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773A -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773A
KR20230043773A KR1020220121781A KR20220121781A KR20230043773A KR 20230043773 A KR20230043773 A KR 20230043773A KR 1020220121781 A KR1020220121781 A KR 1020220121781A KR 20220121781 A KR20220121781 A KR 20220121781A KR 20230043773 A KR20230043773 A KR 2023004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mula
preventing
alcoholic steatohepatitis
liver fib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용
Original Assignee
(주)샤페론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페론,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샤페론
Publication of KR2023004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liver fibrosis comprising inflammasome inhibitor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만성 간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비만, 당뇨병, 대사증후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환에 해당한다. 이는 간 내에서 중성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단순 지방증(simple steatosis)에서 심화된 질환인 간경변증(Cirrhosis)까지를 아우르는 광의의 간질환을 의미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o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일종으로, 팽창성 변성, 세포사멸, 염증성 침윤 등의 병리학적 현상을 나타내며, 더 나아가 섬유화 현상까지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모든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진행되는데 약 7년 정도가 걸리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경우에도 50% 이상은 무증상으로 나타나 진단이 쉽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ALT, AST와 같은 간손상지표, 영상장비 등을 이용한 측정의 경우에도 정확성이 높지 않아 합병증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10~29%가 10년 이내 간경변으로 심화되고, 그 중 4~27%는 더 나아가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원인이 직접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으나, 산화스트레스, 지방과산화, 싸이토카인의 손상, 지질대사이상, 인슐린저항성 등의 대사불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국내외에서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최근 FDA에서 NASH 신약개발 촉진 지침을 내놓았고, 다국적 제약사인 인터셉트파마슈티컬즈, 길리어드, 엘러간, NGM 바이오파마슈티컬즈 등이 임상시험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질대사 이상을 개선하는 약제로서, PPARα를 활성화하는 피브레이트류, PPARγ 글리타존류가 알려진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124123호에서는 오베티콜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NASH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등록특허 제10457703호에서는 담즙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을 통해 통하여 FXR 또는 TGR5-매개 질환의 치료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다양한 물질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치료용도가 알려져 있더라도, 현재까지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치료제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음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및 간 섬유화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의 예방 및 치료, 개선용 약제 성분으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현재까지 상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개선 및 치료에 시도한 예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치료효과에 대해 어떠한 보고된 바도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4123호 미국등록특허 제10457703호
Definition, Pathogenesis, and Natural Progres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전재한, 박근규, J Korean Diabetes. 2014 Jun;15(2):65-70. Korean.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2와 같은 이성질체 형태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알칼리금속염, 무기산염, 유기산염, 알칼리토금속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염 형태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소듐 염일 수 있으며, 다음 화학식 3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비만, 당뇨병 및 고지혈증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주사용 제제 또는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여기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캅셀제 및 액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연고, 유화액, 현탁액, 분무제 및 경피 전달성 패치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외용제는 1일당 0.01 내지 50 mg의 양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치료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제는 OCA (Obeticholic acid),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비타민 E, 메트포르민, 스타틴, 우르소데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불포화 지방산,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DPP-4 억제제(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엘라피브라노(Elafibranor) 및 텔미사르탄(Telmisarta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다음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은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0.001 mg 내지 1000 mg/day의 양, 또는 0.001 mg 내지 100 mg/day의 양, 또는 0.01 mg 내지 10 mg/day의 양이 75 kg 체중의 온혈 동물에 투여됨으로써 대사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량은 다양한 요인, 예컨대 활성 성분의 유효성 및 작용 지속시간, 투여방식, 온혈 동물의 성별, 연령, 체중 및 기타 질환의 중경도 등의 개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정 투여경로 및 투여량은 투여받을 개체의 특징, 즉 연령, 체중, 질환상태, 몸의 컨디션 등의 조건에 따라 담당 의사/수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 내 투여, 비 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경구 투여를 위한 약학적 제제는 예를 들어 당의정,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캅셀제와 같은 투여량 단위 형태 및 앰플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입상화, 당제 조제, 용해 또는 동결건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를 위한 제약학적 제제는 활성 성분을 고체 담체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입상화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 또는 과립을 정제 또는 당의정의 형태로 제형화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담체로는 특히 충진제, 예컨대 당, 예를 들어 락토스, 사카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셀룰로즈 제제 및/또는 인산칼슘, 예를 들어 인산삼칼슘 또는 인산수소칼슘, 및 결합제, 예컨대 예를 들어 옥수수, 밀, 쌀 또는 감자 전분을 사용한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필요한 경우 붕해제, 예컨대 상기 언급된 전분, 카르복시메틸 전분,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또는 알긴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알긴산나트륨이다.
