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101A -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101A
KR20230039101A KR1020210122003A KR20210122003A KR20230039101A KR 20230039101 A KR20230039101 A KR 20230039101A KR 1020210122003 A KR1020210122003 A KR 1020210122003A KR 20210122003 A KR20210122003 A KR 20210122003A KR 20230039101 A KR20230039101 A KR 20230039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sizing
monomer composition
adsorbent
polycarbonate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빈
박은주
이기재
배중문
한중진
홍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1012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101A/ko
Priority to US18/032,141 priority patent/US20230382837A1/en
Priority to EP22867537.7A priority patent/EP4209529A1/en
Priority to EP22867536.9A priority patent/EP4209528A4/en
Priority to JP2023530701A priority patent/JP2023550948A/ja
Priority to PCT/KR2022/010308 priority patent/WO2023038266A1/ko
Priority to CN202280006828.0A priority patent/CN116368179A/zh
Priority to JP2023518893A priority patent/JP2023545937A/ja
Priority to EP22867540.1A priority patent/EP4230679A1/en
Priority to JP2023519399A priority patent/JP2023545954A/ja
Priority to PCT/KR2022/010313 priority patent/WO2023038269A1/ko
Priority to PCT/KR2022/010309 priority patent/WO2023038267A1/ko
Priority to EP22867535.1A priority patent/EP4212572A1/en
Priority to PCT/KR2022/010318 priority patent/WO2023038271A1/ko
Priority to PCT/KR2022/010315 priority patent/WO2023038270A1/ko
Priority to US18/031,860 priority patent/US20230383089A1/en
Priority to JP2023518891A priority patent/JP2023545936A/ja
Priority to US18/031,863 priority patent/US20230383090A1/en
Priority to PCT/KR2022/010311 priority patent/WO2023038268A1/ko
Priority to EP22867538.5A priority patent/EP4209530A4/en
Priority to JP2023518896A priority patent/JP2023545938A/ja
Priority to CN202280006891.4A priority patent/CN116368180A/zh
Priority to US18/038,189 priority patent/US20240002627A1/en
Priority to EP22867539.3A priority patent/EP4209531A4/en
Priority to CN202280007033.1A priority patent/CN116368181A/zh
Priority to CN202280006982.8A priority patent/CN116323773A/zh
Priority to JP2023519398A priority patent/JP2023545953A/ja
Priority to US18/032,327 priority patent/US20230391702A1/en
Priority to US18/032,117 priority patent/US20230374251A1/en
Priority to TW111126793A priority patent/TW202311212A/zh
Priority to TW111126772A priority patent/TWI812353B/zh
Priority to TW111126830A priority patent/TWI832334B/zh
Priority to TW111126789A priority patent/TWI842015B/zh
Priority to TW111126770A priority patent/TW202311396A/zh
Priority to TW111126768A priority patent/TWI832332B/zh
Publication of KR2023003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0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5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67/5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C08J11/2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J11/2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SING RECYCLED PLASTIC, PREPRATION METHOD THEREOF, AND RECYCLED PLASTIC,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우수한 투명성, 연성 및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비용 등 우수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다.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이지만, 폐처리시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현재 물리적인 재활용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경우 품질 저하가 동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적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적 분해란,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를 통해 모노머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예를 들어,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를 수득한 후, 이를 다시 중합에 활용하여 고순도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얻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학적 분해에는 대표적으로 열분해, 가수분해 및 알코올 분해가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염기 촉매를 활용한 알코올 분해이지만, 메탄올 분해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메탄올을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탄올의 경우 고온 고압 조건이 필요하며 수득율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촉매를 이용한 알코올 분해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경제적인 부분에서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확보할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디에틸 카보네이트가 부산물로서 얻어지고,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하기 수학식에 의한 회수율이 82% 이상이며,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는,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세척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 1' 및 '제 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1.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디에틸 카보네이트가 부산물로서 얻어지고,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하기 수학식에 의한 회수율이 82% 이상이며,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수학식]
디에틸 카보네이트 회수율 = {(회수한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몰 수) / (전체 부산물 혼합물 중에서의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몰 수)} X 100.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되었음에도 주요 회수대상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 이외의 불순물 함량이 극히 감소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합성시 우수한 물성 구현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제1조성물)과 함께,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에틸 카보네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제2조성물)은 후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동시에 각각 얻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에 의해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한 제1조성물을 고순도로 얻어냄과 동시에, 고부가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제2조성물도 얻어낼 수 있는 기술적 특장점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를 진행한 결과, 방향족 디올 화합물이 함유된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이 함께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을 총칭한다.