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312A -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312A
KR20230036312A KR1020210119016A KR20210119016A KR20230036312A KR 20230036312 A KR20230036312 A KR 20230036312A KR 1020210119016 A KR1020210119016 A KR 1020210119016A KR 20210119016 A KR20210119016 A KR 20210119016A KR 20230036312 A KR20230036312 A KR 20230036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nuclear
communication
maintenance supp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978B1 (ko
Inventor
서용석
서상문
이종복
방대인
신승기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원자력 시설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atomic energy facility}
본 발명은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상의 문제로 무선 네트워크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원자력 시설에서,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여 원자력 시설의 내부로 진입하여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의한 작업 상황을 신속하게 관찰하고 지원할 수 있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시설이란, 원자로나 방사선 취급시설을 포함하는 연구소/공장/발전소 등 시설을 총칭하고 있으며, 자세하게는, '원자력 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 의해 발전용 원자로, 연구용 원자로, 핵연료 주기 시설, 방사성 폐기물의 저장/처리/처분 시설, 핵물질 사용 시설,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원자력 이용과 관련된 시설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자력 시설은 각 나라 별로 보안 등급이 높은 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디지털 통신 기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태블릿, 노트북 등) 기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이 전무한 상태이다.
그렇지만, 방사선 노출 위험이 있는 원자력 시설에 출입하는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중앙 통제실에서 관찰하고 작업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 및 요구가 있는 실정이다.
다만, 원자력 시설에서 무선 통신은 유선 통신에 비해 사이버 공격 등과 같은 보안 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선 통신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유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점검 작업의 안전과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 특허 제10-2046423호("3차원 환경인식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원자력 시설")에서는 방사화된 원자력 시설의 해체 및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3차원 환경인식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원자력 시설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6423호(등록일자 2019.11.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원자력 시설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원자력 시설의 내부 작업구역으로 진입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며,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100), 원자력 시설의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작업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앙 단말기(200) 및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어, 유선 연결되는 단말기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는 통신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는 위치하는 각 내부 구역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통신부(300)와 유선 연결되어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30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 간의 직접 유선 연결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통신부(30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는 하나의 이더넷 통신 스위치를 포함하며, 해당하는 내부 구역에 구비된 전력선 통신 모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과 직접 유선 연결되는 제2 통신부(320)를 포함하며,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 중 인접한 내부 구역에 구비된 상기 제2 통신부(320) 간 유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으로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의 정보 공유 기능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기수행된 유지보수 작업에 따라 입력된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유지보수 서버(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원자력 시설의 내부 소정구역에 구비되어, 해당하는 내부 구역의 상기 제1 통신부(310)와 유선 연결되되, 허가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 및 관리하는 상기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운전일지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또는, 기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신규 운전일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또는, 제공받은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작업일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구비된 내부 구역의 환경 센싱값 또는, 구비된 내부 구역의 공정 센싱값을 획득하는 현장 단말기(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장 단말기(50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어, 구비된 내부 구역의 상기 제1 통신부(310)와 유선 연결되되, 허가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보안 상의 문제로 무선 네트워크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원자력 시설에서, 유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자력 시설의 내부로 진입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에 의한 작업 상황을 신속하게 관찰하고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점검 작업의 안전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방사선 위험이 있는 원자력 시설 내에 유지보수 작업자의 출입 횟수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중앙 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와의 정보 공유를 통해서 현장 작업의 안전 상태를 관찰하고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선 통신망 설치에 제한적이거나 위험한 지역에는 전력선 모뎀을 통해, 중앙 단말기와 현장 단말기 간의 통신망 구성이 가능하여 별도의 유선망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통신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다수의 현장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망 구성이 가능하여, 중앙 단말기 뿐 아니라, 작업자들 상호 간의 작업 지원을 통해서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 결과인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작업일지 데이터를 수기가 아닌 단말기를 통해서 서버로 업로드함으로써,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휴먼 에러에 의한 데이터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업무 기록 유지를 더욱 더 철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에 의한 유지보수 지원 기능을 나타낸 세부 예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원자력 시설은 원자력 시설 자체가 갖고 있는 특수성(높은 보안성, 안전성 등)으로 인해 디지털 기술 기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이 많지 않다. 그렇지만, 원자력 시설 내 방사선 위험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작업자의 대피를 조치해야하기 때문에, 디지털 기술 기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은 상태이다.
