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593A -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 직물 - Google Patents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593A
KR20230039593A KR1020227025814A KR20227025814A KR20230039593A KR 20230039593 A KR20230039593 A KR 20230039593A KR 1020227025814 A KR1020227025814 A KR 1020227025814A KR 20227025814 A KR20227025814 A KR 20227025814A KR 20230039593 A KR20230039593 A KR 2023003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lor
metallized
light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나 부투를린-영
파올로 까노니코
로베르토 모멘테
Original Assignee
사아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아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사아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3003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4Decorating textiles by metall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재료의 단섬유(2)가 엮여서 형성되고 2개의 반대쪽 금속화된 면을 갖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은 투명도 레벨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5)를 갖는다.
빌딩 분야용 투명한 패널을 만들기 위한 공지된 직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직물의 금속화된 표면에 도포된 칼라에 따라, 빛에 대한 투명도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 직물
본 발명은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의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는 예를 들면, 빌딩 분야에서, 차광 효과를 갖는 플라스틱 패널이나 적층된 유리의 생산에 사용되는 합성 재료의 직물에 관한 것이다.
적층된 유리 패널 등이 현재 알려져 있고, 특히 빌딩의 외관에 사용되며, 빌딩의 외면에서 빛을 반사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외관의 내측에서는 투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예를 들면, 단 하나의 면에 금속화된 직물이 투명한 플라스틱에 또는 유리에 통합되어, 또는 유리용 필름의 도움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의 2개의 시트 사이에 통합된 금속화된 면이 이에 따라 빌딩의 외측을 향하고, 빛을 반사시키고 외부 관찰자에 대한 차폐, 프라이버스 효과를 만드는 반면에, 비-금속화된 면이 빌딩 내측의 관찰자에 의해 투명한 것으로 인식된다.
상기 기재된 공지된 패널의 주된 단점은, 필요한 프라이버시 효과가 달성되는, 직물의 투명도 레벨이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메쉬의 개구의 퍼센티지나 직물의 자유 표면적의 퍼센티지에 의해서, 그리고 합성 재료 직물의 금속화된 표면을 형성하도록 도포된 금속 코팅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에 의해,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공지된 패널은 직물의 한 면 상의 금속 코팅의 비-증착과 밀접하게 관련된, 전형적인 "한 방향 거울(one way mirror)" 효과를 재현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직물의 양 면 상에서 상이한 그라데이션(gradation)으로 인지되는 빛에 대한 투명도 또는 프라이버시 효과를 조정할 수 있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러 목적이 청구항 1의 직물과 청구항 10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초래된다.
빌딩 분야에서 투명한 패널을 생산하기 위한 공지된 직물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직물의 금속화된 하나의 면이나 또는 양 면에 적용된 칼라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투명도 효과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동일한 금속화된 표면 상에서, 가변 조정가능한 광학 투명도 효과를 상기 표면 자체에 만드는 가능성으로써 제시된다.
이들 여러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의 도면에서,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직물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의 아래 설명으로부터 초래된다.
