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658A - 장척 필름 - Google Patents

장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658A
KR20230041658A KR1020227042968A KR20227042968A KR20230041658A KR 20230041658 A KR20230041658 A KR 20230041658A KR 1020227042968 A KR1020227042968 A KR 1020227042968A KR 20227042968 A KR20227042968 A KR 20227042968A KR 20230041658 A KR20230041658 A KR 2023004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traight
angle
straight lin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히라노
슌스케 타카기
šœ스케 타카기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널부를 갖는 장척 필름으로서; 널부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이, 복수의 직선부와 각부를 포함하는 제1 선군부 및 제2 선군부를 포함하고; 상기의 각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80° ~ 100°의 각도를 갖고; 장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각부의 위치가 다른, 장척 필름.

Description

장척 필름
본 발명은, 널부가 형성된 장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학 필름 등의 필름은, 높은 생산성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긴 장척 필름으로서 제조되고 있었다. 그런데, 필름은 일반적으로 얇으므로, 취급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종래부터,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필름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었다(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7/145718호
통상의 제조시에 있어서, 장척 필름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되면서 각종 처리가 실시된 후에 롤상으로 권취하여 출하된다. 통상, 장척 필름을 권취하여 롤을 얻은 경우, 감아 겹쳐진 장척 필름끼리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기층이 있는 에어리어에서는, 감아 겹쳐진 장척 필름끼리는 비접촉일 수 있다.
공기층이 얇은 경우, 장척 필름끼리가 접촉하여, 서로의 면이 부착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롤 중에서 겹쳐진 장척 필름의 면이 부착되는 현상은, 「블로킹」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롤은, 그 축 방향이 수평이 되는 상태에서 보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롤에는, 당해 롤의 자중에 의해, 축 방향으로 압축하려고 하는 응력이 발생한다. 이 응력에 의해 롤 형상이 변형되어,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얇은 부분이 발생하면, 그 부분에서 블로킹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으로 압축하려고 하는 상기의 응력이 롤에 발생한 경우에, 응력이 커지면, 롤의 둘레면에 좌굴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롤의 「좌굴」이란, 롤이 부분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패임으로써 형성되는 패임을 나타낸다. 이 좌굴은, 감아 겹쳐진 장척 필름끼리의 사이의 공기층이 두꺼운 부분에서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이 좌굴이 발생한 부분에서는, 장척 필름이 변형되어, 주름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로킹 및 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성질을, 장척 필름의 「권회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요철부를 필름에 형성하면, 필름의 권회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권회성의 가일층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권회성이 우수한 장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의 장척 필름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것을 포함한다.
[1] 적어도 일방의 면에, 연속된 선상의 요철부에 의해 만들어진 복수의 널부를 갖는 장척 필름으로서;
상기 널부를 상기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이, 제1 선군부(線群部)와, 제2 선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군부가,
제1 지점부터 제1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각부부터 제2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
상기 제2 각부부터 제3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3 직선부,
상기 제3 각부부터 제4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부,
상기 제4 각부부터 제5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5 직선부,
상기 제5 각부부터 제6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6 직선부,
상기 제6 각부부터 제7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7 직선부, 및
상기 제7 각부부터 제2 지점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8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선군부가,
제3 지점부터 제8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9 직선부,
상기 제8 각부부터 제9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0 직선부,
상기 제9 각부부터 제10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1 직선부,
상기 제10 각부부터 제11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2 직선부,
상기 제11 각부부터 제12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3 직선부,
상기 제12 각부부터 제13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4 직선부,
상기 제13 각부부터 제14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5 직선부, 및
상기 제14 각부부터 제4 지점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6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의 제1 내지 제14 각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80° ~ 100°의 각도를 갖고;
상기 장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각부의 위치가 다른, 장척 필름.
[2] 상기 장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각부 간의 간격의 편차가, 1.00mm 이하인, [1]에 기재된 장척 필름.
[3]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지나는 제1 가상 직선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2 각부, 상기 제4 각부, 및 상기 제6 각부가, 상기 제1 가상 직선 상에 있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을 지나는 제2 가상 직선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9 각부, 상기 제11 각부, 및 상기 제13 각부가, 상기 제2 가상 직선 상에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장척 필름.
[4]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각부를 연결하는 제1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1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 각부가, 상기 제1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2 각부와 상기 제4 각부를 연결하는 제2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2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3 각부가, 상기 제2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4 각부와 상기 제6 각부를 연결하는 제3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3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5 각부가, 상기 제3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6 각부와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제4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4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7 각부가, 상기 제4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9 각부를 연결하는 제5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5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8 각부가, 상기 제5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9 각부와 상기 제11 각부를 연결하는 제6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6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0 각부가, 상기 제6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11 각부와 상기 제13 각부를 연결하는 제7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7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2 각부가, 상기 제7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13 각부와 상기 제4 지점을 연결하는 제8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8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4 각부가, 상기 제8 가상 원 상에 있는,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 필름.
[5] 상기 제1 가상 원 내지 상기 제8 가상 원의 직경이, 동등한, [4]에 기재된 장척 필름.
[6] 상기 제1 선군부와 상기 제2 선군부가, 교차하지 않는,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 필름.
[7] 상기 장척 필름이, 고리형 올레핀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을 구비하는,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권회성이 우수한 장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을, 당해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의 제1 각부의 일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어느 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점(P)이 이동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어느 직선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점(P)이 이동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에 포함되는 선상의 요철부를, 당해 요철부의 연재(延在) 방향과 수직한 면에서 자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 중 하나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널부에 포함되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널부에 포함되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널부의 일례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널부의 다른 일례를,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형성한 널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형성한 널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형성한 널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형성한 널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비교예 1에서 형성된 널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 및 예시물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이란, 폭에 대하여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0배 혹은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롤상으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한다. 장척의 필름의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폭에 대하여 10만배 이하로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에 형성된 널부의 평면 형상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널부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두께 방향」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필름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메타크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어이고,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1. 장척 필름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을, 당해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필름(1)은, 장척의 필름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면(1U)에, 복수의 널부(10)를 갖는다. 이들 복수의 널부(10)는, 통상,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으로 늘어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널부(10)는, 통상,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양방의 단부에 형성된다. 각 널부(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은, 달라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널부(10)의 평면 형상도 동일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널부(10)는, 연속된 선상의 요철부(20)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이들 요철부(20)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요철부(20)는, 레이저광의 조사점이 이동한 흔적으로서, 통상은 일필휘지상으로 연속되는 선으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일필휘지상」이란, 도중에 끊기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선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널부(10)는, 이러한 선상의 요철부(20)에 의해 묘화된 특정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널부(10)를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은,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를 포함한다. 널부(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은,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에 조합하여 임의의 부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널부(10)를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이,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를 접속하는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3에서는, 제1 선군부(10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2 선군부(200),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군부(100)는, 제1 직선부(111), 제2 직선부(112), 제3 직선부(113), 제4 직선부(114), 제5 직선부(115), 제6 직선부(116), 제7 직선부(117), 및 제8 직선부(118)를 포함한다.
제1 직선부(111)는, 제1 지점(121)부터 제1 각부(131)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직선부(111)는, 편방의 끝에 제1 지점(121)을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1 각부(131)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1 지점(121)은, 제1 선군부(100) 상의 지점으로, 통상은 제1 선군부(100)의 단부이다. 제1 각부(131)는,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1 각부(131)는,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각부(131)는, 제1 직선부(111)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2 직선부(112)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1)를 갖는다.
제2 직선부(112)는, 제1 각부(131)부터 제2 각부(132)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직선부(112)는, 편방의 끝에 제1 각부(131)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2 각부(132)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2 각부(132)는, 제2 직선부(112)와 제3 직선부(113)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2 각부(132)는, 제2 직선부(112)와 제3 직선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각부(132)는, 제2 직선부(112)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3 직선부(113)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2)를 갖는다.
제3 직선부(113)는, 제2 각부(132)부터 제3 각부(133)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3 직선부(113)는, 편방의 끝에 제2 각부(132)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3 각부(133)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3 각부(133)는, 제3 직선부(113)와 제4 직선부(114)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3 각부(133)는, 제3 직선부(113)와 제4 직선부(114)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각부(133)는, 제3 직선부(113)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4 직선부(114)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3)를 갖는다.
제4 직선부(114)는, 제3 각부(133)부터 제4 각부(134)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4 직선부(114)는, 편방의 끝에 제3 각부(133)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4 각부(134)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4 각부(134)는, 제4 직선부(114)와 제5 직선부(115)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4 각부(134)는, 제4 직선부(114)와 제5 직선부(115)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각부(134)는, 제4 직선부(114)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5 직선부(115)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4)를 갖는다.
제5 직선부(115)는, 제4 각부(134)부터 제5 각부(135)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5 직선부(115)는, 편방의 끝에 제4 각부(134)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5 각부(135)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5 각부(135)는, 제5 직선부(115)와 제6 직선부(116)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5 각부(135)는, 제5 직선부(115)와 제6 직선부(116)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각부(135)는, 제5 직선부(115)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6 직선부(116)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5)를 갖는다.
제6 직선부(116)는, 제5 각부(135)부터 제6 각부(136)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6 직선부(116)는, 편방의 끝에 제5 각부(135)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6 각부(136)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6 각부(136)는, 제6 직선부(116)와 제7 직선부(117)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6 각부(136)는, 제6 직선부(116)와 제7 직선부(117)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6 각부(136)는, 제6 직선부(116)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7 직선부(117)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6)를 갖는다.
