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213A -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213A
KR20230041213A KR1020210124544A KR20210124544A KR20230041213A KR 20230041213 A KR20230041213 A KR 20230041213A KR 1020210124544 A KR1020210124544 A KR 1020210124544A KR 20210124544 A KR20210124544 A KR 20210124544A KR 20230041213 A KR20230041213 A KR 2023004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gelling ag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리
원보령
주영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213A/ko
Priority to CN202210136078.0A priority patent/CN115813777A/zh
Publication of KR2023004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할 경우 백탁도가 현저히 감소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containing capsule}
본 발명은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캡슐이 수상부에 분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 화상, 홍반 또는 피부의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멜라닌 색소를 변화시켜 피부를 검게 하고, 피부 내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이라는 탄력섬유를 변형하여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차단제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적절하게 제형화 한 것으로 자외선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자외선 흡수제는 방향족 링 구조의 오르토-(ortho-) 또는 파라-(para-) 위치에 아민이나 메톡실 그룹과 같은 전자-주게 그룹을 갖고 있으며, 파이-콘주게이션 분자 구조를 지니는 화합물로서, PABA(p-aminobenzoic acid) 유도체와 시나메이트(cinnamate)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benzophenones) 및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s) 등이 여기에 속한다.
자외선이 이런 구조의 물질을 자극하면 이들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화학적으로 들뜬 상태가 되며 원래의 에너지 상태로 돌아갈 때 잉여의 흡수된 에너지가 변형된 2차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자외선 차단능력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광화학적 들뜬 상태에서 축적된 에너지를 견디지 못하고 광분해 되거나, 열에 의해 분해되어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대부분의 자외선 흡수제는 용해도가 좋지 않아 제형에 사용하기 위해 높은 극성의 용매를 사용하여 에멀전 제형을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에멀전 제형에서 극성 용매는 에멀전의 안정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제형들의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고, 자외선 흡수제 사용량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캡슐은 주로 특정 성분의 변패 방지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감 개선을 위하여 캡슐 제형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일 예는, 한천이나 카라기난 (carrageenan) 등을 이용하여 1차 캡슐화를 진행하고 알긴산 나트륨 (sodium alginate)으로 2차 캡슐화를 진행한 후, 젤이나 에멀전 타입의 조성물에 혼합한 캡슐 제형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내부 구조가 치밀하게 형성되어 자외선 차단 성분 등과 같은 유효성분의 함유량이 낮은 한계점이 있었다.
다른 일 예는, 버터나 왁스 성분을 이용하여 유상 성분을 재결정화하여 캡슐과 유사한 외관의 수중유 에멀전 (O/W emulsion) 조성물이 개발된 바 있으나, 캡슐이 화장료 내에서 쉽게 분해되거나, 형성된 캡슐에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적으며, 캡슐간 개체 차이가 크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공정 중 유상성분이 캡슐레이션되는 조성물의 경우, 캡슐레이션 성분이 고급 알코올류 또는 합성 왁스류를 포함하여 제형의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20폴리올레핀, 에이치다이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캡슐 조성료의 경우 해당 성분의 함량이 높아 관능적으로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오일 겔링화제의 함량을 적의 조절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캡슐의 골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피부에 도포 시 백탁도가 현저히 감소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는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피부에 도포 시 백탁도가 적고, 발림성이 우수하여 산뜻하면서도, 캡슐형의 독특한 외관을 갖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 겔링화제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및 C30-45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 겔링화제는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5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5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5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4.5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3.5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0.1 내지 2.0 중량%, 0.5 내지 5.0 중량%, 0.5 내지 4.5 중량%, 0.5 내지 4.0 중량%, 0.5 내지 3.5 중량%, 0.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5 중량%, 예를 들어, 0.5 내지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내지 2.0 중량%, 0.05 내지 1.8 중량%, 0.05 내지 1.6 중량%, 0.05 내지 1.4 중량%, 0.05 내지 1.2 중량%, 0.05 내지 1.0 중량%, 0.05 내지 0.8 중량%, 0.05 내지 0.6 중량%, 0.08 내지 2.0 중량%, 0.08 내지 1.8 중량%, 0.08 내지 1.6 중량%, 0.08 내지 1.4 중량%, 0.08 내지 1.2 중량%, 0.08 내지 1.0 중량%, 0.08 내지 0.8 중량%, 0.08 내지 0.6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내지 2.0 중량%, 0.05 내지 1.8 중량%, 0.05 내지 1.6 중량%, 0.05 내지 1.4 중량%, 0.05 내지 1.2 중량%, 0.05 내지 1.0 중량%, 0.05 내지 0.8 중량%, 0.05 내지 0.6 중량%, 0.08 내지 2.0 중량%, 0.08 내지 1.8 중량%, 0.08 내지 1.6 중량%, 0.08 내지 1.4 중량%, 0.08 내지 1.2 중량%, 0.08 내지 1.0 중량%, 0.08 내지 0.8 중량%, 0.08 내지 0.6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0 중량%, 0.01 내지 22.0 중량%, 0.01 내지 19.0 중량%, 0.01 내지 16.0 중량%, 0.01 내지 14.0 중량%, 1.0 내지 25.0 중량%, 1.0 내지 22.0 중량%, 1.0 내지 19.0 중량%, 1.0 내지 16.0 중량%, 5.0 내지 25.0 중량%, 5.0 내지 22.0 중량%, 5.0 내지 19.0 중량%, 5.0 내지 16.0 중량%, 10.0 내지 25.0 중량%, 10.0 내지 22.0 중량%, 10.0 내지 19.0 중량%, 10.0 내지 16.0 중량%, 예를 들어, 15.