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099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099A
KR20230042099A KR1020237006311A KR20237006311A KR20230042099A KR 20230042099 A KR20230042099 A KR 20230042099A KR 1020237006311 A KR1020237006311 A KR 1020237006311A KR 20237006311 A KR20237006311 A KR 20237006311A KR 20230042099 A KR20230042099 A KR 20230042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pring
spring seat
rib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토모 마츠무라
고이치 야마카
나오야 도코오
요시히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06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a single lateral arm, e.g. MacPhers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이 완충기(10)는, 차체와 차축 사이에 배치된다. 이 완충기(10)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실린더(17)와, 스프링 시트(20)와, 이형용 리브(25)를 구비한다. 스프링 시트(20)는, 실린더(17)와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 시트(20)는, 실린더(17)로부터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현가 스프링을 지지한다. 이형용 리브(25)는, 실린더(17) 및 스프링 시트(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부와 실린더(17)를 연결한다. 이형용 리브(25)는,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에 면부(81)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완충기
본 발명은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9월 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4889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실린더에 감합부(嵌合部)를 형성하고, 이 감합부에 금속 시트를 감합시키며, 이 금속 시트에 수지 시트를 실은 구성의 완충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금속제의 내측 부분과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제의 외측 부분을 일체 성형한 스트럿(strut)을 갖는 완충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6-53408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2014/129543호
완충기에 있어서 비용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완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완충기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실린더와, 스프링 시트와,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실린더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현가 스프링을 지지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스프링 시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부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실린더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에 면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완충기에 의하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한 일부를 단면(斷面)으로 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한 스프링 받침 부재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한 스프링 받침 부재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외측 부재에 대한 주조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스프링 받침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스프링 받침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의 스프링 받침 부재를 도시한 하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0)를 포함하는 차량(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1)은, 차륜(2)과, 차축(3)과, 너클(4)과,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0)와, 현가 스프링(6)을 갖는다. 차축(3)은, 차륜(2)과 일체로 회전한다. 너클(4)은, 차축(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완충기(10)는, 너클(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차체(5)에 연결된다. 현가 스프링(6)은, 완충기(10)와 차체(5)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기(10)는, 차체(5)와 차축(3)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기(10)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에 이용되는 완충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완충기(10)는, 자동차의 스트럿형 서스펜션에 이용되는 완충기이다.
완충기(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외측 부재(11)와, 외측 부재(11)에 부착되는 스프링 받침 부재(12)를 갖는다. 또한, 완충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부재(11)의 내측에 설치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내측 부재(13)를 갖는다. 외측 부재(11)와 내측 부재(13) 사이는, 리저버실(14)이다. 내측 부재(13)의 내측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작동 액체가 봉입된다. 리저버실(14)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작동 액체 및 작동 기체가 봉입된다.
외측 부재(11)는, 일체로 이음매 없이 형성되는 일체 성형품이다. 외측 부재(11)는, 열이나 힘에 의해 형태가 부여된 금속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부재(11)는,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주조에 의해 성형된다. 외측 부재(11)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외측 실린더(17)(실린더)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과, 지지 브래킷(19)과, 스프링 시트(20)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외측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브래킷(19)은,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외측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외측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외측 부재(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보강용 리브(22∼24)와, 1개소의 이형용 리브(25)(리브)를 갖는다. 외측 부재(11)에서는, 이들 외측 실린더(17),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지지 브래킷(19), 스프링 시트(20), 보강용 리브(22∼24) 및 이형용 리브(25)가, 주조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 성형된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와 일체로 형성되고, 이형용 리브(25)는, 외측 실린더(17) 및 스프링 시트(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실린더(17)는, 원통형의 측벽부(31)와, 바닥부(32)와, 돌출부(33)와, 개구(35)를 갖는다. 바닥부(32)는, 측벽부(31)의 축 방향의 일단측을 폐색한다. 돌출부(33)는, 측벽부(31)의 내주면의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으로부터 측벽부(31)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개구(35)는, 측벽부(31)의 축 방향의 바닥부(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측 실린더(17)는, 축 방향 일단측에 개구(35)를 갖고, 축 방향 타단측에 바닥부(32)를 갖는다. 돌출부(33)는, 외측 실린더(17)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복수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실린더 축 방향으로 한다.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실린더 직경 방향으로 한다.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의 방향을 실린더 둘레 방향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외측 실린더(17)의 측벽부(31)의 바닥부(32)측의 부분에 설치된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외측 실린더(17)의 서로 실린더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판형이고, 서로 대략 평행을 이룬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측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모두 실린더 축 방향을 따라 또한 실린더 직경 방향을 따라 확대된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너클(4)이 배치된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은, 너클(4)에 체결구(40)로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인 브래킷(18)에는, 너클(4)에의 부착용의 체결구(40)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1)이 2개소씩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19)은, 외측 실린더(17)의 측벽부(31)의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보다 바닥부(32)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설치된다. 지지 브래킷(19)은,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브래킷(19)은, 판형이다. 지지 브래킷(19)은, 실린더 축 방향을 따라 또한 실린더 직경 방향을 따라 확대된다. 지지 브래킷(19)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으로 대략 90° 위상을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다. 지지 브래킷(19)은, 도시가 생략된 스태빌라이저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 브래킷(19)에는, 부착 구멍(43)이 1개소 형성된다. 부착 구멍(43)에는, 스태빌라이저를 연결하기 위한 도시가 생략된 연결구가 부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의 측벽부(31)의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보다 바닥부(32)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설치된다.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스프링 시트(20)는, 원형 평판형이다. 스프링 시트(20)는, 원형의 외주 단면(端面)(51)을 갖는다. 스프링 시트(20)는, 측벽부(31)의 실린더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0)는, 그 중심 축선이,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에 대해 경사져 교차한다.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과,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20)는,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이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20)는,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에 근접하도록 경사진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로부터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측인 제1 부분과, 반대측인 제2 부분을 갖는다. 스프링 시트(20)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보다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은,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로부터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측인 제1 부분과, 반대측인 제2 부분을 갖는다.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에서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보다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거리가 길다.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맞는 위치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거리가 가장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외주 단면(51)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180°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거리가 가장 짧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0)는, 지지면(55)과, 2개의 파팅 라인(56, 57)을 갖는다. 지지면(55)은, 실린더 축 방향의 개구(35)측을 향한다. 2개의 파팅 라인(56, 57)은, 지지면(55)으로부터 실린더 축 방향의 개구(35)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스프링 시트(20)와 마찬가지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과,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지지면(55)은 경사진다. 즉, 이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지지면(55)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지지면(55)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에 근접하도록 경사진다.