- 도 1은 양면에서 금속화되고, 이들 금속화된 면 중에서 하나의 면에만 도포된 칼라 코팅을 지탱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직물의 단면도이고;
- 도 2는 도 1의 직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섬유의 상세한 단면도이고;
- 도 3은 칼라 레이어가 직물의 양 금속화된 면에 도포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직물의 단면도이고;
- 도 4는 도 3의 직물의 섬유의 상세한 단면도이고;
- 도 5는 금속화된 표면에서 투명도 효과를 조정하는 칼라 구배로써 상기 금속화된 표면이 프린트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물의 정면도이고;
- 도 6은 도 3의 직물로써 얻어진 일 실시예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로써 지시된, 본 발명의 직물은, 섬유(2)를 엮어서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 재료의 단섬유를 엮어 형성된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 직물(4)을 포함하고, 이러한 섬유는 정밀한 직물을 형성하고, 이 직물에는 섬유가 엮여서 만들어진 메쉬가 조정된 일정한 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메쉬 개구는 직물(4)의 표면의 15-80%를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시트의 양 반대쪽 면의 표면은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금속의 레이어(3)로써 코팅되어 금속화된다. 금속화 공정은 예를 들면, US 2015/0345074 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해-증착, 스퍼터링 또는 증착의 갈바닉 공정을 통해, 진공 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 레이어(5)는 단섬유(2)의 금속화된 외측 표면(3)의 적어도 일부에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단섬유가 형성하는 직물(4)의 일부에 도포되고, 특히 UV 광 가교-결합된 반-투명성 아크릴계 잉크가 디지털 프린팅, 승화(sublimation) 등에 의해 동일한 표면에 프린트되고, 이후 UV 램프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예로서,본 발명에 적당한 잉크로는, (벨기에) Agfa Graphics NV 회사 제품인 ANAPURNA 1500 RTR CYAN INK, ANAPURNA 1500 RTR BLACK INK, ANAPURNA 1500 RTR YELLOW INK, ANAPURNA 1500 RTR MAGENTA INK 및 ANAPURNA 1500 RTR CYAN INK가 있다.
이러한 칼라 레이어(5)가 존재하기 때문에, 인지된 투명도가 직물(4)의 금속화된 표면(3) 상에서 얻어지고, 이는 선택된 음영의 광도 퍼센티지에 따라 결정된다. 실제로, 금속화된 표면(3)의 반사된 빛 에너지는, 레이어(5)를 형성하도록 선택된 칼라가 (2004년 10월 15일, A.H. Munsell의 문헌 "A Color Nation: An Illustrated System Defining All Colors and Their Relations" 1941에 기재된 3개의 칼라의 특성 중 하나의 특성을 의미하는 광도에 의한) 고 광도 퍼센티지를 가질 때, 더 클 것인 반면에, 상기 빛 에너지는 광도 퍼센티지가 감소됨에 따라 더 작아질 것이다.
또한 색채의 칼라를 고려하여, 그리고 동일한 광도를 위해, 노란색과 녹색 칼라를 사용하여, 상기 칼라를 순수 칼라의 패밀리로 나누어, 직물의 인지된 스크리닝(screening) 특성이 빨간색이나 파란색 보다 더 크다. 차폐 효과가 이로서 측정된 가시 범위(380-780 nm)의 총 평균 반사율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4)의 금속화된 표면(3) 상에서의 빛의 자연스러운 반사는, 어느 정도 차폐 의미에서, 상기 금속화된 표면 상에 프린트된 칼라의 선택을 통해, 변경된다. 이 부분에 대해, 칼라로 처리되지 않은 직물의 다른 금속화된 면은, 칼라로 커버되지 않은 금속화된 표면의 반사 특성 때문에, 반대면에 도포된 칼라를 더 밝게 만든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 레이어(5)가 단섬유(2)의 금속화된 표면 전체에 도포된다. 이런 방식으로, 직물(4)의 양 금속화된 면이 칼라 코팅(5)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를 사용하여, 2개의 반대쪽 표면을 갖는 직물에 조정가능한 투명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4)의 금속화된 면(3) 중 한 면이나 양 면 상에서, 칼라 레이어(5)가 도포되며, 여기에 예로서, 상기 금속화된 면의 표면 상에 칼라 밴드(5a, 5b, 5c, 5d)가 분포된 음영을 갖는다. 