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은 변색 방지제, 피막 형성제, UV 흡수제, 피부 컨디셔닝제 및 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색 방지제는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벤조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에틸헥실메톡시크릴렌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색 방지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10.0 중량%, 0.001 내지 7.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3.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 및 피브이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 형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4.0 중량%, 0.001 내지 3.0 중량%, 0.001 내지 2.0 중량%, 0.001 내지 1.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UV 흡수제는 벤토트리아졸릴도데실p-크레솔,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에틸헥실메톡시크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UV 흡수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20.0 중량%, 0.001 내지 15.0 중량%, 0.001 내지 10.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3.0 중량%, 0.0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컨디셔닝제는 다이부틸아디페이트, C12-15알킬벤조에이트 및 프로필헵틸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컨디셔닝제는 0.001 내지 50.0 중량%, 0.001 내지 45.0 중량%, 0.001 내지 40.0 중량%, 0.001 내지 35.0 중량%, 0.001 내지 30.0 중량%, 0.001 내지 25.0 중량%, 0.001 내지 20.0 중량%, 0.001 내지 15.0 중량%, 0.001 내지 10.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3.0 중량%, 1.0 내지 50.0 중량%, 1.0 내지 45.0 중량%, 1.0 내지 40.0 중량%, 1.0 내지 35.0 중량%, 1.0 내지 30.0 중량%, 1.0 내지 25.0 중량%, 1.0 내지 20.0 중량%, 1.0 내지 15.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는 점증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증제는 카보머, 잔탄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및 소듐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증제는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이온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및 소듐파이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이온봉쇄제는 전제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3.0 중량%, 0.001 내지 2.0 중량%, 0.001 내지 1.0 중량%, 0.001 내지 0.5 중량%, 예를 들어, 0.02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글리세린 및 프로판다이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40.0 중량%, 0.001 내지 30.0 중량%, 0.001 내지 20.0 중량%, 0.001 내지 10.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5.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도 조절제는 트로메타민, 알지닌 및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도 조절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4.0 중량%, 0.001 내지 3.0 중량%, 0.001 내지 2.0 중량%, 0.00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0.4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상부 성분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1 혼합단계;
수상부 성분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2 혼합단계; 및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을 형성하는 제3 혼합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캡슐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 성분은 오일 겔링화제, 자외선 차단제, 변색 방지제, 피부컨디셔닝제, 피막 형성제, UV 흡수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부 성분은 점증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혼합단계는 100 내지 180 ℃, 100 내지 170 ℃, 100 내지 160 ℃, 100 내지 150 ℃, 100 내지 140 ℃, 100 내지 130 ℃, 100 내지 120 ℃, 100 내지 110 ℃, 110 내지 180 ℃, 120 내지 180 ℃, 130 내지 180 ℃, 140 내지 180 ℃, 150 내지 180 ℃, 160 내지 180 ℃, 170 내지 180 ℃로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혼합단계는 50 내지 90 ℃, 50 내지 85 ℃, 50 내지 80 ℃, 50 내지 75 ℃, 50 내지 70 ℃, 55 내지 90 ℃, 55 내지 85 ℃, 55 내지 80 ℃, 55 내지 75 ℃, 55 내지 70 ℃, 60 내지 90 ℃, 60 내지 85 ℃, 60 내지 80 ℃, 60 내지 75 ℃, 60 내지 70 ℃, 65 내지 90 ℃, 65 내지 85 ℃, 65 내지 80 ℃, 65 내지 75 ℃, 65 내지 70 ℃, 예를 들어, 70 ℃로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혼합단계는 20 내지 40 ℃, 20 내지 35 ℃, 25 내지 40 ℃, 25 내지 35 ℃, 예를 들어, 30 ℃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혼합단계는 적어도 1분 이상, 1 내지 60분, 1 내지 50분, 1 내지 40분, 1 내지 30분, 1 내지 20분, 1 내지 10분, 1 내지 5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혼합단계는 온도의 범위에 따라 방식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할 때, 제2 혼합물의 온도가 30 내지 60 ℃인 경우, 점적 방식으로 진행하여야 고르게 캡슐을 형성할 수 있으나, 제2 혼합물의 온도가 60 내지 80 ℃인 경우, 일반적인 에멀전 제형과 같이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혼합단계는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아지믹서 및 호모믹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혼합단계는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고 60 내지 65 ℃가 되었을 때부터 캡슐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30 ℃ 온도가 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냉각 및 교반 함으로써 캡슐의 형태를 고정하고 안정하게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막형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이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인 임의의 다른 성분을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양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할 경우 백탁도가 현저히 감소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산뜻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2 내지 4의 도포 전, 후 및 세정 전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번호 구분 용도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 유상부
