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383B1 -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383B1
KR102634383B1 KR1020210150666A KR20210150666A KR102634383B1 KR 102634383 B1 KR102634383 B1 KR 102634383B1 KR 1020210150666 A KR1020210150666 A KR 1020210150666A KR 20210150666 A KR20210150666 A KR 20210150666A KR 102634383 B1 KR102634383 B1 KR 10263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harging
cover
electric vehicle
so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970A (ko
Inventor
정태호
허순우
이한규
Original Assignee
대영코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코어텍(주) filed Critical 대영코어텍(주)
Priority to KR1020210150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 커플러와 결합되는 수용부를 갖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수용부 내측에 배열되는 인렛부; 및 상기 소켓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렛부는 메인단자부와, AC단상 5핀 또는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단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충전소켓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도입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소켓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AC단상 5핀이나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 편의성을 확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Dur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socket}
본 발명은 충전소켓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도입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소켓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AC단상 5핀이나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 편의성을 확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차 충전장치에서 충전소켓은 충전케이블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충전장치에 거치된다. 이 경우 충전소켓 역시 충전장치에 거치됨으로써 상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빗물, 습기,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의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문제로 충전장치의 고장이나, 전기 합선 등에 의한 화재나, 인명피해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기존의 충전소켓은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커플러를 연결하는 경우 충전소켓과 충전커플러간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충전소켓이 충전커플러에서 분리되어 추락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충전소켓은 바닥과의 충돌로 파손이나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충전소켓을 교체하거나 또는 수리하는 등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용 지출을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5451호(2021.01.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전소켓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도입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소켓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AC단상 5핀이나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 편의성을 확대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버를 개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커플러에 커버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소켓과 충전커플러간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한 충전소켓의 추락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충전소켓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전소켓의 소재로서 PA66-GF 15%(Polyamide66-Grass Fiber 15%)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소재인 PBT 소재의 문제점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은 충전 커플러와 결합되는 수용부를 갖는 소켓바디; 상기 소켓바디의 수용부 내측에 배열되는 인렛부; 및 상기 소켓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렛부는 메인단자부와, AC단상 5핀 또는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단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켓바디, 인렛부 및 커버는 PA66-GF 15%(Polyamide66-Grass Fiber 15%)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는 상기 소켓바디의 수용부를 덮는 개폐플레이트과, 상기 소켓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가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전기차의 충전커플러에 상기 커버가 거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돌기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변형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에는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의 삽입부에는 상기 소켓바디의 수용부 내측면에 접하도록 원주면 상에 기밀부재가 안치되는 요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의 개폐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을 위한 파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은 충전소켓을 덮을 수 있는 커버를 도입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소켓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AC단상 5핀이나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 편의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개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커플러에 커버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소켓과 충전커플러간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한 충전소켓의 추락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충전소켓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소켓의 소재로서 PA66-GF 15%(Polyamide66-Grass Fiber 15%)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소재인 PBT 소재의 문제점인 내구성을 71%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켓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바디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렛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은 소켓바디(10), 인렛부(20), 소켓아웃렛 및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바디(10)는 인렛부(20), 소켓아웃렛이 내부에 내장되고, 커버(3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소켓바디(10)는 원통형 형태의 수용부(11)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수용부(11)의 후단에 사각패널 형태의 장착부(12)가 구비되어 충전장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켓바디(10)의 장착부(1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커버(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부(13)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렛부(20)는 소켓바디(1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단자부가 형성되어 전기차의 충전커플러를 통해 전기차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인렛부(20)는 전방에 원판 형태의 삽입부(21)와, 삽입부(21)에 연결되어 전방, 즉 소켓바디(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단자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단자부는 5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5개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렛부(20)의 단자부는 3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메인단자부(22)와, 5핀 내지 220V 콘센트용 단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조단자부(23)로 구성된다.