제7 직선부(117)는, 제6 각부(136)부터 제7 각부(137)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7 직선부(117)는, 편방의 끝에 제6 각부(136)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7 각부(137)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7 각부(137)는, 제7 직선부(117)와 제8 직선부(118)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7 각부(137)는, 제7 직선부(117)와 제8 직선부(118)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7 각부(137)는, 제7 직선부(117)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8 직선부(118)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137)를 갖는다.
제8 직선부(118)는, 제7 각부(137)부터 제2 지점(122)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8 직선부(118)는, 편방의 끝에 제7 각부(137)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2 지점(122)을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2 지점(122)은, 제1 선군부(100) 상의 지점으로, 제1 선군부(100)의 단부여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4에서는, 제2 선군부(20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1 선군부(100),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선군부(200)는, 제9 직선부(211), 제10 직선부(212), 제11 직선부(213), 제12 직선부(214), 제13 직선부(215), 제14 직선부(216), 제15 직선부(217), 및 제16 직선부(218)를 포함한다.
제9 직선부(211)는, 제3 지점(221)부터 제8 각부(231)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9 직선부(211)는, 편방의 끝에 제3 지점(221)을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8 각부(231)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3 지점(221)은, 제2 선군부(200) 상의 지점으로, 통상은 제2 선군부(200)의 편방의 단부이다. 제8 각부(231)는, 제9 직선부(211)와 제10 직선부(212)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8 각부(231)는, 제9 직선부(211)와 제10 직선부(212)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8 각부(231)는, 제9 직선부(211)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0 직선부(212)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1)를 갖는다.
제10 직선부(212)는, 제8 각부(231)부터 제9 각부(232)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0 직선부(212)는, 편방의 끝에 제8 각부(231)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9 각부(232)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9 각부(232)는, 제10 직선부(212)와 제11 직선부(213)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9 각부(232)는, 제10 직선부(212)와 제11 직선부(213)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9 각부(232)는, 제10 직선부(212)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1 직선부(213)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2)를 갖는다.
제11 직선부(213)는, 제9 각부(232)부터 제10 각부(233)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1 직선부(213)는, 편방의 끝에 제9 각부(232)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10 각부(233)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10 각부(233)는, 제11 직선부(213)와 제12 직선부(214)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10 각부(233)는, 제11 직선부(213)와 제12 직선부(214)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0 각부(233)는, 제11 직선부(213)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2 직선부(214)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3)를 갖는다.
제12 직선부(214)는, 제10 각부(233)부터 제11 각부(234)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2 직선부(214)는, 편방의 끝에 제10 각부(233)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11 각부(234)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11 각부(234)는, 제12 직선부(214)와 제13 직선부(215)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11 각부(234)는, 제12 직선부(214)와 제13 직선부(215)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1 각부(234)는, 제12 직선부(214)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3 직선부(215)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4)를 갖는다.
제13 직선부(215)는, 제11 각부(234)부터 제12 각부(235)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3 직선부(215)는, 편방의 끝에 제11 각부(234)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12 각부(235)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12 각부(235)는, 제13 직선부(215)와 제14 직선부(216)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12 각부(235)는, 제13 직선부(215)와 제14 직선부(216)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2 각부(235)는, 제13 직선부(215)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4 직선부(216)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5)를 갖는다.
제14 직선부(216)는, 제12 각부(235)부터 제13 각부(236)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4 직선부(216)는, 편방의 끝에 제12 각부(235)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13 각부(236)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13 각부(236)는, 제14 직선부(216)와 제15 직선부(217)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13 각부(236)는, 제14 직선부(216)와 제15 직선부(217)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3 각부(236)는, 제14 직선부(216)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5 직선부(217)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6)를 갖는다.
제15 직선부(217)는, 제13 각부(236)부터 제14 각부(237)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5 직선부(217)는, 편방의 끝에 제13 각부(236)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14 각부(237)를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14 각부(237)는, 제15 직선부(217)와 제16 직선부(218)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이 제14 각부(237)는, 제15 직선부(217)와 제16 직선부(218) 사이에 형성되는 각의 꼭짓점에 상당한다. 따라서, 제14 각부(237)는, 제15 직선부(217)가 연장되는 방향 및 제16 직선부(218)가 연장되는 방향에 따른 각도(θ237)를 갖는다.
제16 직선부(218)는, 제14 각부(237)부터 제4 지점(222)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6 직선부(218)는, 편방의 끝에 제14 각부(237)를 갖고, 다른 편방의 끝에 제4 지점(222)을 갖는 직선상의 선분일 수 있다. 제4 지점(222)은, 제2 선군부(200) 상의 지점으로, 제2 선군부(200)의 편방의 단부여도 된다.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 제2 각부(132)의 각도(θ132), 제3 각부(133)의 각도(θ133), 제4 각부(134)의 각도(θ134), 제5 각부(135)의 각도(θ135), 제6 각부(136)의 각도(θ136), 제7 각부(137)의 각도(θ137), 제8 각부(231)의 각도(θ231), 제9 각부(232)의 각도(θ232), 제10 각부(233)의 각도(θ233), 제11 각부(234)의 각도(θ234), 제12 각부(235)의 각도(θ235), 제13 각부(236)의 각도(θ236), 및 제14 각부(237)의 각도(θ237)는, 각각 독립적으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다. 상기의 특정한 각도 범위는, 통상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고, 또한, 통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9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이하의 범위에 있다. 그 중에서도, 90°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의 각도(θ131 ~ θ137 및 θ231 ~ θ237)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부의 각도」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당해 각부에서 연결되는 2개의 직선부가 교차하는 각도(0° ≤ 각부의 각도 ≤ 180°)를 나타낸다. 각부는, 거시적으로 보면, 뾰족한 각으로 되어 있으나, 미시적으로 보면, 둥그스름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부가 둥그스름한 경우,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에 당해 각부에 있어서 교차하는 2개의 직선부를 연장하고, 연장한 선이 교차하는 각도가, 각부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의 제1 각부(131)의 일례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를 연결하는 제1 각부(131)가 둥그스름한 경우,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에 제1 각부(131)에 있어서 교차하는 2개의 직선부(즉, 제1 직선부(111) 및 제2 직선부(112))를 연장하고, 연장한 선(111a 및 112a)이 교차하는 각도가, 그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를 나타낸다.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가 둥그스름한 경우, 그들 각부(131 ~ 137 및 231 ~ 237)의 곡률 반경(R)은, 특정한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곡률 반경(R)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0mm ~ 0.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mm ~ 0.2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mm ~ 0.1mm이다. 각부의 곡률 반경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각부의 둥그스름한 부분의 곡률 반경(R)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는, 각각, 연속되는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선부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는, 지그재그 형상의 각의 꼭짓점에 상당하는 위치에, 복수의 각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를 포함함으로써, 널부(10)는, 많은 각부를 높은 밀도(단위 면적당의 각부의 개수)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6에서는,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널부(10)를 본 평면 형상은, 제1 선군부(100)의 제1 지점(121)과 제2 선군부(200)의 제4 지점(222)을 접속하는 제1 접속부(300), 및 제1 선군부(100)의 제2 지점(122)과 제2 선군부(200)의 제3 지점(221)을 접속하는 제2 접속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부(300)의 형상에 제한은 없다. 제1 접속부(300)는, 제1 접속부(300)의 형성을 단시간에 행하여 널부(10)의 형성 시간을 단축하는 관점에서, 직선상의 선분부(311, 312, 및 3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점(121)에서 제1 선군부(100)에 연결된 선분부(311)는, 제1 지점(12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부(11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비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직선부(111)와 비평행하게 선분부(311)가 연장되는 경우, 제1 직선부(111)와 선분부(311)가 연결된 제1 지점(121)에는, 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각부의 각도(θ121)는,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의 범위와 동일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점(121)에 형성될 수 있는 각부의 각도(θ121)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4 지점(222)에서 제2 선군부(200)에 연결된 선분부(313)는, 제4 지점(2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선군부(200) 내의 직선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6 직선부(218))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비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4 지점(2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선군부(200) 내의 직선부와 비평행하게 선분부(313)가 연장되는 경우, 상기의 직선부와 선분부(313)가 연결된 제4 지점(222)에는, 각부(도시 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각부의 각도(θ222)(도시 생략)는,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의 범위와 동일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지점(222)에 형성될 수 있는 각부의 각도(θ222)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1 접속부(300)는, 당해 제1 접속부(300)에 포함되는 선분부(311, 312, 및 313)의 연결 부분에 각부(331 및 33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속부(300)가 포함하는 각부(331 및 332)의 각도(θ331 및 θ3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의 범위와 동일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부(331 및 332)의 각도(θ331 및 θ332)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각부(331 및 332)의 각도(θ331 및 θ332)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2 접속부(400)의 형상에 제한은 없다. 