또한, 무선 통신 이용은, 현재로서는 사이버 보안 취약 등으로 인해 원자력 시설 내에서는 적용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유선 통신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술 기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자력 시설에서의 유지보수 업무의 안전과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간략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원자력 시설 현장에 작업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며, 통신부(300)를 통해서 중앙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되어, 중앙 단말기(200)의 관리자인 전문가로부터 작업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위험 발생 시, 중앙 단말기(200)로부터 안전 조치를 지시받을 수 있으며, 통신부(300)를 통해서 유지보수 서버(400)에 접속하여 유지보수 관련 절차서, 매뉴얼 등을 전송받아 운전일지와 작업일지를 작성하고, 이를 다시 유지보수 서버(40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 현장에 위치하고 있는 현장 단말기(500)를 통해서 센싱값을 전달받아, 현장 상황을 작업자 스스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유지보수 작업의 안전과 효율이 향상되면,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의 위험이 감소하고, 방사선 피폭 정도가 감소되며, 휴먼 에러 역시 감소할 수 있어,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 증대와 연결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 중앙 단말기(200) 및 통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원자력 시설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역들 중 유지보수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구역으로 진입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한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으로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태블릿 노트북 등 이동이 용이하고,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때, 사전에 작업 진행을 허가받는 것이 필수이며, 작업자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매칭시켜,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추후에 발생된 사고의 원인을 신속하게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원자력 시설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역들 중 중앙 관리/통제실에 해당하는 통제구역에 설치되어, 전문가가 관리하는 단말기로서,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작업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작업 지원을 제공하거나, 안전 조치 등을 지시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통제구역에 고정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단말기(200)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작업 관련 정보를 전달받기 위한 통신망을 구축하는 구성으로,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어, 연결 접속되는 단말기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통신부(300)는 유선 연결 접속되는 단말기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는 각각 위치하고 있는 내부 구역에 구비된 상기 통신부(300)와 유선 연결 접속되어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자력 시설이 갖고 있는 특수성으로 인해 보안이 다소 취약한 무선 통신망이 아닌 유선 통신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통신부(300)는 별도의 유선 통신망을 위한 선로 등을 구축할 경우, 원자력 시설이 갖고 있는 특수성으로 인해 구축에 제한적이거나, 방사선 등으로 인한 위험한 구역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력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310) 및 제2 통신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략하게는, 상기 제1 통신부(310)는 위치하고 있는 구역 내 통신망 구축을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통신부(320)는 구역들 간의 통신망 구축을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통신부(310)는 원자력 시설의 각각의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선 통신 모뎀을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의 직접 유선 연결을 통해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통신부(31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의 전력 차단기 내 전력선(100/220 VAC)에 연결되는 장치(휴대 단말기(100) 또는, 중앙 단말기(200) 등)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전원 플러그), 외부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 연결되는 장치가 상기 전력선을 통해 외부와 전력선 통신하도록 지원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전력선 통신 모뎀/전력선 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신부(310)를 통한 전력선 통신은 100 MBPS 이상의 성능으로 이더넷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상기 전력선 통신 모뎀에 직접 또는 별도의 젠더를 통해서 유선 연결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의 전력 차단기 내 전력선에서는 상기 제1 통신부(310)의 전력선 통신 모뎀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지만, 전력 차단기 간에는 전력선 모뎀 통신이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작업자와 전문가가 한 구역 내에 위치하여 휴대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가 동일한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이 구성되는 것은 불필요할 뿐 아니라,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간의 통신을 위한 상기 제2 통신부(320)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력 차단기가 중간에 설치된 전력선과 전력선 간 이더넷 통신 허브 스위치를 양단에 설치하여 통신 연결함으로써, 전력선 간 100 MBPS 이상의 성능으로 이더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32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는 하나의 이더넷 통신 스위치(허브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통신부(320)는 해당하는 내부 구역에 구비된 상기 제1 통신부(310)의 전력선 통신 모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과 직접 유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 중 인접한 내부 구역에 구비된 상기 제2 통신부(320)들 간 유선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제2 통신부(320)에 연결되는 상기 제1 통신부(310)에 연결되는 장치들 간의 통신망 구축이 가능하다. 