2개의 파팅 라인(56, 57)은, 모두 실린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이다. 2개의 파팅 라인(56, 57)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다. 2개의 파팅 라인(56, 57)은, 모두 스프링 시트(20) 및 외측 실린더(17)의 양방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한쪽의 파팅 라인(56)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맞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른쪽의 파팅 라인(57)은, 이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180°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0)와 마찬가지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과,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파팅 라인(56, 57)은 경사진다. 즉, 이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파팅 라인(56, 57)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파팅 라인(56, 57)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에 근접하도록 경사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55)은, 한 쌍의 평면형의 경사면(58, 59)을 갖는다. 한 쌍의 경사면(58, 59)은, 파팅 라인(56, 57)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스프링 시트(20)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바꿔 말하면, 한 쌍의 경사면(58, 59)의 경계 위치에 파팅 라인(56, 57)이 형성된다. 스프링 시트(20)와 마찬가지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과,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58, 59)은 경사진다. 즉, 이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58, 59)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경사면(58, 59)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에 근접하도록 경사진다.
스프링 시트(20)에는, 외주 단면(51)보다 약간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위치에, 복수, 구체적으로는 4개소의 감합 구멍(61, 62, 63, 64)이 형성된다. 감합 구멍(61, 62, 63, 64)은, 스프링 시트(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90°의 피치로 이 순서로 배치된다. 감합 구멍(61, 62)은,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에 대해 파팅 라인(56)과 동일측에 형성된다. 감합 구멍(63, 64)은,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에 대해 파팅 라인(57)과 동일측에 형성된다. 감합 구멍(61)은, 파팅 라인(56)보다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측에 배치된다. 감합 구멍(62)은, 파팅 라인(56)보다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감합 구멍(63)은, 파팅 라인(57)보다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감합 구멍(64)은, 파팅 라인(57)보다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측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프링 시트(20)에 스프링 받침 부재(12)가 부착된다. 이에 의해, 외측 부재(11)의 스프링 시트(20)가 스프링 받침 부재(12)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현가 스프링(6)을 지지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보강용 리브(22∼24) 및 이형용 리브(25)는, 모두 스프링 시트(20)를 보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팅 라인(56, 57)은, 지지면(55)에 배치된다. 보강용 리브(22∼24) 및 이형용 리브(25)는, 지지면(55)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22∼24) 및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보강용 리브(22), 이형용 리브(25), 보강용 리브(23), 보강용 리브(24)의 순서로, 90°의 피치로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22)는,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맞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강용 리브(22)는, 파팅 라인(56)과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맞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0)는,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을 향하는 베이스면(71)을 갖는다. 보강용 리브(22)는, 스프링 시트(20)의 베이스면(71)으로부터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으로 돌출된다.
보강용 리브(22)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보다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약간 내측 위치와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부를 연결한다. 바꿔 말하면, 보강용 리브(22)는,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의 바로 앞까지 연장된다. 보강용 리브(22)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보강용 리브(22)는, 외측 실린더(17)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보강용 리브(22)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실린더(17)측일수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도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 돌출된다. 보강용 리브(22)는,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을 향하는 외단 가장자리부(72)를 갖는다. 보강용 리브(22)의 외단 가장자리부(72)는, 원호형을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보강용 리브(23)는,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180°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23)는, 파팅 라인(57)과 실린더 둘레 방향의 위상이 맞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강용 리브(23)는, 스프링 시트(20)의 베이스면(71)으로부터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으로 돌출된다.
보강용 리브(23)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보다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약간 내측 위치와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부를 연결한다. 바꿔 말하면, 보강용 리브(23)는,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의 바로 앞까지 연장된다. 보강용 리브(23)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보강용 리브(23)는, 외측 실린더(17)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보강용 리브(23)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실린더(17)측일수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도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 돌출된다. 보강용 리브(23)는,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을 향하는 외단 가장자리부(73)를 갖는다. 보강용 리브(23)의 외단 가장자리부(73)는, 원호형을 이룬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24)는, 보강용 리브(22, 23)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측에 형성된다. 보강용 리브(24)는,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지지 브래킷(19)보다 약간 보강용 리브(22)측에 형성된다. 보강용 리브(24)는,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보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측으로 약간 어긋나게 설치된다. 보강용 리브(24)는, 스프링 시트(20)의 베이스면(71)으로부터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으로 돌출된다.
보강용 리브(24)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보다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약간 내측 위치와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부를 연결한다. 바꿔 말하면, 보강용 리브(24)는,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의 바로 앞까지 연장된다. 보강용 리브(24)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보강용 리브(24)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실린더(17)측일수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도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 돌출된다. 보강용 리브(24)는,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을 향하는 외단 가장자리부(74)를 갖는다. 보강용 리브(24)의 외단 가장자리부(74)는, 원호형을 이룬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용 리브(24)는, 스프링 시트(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59)과 위치가 중첩된다.
