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846A -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846A
KR20230041846A KR1020210124420A KR20210124420A KR20230041846A KR 20230041846 A KR20230041846 A KR 20230041846A KR 1020210124420 A KR1020210124420 A KR 1020210124420A KR 20210124420 A KR20210124420 A KR 20210124420A KR 20230041846 A KR20230041846 A KR 20230041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lower
agarwood
extract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Original Assignee
박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화 filed Critical 박종화
Priority to KR1020210124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846A/ko
Publication of KR2023004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23F3/10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13Acid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1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5Case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37Delbruecki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3Ferment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5Gasser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7Helveti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51Johnsoni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3Reuter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81Salivari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31Lac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3Adolescen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5Animal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7Bifid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9Brev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29Infan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33Longum
    • A23Y2220/03
    • A23Y2220/13
    • A23Y2220/67
    • A23Y2220/7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하여, 침향이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꽃과 조화시켜 향과 맛이 강화된 발효 꽃 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침향 추출물은 열을 가하지 않고 추출되는 것으로, 종래 침향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성질을 높이면서 침향의 향과 맛을 이용한 차(茶)의 기술적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FUNCTIONAL HEALTH FOO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MPRISING FERMENTED FLOWER EXTRACT USING FERMENTED ALOESWOOD}
본 발명은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침향 발효액을 이용하여, 침향이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꽃과 조화시켜 향과 맛이 강화된 발효 꽃 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침향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성질을 높이면서 침향의 향과 맛을 이용한 차(茶)의 기술적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과거와 달리 단순히 기호성이 우수한 음료보다는 기능성 음료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방 생약 성분을 첨가하여 약리작용을 통한 기능성 향상을 추구하는 음료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으나, 기호성 측면에서 기존의 커피나 녹차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한방 차(茶)의 경우 몸에 좋은 유용성분의 다량 함유된 건강 음료라고 인식되어 웰빙 음식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음용 시에 특유의 한약 냄새와 강한 쓴맛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음료나 차에 비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차(茶)는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음료로 가공한 제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식물을 우려낸 음료를 차라 부른다. 이러한 차는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민간요법의 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그 효능이 밝혀지면서 음료로 정착되어 세계인구의 50% 이상이 음용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17세기에 차가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해진 후로 주로 홍차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향 추출과 향료문화가 발달하여 에센스 오일 차향에 의한 향차와 과일 꽃허브 등을 혼합한 꽃차가 발달하여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또한, 최근에는 차가 일상생활에서 예절 등 사회의 문화 및 정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영양공급, 노화억제, 생체리듬의 활성화 및 면역력 증진 등의 복잡한 생리활동을 조절하는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제고되고 있다.
그 중 꽃차는 좋은 향을 갖고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도 포함하고 있으나, 차로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은 편이다. 즉, 꽃만을 가지고 차를 만드는 경우 부드러운 맛을 갖는 차를 제조하기가 어렵고,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차를 만드는 경우도 어울리는 맛을 내기가 쉽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차의 풍미는 제조 방법에 따라 전혀 발효하지 않은 비 발효차, 발효 정도가 12 내지 55% 사이인 약 발효차와 반 발효차, 85% 이상 발효시킨 발효차, 실제로 호기적 곰팡이 혹은 호기적 세균을 이용하는 후 발효차가 있고, 혐기적 세균을 이용하는 차들이 있다. 이들 발효 형태에 따라 차의 성분, 색, 향, 맛, 체내의 생리활성 작용 등이 달라지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세계적인 후발효차의 제조기술 보유국가는 중국과 일본이다. 중국의 호기적 발효차는 곰팡이류(Fungi)를 발효 균주로 사용하고, 주요산지는 운남성 서 쌍판납이다. 일본의 호기적 발효차로는 곰팡이류를 발효 군주로 사용하고, 토야마(富山)가 주요 산지인 흑차가 있으며, 혐기적 발효차로는 혐기성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Anaerobe)를 발효 균주로 사용하고 주요산지가 아와(阿波)인 번차가 있다. 또한, 혐·호기적 발효차로는 혐기성 곰팡이류(Fungi Anaerobe)를 발효균주로 사용하고 주요산지가 이시즈치(石鎚)인 흑차가 있다.
