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047A -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047A
KR20230039047A KR1020210121893A KR20210121893A KR20230039047A KR 20230039047 A KR20230039047 A KR 20230039047A KR 1020210121893 A KR1020210121893 A KR 1020210121893A KR 20210121893 A KR20210121893 A KR 20210121893A KR 20230039047 A KR20230039047 A KR 2023003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main body
cleaning device
wash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원
Priority to KR102021012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047A/ko
Publication of KR2023003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21Handling or manipulating containers, e.g. moving or rotating containers in cleaning devices, conveying to or fro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5Drying-steam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는,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저장탱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구속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회전시켜 상기 세척부로 이송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저장탱크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입구와 체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세척하며,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부는 다시 상기 저장탱크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AUTOMATIC WASHING DEVICE FO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약과 같이 점성을 갖는 원료는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포장용기에 주입하기 위해 이송되며, 용기주입 공정이 완료되면 새로운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비어있는 저장탱크에 대한 세척 작업이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에 대한 세척 작업은 작업자가 호스 등을 통해 물을 분사하고, 솔 등의 도구를 사용해 저장탱크 내벽에 잔존하는 원료를 긁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작업 방식으로는 저장탱크 하나에 대한 세척을 완료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어 전체 작업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인력 낭비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탱크에 대한 세척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는,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저장탱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구속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회전시켜 상기 세척부로 이송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저장탱크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입구와 체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세척하며,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부는 다시 상기 저장탱크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구속시키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본체부를 상기 세척부로 회전구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회전구동시키는 제2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와 마주하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타면에는 상기 제2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저장탱크를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고정암; 및 상기 프레임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하면을 받치는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암은 상기 저장탱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에 밀착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핀은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일면 중앙에 상기 저장탱크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저장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부는, 상기 연결핀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핀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연결핀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져 상기 저장탱크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각각 도관과 연결되어 고압세척수, 정제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고압세척수, 상기 정제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건조시키는 열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살균소독하는 살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세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무선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장탱크에 대한 세척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에서 제1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에서 제1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1)는 저장탱크(ST)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본체부(10) 및 본체부(10)를 통해 이송되는 저장탱크(ST)를 세척하는 세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와 세척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저장탱크(ST)를 파지하여 구속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저장탱크(ST)의 입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저장탱크(ST)를 회전시켜 세척부(20)로 이송하고, 세척부(20)는 입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저장탱크(ST)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입구와 체결되어 저장탱크(ST) 내부를 세척하며, 세척이 완료되면 본체부(10)는 다시 저장탱크(ST)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제1본체부(11)와 제2본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본체부(11)는 저장탱크(ST)를 감지하고 저장탱크(ST)를 파지하여 구속시킬 수 있고, 제2본체부(12)는 제1본체부(11)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본체부(11)를 세척부(20)로 회전구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본체부(11)는 프레임(110), 고정암(120), 보조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저장탱크(ST)와 마주하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타면에는 제2본체부(1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112)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핀(112)은 기어(1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은 일면 중앙에 저장탱크(ST)와 접촉하는 완충부재(114)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재(114)는 저장탱크(ST)를 파지하기 위해 제1본체부(11)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프레임(110)과 충돌하여 프레임(110) 또는 저장탱크(ST)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부재(114)는 저장탱크(ST)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저장탱크(ST)의 유무 및 저장탱크(ST)가 구속을 위한 파지위치에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완충부재(114)는 탄성을 가지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암(120)은 프레임(110)의 일면에서 가이드레일(111)과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고정암(120)은 한 쌍으로 제공되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며 저장탱크(ST)를 파지하여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암(120)은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121)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고정암(120)은 저장탱크(ST)와 마주하는 부분에 저장탱크(ST)의 측면에 밀착되는 파지부재(122)를 구비할 수 있다. 파지부재(122)는 저장탱크(ST)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보조 프레임(130)은 고정암(120)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130)은 프레임(11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131), 수직부재(131)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저장탱크(ST)의 하면을 받치는 수평부재(132), 수직부재(131)의 끝단에서 수직부재(1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본체부(12)는 베이스(140), 구동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0)는 제1본체부(11)를 지지하는 뼈대 구조물에 해당하며, 연결핀(112)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1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구동모터(150)는 베이스(140)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연결핀(112)과 기어연결되어 연결핀(1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세척부(20)는 커버(210), 노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210)는 저장탱크(ST)의 입구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저장탱크(ST)의 입구와 체결되어 저장탱크(ST)를 밀폐시킬 수 있다.