첨가제로는 특히 유동-조절제 및 윤활제, 예를 들어 규산,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칼슘,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위액에 저항성일 수 있는 적절한 코팅을 당의정 코어에 제공하고, 특히 적절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에 임의로 아라비아고무, 탈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농축된 당 용액, 또는 락커 용액이 사용되거나, 또는 위액에 저항성인 코팅을 형성하기 위하여, 아세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와 같은 적절한 셀룰로스 제제의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경구 투여 가능한 약학적 제제로는 캅셀제가 있으며,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건식-충진 캅셀, 및 젤라틴 및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로 만들어진 연질의 밀봉된 캅셀제이다. 건식-충진 캅셀은 입자의 형태, 예를 들어 충진제, 예컨대 락토스, 결합제, 예컨대 전분, 및/또는 활택제, 예컨대 탈크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적절하다면 안정화제와의 혼합물의 형태로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연질 캅셀에서, 활성 성분을 적절한 액체, 예컨대 지방 오일, 파라핀 오일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고, 여기에 안정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경구 제제는 여러 방식, 예컨대 정맥내, 동맥내, 근육내, 복강내, 비내, 피내, 피하, 바람직하게는 정맥 내 방식으로 효과적인 주사액일 수 있다. 이러한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을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함유하는 동결 건조된 제제로부터 사용 전에 제조될 수 있는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다.
약학적 제제는 살균될 수 있고/있거나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및/또는 유화제, 용해제,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한 염 및/또는 완충액과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은 대사성 질환(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다른 약물과 조합/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 상이한 대사성 질환 예방/치료제와의 배합치료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환자의 치료방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이란 화합물에 용매를 부가하여 형성되는 형태로서, 일수화물, 이수화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은 대사성 질환(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가져오는 용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고, 중증도 및 제형에 따라 용량범위는 변할 수 있으며, 적용횟수도 적용 대상의 연령, 체중 및 체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사성 질환”은 체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의 경로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며, 대사성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시에 하기의 질환들을 포함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면,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비만, 당대사 이상,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장염, 당뇨병성 신경증, 체질량증가, 고콜레스테롤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간 경변증, C형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비제한적인 경로로 투여한 결과로서, 대사성 질환(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완치는 물론 대사성 질환 증세의 완화, 호전 및 경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비제한적인 경로로 투여한 결과로서, 대사성 질환(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가 사전에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이란 증상의 경감, 예방 또는 치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carrier)와 함께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개선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대사성 질환이 이미 발병되었거나, 발병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정의를 하지 않는 한,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치료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CCl4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 및 실험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a 내지 2d는 CCl4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에서 HY303 투여시의 혈장의 생화학적 분석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CCl4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에서 H&E 염색(Staining) 결과 및 NAFLD score를 확인한 도이다.
도 4a 내지 4b는 CCl4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에서 PSR 염색(Staining)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5은 ApoE KO-HTF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 및 실험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ApoE KO-HTF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에서 H&E 염색(Staining) 결과 및 NAFLD score를 확인한 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ApoE KO-HTF로 유발한 NASH 동물모델에서 PSR 염색(Staining) 결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실시예>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효과 확인
1. 동물모델
<1-1> CCl 4 유도 모델
8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CCl4 용액을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도하였다.
<1-2> ApoE KO-HTF 모델
8주령 수컷 B6.129P2-Apoetm1Unc/J (ApoE KO)를 사용하였으며, HTF diet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도하였다.
