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238A -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238A
KR20230036238A KR1020210118866A KR20210118866A KR20230036238A KR 20230036238 A KR20230036238 A KR 20230036238A KR 1020210118866 A KR1020210118866 A KR 1020210118866A KR 20210118866 A KR20210118866 A KR 20210118866A KR 20230036238 A KR20230036238 A KR 20230036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deodorization
odor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238A/en
Publication of KR2023003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23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containing an Aster fastigiat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by including a natur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is provided as a spray or deodorant to exhibit a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deodorization-causing bacteria as well as deodorization, thereby exhibiting a more excellent deodorization effect.

Description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A deodo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Onggutnamu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탈취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Onggutnamul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o a composition exhibiting deodorizing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체취는 피부에 있는 지방산과 미생물에 의한 악취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있어, 최근 탈취 조성물은 인간의 상이한 연령 및 성별의 탐과 관련된 악취 등의 불쾌한 냄새를 감추기 위한 시도로 이어져 오고 있다.Body odor is most commonly caused by odors caused by fatty acids and microorganisms in the skin. Recently, deodorant compositions have been attempted to hide unpleasant odors such as odors related to the burning of different ages and sexes of humans.

인간의 피부는 자연적으로 다양한 피부 분비물인 엑크린 및 아포크린 땀과 피지, 피부 세포 파편, 피부의 분해물 및 유기물 자체에 의해 영양분을 받는 수많은 미생물로 채워진다. 이러한 불쾌한 체취는 주로 아민, 산,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페놀, 인돌, 방향족, 폴리방향족 등과 같은 구조와 작용기가 다른 유기 분자이다. 이들은 또한 티올, 메르캅탄, 황화물 및/또는 이황화물기와 같은 황 함유 작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Human skin is naturally populated with numerous microorganisms that are nourished by various skin secretions, eccrine and apocrine sweat and sebum, skin cell debris, decomposition products of the skin, and the organic matter itself. These unpleasant body odors are mainly organic molecule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functional groups, such as amines, acids, alcohols, aldehydes, ketones, phenols, indoles, aromatics, polyaromatics, and the like. They may also consist of sulfur-contain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thiols, mercaptans, sulfide and/or disulfide groups.

또한, 개인의 신체와 머리카락에 불쾌한 냄새를 남기는 물질과의 매일의 접촉은 거의 불가피하다. 생선, 양파, 마늘 또는 다른 향신료와 같은 식품, 요리 냄새, 연기, 담배 및 가솔린은 일상 생활에서 악취의 일반적인 환경 원인의 단지 일부이다.Additionally, daily contact with substances that leave unpleasant odors on an individual's body and hair is almost inevitable. Foods such as fish, onions, garlic or other spices, cooking odors, smoke, cigarettes and gasoline are just some of the common environmental sources of odor in everyday life.

발한으로 인한 악취를 조절하려는 다른 시도는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와 같은 악취 흡수제의 사용을 포함하며, 땀으로 인한 악취를 조절하려는 또 다른 시도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냄새 조절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땀 냄새와 같은 체취를 포함하는 냄새를 흡수하기 위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사용은 잘 알려져 있다.Other attempts to control malodor from perspiration include the use of malodor absorbers such as activated carbon and zeolites, and still further attempts to control malodor from perspiration include the use of cyclodextrin odor control agents. The use of cyclodextrins to absorb odors, including body odors such as the smell of sweat, is well known.

최근 연구는 체취가 연령-관련 및 성별-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체취의 화학적 조성물은 생쥐, 토끼 및 일부 영장류와 같은 많은 동물에서 연령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간의 경우에, 연령 또는 성별에 따른 체취의 변화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없다.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body odor contains age-related and gender-related information. Althoug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ody odor is known to change with age in many animals such as mice, rabbits and some primate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changes in body odor with age or sex in humans.

인간의 땀의 주요하고 특징적인 구성성분은 두 개의 휘발성 스테로드인 모두 안드로스테론으로부터 형성된 남성의 안드로스테논 및 여성의 안드로스테놀, 나중에 3-메틸-2-헥산산(MHA)으로 변형되며, 비록 남성에서 주로 발생하나 남성과 여성에서 발견된 휘발성 지방산인 3-하이드록시-3-메틸헥산산(HMHA), 및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는 설파닐알케인올인 3-메틸-3-설파닐헥산-1-올(MSH)이다.The main and characteristic constituents of human sweat are two volatile steroids, male androstenone and female androstenol, both formed from androsterone, later transformed into 3-methyl-2-hexanoic acid (MHA); 3-Hydroxy-3-methylhexanoic acid (HMHA), a volatile fatty acid found in both men and women, although it occurs predominantly in men; and 3-methyl-3-sulfanylhexane-1, a sulfanylalkanol that occurs predominantly in women. It is -ol (MSH).