각 보강용 리브(22∼24)는, 외측 실린더(17)측의 단(端) 위치에 있으며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32)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갖는다. 보강용 리브(22∼24)의 상기 단부는,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각 보강용 리브(22∼24)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를 갖는다. 보강용 리브(22∼24)의 상기 단부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대략 등거리의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보강용 리브(22∼24)에서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의 외주 단면(51)과의 최단 거리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용 리브(25)는, 보강용 리브(22, 23) 사이의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브래킷(19)과는 반대측에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지지 브래킷(19)과는 180° 위상이 상이한 위치보다 약간 보강용 리브(22)측에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는,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보다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측으로 약간 어긋나게 설치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베이스면(71)으로부터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으로 돌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경사면(58)과 위치가 중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부와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부를 연결한다. 바꿔 말하면, 이형용 리브(25)는,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까지 연장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는, 보강용 리브(24)와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 직경선 상에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실린더(17)측일수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도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을 향하는 외단 가장자리부(75)를 갖는다. 이형용 리브(25)의 외단 가장자리부(75)는, 평면형을 이룬다. 이형용 리브(25)는, 외측 실린더(17)측의 단 위치에 있으며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32)측의 단부를 갖는다. 이형용 리브(25)의 상기 단부는, 보강용 리브(22∼24)보다,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32)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용 리브(25)는, 파팅 라인(56, 5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단부가 외측 실린더(17)의 외주면에 접속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가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하는 면부(81)이다. 바꿔 말하면,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부의 외주 단면(51)과 외측 실린더(17)를 연결한다. 이형용 리브(25)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에 면부(81)가 형성된다.
면부(81)는, 평면부(82)와, 한 쌍의 만곡면부(83, 84)를 갖는다. 평면부(82)는,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확대된다. 한 쌍의 만곡면부(83, 84)는, 평면부(82)와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 사이에 형성된다. 한 쌍의 만곡면부(83, 84)는, 평면부(82)를 외주 단면(51)에 매끄럽게 연결한다. 평면부(82)는, 스프링 시트(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가,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평면부(82)는, 외주 단면(51)에 연결된다. 평면부(82)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의 접선 방향으로 확대된다. 바꿔 말하면, 평면부(82)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반경선에 대해 수직으로 확대된다. 평면부(82)는,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외주 단면(51)의 스프링 시트(2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평면부(82)는, 도 6에 도시된 파팅 라인(56, 57)에 대해 평행하고 또한 실린더 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확대되는 평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부(81)는, 평면부(82)의 내측에 평면부(82)보다 약간 움푹 패인 원형의 자국(85)을 갖는다. 자국(85)은 주조 시에 주조형으로부터 외측 부재(11)를 이형할 때에 발생하는 자국이다. 자국(85)은, 원형의 오목 형상 이외에, 일그러짐 등의 경우도 있다. 자국(85)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부(82)의 내측의 범위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국(85)은, 전체가 평면부(82)의 내측의 범위에 있다.
감합 구멍(61∼64)은 모두, 중심 축선이 스프링 시트(20)의 외주 단면(51)의 중심 축선과 평행하다. 감합 구멍(61∼64)의 각각의 중심 축선은, 동일원 상에 배치된다. 이 원은 외주 단면(51)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이다. 감합 구멍(61∼64)의 각각의 중심 축선은,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에 대해 경사진다. 감합 구멍(61∼64) 중 보강용 리브(22)에 가까운 측의 감합 구멍(61, 62)은,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하다. 감합 구멍(61∼64) 중 보강용 리브(23)에 가까운 측의 감합 구멍(63, 64)은,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동등하다. 감합 구멍(61, 62)의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는, 감합 구멍(63, 64)의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보다 길게 되어 있다.
외측 부재(11)는, 4개소의 삽입 구멍(41), 1개소의 부착 구멍(43) 및 4개소의 감합 구멍(61∼64) 등을 제외하고 주조에 의해 성형된다. 그때에, 외측 부재(11)는,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실린더 직경 방향으로 2개로 분할되는 주조형(100)에 의해 성형된다. 주조형(100)은, 제1 형(101)과, 제2 형(102)과, 제3 형(103)과, 제4 형(104)을 갖는다. 제1 형(101)은, 외측 부재(11)의 이형용 리브(25)를 포함하는 외측 절반을 형성한다. 제2 형(102)은, 외측 부재(11)의 지지 브래킷(19) 및 보강용 리브(24)를 포함하는 외측 절반을 형성한다. 제3 형(103)은, 외측 부재(11)의 외측 실린더(17)의 내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4 형(104)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보강용 리브(22, 23)는, 제1 형(101)과 제2 형(102)의 맞댐면측에 제1 형(101)과 제2 형(10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1 형(101)과 제2 형(102)의 맞댐면에 의해 상기한 파팅 라인(56, 57)이 형성된다.