제2 접속부(400)는, 제2 접속부(400)의 형성을 단시간에 행하여 널부(10)의 형성 시간을 단축하는 관점에서, 직선상의 선분부(411, 412, 및 4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점(122)에서 제1 선군부(100)에 연결된 선분부(411)는, 제2 지점(1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선군부(100) 내의 직선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제8 직선부(118))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비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지점(12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선군부(100) 내의 직선부와 비평행하게 선분부(411)가 연장되는 경우, 상기의 직선부와 선분부(411)가 연결된 제2 지점(122)에는, 각부(도시 생략)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각부의 각도(θ122)(도시 생략)는,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의 범위와 동일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점(122)에 형성될 수 있는 각부의 각도(θ122)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3 지점(221)에서 제2 선군부(200)에 연결된 선분부(413)는, 제3 지점(22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9 직선부(21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비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9 직선부(211)와 비평행하게 선분부(413)가 연장되는 경우, 제9 직선부(211)와 선분부(413)가 연결된 제3 지점(221)에는, 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각부의 각도(θ221)는,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의 범위와 동일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지점(221)에 형성될 수 있는 각부의 각도(θ221)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2 접속부(400)는, 당해 제2 접속부(400)에 포함되는 선분부(411, 412, 및 413)의 연결 부분에 각부(431 및 43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접속부(400)가 포함하는 각부(431 및 432)의 각도(θ431 및 θ4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의 범위와 동일한 특정한 각도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부(431 및 432)의 각도(θ431 및 θ432)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각부(431 및 432)의 각도(θ431 및 θ432)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에는,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널부(10)와 함께, 폭 방향(TD)으로 연장되는 축(ATD)을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각부(131), 제2 각부(132), 제3 각부(133), 제4 각부(134), 제5 각부(135), 제6 각부(136), 제7 각부(137), 제8 각부(231), 제9 각부(232), 제10 각부(233), 제11 각부(234), 제12 각부(235), 제13 각부(236), 및 제14 각부(237)의 위치는,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 모두 다르다.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가 제1 ~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 이외에, 임의의 각부(예를 들어, 제1 지점(121)의 각부, 제3 지점(221)의 각부 등)를 갖는 경우, 그들 임의의 각부를 포함하여,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가 포함하는 모든 각부의 위치가, 폭 방향(TD)에 있어서, 모두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가 각부(331, 332, 431, 및 432)를 갖는 경우, 그들 각부(331, 332, 431, 및 432)를 포함하여, 널부(10)가 포함하는 모든 각부의 위치가, 폭 방향(TD)에 있어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널부(10)를 갖는 장척 필름(1)은, 권회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우수한 권회성이 얻어지는 메커니즘을, 본 발명자는, 하기와 같이 추찰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하기의 메커니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어느 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점(P)이 이동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어느 직선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사점(P)이 이동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는, 조사점(P)은, 화살표(A1 및 A2)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선상으로 연속되는 요철부(20)를 형성하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광의 조사점(P)을 이동시키면서, 필름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직선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점(P)은 직선상으로 이동한다. 한편, 각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점(P)은, 적절한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이동한다. 구부러지도록 조사점(P)을 이동시킨 경우, 그 이동 방향의 내측 부분에서는, 레이저광의 조사 시간이 길어지므로,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에너지 밀도가 커진다. 따라서, 각부에 있어서는, 요철부(20)의 높이(H)(도 12 참조)가 높아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널부(10)가 포함하는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모두, 90°에 가까운 각도(θ131 ~ θ137 및 θ231 ~ θ237)를 갖는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각부의 각도가 작을수록 당해 각부를 높게 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따라서, 90°에 가까운 각도(θ131 ~ θ137 및 θ231 ~ θ237)를 갖는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충분히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의 각도(θ131 ~ θ137 및 θ231 ~ θ237)는, 90°에 가까운 범위로 맞춰져 있어, 균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높고 또한 균일성이 우수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가,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높고 또한 균일성이 우수한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가, 폭 방향(TD)에 있어서, 널부(10) 중의 넓은 범위에 분포할 수 있다.
장척 필름(1)이 롤상으로 권취된 경우, 각 널부(10)가 장척 필름(1)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감아 겹쳐진 다른 층의 장척 필름(1)에 접촉한다.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가 높으므로, 상기의 접촉의 접촉압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의 높이의 균일성이 양호하고, 또한, 널부(10)의 넓은 범위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접촉압의 균일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아 겹쳐지는 장척 필름(1)끼리의 그립력을 크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롤에 가해지는 응력(예를 들어, 롤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축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상기의 그립력이, 강력 또한 높은 균일성으로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널부(10)를 구비하는 장척 필름(1)을 권취한 롤은, 응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롤에서는, 감아 겹쳐진 장척 필름(1)끼리의 사이의 공기층의 두께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얇은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두꺼운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좌굴의 발생을 억제하여,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블로킹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척 필름(1)에 의하면, 우수한 권회성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각부의 각도가 작을수록 당해 각부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각부의 각도를 90°보다 작은 예각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예각을 갖는 각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무단 형상의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각부를 90°보다 큰 둔각으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부의 각도의 균일성이 저하된다. 또한, 하나의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광의 주사 거리(즉, 레이저광이 처리 전 필름에 닿는 조사점(P)의 이동 거리)가 길어져, 하나의 널부(10)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널부(10)의 밀도(단위 길이당의 널부(10)의 개수)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 그립력이 작아지거나, 그립력의 균일성이 저하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각부(131 ~ 137 및 231 ~ 237)의 각도(θ131 ~ θ137 및 θ231 ~ θ237)를 90°에 가깝게 함으로써, 하나의 널부(10)의 형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짧게 하여 널부(10)의 밀도를 크게 하는 것, 각 각부(131 ~ 137 및 231 ~ 237)를 높게 하는 것, 그리고, 각부(131 ~ 137 및 231 ~ 237)의 각도(θ131 ~ θ137 및 θ231 ~ θ237)의 균일성을 높이는 것을 밸런스 좋게 달성하여, 크고 또한 균일성이 높은 그립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장척 필름(1)의 권취시에 있어서도, 접촉압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접촉압의 균일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감아 겹쳐지는 장척 필름(1)끼리의 그립력을 크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으로의 감기 어긋남을 억제하거나,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으로의 감기 조임 및 감기 느슨함을 억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장척 필름(1)의 반송시에 반송 롤(도시 생략)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는, 반송 롤에 크고 또한 균일한 접촉압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반송 롤에 대한 장척 필름(1)의 그립력(마찰력)을 크고 또한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반송시에 있어서의 장척 필름(1)의 사행을 억제하여, 높은 반송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가,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폭 방향(TD)에 있어서, 제1 ~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 사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D)이 벌어진다. 이 간격(D)은,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각부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간격(D)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이다. 간격(D)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임의의 각부(예를 들어, 제1 지점(121)의 각부, 제3 지점(221)의 각부 등)를 포함한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의 모든 각부 간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간격(D)이,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임의의 각부(예를 들어, 각부(331, 332, 431, 및 432) 등)를 포함한 널부(10)의 모든 각부 간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간격(D)이,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간격(D)은, 불균일해도 되지만, 균일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제1 ~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 간의 간격(D)의 편차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D)의 편차란, 하나의 널부(10)가 갖는 각부 간의 간격(D)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나타낸다. 제1 ~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 간의 간격(D)의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0.00mm ~ 1.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mm ~ 0.5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mm ~ 0.20mm이다. 간격(D)의 편차가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임의의 각부(예를 들어, 제1 지점(121)의 각부, 제3 지점(221)의 각부 등)를 포함한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의 모든 각부 간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간격(D)의 편차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의의 각부(예를 들어, 각부(331, 332, 431, 및 432) 등)를 포함한 널부(10)의 모든 각부 간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간격(D)의 편차가, 상기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동일한 널부(10)에 포함되는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는, 교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는, 다른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가 교차하지 않는 경우, 제1 내지 제14 각부(131 ~ 137 및 231 ~ 237)가 분포하는 범위를 넓힐 수 있으므로,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동일한 널부(10)에 포함되는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는,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상은, 조사점(P)을 왕복시키도록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제1 선군부(100) 및 제2 선군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점(P)의 이동의 왕로에서 제1 선군부(100)를 형성하고, 귀로에서 제2 선군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널부(10)의 요철부(20)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광의 조사 개시 위치와 조사 종료 위치를,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널부(10)를 형성하고 나서 다음의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광의 조사점(P)을 이동시키기 위한 광학계의 조정량(미러의 각도 조정량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널부(10)를 형성하고 나서 다음의 널부(10)를 형성할 때까지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널부(10)의 밀도(단위 길이당의 널부(10)의 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10에서는, 제1 선군부(10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2 선군부(200),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점(121)과 제2 지점(122)을 지나는 제1 가상 직선(140)을, 특정한 굵기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2 각부(132), 제4 각부(134), 및 제6 각부(136)가, 제1 가상 직선(140)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부가 가상 직선 상에 있다」는 것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각부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위치와, 가상 직선의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1 가상 직선(140)의 선의 굵기의 범위는, 요철부(20)의 폭(W)(도 12 참조)의, 바람직하게는 3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이다.
