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927A - 정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927A
KR20230043927A KR1020237006269A KR20237006269A KR20230043927A KR 20230043927 A KR20230043927 A KR 20230043927A KR 1020237006269 A KR1020237006269 A KR 1020237006269A KR 20237006269 A KR20237006269 A KR 20237006269A KR 20230043927 A KR20230043927 A KR 2023004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cont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부미 마쓰나가
마사키 타카세
마사히로 후지하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23004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공유 처리부(150)는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기록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 서버에 업로드한다. 표시 처리부(160)는 업데이트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한다. 공유 처리부(150)는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한다. 표시 처리부(160)는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서버
본 발명은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캡처한 콘텐츠 이미지를 공유하는 서비스가 널리 사용되어왔다. 특허문헌 1은 편집 서버에 의해 편집된 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게시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배하는 분배 서버를 개시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198404호
사용자는 캡처된 게임 비디오를 분배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분배 서버는 사용자가 플레이한 게임의 업로드된 비디오를 분배한다. 게임 비디오가 다수의 시청 유저들에게 분배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을 때, 게임을 플레이하고 비디오를 분배하려는 사용자의 동기가 높아진다. 이에 비추어 볼 때, 사용자가 업로드한 게임 비디오의 과거 분배 기록에 간단히 액세스할 수 있는 체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분배 서버에 업로드한 콘텐츠 이미지의 과거 분배 기록을 사용자가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 서버에 업로드하는 공유 처리부 및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처리부를 포함하는, 분배 서버와 연결된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공유 처리부는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한다. 표시 처리부는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요소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기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하는 분배 서버와 연결된 관리 서버가 제공되며, 관리 서버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이미지 ID 및 업로드 ID의 조합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ID(식별자) 획득부를 포함하고, 이미지 ID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콘텐츠 이미지로 설정되고,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업로드 ID는 분배 서버에 의해 할당되며, ID 할당부가 이미지 ID와 업로드 ID의 조합에 메타데이터 ID를 할당하도록 구성되고, ID 전송부는 메타데이터 ID를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요청 수신부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메타데이터 ID를 포함하는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요청 송신부는, 업로드 아이디를 포함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 획득 요청을 분배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획득 요청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ID로부터 업로드 ID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획득부는 분배 서버로부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전송부는 이미지 ID 및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요소 또는 본 발명의 전술한 표현의 적절한 조합은,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매체,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서로 다른 형태로 변환된다. 이들은 여전히 본 발명 의 효과적인 실시예를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트리밍 편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게임 영상 업로드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관리 서버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도 9는 게임 비디오의 목록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게임 플레이를 캡쳐한 비디오(즉, 게임 비디오)를 기록 장치에 기록하며, 적절한 시기에 분배 서버에 게임 비디오를 업로드했다. 차례로, 분배 서버는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를 불특정 다수의 시청 사용자에게 분배한다.
분배 서버는 게임 영상 분배 횟수, 시청자 평점(예: '좋아요' 버튼을 누른 횟수)과 같은 과거 분배 기록을 관리하며, 비디오 공유 사이트에 게임 비디오와 관련된 기록을 표시한다. 게임 영상을 업로드한 사용자는 분배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 영상의 분배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가 여러 분배 서버에 게임 영상을 업로드한 경우, 확인을 위해 각 분배 서버에 액세스해야 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는, 이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과거 게임 비디오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의 과거 분배 기록 정보와 관련하여 각 게임 비디오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는 분배자가 분배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도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의 과거 분배 기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부수적으로, 사용자가 업로드할 수 있는 이미지는 게임 비디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콘텐츠 이미지도 업로드될 수 있다. 콘텐츠 이미지는 동영상이 될 수도 있고 정지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정보 처리 시스템(1)을 도시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의 역할을 하는 정보 처리 장치(10), 사용자가 업로드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하는 분배 서버(12a, 12b, 12c)(이하, 구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분배 서버(12)"라 함), 및 관리 서버(14)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이미지 공유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라 함)(8)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라우터의 기능을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네트워크(3) 상에서 분배 서버(12) 및 관리 서버(14)와 통신 가능한 연결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AP(8)와 연결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 장치(6)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다. 입력 장치(6)는 사용자가 수행한 조작에 관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출력한다. 입력장치(6)로부터 동작정보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10)는 수신된 정보를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게임 소프트웨어의 처리에 반영시키며, 출력 장치(4)로부터 출력된 처리 결과를 갖는다.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즉, 게임 콘솔)일 수 있으며, 입력 장치(6)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정보를 공급하는 게임 컨트롤러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입력 장치(6)는 대안적으로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음에 주의한다.
