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38B1 -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 Google Patents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138B1
KR101448138B1 KR1020120057523A KR20120057523A KR101448138B1 KR 101448138 B1 KR101448138 B1 KR 101448138B1 KR 1020120057523 A KR1020120057523 A KR 1020120057523A KR 20120057523 A KR20120057523 A KR 20120057523A KR 101448138 B1 KR101448138 B1 KR 10144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mulberry leaves
leaves
mulber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192A (ko
Inventor
조자용
이정호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상상팜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상상팜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1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뽕잎 55중량%, 건조 연잎 10중량%, 건조 질경이 10중량%, 건조 비파잎 10중량%, 건조 여주 7중량%, 건조 천마 4중량% 및 건조 사삼 4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열수 추출액 또는 에탄올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제공하는 음료는 누구나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맛이 뛰어나 뽕잎과 한약재가 추출액이 가지는 생리 활성 즉, 항산화 효과, 항당뇨 효과 등의 생리 활성을 거부감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Beverage comprising extract of mulberry leaves and herbs}
본 발명은 발효 뽕잎의 추출액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함유하여 발효 뽕잎과 한약재 추출액이 가지는 생리 활성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발효 뽕잎의 고유 맛을 누구나 쉽게 음용할 수 있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뽕나무는 열대와 온대지방에 걸쳐서 자생하는 자웅이주 또는 자웅동주의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써 약 4,500여 년 전부터 중국에서 양잠의 사료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Bang, 2008). 고대의 원시적 양잠은 산과 들에 자생하고 있는 뽕나무에서 뽕잎을 직접 수확하였으며, 양잠규모가 점차 커짐에 따라 우수한 자생 뽕나무를 집 주변에 옮겨 심었고, 오랜 기간의 재배를 통하여 발견된 우수한 그루를 증식하여 재배 뽕나무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Kim 등, 2005). 우리나라에서는 B.C 1,123년 이후 양잠이 보급되어 누에를 치기 위한 사료로 뽕나무가 재배되어 왔다(Bang, 2008). 최근에는 뽕나무가 누에 사료뿐만 아니라 잎, 가지 및 과실이 식용 및 건강 증진제로 사용되고 있다.
뽕나무는 자양 강장제뿐만 아니라 빈혈, 고혈압, 관절통 및 대머리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Kim 등, 2010). 또 당 및 유기산을 비롯하여 anthocyanin 색소를 다량함유하고 있으며(Gerasopoulos와 Stavroulakis, 1997; Lee 등, 1998), 1-deoxynojirimycin, arylbenzofurans, cyanidin 3-glucoside, cinnamic acid, quercetin 유도체, -aminobutyric acid 및 resveratorls 등의 항당뇨(Asano 등, 1994; Basnet 등, 1993), 항산화(Chon 등, 2009; Shin 등, 2005; Tsuda 등, 1994), 항고혈압(Annapurma 등, 2009; Bowner와 Shelp, 1997), 및 항노화성(Kim 등, 2002) 생리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 웰빙 건강식품으로서 인기가 매우 높다(Kim 등, 2010). 2002년 뽕나무의 국내 재배면적은 약 50ha, 오디 생산량은 100톤이었으나 웰빙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최근 전북 부안과 남원, 전남 장성을 비롯하여 경남 함양, 경북 김천, 상주, 예천, 경주 및 영덕 등을 중심으로 해마다 그 재배 및 생산량이 증가하여 2009년도 재배면적은 약 350ha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뽕 생산과 더불어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가와 상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7979호에서는 뽕나무로부터 채취된 잎을 발효 가공하여 발효뽕잎을 만들고, 뽕나무 가지를 세절후 볶음 처리된 볶음 뽕나무 가지와 혼합한 후 추출하여 액상의 발효뽕잎 상지 음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4979호에서의 음료는 뽕잎과 가지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있어서 음료의 기능성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그 기호성에 있어서도 일반 소비자를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능성이 더더욱 향상되고 맛도 개선된 새로운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효 뽕잎 55중량%, 건조 연잎 10중량%, 건조 질경이 10중량%, 건조 비파잎 10중량%, 건조 여주 7중량%, 건조 천마 4중량% 및 건조 사삼 4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열수 추출액 또는 에탄올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 뽕잎은 증기로 찐 뽕잎을 파쇄한 후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발효균, 특히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제공하는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 추출액 함유하는 음료는 누구나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맛이 뛰어나 뽕잎과 한약재가 추출액이 가지는 생리 활성 즉, 항산화 효과, 항당뇨 효과 등의 생리 활성을 거부감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Ⅰ. 연구방법
1. 발효 뽕잎의 제조
뽕잎은 굵은 줄기를 제거한 잎을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선별된 뽕잎에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한 물로 여러 번 헹구어 깨끗하게 세척하고, 수차례 세척 후 수분을 제거하였다.
