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884A -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884A
KR20230039884A KR1020210122642A KR20210122642A KR20230039884A KR 20230039884 A KR20230039884 A KR 20230039884A KR 1020210122642 A KR1020210122642 A KR 1020210122642A KR 20210122642 A KR20210122642 A KR 20210122642A KR 20230039884 A KR20230039884 A KR 20230039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liver disease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rived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준
홍태호
김옥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884A/ko
Priority to PCT/KR2022/013640 priority patent/WO2023043152A1/ko
Publication of KR2023003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88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using microencapsulation, e.g. using amphiphile liposome ves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3Adipocytes; Adipose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Rheuma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외소포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간섬유화 치료 분야, 특히 임상적 적용 기술로 응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Target exosom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재조합 발현벡터로부터 형질전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간섬유화(Liver fibrosis)는 만성 간내 염증으로 인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과다한 침착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세포외 기질의 과다한 침착으로 만성간질환이 지속되는 경우 결국은 간내 구조의 변형과 간세포수의 감소로 간경변으로 진행된다.
간섬유화는 만성간염이 지속되면서 염증과 치유를 반복하고 그에 대한 수복현상(Reparation)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섬유화가 더욱 진행되면 간경변으로 진행된다. 간섬유화 및 간경변 진단에 최적의 방법은 간조직 생검으로 알려져 있으나, 침습적이고 통증과 출혈을 동반하여 혈액응고 장애의 한계가 존재한다.
엑소좀은 그 크기가 30-100nm에 불과하지만, 원세포에 들어있는 단백질, 핵산, 지질 등 여러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로서, 면역세포나 줄기세포 등 우리 지방유래줄기세포가 분비하는 나노입자이다. 엑소좀의 세포간 정보 전달체 역할을 하는 기능이 알려지면서 차세대 항암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외소포체(EV: extracellular vesicle)를 이용하여 miRNA를 활성화된 간섬유화세포(HSCs: hepatic stellate cells)에 전달함으로써 활성화된 간섬유화세포를 억제시켜 간섬유화를 효율적으로 저해하는 신규 표적요법을 구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1-0086986호 (2021.07.09)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외소포체를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세포외소포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된 세포외소포체에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핵산을 형질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외소포체를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발현벡터"는 선형 DNA 벡터, 플라스미드 DNA 벡터 및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형질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벡터들은 모두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발현벡터는 pDisplay 벡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세포외소포체"는 세포에서 유래되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구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세포외소포체는 자연계, 예컨대 식물, 동물,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세포외 소포체 또는 인공적으로 제조된 세포외소포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는 자연계 생물 개체로부터 분리된 세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외소포체"는 엑소좀(exosome), 엑토솜(ectosome) 또는 미세소포(microvesicle)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체"는 엑소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엑소좀"은 다양한 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막 구조의 작은 소낭으로서, 다낭체와 원형질막의 융합이 일어나 세포 밖 환경으로 방출되는 소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은 지방유래줄기세포로부터 유래 또는 분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은 50 내지 15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소좀은 1 내지 50 μL/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줄기세포(stem cells)"는 미분화 상태에서 적절한 조건을 맞춰주면 다양한 조직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만능세포로서 다양한 유래의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줄기세포는 골수유래줄기세포, 제대혈유래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지방유래줄기세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수유래줄기세포, 제대혈유래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줄기세포는 인체 또는 동물유래 줄기세포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지방유래줄기세포"는 지방 조직으로부터 유래한 줄기세포로서, 다분화능 및 자기증식능을 가진 세포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지방유래줄기세포는 지방흡입술 및 다양한 외과적 수술을 통해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은 줄기세포 등 호스트세포의 엑소좀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HSC, hepatic stellate cell)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도록 형질전환되어 간성상세포에 표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은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핵산이 형질주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형질주입"은 동물세포에 DNA 또는 RNA를 직접 도입하여 세포의 유전형질을 변이시키는 방법을 의미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칼슘 