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1종의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단독 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2종 이상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 이외에 기타 디올 1종 이상을 사용하여 2종 이상의 카보네이트가 함유되는 경우 공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범위에 따른 저분자 화합물, 올리고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비스 (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톡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핵산 (비스페놀 Z) ,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회수에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를 진행한 결과, 방향족 디올 화합물도 함께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의 회수와는 별도로 외부에서 신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경우는 본원 발명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되었다는 것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해중합반응은 산성, 중성, 염기성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염기성(알칼리) 조건하에서 해중합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해중합반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탄올 용매하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b* 값이 2.5 이하, 또는 0.1 이상, 또는 0.1 내지 2.5, 또는 1.0 내지 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6.1 이상, 또는 100 이하, 또는 96.1 내지 100, 또는 96.1 내지 99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a*가 0.4 이하, 또는 -0.1 이상, 또는 -0.1 내지 0.4, 또는 -0.07 내지 0.4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색좌표"란, CIE(국제조명위원회, Commo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에서 규정한 색상 값인 CIE Lab 색 공간에서의 좌표를 의미하며, CIE 색 공간에서의 임의의 위치는 L*, a*, b* 3가지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L*값은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L*=0이면 흑색(black)을 나타내며, L*=100 이면 백색(white)을 나타낸다. 또한, a*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적색(pure red)과 순수한 녹색(pure green)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내며, b*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황색(pure yellow)과 순수한 청색(pure blue)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a*값은 -a 내지 +a의 범위를 가진다. a*의 최대값(a* max)은 순수한 적색(pure red)을 나타내며, a*의 최소값(a* min)은 순수한 녹색(pure green)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b*값은 -b 내지 +b의 범위를 가진다. b*의 최대값(b* max)은 순수한 황색(pure yellow)을 나타내며, b*의 최소값(b* min)은 순수한 청색(pure blue)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b*값이 음수이면 순수한 청색에 치우친 색상이며, 양수이면 순수한 황색에 치우친 색상을 의미한다. b*=50과 b*=80을 비교하였을 때, b*=80이 b*=50보다 순수한 황색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b* 값이 2.5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거나, 색좌표 L* 값이 96.1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거나, 색좌표 a* 값이 0.4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게되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컬러특성이 불량하게 된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L*, a*, b*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분야의 다양한 컬러특성 측정방법을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L*, a*, b*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들면, HunterLab UltraScan PRO Spectrophot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 모드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순도가 96% 이상, 또는 100 % 이하, 또는 96%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H NMR, ICP-MS 분석, HPLC 분석, UPLC 분석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MR, ICP-MS, HPLC, UPLC의 구체적인 방법, 조건, 장비 등은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내용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들면, 상압, 20 ~ 30
Figure pat00001
조건에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1w%로 Acetonitrile(ACN)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ACQUITY UPLC®BEH C18 1.7 ㎛ (2.1*50mm column)를 사용하여 Waters HPLC 시스템에서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비스페놀A(BPA)의 순도를 분석하였다.
이처럼,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서 주요 회수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순도가 96% 이상으로 극히 증가되어, 기타 불순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합성시 우수한 물성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디에틸 카보네이트가 부산물로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디에틸 카보네이트는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회수에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를 진행한 결과, 디에틸 카보네이트도 함께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의 회수와는 별도로 외부에서 신규한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첨가시키는 경우는 상기 일 구현예의 디에틸 카보네이트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되었다는 것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해중합반응은 산성, 중성, 염기성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염기성(알칼리) 조건하에서 해중합반응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해중합반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탄올 용매하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서 주요 회수 목표물질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이므로, 상기 디에틸 카보네이트는 부산물로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서 별도분리되어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상기 수학식에 의한 회수율이 82% 이상, 또는 83 % 이상, 또는 84% 이상, 또는 85% 이상, 또는 100% 이하, 또는 82% 내지 100 %, 또는 83% 내지 100 %, 또는 84% 내지 100 %, 또는 85%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회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H NMR, ICP-MS 분석, HPLC 분석, UPLC 분석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MR, ICP-MS, HPLC, UPLC의 구체적인 방법, 조건, 장비 등은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내용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서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상기 수학식에 의한 회수율이 82% 이상으로 극히 증가되어, 고부가 가치를 갖는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높은 효율로 회수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플라스틱(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합성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후술하는 다양한 재활용 플라스틱(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제조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일부 소량의 기타 첨가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첨가제나 용매의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회수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후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 반응 이후, 주요 회수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 만을 고순도로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여과, 정제, 세척, 건조 공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물에 해당한다.