제1 가상 직선(140)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은, 제1 지점(121), 제2 지점(122), 제2 각부(132), 제4 각부(134), 및 제6 각부(136)의 배치의 규칙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점(121), 제2 지점(122), 제2 각부(132), 제4 각부(134), 및 제6 각부(136)가, 제1 가상 직선(140)으로 나타내어지는 일직선 상에 있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 제1 지점(121), 제2 지점(122), 제2 각부(132), 제4 각부(134), 및 제6 각부(136)의 위치에는, 오차가 있어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오차를 포함한 바람직한 정밀도의 범위가, 제1 가상 직선(140)의 선의 굵기로 나타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상 직선(140)의 선의 굵기가 작을수록, 제1 지점(121), 제2 지점(122), 제2 각부(132), 제4 각부(134), 및 제6 각부(136)가, 높은 정밀도로(즉, 작은 오차로) 일직선 상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1 가상 직선(140)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제1 선군부(100)를 갖는 평면 형상을 널부(10)가 갖는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요건을 만족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10)는, 당해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1)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11에서는, 제2 선군부(20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1 선군부(100),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제2 선군부(200)는, 제1 선군부(100)와 마찬가지로, 가상 직선에 관련된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지점(221)과 제4 지점(222)을 지나는 제2 가상 직선(240)을, 특정한 폭의 굵기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9 각부(232), 제11 각부(234), 및 제13 각부(236)가, 제2 가상 직선(240)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상 직선(240)의 선의 굵기의 범위는, 제1 가상 직선(140)의 선의 굵기의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직선(140)의 선의 굵기와, 제2 가상 직선(240)의 선의 굵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2 가상 직선(240)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은, 제1 가상 직선(140)에 관련된 요건과 마찬가지로, 제3 지점(221), 제4 지점(222), 제9 각부(232), 제11 각부(234), 및 제13 각부(236)의 배치의 규칙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제3 지점(221), 제4 지점(222), 제9 각부(232), 제11 각부(234), 및 제13 각부(236)가, 제2 가상 직선(240)의 굵기로 나타내어지는 바람직한 정밀도의 범위에서, 제2 가상 직선(240)으로 나타내어지는 일직선 상에 있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2 가상 직선(240)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제2 선군부(200)를 갖는 평면 형상을 널부(10)가 갖는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요건을 만족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10)는, 당해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점(121)과 제2 각부(132)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1 가상 선분(141)을 상정한다. 또한,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상 선분(141)을 직경으로 하는 제1 가상 원(151)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제1 가상 원(151)은, 제1 가상 선분(141)의 중점을 중심으로 하고, 제1 가상 선분(141)과 동일한 길이의 직경을 갖는 원에 상당한다. 이 경우, 제1 각부(131)가, 제1 가상 원(151)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부가 가상 원 상에 있다」는 것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각부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위치와, 가상 원의 위치(즉, 상기의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된 원주의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1 가상 원(151)의 선의 굵기의 범위는, 요철부(20)의 폭(W)(도 12 참조)의, 바람직하게는 3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이다.
제1 가상 원(151)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은,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를, 직각에 가깝게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에는, 오차가 있어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오차를 포함한 바람직한 정밀도의 범위가, 제1 가상 원(151)의 선의 굵기로 나타내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상 원(151)의 선의 굵기가 작을수록, 제1 각부(131)의 각도(θ131)가, 높은 정밀도로 직각에 가까운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1 선군부(100)에 포함되는 각부 중, 제1 지점(121)으로부터 세었을 때 홀수번째의 다른 각부는, 제1 각부(131)와 마찬가지로, 가상 원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각부(132)와 제4 각부(134)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2 가상 선분(142)을 상정한다. 또한,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상 선분(142)을 직경으로 하는 제2 가상 원(152)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3 각부(133)가, 제2 가상 원(152)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각부(134)와 제6 각부(136)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3 가상 선분(143)을 상정한다. 또한,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가상 선분(143)을 직경으로 하는 제3 가상 원(153)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5 각부(135)가, 제3 가상 원(153)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각부(136)와 제2 지점(122)을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4 가상 선분(144)을 상정한다. 또한,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가상 선분(144)을 직경으로 하는 제4 가상 원(154)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7 각부(137)가, 제4 가상 원(154)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상 원(152)의 선의 굵기의 범위, 제3 가상 원(153)의 선의 굵기의 범위, 및 제4 가상 원(154)의 선의 굵기의 범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가상 원(151)의 선의 굵기의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원(151)의 선의 굵기, 제2 가상 원(152)의 선의 굵기, 제3 가상 원(153)의 선의 굵기, 및 제4 가상 원(154)의 선의 굵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가상 원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제1 선군부(100)를 갖는 평면 형상을 널부(10)가 갖는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요건을 만족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10)는, 당해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제2 선군부(200)는, 제1 선군부(100)와 마찬가지로, 가상 원에 관련된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선군부(200)에 포함되는 각부 중, 제3 지점(221)으로부터 세었을 때 홀수번째의 다른 각부는, 제1 각부(131)와 마찬가지로, 가상 원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지점(221)과 제9 각부(232)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5 가상 선분(241)을 상정한다. 또한, 도 1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가상 선분(241)을 직경으로 하는 제5 가상 원(251)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8 각부(231)가, 제5 가상 원(251)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9 각부(232)와 제11 각부(234)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6 가상 선분(242)을 상정한다. 또한, 도 1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가상 선분(242)을 직경으로 하는 제6 가상 원(252)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0 각부(233)가, 제6 가상 원(252)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각부(234)와 제13 각부(236)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7 가상 선분(243)을 상정한다. 또한, 도 1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7 가상 선분(243)을 직경으로 하는 제7 가상 원(253)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2 각부(235)가, 제7 가상 원(253)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3 각부(236)와 제4 지점(222)을 연결하는 직선상의 제8 가상 선분(244)을 상정한다. 또한, 도 1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8 가상 선분(244)을 직경으로 하는 제8 가상 원(254)을, 특정한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4 각부(237)가, 제8 가상 원(254)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가상 원(251)의 선의 굵기의 범위, 제6 가상 원(252)의 선의 굵기의 범위, 제7 가상 원(253)의 선의 굵기의 범위, 및 제8 가상 원(254)의 선의 굵기의 범위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가상 원(151)의 선의 굵기의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5 가상 원(251)의 선의 굵기, 제6 가상 원(252)의 선의 굵기, 제7 가상 원(253)의 선의 굵기, 및 제8 가상 원(254)의 선의 굵기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가상 원에 관련된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는 제2 선군부(200)를 갖는 평면 형상을 널부(10)가 갖는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요건을 만족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10)는, 당해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가상 원(151 ~ 154 및 251 ~ 254)의 직경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가상 선분(141), 제2 가상 선분(142), 제3 가상 선분(143), 제4 가상 선분(144), 제5 가상 선분(241), 제6 가상 선분(242), 제7 가상 선분(243), 및 제8 가상 선분(244)의 길이는,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요건을 만족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10)는, 당해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널부(10)의 평면 형상은, 무단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선군부(100), 제2 접속부(400), 제2 선군부(200), 및 제1 접속부(300)가 연속해서 고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널부(10)가 무단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무단 형상을 갖는 널부(10)를 레이저광으로 형성하는 경우, 널부(10)의 요철부(20)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광의 조사 개시 위치와 조사 종료 위치를 동일 지점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 조사 개시 위치와 조사 종료 위치를 맞출 수 있으므로, 하나의 널부(10)를 형성하고 나서 다음의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광의 조사점(P)을 이동시키기 위한 광학계의 조정량(미러의 각도 조정량 등)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널부(10)를 형성하고 나서 다음의 널부(10)를 형성할 때까지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널부(10)의 밀도(단위 길이당의 널부(10)의 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널부(10)의 1개당의 길이(LTD)와,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10)의 1개당의 길이(LMD)의 비 LTD/LMD는, 특정한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비 LTD/LMD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비 LTD/LMD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 형상의 붕괴를 억제하면서 널부(10)를 형성하기 쉽다. 상기의 비 LTD/LMD의 상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10)의 1개당의 길이(LMD)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길이(LMD)는,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이다. 길이(LMD)가 작은 경우, 당해 널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부(2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널부(10)를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10)의 밀도를 높게 할 수 있으므로,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길이(LMD)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이다.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널부(10)의 1개당의 길이(LTD)는, 상기의 비 LTD/LMD가 상술한 범위에 들어가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널부(10)의 1개당의 길이(LTD)는, 바람직하게는 3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널부(10)는, 통상, 특정한 피치로,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으로 늘어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널부(10)의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이다. 널부(10)의 피치는, 일정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이 갖는 널부(10)에 포함되는 선상의 요철부(20)를, 당해 요철부(20)의 연재 방향과 수직한 면으로 자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널부(10)를 만드는 요철부(20)는, 오목부(21)와, 오목부(21)의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22)를 구비한다. 통상, 오목부(21)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열용융 또는 어블레이션에 의해, 수지가 제거된 부분에 상당하고, 또한, 볼록부(22)는, 상기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가열되어 유동화된 수지가 솟아오른 부분에 상당한다. 볼록부(22)가, 주위의 장척 필름(1)의 면(1U)보다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이 요철부(20)에 있어서는 장척 필름(1)의 실질적인 두께가 두꺼워져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개선할 수 있다.
요철부(20)의 높이(H)는, 균일해도 되고, 불균일해도 된다. 통상은, 널부(10)의 각부와 직선부에서, 요철부(20)의 높이(H)는 다르다. 또한, 각부에 있어서는, 내측의 볼록부(22)와 외측의 볼록부(22)에서, 그 높이(H)가 다를 수 있다.
널부(10)의 각부에 있어서의 요철부(20)의 평균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μm 이하이다. 각부에 있어서의 요철부(20)의 평균 높이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인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각부에 있어서의 요철부(20)의 평균 높이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권취한 롤의 감기 직경이, 널부(10)가 형성된 부분(예를 들어, 롤의 축 방향 단부)과 그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롤의 축 방향 중앙부)에서 차이가 생기는 것에 의한, 장척 필름(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널부(10)의 직선부에 있어서의 요철부(20)의 평균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μm 이하이다. 직선부에 있어서의 요철부(20)의 평균 높이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인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직선부에 있어서의 요철부(20)의 평균 높이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형상의 붕괴를 억제하면서 널부(1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요철부(20)의 폭(W)은,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μm 이하이다. 요철부(20)의 폭(W)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인 경우, 장척 필름(1)의 권회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20)의 폭(W)이,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형상의 붕괴를 억제하면서 널부(1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장척 필름(1)의 폭 및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사용 목적에 따른 폭 및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장척 필름(1)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70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mm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00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0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0m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0mm 이하이다. 또한, 장척 필름(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하이다.