이 때, 인접한 내부 구역으로 한정하는 것은 유선 연결을 최단거리로 구축하기 위함으로, 원자력 시설에 따라 인접한 내부 구역이 아닌,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내부 구역 간의 연결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를 통해서, 차단기 내에서는, 다시 말하자면, 각 내부 구역에서는 상기 제1 통신부(310)의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고, 차단기와 차단기 간, 다시 말하자면, 각 내부 구역들 간은 상기 제2 통신부(320)의 허브 스위치를 이용하여 유선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여 원자력 시설의 내부 작업구역으로 진입한 후, 해당하는 구역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1 통신부(310)의 전력선 통신 모뎀과 유선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의 통신 환경이 구축되어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중앙 단말기(200) 역시도 원자력 시설의 내부 통제구역에 구비되어 있는 제1 통신부(310)의 전력선 통신 모뎀과 유선 연결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작업자가 각자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하여 원자력 시설의 내부 다수의 작업구역으로 각자 진입한 후, 각각의 해당하는 구역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1 통신부(310)의 전력선 통신 모뎀과 유선 연결함으로써,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 통신 환경 뿐 아니라, 작업자들의 상기 휴대 단말기(100)들 간의 통신 환경이 구축되어 협업 및 현장 작업상황을 공유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구축된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의 정보 공유 기능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공유 기능의 일 예를 들자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 간의 판서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진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동시 공유가 가능한 화면을 출력받아 양측에서 동시에 판서 내용을 입력하여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중앙 단말기(2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있는 단말기이기 때문에, 동시 공유가 가능한 화면을 출력받아 양측에서 동시에 판서 내용을 입력하고, 이를 통해서 유지보수/점검을 위한 작업 내역을 지시하거나, 이에 따른 대응 작업 결과를 공유하고, 또는, 방사선 유출 등 위험상황을 판서를 통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공유 기능의 또다른 예를 들자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 간의 문서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진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 저장된 문서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작성한 문서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 뿐 아니라,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현장(작업구역)에 직접 문서를 들고 가지 않아도 되며, 현장 인력으로는 필수 작업자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불필요한 현장 작업자의 인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휴대 단말기(100) 간의 통신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 다수의 휴대 단말기(100) 간의 정보 공유 기능을 통해서, 실시간 작업 내용을 공유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화상 통화 기능의 일 예를 들자면,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진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상기 중앙 단말기(200) 간의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서 현장의 작업할 기기를 촬영하여 화상 공유하면, 전문가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를 통해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한 작업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기존에 수행된 유지보수 작업에 따라 입력된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유지보수/점검 매뉴얼에 해당하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 역시도 원자력 시설의 내부 소정구역(미리 설정된 구역)에 구비되어, 해당하는 내부 구역의 상기 제1 통신부(310)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 전력선 통신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상기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운전일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요청하거나 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신규 운전일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운전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작성된 운전일지를 전달받아 저장 및 관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운전일지를 작성하기 앞서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운전일지의 작성을 신청(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운전일지의 작성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서명을 기입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되며,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작성된 운전일지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자의 서명을 판별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서도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의해 작성된 운전일지를 전달받거나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서 직접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를 통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의해 작성된 운전일지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서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전문가 역시도 다시 한번 운전일지의 내용을 확인한 후 서명을 기입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운전일지 작성자(작업자)의 서명, 서명일자와 운전일지 확인자(전문가)의 서명, 서명일자가 포함된 운전일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원하는 운전일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요청할 경우, 해당하는 운전일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보다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종 확인된, 다시 말하자면, 전문가에 의해 최종 확인된 운전일지 데이터에 대해서는 보관은 가능하나, 이에 대한 작성 취소 또는, 삭제를 반려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들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와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져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운전일지 관련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원하는 날짜에 해당하는 운전일지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해당하는 날짜의 운전일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운전일지 데이터 양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신규 운전일지 데이터 작성을 위한 양식을 전달받아, 진행하는 작업에 대한 운전일지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일지의 작성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서명을 기입하도록 양식을 설정하게 된다. 이 후, 전문가의 확인을 거쳐서 다시 한번 전문가의 서명을 기입하도록 양식이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에서는 작업자 서명, 전문가 서명 등이 포함된 운전일지 데이터를 시간 순서대로 저장 및 관리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을 위해 보기/저장만 가능하고, 수정/삭제를 불가능하게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의 보안설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또는, 제공받은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작업일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의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작업자가 작업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작성된 작업일지는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작업자는 작업일지의 작성을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신청하고, 작성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서명을 기입하도록 설정하게 된다.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저장되어 있는 작업절차서 목록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검색하도록 제공하며, 선택받은 작업절차서를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공유하게 된다.