2.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는,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세척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과 같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화학적 분해에 의해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제1흡착제에 의한 1차 흡착정제공정과, 제2흡착제에 의한 2차 흡착정제공정을 함께 적용함과 동시에 정제단계에서 세척단계를 포함시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주요 합성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고순도로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향족 디올 화합물 이외의 불순물 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반응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을 총칭한다.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1종의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단독 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2종 이상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 이외에 기타 디올 1종 이상을 사용하여 2종 이상의 카보네이트가 함유되는 경우 공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범위에 따른 저분자 화합물, 올리고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합성을 통해 생산된 신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재생공정을 통해 생산된 재생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폐기물 등 다양한 형태,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부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회수하는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의 예로는 여과, 세척, 건조, 분쇄, 가 글리콜 분해 등을 들 수 있으며, 각각의 전처리 공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회수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처리 공정의 일례를 들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여과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시, 상기 해중합반응은 산성, 중성, 염기성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염기성(알칼리) 조건하에서 해중합반응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염기의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을 들 수 있다. 상기 염기는 촉매로 작용하는 염기 촉매로서, 온화한 조건 하에서 주로 이용되는 유기 촉매 대비 경제성이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0.5몰 이하, 또는 0.4몰 이하, 또는 0.3몰 이하, 또는 0.1몰 이상, 또는 0.2몰 이상, 또는 0.1몰 내지 0.5몰, 또는 0.1몰 내지 0.4몰, 또는 0.1몰 내지 0.3몰, 또는 0.2몰 내지 0.5몰, 또는 0.2몰 내지 0.4몰, 또는 0.2몰 내지 0.3몰의 함량으로 염기를 반응시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0.5몰 초과로 염기를 반응시키면, 알칼리 염의 발생량 증가 영향으로 인해 불순물이 증가되어 목표회수물질의 순도가 감소하며, 촉매 반응의 경제성이 감소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은, 에탄올을 포함한 용매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에탄올을 포함한 용매로 분해시켜 순도 높은 모노머인 비스페놀 A를 안정적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반응부산물로 고부가가치가 있는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추가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5몰 내지 15몰, 또는 8몰 내지 13몰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비스페놀 A에 대한 용해성이 좋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에탄올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5몰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알코올 분해가 충분히 진행되기 어렵다. 반면, 상기 에탄올의 함량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15몰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면 알코올 과다사용으로 인해 공정의 경제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이 진행되는 용매는 에탄올 이외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디프로필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과 혼합하는 유기 용매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용해 특성이 개선되어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16몰 내지 20몰, 또는 16몰 내지 18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에탄올 1몰 대비 1.5몰 내지 2몰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에탄올과 유기 용매가 혼합됨으로써 필요한 수준의 중합체의 단위체화(Depolymerization) 반응이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을 진행하는 온도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20 ℃ 내지 100 ℃, 또는 50 ℃ 내지 70 ℃에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을 진행하는 시간은 1 시간 내지 30시간, 또는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은 기존의 가압/고온 공정 대비 온화한(Mild) 공정 조건이며, 상기 조건 하에서 교반을 수행함으로써 가압/고온 공정 대비 온화 한(Mild) 공정에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50 ℃ 내지 70 ℃에서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교반 시 재현성 및 인정성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 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유기 촉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혼합 용매의 종류 및 혼합양, 그리고 염기 촉매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가압/고온 공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온화한 조건 하에서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예를 들어, 비스페놀 A)를 수득할 수 있고,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는 바 부산물로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반응시키는 단계는, 카보네이트계 수지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제1단계; 및 에탄올과 염기를 포함한 촉매액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단계에서, 에탄올, 유기용매, 염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산에 의한 중화반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알칼리 분해 생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주요 회수목표 물질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이므로, 상기 알칼리 분해로 얻어진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염의 경우, 추가적인 산에 의한 중화공정을 통해 방향족 디올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이 알칼리 분해인 경우, 산에 의한 중화반응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중화반응시 사용되는 산은 강산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염산(HCl)을 들 수 있다. 