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915B1 -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915B1
KR102427915B1 KR1020200139292A KR20200139292A KR102427915B1 KR 102427915 B1 KR102427915 B1 KR 102427915B1 KR 1020200139292 A KR1020200139292 A KR 1020200139292A KR 20200139292 A KR20200139292 A KR 20200139292A KR 102427915 B1 KR102427915 B1 KR 10242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water
glycer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135A (ko
Inventor
류지인
우영화
박명삼
김기백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9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Abstract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입술에 직접적으로 수분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습 지속력이 향상되었으며, 개별 착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Lip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igh content of glycerin}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립밤은 주로 유분산 타입으로 오일 및 왁스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입술의 수분 증발을 막아 보습력을 부여한다. 립케어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하게 대두되지만 현재 출시 중인 제품들은 아래와 같은 제형적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물이 함유 되지 않기 때문에 입술에 직접적인 수분공급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초기 보습력은 높게 느껴지나 시간이 지날수록 오히려 건조함을 느끼게 된다. 둘째, 기존 유화 타입 중 유분산 타입의 립밤의 경우, 색소를 소량 포함하여 발색이 되지 않거나, 핑크 착색만 가능하기 때문에 착색 변화(variation)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셋째, 기존 유화 타입의 립밤이 존재하나, 색소를 함유하지 않았다.
따라서, 입술에 직접적으로 수분을 부여할 수 있고 보습 지속력이 향상되며, 개별 착색이 가능한 유화 타입의 립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을 40 내지 9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을 40 내지 9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고 냉각한 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을 40 내지 9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입술에 직접적인 수분을 부여할 수 있는바 보습 지속력이 향상되었으며, 수상부에 색소를 포함함으로써 발색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세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90 중량%, 40 내지 85 중량%,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75 중량%, 40 내지 70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5 중량%, 50 내지 80 중량%, 50 내지 75 중량%, 60 내지 80 중량% 또는 65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글리세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이 무거워져 발림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상부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판테놀 0.1 내지 2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테놀은 예를 들어,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8 중량%, 0.1 내지 16 중량%, 0.1 내지 14 중량%, 0.1 내지 12 중량%, 0.1 내지 10 중량%,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5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판테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이 뻣뻣해질 뿐만 아니라 입술 당김이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글리세린 및 판테놀은 1: 0.001 내지 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및 판테놀은 예를 들어, 1:0.001 내지 1, 1:0.001 내지 0.5, 1:0.001 내지 0.01, 1:0.01 내지 1, 1:0.01 내지 0.5, 또는 1:0.01 내지 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글리세린 및 판테놀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력 향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입술에 적용시 밀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색소는 수용성 착색용 염료로서 화장료의 적당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유기 색소 및 무기 색소의 색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성 색소는 황색 5호, 적색 104호의 (1),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적색 227호, 228호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색소는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 0.01 내지 1.5 중량%, 0.01 내지 1 중량%,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3 중량%, 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5 중량% 또는 0.1 내지 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색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발색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색소에 의해 제형 안정도가 떨어져 제형이 무너지거나 점도가 매우 낮아지는 바 립 메이크업용으로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체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지방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체 지방산은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6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9 중량%, 1 내지 7 중량%, 1 내지 5 중량% 또는 3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고체 지방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오일류가 혼합되지 않아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도가 과다하게 높아져 화장품 용기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글리세린 및 판테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분을 흡착하여 피부에 고정시키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피부 건조를 방지함으로써 보습 능력이 탁월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용성 색소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톤업 효과를 나타내어 화사한 피부 표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90 중량%의 글리세린, 0.1 내지 20 중량%의 판테놀, 및 0.01 내지 5 중량%의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0.1 내지 10 중량%의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의 립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립 메이크업은 립스틱, 립락커, 립틴트, 립글로스 또는 립밤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및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른 활성제, 또는 착색제 등과 함께 사용되어, 색상(색조) 표현, 화사함, 입체감, 보습 효과, 미백 개선,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및 