보조 기억 장치(2)는 내부 기록 장치로 사용되는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기록 장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기억 장치(2)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기록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4)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갖는 텔레비전 세트일 수 있다. 출력 장치(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 처리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징 장치로 사용되는 카메라(7)는 출력 장치(4) 근처에 배치되어 출력 장치(4) 주변의 공간을 캡처한다. 도 1은 카메라(7)가 출력 장치(4)의 상부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반면, 카메라(7)는 대안적으로 출력 장치(4) 옆이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카메라(7)는 출력 장치(4) 앞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된다. 카메라(7)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분배 서버(12)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하는 이미지 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분배 서버(12)는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분배한다. 도 1은 3개의 분배 서버(12a, 12b, 12c)를 나타내지만, 분배 서버(12)의 수는 정보 처리 시스템(1)에서 적어도 하나이면 충분하다.
분배 서버(12)는 분배 대상이 되는 각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관리한다.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에는, 총 분배 수, 최근 일주일의 분배 수, 열람 사용자 평가 수, 열람 사용자 댓글과 같은, 분배에 관한 각종 수행 데이터 및 등급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분배 서버(12)는 각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이미지의 인기 순위를 생성하여 이미지 공유 사이트의 매력도를 향상시킨다.
관리 서버(14)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 이미지에 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전송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는 분배 서버(12)에 의해 생성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관리 서버(14)를 통해 획득한다. 관리 서버(14)가 분배 서버(12)와 정보 처리 장치(10) 사이의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분배 서버(12)의 사양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이미지 공유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주 전원 버튼(20), 전원 온 LED(발광 다이오드)(21), 대기 LED(22), 시스템 컨트롤러(24), 시계(26), 장치 컨트롤러(30), 미디어 드라이브(32), USB 모듈(34), 플래시 메모리(36), 무선 통신모듈(38), 유선 통신모듈(40), 서브 시스템(50) 및 메인 시스템(60)으로 구성된다.
메인 시스템(60)은 메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주기억 장치를 구성하는 메모리와 메모리 컨트롤러, 및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유닛)를 포함한다. GPU는 주로 게임 프로그램의 산술 처리에 사용된다. 메인 CPU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고,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환경에서 보조기억장치(2)에 설치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서브 시스템(50)은 서브 CPU, 메모리 및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주 저장 장치를 포함하지만 GPU는 포함하지 않는다.
메인 CPU는 보조 기억 장치(2) 또는 ROM 매체(44)에 설치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나, 서브 CPU에는 그러한 기능이 없다. 그러나, 서브 CPU는 보조 기억 장치(2)에 액세스하고 관리 서버(14)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서브 CPU는 이러한 제한된 처리 기능만으로 구성되므로 메인 CPU보다 적은 전력으로 작동한다. 서브 CPU의 이러한 기능은 메인 CPU가 대기 상태일 때 활성화된다.
주 전원 버튼(20)은 사용자가 조작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부이다. 정보처리장치(10)의 하우징 전면에 위치하며, 주 전원 버튼(20)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메인 시스템(60)으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도록 조작된다. 전원-ON LED(21)는 주 전원 버튼(20)이 켜지면 점등된다. 대기 LED(22)는 주 전원 버튼이 꺼지면 점등된다. 시스템 컨트롤러(24)는 사용자에 의한 주 전원 버튼(20)의 누름을 감지한다.
시계(26)는 현재 날짜 및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간 시계이다. 시계(26)는 생성된 정보를 시스템 컨트롤러(24), 서브 시스템(50) 및 메인 시스템(60)에 공급한다.
장치 컨트롤러(30)는 사우스브리지(Southbridge)와 같이 구성된 디바이스들 간의 정보 전달을 중개하는 LSI(Large-Scale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컨트롤러(30)는 시스템 컨트롤러(24), 미디어 드라이브(32), USB 모듈(34), 플래시 메모리(36), 무선 통신 모듈(38), 유선 통신 모듈(40), 서브 시스템(50), 메인 시스템(60)과 같은 장치와 연결된다. 장치 컨트롤러(30)는 각 장치의 전기적 특성과 데이터 전송률의 차이를 흡수하여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미디어 드라이브(32)는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그 라이선스 정보가 기록된 ROM 매체(44)를 탑재하고, 탑재된 ROM 매체(44)를 구동하여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하는 구동 장치이다. ROM 매체(44)는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판독 전용 기록 매체이다.