이들 후발효차에는 항돌연변이, 항균작용, 심장병 유발 억제 효과, 갈증해소, 소화증진, 그리고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보이차로부터 캠퍼롤(kaempferol), 퀘르세틴(quercetin), 그리고 미리세틴(myricetin) 등을 포함한 11종의 페놀성 화합물들이 동정되었다. 후발효차로부터 동정된 미생물로는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속(A. glaucus, A. niger), 페니실리움(Penicillium) 속의 곰팡이와 칸디다(Candida) 속의 효모 등이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의 음용 안전성에 관한 연구도 보고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차의 대부분은 비 발효차인 녹차이며 발효차나 후 발효차는 녹차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녹차의 폴리페놀(polyphenol)류는 카테킨(catechin)으로 알려진 플라보놀(flavonol)류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강한 산화력을 나타내며, 폴리페놀류가 녹차 건조 중량의 약 30%로 보고되어 있다.
비 발효차는 녹차로써 제다의 첫 단계에서 가열에 의해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차의 카테킨류의 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엽록소인 클로로필이 녹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발효차의 경우에는 찻잎에 존재하는 효소 반응을 이용하므로 효소 발효차라고도 불린다. 발효 과정에서 카테킨류가 테아플라빈(teaflavin)류로 변화하여 고급지방산이 산화 분해하여 카보닐 화합물의 생성이 증가된다. 이 과정에서 산화효소의 작용에 따라 산화 중합물들이 생성되어 짐에 따라 차의 향과 맛의 차이가 발생하고, 생성물의 체내 생리활성 작용에도 차이가 있다.
한편, 침향은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팔꽃나무과 침향나무에서 천연적으로 분비된 수지가 침착하여 침향나무의 심재부위에 조직학적으로 단단한 덩어리 모양을 이루고 있는 부문으로, 침향은 의복이나 물건에 향기가 스며들게 하고 또 이것을 태우면 향기를 내며 옛날부터 가장 귀한 향중에 하나로 애용되었고, 한방에서는 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진정, 통기 작용이 있으며, 소화불량, 식욕부진, 구토, 기관지 천식, 조루 및 정력 부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침향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 시 적절하게 침향을 첨가하여 그 향과 맛이 부드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하며, 꽃차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부드러운 맛을 내어, 꽃의 향을 극대화함에 따라 기호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KR 10-2010-0072401 B1 KR 10-2019-004826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침향 발효액을 이용하여, 침향이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꽃과 조화시켜 향과 맛이 강화된 발효 꽃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침향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성질을 높이면서 침향의 향과 맛을 이용한 차(茶)의 기술적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발효 꽃 추출물은 꽃을 침향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것이다.
상기 꽃은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매화 꽃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차(茶)는 상기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침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침향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침향 발효액을 꽃에 분사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침향 발효액이 분사된 꽃을 발효 숙성하여 발효 꽃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침향 추출물은 a) 침향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침향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침지된 침향을 초음파로 추출하는 초음파 추출단계; 를 포함하여 추출된다.
상기 2) 단계의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락토바실러스 케피르, 락토코코스 락티스, 락토코코스 플랜타룸,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 엔테로코코스파 에칼리스,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 류코노스톡락티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비피도바테리움 롱굼,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4) 단계의 꽃은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매화 꽃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발효차"는 발효된 상태의 차(tea)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차 원료 또는 발효의 정도에 따른 차이를 모두 포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차 추출물은 꽃에 침향 추출물을 이용한 침향 발효액을 분사시켜 제조된다. 상기 침향 발효액을 직접 배양 및 꽃 차에 분사시켜 발효과정을 컨트롤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하고, 원하는 양 및 종류의 발효 꽃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발효 꽃 추출물은 꽃을 침향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것이다.
침향나무(Aquilaria agallocha Roxb.)는 인도, 베트남, 라오스, 중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팥꽃나무과 (Thymelaeaceae) 아킬라리아속(Aquilaria)의 상록교목으로, 학명은 Aquilaria agallocha Roxburgh이다. 침향나무는 상처가 나거나 세균, 곰팡이가 침입하였을 때 방어 작용으로 수지성분을 생성하며, 이 수지 성분이 침착된 수간목이 침향이다.
침향(沈香)이란 가라앉을 沈, 향기 香으로 물에 가라앉고 향기가 진하다는 이름으로 열대나무 아퀼라리아(Aquilaria)에서 나오는 나무기름을 말한다. 침향은 침향나무가 성장과정에서 각종 박테리아의 침투나 외부로부터의 충격 손상 또는 벌레들의 침입 등으로 인해 상처가 생겼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병균이 침투한 곳과 상처가 난 곳의 확산 및 처방을 위해 자국적 조치로 만들어낸 진액으로 상처 부위에 모인 수년에서 수천년에 걸쳐 응결된 덩어리이다.