커버(210)는 저장탱크(ST) 기준 제1본체부(11)의 후방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베이스(140)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커버(210)는 제1본체부(11)의 회전구동 시 저장탱크(ST)가 회전하며 이송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되, 저장탱크(ST)의 회전중심축에 대응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저장태크(ST)의 입구는 커버(210)에 온전하게 들어맞게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10)에는 세척 과정에서 저장탱크(ST)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핑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노즐(220)은 커버(210)를 관통하여 저장탱크(ST)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22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220)은 각각 도관(221)과 연결되어 고압세척수, 정제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210)에는 분사된 고압세척수, 정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11)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10)와 연결되어 저장탱크(ST) 내부를 건조시키는 열풍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기(230)는 도관(221)을 통해 커버(2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세척이 완료된 저장탱크(ST) 내부를 열풍건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10)와 연결되어 저장탱크(ST) 내부를 살균소독하는 살균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기(240)는 도관(221)을 통해 연결되어 염소를 분사하는 염소살균기, UV광을 조사하는 UV살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본체부(10)와 세척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30)를 통해서 세척수와 정제수의 분사압력, 분사량, 분사시간 등을 상이한 점도를 갖는 각 원료의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세팅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0)는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핸드폰, 태블릿 PC 등)를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제어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세척 대상인 저장탱크(ST)를 본체부(10)로 이송한다. 저장탱크(ST)의 이송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어서 본체부(10)로 이송하거나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를 사용해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체부(10)로 이송되는 저장탱크(ST)는 제1본체부(11)에 의해 파지되어 구속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저장탱크(ST)가 한 쌍의 고정암(120) 사이에서 저장탱크(ST)의 측면이 프레임(110)의 완충부재(114)와 접촉하도록 이송되면, 저장탱크(ST)의 하면은 보조 프레임(130)의 수평부재(132) 상에 놓여 받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완충부재(114)를 통해 저장탱크(ST)가 파지위치에 올바르게 배치되었음이 확인되면, 액추에이터(121)의 작동에 의해 고정암(120)이 프레임(110)의 가이드레일(111)을 따라서 저장탱크(ST)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고정암(120)의 파지부재(122)가 저장탱크(ST)의 양 측면에 밀착되어 저장탱크(ST)를 파지하여 구속하게 된다.
저장탱크(ST)에 대한 구속이 완료되면 제2본체부(12)는 제1본체부(11)를 회전시켜 세척부(20)로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의 연결핀(112)과 기어연결된 구동모터(150)가 작동하여 연결핀(112)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프레임(110)이 회전하면, 제1본체부(11)가 저장탱크(ST)를 파지한 상태로 저장탱크(ST)를 들어올려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탱크(ST)는 회전하며 뒤집혀져 입구가 세척부(20)의 커버(210)와 체결된다. 저장탱크(ST)의 입구가 지면을 향해 뒤집혀진 상태로 세척부(20)의 커버(210)와 체결되면, 제2본체부(12)는 제1본체부(11)에 대한 회전을 중단한다.
세척부(20)는 저장탱크(ST)의 입구와 커버(210)가 체결되면 노즐(220)을 통해 저장탱크(ST) 내부로 고압세척수를 설정된 압력과 시간으로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노즐(220)을 통해 저장탱크(ST) 내부로 정제수를 설정된 압력과 시간으로 분사하여 린싱을 수행한다. 분사된 고압세척수와 정제수는 배수관(2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되면, 열풍기(230)를 구동시켜 세척이 완료된 저장탱크(ST) 내부를 열풍건조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살균기(240)를 더 구동시켜 저장탱크(ST) 내부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기(240)는 도관을 통해 연결되어 염소를 분사하는 염소살균기, UV광을 조사하는 UV살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기(230)와 살균기(240)의 작동은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본체부(12)는 구동모터(150)를 다시 구동시켜 연결핀(112)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프레임(11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프레임(110)의 회전에 따라 제1본체부(11)는 저장탱크(ST)를 파지하여 구속한 상태로 회전하며 저장탱크(ST)를 원위치로 이송한다.