제1 형(101)에는, 복수의 이형 핀(111, 112)이 설치된다. 복수의 이형 핀(111, 112)은, 외측 부재(11)의 주조 후, 제2 형(102), 제3 형(103) 및 제4 형(104)을 외측 부재(11)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외측 부재(11)를 상방으로 밀어 제1 형(101)으로부터 이형시킨다. 복수의 이형 핀(111, 112)은 동시에 상승한다. 그때에, 한쪽의 이형 핀(111)이 외측 부재(11)의 이형용 리브(25)의 면부(81)에 접촉하고, 다른쪽의 이형 핀(112)이 외측 부재(11)의 외측 실린더(17)의 측벽부(31)의 바닥부(32)측의 소정 위치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외측 부재(11)를 상방으로 민다. 그때에, 외측 부재(11)는 완전히는 굳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면부(81)에는, 원기둥형의 이형 핀(111)의 선단부로 움푹 패이게 되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의 자국(85)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스프링 시트(20)의 한 쌍의 경사면(58, 59)은, 제1 형(101) 및 제2 형(102)으로부터 외측 부재(11)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한 빼기 구배(勾配)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대략 구멍이 있는 원판형이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수지재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 성형된다. 이 수지재로서는, 예컨대, PA(폴리아미드 합성 수지)나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재는, 필요 강도나 사용 환경에 맞춰 이용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이 있는 원형 평판형의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와, 돌출벽부(123)를 갖는다.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는, 내주측에 원형의 삽입 관통 구멍(121)이 형성된다. 돌출벽부(123)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돌출벽부(123)가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의 전체 둘레에는 형성되지 않고, 일부가 절결부(124)로 되어 있다. 돌출벽부(123)는, 절결부(124)를 제외하고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다. 돌출벽부(123)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로부터 축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는 대략 원뿔형이다.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는, 돌출벽부(123)가 돌출되는 측에 스프링 받침면(125)을 갖는다. 스프링 받침면(125)은, 평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는, 축 방향의 돌출벽부(123)와는 반대측의 직경 방향의 삽입 관통 구멍(121)측에, 오목형부(132)를 갖는다. 오목형부(132)는, 주위의 주위판부(131)보다 축 방향의 돌출벽부(123)측으로 움푹 들어간다. 오목형부(132)는, 바닥면(133)(대향면)과, 내주벽면(134)을 갖는다. 바닥면(133)은, 축 방향의 돌출벽부(123)측에 위치한다. 내주벽면(134)은, 바닥면(133)의 전체 둘레를 둘러싼다. 내주벽면(134)은, 바닥면(133)으로부터 축 방향의 돌출벽부(123)와는 반대측으로 기립한다.
오목형부(132)에는, 모두 직선형의 오목부(136, 137)가 형성된다. 오목부(136, 137)는, 바닥면(133)보다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축 방향에 있어서 돌출벽부(123)측으로 더욱 움푹 들어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136)는 절결부(124)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180° 상이하게 하고 있다. 오목부(137)는 절결부(124)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추고 있다. 오목부(136, 137)는,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중심 축선을 통과하는 반경선 상에 배치된다. 오목부(136, 137)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다.
바닥면(133)은, 오목부(136, 137)가 형성됨으로써,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2개의 영역의 각각은, 평면형의 경사면(138, 139)으로 되어 있다. 경사면(138, 139)은, 오목부(136, 137)측일수록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축 방향에 있어서 돌출벽부(123)측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진다.
오목형부(132)의 내주벽면(134)은, 복수, 구체적으로는 4개소의 소직경 벽면(141, 142, 143, 144)과, 복수, 구체적으로는 4개소의 대직경 벽면(151, 152, 153, 154)을 갖는다. 4개소의 소직경 벽면(141, 142, 143, 144)은, 동일 원뿔면 상에 배치된다. 4개소의 대직경 벽면(151, 152, 153, 154)은, 동일 원뿔면 상에 배치된다. 내주벽면(134)은, 소직경 벽면(141), 대직경 벽면(151), 소직경 벽면(142), 대직경 벽면(152), 소직경 벽면(143), 대직경 벽면(153), 소직경 벽면(144), 대직경 벽면(154)이,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치된다.
4개소의 소직경 벽면(141∼144)은 동일 형상이다. 4개소의 대직경 벽면(151∼154)은 동일 형상이다. 소직경 벽면(141∼144)의 내경은, 바닥면(133)측일수록 소직경이 된다. 대직경 벽면(151∼154)의 내경도, 바닥면(133)측일수록 소직경이 된다. 소직경 벽면(141∼144)의 최소 내경은, 대직경 벽면(151∼154)의 최소 내경보다 소직경이다. 소직경 벽면(141∼144)의 최소 내경은, 외측 부재(11)의 스프링 시트(20)의 외경, 즉 외주 단면(51)의 직경과 동등하다.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소직경 벽면(141∼144) 중 하나의 소직경 벽면(144)이, 절결부(124)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추고 있다. 소직경 벽면(141∼144) 중 다른 하나의 소직경 벽면(142)이, 절결부(124)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180° 상이하게 하고 있다. 소직경 벽면(141∼144) 중 나머지 2개의 소직경 벽면(141, 143)은,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절결부(124)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90° 상이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소직경 벽면(142)이 오목부(136)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추고 있다. 소직경 벽면(144)이 오목부(137)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추고 있다. 오목부(136)는,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삽입 관통 구멍(121)으로부터 소직경 벽면(142)을 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오목부(136)는, 또한 소직경 벽면(142)을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다. 오목부(137)는,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삽입 관통 구멍(121)으로부터 소직경 벽면(144)을 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오목부(137)는, 또한 소직경 벽면(144)을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대직경 벽면(151)과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춰 감합 돌기(161)가 형성된다. 대직경 벽면(152)과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춰 감합 돌기(162)가 형성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대직경 벽면(153)과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춰 감합 돌기(163)가 형성된다. 대직경 벽면(154)과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춰 감합 돌기(164)가 형성된다. 감합 돌기(161∼164)는, 오목형부(132)의 바닥면(133)으로부터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벽부(123)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감합 돌기(161∼164)는 동일 형상이다. 감합 돌기(161∼16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33)으로부터 돌출되는 원기둥형의 목부(171)와, 끝이 가는 형상의 머리부(172)와, 슬릿(173)을 갖는다. 머리부(172)는, 목부(171)의 바닥면(133)과는 반대측에 있다. 머리부(172)는, 목부(171)보다 대직경이다. 슬릿(173)은, 목부(171) 및 머리부(172)를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2등분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스프링 시트(20)의 지지면(55)에 배치된다. 이때, 오목형부(132)의 바닥면(133)이, 도 6에 도시된 스프링 시트(20)의 지지면(55)에 대향한다. 내주측의 삽입 관통 구멍(121) 내에 외측 부재(11)의 외측 실린더(17)의 스프링 시트(20)보다 개구(35)측을 삽입 관통한다. 오목형부(132) 내에 스프링 시트(20)가 배치된다. 그때에, 감합 돌기(161)가 슬릿(173)을 좁히도록 변형하면서 감합 구멍(61)에 감합되고, 머리부(172)가 베이스면(71)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원래대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머리부(172)가 베이스면(71)에 걸린다. 이와 병행하여, 마찬가지로, 감합 돌기(162)가 감합 구멍(62)에 감합되고, 감합 돌기(163)가 감합 구멍(63)에 감합되며, 감합 돌기(164)가 감합 구멍(64)에 감합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와 감합 돌기(161∼164)의 각각의 머리부(172)로 스프링 시트(20)를 협지(挾持)한다. 그 결과,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스프링 시트(20)에 부착된다.