장척 필름(1)은,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널부(10)가 없는 에어리어에 있어서, 높은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장척 필름(1)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 100%이다. 또한, 상기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장척 필름(1)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0% ~ 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3%,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2%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JIS K7105에 준거하여,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 「탁도계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헤이즈는,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탁도계 「NDH2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2. 장척 필름의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1)을 설명하였으나, 장척 필름은, 더욱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선군부(100)에 포함되는 직선부(111 ~ 118) 및 제2 선군부(200)에 포함되는 직선부(211 ~ 218)의 길이를 균일하게 하였으나, 그들 직선부의 길이를 불균일하게 해도 된다. 이하, 그 예를 나타낸다.
도 13 ~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 필름이 갖는 널부(30) 중 하나를, 상기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제1 접속부(700) 및 제2 접속부(800)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5에서는, 제1 가상 직선(140), 제1 가상 선분(141), 제2 가상 선분(142), 제3 가상 선분(143), 제4 가상 선분(144), 제2 가상 직선(240), 제5 가상 선분(241), 제6 가상 선분(242), 제7 가상 선분(243), 및 제8 가상 선분(244)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5에서는, 제1 가상 원(151), 제2 가상 원(152), 제3 가상 원(153), 제4 가상 원(154), 제5 가상 원(251), 제6 가상 원(252), 제7 가상 원(253), 및 제8 가상 원(254)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3 ~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널부(30)의 평면 형상은, 제1 선군부(500), 제2 선군부(600), 제1 접속부(700), 및 제2 접속부(800)를 포함한다.
제1 선군부(500)는, 당해 제1 선군부(500)가 포함하는 제1 직선부(511) 내지 제8 직선부(518)의 길이가 불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선군부(100)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선군부(500)에 포함되는 직선부(511 ~ 518)는, 각각, 이웃하는 직선부(즉, 각부를 통하여 연결된 직선부)와 다른 길이를 갖고 있다. 도 13 ~ 도 15에서는, 제1 직선부(511), 제3 직선부(513), 제5 직선부(515), 및 제7 직선부(517)의 그룹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또한, 제2 직선부(512), 제4 직선부(514), 제6 직선부(516), 및 제8 직선부(518)의 그룹은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양 그룹 간에서는 길이가 다른 예를 나타낸다.
제2 선군부(600)는, 당해 제2 선군부(600)가 포함하는 제9 직선부(611) 내지 제16 직선부(618)의 길이가 불균일하게 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2 선군부(200)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선군부(600)에 포함되는 직선부(611 ~ 618)는, 각각, 이웃하는 직선부(즉, 각부를 통하여 연결된 직선부)와 다른 길이를 갖고 있다. 도 13 ~ 도 15에서는, 제9 직선부(611), 제11 직선부(613), 제13 직선부(615), 및 제15 직선부(617)의 그룹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또한, 제10 직선부(612), 제12 직선부(614), 제14 직선부(616), 및 제16 직선부(618)의 그룹은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양 그룹 간에서는 길이가 다른 예를 나타낸다.
제1 접속부(700) 및 제2 접속부(800)는, 제1 선군부(500) 및 제2 선군부(600)의 평면 형상에 맞추어,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와는 다른 평면 형상을 갖는다. 단, 이들 제1 접속부(700) 및 제2 접속부(800)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요건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1 선군부(500) 및 제2 선군부(600)를 포함하는 널부(30)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널부(10)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당해 널부(30)의 형성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갖는다. 이 이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널부(10)에 포함되는 제1 직선부(111) 및 제2 직선부(112)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널부(30)에 포함되는 제1 직선부(511) 및 제2 직선부(512)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는, 설명을 위하여, 제1 가상 원(151)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각부(131)가 90°인 경우, 제1 각부(131)는, 제1 가상 원(151) 상에 있다. 제1 가상 원(151)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직선부(111)와 제2 직선부(112)의 합계 길이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다. 한편,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직선부(511)와 제2 직선부(512)의 합계 길이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직선부(511) 및 제2 직선부(512)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직선부(111) 및 제2 직선부(112)와 비교하여, 요철부(20)의 형성을 위한 레이저광의 주사 거리(즉, 레이저광이 처리 전 필름에 닿는 조사점(P)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동일한 것은, 제1 직선부(511) 및 제2 직선부(512) 이외의 직선부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따라서, 불균일한 길이의 직선부(511 ~ 518 및 611 ~ 618)를 갖는 제1 선군부(500) 및 제2 선군부(600)를 포함하는 널부(30)는, 당해 널부(30)를 형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레이저광의 주사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으로의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이웃하는 직선부 중, 상대적으로 긴 직선부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길이(LL)와, 상대적으로 짧은 직선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LS)의 비 LS/LL은, 1/3 또는 그것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긴 제2 직선부(512)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길이(LL)와, 짧은 제1 직선부(511)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길이(LS)의 비 LS/LL이, 1/3 또는 그것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비 LS/LL은,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7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9 이하이다. 비 LS/LL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경우, 장척 필름의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각부 간의 간격(D)의 균일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제1 선군부(100)가 갖는 직선부 및 각부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더 늘려도 된다. 따라서, 제1 선군부(100)는, 9 이상의 직선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8 이상의 각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선군부(200)가 갖는 직선부 및 각부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더 늘려도 된다. 따라서, 제2 선군부(200)는, 9 이상의 직선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8 이상의 각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직선부 및 각부의 수를 늘린 예로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40 및 50)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었으나, 제1 선군부(100)와 제2 선군부(200)는 다른 평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제1 선군부(100)가 갖는 직선부의 수와, 제2 선군부(200)가 갖는 직선부의 수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제1 선군부(100)가 갖는 각부의 수와, 제2 선군부(200)가 갖는 각부의 수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널부(10)는 제1 접속부(300) 및 제2 접속부(400)를 포함하고 있었으나, 널부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지점과, 제3 지점 또는 제4 지점이,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지점과, 제3 지점 또는 제4 지점이,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널부(10)는, 직선부 및 각부에 조합하여, 곡선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 곡선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는 관점에서는, 널부(10)의 평면 형상은, 직선부 및 각부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널부(10)의 평면 형상을, 가상 직선(140 및 240), 그리고, 가상 선분(141 ~ 144 및 241 ~ 244)이 장척 필름(1)의 폭 방향(TD)과 평행해지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들 가상 직선(140 및 240), 그리고, 가상 선분(141 ~ 144 및 241 ~ 244)은, 폭 방향(TD)과 비평행해도 된다. 단, 가상 직선(140 및 240), 그리고, 가상 선분(141 ~ 144 및 241 ~ 244)은, 장척 필름(1)의 길이 방향(MD)과 비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3. 장척 필름의 제조 방법]
상술한 장척 필름은, 예를 들어, 널부가 형성되기 전의 필름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널부가 형성되기 전의 필름을, 적당히 「처리 전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레이저광의 조사는, 통상, 처리 전 필름을 당해 처리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행한다. 처리 전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면, 레이저광이 조사된 장소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열용융 또는 어블레이션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레이저광이 조사된 장소에서는, 처리 전 필름에, 요철부로서의 볼록상의 변형 및 오목상의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광을 사용한 널부의 형성에서는, 기계적인 힘이 불필요하므로, 널부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이 남기 어렵다. 그 때문에, 장척 필름에 있어서의 널부를 기점으로 한 파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처리 전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널부의 형성시에 있어서의 필름 파단을 억제하기 쉽다. 또한, 널부의 형성에 의한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레이저광의 조사시에는, 레이저광이 처리 전 필름에 닿는 조사점(P)(도 8 및 도 9 참조)을, 형성하고 싶은 널부의 평면 형상을 묘화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레이저광의 조사점(P)이 이동한 흔적에 요철부가 형성되므로, 원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광의 조사점(P)을 이동시킬 때, 조사점(P)은, 널부의 평면 형상을, 도중에 선을 끊기게 하지 않고 연속해서 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필휘지). 이에 의해, 하나의 널부를 형성하는 기간, 레이저광을 조사한 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널부의 형상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널부의 안정적인 형성이 가능하다.
레이저광의 조사점(P)의 이동 속도는, 원하는 널부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이동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mm/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m/s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 mm/s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 mm/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0 mm/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 mm/s 이하이다. 레이저광의 조사점(P)의 이동 속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인 경우, 묘화에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널부를 고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조사점(P)의 이동 속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레이저의 광학계에 포함되는 가동 부분(미러 등)의 관성에 의한 오버슈트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형상으로부터의 변형이나, 각부의 둥그스름함을 억제할 수 있다.
레이저광의 조사 장치인 레이저 장치로는, 예를 들어, ArF 엑시머 레이저 장치, KrF 엑시머 레이저 장치, XeCl 엑시머 레이저 장치, YAG 레이저 장치(특히, 제3 고조파 혹은 제4 고조파), YLF 혹은 YVO4의 고체 레이저 장치(특히, 제3 고조파 혹은 제4 고조파), Ti:S 레이저 장치, 반도체 레이저 장치, 파이버 레이저 장치, 및 탄산 가스 레이저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들 레이저 장치 중에서도, 비교적 저렴하고, 또한 필름의 가공에 적합한 출력이 효율적으로 얻어지는 관점에서, 탄산 가스 레이저 장치가 바람직하다.