천년간 나무기름이 자기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들어낸 침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성분은 정유로서 벤질아세톤, P-메토실 벤질아세톤 등이 알려져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진정작용이 인정되고 있으며, 달인 물은 결핵균을 완전히 억제시키고, 티프스균·적리균에 대해서도 강력한 작용을 한다.
예로부터 향(香) 중에는 침향을 으뜸으로 여겨 부처님과 신령님께 바치는 최고의 향으로 쳤다. 스님들이 허리주머니에 침향 통을 매달고 다니면 사귀의 침범을 막는다고 사용해 왔다. 침향은 기를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 하며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고 구토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어 각종 향으로 개발을 해왔으며, 비위가 허약하고 차서 일어나는 통증과 소화불량, 식욕부진, 수족냉증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그 향기가 은은하고 맑아서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들에게 집중력 향상과 정신적 이완효과를 주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효능을 가진 침향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 시 그 향과 맛이 우수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꽃은 아카시아 꽃(Robinia pseudoacacia flower), 국화 꽃(Compositae flower), 장미 꽃(Rose), 매화 꽃(Prunus mume flower)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아카시아 꽃(Robinia pseudoacacia flower)은 아까시나무의 꽃으로, 아까시나무는 콩아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의 온화한 지역에 분포한다. 아카시아 나무의 꽃은 흰색이고, 강한 향기가 나며 식용이 가능하다. 꽃이 여러 개가 모여 꽃대에 주렁주렁 자라는데, 이 길이가 8 내지 20cm로, 열매는 5 내지 10cm의 꼬투리와 꼬투리 안의 씨앗 4 내지 10 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국화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꽃의 크기에 따라 대국, 중국, 소국으로 나누어지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계절별 국화로 구분된다. 국화는 식약처에서 지정한 식용 가능한 꽃으로 국화주, 국화전, 국화차 등 식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국화 꽃의 주요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luteolin, apigenin, apignin 7-O-β-D-glucoside 및 luteolin 7-O-β-D-glucoside 등이, sequiterpene lactone 화합물인 cu-mambrin A, cumambrin B, arteglasin A 및 angeloyljadin 등이 알려져 있다. 국화는 전통식품의 기능성 소재로서 위장, 감기, 두통, 현기증, 고혈압 등에 유효하며, 바이러스 억제효과, 항균활성 및 항암활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국화 지상부에서 항 곰팡이 활성, 항궤양 활성 및 면역증진활성 등이 보고되어 국화 꽃 및 잎은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상기 장미(Rose)는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을 일컫는 것으로, 동양의학에서 장미는 갱년기 여성의 심리적, 육체적 불안감 및 우울감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학계에서도 항산화 효과, 항 알러지 효과 등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고, 장미의 다양한 색상을 내는 안토시아닌과 베타카로틴 성분은 활성산소 제거, 콜라겐 형성 촉진 효과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알려져 있다.