십대에는, 호르몬 불균형 때문에, 액생 악취의 강도가 사춘기 동안 인지할 수 있게 증가하는데 이는 아포크린 땀샘이 이런 성장 단계까지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청소년은 학교 시험, 취업 인터뷰 또는 첫 데이트와 같이 삶의 여러 부분에서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정서적 발한은 신체 표면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불안 또는 정신적 긴장감과 같은 감정 자극에 대한 신체적 반응이지만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흥미롭게도, 비록 손바닥과 발바닥에서 정서적 발한은 유아에서 이미 발생하지만, 액생 지역의 정서적 발한은 사춘기까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액생 부위에서, 에크린 땀샘은 수분을 분비하는 반면 아포크린 땀샘은 피부 표면의 박테리아 효소에 의해 휘발성 악취생성 물질로 변형되는 다양한 무취 악취 전구체를 분비한다.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두 가지 유형의 땀샘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정서적 발한은 강한 액생 악취를 동반한 증가된 땀샘 분비(액취증)를 특징으로 하여 매우 불쾌하게 만든다. 특히,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17β-하이드록시-5α-안드로스탄-3-온 또는 DHT) 및 테스토스테론(17β-하이드록시-4-안드로스텐-3-온)의 농도는 십대의 땀에서 높은 것으로 발견되었다.In the teens, because of hormonal imbalances, the intensity of the liquid odor increases appreciably during puberty because the apocrine sweat glands are not activated until this stage of growth. Adolescents experience mental stress in many parts of their lives, such as a school exam, job interview, or first date. Emotional sweating is a physical response to emotional stimuli such as stress, anxiety, or mental tension that can occur on any surface of the body, but is most prominent on the palms, soles, and armpits. Interestingly, although emotional sweating in the palms and soles already occurs in infancy, emotional sweating in the axillary region does not occur until puberty. At the axillary sites, eccrine glands secrete water while apocrine glands secrete various odorless malodor precursors that are transformed into volatile malodorous substances by bacterial enzymes on the skin surface. Because both types of sweat glands are activated in stressful situations, emotional sweating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sweat gland secretion (bromhidrosis) with a strong liquid odor, making it very unpleasant. Specifically, concentrations of dihydrotestosterone (17β-hydroxy-5α-androsten-3-one or DHT) and testosterone (17β-hydroxy-4-androsten-3-one) were found to be high in sweat in teenagers. .

따라서, 전형적으로 악취를 조절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항균제 및/또는 향료의 존재에 의존했던 기존의 탈취 조성물에서 인간의 상이한 연령 및 성별의 땀과 관련된 악취 등의 불쾌한 냄새를 감출 수 있는 옹굿나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소취 및 항균 활성이 뛰어난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이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refore, in conventional deodorizing compositions that typically rely on the presence of antibacterial agents and/or fragrances to control or block odors, extracts of Onggutnamul that can hide unpleasant odors such as odors associated with sweat of different ages and sexes of humans are used. This invention was complete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that is safe for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KRKR 10-2018-0021077 10-2018-0021077 AA

본 발명의 목적은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로, 악취 제거 뿐 아니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odo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Onggutnamul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s well as removing od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취용 스프레이 또는 탈취제로 제공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odorizing spray or deodorant,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o provid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at the same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은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ggutnamu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조성물은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composition exhibits malodor remov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상기 악취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odor is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trimethylami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 toluene, xylene ,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r ketone, butyl acetate,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and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will be.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다.The extract is extracted b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d mixtures thereof as an extraction solvent.