더불어, 상술한 작업일지 데이터 관련 기능과 마찬가지로, 전문가가 다시 한번 작성된 작업일지의 내용을 확인한 후 서명을 기입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작업일지 작성자(작업자)의 서명, 서명일자와 작업일지 확인자(전문가)의 서명, 서명일자가 포함된 작업일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보다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종 확인된, 다시 말하자면, 전문가에 의해 최종 확인된 작업일지 데이터에 대해서는 보관은 가능하나, 이에 대한 작성 취소 또는, 삭제를 반려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들을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와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져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작업일지 관련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있는 작업절차서 목록을 전달받아, 이 중 원하는 작업절차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하는 작업절차서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 후, 작업절차서에 연계되어 있는 작업목록을 전달받아, 작업목록에서 신청할 작업을 선택하여 이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 도중 또는, 작업을 완료한 후, 이에 대한 작업일지를 작성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일지의 작성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서명을 기입하도록 양식을 설정하게 된다. 이 후, 전문가의 확인을 거쳐서 다시 한번 전문가의 서명을 기입하도록 양식이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에서는 작업자 서명, 전문가 서명 등이 포함된 작업일지 데이터를 시간 순서대로 저장 및 관리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을 위해 보기/저장만 가능하고, 수정/삭제를 불가능하게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의 보안설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단말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장 단말기(500)는 원자력 시설의 내부 소정구역(미리 설정된 구역)에 구비되어, 해당하는 내부 구역의 환경 센싱값(방사선 등을 포함) 또는, 구비된 내부 구역의 공정 센싱값(온도, 압력 등을 포함)을 획득하는 것이 발마직하다.
또한, 상기 현장 단말기(500)는 해당하는 내부 구역에 구비된 상기 제1 통신부(310)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 전력선 통신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현장 단말기(500)는 원자력 시설에 설치된 공정 컴퓨터로서, 센싱 설정되어 있는 현장값을 읽어들어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갱신하게 된다.
상기 현장 단말기(500)는 센싱값을 전송하는 단방향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또는, 센싱값에 이벤트 발생시, 이를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소지한 작업자의 요청에 의해 저장하고 있는, 다시 말하자면, 갱신된 가장 최신의 센싱값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작업자는 원자력 시설의 해당하는 내부 구역의 현장값을 최신의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어, 내부 구역 진입 전 또는, 진입 후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위험성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휴대 단말기
200 : 중앙 단말기
300 : 통신부
310 : 제1 통신부 320 : 제2 통신부
400 : 유지보수 서버
500 : 현장 단말기

Claims (8)

  1. 원자력 시설의 내부 작업구역으로 진입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소지하며,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100);
    원자력 시설의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작업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중앙 단말기(200); 및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어, 유선 연결되는 단말기 간의 통신망을 제공하는 통신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는 위치하는 각 내부 구역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통신부(300)와 유선 연결되어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0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 간의 직접 유선 연결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310);
    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0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는 하나의 이더넷 통신 스위치를 포함하며, 해당하는 내부 구역에 구비된 전력선 통신 모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력선 통신 모뎀과 직접 유선 연결되는 제2 통신부(320);
    를 포함하며,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 중 인접한 내부 구역에 구비된 상기 제2 통신부(320) 간 유선 연결되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유지보수 지원을 위한 기능으로 상기 중앙 단말기(200)와의 정보 공유 기능 또는,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받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기수행된 유지보수 작업에 따라 입력된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유지보수 서버(4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는
    원자력 시설의 내부 소정구역에 구비되어, 해당하는 내부 구역의 상기 제1 통신부(310)와 유선 연결되되,