또한, 장미 꽃잎에는 비타민E 및 K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 재생에 효과적이고 유해환경이나 화장으로 지친 피부에 생기를 부여해 주며, 항염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장미 꽃잎에는 100g당 비타민 C가 레몬보다 17배나 더 함유되어 있고 토마토와 당근에 다량 함유된 베타카로틴인 비타민 A도 토마토보다 20배나 함유되어 있다. 약리 효과로서, 락톤(Lacton)은 혈관확장효과를 가지고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흥분작용을 가지며, 기타 효과로는 위장의 효소를 증가시키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강신작용, 혈압저하작용 및 콜레스테롤치 저하작용 등을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장미는 다른 꽃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항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한데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장미의 향기는 심신의 피로를 회복시키며, 신장을 강하게 하여 밝고 유쾌한 기분을 갖게 해주고,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며 긴장을 풀어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장미 꽃은 차의 형태로 제조하여 차로 음용하거나, 다른 허브의 블렌드 용으로도 흔히 사용되며, 장미꽃 자체를 음식에 넣어 섭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유의 떫은 맛으로 인해 대중화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꽃잎차의 특성 상 유통 과정에서 색상이 변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매실나무(梅實, 학명: Prunus mume)는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매화나무(梅花-)라고도 한다. 꽃은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고, 매화 꽃(Prunus mume flower)은이라 한다. 매화 꽃은일찍 핀다고 하여 조매, 추운 겨울에 핀다고 하여 동매, 한매, 눈 속에 꽃이 핀다고 하여 설중매, 설중군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열매는 6~7월에 동그랗게 익는다. 열매를 매실이라 하여 먹는다. 꽃말은 충실이다. 매실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의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효 꽃 조성물은 상기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에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분사시켜, 발효 숙성을 진행하는 것으로,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 각각의 고유 텁텁한 맛을 완화시키고, 침향 발효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향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기호도 높은 맛과 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꽃은 상기 아카시아 꽃 100 중량부에 대해, 국화 꽃 100 중량부, 장미 꽃 100 중량부 및 매화 꽃 100 중량부로 혼합되는 꽃 혼합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용 가능한 꽃을 혼합하여 포함하는 경우, 새로운 풍미가 생성되어 기호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차(茶)는 상기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꽃 차(茶)는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발효 꽃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로는 설탕, 설탕, 포도당, 물엿, 과당, 맥아당, 꿀, 프럭토올리고당, 이소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D-크실로오스(D-xylose), 소르비톨, D-소르비톨, 말티톨, 만니톨, 에리트리톨, 자이리톨, 글리실리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아세설팜칼륨, 사카린, 아스파탐, 사이클라메이트 및 수크랄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그의 효소처리당을 첨가하는 당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물로 테아닌,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DL-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DL-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DL-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및 타우린으로 이루어진 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미노산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차(茶)는 마시는 방법에 따라 티백형 및 분말형으로 나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한 없이 섭취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침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침향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침향 발효액을 꽃에 분사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침향 발효액이 분사된 꽃을 발효 숙성하여 발효 꽃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4) 단계 이후,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꽃 발효 시, 꽃의 색상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1) 단계는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침향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이며, 침향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성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1) 단계의 침향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침향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침향을 분쇄하는 단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침향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침향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추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 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향 추출물은 a) 침향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침향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침지된 침향을 초음파로 추출하는 초음파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추출된다.
상기 초음파 추출단계는 침향 성분 중에 물에 녹는 수용액 성분 및 에틸알콜에 녹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유효성분이 증대된 침향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단계는 침향 성분 중에 물에 녹는 수용액 성분을 추출하는 수침지 초음파 추출단계 및 침향 성분 중에 에틸알콜에 녹는 성분을 추출하는 주정 침지 초음파 추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고경도 미네랄 워터, 정제수, 발효 주정 및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고경도 미네랄 워터의 경도는 100,000 내지 380,000 mg/L로, 경도는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 2가 금속 이온의 함량에 대응하는 CaCO3의 양으로서 mg/L 단위로 표시된다.
상기 고경도 미네랄 워터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는 경우, 침향 추출물의 유효한 기능성 성분과 다량의 이온화 미네랄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섭취가 가능할 정도로 경도 값이 낮기 때문에 음료 혹은 차로 제품화될 수 있다.
특히, 저온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단기간 내에 파이토케미칼 함량이 높고,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는 침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침향의 유효성분이 변취,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상수도물을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역삼투압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한 물이며, 칼슘(Ca), 마그네슘(Mg), 구리(Cu), 철(Fe) 등의 금속 염류를 포함하지 않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발효 주정은 석유나 석탄에서 추출한 에탄올이 아니고, 전분질(곡류, 고구마, 타피오카) 또는 당질(사탕) 원료를 당화효소를 투입해 발효시킨 후 연속식 증류방식으로 증류해서 만들어지는데 한국에서는 주로 희석식 소주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수침지 초음파 추출단계는 추출 용매로 미네랄 워터를 사용하며, 주정침지 초음파 추출단계는 추출 용매로 발효 주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후 침향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여과 후 상기 추출 용매로 사용한 미네랄 워터 및 발효 주정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2) 단계는 상기 침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침향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1) 단계에서 제조된 침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침향 발효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침향 발효액은 본 발명의 4) 단계의 꽃에 분사시켜 발효 숙성 과정에서 발효 효율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발효 꽃에 침향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다.