상기 강산에 의한 중화반응으로 인해, 중화반응 종료시 pH가 4이하, 또는 2 미만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중화반응시 온도는 25 ℃ 이상 100 ℃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산에 의한 중화반응 단계를 진행한 이후에는 여과, 또는 흡착을 통해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층과 유기층을 분리하여 유기층을 진공여과를 통해 여과하여 방향족 디올 화합물가 함유된 액체를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흡착제를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흡착제의 예로는 활성탄, charcoal, cel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원료를 약 500 ℃의 화과정(carbonization)과 약 900 ℃의 활성화(activated carbon)과정을 거쳐 제조된 미세세공을 가진 흑색 탄소소재로서, 그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원료 종류에 따라 식물계, 석탄계, 석유계, 폐기물질 활성탄 등 다양한 활성탄을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식물계 활성탄으로 야자 활성탄, 목재 활성탄, 톱밥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석탄계 활성탄으로 갈탄 활성탄, 유연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석유계 활성탄으로 석유 코크 활성탄, 오일 카본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폐기물질 활성탄으로 합성수지 활성탄, 펄프 활성탄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흡착제는 식물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석유계 활성탄, 및 폐기물질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흡착제는 식물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석유계 활성탄, 폐기물질 활성탄,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착제는 야자 활성탄, 갈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 및 유연탄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흡착제는 야자 활성탄, 갈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 유연탄 활성탄,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착제에 의한 흡착정제 조건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알려진 다양한 흡착 정제조건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일례를 들면, 흡착제의 투입량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대비 40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흡착시간은 0.1시간 내지 5시간일 수 있고, 흡착방식은 교반흡착, 또는 Lab 용 흡착탑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분리된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디에틸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 생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 또는 이의 염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에 대한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감압 증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증류 조건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반응의 생성물을 200 mbar 내지 300 mbar의 압력, 20 ℃ 내지 30 ℃의 온도조건으로 가압한 이후, 10 mbar 내지 50 mbar의 압력, 20 ℃ 내지 30 ℃의 온도조건으로 감압하여 저온 증류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별도의 분리 정제 과정없이 재활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추출, 흡착, 건조 등의 분리 정제를 거쳐 재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정제 조건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정제장비,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 공지된 다양한 정제기술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요 회수 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이 얻어지며, 이는 상기 일 구현예상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는,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세척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 단계에서 세척단계; 흡착정제단계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순서로 진행해도 무관하지만, 일례를 들면, 상기 세척단계; 상기 흡착정제단계;의 순서대로 정제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 상기 흡착정제단계;는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세척, 흡착의 장비,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 공지된 다양한 정제기술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세척단계에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얻는 회수공정 중에 다양한 불순물이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충분히 제거하여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확보하기 위해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 단계는, 10 ℃ 이상 30 ℃ 이하, 또는 20 ℃ 이상 30 ℃ 이하 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및 40 ℃이상 80 ℃ 이하, 또는 40 ℃ 이상 60 ℃ 이하, 또는 45 ℃ 이상 55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용매에 의한 세척이 진행되는 세척용기 내부의 온도를 의미하며, 상온을 벗어나는 고온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가열기구를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는,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나중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나중에 진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단계는,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나중에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화 단계 이후 강산에 의한 반응기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및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는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및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진행한 이후에는 여과를 통해 잔류하는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와,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간 차이값이 2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와,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간 차이값이란, 상기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에서,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를 뺀 값을 의미한다.
상기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와,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간 차이값이 20 ℃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면,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하기 어렵다.