그때에, 오목형부(132)의 소직경 벽면(141∼144)의 내측에 스프링 시트(20)가 외주 단면(51)에 있어서 감합된다. 또한, 그때에, 스프링 시트(20)의 지지면(55)보다 돌출되는 파팅 라인(56)이, 바닥면(133)에 형성된 오목부(136)에 감합되어 수용된다. 바닥면(133)은,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스프링 시트(20)와의 대향면이다. 스프링 시트(20)의 지지면(55)보다 돌출되는 파팅 라인(57)이, 마찬가지로 바닥면(133)에 형성된 오목부(137)에 감합되어 수용된다. 그 결과, 스프링 시트(20)의 지지면(55)과 오목형부(132)의 바닥면(133)에 있어서, 경사면(58)과 경사면(138)이 면접촉으로 접촉하고, 경사면(59)과 경사면(139)이 면접촉으로 접촉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감합 돌기(161∼164)가 감합 구멍(61∼64)에 감합됨으로써 외측 부재(11)에 대해 실린더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받침 부재(12)에서는, 경사면(138)과 경사면(58)이 면접촉으로 접촉하고, 경사면(139)과 경사면(59)이 면접촉으로 접촉한다. 이와 함께, 오목부(136)에 파팅 라인(56)이 감합되고, 오목부(137)에 파팅 라인(57)이 감합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외측 부재(11)에 대해 실린더 둘레 방향으로 고정된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외측 부재(11)에 대해 회전 방지된다. 또한, 스프링 받침 부재(12)에서는, 오목형부(132)의 소직경 벽면(141∼144)의 내측에 스프링 시트(20)가 외주 단면(51)에 있어서 감합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외측 부재(11)에 대해 면내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프링 시트(20)에 부착되는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스프링 시트(20)에 대해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덜컹거림없이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0)에 부착된 상태의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절결부(124)가 보강용 리브(23)와 서로의 중앙 위치의 위상을 맞춘다.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감합 돌기(161∼164)는, 삽입 관통 구멍(121)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원 상에 배치된다. 한편, 스프링 시트(20)의 감합 구멍(61∼64)은,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프링 시트(20)에 부착된 상태의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삽입 관통 구멍(121)이 외측 실린더(17)에 대해 편심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관통 구멍(121)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절결부(124)의 중앙 위치와 위상이 맞는 위치가 외측 실린더(17)에 가장 가까워진다. 삽입 관통 구멍(121)은, 절결부(124)의 중앙 위치에 대해 위상이 180° 상이한 위치가 외측 실린더(17)로부터 가장 멀어진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삽입 관통 구멍(121)의 중심 위치는, 외측 실린더(17)에 대해 보강용 리브(22)측으로 편심된다.
또한, 스프링 시트(20)에 부착된 상태의 스프링 받침 부재(12)에서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의 스프링 받침면(125)이,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과,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는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경사져 있다. 즉, 이 실린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프링 받침면(125)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스프링 받침면(125)은, 한 쌍의 메인 브래킷(18)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의 외측일수록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 바닥부(32)에 근접하도록 경사진다.
스프링 시트(20)에 부착된 상태의 스프링 받침 부재(12)가, 돌출벽부(123)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코일 스프링인 현가 스프링(6)의 하단을 수용한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의 스프링 받침면(125)에 있어서, 현가 스프링(6)의 하단에 접촉하여, 이것을 받는다.
외측 부재(11)의 바닥부(32)에는, 내측 부재(13)가 접촉한다. 내측 부재(13)는, 금속제의 원통형의 내통(201)과, 금속제의 보디(202)를 갖는다. 보디(202)는, 내통(201)에, 내통(201)의 축 방향 일단측을 폐색하도록 감합된다. 내통(201)의 보디(202)와는 반대측의 타단은 개구(203)이다. 보디(202)의 외주부는, 소직경 부분과 이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부분을 갖는 단차를 갖는 형상을 이룬다. 내통(201)은, 개구(203)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보디(202)의 소직경 부분에 감합된다.
완충기(10)는, 폐색 부재(211)를 갖는다. 폐색 부재(211)는, 내측 부재(13)의 개구(203)와, 외측 부재(11)의 개구(35)를 폐색한다. 폐색 부재(211)는, 원환형의 로드 가이드(212)와, 원환형의 시일 부재(213)를 포함한다. 로드 가이드(212)는, 외측 실린더(17)의 측벽부(31)와 내통(201)의 양방에 감합된다. 시일 부재(213)는, 로드 가이드(212)에 대해 바닥부(32)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시일 부재(213)는, 외측 실린더(17)의 측벽부(31)에 감합된다.
로드 가이드(212)의 외주부는, 소직경 부분과 이보다 대직경의 대직경 부분을 갖는 단차를 갖는 형상을 이룬다. 내측 부재(13)의 보디(202)는, 외측 부재(11)의 복수의 돌출부(33)의 내측에 감합되어 바닥부(32)에 접촉한다. 내측 부재(13)의 개구(203)는, 로드 가이드(212)의 외주부의 소직경 부분에 감합된다. 이 로드 가이드(212)의 외주부의 대직경 부분이 외측 부재(11)의 측벽부(31)의 개구(35)측에 감합된다. 이에 의해, 내측 부재(13)는, 로드 가이드(212)를 통해 외측 부재(11)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 부재(13)는, 외측 부재(11)에 대해 동축 배치되어 직경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위치 결정된다.