특히, 미생물만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꽃을 발효 꽃 조성물로 제공할 때와 비교하여 침향 발효액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꽃을 발효 꽃 조성물로 제공하는 경우, 기호도가 높은 발효 꽃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의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 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유산균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유산(lactic acid)를 생성하며, 소비되는 당의 50% 이상을 대사 생산물로 생성하지 않고 부패를 방지하는 유익균이다. 유산균은 그람 양성균으로 통성 혐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이며 운동성은 없고 대부분이 카탈라아제 음성이며 생육에는 각종 비타민, 아미노산, 펩티드 등을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의 섭취는 장내 미생물들이 음식물의 소화, 흡수, 분해와 배설 등을 돕는 유익균의 증가를 유도하여 소화작용을 도와 소화기계 질환에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유산균 발효를 통한 유용 물질의 합성에 의한 영양 및 건강 증진 효과가 있으며, 정장 작용, 면역증강 작용, 간경화 개선, 항암 작용, 피부미용 효과 등 영양학적인 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EM(Effective Micro-organism)은 유용미생물군으로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인간과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 80여 종을 조합하고 배양하여 만든 것이다. EM은 항산화력, 소생력, 정화력이 있어 자연을 소생시키고 생활 터전을 청결하고 쾌적하게 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EM은 광합성세균(이산화탄소와 수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 유산균(당분을 유산균으로 강력한 살균작용으로 유해균 증식억제), 효모(술과 빵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발효를 돕고 비타민류와 생리활성물질을 생산)이며 서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80%는 기회주의적 성격을 가지는 해바라기균이다. 지구상의 나쁜 미생물의 수가 증가하면 그들의 성격을 띠어 부패나 오염에 가담하게 되고, 유익한 미생물의 수가 많은 환경에 처하게 되면 유익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 해바라기균이다. EM은 해바라기균들을 유익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은 상기 미생물을 본 발명의 침향 추출물에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기능성 강화 특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생체이용율이 높은 유용성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향 추출물 발효 시, 설탕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기능성 강화 특성 및 생체 이용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침향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2) 단계의 미생물은 상기 미생물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범위에 제한 없이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3) 단계는 상기 침향 발효액을 꽃에 분사시키는 단계로, 꽃 고유의 텁텁한 맛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침향 발효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향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기호도 높은 맛과 향으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기호도가 우수한 발효 꽃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꽃은 a) 꽃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한 꽃을 덖음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덖은 꽃을 유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꽃을 건조하는 단계는 수분 함량이 10 중량 % 미만 포함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후 덖음 과정을 진행할 때 꽃의 수분 함량을 줄여, 덖음 과정의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한 꽃을 덖음 처리하는 단계는 꽃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꽃이 포함하고 있는 독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덖은 꽃을 유념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덖음 처리하는 단계 이후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덖은 꽃을 비비는 단계이며, 5 내지 10분 동안 덖은 꽃을 비벼주는 단계이다.
상기 유념 처리하는 단계를 진행함에 따라, 꽃이 본래 가지고 있는 향을 더욱 풍부하게 느낄 수 있게 해줄 수 있으며, 동시에 꽃 잎의 세포막을 파괴시켜 꽃 차(茶)로 제공 시, 꽃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차(茶)에 잘 우러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4) 단계는 상기 침향 발효액이 분사된 꽃을 숙성하여 발효 꽃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유념 처리된 꽃을 발효 용기에 넣고, 침향 발효액을 분사시켜 발효 숙성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침향 발효액은 꽃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발효 숙성 공정은 30℃ 내지 40℃에서 발효 숙성 공정을 진행하며, 발효기 재료에 따라 4시간 내지 10일 정도 숙성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숙성 공정은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침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침향 발효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향의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꽃 만을 이용하여 발효 꽃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비해, 기호도가 높은 발효 꽃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식품을 발효하면 고분자 물질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어 소화 흡수율을 높이고, 새로운 풍미 생성으로 기호성이 증대되며, 생리활성을 갖는 성분이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숙성 단계는 꽃 고유의 맛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기호도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꽃은 가는잎개별 꽃(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민둥제비 꽃(Viola phalacrocarpa f. glaberrima F. Maek. ex H. Hara) 및 좀부처 꽃(Ammannia multiflora Roxb)을 더 포함하여 꽃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는잎개별 꽃(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은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5cm 정도이며, 잎은 가는 실 모양으로 어긋난다. 5 내지 7월에 흰 꽃이 긴 꽃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를 맺는다.