상기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와,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간 차이값이 50 ℃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면, 극한의 온도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가혹한 조건이 형성되어 공정의 효율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 알코올, 유기용매 중 하나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해중합반응에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중량부를 기준으로 1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의 중량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용매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용매는 물일 수 있다. 상기 물을 사용하게 되면, 잔류하는 염 형태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용매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흡착제를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흡착제의 예로는 활성탄, charcoal, cel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원료를 약 500 ℃의 화과정(carbonization)과 약 900 ℃의 활성화(activated carbon)과정을 거쳐 제조된 미세세공을 가진 흑색 탄소소재로서, 그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원료 종류에 따라 식물계, 석탄계, 석유계, 폐기물질 활성탄 등 다양한 활성탄을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식물계 활성탄으로 야자 활성탄, 목재 활성탄, 톱밥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석탄계 활성탄으로 갈탄 활성탄, 유연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석유계 활성탄으로 석유 코크 활성탄, 오일 카본 활성탄을 들 수 있다. 또한, 폐기물질 활성탄으로 합성수지 활성탄, 펄프 활성탄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흡착제는 식물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석유계 활성탄, 및 폐기물질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흡착제는 식물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석유계 활성탄, 폐기물질 활성탄,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흡착제는 야자 활성탄, 갈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 및 유연탄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흡착제는 야자 활성탄, 갈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 유연탄 활성탄,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제조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화학적 분해에 의해 재활용하는 해중합 반응시, 제1흡착제에 의한 1차 흡착정제공정과, 제2흡착제에 의한 2차 흡착정제공정을 함께 적용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 주요 합성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고순도로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향족 디올 화합물 이외의 불순물 함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흡착제 및 제2흡착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식물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석유계 활성탄, 및 폐기물질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착제 및 제2흡착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야자 활성탄, 갈탄 활성탄, 무연탄 활성탄, 및 유연탄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착제와 제2흡착제를 첨가하는 중량비율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를 들면 상기 제1흡착제의 첨가량이 제2흡착제 첨가량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2흡착제에 의한 흡착정제 조건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알려진 다양한 흡착 정제조건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일례를 들면, 흡착제의 투입량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대비 40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흡착시간은 0.1시간 내지 5시간일 수 있고, 흡착방식은 교반흡착, 또는 Lab 용 흡착탑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는 에탄올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1몰 내지 20몰, 또는 5몰 내지 20몰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포함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이 용매에 재용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제 단계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재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재결정단계에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는 함유된 다양한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하여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결정 단계는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재결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재결정시키는 공정을 통해,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함유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용해도 증가로 결정, 또는 결정 사이사이에 끼어 있던 불순물을 최대한 용매로 용해시킬 수 있고, 용해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이 불순물 대비 용해도가 나쁘기 때문에 이후 온도를 낮추었을 때 용해도 차이를 통해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으로 손쉽게 석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재결정시키는 단계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 몰에 대하여 200몰 내지 400 몰, 또는 250몰 내지 350 몰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이 지나치게 적게 사용되면,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함유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용해하기 위한 온도가 너무 높아져 공정 효율이 나빠지며, 재결정을 통한 불순물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반면, 물이 지나치게 과량 사용되면,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함유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용해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재결정 이후에 회수되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수율이 감소하게 되고, 다량의 용매 사용으로 인한 공정 효율성이 감소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재결정단계를 진행한 이후에는 여과, 또는 흡착을 통해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재결정단계 이후에,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를 통해 잔류하는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인 건조 조건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또는 10 ℃ 내지 50 ℃의 온도에서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시 사용되는 구체적인 건조장비,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 공지된 다양한 건조기술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3. 재활용 플라스틱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 대한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와 다른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각각 모두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에 해당하는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스페놀A 등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단량체로서 합성되는 다양한 플라스틱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을 총칭한다.