외측 부재(11)는, 측벽부(31)의 바닥부(3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코킹부(215)가 형성된다. 코킹부(215)는, 상기한 주조 시에는 원통형이다. 코킹부(215)는, 조립 시에 컬 가공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소성 변형된다. 내측 부재(13)는 그 보디(202)에 있어서 외측 부재(11)의 바닥부(3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내측 부재(13)에 감합되는 로드 가이드(212)가 외측 부재(1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시일 부재(213)는, 이와 같이 외측 부재(1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로드 가이드(212)와, 외측 부재(11)의 코킹부(215)에 협지된다. 시일 부재(213)는, 외측 부재(11)의 개구(35)측을 밀봉한다.
완충기(10)는, 내측 부재(13)의 내통(201) 내에 설치되는 피스톤(220)을 갖는다. 피스톤(220)은, 내통(20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피스톤(220)은, 내통(20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피스톤(220)은, 내측 부재(13) 내에 제1 실(221)과 제2 실(222)을 구획한다. 제1 실(221)은, 내측 부재(13) 내의 피스톤(220)과 로드 가이드(212)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실(222)은, 내측 부재(13) 내의 피스톤(220)과 보디(202) 사이에 형성된다. 내측 부재(13) 내의 제2 실(222)은, 보디(202)에 의해, 리저버실(14)과 구획된다. 제1 실(221) 및 제2 실(222)에는 작동 액체인 오일액이 충전된다. 리저버실(14)에는 작동 기체인 가스와 작동 액체인 오일액이 충전된다.
완충기(10)는, 중공의 로드(231)를 갖는다. 로드(231)는, 축 방향의 일단측이 내통(201)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220)에 연결된다. 로드(231)는, 축 방향의 타단측이 내통(201) 및 외측 실린더(17)로부터 개구(203, 35)를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로드(231)는 피스톤(220)과 함께 내통(20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로드(231)는, 로드 가이드(212) 및 시일 부재(213)를 통과하여 내측 부재(13) 및 외측 부재(11)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로드(231)는, 로드 가이드(212)에 의해 직경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로드(231)는, 내측 부재(13) 및 외측 부재(11)에 대해, 피스톤(220)과 일체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213)는, 외측 부재(11)와 로드(231) 사이를 폐색한다. 이에 의해, 시일 부재(213)는, 내측 부재(13) 내의 작동 액체와, 리저버실(14) 내의 작동 기체 및 작동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기(10)는, 로드(231)가 차체(5)측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20)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241) 및 도시가 생략된 통로가 형성된다. 이들 통로(241) 및 도시가 생략된 통로는, 제1 실(221)과 제2 실(222)을 연통(連通)할 수 있다다. 완충기(10)는,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255)를, 피스톤(220)의 축 방향의 바닥부(32)와는 반대측에 갖는다. 디스크 밸브(255)는, 피스톤(220)에 접촉함으로써 통로(241)를 폐색 가능하다. 또한, 완충기(10)는,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256)를, 피스톤(220)의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에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256)는, 피스톤(220)에 접촉함으로써 도시가 생략된 통로를 폐색할 수 있다.
로드(231)가 내통(201) 및 외측 실린더(17) 내로의 진입량을 늘리는 축소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20)이 제2 실(222)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실(222)의 압력이 제1 실(221)의 압력보다 소정값 이상 높아지면, 디스크 밸브(255)는, 통로(241)를 개방한다. 그때에, 디스크 밸브(255)는,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로드(231)가 내통(201) 및 외측 실린더(17)로부터의 돌출량을 늘리는 신장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20)이 제1 실(221)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실(221)의 압력이 제2 실(222)의 압력보다 소정값 이상 높아지면, 디스크 밸브(256)는, 도시가 생략된 통로를 개방한다. 그때에, 디스크 밸브(256)는,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로드(231) 및 피스톤(220)은, 내통(20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감쇠력이 발생한다.
내측 부재(13)의 보디(202)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261) 및 통로(262)가 형성된다. 통로(261) 및 통로(262)는, 제2 실(222)과 리저버실(14)을 연통할 수 있다. 완충기(10)는,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275)와,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276)를 갖는다. 디스크 밸브(275)는, 보디(202)의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에 위치한다. 디스크 밸브(275)는, 보디(202)에 접촉함으로써 통로(261)를 폐색할 수 있다. 디스크 밸브(276)는, 보디(202)의 축 방향의 바닥부(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디스크 밸브(276)는, 보디(202)에 접촉함으로써 통로(262)를 폐색할 수 있다.