칼라는 스팟(spot) 칼라의 형태, 구배(gradient), 또는 패턴 및 여러 장식이나 판타지 모티브의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본 발명의 직물의 동일한 금속화된 표면에서, 상기 표면에 도포된 상이한 음영의 칼라 레이어(5)에 따라, 상이한 구배의 광학 투명도가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차폐 표면 상에 상이한 레벨의 프라이버스가 요구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물에 의해,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의 2개의 시트(6)로써 완성된 샌드위치 구조에 동일한 직물을 통합하는 패널이 얻어질 수 있다. 유리 시트의 경우에 있어서, 중합체 실란트의 2개의 레이어(7)가 또한 이들을 함께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시트는 펼쳐진(stretched) 패널이나 디바이더(divider)로서 내부 설계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2개의 유리나 플라스틱 시트 내측에 통합될 수 있다. 구배가 색채 한계를 항상 갖고, 유연한 맞춤 서비스가 허용되지 않으며, EVA(매우 깨지기 쉽고 고가인 중합체의 중간레이어)에서 디지털 프린팅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전통적인 세라믹 프릿(frit)으로써 주로 만들어지는 유리 분야에서, 유리에 통합될 금속화된 직물 상에서의 디지털 프린팅의 구배는, 산업적, 기능적 및 미적 관점에서 흥미로운 대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실시예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직물의 한 면이 칼라 프린팅되고 다른 한 면이 칼라 프린트되지 않음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경이 145 ㎛인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이 준비되고, 이 직물에서, 시트는 255 ㎛의 두께를 갖고 상기 직물은 44%의 자유 표면을 갖는다. 시트의 양 표면은 증착 공정(특허문헌 EP 2462274 B1에 개시된 공정)을 통해 알루미늄으로 금속화되고, 그리고 잉크로 한 면에만 프린트된 3개의 샘플이 준비되었다. 특히, 무색의 칼라가 프린트되었고, 최초 칼라 레시피에서 상이한 광도 퍼센티지로 서로 구별된다. X-Rite Incorporate 회사의 Color i7 모델의 분광측광기를 사용하여, 반-투명성 잉크와 금속 표면의 조합인 최종 제품 상에서, 광도 또는 광 강도(L) 값이 다시 측정되었다. 가시 범위(380 nm - 780 nm)의 파장에서만 작동하는 평탄한 격자를 구비한 동일한 분광측광기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반사율이 칼라로 코팅된 금속화된 직물의 표면 상에서의 빛에 대해 측정되었다. 기구가 투과 및 반사 모드(기하학적배열(geometry) D8° - 스펙트럼 측정 각도 8°의 확산 광)에서 사용되었고, 사용된 광원은 X-Rite 회사의 PULS XEN LAMP인 백열 램프이다. 컴퓨터 도구 포토샵이,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빛, 조명, 칼라 및 칼라 공간에 관한 국제 기관(international authority on light, lighting, color and color spaces))에 의해 설계된 LAB이나 CIELAB이나 또는 CIE LAB 1976 칼라 공간을 선택하여, 프린트된 칼라를 만들도록 사용되었고, 여기서 L은 광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A와 B는 칼라-반대 칼라 치수(color-opposing color dimension)를 나타낸다(즉, A (빨간색-녹색) 및 B (노란색-파란색)). 이러한 특정 경우에, L(ciel*)의 값 만이 고려되는 한편으로, A와 B의 값은 변경되지 않았다.
칼라의 광도 퍼센티지가 본 발명의 직물의 반사율 평균 퍼센티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입증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L=90 ciel*의 매우 밝은 회색을 극단으로 참조하여, L=100 ciel*의 검은색(ANAPURNA 1500 RTR BLACK INK) 및 L=50 ciel*의 중간 회색을 프린트하였고, 여기서 회색은 보다 작은 양의 검은색 잉크를 프린팅함으로써 얻어졌다.
결과가 아래 표 1에 제시되며, 여기서:
"이론상의 L 프린트 파일"은 LAB 칼라 공간에 따라 프린트 파일에 입력된 광도 수치 값을 나타낸다.
"직물에서 측정된 L"은 이론상의 표준 L을 포함한 칼라 레시피를 사용하여 반-투명성 잉크로 프린트되고 금속화된 직물 상에서, X-Rite 회사의 Color i7 모델의 분광측광기를 통해 측정된 광도 수치 값을 나타낸다.