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1종의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단독 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2종 이상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 이외에 기타 디올 1종 이상을 사용하여 2종 이상의 카보네이트가 함유되는 경우 공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범위에 따른 저분자 화합물, 올리고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에서, 공단량체로는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구체적인 예로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또는 비스할로포르메이트를 들 수 있다.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 공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의 일례를 들면,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를 포함한 조성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은 계면 중합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계면 중합시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중합 온도는 0 ℃ 내지 40 ℃, 반응 시간은 10분 내지 5시간일 수 있다. 또한, 반응 중 pH는 9 이상 또는 11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산결합제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산결합제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조절을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중합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페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 p-tert-부틸페놀, p-쿠밀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에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또는 트리아콘틸페놀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중합 개시 전, 중합 개시 중 또는 중합 개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6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분자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의 촉진을 위하여,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의 3차 아민 화합물, 4차 암모늄 화합물, 4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 촉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4. 성형품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은 상기 다른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공지된 다양한 플라스틱 성형방법을 제한없이 적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성형방법의 일례를 들면 사출 성형, 발포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다양한 성형품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성형품의 일례를 들면,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제품, 통신제품, 생활용품, 건축 소재, 광학 부품, 외장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외에,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형광증백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과 첨가제를 믹서를 이용하여 잘 혼합한 후에, 압출기로 압출 성형하여 펠릿으로 제조하고, 상기 펠릿을 건조시킨 다음 사출 성형기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1.분해단계) 전처리된 폐 폴리카보네이트(PC) 1 mol을 메틸렌클로라이드(MC) 17 mol에 용해시킨 후 3L 고압반응기에 에탄올(EtOH) 11 mol 및 수산화나트륨(NaOH) 0.25 mol과 함께 투입하고 60 ℃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PC 해중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2.중화단계) 상기 해중합 반응의 생성물을 30 ℃ 이하로 냉각한 다음 상기 비스페놀 A가 함유된 생성물에 대해 10% 염산(HCl) 0.25 mol을 이용하여 20 ~ 30 ℃에서 중화시켰다.
(3-1.정제-흡착단계) 이후, 제1흡착제로 갈탄 활성탄을 폐 폴리카보네이트 대비 50 중량% 비율로 투입한 흡착타워에 pH 2 미만으로 낮아진 생성물을 통과시켜 흡착을 통해 정제하였다.
(3-2.정제-증류단계) 이후, 250 mbar, 20 ~ 30 ℃에서 30 mbar, 30 ℃로 감압하는 저온 증류를 통해 부산물인 디에틸카보네이트(DEC)를 분류하여 회수하였다.
(3-3.정제-세척단계) 이후, 디에틸카보네이트(DEC)가 제거된 잔류물에 대해 사용된 PC질량 대비 1배인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이용하여 20 ~ 30 ℃에서 1차 세척하고, 진공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사용된 PC 질량 대비 3배인 물을 이용하여 50 ℃ 온도에서 2차 세척하였다.
(4-1.추가정제단계-재용해단계) 세척물에 대해 에탄올 16.6 mol 을 넣고 재용해시켰다.
(4-2.추가정제단계-흡착단계) 이후, 제2흡착제로 갈탄 활성탄을 폐 폴리카보네이트 대비 50 중량% 비율로 투입한 흡착타워에 통과시켜 흡착을 통해 정제하였다.
(4-3.추가정제단계-재결정단계) 이후, 교반하며 물 300 mol을 서서히 투입하 비스페놀A를 재결정화한 다음, 여과를 통해 고체를 얻었다.
(5.건조단계) 이후, 30~50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여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내지 10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1에서 각 공정의 조건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 및 재활용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구분 (1.분해단계) 제1흡착제 제2흡착제 (3-3.정제-세척단계) (4-1.추가정제단계-재용해단계) (4-3.추가정제단계-재결정단계)
PC(eq) MC(eq) NaOH(eq) EtOH(eq) 1차세척 2차세척
실시예1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2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20 ~ 3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3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7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4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물 / 50 ℃ MC / 20 ~ 3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5 1 20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6 1 17 0.25 12.5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7 1 17 0.25 8.5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16.6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8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5.5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9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11.1 mol eq 물 / 300 mol eq
실시예10 1 17 0.25 11 갈탄 활성탄 갈탄 활성탄 MC / 20 ~ 30 ℃ 물 / 50 ℃ EtOH / 16.6 mol eq 물 / 325 mol eq
<비교예> 비교예1
상기 실시예1에서 (4-2.추가정제단계-흡착단계)를 진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상기 실시예1에서 (3-1.정제-흡착단계)를 진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상기 실시예1의 (3-3.정제-세척단계)에서, 디에틸카보네이트(DEC)가 제거된 잔류물에 대해 사용된 PC질량 대비 20배인 메틸렌클로라이드(MC)를 이용하여 20 ~ 30 ℃에서 1차 세척하고, 2차 세척을 진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4
상기 실시예1에서 (3-3.정제-세척단계)를 진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 또는 부산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1. 순도
상압, 20 ~ 30 ℃ 조건에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1w%로 Acetonitrile(ACN)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ACQUITY UPLC®BEH C18 1.7 ㎛ (2.1*50mm column)를 사용하여 Waters HPLC 시스템에서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비스페놀A(BPA)의 순도를 분석하였다.