레이저광의 출력은, 바람직하게는 1W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W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W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0W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W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W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0W 이하이다. 레이저광의 출력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레이저광의 조사량 부족을 억제하여, 널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출력을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필름에 관통공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장척 필름의 조성]
상술한 장척 필름으로는, 통상, 수지 필름을 사용한다. 이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미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수지 필름은, 기재층만을 구비하는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기재층에 조합하여 임의의 층을 더 구비하는 복층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층으로는, 통상, 수지로 형성된 층을 사용한다. 이러한 수지로는, 장척 필름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고리형 올레핀 수지 및 (메트)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을 구비하는 필름은, 일반적으로, 권취시에 공기를 말려들게 하기 쉽고, 그 때문에, 권회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널부를 형성하면, 권회성을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통상은, 감기 어긋남, 감기 조임, 감기 느슨함, 및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기계 특성, 내열성, 투명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및 경량성이 우수하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란, 그 중합체의 구조 단위가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를 나타낸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주쇄 및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2 이상의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의 예로는,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시클로알칸) 구조, 및 불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시클로알켄, 시클로알킨) 구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 강도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시클로알칸 구조 및 시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알칸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는, 하나의 지환식 구조당,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가 이 범위이면, 수지의 기계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이 고도로 밸런스된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에 있어서,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투명성 및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환의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은,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특히 호적하다.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개환 단독 중합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그리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와의 개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의 예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부가 단독 중합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그리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것과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와의 부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화물은, 성형성, 내열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호적하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경우, 수지의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이 고도로 밸런스된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7 이하이다. 분자량 분포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인 경우, 중합체의 생산성을 높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한값 이하인 경우, 저분자 성분의 양이 작아지므로, 고온 노출시의 완화를 억제하여, 필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용매로서 시클로헥산을 사용하여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단, 상기의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시료가 시클로헥산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매로서 톨루엔을 사용해도 된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인 경우, 고온하에서의 필름의 내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의 상한값 이하인 경우, 연신 처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7/145718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에 있어서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 10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 100 중량%이다. 중합체의 비율이 상기 범위인 경우, 충분한 내열성 및 투명성을 얻을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성분의 예를 들면,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 수지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란,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의 중합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강도가 높아 단단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높은 필름을 실현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과, 탄소수 1 ~ 15의 알칸올 또는 시클로알칸올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메트)아크릴산과, 탄소수 1 ~ 8의 알칸올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를 상기와 같이 작게 함으로써, 필름 파단시의 신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i-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i-부틸, 아크릴산 sec-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n-헥실,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n-데실, 아크릴산 n-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i-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i-부틸, 메타크릴산 sec-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메타크릴산 n-헥실, 메타크릴산 n-옥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n-데실, 메타크릴산 n-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예를 들어 수산기, 할로겐 원자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치환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만의 중합체여도 되지만,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와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임의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 그리고,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알케닐 방향족 단량체, 공액 디엔 단량체, 비공액 디엔 단량체, 카르복실산 불포화 알코올 에스테르, 및 올레핀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 중합체가 임의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당해 (메트)아크릴 중합체에 있어서의 임의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이들 (메트)아크릴 중합체 중, 폴리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메트)아크릴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7/145718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 10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 100 중량%이다. 중합체의 비율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는 한, (메트)아크릴 중합체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성분의 예를 들면, 고리형 올레핀 수지가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성분과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기재층은, 수지를 적절한 필름 성형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름 성형법으로는, 예를 들어, 캐스트 성형법,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용융 압출법은, 잔류 휘발 성분량을 효율 좋게 저감시킬 수 있어, 지구 환경 및 작업 환경의 관점, 그리고, 제조 효율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법으로는, 다이스를 사용하는 인플레이션법을 이용해도 되는데, 생산성 및 두께 정밀도가 우수한 점에서, T 다이법이 바람직하다.
장척 필름으로서,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복층 필름은, 기재층 및 기능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은, 기재층의 편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기능층은, 기재층의 널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능층의 표면에 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층으로는, 예를 들어, 대전 방지층, 하드 코트층, 밀착 방지층, 이접착층(易接着層) 등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이란, 작은 표면 저항값을 갖는 층을 말한다. 대전 방지층의 구체적인 표면 저항값은, 바람직하게는 1.0 × 106 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7 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08 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1010 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9 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09 Ω/□ 이하이다. 표면 저항값은, JIS K6911에 준거하여, 디지털 초절연/미소 전류계(히오키 전기사 제조 「DSM-8104」)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층은,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 등의 도전성 입자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이란, 높은 경도를 갖는 층을 말한다. 하드 코트층의 구체적인 경도를 JIS 연필 경도로 나타내면, 바람직하게는 B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HB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H 이상이다. 여기서, JIS 연필 경도는, JIS K5600-5-4에 준거하여, 각종 경도의 연필을 45° 기울여, 위에서 500g중의 하중을 가해 층의 표면을 긁어, 흠집이 나기 시작하는 연필의 경도이다. 이러한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밀착 방지층이란, 거친 표면을 가져, 다른 필름과 겹쳤을 때에 필름 간의 밀착을 억제할 수 있는 층을 말한다. 이러한 밀착 방지층은, 예를 들어, 중합체 및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접착층이란, 당해 이접착층의 표면을 다른 부재와 첩합할 때에 높은 접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층을 말한다. 이러한 이접착층은, 예를 들어,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층 중에서도, 이접착층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은, 수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계 수지란, 물을 매체로 한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조제될 수 있는 수지이다. 수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을 기재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기재층의 표면에 수계 수지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각각의 수지의 에멀션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계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의 기능층으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7/145718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5. 장척 필름의 용도]
장척 필름은,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편광판 보호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술한 장척 필름은,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와 편광판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술한 장척 필름을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편광자에 장척 필름을 첩합하여 사용된다.
장척 필름과 편광자를 첩합할 때, 접착제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장척 필름과 편광자를 첩합해도 되고,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해도 된다. 또한,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만 장척 필름을 첩합해도 되고, 양방의 면에 첩합해도 된다.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만 장척 필름을 첩합하는 경우, 편광자의 타방의 면에는, 투명성이 높은 다른 필름을 첩합해도 된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혹은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킨 후, 붕산욕 중에서 1축 연신함으로써 제조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혹은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켜 연신하고, 또한 분자쇄 중의 폴리비닐알코올 단위의 일부를 폴리비닐렌 단위로 변성함으로써 제조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로서, 예를 들어, 그리드 편광자, 다층 편광자, 콜레스테릭 액정 편광자 등의, 편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편광자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편광자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 ~ 80μm이다.
장척 필름과 편광자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의 예로는, 수성 접착제, 용제형 접착제, 2액 경화형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수성 접착제와 광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비닐알코올계의 수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7/145718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편광자와 장척 필름을 첩합하는 경우에는, 편광자와 장척 필름을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한 후에,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경화시켜도 된다.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편광자와 장척 필름 사이에는,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이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하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 및 「부」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온 상압 대기 중에 있어서 행하였다.
[평가 방법]
[요철부의 높이의 측정 방법]
장척 필름의 널부의 요철부의 높이는, 삼차원 표면 프로파일러(자이고사 제조 「NewView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부의 곡률 반경의 측정 방법]
장척 필름의 널부의 각 각부의 곡률 반경은, 삼차원 표면 프로파일러(자이고사 제조 「NewView5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기재층의 제조]
고리형 올레핀 수지(닛폰 제온사 제조 「ZEONOR」; 유리 전이 온도 135℃)의 펠릿을, 공기를 유통시킨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70℃에서 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펠릿을, 65mmφ의 스크루를 구비한 수지 용융 혼련기를 갖는 T 다이식 필름 용융 압출 성형기에 공급하고, 용융 수지 온도 270℃, T 다이의 폭 1700mm의 성형 조건으로 압출 성형을 행하여, 장척의 기재층(두께 50μm, 폭 1500mm, 길이 4000m)을 제조하였다.
[처리 전 필름의 제조(이접착층의 형성)]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의 수분산체(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슈퍼플렉스 870」)를 폴리우레탄의 양으로 100 부와,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데나콜 EX313」) 15 부와, 활재로서 실리카 입자의 수분산액(닛산 화학사 제조 「스노우텍스 MP1040」; 평균 입자경 120nm)을 실리카 입자의 양으로 8 부 및 실리카 입자의 수분산액(닛산 화학사 제조 「스노우텍스 XL」; 평균 입자경 50nm)을 실리카 입자의 양으로 8 부와, 젖음제로서 아세틸렌계 계면 활성제(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컬즈사 제조 「서피놀 440」)를 고형분 합계량에 대하여 0.5 중량%와, 물을 배합하여, 고형분 농도 2%의 액상의 수계 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상기의 기재층의 편면에, 상기 수계 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를, 리버스 롤법으로, 건조 후의 두께가 45nm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기재층의 편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여, 기재층 및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처리 전 필름을 얻었다.
[널부의 형성]
상기의 처리 전 필름을 장척 방향으로 30 m/분의 속도로 반송하였다. 그리고, 반송되는 처리 전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양단부의 이접착층측의 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해, 복수의 널부를 형성하여, 장척 필름을 얻었다. 레이저광의 조사 장치로는, CO2 레이저광 조사 장치(코히런트사 제조 「J3 시리즈」, 레이저 파장 9.4μm)를 사용하였다. 또한, 레이저광의 조사 출력은, 출력 50%로 하였다. 또한, 레이저광의 조사는, 원하는 널부의 평면 형상을 그리도록, 갈바노 스캐너로 이동 속도 7000 mm/s로 레이저광 조사점을 이동시키면서 행하였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형성한 널부(1000)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상기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폭(W)이 0.2mm인 요철부에 의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1000)가 형성되었다. 이 널부(1000)는, 서로 연결된 제1 선군부(1100), 제2 선군부(1200), 제1 접속부(1300), 및 제2 접속부(1400)를 포함하는 무단 형상을 갖고 있었다.