상기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herbal extrac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스프레이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A deodorizing sp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using the deodoriz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A deodor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using the deodorizing composi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extract' has a meaning commonly used in the art as a crude extract in the art as described above, but also includes fractions obtained by additional fractionation of the extract in a broad sense. That is, the plant extract includes not only those obtained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ose obtained by additionally applying a purification process thereto. For example, a fraction obtained by passing the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ertain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de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etc. Fractions obtain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thod are also included in the plan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은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A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ggutnamu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옹굿나물(Aster fastigiatus Fisch.)은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한국은 전국에 분포하며, 높이가 30~100cm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퍼지며 깔깔한 털이 밀생한다. 꽃은 8-10월에 피고 지름 7-9mm로서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3-8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4mm, 나비 5mm이며 포는 4줄로 배열되고 도피침형 둔두로서 털이 많으며 내편은 길이 1.5mm이다. 설상화는 1줄로서 백색이고 화관은 길이 5-6.5mm, 나비 1mm이다. 잎은 처음에 나온 잎은 꽃이 필 때까지 그대로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나비 4-15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엽병으로 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선점과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흔히 뒤로 말리며 윗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경생엽은 위로 가면서 점차 작아지고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뒷면은 복모가 밀생하고 선점이 있으며 화서의 잎은 길이 2-3mm이다.The Onggutnamul (Aster fastigiatus Fisch.) is a perennial herb and is distributed in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It is distributed nationwide in Korea and grows to a height of 30 to 100 cm. The stem is 30-100cm high, the stem is upright, has a vertical ridge, and the branches spread corymbically from the upper part, and coarse hairs grow densely. Flowers bloom in August-October, 7-9mm in diameter, hanging on the corymb at the end of the main stem, and the scape is 3-8mm long. Involucre is tubular, 4mm long, 5mm wide, bracts are arranged in 4 lines, oblanceolate obtuse, hairy, and inner part is 1.5mm long. The tongue flower is one line, white, and the corolla is 5-6.5mm long and 1mm wide. The first leaf remains until the flower blooms, linear lanceolate, narrow at both ends, 5-12cm long, 4-15mm wide, the lower part narrows to become a petiole, and the back side is whitish, with an anterior dot and compound hairs. There are sparse sawtooth on the edge, often curled back, and short hairs on the upper edge. Cauline leaves gradually get smaller as they go up, linear lanceolate or linear, with dense double hairs on the back side, with dotted dots, and inflorescence leaves are 2-3mm long.

상기 조성물은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및 악취 제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composition may exhibit excellent antibacterial and odor removal activities by including the extract of Onggutnamul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조성물은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composition exhibits malodor remov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상기 옹굿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deodo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Onggutnamul extract can exhibit odor remov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while being harmless to the human body by including the natural extract.

악취제거 즉, 탈취 뿐 아니라 악취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Odor elimination, that is, as well as deodorization, it is important to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capable of suppressing odor generation that may occur later by removing fundamental microorganisms that generate odor, and it is important to simultaneously exhibit odor remov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악취는 코 안의 후각상피세포에 악취물질이 흡착되면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인체의 후각(odor sensation)을 담당하는 기관은 후각상피(olfactory epithelium), 후구(olfactory bulb), 후각피질(olfactory cortex)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각을 통하여 사람은 환경 중 다양한 냄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Odor is a sense that is felt when odor substances are adsorbed to the olfactory epithelial cells in the nose. Through this sense of smell, people can receive information on various smells in the environment.

후각상피는 코 안의 상부에 약 107~108 -개/5cm2 -의 후각뉴런을 가지고 있다. 냄새유발물질이 후각뉴런을 자극시키면 그 신호가 신경돌기(axon)를 통해 후구(olfactory bulb)로 전달된다. 후구에서는 후각뉴런에서 전달된 전기적 냄새신호를 후각피질(olfactory cortex)과 번연계(limbic system)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며, 후각피질은 보다 높은 차원의 전기적 냄새신호로 변화시켜 중추신경계로 전달시켜서 이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다.The olfactory epithelium has about 10 7 to 10 8 - olfactory neurons/5cm 2 - in the upper part of the nose. When odor-inducing substances stimulate olfactory neurons, th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olfactory bulb through axons. The olfactory bulb plays a role in transmitting the electrical odor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olfactory neurons to the olfactory cortex and limbic system, and the olfactory cortex converts them into higher-level electrical odor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 emotional response to it.

상기 악취에 의한 생리적인 영향은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후각기계통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악취물질은 알러지 반응을 촉진하거나 정신적 불안감으로 인한 수면 장해, 두통, 구토감 등 증상의 악화 또는 회복 저해를 일으킬 수 있다.The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odor may affect the respiratory system, circulatory system, digestive system, olfactory system, etc., and the odorous substance may promote allergic reactions or worsen symptoms such as sleep disturbance, headache, nausea, etc. or hinder recovery due to mental anxiety. can

상기 호흡기 계통에 있어서는 좋은 냄새를 맡으면 호흡이 깊어지고, 불쾌한 냄새를 맡으면 반사적으로 호흡이 멈춰지며 호흡리듬의 변화가 일어나 호흡수 및 호흡 깊이가 감소된다. 상기 악취로 인한 호흡의 변화는 악취정보가 호흡중추에 작용하기 때문이며, 공지된 동물(개)를 이용한 실험에 따르면 악취물질이 후신경을 자극하거나 3차 신경과 후신경의 양쪽을 자극시켜 호흡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이 나타나 있다.In the respiratory system, breathing deepens when a person smells a pleasant smell, and breathing stops reflexively when a person smells an unpleasant smell, and the breathing rate and depth of breathing decrease due to a change in the breathing rhythm. The change in respiration due to the odor is because the odor information acts on the respiratory center. According to experiments using known animals (dogs), the odor substance stimulates the olfactory nerve or stimulates both the trigeminal nerve and the olfactory nerve to change respiration. It appears that it causes

상기 순환기 계통에 있어서는 좋은 냄새를 맡으면 깊은 호흡과 동시에 혈압이 하강하고 과도한 긴장을 풀어주는 등 진정효과가 있는 반면, 자극적인 냄새는 혈압 상승에 따른 정신적 불안을 나타내기도 한다.In the circulatory system, smelling a good smell has a calming effect, such as deep breathing and simultaneously lowering blood pressure and relieving excessive tension, while a stimulating smell may indicate mental anxiety due to an increase in blood pressure.