다른 한편으로, "측정된 반사율(%)"은 기하학적배열 D:8°을 갖는 투과 및 반사 모드에서, X-Rite 회사의 Color i7 모델의 분광측광기로써 측정된 가시 범위(380-780 nm)의 총 반사율을 나타내며, 여기서 D는 확산된 광에 의해 발생하는 조명이고, 8°는 스펙트럼의 측정 각도이며, 그리고 사용된 광원은 X-Rite 회사의 PULS XENO LAMP인 백열 램프이다.
무색의 칼라이기 때문에, A와 B의 코디네이트(coordinate)는 항상 0일 것이고, 이는 이들 코디네이트가 표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물 이론상의 L
프린트 파일 (ciel*)
직물 상에서 측정된 L (ciel*) 측정된 반사율
(%)
검은색 칼라의 인쇄된 면을 갖는 샘플 1 0 59.77 26.16%
중간 회색 칼라의 인쇄된 면을 갖는 샘플 2 50 70.74 40.665%
밝은 회색 칼라의 인쇄된 면을 갖는 샘플 3 90 82.27 58.903%
결과는, 금속화된 직물의 반사율 퍼센티지가 프린트 파일의 칼라 레시피에 포함된 광도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고, 샘플이 26.16%의 최소 퍼센티지에서 58.903%의 최대 퍼센티지 까지의 범위에서 실험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직물의 양 면에 도포된 칼라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경이 145 ㎛인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이 준비되었고, 이 직물에서, 시트는 255 ㎛의 두께를 갖고 직물은 44%의 자유 표면을 갖는다. 시트의 양 표면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증착을 통해 알루미늄으로 금속화되었고, 3개의 샘플이 준비되어 그 양면에 칼라로 프린트되었다. 특히, 무색의 잉크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사용되었으나, 그러나 이번에는 빨간색 색채의 잉크(ANAPURNA 1500 RTR MAGENTA INK)로써 프린트된 반대면이 측정되어, 한면이 다른 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입증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구와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가 아래 표 2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의 직물 이론상의 L
프린트 파일 (ciel*)
측정된 반사율 (%)
검은색에 반대되는 빨간색 면 50 25.32
중간 회색에 반대되는 빨간색 면 50 29.4
밝은 회색에 반대되는 빨간색 면 50 33.72
결과는, 한 면의 반사율 퍼센티지가 다른 면의 반사율 퍼센티지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로서 프린트된 칼라의 광도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직물의 한면이 칼라 도포되고 다른 한 면이 임의의 칼라 프린트되지 않음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경이 145 ㎛인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이 준비되었고, 이 직물에서 시트는 255 ㎛의 두께를 갖고 상기 직물은 44%의 자유 표면을 갖는다. 시트의 양 표면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증착을 통해 알루미늄으로 금속화되고, 4개의 샘플이 준비되어 직물의 오직 한 면 상에 칼라가 프린트된다. 특히, 기본 색채의 잉크(ANAPURNA 1500 RTR CYAN INK, ANAPURNA 1500 RTR BLACK INK, ANAPURNA 1500 RTR YELLOW INK, ANAPURNA 1500 RTR MAGENTA INK 및 ANAPURNA 1500 RTR CYAN INK)가 사용되었고, 그리고 동일한 광 강도(L)에서, LAB 모델을 사용하여, 노란색 및 녹색이 빨간색 및 녹색보다 더 반사적이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론상의 칼라가 만들어졌다(B의 반대 값을 갖는 노란색 및 파란색, 그리고 A의 반대 값을 갖는 파란색 및 빨간색). X-Rite 회사의 Color i7 모델의 분광측광기를 사용하여, L의 값이 반-투명성 잉크와 금속 표면의 조합인 최종 제품 상에서 다시 측정되었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가시 범위(380 nm - 780 nm)의 파장에서만 작동하는 평탄한 격자를 구비한 동일한 분광측광기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반사율은 칼라로 코팅된 금속화된 직물 표면 상에서 빛에 대해 측정되었다.
결과가 아래 표 3에 설명되며, 여기서:
"A 프린트 파일"은 칼라 레시피를 만들도록 LAB 칼라 공간에 따라 프린트 파일에 입력된 A의 수치 값을 나타낸다.