USB 모듈(34)은 외부 장치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모듈이다. USB 모듈(34)은 또한 USB 케이블에 의해 보조 기억 장치(2) 및 카메라(7)와 연결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36)는 내부 기억 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기억 장치이다. 무선 통신 모듈(38)은,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 프로토콜 및 IEEE 802.11 프로토콜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입력 장치(6)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유선 통신 모듈(40)은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하며, 예를 들어 AP(8)를 통해 네트워크(3)와 연결된다.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는 사용자가 플레이한 게임의 비디오를 보조 기억 장치(2)에 기록하는 기능, 및 기록된 게임 비디오를 공유 목적으로 분배 서버(12)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어지는 단락에서, 게임 비디오를 기록하는 기능은 도 3을 참조하여 주로 설명될 것이며, 게임 이미지 공유 기능은 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정보 처리 장치(10)의 다양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 블록으로 기술된 요소들은 회로 블록, 메모리 및 기타 LSI를 사용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독, 소프트웨어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게임 비디오 기록 기능을 주로 구현하기 위한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처리부(100)와 통신부(102)를 포함한다. 처리부(100)는 게임 소프트웨어(110), 이벤트 정보 생성부(120), 이벤트 정보 전송부(122), 출력 처리부(130), 기록 제어부(132), 링 버퍼(134), 비디오 획득부(136), 수신부(138), 및 트리밍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38)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입력 장치(6)에 대한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이미지 기록 장치(2a)는 보조 기억 장치(2)의 일부 기록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임 소프트웨어(110)는 적어도 게임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6)의 조작 정보가 주어지면, 게임 프로그램은 가상 공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출력 처리부(130)은 게임 소프트웨어(110)에서 진행 중인 게임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출력 장치(4)에 출력시킨다. 출력 처리부(130)는 렌더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 출력 처리부(130)는 게임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 장치(4)가 생성된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기록 제어부(132)에도 공급한다. 이어지는 단락에서, 게임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총칭하여 "게임 비디오" 또는 "게임 비디오 데이터"라고 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출력 처리부(130)에 의해 생성된 게임 비디오를 백그라운드에 기록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록 제어부(132)는 게임 비디오 데이터를 링 버퍼(134)에 기록한다.
링 버퍼(134)는 보조 기억 장치(2)의 기록 영역의 시작 주소와 끝 주소를 설정하여 구성된다. 링 버퍼 영역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출하 시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기록 제어 부(132)은 출력 처리부(130)에서 출력된 게임 비디오 데이터를 시간 정보(즉, 타임스탬프)와 함께 링 버퍼(134)에 기록한다.
기록 제어부(132)은 링 버퍼(134)에 게임 영상 데이터를 시작 주소부터 소정의 순서대로 기록하며, 끝 주소에 도달하면, 시작 주소에 후속 주소 덮어쓰기를 시작한다. 이어서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예를 들어, 링 버퍼(134)는 60분 게임 비디오를 기록하도록 설정되며, 기록된 게임 비디오에 타임스탬프가 첨부된다. 백그라운드에서 링 버퍼(134)에 게임 비디오가 기록되면, 사용자는 60분 전까지 기록된 플레이 비디오에서 원하는 장면을 잘라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장된 게임 비디오를 분배 서버(12)에 업로드할 수 있다.
게임 진행 중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게임 프로그램은 발생한 이벤트를 나타내는 이벤트 코드를 출력한다. 이벤트 정보 생성부(120)는 게임 소프트웨어(110)로부터 이벤트 코드를 획득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타임스탬프)를 이벤트 코드에 첨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게임 개발자는 게임에 다양한 이벤트를 배치할 수 있다. 각 이벤트에는 이벤트 코드가 할당된다. 게임 프로그램은, 게임 데이터와 함께 이벤트 코드를 출력하기 전에, 이벤트를 나타내는 이벤트 코드에 이벤트 발생 시 게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게임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데이터에는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와 게임 내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적 보스와의 전투가 시작되면, 예를 들어, 게임 프로그램은, 게임 데이터와 함께 이벤트 코드를 출력하기 전에, 전투 위치를 나타내는 게임 데이터와 적 보스의 캐릭터 ID를 전투의 시작을 나타내는 이벤트 코드에 첨부할 수 있다. 이벤트 코드 및 게임 데이터 획득 시, 이벤트 정보 생성 부(120)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첨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벤트 정보 생성부(120)는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정보 전송부(122)에 공급한다. 차례로, 이벤트 정보 전송부(122)는 제공된 이벤트 정보를 통신부(102)를 통해 관리 서버(14)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14)는 게임 플레이 중에 발생한 모든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수집한다.
