상기 제2 파일부재의 벤딩부에서 교차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중공 트렌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벽은 상기 중공 트렌치의 바닥부를 통해 설치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트렌치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벽의 최상단은 상기 덮개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KR1020210127231A 2021-09-27 2021-09-27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KR10268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31A KR102685263B1 (ko) 2021-09-27 2021-09-27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31A KR102685263B1 (ko) 2021-09-27 2021-09-27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34A true KR20230044734A (ko) 2023-04-04
KR102685263B1 KR102685263B1 (ko) 2024-07-25

Family

ID=8592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231A KR102685263B1 (ko) 2021-09-27 2021-09-27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52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34A (ko) * 1997-10-25 1998-10-15
JP2000045265A (ja) * 1998-07-30 2000-02-15 Shimizu Corp 地表振動遮断溝の形成方法
JP2001279699A (ja) * 2000-03-29 2001-10-10 Kumagai Gumi Co Ltd 地中防振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34A (ko) * 1997-10-25 1998-10-15
JP2000045265A (ja) * 1998-07-30 2000-02-15 Shimizu Corp 地表振動遮断溝の形成方法
JP2001279699A (ja) * 2000-03-29 2001-10-10 Kumagai Gumi Co Ltd 地中防振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5263B1 (ko) 202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300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JP2009114643A (ja) 地下構造物の連結構造
CN105544620A (zh) 带泄压装置和防震板的减震沟及其施工方法
KR20230044734A (ko)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방진 구조물
KR102229586B1 (ko) 강재지수판을 이용한 지중벽체용 pc벽체
KR102685262B1 (ko) 지중연속벽을 이용한 중공방진 구조물
JP2007197954A (ja) 土留め壁施工法
JP7474616B2 (ja) 防振構造物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JP2673212B2 (ja) 地盤内壁体
JP6274462B2 (ja) 擁壁ブロックならびに人工島
KR200361098Y1 (ko) 도로 사면 보강용 옹벽
CN214940194U (zh) 一种基于地下敞口式结构的支护结构
JP3340366B2 (ja) 地盤の防振壁構造
JP5512352B2 (ja) 地盤の防振施工方法
JP7194626B2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2680291B2 (ja) 地下における緩衝壁及び緩衝板
JP7531295B2 (ja) 防振方法及び防振部材の設置方法
JP7301203B1 (ja) 浅堀掘削溝用土留め装置
KR102504408B1 (ko) 흙막이 가시설 측벽 조립체
KR102510481B1 (ko) 슬러리월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JP2957995B1 (ja) 擁壁裏込め枠体
JP7110015B2 (ja) 幅変更用路面覆工ユニット
JP2006125151A (ja) 地盤の防振構造物と防振方法
JP3183291U (ja) 浄化槽保護用コンクリート体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