"B 프린트 파일"은 칼라 레시피를 만들도록 LAB 칼라 공간에 따라 프린트 파일에 입력된 B의 수치 값을 나타낸다.
"측정된 반사율"은, D-8° 기하학적배열을 갖는 반사 모드에서, X-Rite 회사의 분광측광기로써 측정된 가시 범위(380-780 nm)에서의 총 반사율을 나타낸다 .
L의 값은 60 ciel* 값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A와 B의 코디네이트 만이 변한다.
본 발명의 직물 A 프린트 파일
(ciel*)
B 프린트 파일
(ciel*)
측정된 반사율
(%)
빨간색 칼라 면을 갖는 샘플 1 127 0 36.1
파란색칼라 면을 갖는 샘플 2 -128 0 39.8
노란색칼라 면을 갖는 샘플 3 0 127 45.9
녹색칼라 면을 갖는 샘플 4 0 -128 40.7
결과는, 동일한 광도를 갖지만 반대 칼라 치수를 갖는 칼라로써 프린트된 본 발명의 금속화된 직물의 표면이 약간 더 반사되고, 이에 따라 상기 표면 상에 프린트된 칼라가 노란색 및 녹색의 카테고리에 속한다면, 더 많이 차폐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유사한 결과가 상이한 방식으로 적용된 칼라로써 그리고 상이한 음영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로서,
    상기 시트 재료의 반대쪽 양 면의 표면이 금속화되고, 상기 금속화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이 적어도 하나의 칼라(5)를 갖고, 상기 칼라는 상기 언급된 직물의 빛의 투명도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 반-투명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성 잉크는 UV 광과 가교-결합된 아크릴계 잉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라(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된 표면에, 동일한 칼라(5)의 기능을 갖는 투명도 구배를 부여하는,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라(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된 표면에 투명도 효과를 감소시키는데 적당한, 밝은 칼라인,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라(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된 표면 상에 투명도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적당한, 어두운 칼라인,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화된 표면 양자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5)를 갖는,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된 표면은 상이한 음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5)를 구비하는,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은 상기 시트 재료의 양 금속화된 표면 상에 분포되는,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단섬유(2)이고 상기 직물은 조정된 메쉬 개구를 갖는 직물인, 섬유가 엮어서 이루어진 시트 재료로 형성된 직물.
  9. 투명한 재료의 적어도 2개의 시트를 포함한 타입의 패널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직물이 상기 2개의 시트 사이에 유지되는, 패널.
  10. 금속화를 지탱하는 합성 재료 직물의 빛에 대한 투명도 효과를 양 반대쪽 면에서 조정하고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금속화된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반-투명성 잉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칼라(5)의 도포가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화된 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라(5)의 기능을 갖는 빛에 대한 투명도를 제공하는, 금속화를 지탱하는 합성 재료 직물의 빛에 대한 투명도 효과를 양 반대쪽 면에서 조정하고 제어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이한 음영을 갖는 칼라(5)의 도포가 상기 금속화된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제공되는, 금속화를 지탱하는 합성 재료 직물의 빛에 대한 투명도 효과를 양 반대쪽 면에서 조정하고 제어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성 잉크는 UV 광 가교-결합된 아크릴계 잉크인, 금속화를 지탱하는 합성 재료 직물의 빛에 대한 투명도 효과를 양 반대쪽 면에서 조정하고 제어하는 방법.