게임 실행 중에, 수신부(138)는 사용자로부터 기록 관련 지시를 수신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6) 상의 적절한 버튼을 조작하면, 수신부(138)는 비디오 획득 부(136)가 링 버퍼(134)로부터 최대 60분의 게임 비디오(비디오 클립)를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하게 하는 기록 명령으로서 조작을 수신한다. 기록될 비디오 클립의 시간은 최대 60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장치(6)를 조작하여 저장할 게임 비디오의 시작 지점을 설정하고, 원하는 게임 장면이 종료되면 입력 장치(6)를 다시 조작하여 게임 비디오의 종료 지점을 설정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비디오 획득부(136)는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으로 정의된 게임 비디오를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할 수 있다. 게임 비디오가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되는 시점에서, 비디오 획득부(136)는 저장된 게임 비디오를 식별하는 이미지 ID를 설정한다. 이미지 ID는 항상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모든 게임 비디오를 고유하게 식별하도록 설정된다.
도 4는 트리밍 편집 스크린(200)을 도시한다. 트리밍 편집 화면(200) 상에서, 사용자는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게임 비디오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서버(12)에 업로드할 수 있는 비디오에 대해 설정된 상한 시간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 장치(6)를 조작하여 게임 비디오를 업로드에 적합한 길이로 클리핑하기 위한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지정할 수 있다. 수신부(138)가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수신하면, 트리밍 처리부(140)은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기록된 게임 비디오를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으로 정의된 시간 길이로 클립하며, 클립된 게임 비디오로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덮어쓰기를 한다. 이 시점에서, 이미지 ID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업로드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플레이 장면을 클립하기 위해 게임 비디오를 편집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편집된 게임 비디오를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게임 비디오를 다른 시청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분배 서버(12)에 업로드할 수 있다.
도 5는 주로 게임 비디오를 공유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처리부(100)와 통신 부(102)를 포함한다. 처리부(100)는 수신부(138), 공유 처리부(150) 및 표시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공유 처리부(150)는 업로드부(152)와 획득부(154)를 포함한다. 표시 처리부(160)는 썸네일 표시부(162)와 정보 표시부(164)를 포함한다. 수신부(138)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장치(6)의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업로드 화면에서 분배 서버(12)로 게임 비디오를 업로드한다. 구체적으로, 업로드 화면에서, 사용자는 업로드할 게임 비디오와 원하는 분배 서버(12)를 선택한다. 이것은 업로드부(152)가 게임 비디오를 분배 서버(12)에 업로드하게 한다.
도 6은 게임 비디오 업로드 과정의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업로드할 게임 비디오와 업로드 대상이 될 분배 서버(12)를 선택하면, 수신부(138)는 게임 비디오 및 분배 서버(12)의 선택 동작을 수신한다(S10). 업로드부(152)는 선택된 분배 서버(12)에 게임 비디오를 업로드한다(S12).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게임 영상을 획득하면, 분배 서버(12)는 획득한 게임 비디오에 업로드 ID를 할당하고, 정보 처리 장치(10)에 업로드 ID를 전송하며(S14), 게임 비디오의 분배를 시작한다(S18). 여기서, 분배 개시란, 분배 서버(12)에 액세스하는 시청 유저가 해당 게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상태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분배 서버(12)가 게임 비디오의 분배를 시작하면, 게임 비디오가 공유된다. 업로드 아이디는 분배 서버(12)를 식별하는 정보 외에 분배 서버(12)가 분배할 컨텐츠(즉, 분배된 콘텐츠 ID)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 업로드부(152)는 분배 서버(12)로부터 업로드 ID를 획득한다(S16). 업로드부(152)는 업로드된 게임 영상의 이미지 ID와 분배 서버(12)로부터 전송된 업로드 ID의 조합을 관리 서버(14)로 전송한다(S20).