2. 시약
- HY303 / 여기에서, HY303은 화학식 1에 따른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의 소듐염을 나타내며,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2-([3α,12α-디히드록시-24-옥소-5β-콜란-24-일]아미노)벤젠설포닉 산의 소듐 염(2-([3α,12α-Dihydroxy-24-oxo-5β-cholan-24-yl]amino)benzensulfonic acid sodium salt)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CCl4); Sigma-Aldrich(Cat#289116)
- 옥수수 오일(corn oil); Sigma-Aldrich(Cat#8267)
- HTF diet (Rodent Diets with 40 kcal% Fat (Palm Oil), 20 kcal% Fructose, 2% Cholesterol)
- 오베티콜산(Obeticholic acid); Enovationchem(Cat#D484330)
- CMC(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Sigma-Aldrich(C5678)
3. 실험방법
<3-1>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동물모델 실험방법
(1) CCl 4 유도 모델
CCl4를 옥수수 오일(corn oil)에 희석하여 CCl4 용액(CCl4 : 옥수수 기름 = 1 : 8, v/v)을 제조하여, 마우스에 복강 주사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을 유발하였다. DDW(Double distilled water)가 포함된 0.5% CMC(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젤에 오베티콜산(Obeticholic acid, OCA), 및 2-([3α,12α-디히드록시-24-옥소-5β-콜란-24-일]아미노)벤젠설포닉 산의 소듐 염(HY303)을 각각 농도 2.5 mg/mL, 1.25 mg/mL, 0.625 mg/mL로 40 mL 준비하였다. 이후, CCl4 용액을 마우스 체중 100 μL/ 25 g으로 일정에 따라 주 2회 복강 주사하고, 마우스 체중 200 μL / 25 g으로 상기 HY303 또는 OCA를 일정에 따라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마우스는 무작위로 할당되었으며, 5개 군(비교+vehicle / CCl4+vehicle / CCl4+HY303 5 mpk / CCl4+HY303 10 mpk / CCl4+HY303 20 mpk / CCl4+OCA 5 mpk)으로 나누었다. 이후 분석을 위하여 마우스를 희생시켜 혈청, 간 및 비장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설계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2) ApoE KO-HTF 모델
HTF 식이를 11주간 진행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을 유발하였다. DDW(Double distilled water)가 포함된 0.5% CMC(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젤에 오베티콜산(Obeticholic acid, OCA), 및 2-([3α,12α-디히드록시-24-옥소-5β-콜란-24-일]아미노)벤젠설포닉 산의 소듐 염(HY303)을 각각 농도 0.625 mg/mL로 40 mL 준비하였다. HTF 식이 4주차에 마우스는 무작위로 할당되었고, 마우스 체중 200 μL / 25 g으로 상기 HY303 또는 OCA를 일정에 따라 주 5일, 1일 2회 경구 투여하였다. 4개 군(비교+vehicle / HTF +vehicle / HTF+HY303 5 mpk / HTF+OCA 5 mpk)으로 나누었다. 이후 분석을 위하여 마우스를 희생시켜 간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설계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3-2> 조직학적 분석 방법
(1) 혈장 생화학적 분석
혈장(plasma)의 생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혈액(blood)을 항응고제(Novo-Heparin, Mochida Phamaceutical Co. Ltd., 일본)와 함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튜브에 모으고, 4 ℃ 1000 xg에서 15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사용할 때까지 -80 ℃에서 보관하였다. 보관한 혈장을 이용하여 AST, ALT, BUN, 및 LDH 수준을 측정하였다.
(2) H&E 염색(staining)
H&E 염색(staining)을 위해, 각 그룹의 마우스로부터 간조직을 채취한 후, 채취한 조직 샘플을 절단하여 10 % 포르말린 용액 내에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고정된 피부 조직을 파라핀 블록으로 만든 후 7 ㎛의 두께의 절편으로 절단하고 헤마톡실린(Hematoxylin, Muto Pure Chemicals Co. Ltd., 일본) 및 에오신(Eosin, 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 일본)으로 염색한 뒤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영상분석 소프트웨어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NAFLD 활동점수
NAFLD 활동 점수(NAFLD Activity score, NAS)는 Kleiner 기준에 따라 계산되었다.