(캡슐)
오일 겔링화제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0.5 0.2 0.4 0.6
2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0.5 0.2 0.4 0.6
3 C30-45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0.2 - 0.2 0.4
4 자외선 차단제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3.0 3.0
5 호모살레이트 5.0 5.0 5.0 5.0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5.0 5.0
7 에칠헥실트리아존 2.0 2.0 2.0 2.0
8 폴리실리콘-15 1.0 1.0 1.0 1.0
9 변색 방지제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2.0 2.0 2.0 2.0
10 피막 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1.0 1.0 1.0 1.0
11 UV 흡수제 벤토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1.0 1.0 1.0 1.0
12 피부 컨디셔닝제 다이부틸아디페이트 2.0 2.0 2.0 2.0
13 용제 페네틸벤조에이트 1.0 1.0 1.0 1.0
14 수상부 점증제 카보머 0.5 0.5 0.5 0.5
15 금속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16 보습제 글리세린 3.0 3.0 3.0 3.0
17 프로판다이올 2.0 2.0 2.0 2.0
18 산도조절제 트로메타민 0.4 0.4 0.4 0.4
19 용제 정제수 69.88 70.68 70.08 30.52
총합 100.0 100.0 100.0 100.0
유상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에 기재된 유상부 성분을 혼합하고, 아지믹서 (Agimixer)로 100 내지 180 ℃의 온도 조건에서 가온 용해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수상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에 기재된 수상부 성분을 혼합하고, 아지믹서로 혼합한 후, 70 ℃의 온도 조건에서 가온 용해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1 혼합물을 70 ℃의 제2 혼합물에 혼합한 후, 아지믹서로 고르게 분산시켰다. 그 다음,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30 ℃까지 냉각하여 실시예 1 내지 4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비교예 1 및 2를 제조하였다.
번호 구분 용도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1 유상부 오일 겔링화제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0.0001 5.0
2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0.0001 5.0
3 C30-45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0.0001 5.0
4 자외선 차단제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0 3.0
5 호모살레이트 5.0 5.0
6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0 5.0
7 에칠헥실트리아존 2.0 2.0
8 폴리실리콘-15 1.0 1.0
9 변색 방지제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2.0 2.0
10 피막 형성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1.0 1.0
11 UV 흡수제 벤토트라이아졸릴도데실p-크레솔 1.0 1.0
12 피부 컨디셔닝제 다이부틸아디페이트 2.0 2.0
13 용제 페네틸벤조에이트 1.0 1.0
14 수상부 점증제 카보머 0.5 0.5
15 금속이온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16 보습제 글리세린 3.0 3.0
17 프로판다이올 2.0 2.0
18 산도조절제 트로메타민 0.4 0.4
19 용제 정제수 71.0797 56.08
총합 100.0 100.0
유상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에 기재된 유상부 성분을 혼합하고, 아지믹서 (Agimixer)로 100 내지 180 ℃의 온도 조건에서 가온 용해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수상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에 기재된 수상부 성분을 혼합하고, 아지믹서로 혼합한 후, 70 ℃의 온도 조건에서 가온 용해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1 혼합물을 70 ℃의 제2 혼합물에 혼합한 후, 아지믹서로 고르게 분산시켰다. 그 다음,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30 ℃까지 냉각하여 비교예 1 및 2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외관 비교
오일 겔링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녹는점을 조절하며, 오일 겔링화제의 함량에 따라 캡슐의 형성 및 제형의 농도가 달라진다. 오일 겔링화제의 함량을 다르게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외관을 비교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오일 겔링화제를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1.2 중량% 포함하여 외관이 뚜렷한 캡슐을 포함하는 제형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오일 겔링화제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03 중량% 포함되어 있으며, 캡슐이 만들어지지 않고 수상 내 점증제에 의하여 유화되었으며, 백탁도를 가진 에멀전상의 제형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는 오일 겔링화제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15 중량% 포함되어 있으며, 오일 겔링화제의 함량 증가로 인하여 녹는점이 올라가서 화장료 조성물이 제대로 녹지 않았으며, 오일 겔링화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즉시 제형이 고체화가 되어서 교반기에 엉겨붙어 캡슐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이를 통해, 오일 겔링화제는 총 조성물 대비 0.5 내지 2.0 중량% 포함될 때 캡슐을 포함하는 안정한 제형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내수성 측정