상기 소화기 계통에 있어서 후각은 미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좋은 냄새는 식욕의 증가를 유발하나 악취는 위장활동을 억제하고 소화액 분비를 저해해 식욕 감퇴, 수분섭취의 저하 등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In the digestive system, the sense of smell is closely related to the sense of taste. A good smell causes an increase in appetite, but a bad smell inhibits gastrointestinal activity and secretion of digestive juices, resulting in loss of appetite and reduced water intake, and in severe cases, vomiting. can

또한, 악취로 인해 불면증 또는 정신불안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불쾌한 냄새에 노출되는 경우 사람은 안정감을 잃게 되며 심한 경우 히스테리 상태가 되어 이상한 행동을 하는 등 정신적 작용으로 인한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또한, 불쾌한 냄새로 인해 깊은 잠에서 깨어난 후 다시 잠들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불쾌한 냄새로 인해 두통 및 구토감을 호소하는 경우는 다반사로, 불쾌한 냄새 뿐 아니라 향수 또는 디퓨저 등 방향성 물질에 있어서도 장기간 또는 고농도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불쾌감 등을 느끼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odors can cause insomnia or even mental anxiety, and when exposed to unpleasant odors for a long period of time, people lose their sense of stability, and in severe cases, they become hysterical and have a great effect on mental actions, such as strange behavior. Also, unpleasant odors can make it difficult to fall back asleep after waking up from a deep sleep. In addition, it is common to complain of headaches and nausea due to unpleasant odors, and even when exposed to aromatic substances such as perfumes or diffusers for a long time or at high concentrations, as well as unpleasant odors, unpleasant feelings may be felt.

한편,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오염물 등을 미생물 또는 세균이 섭취 후 분해한 경우 피부에 강한 자극에 의한 염증 유발 가능성이 있으며,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의 세균에 의해 심한 악취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인체 분비물에 오염된 의규, 침구류, 신발 등 일상 용품 등에서도 세균들이 번식하여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microorganisms or bacteria decompose sweat, sebum, contaminants, etc. secreted from the human body after inges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inflammation due to strong stimulation on the skin, and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may cause severe odor, As described above, bacteria can also multiply and threaten health in everyday items such as clothing, bedding, and shoes contaminated with human secretions.

또한, 실내에 있어서는 세균 서식조건에 맞는 습도 및 온도 조건의 경우 옷장, 신발장, 침대 밑 등 세균이 섭취할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박테리아, 진균류, 병원성균, 곰팡이균 등 각종 미생물 번식으로 피부에 좋지 않은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실내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doors, in the case of humid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suitable for bacterial habitat conditions, there are abundant nutrients for bacteria to ingest in wardrobes, shoe cabinets, and under beds, so various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fungi, pathogenic bacteria, and molds breed, which is not good for the skin. It can cause allergic diseases or cause indoor odor.

이에,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을 제거하여 악취 발생 원인을 차단하고, 악취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탈취 효과를 나타내어 악취로 인한 신체적 및 정신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로 구성됨에 따라 인체에 자극적이거나 해롭지 않으면서도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여 악취 제거활성이 우수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move the microorganisms generated in daily life to block the cause of odor generation and to exhibit a deodorizing effect by removing odor substances to prevent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caused by odor, and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omposition of natural extracts, it is not irritating or harmful to the human body, but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so that odor removal activity can be excellent.

상기 악취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odor is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trimethylami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 toluene, xylene ,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r ketone, butyl acetate,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and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will be.

악취란 악취방지법 제2조제1호 및 제4호에 의하면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복합악취란 두 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라고 정의하고 있다.According to Subparagraphs 1 and 4 of Article 2 of the Odor Prevention Act, odor refers to a smell that causes discomfort and disgust by stimulating the human sense of smell with hydrogen sulfide, mercaptans, amines, and other irritants. It is defined as a smell that causes discomfort and disgust by stimulating the human sense of smell when the above odor substances work together.