상기 민둥제비 꽃(Viola phalacrocarpa f. glaberrima F. Maek. ex H. Hara) 은 제비꽃속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5 내지 10cm 정도이며, 잎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길이 1 내지 3 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꽃은 홍자색이고 꽃받침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 내지 7mm로서 끝이 둔하고 부속체는 삼각형이다. 꽃잎은 길이 10 내지 13이고, 거는 길이 6 내지 8cm이다.
상기 좀부처 꽃(Ammannia multiflora Roxb)은 좀부터꽃속의 1년생 초본으로, 햇볕이 쬐는 습지에서 자란다. 잎은 교호로 마주나기하며, 수평으로 퍼지고 넓은 선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 길이는 2.5 내지 5cm이다. 꽃은 9 내지 10월에 피고, 흰색이며 지름 1.5mm정도로서 옆겨드랑이에 몇 개씩 모여 달린다.
상기 꽃 혼합물은 상기 아카시아 꽃 100 중량부에 대해, 국화 꽃 100 중량부, 장미 꽃 100 중량부 및 매화 꽃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가는잎개별 꽃 20 내지 40 중량부, 민둥제비 꽃 20 내지 40 중량부 및 좀부처 꽃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발효 꽃 조성물은 상기 아카시아 꽃 100 중량부에 대해, 국화 꽃 100 중량부, 장미 꽃 100 중량부, 매화 꽃 100 중량부, 가는잎개별 꽃 20 내지 40 중량부, 민둥제비 꽃 20 내지 40 중량부, 좀부처 꽃 20 내지 40 중량부 및 침향 발효액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침향 발효액에 포함되는 침향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촉진되어 발효 꽃 조성물의 맛과 향이 향상되며, 꽃의 향을 극대화함에 따라, 상기 범위에 따라 제조된 발효 꽃 조성물은 그 향과 맛이 부드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침향 발효액 이용하여, 침향이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꽃과 조화시켜 향과 맛이 강화된 발효 꽃 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 침향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성질을 높이면서 침향의 향과 맛을 이용한 차(茶)의 기술적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꽃 조성물의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꽃 조성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침향 발효액의 제조]
1. 침향 추출물의 제조
침향 30g을 고속 분쇄기로 30초 동작시켜 침향을 분쇄하였다. 분쇄한 침향을 알코올 80℃의 발효 주정 330ml에 넣어 초음파 추출기로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주정침지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여, 주정침지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알코올로 추출하고 남은 침향을 경도 200 내지 2.000의 고경도 미네랄워터 300ml에 넣어 초음파 추출기로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침지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여, 수침지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주정침지 침향 추출물 및 수침지 침향 추출물을 혼합한 침향 혼합 추출물 600ml를 저온 진공 농축기를 사용하여 알코올 200ml을 증발시켜 제거한 후, 400ml의 침향 추출물(AE)로 제조하였다.
2. 침향 발효액의 제조
상기 침향 추출물(AE)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Lactobacillus rhamnosus) 접종 및 설탕을 첨가 후 35℃에 발효기에서 1주간 발효시킨 뒤 여과지(Qualitive Filter Papers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 상태로 수득하여 침향 발효액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꽃 혼합물의 제조]
1. 아카시아 꽃의 준비
아카시아 꽃을 소금물에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수분 함량이 10 중량 % 미만으로 포함하도록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한 아카시아 꽃을 덖음기에 넣고, 100 내지 200℃에서 5 내지 10분 동안 덖음 처리 후, 상기 덖은 아카시아 꽃은 5 내지 10분 동아 비벼주는 유념 처리를 진행하여 아카시아 꽃(RF)을 준비하였다.
2. 기타 꽃의 준비
상기 아카시아 꽃(RF)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 후 덖음 처리 후 유념 처리를 진행하여, 국화 꽃(CF), 장미 꽃(OF), 매화 꽃(UF), 가는잎개별 꽃(PF), 민둥제비 꽃(VF) 및 좀부처 꽃(AF)을 준비하였다.
3. 꽃 혼합물의 제조
상기 준비된 아카시아 꽃(RF), 국화 꽃(CF), 장미 꽃(OF), 매화 꽃(UF), 가는잎개별 꽃(PF), 민둥제비 꽃(VF) 및 좀부처 꽃(AF)은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 내로 혼합(FM1 내지 FM9)하였다.