KR1020227025814A 2020-07-16 2021-07-16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 직물 KR202300395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17359A IT202000017359A1 (it) 2020-07-16 2020-07-16 Tessuto in materiale sintetico ad effetto di trasparenza ottica di tipo migliorato
IT102020000017359 2020-07-16
PCT/IB2021/056427 WO2022013823A1 (en) 2020-07-16 2021-07-16 Synthetic material fabric with improved optical transparency eff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593A true KR20230039593A (ko) 2023-03-21

Family

ID=7264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814A KR20230039593A (ko) 2020-07-16 2021-07-16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 직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30043798A1 (ko)
EP (1) EP4073314B1 (ko)
JP (1) JP2023533886A (ko)
KR (1) KR20230039593A (ko)
CN (1) CN115053032B (ko)
BR (1) BR112022016902A2 (ko)
CA (1) CA3174745A1 (ko)
DK (1) DK4073314T3 (ko)
FI (1) FI4073314T3 (ko)
IT (1) IT202000017359A1 (ko)
LT (1) LT4073314T (ko)
PL (1) PL4073314T3 (ko)
PT (1) PT4073314T (ko)
WO (1) WO20220138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4436C2 (de) * 1979-04-10 1981-10-01 Pusch, Günter, Dr.-Ing., 6903 Neckargemünd Wärmereflektierende Tapete oder Wandbelag
US4657807A (en) * 1984-07-05 1987-04-14 Fuerstman Myron M Bright metalized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fabric
JP2604860B2 (ja) * 1989-08-22 1997-04-30 東レ株式会社 干渉色を有する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法
DE102008055973A1 (de) * 2008-08-05 2010-02-11 Sefar Ag Flächenstück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R2948947B1 (fr) 2009-08-07 2014-03-21 Brunswick Et Fils Procede d'elaboration d'un tissu metallise et tissu obtenu
US11058161B2 (en) * 2012-02-16 2021-07-13 Xefco Pty Ltd Heat reflecting composites with knitted insulation
ITMI20121541A1 (it) * 2012-09-18 2014-03-19 Saati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tessuti in monofilo sintetico, parzialmente metallizzati, per applicazioni estetiche o di marcatura.
US9114625B2 (en) * 2013-06-26 2015-08-25 Nike, Inc. Additive color pr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53032B (zh) 2024-05-24
PT4073314T (pt) 2024-02-23
BR112022016902A2 (pt) 2023-03-28
FI4073314T3 (fi) 2024-01-24
CA3174745A1 (en) 2022-01-20
EP4073314A1 (en) 2022-10-19
WO2022013823A1 (en) 2022-01-20
CN115053032A (zh) 2022-09-13
LT4073314T (lt) 2024-02-12
IT202000017359A1 (it) 2022-01-16
PL4073314T3 (pl) 2024-04-02
JP2023533886A (ja) 2023-08-07
DK4073314T3 (da) 2024-02-19
EP4073314B1 (en) 2023-12-27
US20230043798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80567B2 (en) Color shifting film with a plurality of fluorescent colorants
US4649462A (en) Viewing angle color sensitive lighting accessory
EP2169434A1 (en) Iridescent reflected light emitting retroreflective material
JP4990183B2 (ja) 光学部材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
JP7203493B2 (ja) 表示設備を有する調理面
CN1656180A (zh) 全介质光学衍射颜料
AU2001280567A1 (en) Color shifting film with a plurality of fluorescent colorants
CN110023095A (zh) 全息图的防伪元件和其制造方法
KR20230039593A (ko) 광학 투명도 효과가 향상된 합성 재료 직물
JPWO2006109450A1 (ja) ガラス板及びテレビ台
JP3118226B2 (ja) 照明光源用フィルター
US10288253B2 (en) Light panel shade
JP3141585B2 (ja) 干渉色を有する透明性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53656B2 (ja) 加飾シート、カバー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8163345A (ja) 加飾シート、表示装置、照明装置、窓
WO2022250110A1 (ja) 加飾シート、カバーパネル及び表示装置
Shurvinton et al. Colour Control and Metamerism Using Ti in Metal-Dielectric Colour Coatings
JP2021037656A (ja) 偽造防止印刷物
EP4139170A1 (en) Discreet opening
JPH05223956A (ja) 時計用表示板
Farini et al. Color appearance of painted artworks through protective glass
NZ204031A (en) Colour crt,traid phosphor dots with colour notch filters
JP2017128087A (ja) 意匠材及び構造体
JPH01244842A (ja) 有色反射積層体
JPH04222789A (ja) 光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