2. 색좌표(L*, a*, b*)
상기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에 대하여 HunterLab UltraScan PRO Spectrophot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 모드로 분석하였다.
3. 부산물(DEC) 회수율
상기 증류단계에서 분리된 MC, EtOH, 물이 포함된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부산물 혼합물에서의 DEC의 몰수 대비 회수한 DEC의 몰 수의 퍼센트 비율을 하기 수학식에 의해 구하였다.
[수학식]
디에틸 카보네이트 회수율 = {(회수한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몰 수) / (전체 부산물 혼합물 중에서의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몰 수)} X 100.
구체적으로, 부산물 혼합물에서의 DEC의 몰수는 해중합 직후 혼합액에 대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불꽃 이온화 검출기(GC-FID) 장비를 통해 생성된 DEC의 몰수를 측정할 수 있고, 회수한 DEC의 몰수는 부산물 혼합액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 불꽃 이온화 검출기(GC-FID) 장비를 통해 동일한 방법으로 DEC에 대해 몰수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실험예1 측정 결과
구분 순도(%) L* a* b* DEC
회수율(%)
실시예1 99.72 98.91 -0.06 1.49 89.2
실시예2 99.13 96.91 -0.01 1.53 88.1
실시예3 99.14 97.12 0.06 1.56 87.9
실시예4 97.29 96.19 0.33 2.21 85.1
실시예5 96.82 97.82 0.31 1.82 87.1
실시예6 99.85 98.82 -0.05 1.48 88.8
실시예7 96.13 97.11 0.02 1.55 88.1
실시예8 97.11 96.92 0.26 2.10 86.2
실시예9 97.85 96.98 0.21 1.62 88.5
실시예10 99.12 97.11 0.11 1.51 87.6
비교예1 96.12 96.01 0.11 2.62 81.2
비교예2 96.87 94.12 0.55 3.11 77.1
비교예3 96.97 95.11 0.45 2.79 79.2
비교예4 95.81 94.19 0.41 3.02 76.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96.13% 내지 99.85%의 고순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6.19 내지 98.91, a*가 -0.06 내지 0.33, b*가 1.48 내지 2.21을 나타내어 우수한 광학 물성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DEC 회수율이 85.1% 내지 89.2%로 높게 측정되었다.반면,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95.81% 내지 96.97%로 실시예 대비 순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4.12 내지 96.01, a*가 0.11 내지 0.55, b*가 2.62 내지 3.11을 나타내어 실시예 대비 불량한 광학 물성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DEC 회수율이 76.6% 내지 81.2%로 실시예 대비 낮아졌다.