FM1 FM2 FM3 FM4 FM5 FM6 FM7 FM8 FM9
RF 100 - - - 100 100 100 100 100
CF - 100 - - 100 100 100 100 100
OF - - 100 - 100 100 100 100 100
UF - - - 100 100 100 100 100 100
PF - - - - - 10 20 40 50
VF - - - - - 10 20 40 50
AF - - - - - 10 20 40 50
(단위: 중량부)
[제조예 3: 발효 꽃 조성물의 제조]
1. 발효 꽃 조성물의 제조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준비된 아카시아 꽃(RF, FM1)을 발효 용기에 넣은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침향 발효액을 하기 표 2와 같은 중량 범위 내로 분사시켜 혼합하였다.
FRC1 FRC2 FRC3 FRC4 FRC5
침향 발효액 - 5 10 20 25
RF(FM1) 100 100 100 100 100
(단위: 중량부)
이 후, 상기 발효 용기는 30 내지 40℃에서 4시간 내지 10일 동안 숙성시킨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 내지 50℃에서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발효 국화 꽃 조성물의 제조
아카시아 꽃(RF, FM1) 대신 국화 꽃(CF, FM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FRC1 내지 FRC5)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국화 꽃 조성물(FCC1 내지 FCC5)을 제조하였다.
발효 장미 꽃 조성물의 제조
아카시아 꽃(RF, FM1) 대신 장미 꽃(OF, FM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FRC1 내지 FRC5)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장미 꽃 조성물(FOC1 내지 FOC5)을 제조하였다.
발효 매화 꽃 조성물의 제조
아카시아 꽃(RF, FM1) 대신 매화 꽃(UF, FM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FRC1 내지 FRC5)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매화 꽃 조성물(FUC1 내지 FUC5)을 제조하였다.
발효 꽃 혼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을 혼합한 FM5와 상기 FM5에 가는잎개별 꽃(PF), 민둥제비 꽃(VF) 및 좀부처 꽃(AF)을 더 포함한 FM6 내지 FM9를 상기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침향 발효액을 20 중량부씩 혼합하여 발효 꽃 혼합 조성물 (FFM1 내지 FFM5)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발효 꽃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1. 총 페놀화합물 함량 측정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FRC1 내지 FRC5), 발효 국화 꽃 추출물(FCC1 내지 FCC5), 발효 장미 꽃 추출물(FOC1 내지 FOC5) 및 발효 매화 꽃 추출물(FUC1 내지 FUC5)을 1 ㎎/㎖로 각각 조제한 후, 이 시료액 1 ㎖에 증류수 3 ㎖를 넣고 Folin & Ciocalteu's 페놀 시약 1 ㎖를 첨가한 후 27℃ 쉐이킹배스(shaking bath)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 ㎖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 nm에서 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카테킨(catechin), 탄닌산(tann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화하여, 총 페놀화합물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향 발효액을 포함하는 않은 FRC1, FCC1, FOC1 및 FUC1의 발효 꽃 조성물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침향 발효액을 20 중량부씩 포함하는 FRC4, FCC4, FOC4 및 FUC4의 발효 꽃 조성물이 가장 높은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발효 아카시아 꽃 조성물(FRC1 내지 FRC5), 발효 국화 꽃 추출물(FCC1 내지 FCC5), 발효 장미 꽃 추출물(FOC1 내지 FOC5) 및 발효 매화 꽃 추출물(FUC1 내지 FUC5)을 각 0.1 g에 75% 메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추출한 다음이 검액 1.0 ㎖를 시험관에 취하고 10 ㎖의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 NaOH 0.1 ㎖를 잘 혼합시켜 37℃의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50% 메탄올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나린진 (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향 발효액을 포함하는 않은 FRC1, FCC1, FOC1 및 FUC1의 발효 꽃 조성물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침향 발효액을 20 중량부씩 포함하는 FRC4, FCC4, FOC4 및 FUC4의 발효 꽃 조성물이 가장 높은 폴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2. 발효 꽃 혼합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상기 총 페놀화합물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꽃 혼합 조성물 (FFM1 내지 FFM5)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FM1 FFM2 FFM3 FFM4 FFM5
총 페놀화합물 함량 125±0.8 127±0.2 127±1.4 130±1.3 101±1.1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8.9±0.7 9.0±0.3 9.3±0.3 9.8±0.7 9.2±0.2
(단위: mg/kg)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이 혼합된 FM5에 침향 발효액 20 중량부를 혼합한 발효 꽃 혼합물(FFM1)의 경우,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을 각각 사용하는 발효 꽃 조성물(FRC4, FCC4, FOC4 및 FUC4)에 비해, 높은 총 페놀화합물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을 혼합한 후, 가는잎개별 꽃, 민둥제비 꽃 및 좀부처 꽃을 더 포함하여 발효된 발효 꽃 혼합 조성물 FFM2 내지 FFM5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FFM4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가장 높은 총 페놀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냄에 따라 우수한 항상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관능성 평가]
상기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발효 꽃 조성물 중 상기 실시예 1에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한 FRC4, RCC4, FOC4, FUC4 및 FFM4에 대해 관능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차(茶)로 제조하였다. 이를 성인남녀 20명에게 제공하여, 색에 대한 외관 평가와 맛, 향에 대한 기호성 평가를 요청하였다.