제1 선군부(1100)는, 연속되는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선군부(1100)는, 제1 지점(1101)부터 각부(113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1), 각부(1131)부터 각부(113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2), 각부(1132)부터 각부(1133)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3), 각부(1133)부터 각부(1134)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4), 각부(1134)부터 각부(113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5), 각부(1135)부터 각부(1136)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6), 각부(1136)부터 각부(1137)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7), 각부(1137)부터 각부(1138)(제2 지점에 상당)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8), 각부(1138)부터 각부(1139)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19), 각부(1139)부터 각부(1140)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20), 각부(1140)부터 각부(114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21), 및 각부(1141)부터 각부(114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122)를 갖고 있었다.
제2 선군부(1200)는, 연속되는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선군부(1200)는, 제3 지점(1201)부터 각부(123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1), 각부(1231)부터 각부(123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2), 각부(1232)부터 각부(1233)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3), 각부(1233)부터 각부(1234)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4), 각부(1234)부터 각부(123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5), 각부(1235)부터 각부(1236)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6), 각부(1236)부터 각부(1237)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7), 각부(1237)부터 각부(1238)(제4 지점에 상당)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8), 각부(1238)부터 각부(1239)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19), 각부(1239)부터 각부(1240)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20), 각부(1240)부터 각부(124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21), 및 각부(1241)부터 각부(124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1222)를 갖고 있었다.
제1 접속부(1300)는, 제1 선군부(1100)의 제1 지점(1101)과 제2 선군부(1200)의 각부(1242)를 접속하는 직선으로서, 직선부(1111)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제2 접속부(1400)는, 제1 선군부(1100)의 각부(1142)와 제2 선군부(1200)의 제3 지점(1201)을 접속하는 직선으로서, 직선부(1211)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제1 선군부(1100)에 포함되는 직선부(1111 ~ 1122), 및 제2 선군부(1200)에 포함되는 직선부(1211 ~ 1222)는, 모두, 동일한 길이(1.1mm)를 갖는 직선이었다.
널부(1000)에 포함되는 모든 각부(1131 ~ 1142 및 1231 ~ 1242)의 각도는, 모두 90°였다. 또한, 널부(1000)에 포함되는 모든 각부(1131 ~ 1142 및 1231 ~ 1242)의 곡률 반경은, 모두 0.2mm였다. 또한, 상기의 각부(1131 ~ 1142 및 1231 ~ 1242)는, 모두,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D) = 0.4mm를 두고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각부 간의 간격(D)의 편차는, 0.05mm였다.
필름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1000)의 길이(LMD)는 1.9mm, 필름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널부(1000)의 길이(LTD)는 9.4mm였다. 또한, 필름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1000)의 피치는, 4.2mm였다.
또한, 널부(1000)를 형성하는 요철부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 각부에 있어서의 평균 높이는 7μm였다.
[널부의 형성 정밀도의 평가]
상술한 널부(1000)의 각부(1131 ~ 1142 및 1231 ~ 1242)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의 사항이 확인되었다.
제1 선군부(1100)의 각부(1132, 1134, 1136, 1138, 1140, 및 1142)는, 제1 지점(1101)과 각부(1138)를 지나는 굵기 0.1mm의 가상 직선(140)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또한, 가상 직선(140)은, 필름 폭 방향(TD)과 평행하였다.
제2 선군부(1200)의 각부(1232, 1234, 1236, 1238, 1240, 및 1242)는, 제3 지점(1201)과 각부(1238)를 지나는 굵기 0.1mm의 가상 직선(240)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또한, 가상 직선(240)은, 필름 폭 방향(TD)과 평행하였다.
각부(1131)는, 제1 지점(1101)과 각부(1132)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133)는, 각부(1132)와 각부(1134)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135)는, 각부(1134)와 각부(1136)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137)는, 각부(1136)와 각부(1138)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139)는, 각부(1138)와 각부(1140)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141)는, 각부(1140)와 각부(1142)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231)는, 제3 지점(1201)과 각부(1232)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233)는, 각부(1232)와 각부(1234)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235)는, 각부(1234)와 각부(1236)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237)는, 각부(1236)와 각부(1238)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239)는, 각부(1238)와 각부(1240)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1241)는, 각부(1240)와 각부(1242)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이 때, 상기의 가상 원의 직경은, 전부 동일한 길이였다.
[권회성의 평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널부를 갖는 장척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더 반송하고, 직경 6 인치의 권심(코어)을 중심으로 하여, 권취 장력 120N으로 장척 방향으로 4000m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롤을 관찰하여, 장척 필름의 권회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처리 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처리 전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양단부의 이접착층측의 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해, 복수의 널부를 형성하여, 장척 필름을 얻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형성한 널부(2000)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상기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폭(W)이 0.2mm인 요철부에 의해,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평면 형상을 갖는 널부(2000)가 형성되었다. 이 널부(2000)는, 서로 연결된 제1 선군부(2100), 제2 선군부(2200), 제1 접속부(2300), 및 제2 접속부(2400)를 포함하는 무단 형상을 갖고 있었다.
제1 선군부(2100)는, 연속되는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선군부(2100)는, 각부(2131)(제1 지점에 상당)부터 각부(213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1), 각부(2132)부터 각부(2133)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2), 각부(2133)부터 각부(2134)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3), 각부(2134)부터 각부(213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4), 각부(2135)부터 각부(2136)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5), 각부(2136)부터 각부(2137)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6), 각부(2137)부터 각부(2138)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7), 각부(2138)부터 각부(2139)(제2 지점에 상당)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8), 각부(2139)부터 각부(2140)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19), 각부(2140)부터 각부(214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20), 각부(2141)부터 각부(214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21), 각부(2142)부터 각부(2143)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22), 각부(2143)부터 각부(2144)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23), 및 각부(2144)부터 각부(214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124)를 갖고 있었다.
제2 선군부(2200)는, 연속되는 복수의 직선부를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선군부(2200)는, 각부(2231)(제3 지점에 상당)부터 각부(223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1), 각부(2232)부터 각부(2233)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2), 각부(2233)부터 각부(2234)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3), 각부(2234)부터 각부(223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4), 각부(2235)부터 각부(2236)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5), 각부(2236)부터 각부(2237)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6), 각부(2237)부터 각부(2238)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7), 각부(2238)부터 각부(2239)(제4 지점에 상당)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8), 각부(2239)부터 각부(2240)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19), 각부(2240)부터 각부(224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20), 각부(2241)부터 각부(2242)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21), 각부(2242)부터 각부(2243)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22), 각부(2243)부터 각부(2244)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23), 및 각부(2244)부터 각부(224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224)를 갖고 있었다.
제1 접속부(2300)는, 제1 선군부(2100)의 각부(2131)부터 각부(233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311), 및 각부(2331)부터 제2 선군부(2200)의 각부(2245)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312)를 갖고 있었다.
제2 접속부(2400)는, 제1 선군부(2100)의 각부(2145)부터 각부(243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411), 및 각부(2431)부터 제2 선군부(2200)의 각부(2231)까지 연장되는 직선부(2412)를 갖고 있었다.
제1 선군부(2100)에 포함되는 직선부(2111, 2113, 2115, 2117, 2119, 2121, 및 2123), 그리고, 제2 선군부(2200)에 포함되는 직선부(2211, 2213, 2215, 2217, 2219, 2221, 및 2223)는, 모두 동일한 길이(1.0mm)를 갖는 직선이었다.
또한, 제1 선군부(2100)에 포함되는 직선부(2112, 2114, 2116, 2118, 2120, 2122, 및 2124), 그리고, 제2 선군부(2200)에 포함되는 직선부(2212, 2214, 2216, 2218, 2220, 2222, 및 2224)는, 모두 동일한 길이(0.6mm)를 갖는 직선이었다.
널부(2000)에 포함되는 모든 각부(2131 ~ 2145, 2231 ~ 2245, 2331, 및 2431)의 각도는, 모두 90°였다. 또한, 널부(2000)에 포함되는 모든 각부(2131 ~ 2145, 2231 ~ 2245, 2331, 및 2431)의 곡률 반경은, 모두 0.2mm였다. 또한, 상기의 각부(2131 ~ 2145, 2231 ~ 2245, 2331, 및 2431)는, 모두,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D) = 0.3mm를 두고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각부 간의 간격(D)의 편차는, 0.05mm였다.
필름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2000)의 길이(LMD)는 1.2mm, 필름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널부(2000)의 길이(LTD)는 9.5mm였다. 또한, 필름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2000)의 피치는, 4.2mm였다.
또한, 널부(2000)를 형성하는 요철부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 각부에 있어서의 평균 높이는 7μm였다.
[널부의 형성 정밀도의 평가]
상술한 널부(2000)의 각부(2131 ~ 2145 및 2231 ~ 2245)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의 사항이 확인되었다.
제1 선군부(2100)의 각부(2131, 2133, 2135, 2137, 2139, 2141, 2143, 및 2145)는, 각부(2131)와 각부(2139)를 지나는 굵기 0.1mm의 가상 직선(140)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또한, 가상 직선(140)은, 필름 폭 방향(TD)과 평행하였다.