    허가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 및 관리하는 상기 운전일지 데이터 또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운전일지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또는, 기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신규 운전일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제공하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부터 원하는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또는, 제공받은 작업절차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저장되어 있는 양식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작업일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상기 유지보수 서버(400)로 제공하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은
    구비된 내부 구역의 환경 센싱값 또는, 구비된 내부 구역의 공정 센싱값을 획득하는 현장 단말기(50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장 단말기(500)는
    원자력 시설의 각 내부 구역마다 구비되어, 구비된 내부 구역의 상기 제1 통신부(310)와 유선 연결되되,
    허가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동작이 수행되는,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KR1020210119016A 2021-09-07 2021-09-07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KR10260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016A KR102606978B1 (ko) 2021-09-07 2021-09-07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016A KR102606978B1 (ko) 2021-09-07 2021-09-07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12A true KR20230036312A (ko) 2023-03-14
KR102606978B1 KR102606978B1 (ko) 2023-11-29

Family

ID=855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016A KR102606978B1 (ko) 2021-09-07 2021-09-07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9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17B1 (ko) * 2007-11-09 2009-04-21 강대명 3상 전력선을 이용한 선박내의 통신시스템
KR101663653B1 (ko) * 2015-07-09 2016-10-07 (주)큐로스 전력선통신이 가능하고 환경센서군 및 Wi-Fi모듈이 탑재된 Gateway를 이용한 공사현장의 안전과 시설물 관리장치
KR20180009849A (ko) * 2016-07-19 2018-01-30 (주)한울전력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2046423B1 (ko) 2018-03-30 2019-11-19 한국원자력연구원 3차원 환경인식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원자력 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17B1 (ko) * 2007-11-09 2009-04-21 강대명 3상 전력선을 이용한 선박내의 통신시스템
KR101663653B1 (ko) * 2015-07-09 2016-10-07 (주)큐로스 전력선통신이 가능하고 환경센서군 및 Wi-Fi모듈이 탑재된 Gateway를 이용한 공사현장의 안전과 시설물 관리장치
KR20180009849A (ko) * 2016-07-19 2018-01-30 (주)한울전력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2046423B1 (ko) 2018-03-30 2019-11-19 한국원자력연구원 3차원 환경인식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원자력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978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644B2 (en) Two-factor authentication for user interface devices in a process plant
CN102890481B (zh) 具有过程通信隧道的手持式现场维护工具
US9805528B1 (e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to control access to process control devices in a process plant
CN101592938A (zh) 数控网络及其各种系统
KR20130045260A (ko) 적어도 하나의 안전한 암호 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2742243A (zh) 检查用于ied的配置修改
JP6640802B2 (ja) エッジサーバ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101980008B1 (ko) Web 플랫폼을 이용한 plc 및 시퀀스 회로 제어 시스템, 그 방법
CN103500475A (zh) 一种办公楼宇门禁系统的调试方法、系统
KR20180092371A (ko)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JP2007159374A (ja) 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
US113366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information for an access to a field device for process industry
JP2013171388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管理方法
CN104765316A (zh) 一种利用智能终端作为工业设备控制的人机界面的技术
KR20230036312A (ko) 원자력 시설의 유지보수 지원 시스템
CN108829072A (zh) 无菌制药设备的控制系统
Leone et al. EPICS application for ITER RH supervisory control system
JP6243733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4142823A (ja) 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方法
KR101661378B1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hmi 시스템
KR102406905B1 (ko) 산업 IoT 플랫폼을 이용한 엣지 컴퓨팅 기반 HMI 시스템
US9614872B2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managing critical digital assets in power generating plants
JP5030528B2 (ja) 運用保守管理装置
KR102232062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 설치되는 복수의 캐비닛의 도어락 잠금 제어 시스템
CN113490892A (zh) 控制装置以及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