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789A -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789A
KR20230040789A KR1020210124321A KR20210124321A KR20230040789A KR 20230040789 A KR20230040789 A KR 20230040789A KR 1020210124321 A KR1020210124321 A KR 1020210124321A KR 20210124321 A KR20210124321 A KR 20210124321A KR 20230040789 A KR20230040789 A KR 2023004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rt
electric charging
vehicle
housing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789A/ko
Publication of KR2023004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되 상단에는 힌지 핀을 사이에 연결한 복수의 힌지 브래킷이 돌출되고 하단에는 잠금 핀이 일부 노출된 잠금 브래킷이 돌출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감싸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PROTECTION COVER FOR ELECTRICITY CHARGING INLE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 등에 설치된 전기 충전구는 이물질 및 수분 유입 시 화재나 감전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충전 도어 내에 작은 보호 커버로 충전구를 막는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충전을 위해선 분리가 돼야 하기 때문에 충전 과정에서는 충전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없었다. 특히, 종래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우천 시에 전기 충전을 할 경우 충전구와 충전기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을 막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전기 충전소는 야외에 있고, 지붕이 있더라도 충전기를 걸어 두는 곳만 부분적으로 지붕이 있는 충전소가 많기 때문이다. 이는 강수량이 많은 날에 전기 충전을 하는 동안 충전구 주변에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를 충전하는 과정에서도 충전구와 충전기 사이로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되, 상단에는 힌지 핀을 사이에 연결한 복수의 힌지 브래킷이 돌출되고, 하단에는 잠금 핀이 일부 노출된 잠금 브래킷이 돌출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감싸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리드부는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개방 시, 전기 충전구의 전면 상단부 및 측면 주변부를 감싸서 전기 충전구와 충전기 사이로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부는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덮는 전면 덮개와, 전면 덮개의 측면에 연장되되, 하우징부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전기 충전구의 주변부를 감싸는 측면 덮개를 포함한다.
전면 덮개는 하우징부의 힌지 핀상에 연결되는 슬릿을 가지며, 슬릿을 통해 힌지 핀의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 브래킷과, 하우징부의 잠금 핀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하우징부는 상단 일부 구간에 힌지 핀과 이격된 채로 연결 브래킷의 일단부와 맞닿는 걸림 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턱은 연결 브래킷이 슬릿의 길이 방향상에서 승강 조절됨에 따라 연결 브래킷의 일단부와 맞닿을 시, 연결 브래킷의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브래킷의 타단부는 챔퍼링(Chamfering) 가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측면 덮개는 전면 덮개가 힌지 핀을 축으로 하여 회동 시, 그 회동 경로를 따라 하우징부의 내측면을 관통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감싸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리드부는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덮는 전면 덮개와, 전면 덮개의 측면에 연장되되, 하우징부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전기 충전구의 주변부를 감싸는 측면 덮개를 포함한다.
전면 덮개는 상단부가 하우징부의 상단부와 힌지 연결된 회동 가능한 구조이고, 하단부가 하우징부의 하단부와 스냅 핏(Snap-fit) 체결될 수 있다.
측면 덮개는 전면 덮개가 회동 시, 그 회동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을 관통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부는 상단의 양측에 상호 이격된 채로 상향 돌출된 복수의 힌지 브래킷; 복수의 힌지 브래킷 사이를 이으며, 전면 덮개의 상단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핀;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걸림 턱; 하단의 일부 구간에 하향 돌출된 잠금 브래킷; 및 잠금 브래킷상에 일부가 노출된 채로 연결된 잠금 핀을 포함한다.
전면 덮개는 힌지 핀상에 연결되는 슬릿을 가지며, 슬릿을 통해 힌지 핀의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 브래킷과, 잠금 핀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연결 브래킷은 선택적으로 슬릿의 길이 방향상에서 승강 조절됨에 따라 걸림 턱과 맞닿아 고정된다.