인산염 형질주입법(calcium phosphate transfection), 리포펙션법(lipofection),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미량주사법(microinjection), 마이크로프로젝틸법(microprojectile)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진핵생물의 경우 DNA인산칼슘침전법 또는 리포펙션, PEI 등의 상품화된 시약과 DNA를 혼합하여 세포를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핵산"은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삽입되어 세포외소포체로 발현 시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코딩할 수 있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핵산"은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핵산으로서, 간섬유화 유전자를 발현하는 핵산과 결합 또는 간섬유화 유전자와 직접 결합하여 발현을 억제시키는 방식으로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핵산"은 miRNA, siRNA, shRNA, 안티센스 RNA 및 리보자임(ribozym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핵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miRNA 및 siRN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핵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세포외소포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된 세포외소포체에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핵산을 형질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발현벡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세포외소포체"는 엑소좀(exosome), 엑토솜(ectosome) 또는 미세소포(microvesicle)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체"는 엑소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배지"는 지방유래줄기세포 배양배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유래줄기세포 배양배지는 지방유래줄기세포를 FBS(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및 P/S(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 high low glucose 배지 또는 FBS-Free DMEM low glucose로 배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간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간질환을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치료,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상기 간질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간섬유증,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또는 간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간섬유증 또는 간경화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외소포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간섬유화 치료 분야, 특히 임상적 적용 기술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발현벡터를 통하여 세포외소포체에 타겟팅 펩타이드를 발현시켜 표적 세포인 HSC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HSC 표면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백질을 세포외소포체의 표면에 발현시키고, 세포외소포체의 내부에는 anifibrogenic miRNA를 탑재하여 섬유화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가 형질주입된 엑소좀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현벡터가 형질주입된 엑소좀의 유세포분석기 (FAC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가 형질주입된 엑소좀의 간성상세포에서 간섬유화 유발인자들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발현벡터가 형질주입된 엑소좀의 간성상세포에서 간섬유화 유발인자들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BALB/C Nude mouse에 TAA를 복강주사에 의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간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BALB/C Nude mouse에 TAA를 복강주사에 의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외형 관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BALB/C Nude mouse에 TAA를 복강주사에 의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Masson staining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BALB/C Nude mouse에 TAA를 복강주사에 의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COL1A1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BALB/C Nude mouse에 TAA를 복강주사에 의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α-SMA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BALB/C Nude mouse에 TAA를 복강주사에 의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TIMP1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의 표적 엑소좀 제작 및 확인
본 발명의 표적 엑소좀을 제작하기 위하여 지방유래줄기세포를 사용하여 엑소좀을 추출하였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표적 엑소좀을 생산하기 위한 donor cells로서 지방유래줄기세포를 사용하였지만, NK세포와 같은 면역세포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지방유래줄기세포를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형질감염시약(lipofectamine, invitrogen)을 사용하여 pDisplay 벡터(invitrogen)에 간성상세포(HSC)의 PDGFR(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를 표적하는 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TGC TCC CGG AAT CTC ATA GAC TGT)로 형질도입(transduction)시켰다. 상기 벡터를 클로닝한 후 해당 벡터를 지방유래줄기세포에 삽입하여 표적 엑소좀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표적 엑소좀을 추출하기 위하여 지방유래줄기세포를 10% FBS(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 low glucose 배지에서 37℃, 5% CO2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상기 배지를 FBS-Free DMEM low glucose로 배지를 교환하였으며, 배지 교환 후 24시간 경과 후 지방유래줄기세포의 배양 배지를 걷어 분별원심분리(differential centrifugation) 방법으로 1000rpm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세포가 제거된 배양 배지를 thermo exosome 추출 kit(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간성상세포를 표적하는 엑소좀을 확보하였다.