평가 점수는 각 항목 당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침향 발효액 포함 여부에 따른 비교를 위해, 침향 발효액이 포함되지 않은 FRC1, FCC1, FOC1 및 FUC1를 비교예로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는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매화 꽃 꽃 혼합물
FRC1
(침향X)
FRC4
(침향O)
FCC1
(침향X)
FCC4
(침향O)
FOC1
(침향X)
FOC4
(침향O)
FUC1
(침향X)
FUC4
(침향O)
FFM1 FFM4
2 5 3 6 4 6 4 6 7 7
1 5 3 7 5 6 5 7 7 8
2 5 4 5 5 5 5 7 6 8
종합기호도
(평균)
2.0 5.0 3.0 6.0 5.0 6.0 6.0 7.0 7.0 8.0
(단위: 지수)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아카시아 꽃 차, 국화 꽃 차, 장미 꽃 차 및 매화 꽃 차에 비해,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포함하여 꽃 차를 제조하는 경우, 색의 외관, 맛 및 향의 기호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침향 발효액을 포함함에 따라 침향 발효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호도 높은 맛과 향이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기호도가 우수한 꽃 차로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 각각에 침향 발효액을 포함한 차에 비해, 아카시아 꽃, 국화 꽃, 장미 꽃 및 매화 꽃을 혼합하여 침향 발효액과 제조된 차의 경우 기호도 우수하였으며, 특히 가는잎개별 꽃, 민둥제비 꽃 및 좀부처 꽃을 더 포함하는 차의 경우에는 새로운 풍미 생성으로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발효 꽃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발효 꽃 추출물은 꽃을 침향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것인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은 아카시아꽃, 국화 꽃, 장미 꽃, 매화 꽃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차(茶).
  4. 1) 침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침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침향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침향 발효액을 꽃에 분사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침향 발효액이 분사된 꽃을 발효 숙성하여 발효 꽃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침향 추출물은 a) 침향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침향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침지된 침향을 초음파로 추출하는 초음파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추출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락토바실러스 케피르, 락토코코스 락티스, 락토코코스 플랜타룸,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 엔테로코코스파 에칼리스,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 류코노스톡락티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비피도바테리움 롱굼,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꽃은 아카시아꽃, 국화 꽃, 장미 꽃, 매화 꽃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124420A 2021-09-17 2021-09-17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41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420A KR20230041846A (ko) 2021-09-17 2021-09-17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420A KR20230041846A (ko) 2021-09-17 2021-09-17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846A true KR20230041846A (ko) 2023-03-27

Family

ID=8579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420A KR20230041846A (ko) 2021-09-17 2021-09-17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18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401A (ko) 2008-12-22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이물질 분리장치, 및 이물질 분리방법
KR20190048262A (ko) 2017-10-31 2019-05-09 이승철 화재 검지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401A (ko) 2008-12-22 201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이물질 분리장치, 및 이물질 분리방법
KR20190048262A (ko) 2017-10-31 2019-05-09 이승철 화재 검지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4392A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138B1 (ko)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KR102104175B1 (ko)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93660A1 (ko)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US8524293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ed grape tea-like composition
KR20200066985A (ko)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밀크티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20230041846A (ko) 침향 발효액을 이용한 발효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2253B1 (ko) 찻잎 및 꽃잎이 함유된 커피의 제조방법
KR20140056123A (ko)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711B1 (ko)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U2020273309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Ginseng-Chicken Stew Using Curing Agent
KR102434150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1072882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고장초 농축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장초 농축물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20200039941A (ko) 발효 숙성 노니 열매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용 노니 파우더의 제조방법
KR102185649B1 (ko) 발효 꽃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59058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