클립은 상하 양단부 사이가 벌어진 V자 형상을 갖되, 벌어진 양단부 사이로 잠금 핀이 체결될 시 잠금 핀을 상하에서 압박해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일면이 개방된 채로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리드부는 하우징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하우징부의 일면을 개방할 시에는 일정 구간에서 잠금돼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하우징부의 일면을 폐쇄할 시에는 일정 높이만큼 이동하여 잠금이 해제된 후 회전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부는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덮는 전면 덮개와, 전면 덮개의 측면에 연장되되, 하우징부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전기 충전구의 주변부를 감싸는 측면 덮개를 포함한다.
전면 덮개는 하우징부의 힌지 핀상에 연결되는 슬릿을 가지며, 슬릿을 통해 힌지 핀의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 브래킷과, 하우징부의 잠금 핀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는 내측 양단에 리드부의 개폐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홀은 일부 구간에 어느 한 측으로 함몰된 걸림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리드부는 외측 양단에 돌출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리드부는 하우징부의 일면을 개방 시, 전기 충전구의 전면 상단부 및 측면 주변부를 감싸서 전기 충전구로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는, 차량에 전기를 충전하는 과정에서도 충전구와 충전기 사이로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누전 및 감전 문제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우천 시에도 안전하게 전기 충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B-B'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8에 표시된 C의 부분 확대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표시된 D-D'의 단면을 바탕으로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좌표계 표시
본 발명의 도면에 표시된 X, Y, Z축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 좌표축을 기준으로 점이나 벡터의 좌표를 표시하는 삼차원 직각좌표계를 나타낸 것이다.
해당 좌표계에서의 X축은 설명의 편의상 차체를 기준으로 차체의 폭 방향(측방)을 향하는 축이고, Y축은 차체의 길이 방향 전, 후방 측을 향하는 축이고, Z축은 차체의 상, 하(천장, 바닥)를 향하는 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X, Y, Z축 방향은 각 축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을 포함한다.
X축의 양의 방향은 차체의 폭 방향 우측을 의미하고, X축의 음의 방향은 차체의 폭 방향 좌측을 의미한다. Y축의 양의 방향은 전방 상측을 의미하고, Y축의 음의 방향은 후방 하측을 의미한다. Z축은 양의 방향은 차체의 천장 방향을 의미하고, Z축의 음의 방향은 차체의 바닥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각 축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일괄적으로 같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준점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X축의 양의 방향은 차체의 폭 방향 우측을 의미하고, X축의 음의 방향은 차체의 폭 방향 좌측을 의미하지만, 양과 음의 방향은 어느 한 기준점을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그 기준점은 각각의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되거나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에 표시된 B-B'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용 보호 커버(100)는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러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충전용 보호 커버(100)의 위치는 전기 충전구(10)의 위치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충전용 보호 커버(100)는 차량(1)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기 충전용 보호 커버(100)는 크게 하우징부(110)와, 리드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차량(1)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10)의 측면을 감싼다. 이러한 하우징부(110)는 힌지 브래킷(111), 힌지 핀(112), 잠금 브래킷(114) 및 잠금 핀(115)을 포함한다.
힌지 브래킷(111)은 하우징부(110)의 상단 양측에 각각 돌출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된 채로 하우징부(110)의 상단에 상향 돌출된다. 이때, 힌지 브래킷(111)은 다른 예로서, 상단 양측부가 돌출된 채로 중앙부가 함몰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힌지 핀(112)은 복수의 힌지 브래킷(111) 사이를 이으며, 리드부(120)의 상단을 힌지 연결한다. 만약, 힌지 브래킷(111)이 일체형 구조일 경우에는, 힌지 핀(112)은 힌지 브래킷(111)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힌지 브래킷(111)의 상단 양측부를 잇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브래킷(114)은 하우징부(110)의 하단에 하향 돌출된다. 이러한 잠금 브래킷(114)은 하우징부(110)의 하단 중에서 일부 구간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 핀(115)은 잠금 브래킷(114)상에 일부가 노출된 채로 연결된다.
이어서, 리드부(120)는 하우징부(110)와 연결되어 전기 충전구(10)의 전면을 감싸 개폐한다.