이는 기존의 충전소켓의 경우 3핀을 수용하는 메인단자부(22)만 구비되어 있어 충전커플러가 이에 대응되는 핀 수가 맞지 않는 경우 충전을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기차의 구매 시, 이동형 충전기를 판매처에서 지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형 충전기의 경우에는 일반 220V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통상적인 3핀의 충전단자를 갓는 충전소켓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AC단상 5핀이나, 일반 220V 콘센트용인 이동형 충전기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단자부(23)를 도입하여 호환성을 높이고 있다. 즉 5핀 단자는 메인단자부(22)와 보조단자부(23)에 단자가 연결되고, 이동형 충전기인 콘센트용 단자는 보조단자부(23)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소켓바디(10)에는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 내측에 구비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14)가 구비되고, 인렛부(20)의 삽입부(21)는 소켓바디(10)의 결합부(14)에 내장되는 형태로 삽입된다. 이 경우 인렛부(20)의 삽입부(21)와 소켓바디(10)의 결합부(14) 간의 결합력을 보장하기 위해 소켓바디(10)의 결합부(14) 후방에는 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인렛부(20)의 삽입부(21) 가장자리에는 결합돌기(15)가 삽입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상호간의 결합을 통해 인렛부(20)가 소켓바디(10)의 결합부(14)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부(14)의 전단부에는 인렛부(20)의 단자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단자부의 위치에 그 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위치고정판(16)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30)는 소켓바디(10)에 결합되어 충전커플러가 결합되는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커버(30)는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를 덮는 개폐플레이트(31)과, 개폐플레이트(31)에 연결되어 개폐플레이트(31)가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결합부(32)와, 개폐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에 끼워지는 끼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커버(30)의 개폐플레이트(3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힌지결합부(32)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힌지결합부(32)는 개폐플레이트(31)의 상단에 구비되어 소켓바디(10)의 결합돌부(13)에 힌지핀(32a)에 의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플레이트(31)는 힌지핀(32a)을 회전축으로 선회하여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의 전단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커버(30)의 삽입부(21)는 개폐플레이트(31)에 의하여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가 폐쇄되는 경우 수용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원주면은 수용부(11)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의 끼움부(33)가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 내면에 접하면서 끼워짐으로써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만 기밀유지 기능을 보다 배가시키기 위해 커버의 끼움부(33)에는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 내측면에 접하도록 원주면 상에 요홈(34)이 형성되고, 이 요홈(34)에 오링과 같은 기밀부재가 안치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밀부재가 커버의 끼움부(33)에 구비됨으로써 기밀성능이 향상됨으로써 빗물이나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커버(30)를 보다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커버(30)의 개폐플레이트(31) 하단에 파지부(35)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충전을 위해 커버(30)를 개방하는 경우 파지부(35)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 올려 쉽게 개방하고, 충전 후에도 파지부(35)를 잡고 하방으로 내려 커버(30)를 쉽게 닫을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충전소켓에 충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커플러를 연결하는 경우 충전소켓과 충전커플러 간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충전소켓이 충전커플러에서 분리되어 추락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충전소켓은 바닥과의 충돌로 파손이나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폐플레이트(31)의 내측에 고정돌기부(36)를 형성하여 충전 중에 전기차의 충전커플러에 커버(30)를 거치하여 충전소켓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커버(30)의 개폐플레이트(31)와 고정돌기부(36)는 대략 90각도로 이루어져 고정돌기부(36)가 갈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가능하다.
즉 전기차를 충전하는 경우 커버(30)를 개방한 후, 충전커플러에 충전소켓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커버(30)를 하방으로 내리면 고정돌기부(36)가 갈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여 충전커플러에 몸체에서 각진 부분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충전소켓과 충전커플러가 불완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버(30)에 연결되는 고정돌기부(36)에 의하여 충전소켓이 충전커플러로부터 분리되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돌기부(36)는 몸체부(36a)와, 몸체부(36a)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변형부(36b)와, 몸체부(36a)의 전단에는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36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돌기부(36)과 거치되는 다양한 구조의 충전커플러에 대하여 호환성을 대비한 것으로 충전커플러에 고정돌기부(36)가 거치되지 않거나, 또는 고정돌기가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변형부(36b)는 충전커플러의 삽입구의 사이즈 대비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함으로써 수용성을 높이고, 또한 테이퍼부(36c)는 고정돌기부(36)의 삽입 시, 진입이 쉽도록 함으로써 결합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충전소켓은 충전케이블 단부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장치에 거치되는 구조로 충전소켓은 상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빗물, 습기,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의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문제로 충전장치의 고장이나, 전기 합선 등에 의한 화재나, 인명피해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충전소켓을 커버로 덮어 비충전 시에 빗물, 습기,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충전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단선이나 합성 등에 의한 화재나 인명피해를 줄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추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시, 개방된 커버(30)를 충전커플러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충전소켓이 추락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충전소켓의 고장이나, 파손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나, 유지관리를 위한 작업에 의하여 비효율성을 해결할 수 있다.