로드(231)가 축소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20)이 제2 실(222)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실(222)의 압력이 리저버실(14)의 압력보다 소정값 이상 높아지면, 디스크 밸브(275)는, 통로(261)를 개방한다. 그때에, 디스크 밸브(275)는,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로드(231)가 신장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20)이 제1 실(221)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실(222)의 압력이 리저버실(14)의 압력보다 저하되면, 디스크 밸브(276)는, 통로(262)를 개방한다. 그때에, 디스크 밸브(276)는, 리저버실(14)로부터 제2 실(222) 내로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동 액체를 흘린다. 즉, 디스크 밸브(276)는, 석션 밸브이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는, 실린더에 감합부를 형성하고, 이 감합부에 금속 시트를 감합시키며, 이 금속 시트에 수지 시트를 실은 구성의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금속제의 내측 부분과 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제의 외측 부분을 일체 성형한 스트럿을 갖는 완충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완충기에 있어서 비용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예컨대, 주조에 의해 스프링 시트를 외측 실린더에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금형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스프링 시트의 외주를 이형 핀으로 밀지 않으면, 스프링 시트가 금형으로부터 원활히 빠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금형에 의해 스프링 시트에 긁힘을 발생시켜, 수율을 저하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스프링 시트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그 외주를 이형 핀으로 미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보다 많은 이형 핀으로 이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형 핀의 메인터넌스의 비용이 많아지고, 운전 비용(running cost)이 증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0)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외측 실린더(17)와, 스프링 시트(20)와, 이형용 리브(25)를 갖는다.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와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 시트(20)는, 외측 실린더(17)로부터 외측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현가 스프링(6)을 지지한다. 이형용 리브(25)는, 외측 실린더(17) 및 스프링 시트(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는, 스프링 시트(20)의 외주부와 외측 실린더(17)를 연결한다. 이형용 리브(25)는, 외측 실린더(17)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에 면부(81)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 시트(20)가 두께가 얇아도, 이형용 리브(25)의 면부(81)를 이형 핀(111)으로 압박하여, 제1 형(101)으로부터 외측 부재(11)를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시트(20)가 두께가 얇아도, 스프링 시트(20)와 일체로 인접하는 이형용 리브(25)를 이형 핀(111)으로 압박함으로써, 스프링 시트(20)를 원활히 제1 형(10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여기서, 이형용 리브(25)의 면부(81)에 자국(85)이 형성된다. 이것은, 외측 부재(11)가, 이형용 리브(25)의 면부(81)가 이형 핀(111)에 의해 압박되어 제1 형(101)으로부터 빼내어진 부재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형(101)에 의해 스프링 시트(20)에 긁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외측 부재(11)의 수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형 핀의 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형 핀의 메인터넌스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외측 부재(11)의 제조 시의 운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이형 핀(11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형 핀(111)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외측 부재(11)의 제조 시의 운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스프링 시트(20)를 보강하기 위해서 필요한 리브를 이형용 리브(25)로 하기 때문에, 중량 증가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받침 부재(12)의 형상을 포함하여 외측 부재(11)를 일체 성형하는 경우, 현가 스프링(6)을 받는 부분이 블로우 홀 등의 주조 결함을 발생시키기 쉬워, 강도적인 신뢰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완충기(10)는, 금속제의 외측 부재(11)의 스프링 시트(20)에,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는 별체의 스프링 받침 부재(12)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내주측에 외측 실린더(17)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121)을 갖는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외주측에 현가 스프링(6)을 받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를 갖는다. 이 때문에, 현가 스프링(6)을 스프링 받침 부재(12)로 받게 되어, 현가 스프링(6)을 받는 부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삽입 관통 구멍(121)을 외측 실린더(17)에 대해 편심시킨다. 이에 의해, 삽입 관통 구멍(121)을 외측 실린더(17)에 대해 동축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를 경량화할 수 있다. 즉, 현가 스프링 받침부(122)의 크기를 현가 스프링(6)을 받는 데 필요한 크기로 함으로써, 스프링 받침 부재(12)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관통 구멍(121)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삽입 관통 구멍(121)을 통한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프링 받침 부재(12)는, 스프링 시트(20)와의 대향면이 되는 오목형부(132)의 바닥면(133)에 오목부(136, 13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6, 137)는, 파팅 라인(56, 57)을 수용한다. 이 때문에, 파팅 라인(56, 57)을 이용하여 회전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스프링 시트(20)를, 그 직경 방향으로 2개로 분할된 제1 형(101) 및 제2 형(102)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파팅 라인(56, 57)이 2개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 시트(20)를, 그 직경 방향으로 3개로 분할된 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파팅 라인은 3개 형성된다. 즉, 스프링 시트(20)는, 금형의 분할 방법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파팅 라인을 갖는다. 스프링 받침 부재(12)에는, 파팅 라인과 동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된다.
이형용 리브(25)의 면부(81)는, 외측 실린더(17)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확대되는 평면부(82)를 갖는다. 이 때문에, 이 평면부(82)의 내측을 이형 핀(111)으로 압박함으로써 스프링 시트(20)를 한층 원활히 제1 형(10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 경우, 자국(85)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부(82)의 내측의 범위에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주로 도 11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0A)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외측 부재(11)를 대신하여, 외측 부재(11A)가 이용된다. 외측 부재(11A)는, 이형용 리브(25A)를 갖는다.
이형용 리브(25A)는, 스프링 시트(20)에 대해 이형용 리브(25)와 동일 위치에 형성된다. 이형용 리브(25A)는, 스프링 시트(2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실린더(17)측일수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도록 베이스면(7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형용 리브(25A)는, 실린더 축 방향의 바닥부(32)측을 향하는 외단 가장자리부(75A)를 갖는다. 이형용 리브(25A)의 외단 가장자리부(75A)는, 평면형이 아니라, 원호형을 이룬다. 그리고, 이형용 리브(25A)는, 외측 실린더(17)측의 단 위치에 있으며 실린더 축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바닥부(32)측의 단부를 갖는다. 이형용 리브(25A)의 상기 단부는, 보강용 리브(22, 24)의 동일측의 단부와 대략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이형용 리브(25A)도, 이형용 리브(25)와 동일한 면부(81)를 갖는다.
제2 실시형태의 완충기(10A)는, 이형용 리브(25A)의 외측 실린더(17)에의 접속 부분이 이형용 리브(25)보다 실린더 축 방향으로 길다. 이 때문에, 이형용 리브(25)보다 높은 강도로 스프링 시트(20)를 보강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서술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완충기는, 차체와 차축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기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실린더와, 스프링 시트와,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실린더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현가 스프링을 지지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스프링 시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부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실린더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에 면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면부에는, 이형 시에 형성된 자국이 형성된다.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에는,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 받침 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받침 부재는, 내주측에 상기 실린더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받침 부재는, 외주측에 현가 스프링을 받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를 갖는다.