악취방지법에는 주된 악취물질을 정하여 지정악취물질로 분류하고 규제하고 있으며, 상기 지정악취물질은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을 포함한다.In the Odor Prevention Act, major odor substances are classified and regulated as designated odor substances.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s are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trimethylamin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 toluene, xyle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r ketone, butyl acetate,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이에,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은 상기 지정악취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악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트라이메틸아민 또는 알데하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제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나 본원발명에서 제거할 수 있는 악취물질은 상기 기재된 악취물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odor removal effect by removing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s, and more specifically, can exhibit a removal activity for at least one of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trimethylamine, or aldehyde. However, the odor substances that can be remo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dor substances described above.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다.The extract is extracted b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d mixtures thereof as an extraction solvent.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A method for preparing the extract may be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in the art, such as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leaching method, and a reflux extraction method. Specifically, it may be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natural product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by washing and drying with water,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may be an extract obtained by sequentially applying the solvents to a sample.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I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the reaction is performed at 30 to 50 ° C. for 0.5 to 2.5 hours, and the extraction solvent is water or 50 to 100% of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Specifically, extraction is performed at 40 to 50 ° C. for 1 to 2.5 hours, and water or 70 to 80% of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is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 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The leaching method is carried out at 15 to 30 ° C. for 24 to 72 hours, and water or 50 to 100% of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is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is carried out at 20 to 25 ° C. for 30 to 54 hours, and the extraction solvent is water or 70 to 80% of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 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The reflux extraction method is based on 100 mL of water and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10 to 30 g of pulverized natural product, 1 to 3 hours of reflux time, and 50 to 100% of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water. More specifically, based on 100 mL of alcohol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100 mL of water, 10 to 20 g of pulverized natural product, 1 to 2 hours of reflux, and 70 to 90% of alcohol or water having 1 to 4 carbon atoms.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2 to 50 times, more specifically, 2 to 20 times, based on the weight of the sample. For extraction, the sample may be left for leaching in the extraction solvent for 1 to 72 hours, more specifically 24 to 48 hours.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After extraction, the extract can be fractionated by sequentially applying a fresh fractionation solvent. The fractionation solvent used in the fractiona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hexane, butanol, ethylacetic acid,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and mixtures thereof, and is preferably ethyl acetate or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fter obtaining the extract or fraction, a method such as concentration or lyophilization may be additionally used.

상기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herbal extract.

상기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항균 및 탈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허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herbs to improv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상기 허브는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로즈마리(rosemary), 라벤더(lavender), 세이지(sage), 바질(basil), 레몬밤(Lemon Balm), 애플민트(apple mint), 타임(Thyme), 딜(Dill), 카모마일(Chamomile), 헬리오트로프(heliotrope), 마조람(marjoram), 오레가노(oregano), 차이브(Chive), 타라곤(tarragon), 펜넬(fenne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The herbs may be included in the form of extracts, and include rosemary, lavender, sage, basil, lemon balm, apple mint, thyme, dill, chamomile, heliotrope, marjoram, oregano, chive, tarragon, fennel, and mixtures thereof. there is.