이때, 리드부(120)는 전기 충전구(10)의 전면을 개방 시, 전기 충전구(10)의 전면 상단부 및 측면 주변부를 감싸서 전기 충전구(10)로 외부의 이물질 및/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드부(120)는 전면 덮개(121)와 측면 덮개(124)를 포함한다.
전면 덮개(121)는 전기 충전구(10)의 전면을 덮는다. 이러한 전면 덮개(121)는 상단부가 하우징부(110)의 상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가 하우징부(110)의 하단부와 스냅 핏(Snap-fit) 체결될 수 있다.
가령, 전면 덮개(121)의 상단부는 두 개로 분할된 힌지 브래킷(111) 사이에 연결된 힌지 핀(112)과 힌지 연결되어, 가상의 축선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전면 덮개(121)의 하단부에는 잠금 핀(115)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123)이 배치된다. 이때, 클립(123)은 상하 양단부 사이가 벌어진 V자 형상을 갖는다. 클립(123)은 벌어진 양단부 사이로 잠금 핀(115)이 체결될 시, 잠금 핀(115)을 상하에서 압박해 고정한다. 여기서, 클립(123)은 전면 덮개(121)의 내측 방향(Y축의 음의 방향)으로 일면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덮개(124)는 전면 덮개(121)의 측면에 연장된다. 측면 덮개(124)는 하우징부(110)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전기 충전구(10)의 주변부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 덮개(124)는 전면 덮개(121)가 힌지 핀(112)을 축으로 하여 회동 시, 그 회동 경로를 따라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을 관통한 채로 전후 방향(Y축의 양과 음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가 폐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리드부(120)는 하우징부(11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하우징부(110)의 일면을 개방할 시에는 일정 구간에서 잠금돼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하우징부(110)의 일면을 폐쇄할 시에는 일정 높이만큼 이동하여 잠금이 해제된 후 회전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리드부(120)의 전면 덮개(121)는 연결 브래킷(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122)은 하우징부(110)의 힌지 핀(112)상에 연결되는 슬릿(122a)을 가지며, 슬릿(122a)을 통해 힌지 핀(112)의 축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연결 브래킷(122)은 선택적으로 슬릿(122a)의 길이 방향상에서 승강 조절됨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상단 중앙부에 돌출된 걸림 턱(113)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 턱(113)은 힌지 핀(112)과 이격된 채로 연결 브래킷(122)의 일단부와 맞닿는다.
걸림 턱(113)은 연결 브래킷(122)이 슬릿(122a)의 길이 방향상에서 승강 조절됨에 따라 연결 브래킷(122)의 일단부와 맞닿을 시, 연결 브래킷(122)의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122)의 타단부는 챔퍼링(Chamfering) 가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변형 실시예로서, 하우징부(110)는 내측 양단에 리드부(120)의 개폐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홀은 일부 구간에 어느 한 측으로 함몰된 걸림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리드부(120)는 외측 양단에 돌출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리드부(120)는 하우징부(110)의 일면을 개방 시, 전기 충전구의 전면 상단부 및 측면 주변부를 감싸서 전기 충전구로 이물질 및/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차량 10: 전기 충전구
100: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10: 하우징부
111: 힌지 브래킷 112: 힌지 핀
113: 걸림 턱 114: 잠금 브래킷
115: 잠금 핀 120: 리드부
121: 전면 덮개 122: 연결 브래킷
122a: 슬릿 123: 클립
124: 측면 덮개

Claims (20)

  1.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되, 상단에는 힌지 핀을 사이에 연결한 복수의 힌지 브래킷이 돌출되고, 하단에는 잠금 핀이 일부 노출된 잠금 브래킷이 돌출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감싸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개방 시,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 상단부 및 측면 주변부를 감싸서 상기 전기 충전구와 충전기 사이로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덮는 전면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의 측면에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상기 전기 충전구의 주변부를 감싸는 측면 덮개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는
    상기 하우징부의 힌지 핀상에 연결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힌지 핀의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부의 잠금 핀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단 일부 구간에 상기 힌지 핀과 이격된 채로 상기 연결 브래킷의 일단부와 맞닿는 걸림 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턱은
    상기 연결 브래킷이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상에서 승강 조절됨에 따라 상기 연결 브래킷의 일단부와 맞닿을 시, 상기 연결 브래킷의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래킷의 타단부는 챔퍼링(Chamfering) 가공된 구조를 갖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덮개는