(4) PSR 염색(staining)
콜라겐 침착의 시각화를 위해, 각 그룹의 마우스로부터 간조직을 채취한 후, 채취한 조직 샘플을 절단하여 10 % 포르말린 용액 내에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고, 고정된 피부 조직을 파라핀 블록으로 만든 후 7 ㎛의 두께의 절편으로 절단하고 간 절편을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용액(PSR, picro-Sirius red solution)(Waldeck, 독일)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4. 실험결과
<4-1> CCl 4 유도 모델
(1) 성능 지표 확인
상기 시험 디자인 방법(혈장 생화학적 분석)에 따라 성능 지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Cl4 유도 모델에서 처리군(HY303)과 CCl4 군 사이에 AST, ALT, BUN, LDH에 대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간조직의 손상이 처리군(HY303)에서 줄어든 것을 BUN, LDH 결과에서 확인하였다. 다만, 비교약물인 OCA 군은 처리군 및 CCl4 군과 비교하여 모든 지표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a 내지 도 2d).
(2) 간의 조직학적 분석
상기 시험 디자인 방법(H&E 염색)에 따라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CCl4 유도 모델 그룹은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간세포 지방증(hepatocyte steatosis), 벌루닝(ballooning) 및 염증 세포 침윤(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이 발생하였다(도 3a 및 3b). CCl4 군, OCA 군과 비교하여 처리군(HY303)에서 지방증(steatosis), 벌루닝(ballooning) 및 염증(inflammation) 각각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처리군이 타 군에 비해 총 NAFLD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NASH의 중요한 임상 증상 척도 NAFLD 병변지수의 개선을 확인하였다(도 3c).
(3) CCl 4 유도 모델에서 섬유증(Fibrosis) 치료효과 확인
CCl4 마우스에서 시리우스 레드로 염색된 간 절편은 정상 마우스와 비교하여 간엽 소엽 영역(hepatic lobule region)에서 콜라겐 침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CCl4 군과 비교하여, 처리군(HY303)에서 혈청 양성 영역에서 섬유증 면적의 유의미한 감소가 있어 NASH 치료약물의 중요한 임상 치료 척도인 섬유증에 대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4b).
<4-2> ApoE KO-HTF 모델
(1) 간의 조직학적 분석
상기 시험 디자인 방법(H&E 염색)에 따라 조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HTF 식이 그룹은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간세포 지방증(hepatocyte steatosis)과 벌루닝(ballooning)이 발생하였다. HTF+vehicle 군, HTF+OCA 군과 비교하여 HTF+HY303 군에서 지방증(steatosis)과 벌루닝(ballooning)이 각각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HTF+HY303 군이 타 군에 비해 총 NAFLD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NASH의 중요한 임상 증상 척도 NAFLD 병변지수의 개선을 확인하였다(도 6).
(2) ApoE KO-HTF 모델에서 섬유증(Fibrosis) 치료효과 확인
HTF 식이 마우스에서 시리우스 레드로 염색된 간 절편은 정상 식이 마우스와 비교하여 간엽 소엽 영역(hepatic lobule region)에서 콜라겐 침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F+vehicle 군과 비교하여, HTF+HY303 군에서 혈청 양성 영역에서 섬유증 면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여 NASH 치료약물의 중요한 임상 치료 척도인 섬유증에 대해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제제의 제조예를 예시한다. 하기 제조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의 제조방법이 하기 제조예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수크로즈 100 mg
탈크 10 mg
상기 성분들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전분 100 mg
수크로즈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이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캅셀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즈 3 mg
락토오즈 15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mg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과립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50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여 60℃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환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유당 1,500 mg
글리세린 1,500 mg
전분 98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한다.