펄감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을 40 내지 9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고 냉각한 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글리세린, 수용성 색소, 고체 지방산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은 25 내지 35℃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은 25 내지 35℃, 25 내지 33℃, 25 내지 31℃, 25 내지 30℃, 26 내지 35℃, 26 내지 34℃, 26 내지 32℃, 27 내지 35℃¸또는 30 내지 3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개별 착색이 불가능하고 입술에 직접 수분을 부여할 수 없다는 유분산 제형의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보습력 및 보습 지속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피부 톤에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바 소비자 만족도가 향상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보습 지속력이 향상되었으며, 수용성 색소를 함유하여 발색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색 변화(variation)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글리세린 함량에 따른 피부수분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는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어두운 피부톤의 피험자에게 도포하기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2b는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밝은 피부톤의 피험자에게 도포하기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수분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6.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O/W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부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 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유상부를 비이커에 계랑하여 혼합한 후, 디스퍼를 이용하여 1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호모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유상부 및 수상부를 6000 rpm으로 5분간 혼합하고, 30 ℃에서 냉각 후 기포를 제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함량은 중량%이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수상부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Glycerin 50.0 60.0 70.0 60.0 60.0 60.0
Panthenol - - - 1.0 5.0 10.0
PEG-5 Glyceryl Stearate 3.0 3.0 3.0 3.0 3.0 3.0
Antiseptic 2.5 2.5 2.5 2.5 2.5 2.5
안료 0.25 0.25 0.25 0.25 0.25 0.25
유상부 Diisostearyl Malate 5.0 5.0 5.0 5.0 5.0 5.0
Dimethicone 3.0 3.0 3.0 3.0 3.0 3.0
C14-22 Alcohols 2.4 2.4 2.4 2.4 2.4 2.4
Stearyl Alcohol 1.0 1.0 1.0 1.0 1.0 1.0
C12-20 Alkyl Glucoside 0.6 0.6 0.6 0.6 0.6 0.6
Palmitic Acid 0.54 0.54 0.54 0.54 0.54 0.54
Stearic Acid 0.46 0.46 0.46 0.46 0.46 0.46
[비교예]
비교예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부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하여 준비하고, 차례대로 첨가하여 아지믹서(Agi-mixer)로 5분간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켜 수분산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수상부 Water To 100
Glycerin 6.0
Butylene Glycol 7.0
Dimethicone 2.7
Polyacrylate Crosspolymer-6 1.0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1.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4
Antiseptic 2.5
안료 0.25
비교예 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부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70~80 ℃에서 아지믹서(Agi-mixer)를 이용하여 25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색소 베이스를 투입하여 60~65 ℃의 온도를 유지하며 5분간 추가로 혼합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유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수상부 Diisostearyl Malate To 100
Polybutene 30.0
Octyldodecanol 5.0
Petrolatum 8.0
Microcrystalline Wax 6.0
Polyethylene 0.9
Antiseptic 2.5
안료 0.25
비교예 3.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부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유상부 원료를 비이커에 계랑하여 혼합한 후, 65 ℃의 온도에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1000 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호모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유상부 및 수상부를 6000 rpm으로 10분간 혼합하고 기포를 제거한 후 냉각하여 O/W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수상부 Water To 100
Acrylates Copolymer 1.50
Alcohol Denat. 3.8
Glycerin 3.0
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0.6
Antiseptic 2.5
안료 0.25
유상부 Octyldodecanol 28.0
Trimethylsiloxyphenyl Dimethicone 8.0
Dipentaerythrityl Tetrahydroxystearate/Tetraisostearate 5.0
Polysorbate 60 3.0
Ethylcellulose 2.0
Cetyl Alcohol 2.0
Polyacrylate-13 0.5
Diisostearyl Malate 0.4
[실험예]
수분도 평가
글리세린 함량에 따른 수분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3~33세 여성 5명의 시험 부위를 미온수로 세정하고 10분간 항온항습실(22±2 ℃, 40~60% RH)에서 대기한 뒤, 시험부위의 무도포 시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이후, 같은 부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의 피부수분도(A.U)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후 피부수분도 (A.U)의 평균은 도포 전(49.6)과 비교하여 각각 약 65.7, 79.7, 및 81.8로 도포 전(49.6)과 비교하여 각각 30.2%, 60% 및 64%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수분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사용감 평가
판테놀 함량에 따른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3-33세 여성 20명에게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끈적임, 보습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기준 중 발림성은 입술 화장료 타입으로 조성물이 번짐 없이 없으며, 입술에 고르게 도포 되는지를 포함한다. 끈적임은 바른 뒤 제형이 입술에 바른 후 시간이 지난 뒤 끈적이는 느낌을 의미한다. 보습감은 입술에 도포 시 느껴지는 보습 느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은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며 특히 보습감과 발림성은 립밤 메이크업 제품 판단의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평가기준]
15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5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5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X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6
발림성
끈적임 X X
보습감