세척과 수분 제거가 끝난 뽕잎을 증자기에 넣고 121℃에서 15분간 찐 후 뽕잎을 꺼내 가능한 잡균에 오염되지 않게 무균적으로 절구에 넣고, 잎이 파쇄 되도록 곱게 찧었다. 곱게 파쇄 시킨 잎이 뜨겁지 않게 40℃ 이하로 식힌 후 발효균을 약 1% 정도 접종하고 골고루 잘 섞이게 혼합하였다.
발효균으로는 유산균, 효모, 바실러스균 3종류를 단독으로 각각 사용하여 발효하였다. 발효균을 접종한 뽕잎을 성형판에 넣고 성형시켰으며, 성형된 뽕 잎차는 배양기에 넣고 35℃에서 10일 동안 1차 발효를 시켰다. 1차 발효가 끝난 뽕잎차를 성형판에서 꺼내어 35℃에서 10일 동안 2차 발효를 시킨 후 대나무 꼬지에 끼워 속까지 완전히 건조되도록 하여 자연건조 및 숙성시켰다. 건조가 완전히 끝난 발효차는 한지에 싸서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서 이용하였다.
2. 추출용 혼합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뽕잎에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한약재 중에서 항균 활성과 항당뇨 효과를 증진시키면서 음료의 색깔, 맛, 향기 측면에서 발효 뽕잎만으로 한 음료와 큰 차이를 느끼지 않아 음료수로 이용하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한약재를 선택하여 음료 제조용 혼합물을 제조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건조 연잎, 건조 질경이, 건조 비파잎, 건조 여주, 건조 천마 및 건조 사삼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발효 뽕잎과 한약재들은 발효 뽕잎 55중량%, 건조 연잎 10중량%, 건조 질경이 10중량%, 건조 비파잎 10중량%, 건조 여주 7중량%, 건조 천마 4중량% 및 건조 사삼 4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었다.
3. 시료의 추출
(1) 열수 추출
시료의 추출은 증류수 3L에 잘게 조제한 시료별로 500g을 넣은 다음 100℃에서 30분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60℃에서 3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을 3회 반복하여 냉각한 다음 매회 여과한 여액을 혼합하고 회전진공 농축기로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에탄올 추출
시료의 추출은 엔탄올 3L에 잘게 조제한 시료별로 500g을 넣은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회전진공 농축기로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4.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관능평가 경험이 있는 남녀 10명씩 20명에게 색깔, 향기, 맛을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맛을 평가할 때는 맛을 평가하기 전에 생수로 입을 헹군 다음 실시하였다.
5. 총 페놀화합물 함량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Folin-Denis 방법(Dewanto et al. 2002)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 mL에 증류수 3mL를 첨가하고,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1mL를 첨가한 후 27℃ 진탕 수조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mL를 넣어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nm에서 흡수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준물질 ferul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6.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시료 0.1g에 75% methan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추출한 다음 이 검액 1mL를 시험관에 취하고 10mL의 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 NaOH 0.1mL를 잘 혼합시켜 37의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50% 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Naringin(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tannic acid 기준으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7. 전자공여능
전자공여능 측정은 DPPH(a,a-diphenyl-β-picryl-hydrazyl)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radical)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Blois(1958)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x10-4M DPPH와 농도별 추출액을 각각 100씩 취하여 혼합하고, 30분간 암 상태에서 방치한 후 Elisa Reader(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잔존 라디칼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의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으로 표시하였고, RC50은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으로 나타내었으며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비교하였는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시료를 첨가한 반응구의 흡광도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x 100
8. 아질산염소거 효과
아질산염소거 효과는 Gray 등(1975)의 방법을 준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mM NaNO2 20㎕에 시료의 추출액 40㎕와 0.1N HCl(pH 1.2)을 140㎕ 사용하여 부피를 200㎕로 맞추었다. 이 반응액을 37℃ 항온 수조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2% acetic acid 1000㎕, Griess 시약(30% acetic acid로 조제한 1% sulfanilic acid와 1% 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한 것, 사용 직전에 조제) 80㎕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였다.
아질산엽 소거율(%) ={[1-(1시간 반응 후의 1mM NaNO2의 흡광도-공시험구의 흡광도)]/1NaNO2의 흡광도} x 100
9. 항균활성
균주 는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 Slmonella enterica을 사용하였다. 각 균주 배양은 공시균주의 활성화를 위하여 nutrient broth(NB)에 1 백금이씩 접종한 후 35℃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항균활성은 균액을 4-5mm 두께가 되도록 분주한 nutrient agar(NA) 평판배지에 0.1mL씩 주입하여 균일하게 도말하고, 멸균 paper disk(Φ8mm, Toyo Roshi Kaisha)에 추출액을 1,000mg/mL 액이 되도록 만든 용액을 50㎕/disk를 흡수시킨 다음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aper disk 주위의 clear zone의 전체 직경 [(mm)-paper disk(Φ8mm)]을 측정하였다.