제조예 6.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0 mg
Na2HPO4·12H2O 30 mg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가 되도록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제조예 7. 액제의 제조
화학식 1의 데옥시콜산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 10 mg
이성화당 10,000 mg
만니톨 5,000 m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상기 성분을 용해시키고, 적절한 향을 가한 다음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제조한다.

Claims (12)

  1. 다음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2와 같은 이성질체 형태인 것인,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8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병(NAF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 섬유화(Liver Fibrosis), 비만, 당뇨병 및 고지혈증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간 섬유화(Liver Fibrosis)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알칼리금속염, 무기산염, 유기산염, 알칼리토금속염, 및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인, 대사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주사용 제제 또는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용 제제는 정제, 과립제, 환제, 산제, 캅셀제 및 액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치료제와 병용 투여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와 병용 투여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제는 OCA (Obeticholic acid),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비타민 E, 메트포르민, 스타틴, 우르소데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불포화 지방산,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DPP-4 억제제(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s),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엘라피브라노(Elafibranor) 및 텔미사르탄(Telmisarta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12. 다음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9
    .
KR1020220121781A 2021-09-24 2022-09-26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43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6445 2021-09-24
KR1020210126445 2021-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773A true KR20230043773A (ko) 2023-03-31

Family

ID=8572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781A KR20230043773A (ko) 2021-09-24 2022-09-26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3773A (ko)
WO (1) WO20230485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123A (ko) 2016-03-28 2018-11-20 인터셉트 파마슈티컬즈, 인크. Fxr 효능제 및 arb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의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628B2 (en) * 2000-06-22 2012-05-08 Northeastern University Steroidal antiestrogens and antiandrogens and uses thereof
KR20110131697A (ko) * 2010-05-31 2011-12-07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담즙산,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을 포함하는 정맥주사 수액제의 제조 방법
US9079935B2 (en) * 2012-08-13 2015-07-1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Reducing risk of contracting Clostridium-difficile associated disease
BR112018015474A2 (pt) * 2016-01-28 2018-12-18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agonista de fxr derivado de estero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123A (ko) 2016-03-28 2018-11-20 인터셉트 파마슈티컬즈, 인크. Fxr 효능제 및 arb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의약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finition, Pathogenesis, and Natural Progres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전재한, 박근규, J Korean Diabetes. 2014 Jun;15(2):65-70. Kore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526A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88478A (ja) 肝疾患を処置する方法
KR102034703B1 (ko)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 질환 치료제
CN112979743B (zh) 白桦脂酸衍生物及其应用
US20220054459A1 (en)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drug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R101516677B1 (ko) 지방성 간 질환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US10806735B2 (en) Use of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s in liver disease
UA123355C2 (uk) Фіксовані комбінації й склади, які містять etc-1002 й езетиміб, і способи лікування або зменшення ризику розвитку серцево-судинного захворювання
EP351893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W202143956A (zh) 用於糖尿病及其併發症治療的聯合用藥及其藥物組合物
CN111991379A (zh) 一种秋水仙碱复合制剂,用于治疗肝病或增进疗效
JP6377713B2 (ja) 薬剤
KR20210110407A (ko) Fxr 작용제의 신규 요법
US20210137858A1 (en) Combination formulation containing colchicine for treatment or enhancing the therapy of liver disease
US20200338047A1 (en) Methods of treatment for cholestatic and fibrotic diseases
KR20230043773A (ko) 염증복합체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간 섬유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191744B2 (en)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 and use thereof, in particular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in humans and animals
KR20170093149A (ko) 결합체
KR101086040B1 (ko) 간섬유화 및 간경화 치료 효과를 갖는 아시아트산 유도체
Yong et al. Synergism in pharmacokinetics of retagliptin and metformin observed during clinical trials of their combination therapy
EP3858357A1 (en) Use of azole compounds to stimulate the immune system and as inhibitors for s-pla2gib
JP3186365B2 (ja) 肝疾患治療薬
KR20210015849A (ko) 트로피펙소르 및 세니크리비록을 포함하는 조합물
KR20210095249A (ko) 간 질환 치료용 또는 치료 효과 증진을 위한 콜히친 복합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