여기에, 상기 과정을 통하여 확보한 표적 엑소좀에 Exosome transfection reagent인 Exo-Fect kit(SBI System biosciences)을 사용하여 miRNA를 표적 엑소좀 내에 형질주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간성상세포 수용체에 표적이 가능한 엑소좀을 추가적으로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의 표적 엑소좀의 특성 분석
본 발명의 간성상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표적 엑소좀에 대한 구조 분석을 위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 및 유세포분석기 (FACs)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유세포 분석기(FACs) 및 TEM 분석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지방유래줄기세포 배양액에서 분리된 엑소좀은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구형 구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세포분석기 (FACS)를 이용하여 조혈모세포 내에서 세포사멸과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인자인 c-Myc가 기존 엑소좀(EV) 처리 대비, 본 발명의 표적 엑소좀 처리 시 FITC-/PE-에서 FITC+/PE+로의 발현됨을 확인하였다(도 2 및 도 3).
실시예 3. 간성상세포에서의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표적 엑소좀의 효능 평가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대비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가 클로닝된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간섬유증 표적 엑소좀의 항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간성상세포에서 20ng/ml TGF-β1를 사용하여 활성화 상태를 구현한 후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t-EV),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EV+miRNA150)를 처리하여 섬유화 유발인자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간 조직이 손상되면 간세포(hepatocyte)나 쿠퍼세포에서 TGF-β가 분비되어 간 성상세포(HSC)를 활성시켜 간섬유화가 촉진된다.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서 TGF-β1 처리에 의해 섬유화 유발인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서 TGF-β1 처리에 의해 섬유화 유발인자인 Collagen I 및 α-SMA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EV+miRNA150) 처리에 의하여 Collagen I 및 α-SMA의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실시예 4.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표적 엑소좀의 효능 평가
BALB/C Nude mouse(in vivo)에 티오아세트아미드(thioacetamide; TAA) 200mg/ml를 복강주사하여 간병변 모델을 구축하였다.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이용하여 간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에서의 간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엑소좀(Normal),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t-EV),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EV+miRNA150), TAA 처리(TAA), TAA 처리 및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TAA+t-EV) 및 TAA 처리 및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AA+t-EV+miRNA150) 각각을 상기 구축된 간경변 마우스에 Tail vein injection 방식으로 2주간 주입한 후, 마우스를 희생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EV+miRNA150) 처리군에서 간섬유화 관련인자인 MMP의 발현이 감소하고, MMP의 억제인자인 TIMP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또한, 상기 BALB/C Nude mouse(in vivo)에 티오아세트아미드(thioacetamide; TAA) 200mg/ml를 복강주사하여 구축된 간병변 모델에서의 외형 관찰 결과에 의하여도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EV+miRNA150) 처리군에서 간경변이 확연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실시예 5.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표적 엑소좀의 조직 염색(Masson staining) 평가
BALB/C Nude mouse(in vivo)에 티오아세트아미드(thioacetamide; TAA) 200mg/ml를 복강주사하여 간병변 모델을 구축하였다.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이용하여 간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에서의 간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엑소좀(Ct), TAA 처리(TAA), TAA 처리 및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TAA+Exo) 및 TAA 처리 및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AA+Exo+miRNA150) 각각을 비교하여 간 조직의 섬유화를 확인할 수 있는 Masson 염색을 staining을 수행하여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 처리군에서 섬유화 유발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실시예 6.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표적 엑소좀의 효능 평가
BALB/C Nude mouse(in vivo)에 티오아세트아미드(thioacetamide; TAA) 200mg/ml를 복강주사하여 간병변 모델을 구축하였다.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이용하여 간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IHC로 염색하여 간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엑소좀(Ct), TAA 처리(TAA), TAA 처리 및 지방유래줄기세포 유래 엑소좀(TAA+Exo) 및 TAA 처리 및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AA+Exo+miRNA150) 각각을 상기 구축된 간경변 마우스에 Tail vein injection 방식으로 2주간 주입한 후, 마우스를 희생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IHC 확인 결과 miRNA150이 형질주입된 표적 엑소좀(t-EV+miRNA150) 처리군에서, 간 조직의 섬유화 유발에 관여하는 인자인 COL1A1, α-SMA는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섬유화 유발에 관여하는 인자인 MMP의 억제인자로서 작용하는 TIMP1은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내지 도 11).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Target exosom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and use thereof <130> DPC21322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coding sequence <400> 1 tgctcccgga atctcataga ctgt 24

Claims (12)

  1.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외소포체를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체는 엑소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은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핵산이 형질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miRNA, siRNA, shRNA, 안티센스 RNA 및 리보자임(ribozym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핵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소좀은 1 내지 50 μL/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골수유래줄기세포, 제대혈유래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유래줄기세포, 제대혈유래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줄기세포는 인체 또는 동물유래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간섬유증,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또는 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a)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로 발현되는 유전자 내에 간성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여 세포외소포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된 세포외소포체에 간섬유화 유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핵산을 형질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발현벡터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체는 엑소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발현벡터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환은 간섬유증,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또는 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발현벡터 제조방법.