전반적인 만족도 X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 내지 6의 발림성, 및 보습감은 전반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실시예 4 및 6의 경우, 끈적임에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이 부드러운 발림성을 주면서도 끈적임이 낮고 보습감이 뛰어나 전만적인 만족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을 일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끈적임이 낮아 사용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보습력 평가
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Germany)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1~3의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성인 여성 5명(평균연령 24.4세)의 시험 부위(하박 내측, 2x2 ㎝2)에 상기 조성물 8 ㎕를 도포하여 흡수시킨 후, 2시간, 4시간 및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3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량과 변화율을 산출한 뒤, 무도포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간 (hrs) 무도포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0 30.5 27.3 28.6 29.6 29.7
0.5 30.7 54.2 56.0 38.6 48.2
2.0 31.3 59.9 41.4 30.8 42.3
4.0 31.7 59.1 43.7 29.2 41.7
8.0 30.3 52.5 39.5 29.9 36.6
도 3은 실시예 5 및 비교예 1~3의 보습력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표 6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5는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보습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도포 후 8시간까지 보습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보습력이 약 223% 향상되었으며, 비교예 보다도 약 209% 향상된 보습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과 판테놀을 포함함으로써 수분을 흡착하는 흡수성을 가지는바, 피부에 수분을 고정시키고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피부 건조를 방지하며, 보습 능력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톤업 효과 확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톤업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두운 피부톤 피험자 1인과 밝은 피부톤 피험자 1인의 피부 사진을 4K Camcorder (SONY, Japan) 기기로 촬영하였다. 이후, 각각의 피부톤에 맞는 색상(오렌지색, 붉은 색)의 실시예를 도포한 후 추가 촬영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 전 후에 각각 촬영한 사진이다.
그 결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 전에 비하여 도포 후 피부톤이 화사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톤업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사하고 건강한 피부톤을 표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 40 내지 90 중량%, 판테놀 0.1 내지 2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상부에 유화제로서 PEG-5 Glyceryl Stearate를 포함하는 것인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및 판테놀은 1:0.001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색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및 올레산(Oleic Acid)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 지방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 50 내지 80 중량%, 판테놀 1 내지 1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고체 지방산 0.1 내지 4 중량%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립스틱, 립락커, 립틴트, 립글로스, 또는 립밤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글리세린 40 내지 90 중량%, 판테놀 0.1 내지 20 중량% 및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고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유상부를 혼합하고 냉각한 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139292A 2020-10-26 2020-10-26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2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92A KR102427915B1 (ko) 2020-10-26 2020-10-26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92A KR102427915B1 (ko) 2020-10-26 2020-10-26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35A KR20220055135A (ko) 2022-05-03
KR102427915B1 true KR102427915B1 (ko) 2022-08-02

Family

ID=8159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292A KR102427915B1 (ko) 2020-10-26 2020-10-26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9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13455T2 (de) * 1992-09-21 1998-03-26 Procter & Gamble Feuchthaltende lippenstiftzusammensetzungen
KR20180047530A (ko) * 2016-10-31 2018-05-10 (주)아모레퍼시픽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35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733B2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thickener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69821180T2 (de) Stabile topische Zusammensetzungen mit einem festen elastomerischen Organopolysiloxan und sphärischen Partikeln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A56991C2 (uk) Практично безводна косме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місцев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олівець для очей та косметична плівкоутворювальна система
FR3090371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à effet matifiant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US9931293B2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minimizing skin imperfections
KR100845731B1 (ko)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CN111317673A (zh) 一种添加油莎草根油的隔离霜及其制备方法
EP2964336B1 (en) Colour changing composition in emulsion form comprising a partially neutralized, crosslinked acrylic homopolymer or copolymer
KR102161124B1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7915B1 (ko) 글리세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025875B (zh) 包括乳化的亲水性胶凝剂的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6078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3190B1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US20200214948A1 (en) Solid w/o cosmetic composition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9629A (ko)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