상기 로즈마리(rosemary)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상록관목으로, 꿀풀과의 방향성 식물로 지중해 지역에서 많이 난다. 윗부분은 어두운 초록색, 아래는 희끄무레한 상록성의 로즈마리잎은 생으로 또는 말려서 양념으로 사용한다. 로즈마리 잎은 톡 쏘는 듯한 자극적인 맛과 강한 향을 갖고 있으며 마리네이드 양념, 스튜, 수렵육 또는 그릴구이 요리에 향을 내기 위해 사용할 때 아주 소량으로도 충분하다. 특히 송아지와 가금류, 일부 토마토소스, 오븐에 조리하는 생선 요리와 잘 어울린다. 북유럽에서는 소시지 스터핑용 분쇄육, 어린 돼지와 양고기 로스트에 향을 더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로즈마리 꽃은 샐러드에 넣거나 제비꽃처럼 설탕에 절일 수 있으며 장식으로도 사용된다. 나르본의 특산물인 로즈마리 꿀은 최고 중 하나로 친다.The rosemary (rosemary) is an evergreen shrub of the dicotyledonous plant tree Lamiaceae, an aromatic plant of the Lamiaceae, which is common in the Mediterranean region. The evergreen rosemary leaves, which are dark green on top and whitish on the bottom, are used raw or dried as a seasoning. Rosemary leaves have a pungent, pungent taste and strong aroma, and are used in very small amounts to flavor marinades, stews, game meats, or grilled dishes. It goes especially well with veal and poultry, some tomato sauces, and oven-cooked fish. In northern Europe, it is often used to flavor ground meat for sausage stuffing and roasts of young pigs and lamb. Rosemary flowers can be added to salads, candied like violets, and used as a garnish. The rosemary honey, a specialty of Narbonne,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상기 라벤더(lavender)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 라반둘라속에 속하며,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높이는 30∼60cm이고 정원에서 잘 가꾸면 90cm까지 자란다. 전체에 흰색 털이 있으며 줄기는 둔한 네모꼴이고 뭉쳐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돌려나거나 마주나고 바소 모양이며 길이가 4cm, 폭이 4∼6mm이다. 잎자루는 없으며 잎에 잔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연한 보라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잎이 달리지 않은 긴 꽃대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드문드문 달린다. 꽃, 잎, 줄기를 덮고 있는 털들 사이에 향기가 나오는 기름샘이 있다. 물이 잘 빠지는 모래땅에 약간의 자갈이 섞인 곳에서 잘 자라고 너무 비옥하지 않은 땅이 좋다. 햇빛을 잘 받는 남향과 습하지 않은 곳에서 잘 자란다. 꽃과 식물체에서 향유(香油)를 채취하기 위하여 재배하고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향유는 향수와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고 요리의 향료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두통이나 신경안정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The lavender (lavender) belongs to the genus Lamiaceae and Lavandula, a dicotyledonous plant, and is native to the Mediterranean coast. The height is 30 ~ 60cm, and it grows up to 90cm if well cultivated in the garden. There are white hairs all over, and the stem is a dull square, clumped together, and branched a lot at the bottom. Leaves are turned or opposite, lancet-shaped, 4 cm long and 4-6 mm wide. There is no petiole, and the leaves have fine hairs. Flowers bloom from June to September in light purple or white, and run sparsely forming water inflorescences at the end of long flower stalks without leaves. There are oil glands between the hairs that cover the flowers, leaves and stems. It grows well in well-drained sandy soil mixed with a little gravel and prefers soil that is not too fertile. It grows well in sunny, south-facing areas that are not humid. It is cultivated to collect fragrance oil from flowers and plants, and is also planted for ornamental purposes. Fragrant oil is used as a raw material for perfumes and cosmetics, as well as used as a flavoring agent for cooking, as well as to treat headaches or nervous tension.

상기 세이지(sage)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세이지는 약용 살비야라고도 한다. 세이지는 Common Sage, Garden Sage라고도 하며 흔히 Salvia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줄기는 사각형으로 밑부분이 거의 목질화되며 높이 30∼90cm이고 전체에서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은 줄기와 함께 백색 털이 있어 회록색이고 표면은 망상의 잔 주름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자주색인데 가지 끝에 층층으로 달린 총상꽃차례이며 위는 돌려난다. 꽃에는 꿀이 있어 꿀벌이 모이는 밀원식물이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화관은 길이 1.5∼2cm 로 위아래의 2개의 꽃이 넓은 통부의 선단에 상하 두 입술처럼 갈라지는데, 윗입술은 끝이 파지고 아랫입술은 넓게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대는 화관의 윗입술보다 길게 나온다. 변종이 많아서 청색과 백색 꽃이 피는 것도 있다. 봄 또는 가을에 파종하고 8월에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샐비아잎(folia salvia)이라 하며 약 2%의 정유(精油)가 함유되어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알파피넨, 세스퀴테르펜, 보르네올 등으로 향기가 있어 향미료로 사용한다. 약용으로는 잎을 삶아서 인후염 및 위장염에 사용한다. 남부 유럽 원산이고 옛날부터 구미 각국에서 가정용 향초(香草)로 널리 재배한다.The sage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tree Lamiaceae, and sage is also called medicinal salvia. Sage is also known as Common Sage, Garden Sage, and is commonly called Salvia. The stem is square, the lower part is almost woody, the height is 30 ~ 90cm, and the whole is fragrant. The leaves are opposite, the petiole is short, the long oval shape, the end is dull and the edge is flat. The back side of the leaf is grayish green with white hairs along with the stem, and the surface has fine wrinkles. Flowers bloom from May to July and are purple, and they are stratified inflorescences at the end of branches, and the top is turned. The flowers contain nectar and are a source of honey for bees. The calyx tube is bell-shaped, and the corolla is 1.5-2 cm long, and the two flowers above and below split like two upper and lower lips at the tip of the wide tube. There are two stamens, and the style comes out longer than the upper lip of the corolla. There are many varieties, some with blue and white flowers. Sowing in spring or autumn, picking leaves in August and drying them in the shade is called folia salvia and contains about 2% essential oil. The main components of essential oil are alpha-pinene, sesquiterpene, and borneol, which are used as flavoring agents because of their fragrance. For medicinal purposes, the leaves are boiled and used for sore throat and gastroenteritis. It is native to southern Europe and has been widely cultivated as a household herb in Europe and America since ancient times.