기존 충전소켓은 주로 PBT(Poly Butylene Terephthalate)를 사용하였고, 이 소재의 인장강도는 54MPa, 충격강도는 3.5kh/m2, 연신율은 2%의 물성치를 가지고 있다. 기존 소재를 PA66-GF 15%(Polyamide66-Grass Fiber 15%)로 대체하는 경우 인장강도는 120MPa, 충격강도는 6kh/m2, 연신율은 4%로 물성치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인장강도가 대략 2배 이상 증대되어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고, 동시에 충격강도 역시 대략 2배 이상 증대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소켓, 즉 소켓바디(10), 인렛부(20) 및 커버(30)의 소재를 PA66-GF 15%(Polyamide66-Grass Fiber 15%)로 채택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소켓바디
11 : 수용부 12 : 장착부
13 : 결합돌부 14 : 결합부
15 : 결합돌기 16 : 위치고정판
20 : 인렛부
21 : 삽입부 22 : 메인단자부
23 : 보조단자부 24 : 결합홈
30 : 커버
31 : 개폐플레이트 32 : 힌지결합부
32a : 힌지핀 33 : 끼움부
34 : 요홈 35 : 파지부
36 : 고정돌기부 36a : 몸체부
36b : 변형부 36c : 테이퍼부

Claims (7)

  1. 충전커플러와 결합되는 수용부(11)를 갖는 소켓바디(10);
    상기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 내측에 배열되는 인렛부(20); 및
    상기 소켓바디(1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1)를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렛부(20)는 메인단자부(22)와, AC단상 5핀 또는 이동형 충전기의 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단자부(23)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바디의 수용부(11) 내측에 구비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인렛부(20)에는 전방에 원판 형태의 삽입부(21)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14)에 삽입되되,
    상기 결합부(14) 후방에는 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돌기(15)가 삽입되는 결합홈(2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4)의 전단부에는 인렛부(20)의 메인단자부(22)와 보조단자부(23)를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단자부(22)와 보조단자부(23)의 위치에 그 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위치고정판(1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바디(10), 인렛부(20) 및 커버(30)는 PA66-GF 15%(Polyamide66-Grass Fiber 15%)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를 덮는 개폐플레이트(31)과,
    상기 소켓바디(10)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플레이트(31)가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힌지결합부(32)와,
    상기 개폐플레이트(31)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11)에 끼워지는 끼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플레이트(31)의 내측에는 전기차의 충전커플러에 상기 커버(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고정돌기부(36)는
    몸체부(36a)와, 상기 몸체부(36a) 상부에 배치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변형부(36b)와, 상기 몸체부(36a)의 전단에는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36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끼움부(33)에는 상기 소켓바디(10)의 수용부(11) 내측면에 접하도록 원주면 상에 기밀부재가 안치되는 요홈(3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개폐플레이트(31)에는 상기 커버(30)의 개폐 동작을 위한 파지부(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KR1020210150666A 2021-11-04 2021-11-04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KR10263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666A KR102634383B1 (ko) 2021-11-04 2021-11-04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666A KR102634383B1 (ko) 2021-11-04 2021-11-04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970A KR20230064970A (ko) 2023-05-11
KR102634383B1 true KR102634383B1 (ko) 2024-02-06

Family

ID=8637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666A KR102634383B1 (ko) 2021-11-04 2021-11-04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4503B (zh) * 2023-12-11 2024-03-22 深圳市首诺信电子有限公司 一种单封闭式双插孔车载充电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182616U (zh) * 2020-05-20 2020-12-18 江西帝硕科技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母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703B1 (ko) * 2010-11-30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전 플러그 고정장치
KR101779002B1 (ko) * 2011-03-09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렛커넥터용 커버장치
KR101803576B1 (ko) * 2011-08-29 2017-11-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차용 충전 플러그
KR102205451B1 (ko) 2019-08-19 2021-01-20 대영코어텍(주) 핸들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충전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KR20210126199A (ko) * 2020-04-09 2021-10-20 주식회사 스칼라데이터 Can-plc 데이터 통신 호환 충전 어댑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182616U (zh) * 2020-05-20 2020-12-18 江西帝硕科技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母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970A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38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소켓
CN104584335A (zh) 充电入口装置
CN216684631U (zh) 一种带有自锁及回弹功能的防尘装置及一种充电装置
CN103700967B (zh) 插头插座
CN101394040A (zh) 连接适配器
CN109256627A (zh) 一种柔性石墨防雷接地体的连接器
CN114056440A (zh) 一种带有自锁及回弹功能的防尘装置及一种充电装置
TWI407651B (zh) 電子插座
US8492015B2 (en) Battery fuse terminal cover with latch
CN102403609A (zh) 可使用工具分离的太阳能连接器
CN215413886U (zh) 电连接组件和检测装置
CN211818369U (zh) 一种充电插接组件及立体车库
CN206506058U (zh) 一种连接器接插端防护装置
JPH05328532A (ja) 懸垂式充電機
JP2010260695A (ja) コネクタ構造
KR100967198B1 (ko) 배전용 전선라인의 위치고정식 접속플레이트
CN210607864U (zh) 供电装置及电动自行车
CN102904113A (zh) 充电插座及插头
CN112688113A (zh) 带活动盖板的工业插座
CN212002530U (zh) 一种立体车库
CN219856835U (zh) 一种带报警功能的充电转接头及新能源汽车
JP6818302B2 (ja) 車両用蓄電池接続カプラ
CN218123771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插头及充电桩
KR102340669B1 (ko) 커넥터 클립과 이를 갖춘 전지 충방전기용 전원선 연결유닛
CN210174600U (zh) 一种agv电池箱供电锁止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