10. Glucose 함량 측정에 의한 내당성 실험
추출액이 글루코스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효소법에 의한 키트 시약(Sigma Co., USA)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추출액과 표준액으로서 글루코스 용액(715mg/dl)을 각각 5씩 넣고 여기에 발색 시약을 1.0ml씩 넣은 다음 잘 혼합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시킨다. 증류수와 glucose의 용액에 발색시약을 넣은 blank를 대조 그룹으로 하여 5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Glucose 함량(mg/dl) = (OD검체/OD표준용액) X 715mg/dl' 의 식에 따라 글루코스 함량을 측정하였다.
Ⅱ. 결과 및 고찰
1. 관능적 특성
음료의 색깔, 맛, 냄새를 조사한 결과 색깔(수색)은 재료에 따른 차이를 크게 보이지 않았다. 맛은 미생물에 의해 발효한 것을 재료로 한 음료는 모두 4.0 이상으로 좋다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나.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것은 3.6으로 좋다 이하를 나타냈다. 냄새는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것이나 발효를 한 것은 모두 4.0 이상으로 좋다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나. 발효를 한 뽕잎에 한약재를 섞은 것을 재료로 한 음료는 3.9를 나타냈다. 이는 한약재 냄새에 따른 관능평가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뽕 음료 재료에 따른 색깔, 맛, 냄새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료 색깔 냄새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뽕잎 4.0±0.2 3.6±0.2 4.2±0.3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 시킨 것 4.3±0.3 4.1±0.1 4.1±0.2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4.2±0.2 4.1±0.2 4.2±0.1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 4.0±0.2 4.0±0.1 4.0±0.2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 4.3±0.2 4.2±0.2 3.9±0.6
5: 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이다. 2: 좋지 않다. 1: 매우 좋지 않다.
2.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음료 재료에 따른 총 페놀함량을 조사한 결과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액 모두 28.7, 37.7mg/L 함량이 많았다. 일반적으로 페놀성 물질은 항암, 혈압강화작용, 피임작용, 간 보호작용, 진경작용, 항산화작용 등 여러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등, 2006).
그러므로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많을수록 기능성 물질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가 있는데, 본 연구 결과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추출액에서 총 페놀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효과가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플라보노이드는 약 4,0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억제작용에 의한 혈관계 질환 개선효과, 간질환 개선효과,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노화 및 질변의 원인이 되는 생체 내에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 등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기능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rtog 1993; Kawaguchi et al).
그런 측면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한 결과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추출액에서 가장 많은 함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
총 페놀 함량(mg/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L)
열수 에탄올 열수 에탄올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뽕잎 21.3 26.1 14.2 15.5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 시킨 것 20.5 19.4 13.8 14.9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16.05 18.9 11.4 11.3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 16.50 29.7 11.5 17.2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 28.7 37.3 17.6 28.4
3. 전자공여능
음료 재료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조사한 결과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산소 라디칼은 동 식물 세포막 구성성분인 인지질을 산화시켜 지질과산화반응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 세포고사를 초래하게 된다(Kellogg & Fridovich 1977). 그 밖에도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은 glutamate 수용체의 과활성 및 흥분성 아미노산의 분비를 유도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낸다(Mattson et al. 1993). 이 때문에 최근 활성산소의 산화적 손상을 제거하는 방법의 하나로 식물에서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약리활성물질을 추출하거나 이용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Heo et al. 2007; Park et al. 2006).
그러한 측면에서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추출액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이것을 음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료
농도(mg/L) DPPH 라디컬 소거능(%)
62 125 250 500 1,000 2,000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뽕잎 6.2 12.3 25.6 48.2 60.1 82.3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 시킨 것 4.4 10.3 21.2 37.7 56.8 79.0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2.2 7.4 15.2 29.3 46.1 76.6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 4.5 10.6 20.6 34.9 50.2 80.6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 10.1 24.5 32.3 44.7 54.3.5 92.5
4. 아질산염 소거능
아질산염은 식품의 가공 및 저장 중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단백성 식품이나 의약품 및 잔류농약 등에 존재하는 2급 및 3급 아민 등의 아민류와 nitrite가 반응하여 강력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NA)의 생성 가능성이 높으며(Peter, 1975; Walker, 1996), 이 N-nitrosamine을 일정농도 이상 섭취하게 되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이 산화되어 메트헤모글로빈을 형성하여 산소 운반능 저하, 무기력, 구토, 설사, 청색증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생성억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Bodansky, 1951; Normington 등, 1986).