도 7은 관리 서버(14)의 기능 블록을 도시한다. 관리 서버(14)는 제어부(210) 및 통신부(212)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ID 획득부(220), ID 할당부(222), ID 전송부(224), 요청 수신부(226), 요청 전송부(228), 데이터 획득부(230), 데이터 전송부(232), 및 메타데이터 ID 기록부(234)를 포함한다.
도 7에서, 관리 서버(14)의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 블록으로 설명된 요소는 회로 블록, 메모리 및 기타 LSI를 사용하여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독, 소프트웨어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관리 서버(14)에서, ID 획득부(220)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화상 ID와 업로드 ID의 조합을 획득하며, 이미지 ID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게임 비디오로 설정되고, 업로드 ID는 분배 서버(12)에 의해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에 할당된다(S22). ID 할당부(222)는 이미지 ID와 업로드 ID의 조합에 메타데이터 ID를 할당하며, 할당된 메타데이터 ID를 메타데이터 ID 기록부(234)에 기록한다(S24). 동시에, ID 전송부(224)는 할당된 메타데이터 ID를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한다(S26).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 획득부(154)는 관리 서버(14)로부터 이미지 ID와 업로드 ID의 조합에 할당된 메타데이터 ID를 획득하며(S28), 이미지 ID와 메타데이터 ID를 서로 관련시켜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기록한다(S30).
이상으로 게임 영상 업로드 과정이 완료되었다. 시청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분배 서버(12)는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분배한다. 분배 서버(12)는 게임 비디오 분배 횟수, 시청이용자 평점과 같은 과거 분배 이력을 관리하며, 게임 비디오와 관련된 기록을 표시한다. 분배 서버(12)는 컨텐츠 이미지 각각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이미지의 인기 순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배 서버(12)에 액세스하는 시청 사용자는 인기 있는 콘텐츠 이미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있는 게임과 관련된 비디오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 시청 사용자는 분배 서버(12)에 의해 제공되는 검색 서비스에 게임의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차례대로, 분배 서버(12)는 분배 횟수의 내림차순으로 복수의 분배된 비디오의 썸네일을 표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게임 비디오를 업로드한 사용자는 분배 서버(12)에 접속하여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의 과거 분배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의 경우 분배 서버(12)에 액세스하기 위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나의 게임 비디오가 복수의 분배 서버(12)로부터 분배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과거의 분배 기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분배 서버(12)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게임 비디오의 과거 분배 기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8은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게임 비디오 목록을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비디오 목록을 표시할 때, 정보 처리 장치(10)는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며, 게임 비디오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획득한 과거 분배 기록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예: 썸네일 이미지). 이는 사용자가 분배 서버(12)에 액세스하기 위해 입력 장치(6)를 조작하지 않고 과거의 분배 기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축적된 게임 비디오 목록을 표시하도록 지시하면, 접수부(138)는 게임 비디오 리스트의 표시 지시를 수신한다(S40). 예를 들어, 출력 장치(4)의 화면에 표시되는 6개의 표시 요소(썸네일 이미지)가 있는 경우, 표시 처리부(160) 내의 썸네일 표시부(162)는 6개의 게임 비디오의 이미지 ID를 결정하며, 이미지 기록 장치(2a)로부터 6개의 이미지 ID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ID를 획득한다(S42). 부수적으로, 하나의 게임 비디오가 복수의 분배 서버(12)에 업로드된 경우, 게임 비디오의 이미지 ID는 복수의 메타데이터 ID와 관련될 수 있다.
썸네일 표시부(162)는 획득한 복수의 메타데이터 ID를 공유 처리부(150)에 공급한다. 획득부(154)는 복수의 메타데이터 ID를 포함하는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의 획득 요구를 관리 서버(14)에 전송한다(S44).
관리 서버(14)에서, 요청 수신부(226)는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메타데이터 ID를 포함하는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의 획득 요구를 수신한다(S46). 메타데이터 ID 기록부(234)는 이미지 ID와 업로드 ID에 할당된 메타데이터 ID를 기록한다. 메타데이터 ID 기록부(234)에 기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요청 전송부(228)는 수신된 획득 요청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ID로부터 업로드 ID를 획득한다(S48).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업로드 ID는 분배 서버(12)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요청 전송부(228)는 업로드 ID로부터 분배 서버(12)를 식별하여, 업로드 ID를 포함하는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식별된 각 분배 서버(12)로 전송한다(S50).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 획득 요청 시, 분배 서버(12)는 업로드 ID에 포함된 정보 및 분배된 콘텐츠(즉, 분배된 콘텐츠 ID)를 식별하는 정보를 추출하며, 식별된 분배 콘텐츠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검색한다(S52). 분배 서버(12)는 분배된 컨텐츠에 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관리 서버(14)로 전송한다(S54).