제2 선군부(2200)의 각부(2231, 2233, 2235, 2237, 2239, 2241, 2243, 및 2245)는, 각부(2231)와 각부(2239)를 지나는 굵기 0.1mm의 가상 직선(140)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또한, 가상 직선(240)은, 필름 폭 방향(TD)과 평행하였다.
각부(2132)는, 각부(2131)와 각부(2133)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134)는, 각부(2133)와 각부(2135)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136)는, 각부(2135)와 각부(2137)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138)는, 각부(2137)와 각부(2139)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140)는, 각부(2139)와 각부(2141)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142)는, 각부(2141)와 각부(2143)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144)는, 각부(2143)와 각부(2145)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32)는, 각부(2231)와 각부(2233)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34)는, 각부(2233)와 각부(2235)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36)는, 각부(2235)와 각부(2237)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38)는, 각부(2237)와 각부(2239)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40)는, 각부(2239)와 각부(2241)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42)는, 각부(2241)와 각부(2243)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각부(2244)는, 각부(2243)와 각부(2245)를 연결하는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가상 원(굵기 0.1mm의 선으로 묘화된 원) 상에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이 때, 상기의 가상 원의 직경은, 전부 동일한 길이였다.
[권회성의 평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널부를 갖는 장척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더 반송하고, 직경 6 인치의 권심(코어)을 중심으로 하여, 권취 장력 120N으로 장척 방향으로 4000m 권취하여, 필름 롤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롤을 관찰하여, 장척 필름의 권회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
도 24는, 비교예 1에서 형성된 널부(3000)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널부(3000)의 평면 형상을,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국제 공개 제2017/145718호의 실시예 1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장척 필름 및 필름 롤의 제조 및 평가를 행하였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 널부(3000)에 있어서는, 일부의 각부(3010)의 위치가 필름 폭 방향(TD)에 있어서 동일하였다.
비교예 1에서 형성된 널부(3000)에 있어서, 도 24에 있어서 부호 3010으로 나타내는 각부의 각도는 90°, 부호 3020으로 나타내는 각부의 각도는 135°, 필름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3000)의 길이(LMD)는 1.2mm, 필름 폭 방향(TD)에 있어서의 널부(3000)의 길이(LTD)는 9.3mm, 필름 길이 방향(MD)에 있어서의 널부(3000)의 피치는 4.2mm였다. 또한, 널부(3000)를 형성하는 요철부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 각부에 있어서의 평균 높이는 7μm였다.
[비교예 2]
널부의 형성을 위한 레이저광의 조사 출력을 출력 60%로 변경한 것, 및 장척 필름을 권취할 때의 권취 장력을 150N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장척 필름 및 필름 롤의 제조 및 평가를 행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형성된 널부의 평면 형상은 비교예 1과 동일하였으나, 널부를 형성하는 요철부의 각부에 있어서의 평균 높이는 12μm였다.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1 장척 필름
1U 장척 필름의 면
10 널부
20 요철부
21 오목부
22 볼록부
30 널부
40 널부
50 널부
100 제1 선군부
111 제1 직선부
112 제2 직선부
113 제3 직선부
114 제4 직선부
115 제5 직선부
116 제6 직선부
117 제7 직선부
118 제8 직선부
121 제1 지점
122 제2 지점
131 제1 각부
132 제2 각부
133 제3 각부
134 제4 각부
135 제5 각부
136 제6 각부
137 제7 각부
140 제1 가상 직선
141 제1 가상 선분
142 제2 가상 선분
143 제3 가상 선분
144 제4 가상 선분
151 제1 가상 원
152 제2 가상 원
153 제3 가상 원
154 제4 가상 원
200 제2 선군부
211 제9 직선부
212 제10 직선부
213 제11 직선부
214 제12 직선부
215 제13 직선부
216 제14 직선부
217 제15 직선부
218 제16 직선부
221 제3 지점
222 제4 지점
231 제8 각부
232 제9 각부
233 제10 각부
234 제11 각부
235 제12 각부
236 제13 각부
237 제14 각부
240 제2 가상 직선
241 제5 가상 선분
242 제6 가상 선분
243 제7 가상 선분
244 제8 가상 선분
251 제5 가상 원
252 제6 가상 원
253 제7 가상 원
254 제8 가상 원
300 제1 접속부
311, 312, 및 313 선분부
331 및 332 각부
400 제2 접속부
411, 412, 및 413 선분부
431 및 432 각부
500 제1 선군부
511 제1 직선부
512 제2 직선부
513 제3 직선부
514 제4 직선부
515 제5 직선부
516 제6 직선부
517 제7 직선부
518 제8 직선부
600 제2 선군부
611 제9 직선부
612 제10 직선부
613 제11 직선부
614 제12 직선부
615 제13 직선부
616 제14 직선부
617 제15 직선부
618 제16 직선부
700 제1 접속부
800 제2 접속부

Claims (7)

  1. 적어도 일방의 면에, 연속된 선상의 요철부에 의해 만들어진 복수의 널부를 갖는 장척 필름으로서;
    상기 널부를 상기 장척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본 평면 형상이, 제1 선군부(線群部)와, 제2 선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군부가,
    제1 지점부터 제1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각부부터 제2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
    상기 제2 각부부터 제3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3 직선부,
    상기 제3 각부부터 제4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부,
    상기 제4 각부부터 제5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5 직선부,
    상기 제5 각부부터 제6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6 직선부,
    상기 제6 각부부터 제7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7 직선부, 및
    상기 제7 각부부터 제2 지점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8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선군부가,
    제3 지점부터 제8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9 직선부,
    상기 제8 각부부터 제9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0 직선부,
    상기 제9 각부부터 제10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1 직선부,
    상기 제10 각부부터 제11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2 직선부,
    상기 제11 각부부터 제12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3 직선부,
    상기 제12 각부부터 제13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4 직선부,
    상기 제13 각부부터 제14 각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5 직선부, 및
    상기 제14 각부부터 제4 지점까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16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의 제1 내지 제14 각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80° ~ 100°의 각도를 갖고;
    상기 장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각부의 위치가 다른, 장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각부 간의 간격의 편차가, 1.00mm 이하인, 장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지나는 제1 가상 직선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2 각부, 상기 제4 각부, 및 상기 제6 각부가, 상기 제1 가상 직선 상에 있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을 지나는 제2 가상 직선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9 각부, 상기 제11 각부, 및 상기 제13 각부가, 상기 제2 가상 직선 상에 있는, 장척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각부를 연결하는 제1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1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 각부가, 상기 제1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2 각부와 상기 제4 각부를 연결하는 제2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2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3 각부가, 상기 제2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4 각부와 상기 제6 각부를 연결하는 제3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3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5 각부가, 상기 제3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6 각부와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제4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4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7 각부가, 상기 제4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9 각부를 연결하는 제5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5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8 각부가, 상기 제5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9 각부와 상기 제11 각부를 연결하는 제6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6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0 각부가, 상기 제6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11 각부와 상기 제13 각부를 연결하는 제7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7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2 각부가, 상기 제7 가상 원 상에 있고,
    상기 제13 각부와 상기 제4 지점을 연결하는 제8 가상 선분을 직경으로 하는 제8 가상 원을, 상기 요철부의 폭의 3배의 굵기의 선으로 묘화한 경우에, 상기 제14 각부가, 상기 제8 가상 원 상에 있는, 장척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원 내지 상기 제8 가상 원의 직경이, 동등한, 장척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군부와 상기 제2 선군부가, 교차하지 않는, 장척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필름이, 고리형 올레핀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을 구비하는, 장척 필름.
KR1020227042968A 2020-07-31 2021-07-19 장척 필름 KR20230041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30648 2020-07-31
JP2020130648 2020-07-31
PCT/JP2021/027046 WO2022024854A1 (ja) 2020-07-31 2021-07-19 長尺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658A true KR20230041658A (ko) 2023-03-24

Family

ID=8003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968A KR20230041658A (ko) 2020-07-31 2021-07-19 장척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024854A1 (ko)
KR (1) KR20230041658A (ko)
CN (1) CN115803175A (ko)
TW (1) TW202208150A (ko)
WO (1) WO20220248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5718A1 (ja) 2016-02-26 2017-08-3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長尺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208A1 (ja) * 2011-02-09 2012-08-1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5718A1 (ja) 2016-02-26 2017-08-3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長尺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24854A1 (ko) 2022-02-03
CN115803175A (zh) 2023-03-14
WO2022024854A1 (ja) 2022-02-03
TW202208150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570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065636A1 (en) Article having a birefringent surface and microstructured features having a variable pitch or angl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article
KR20080006587A (ko)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구조화된 배향 필름
WO2008050444A1 (fr) Feuille à prismes et feuille optique
KR102226092B1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10375A (ko) 액정 패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WO2010143741A1 (ja) 液晶表示装置
JP5763367B2 (ja) 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並びに偏光板
WO2017081944A1 (ja)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20230041658A (ko) 장척 필름
WO2016076155A1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2011123475A (ja) 偏光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45644A (ja) 偏光板、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5119049A1 (ja) フィルムの搬送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070131A1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80252A (ja) 偏光板のセッ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22091815A1 (ja) 長尺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5137367A1 (ja) 光学フィルムのロール体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8056525A1 (fr) Couche de revêtement de couche de prévention contre les charges, film traité de prévention contre les charges, plaque polarisante et appareil d'affichage
JP2011128592A (ja) 偏光板、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22093634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23110645A (ja) 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50043480A (ko) 광학 필름
JP2012037683A (ja) 光学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WO2011093222A1 (ja) 光制御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