Claims (20)

  1.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디에틸 카보네이트가 부산물로서 얻어지고,
    부산물인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하기 수학식에 의한 회수율이 82% 이상이며,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수학식]
    디에틸 카보네이트 회수율 = {(회수한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몰 수) / (전체 부산물 혼합물 중에서의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몰 수)} X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6.1 이상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a*가 0.4 이하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b*가 2.5 이하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순도가 96% 이상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7.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해중합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정제단계는,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세척단계; 및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제 및 제2흡착제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식물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석유계 활성탄, 및 폐기물질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탄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착제의 첨가량은 제2흡착제 첨가량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는,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및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용매는 유기용매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40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용매는 물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와, 상기 10 ℃ 이상 30 ℃ 이하의 온도에서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의 온도간 차이값이 20 ℃ 이상 50 ℃ 이하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은,
    에탄올을 포함한 용매하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반응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1몰 대비 0.5몰 이하의 함량으로 염기를 반응시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분리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감압 증류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단계에서,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2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2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분리된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재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에 제1흡착제를 투입하여 흡착정제시킨 후 제1흡착제를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해중합반응 생성물의 산에 의한 중화반응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1항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20. 제19항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210122003A 2021-09-13 2021-09-13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30039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03A KR20230039101A (ko) 2021-09-13 2021-09-13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US18/032,141 US20230382837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of,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EP22867537.7A EP4209529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ecycled plastic using same, and molded product
EP22867536.9A EP4209528A4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THE SYNTHESIS OF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RECYCLED PLASTIC PRODUCT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JP2023530701A JP2023550948A (ja) 2021-09-13 2022-07-14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および成形品
PCT/KR2022/010308 WO2023038266A1 (ko) 2021-09-13 2022-07-1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CN202280006828.0A CN116368179A (zh) 2021-09-13 2022-07-14 用于合成再生塑料的单体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再生塑料和使用所述再生塑料的成型制品
JP2023518893A JP2023545937A (ja) 2021-09-13 2022-07-14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および成形品
EP22867540.1A EP4230679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which use same
JP2023519399A JP2023545954A (ja) 2021-09-13 2022-07-14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および成形品
PCT/KR2022/010313 WO2023038269A1 (ko) 2021-09-13 2022-07-1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PCT/KR2022/010309 WO2023038267A1 (ko) 2021-09-13 2022-07-1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EP22867535.1A EP4212572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thesizing recycled plastic, method for preparing same, recycled plastic using same, and molded product
PCT/KR2022/010318 WO2023038271A1 (ko) 2021-09-13 2022-07-1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PCT/KR2022/010315 WO2023038270A1 (ko) 2021-09-13 2022-07-1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
US18/031,860 US20230383089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of,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JP2023518891A JP2023545936A (ja) 2021-09-13 2022-07-14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および成形品
US18/031,863 US20230383090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of,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PCT/KR2022/010311 WO2023038268A1 (ko) 2021-09-13 2022-07-1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EP22867538.5A EP4209530A4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S OF RECYCLED PLASTIC,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RECYCLED PLASTIC THEREOF AND MOLDED PRODUCT
JP2023518896A JP2023545938A (ja) 2021-09-13 2022-07-14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および成形品
CN202280006891.4A CN116368180A (zh) 2021-09-13 2022-07-14 用于合成再生塑料的单体组合物、其制备方法和再生塑料、使用该再生塑料的成型制品
US18/038,189 US20240002627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recycled plastic,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EP22867539.3A EP4209531A4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THE SYNTHESIS OF RECYCLED PLASTIC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ECYCLED PLASTIC MATERIAL USING SAME AND MOLDED PRODUCT
CN202280007033.1A CN116368181A (zh) 2021-09-13 2022-07-14 用于合成再生塑料的单体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其的再生塑料、模塑制品
CN202280006982.8A CN116323773A (zh) 2021-09-13 2022-07-14 用于合成再生塑料的单体组合物、其制备方法和使用其的再生塑料、模塑制品
JP2023519398A JP2023545953A (ja) 2021-09-13 2022-07-14 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プラスチック、並びに成形品
US18/032,327 US20230391702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of,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US18/032,117 US20230374251A1 (en) 2021-09-13 2022-07-14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aration method thereof,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TW111126793A TW202311212A (zh) 2021-09-13 2022-07-18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TW111126772A TWI812353B (zh) 2021-09-13 2022-07-18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TW111126830A TWI832334B (zh) 2021-09-13 2022-07-18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TW111126789A TWI842015B (zh) 2021-09-13 2022-07-18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TW111126770A TW202311396A (zh) 2021-09-13 2022-07-18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TW111126768A TWI832332B (zh) 2021-09-13 2022-07-18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03A KR20230039101A (ko) 2021-09-13 2021-09-13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01A true KR20230039101A (ko) 2023-03-21

Family

ID=8580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003A KR20230039101A (ko) 2021-09-13 2021-09-13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1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9099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30083783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30039101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30039102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30039100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TWI832334B (zh)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TWI842015B (zh)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所製之再生塑膠與模製物
KR20230045976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30052755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20240070379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CN117794991A (zh) 用于合成再生塑料的单体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使用其的再生塑料、模制产品
KR20230146993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