그런 점에서 음료 재료에 따른 아질산염 제거 효과를 조사한 결과'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추출액에서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료
아질산염 소거능(% 대조구)
열수 에탄올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뽕잎 10.2 59.8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 시킨 것 13.4 58.5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5.9 62.7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 8.8 63.9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 42.7 89.4
5. 항균활성
뽕잎을 재료로 한 음료 개발 차원에서 뽕잎을 증열 처리한 후 발효 여부와 한약재 첨가에 따른 추출액 1,000mg/L의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증열처리한 하여 건조한 것 및 증열처리 후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시킨 것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은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enterica 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과 한약재를 첨가한 추출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료 저해환정도(항균 활성도)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enterica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뽕잎 - - -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 시킨 것 - - -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 -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 + ++ +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 ++ ++++ ++
5. 내당성 효과
음료 재료에 따른 추출액의 Glucose 함량 측정에 의한 내당성(glucose tolerance test)을 실험한 결과 뽕잎을 발효한 것의 추출액의 glucose 함량은 대조구 712mg dl-1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항당뇨성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은 항당뇨 활성 억제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료 Glucose 함량(mg dl-1)
대조구 712
증열처리하여 건조한 뽕잎 286
뽕잎을 Saccharomyces sp.로 발효 시킨 것 281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272
뽕잎을 Lactobacillus plantarum CHO13으로 발효시킨 것 248
뽕잎을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한약재 첨가물 192
Ⅲ. 결 론
음료 재료에 따른 추출액의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으로 발효시킨 것 + 한약재 첨가물'의 추출액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항균 활성과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음료의 색깔, 맛, 향기 측면에서 발효 뽕잎 차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음료수로 이용하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3)

  1. 발효 뽕잎 55중량%, 건조 연잎 10중량%, 건조 질경이 10중량%, 건조 비파잎 10중량%, 건조 여주 7중량%, 건조 천마 4중량% 및 건조 사삼 4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열수 추출액 또는 에탄올 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뽕잎은
    증기로 찐 뽕잎을 파쇄한 후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발효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균이 Bacillus amyloliquefaciens KCTC 16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KR1020120057523A 2012-05-30 2012-05-30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KR10144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23A KR101448138B1 (ko) 2012-05-30 2012-05-30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23A KR101448138B1 (ko) 2012-05-30 2012-05-30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92A KR20130134192A (ko) 2013-12-10
KR101448138B1 true KR101448138B1 (ko) 2014-10-16

Family

ID=4998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23A KR101448138B1 (ko) 2012-05-30 2012-05-30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96B1 (ko) * 2014-01-09 2015-07-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비파 차 음료 제조방법
CN105942104A (zh) * 2016-06-02 2016-09-21 刘世超 石斛保健饮料
KR102135014B1 (ko) * 2020-05-04 2020-07-16 신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07231B (zh) * 2021-09-28 2024-03-29 广西壮族自治区蚕业技术推广站 桑叶生物饮料的制备方法及产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277A (ko) * 2001-09-21 2003-05-09 류인덕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뽕잎건강식품의 제조방법
JP2005278517A (ja) 2004-03-30 2005-10-13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桑果汁を含む乳酸発酵食品
KR100815851B1 (ko) 2006-09-26 2008-03-24 (주)두루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KR20130007713A (ko) * 2011-07-11 2013-01-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277A (ko) * 2001-09-21 2003-05-09 류인덕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뽕잎건강식품의 제조방법
JP2005278517A (ja) 2004-03-30 2005-10-13 Kumamoto Technology & Industry Foundation 桑果汁を含む乳酸発酵食品
KR100815851B1 (ko) 2006-09-26 2008-03-24 (주)두루 뽕잎과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뽕잎발효사료첨가제 및 그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사육하여 얻어진 오리고기와 닭고기
KR20130007713A (ko) * 2011-07-11 2013-01-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92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8389A (ko)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KR101432584B1 (ko)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증가된 증숙 및 발효된 더덕의 제조방법
KR101448138B1 (ko) 발효 뽕잎과 한약재의 혼합물의 추출액을 포함하는 음료
KR101247927B1 (ko)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409760B1 (ko)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와 엉겅퀴 추출 복합물의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024238B1 (ko) 천마를 주재료로 하는 자연발효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7786A (ko) 연근 발효음료 제조방법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1932A (ko)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이 증진된 산야초 유산발효액
KR101670817B1 (ko) 항산화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오색발효분말 가공품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색발효분말 가공품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1573B1 (ko) 허브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9993B1 (ko)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114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산마늘 및 제조방법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23051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6083B1 (ko) 솔잎 착즙 상징액의 발효액과 비수리 추출물의 혼합액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KR101918890B1 (ko) 빙하설수를 이용한 천연 화분발효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72882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고장초 농축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장초 농축물
KR101870419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 청국장
KR100736834B1 (ko) 함초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KR102181795B1 (ko) 발효 원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발효 원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