관리 서버(14)에서, 데이터 획득부(230)는 분배 서버(12)로부터 전송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한다(S56). 데이터 전송부(232)는 이미지 ID와 연관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10)에 전송한다(S58).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 획득부(154)는 이미지 ID와 관련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여(S60), 획득한 데이터를 표시 처리부(160)에 공급한다. 이는 표시 처리부(160)가, 게임 비디오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과거 분배 이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한다(S62).
도 9는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게임 비디오의 예시적인 목록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목록 표시 화면은 갤러리 화면이라고도 한다. 썸네일 표시부(162)는 이 갤러리 화면에 6개의 게임 비디오를 나타내는 6개의 표시 요소를 표시한다. 갤러리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요소의 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할 수 있다. 정보 표시부(164)는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의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300a, 300b, 300c, 300d, 300e, 300f)는 게임 비디오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로서 표시된다.
갤러리 스크린에는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게임 비디오의 썸네일 이미지가(300)이 표시되므로,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의 썸네일 이미지(300)와 업로드되지 않은 게임 비디오의 썸네일 이미지(300)가 화면에 공존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 썸네일 이미지(300)에서, 썸네일 이미지(300b, 300f)는 업로드된 게임 비디오를 나타낸다.
정보 표시부(164)는 썸네일 이미지(300b)와 관련하여 분배 횟수를 나타내는 과거 분배 기록 정보(304)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 과거 분배 기록 정보(304)는 썸네일 이미지(300b)가 나타내는 게임 비디오의 분배 횟수가 100만 회를 넘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164)는 썸네일 이미지(300f)와 관련하여, 시청자로부터 다수의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나타내는 과거 분배 기록 정보(308)를 표시한다. 과거의 분배 기록 정보(304, 308)를 보면, 사용자는 과거의 분배 기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게임을 하며 비디오를 분배하려는 동기가 커진다.
정보 표시부(164)는 과거의 다양한 분배 기록 데이터 중 가장 좋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뛰어난 과거 분배 기록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 외에도, 정보 표시부(164)는 좋지 않은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거의 분배 기록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청 성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164)는 썸네일 이미지(300a, 300d)와 관련하여 게임 비디오에 포함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 전송부(122)는 게임 플레이 중에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관리 서버(14)로 전송한다. 따라서, 주어진 게임 비디오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관리 서버(14)에 알려지면, 관리 서버(14)는 게임 비디오 내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정보 표시부(164)는 썸네일 이미지(300a)와 관련하여 가상 경품으로서의 트로피 획득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302), 및 썸네일 이미지(300d)와 관련된 해트트릭(hat trick) 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306)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썸네일 표시부(162)가 이미지 기록 장치(2a)에 저장된 게임 비디오의 썸네일 이미지(300)를 표시할 때, 정보 표시부(164)는 썸네일과 관련하여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 또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정보를 보면, 사용자는 게임을 하려는 동기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예시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다양한 프로세스의 적절한 조합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변형을 생성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4)는 전송될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시청하는 사용자의 코멘트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표시부(164)는 썸네일 이미지(300)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시청 사용자의 코멘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1 정보 처리 시스템
2a 이미지 기록 장치
10 정보 처리 장치
12a, 12b, 12c 분배 서버
14 관리 서버
100 처리부
102 통신부
110 게임 소프트웨어
120 이벤트 정보 생성부
122 이벤트 정보 전송부
130 출력 처리부
132 기록 제어부
134 링 버퍼
136 비디오 획득부
138 접수부
140 트리밍 처리부
150 공유 처리부
152 업로드부
154 획득부
160 표시 처리부
162 썸네일 디스플레이부
164 정보 표시부
210 제어부
212 통신부
220 ID 획득부
222 ID 할당부
224 ID 전송부
226 요청 접수부
228 요청 전송부
230 데이터 획득부
232 데이터 전송부
234 메타데이터 ID 기록부

Claims (9)

  1. 분배 서버와 연결된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이미지를 상기 분배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된 공유 처리부; 및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처리부는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기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처리부는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 이미지를 상기 표시 요소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할당된 업로드 식별자를 상기 분배 서버로부터 획득하면,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업로드 식별자와 이미지 식별자(ID)의 조합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식별자는 상기 기록 장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이미지로 설정되며,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식별자와 상기 업로드 식별자의 조합에 할당된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식별자와 상기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상기 기록 장치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기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상기 이미지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공유 처리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더 획득하며,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상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과거 분배 기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상기 콘텐츠 이미지 내에 포함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표시 요소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록 장치에 기록된 컨텐츠 이미지를 분배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 이미지에 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실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 이미지를 분배 서버에 업로드하는 기능;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관한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시 요소를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표시 요소와 관련하여 과거 분배 기록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9.