저장탱크(ST)에 대한 원위치 이송이 완료되면, 액추에이터(121)의 작동에 의해 고정암(120)이 프레임(110)의 가이드레일(111)을 따라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고정암(120)의 파지부재(122)가 저장탱크(ST)의 양 측면에서 분리되어 저장탱크(ST)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제1본체부(11)를 통한 저장탱크(ST)의 구속 및 구속해제와 제2본체부(12)를 통한 저장탱크(ST)의 회전이송에 대한 제어는 컨트롤러(30)를 통해 수행되며, 아울러 사용자는 고압세척수와 정제수의 분사압력, 분사량, 분사시간 등을 상이한 점도를 갖는 각 원료의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세팅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핸드폰, 태블릿 PC 등)를 통해 본체부(10)에 대한 제어와 세팅값에 대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구속이 해제된 저장탱크(ST)는 사용자에 의해 다음 공정에 사용되기 위해 이송되며, 세척을 위한 새로운 저장탱크(ST)가 다시 이송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10: 본체부
20: 세척부 30: 컨트롤러
110: 프레임 111: 가이드레일
112: 연결핀 113: 기어
114: 완충부재 120: 고정암
121: 액추에이터 122: 파지부재
130: 보조 프레임 131: 수직부재
132: 수평부재 133: 연결부재
140: 베이스 140: 구동모터
210: 커버 211: 배수관
220: 노즐 221: 도관
230: 열풍기 240: 살균기

Claims (13)

  1.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저장탱크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구속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회전시켜 상기 세척부로 이송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저장탱크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입구와 체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세척하며,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부는 다시 상기 저장탱크를 회전시켜 원위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탱크를 파지하여 구속시키는 제1본체부 및 상기 제1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본체부를 상기 세척부로 회전구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회전구동시키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는,
    상기 저장탱크와 마주하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타면에는 상기 제2본체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저장탱크를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는 고정암; 및
    상기 프레임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하면을 받치는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보조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상기 저장탱크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에 밀착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저장탱크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접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일면 중앙에 상기 저장탱크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저장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부는,
    상기 연결핀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핀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연결핀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입구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져 상기 저장탱크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각각 도관과 연결되어 고압세척수, 정제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고압세척수, 상기 정제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건조시키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살균소독하는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세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무선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KR1020210121893A 2021-09-13 2021-09-13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KR20230039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93A KR20230039047A (ko) 2021-09-13 2021-09-13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93A KR20230039047A (ko) 2021-09-13 2021-09-13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47A true KR20230039047A (ko) 2023-03-21

Family

ID=8580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893A KR20230039047A (ko) 2021-09-13 2021-09-13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0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9714A (zh) * 2023-11-24 2023-12-29 江苏康泰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污泥存储罐清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9714A (zh) * 2023-11-24 2023-12-29 江苏康泰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污泥存储罐清洗机
CN117299714B (zh) * 2023-11-24 2024-02-02 江苏康泰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污泥存储罐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38848B (zh) 一种可自动消毒的废旧玻璃瓶回收设备
ES2263398B1 (es) Sistema de limpieza de contenedores.
CN217225533U (zh) 用于容器加工设施的机器人系统
US9333679B2 (en) Magazine device for blow moulds, comprising a cleaning device
EP2821149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external cleaning of containers for loose substances
KR100764573B1 (ko) 드럼통 세척장치
KR20230039047A (ko) 저장탱크 자동세척장치
KR20090006933A (ko) 컵 세척기
KR101458980B1 (ko) 자동 식기 세척장치
CN212577083U (zh) 一种化工容器全自动清洗装置
US20130174880A1 (en) Multi-functional cleaning robot
JP7328521B2 (ja) 容器洗浄装置
CN215902253U (zh) 一种贴膏剂基材清洁消毒设备
CN213852172U (zh) 一种食品包装瓶用消毒装置
CN212041911U (zh) 一种全自动药桶清洗设备
JP2009233596A (ja) 殺菌洗浄方法および殺菌洗浄装置
JP2008110323A (ja) コンテナ容器の洗浄乾燥装置及び方法
KR20180058020A (ko) 골프채 세척장치
JPH05253554A (ja) 容器の自動洗浄装置
JP2020033043A (ja) 整列反転クリーナー
US20230264239A1 (en) Inverting and cleaning device
CN219326592U (zh) 自带传感器封盖功能的灌装线
CN216679448U (zh) 全自动半导体化学品药液桶清洗装置
CN219326591U (zh) 一体式控制灌装线
CN221086528U (zh) 一种喷淋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