상기 바질(basil)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20∼70cm이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부드러운 털이 나 있다. 잎은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마주나며 길이 5∼10cm이고 향기가 강하다. 꽃은 여름에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이삭 형태로 층층이 달리지만 돌려나고 입술처럼 생기며 자줏빛을 띤 흰색이다. 포는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은 관 모양이며 수술은 4개이나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 달걀 모양 또는 긴타원형이다. 종자는 매우 작고 검은색이며 물기가 있으면 우무 모양의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눈에 든 티를 씻어내는 데 이용된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식하기 좋고 4∼5월에 파종하여 6월에 이식한다. 잎이나 줄기는 말려서 요리의 향신료로 쓰이고 방향유(芳香油)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 데 이용한다. 오시멘(ocimene), 알파피넨(α-pinene)의 성분이 있고 진해(鎭咳), 해열, 해독, 설사, 변비, 월경불순 등의 약재로도 사용한다. 동남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며, 온난한 지역에서는 야생한다.The basil is an annu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tree Lamiaceae with a height of 20 to 70 cm and a square stem with soft hairs. The leaves are egg-shaped lanceolate with wavy sawtooth at the edge, 5-10 cm long, and have a strong scent. Flowers run layer by layer in the form of ears at the top of the main stem in summer, but they are turned and look like lips and are purplish white. The bract is egg-shaped, the calyx is tubular, and there are 4 stamens, but the stigma is split into 2 pieces. The fruit is a small nut, egg-shaped or long oval. Seeds are very small and black, and when wet, agar-like substances come out, so they are used to wash away dirt in the eyes. Since the roots are thin and come out a lot, it is good for transplantation. Sow in April-May and transplant in June. The leaves or stems are dried and used as spices in cooking, and the aromatic oil is used to scent drinks or soaps. It contains components of ocimene and alpha-pinene, and is also used as a medicine for cough, fever, detoxification, diarrhea, constipation, and menstrual irregularities. It is cultivated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Southeast Asia, Europe, America, and Japan, and grows wild in warm regions.

상기 레몬밤(Lemon Balm)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150cm 정도 자라는 내한성의 다년초로 줄기는 네모진다. 잎의 길이는 약 8cm의 넓은 난형으로 마주난다. 엽병과 털이 있으며 레몬 향이 강하다. 꽃은 늦여름에 흰색, 노란색, 연한 청색의 윤산화서로 붙는다. 레몬과 유사한 향이 있으며, 이 향은 감정을 편안하게 진정시켜 주며 심장 박동수를 낮추고 혈압을 낮춘다. 전갈이나 독거미에 물렸을 때 해독작용이 있고 설사를 완화시키며 바이러스를 막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천연두에도 효능이 있고 치통이 있을 때 입가심용으로 사용해 왔다. 독버섯 해독, 복통, 위궤양, 생리통 억제, 생리 촉진에 사용해 왔으며 예로부터 방향요법(향기요법)에 필수적으로 사용해 왔다. 잎과 가지에서 추출한 기름은 탈모방지, 목욕제 등으로 이용되며 차는 진정, 건위, 강장, 신경 고양 등에 효능이 있으며, 기분을 상쾌하게 하기 위하여도 마신다.The Lemon Balm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Lamiaceae, and is a cold-resistant perennial plant growing to a height of about 60 to 150 cm, and the stem is square. The length of the leaves is about 8 cm wide and opposite. It has petioles and hairs and has a strong lemon scent. The flowers are borne in late summer in white, yellow, and pale blue inflorescences. It has a scent similar to lemon, which calms emotions comfortably, lowers heart rate and lowers blood pressure. When bitten by a scorpion or poisonous spider, it has a detoxifying effect, relieves diarrhea, and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viruses. It is also effective for smallpox and has been used for mouth relief when there is a toothache. It has been used for poisonous mushroom detoxification, stomach pain, gastric ulcer, suppression of menstrual cramps, and promotion of menstruation, and has been essential for aromatherapy (aromatherapy) since ancient times. The oil extracted from leaves and branches is used to prevent hair loss and as a bath agent.

상기 애플민트(apple mint)는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인 허브의 일종이다. 높이 30∼60cm이다. 사과와 박하가 섞인 듯한 향기는 순하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둥글고 흰 털이 나 있으며 연해 보인다. 내한성과 번식력이 강하며 주로 반그늘 상태에서 잘 자란다. 꺾꽂이 또는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잎으로 허브차를 만들어 마시면 소화불량이나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고기요리에 반드시 들어가는 향신료이며, 생선요리, 달걀요리 등에도 사용된다. 약용하기도 하는데, 살균소독, 건위강장, 진정 및 진통작용에 좋다. 입냄새를 없애는 효과도 있어 치약에 넣기도 한다. 이밖에도 비누, 목욕재, 포푸리 등으로도 사용된다.The apple mint (apple mint) is a kind of herb native to Europe as a perennial plant of the currency plant Lamiaceae. It is 30-60 cm in height. The scent is mild, like a mixture of apple and mint. The leaves are egg-shaped, round, with white hairs, and look soft. It has strong cold resistance and fertility, and grows well mainly in semi-shade conditions. Propagate by cuttings or division. If you make herbal tea with the leaves and drink it, it is effective for indigestion or fatigue recovery. In Europe, it is a must-have spice for meat dishes, and is also used for fish and egg dishes. It is also used medicinally, and is goo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onic for the stomach, sedation and pain relief. It also has the effect of getting rid of bad breath, so it is also added to toothpaste. In addition, it is used as soap, bath material, and potpourri.