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 이미지를 분배하는 분배 서버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이미지 식별자-여기서 상기 이미지 식별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콘텐츠 이미지로 설정됨-와 업로드 식별자-여기서 상기 업로드 식별자는 상기 분배 서버에 의해 상기 업로드된 콘텐츠 이미지에 할당됨-의 조합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식별자 획득부;
    상기 이미지 식별자와 상기 업로드 식별자의 조합에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구성된 식별자 할당부;
    상기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식별자 전송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의 획득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요청 수신부;
    상기 업로드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 획득 요청을 상기 분배 서버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획득 요청에 포함된 상기 메타데이터 식별자로부터 상기 업로드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요청 송신부;
    상기 분배 서버로부터 상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이미지 식별자 및 상기 과거 분배 기록 데이터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KR1020237006269A 2020-07-22 2021-07-19 정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서버 KR202300439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5327A JP7012791B1 (ja) 2020-07-22 2020-07-22 情報処理装置、表示要素の表示方法および管理サーバ
JPJP-P-2020-125327 2020-07-22
PCT/JP2021/026977 WO2022019269A1 (ja) 2020-07-22 2021-07-19 情報処理装置、表示要素の表示方法および管理サー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927A true KR20230043927A (ko) 2023-03-31

Family

ID=7972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269A KR20230043927A (ko) 2020-07-22 2021-07-19 정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5068A1 (ko)
EP (1) EP4187394A4 (ko)
JP (1) JP7012791B1 (ko)
KR (1) KR20230043927A (ko)
CN (1) CN115917517A (ko)
WO (1) WO202201926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8404A (ja) 2014-04-02 2015-11-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画像生成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9144A1 (en) * 2009-04-17 2010-10-21 Tandberg Televis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user generated content within a vod environment
US8682809B2 (en) * 2012-04-18 2014-03-25 Scorpcast, Ll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JP6083546B1 (ja) * 2015-11-26 2017-02-22 株式会社パブセン 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88353B2 (ja) * 2018-09-06 2020-04-28 ブイコンセプションVconception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057289A (ja) * 2018-10-04 2019-04-11 株式会社ニコン 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US10693956B1 (en) * 2019-04-19 2020-06-23 Greenfl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information storage and deli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8404A (ja) 2014-04-02 2015-11-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画像生成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32009A (ja) 2022-02-24
WO2022019269A1 (ja) 2022-01-27
CN115917517A (zh) 2023-04-04
US20230345068A1 (en) 2023-10-26
JP7012791B1 (ja) 2022-01-28
EP4187394A4 (en) 2024-05-22
EP4187394A1 (en)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4583B2 (ja) 第2のユーザによる第1のユーザのゲームプレーの遠隔制御
JP6526826B2 (ja) クラウド上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予測的なインスタントプレイ技術
JP644215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EP2438758B1 (en) Addition of supplemental multimedia content and interactive capability at the client
WO2016144611A1 (en) Using connection quality history to optimize user experience
US201701050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ent image generating method, and content data generating method
JP2008146230A (ja)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JP713408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JP5325492B2 (ja) ビデオゲーム装置、映像投稿装置
WO2020075594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再生方法
JP7162730B2 (ja) 情報処理装置
KR20230043927A (ko) 정보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관리 서버
WO2021075250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画像編集方法
WO2022019270A1 (ja) 情報処理装置、ゲーム動画編集方法およびメタデータサーバ
JP707874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生成方法
WO2021224972A1 (ja) 中継サーバおよび配信画像生成方法
JP706272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ゲーム動画記録方法
WO2019026686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ファイルコピー方法
TW201515683A (zh) 影音擷取裝置及影音擷取方法
JP724848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画面表示方法
JP2008305495A (ja) コンテンツ送出装置
JP202020157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