실시예 2 내지 4의 사용 전/후의 지속 내수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부위 (하박내측 2 cm X 2 cm)에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후, 흐르는 물에 30초 동안 세정을 2회 반복 한 후, 50회 롤링하여 미온수로 헹구어 내고, VISTIA-CR (Canfiled Scientific, Inc, USA)기기로 UV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오일 겔링화제를 1.6 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4는 피부에 가장 많은 자외선 차단제가 남아있었으며, 우수한 내수성 효과를 보였다. 반면, 오일 겔링화제를 0.4 중량% 포함하는 실시예 2는 피부에 남아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양도 가장 적었으며, 이에 따른 내수성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오일 겔링화제는 자외선 차단제와 결합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 골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오일 겔링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차단제와 결합하는 골격의 형성이 증가하며, 소수성 성격을 갖는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의 결합은 피부 위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내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링화제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및 C30-45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링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를 포함하는 유기자외선차단제,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0 중량%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는 점증제, 금속이온봉쇄제, 보습제, 산도 조절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 및 캡슐이 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유상부 성분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1 혼합단계;
    수상부 성분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제2 혼합단계; 및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을 형성하는 제3 혼합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 단계는 100 내지 180 ℃로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 단계는 50 내지 90 ℃로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혼합단계는 20 내지 40℃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 성분은 오일 겔링화제 및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링화제는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및 C30-45알킬다이메틸실릴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겔링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포함된 것인,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를 포함하는 유기자외선차단제,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0 중량% 포함된 것인, 방법.
KR1020210124544A 2021-09-17 2021-09-17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1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44A KR20230041213A (ko) 2021-09-17 2021-09-17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2210136078.0A CN115813777A (zh) 2021-09-17 2022-02-15 包含胶囊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44A KR20230041213A (ko) 2021-09-17 2021-09-17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213A true KR20230041213A (ko) 2023-03-24

Family

ID=8552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44A KR20230041213A (ko) 2021-09-17 2021-09-17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1213A (ko)
CN (1) CN115813777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355A (ko) * 2008-09-04 2010-03-12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3715B1 (ko) * 2017-07-21 2018-11-29 한국콜마주식회사 워터드롭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7084986B2 (ja) * 2017-09-05 2022-06-15 ビゾール,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ヒドロキシ桂皮酸エステルとシラノール付加体被膜無機紫外線防止剤
JP2019119744A (ja) * 2018-01-05 2019-07-22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CN111150677B (zh) * 2020-02-25 2022-09-13 广州玮弘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晒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2870108A (zh) * 2021-02-07 2021-06-01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保湿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13777A (zh)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7281B1 (en) Wet appliable, instant protection sunscreen and makeup and method of use
US6007796A (en) Cosmetic self-tanning agent having a sunscreen effect
KR102170764B1 (ko)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3479428A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00084153A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JP2634444B2 (ja) クリーム状または乳液状の油中水滴型乳化化粧料
KR20230041213A (ko)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309727A (ja) 毛髪処理剤
KR102382813B1 (ko)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22229B1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4071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JP7292567B2 (ja) 局所日焼け止め製剤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30077180A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46279B1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3911A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H01135887A (ja) 紫外線吸収剤組成物
JPH0632710A (ja) 皮膚外用剤
KR102427915B1 (ko)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8402B1 (ko)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H0733639A (ja) 美白化粧料
JPH02178218A (ja) タンニング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