KR1020210122642A 2021-09-14 2021-09-14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39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42A KR20230039884A (ko) 2021-09-14 2021-09-14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CT/KR2022/013640 WO2023043152A1 (ko) 2021-09-14 2022-09-13 간세포 표적화 엑소좀 및 이의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42A KR20230039884A (ko) 2021-09-14 2021-09-14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84A true KR20230039884A (ko) 2023-03-22

Family

ID=8560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642A KR20230039884A (ko) 2021-09-14 2021-09-14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9884A (ko)
WO (1) WO20230431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986A (ko) 2019-12-30 2021-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펜플루리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tk32c 과발현 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또는 간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18B1 (ko) * 2016-03-03 2018-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소좀 또는 엑소좀 유래 리보핵산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7546A (ko) * 2016-11-21 2018-05-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방줄기세포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8102B1 (ko) * 2018-07-27 2021-07-15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986A (ko) 2019-12-30 2021-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펜플루리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tk32c 과발현 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또는 간섬유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152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o et al. microRNA-21-5p dysregulation in exosomes derived from heart failure patients impairs regenerative potential
ES2967788T3 (es) Expresión especifica de célula de Arnmond
CN109477072A (zh) 间充质干细胞及其用于治疗肌肉损伤和肌肉相关疾病的用途
WO2016077273A1 (en) Engineering mesenchymal stem cells using homologous recombination
JP2020519668A (ja) 老化の阻害および老化関連障害の治療の方法
Aligholi et al. Preparing neural stem/progenitor cells in PuraMatrix hydrogel for transplantation after brain injury in rats: A comparative methodological study
JP2019524847A (ja) 人工的に操作された血管新生調節系
CN114591952A (zh) 一种组织特异性表达的环状rna分子及其应用
Liu et al. A functionalized collagen-I scaffold delivers microRNA 21-loaded exosomes for spinal cord injury repair
Kolanowski et al. In vitro and in vivo characteristics of connexin 43-modified human skeletal myoblasts as candidates for prospective stem cell therapy for the failing heart
Hazrati et al. CRISPR/Cas9-engineered mesenchymal stromal/stem cells and their extracellular vesicles: A new approach to overcoming cell therapy limitations
KR102285600B1 (ko) 3차원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뇌신경계질환 치료용 줄기세포 스크리닝 방법
Li et al. “Genetic scissors” CRISPR/Cas9 genome editing cutting-edge biocarrier technology for bone and cartilage repair
CN103849601A (zh) 一种诱导成纤维细胞转分化为神经元细胞的方法及其应用
KR20230039884A (ko)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8084268A (zh) 一种肾脏靶向性小核酸递送多肽
Guan et al. Effects of gene delivery approaches on differentiation potential and gene func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KR20220158320A (ko) 약물전달물질로서의 위암 특이적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3106059A (zh) 一种高迁徙间充质干细胞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20119084A (ko)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엑소솜에 전달하기 위한 핵산 구축물
WO2020190672A1 (en) Cardiomyocyte-derived exosomes inducing regeneration of damaged heart tissue
Ban et al. Intraosseous injection of SMNP vectors enables CRISPR/Cas9-mediated knock-in of HBB gene into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KR102620197B1 (ko) 약물전달물질로서의 대장암 특이적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55751A (ko) 간세포암 특이적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71602A (ko) 대장암 특이적 표적 엑소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