제4 양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 편심된다.
제5 양태는, 제3 또는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는, 적어도 2개의 파팅 라인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받침 부재는, 상기 스프링 시트와의 대향면에 상기 파팅 라인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제6 양태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면부는, 상기 실린더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확대되는 평면부를 갖는다.
상기한 완충기에 의하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3: 차축 5: 차체
6: 현가 스프링 10, 10A: 완충기
12: 스프링 받침 부재 17: 외측 실린더(실린더)
20: 스프링 시트 25, 25A: 이형용 리브(리브)
56, 57: 파팅 라인 81: 면부
82: 평면부 85: 자국
121: 삽입 관통 구멍 122: 현가 스프링 받침부
133: 바닥면(대향면) 136, 137: 오목부

Claims (6)

  1. 차체와 차축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기로서,
    바닥이 있는 통형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부터 상기 실린더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현가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와,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스프링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시트의 외주부와 상기 실린더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부에 면부가 형성되는 리브
    를 갖는 것인,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부에는, 이형 시에 형성되는 자국이 형성되는 것인,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에는, 내주측에 상기 실린더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고, 외주측에 현가 스프링을 받는 현가 스프링 받침부를 가지며,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 받침 부재가 배치되는 것인, 완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은, 상기 실린더에 대해 편심되는 것인, 완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는, 적어도 2개의 파팅 라인을 갖고,
    상기 스프링 받침 부재는, 상기 스프링 시트와의 대향면에 상기 파팅 라인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인, 완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부는, 상기 실린더의 중심 축선 방향으로 확대되는 평면부를 갖는 것인, 완충기.
KR1020237006311A 2020-09-04 2021-08-30 완충기 KR20230042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8890 2020-09-04
JPJP-P-2020-148890 2020-09-04
PCT/JP2021/031708 WO2022050215A1 (ja) 2020-09-04 2021-08-30 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099A true KR20230042099A (ko) 2023-03-27

Family

ID=8049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311A KR20230042099A (ko) 2020-09-04 2021-08-30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5220A1 (ko)
JP (1) JP7418594B2 (ko)
KR (1) KR20230042099A (ko)
CN (1) CN116056920A (ko)
DE (1) DE112021004631T5 (ko)
WO (1) WO20220502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9543A (ja) 2008-07-01 2014-07-10 Daikin Ind Ltd ジフルオロメタン(HFC32)、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HFC125)及び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HFO1234yf)を含む冷媒組成物
JP2016053408A (ja) 2014-09-04 2016-04-14 株式会社ショーワ スプリング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7332B2 (ja) * 1998-03-18 2005-08-2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イルスプリング・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98201B1 (en) * 1998-10-09 2002-06-04 Daimler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hock absorber pad having a spring containment flange
US20020135213A1 (en) * 2001-03-20 2002-09-26 Delphi Technologies Inc. Strut spring seat support
KR20030096621A (ko) 2002-06-17 2003-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러트
JP2008068723A (ja) * 2006-09-14 2008-03-27 Mazd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FR3002187B1 (fr) 2013-02-20 2016-07-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mortissement a jambe de force hybride, pour un train avant de vehicule
US9802454B2 (en) * 2014-07-28 2017-10-3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lastic spring seat having integrated crash member
JP6434750B2 (ja) * 2014-09-04 2018-12-05 株式会社ショーワ スプリングシート
US9849746B2 (en) * 2014-11-04 2017-12-2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mpact reinforced composite spring seat for a shock absorber
KR102614124B1 (ko) * 2016-12-13 2023-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
US20220112933A1 (en) * 2018-12-27 2022-04-14 Hitachi Astemo, Ltd. Shock absorber
JP2020148890A (ja) 2019-03-13 2020-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トナー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9543A (ja) 2008-07-01 2014-07-10 Daikin Ind Ltd ジフルオロメタン(HFC32)、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HFC125)及び2,3,3,3−テトラフルオロプロペン(HFO1234yf)を含む冷媒組成物
JP2016053408A (ja) 2014-09-04 2016-04-14 株式会社ショーワ スプリング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215A1 (ja) 2022-03-10
DE112021004631T5 (de) 2023-06-22
CN116056920A (zh) 2023-05-02
US20240025220A1 (en) 2024-01-25
JP7418594B2 (ja) 2024-01-19
JPWO2022050215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8795A2 (en) Hybrid suspension arm for vec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997268B2 (ja) ダンパーチューブ強化スリーブ
EP2540534B1 (en) Suspension structure, bush structure and suspension characteristic adjusting method
CN109563901B (zh) 缸装置以及缸装置的制造方法
US9278602B2 (en) Stabilizer link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US20110291377A1 (en) Stabilizer bushing for vehicle
US10315695B2 (en) Pivot bearing
EP2722540A1 (en) Stabilink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11806182A (zh) 单壳式弹簧控制臂
CN103069188A (zh) 盘式制动器的卡钳本体
EP1586787A1 (en) One piece sliding brake caliper
US20120024647A1 (en) Cylinder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hock absorber
EP1462671A1 (en) One piece sliding brake caliper
EP3553339A1 (en) Opposed piston type disk brake caliper
KR20230042099A (ko) 완충기
KR20210077765A (ko) 완충기
CN113518722A (zh) 缸筒装置
EP1811197A1 (en) Piston rod of vehicle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chining the same
KR102033575B1 (ko) 볼 조인트 조립체
JP2019044786A (ja) 油圧緩衝器
US20200282790A1 (en) High-torsion air strut
KR102565759B1 (ko) 액티브 서스펜션
EP3670940B1 (en) Hybrid suspension arm including a ball joint
KR102086162B1 (ko) 휠 지지체의 제작방법
JP6956596B2 (ja) シリンダ装置、及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