    상기 전면 덮개가 상기 힌지 핀을 축으로 하여 회동 시, 그 회동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을 관통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7.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감싸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덮는 전면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의 측면에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상기 전기 충전구의 주변부를 감싸는 측면 덮개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는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하단부와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덮개는
    상기 전면 덮개가 회동 시, 그 회동 경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을 관통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단의 양측에 상호 이격된 채로 상향 돌출된 복수의 힌지 브래킷;
    상기 복수의 힌지 브래킷 사이를 이으며, 상기 전면 덮개의 상단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핀;
    상단의 중앙부에 돌출된 걸림 턱;
    하단의 일부 구간에 하향 돌출된 잠금 브래킷; 및
    상기 잠금 브래킷상에 일부가 노출된 채로 연결된 잠금 핀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는
    상기 힌지 핀상에 연결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힌지 핀의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 브래킷과,
    상기 잠금 핀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래킷은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상에서 승강 조절됨에 따라 상기 걸림 턱과 맞닿아 고정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하 양단부 사이가 벌어진 V자 형상을 갖되, 벌어진 양단부 사이로 상기 잠금 핀이 체결될 시 상기 잠금 핀을 상하에서 압박해 고정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4. 일면이 개방된 채로 차량에 구비된 전기 충전구의 측면을 감싸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개방할 시에는 일정 구간에서 잠금돼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폐쇄할 시에는 일정 높이만큼 이동하여 잠금이 해제된 후 회전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을 덮는 전면 덮개와,
    상기 전면 덮개의 측면에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일부 구간을 관통한 채로 상기 전기 충전구의 주변부를 감싸는 측면 덮개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덮개는
    상기 하우징부의 힌지 핀상에 연결되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힌지 핀의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결 브래킷과,
    상기 하우징부의 잠금 핀과 스냅 핏(Snap-fit) 체결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내측 양단에 상기 리드부의 개폐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일부 구간에 어느 한 측으로 함몰된 걸림 홈을 구비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외측 양단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을 개방 시, 상기 전기 충전구의 전면 상단부 및 측면 주변부를 감싸서 상기 전기 충전구로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KR1020210124321A 2021-09-16 2021-09-16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KR20230040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21A KR20230040789A (ko) 2021-09-16 2021-09-16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21A KR20230040789A (ko) 2021-09-16 2021-09-16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789A true KR20230040789A (ko) 2023-03-23

Family

ID=8579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321A KR20230040789A (ko) 2021-09-16 2021-09-16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7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8377C (en) Cable guide comprising multi-axially angle-adjustable links
US10135229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EP2623351B1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charging port cover
RU2536034C1 (ru) Лючок порта зарядки и конструкция порта зарядки
JP647745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US20120085766A1 (en) Waterproof box
DE112011103303T5 (de) Ladeanschluss
US20200076139A1 (en) Socket for Connecting a Trailer Plug Connector
CN102116909B (zh) 用于光纤适配器接口的安全装置
WO2018009004A1 (ko) 자동차용 트레이
KR101430950B1 (ko) 도어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KR20230040789A (ko) 차량의 전기 충전구용 보호 커버
US20140111075A1 (en) Electrical Housing with Laterally-Pivoting Hood
CN109964547B (zh) 用于控制器的壳体和用于该壳体的盖罩
KR10263438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CN113385610B (zh) 电线导向装置
JP2006501093A (ja) 自動車の後部トランクに収納された物の保護装置
US20210086801A1 (en) Control device for railway vehicle
EP1816718B1 (en) Recessed tower for floor-mounted electrical installations, with removable cover
JP2007083854A (ja) スライドドアの配線構造
CN211935325U (zh) 一种登高车操控台和登高车
KR0126195Y1 (ko) 차량 콘솔박스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CN220235163U (zh) 显示盒和空调器
JP7235550B2 (ja) プロテクタ
US20240167519A1 (en) Foldable pto shaft protection c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