상기 타임(Thyme)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이다. 잔뿌리가 많은 뿌리에서 사각 모양의 줄기가 나와 위로 올라가며 곁가지를 많이 친다. 잎줄기는 매우 짧고, 길이 5~9㎜, 너비 3㎜ 정도인 긴 타원형의 잎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고 잔털이 많다. 연분홍색 꽃은 상층부 잎의 잎겨드랑이에서 돌려나기처럼 나오며, 5~10월에 수상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길이 3~5㎜의 약한 잎맥이 있고, 뻣뻣한 머리와 같은 관이 있으며, 위 잎이 아래 잎에 비해서 짧다. 꽃부리는 길이 4~6㎜로, 보라색이나 담홍색이다. 씨의 크기는 1㎜ 정도로 납작한 알 모양이다. 품종이 다양하여 융단처럼 땅에 기듯이 퍼지는 포복형과 높이 30㎝ 정도로 자라 포기가 곧게 서는 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고온 건조에 강하고 병충해가 없지만, 습기에 약해 볕이 잘 들고 약간 건조한 땅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원산지는 유럽의 중부, 남부와 북아프리카이지만 전세계에서 고루 재배되고 있다. 5~6월 사이에 꽃이 달린 줄기에서 얻는 정유는 호흡기 질환에 항균작용, 거담작용을 하며, 두통, 우울증 등 신경성 질환이나 빈혈, 피로에 좋고, 피부를 맑게 한다.The thyme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tree Lamiaceae and has a height of 30 cm. A square-shaped stem comes out of the root with many fine roots and goes up, giving many side branches. The leaf stem is very short, and the edge of a long oval leaf with a length of 5 to 9 mm and a width of 3 mm is bent inward and has many fine hairs. Light pink flowers come out from the axils of the upper leaves like twigs, and bloom in May-October in a watery inflorescence. The calyx has weak leaf veins of 3-5 mm in length, has a tube like a stiff head, and the upper leaf is shorter than the lower leaf. Corolla is 4-6mm long, purple or pink. The size of the seed is about 1 mm, flattened egg-shaped. There are various varieties, and it can be divided into a creeping type that spreads like a carpet on the ground and a type that grows up to 30 cm in height and stands upright. It i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and dryness and has no pests, but it is weak to moisture, so it is good to grow it in sunny and slightly dry soil. It is native to central, southern and northern Africa in Europe, but is cultivated all over the world. The essential oil obtained from the stem with flowers between May and June has antibacterial and expectorant effects on respiratory diseases, is good for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headaches and depression, anemia, and fatigue, and clears the skin.

상기 딜(Dill)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1m 이상이다. 잎은 작은 깃털처럼 생겼고 솜털로 덮여 있다. 지름 15㎝인 꽃은 황색의 복산형꽃차례로, 5~6월경에 양산을 편 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동글납작하며 황갈색으로 매우 가볍다. 포기 전체에서 독특한 향이 나기 때문에 꽃, 잎, 줄기, 종자를 허브로 사용하는데, 특히 종자의 향이 강하다. 잎은 꽃망울이 생기기 전에 수시로 수확하며, 포기 째 베어서 그늘에 말리거나 냉동하여 사용한다. 열매는 황갈색이 되면 송이 째 잘라 바람이 잘 통하는 볕에 널어 후숙 건조시킨 뒤, 그늘에서 완전히 말려 씨를 털어내고 습하지 않는 곳에 방습제를 넣고 보관하였다가 쓴다. 씨는 소화, 구풍, 진정, 최면 효과가 뛰어나고, 구취 제거와 동맥경화증 예방에 좋으며, 베갯속으로 사용하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잎의 정유가 비린내를 제거해 주기 때문에 생선요리에 넣는 대표적인 허브이다.The dill (Dill) is an annu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umbel Apiaceae and has a height of 1 m or more. The leaves look like small feathers and are covered with downy hairs. The flower with a diameter of 15 cm is a yellow double peduncle, and blooms in the shape of a parasol in May-June. The fruit is round flat, yellowish brown, and very light. Flowers, leaves, stems, and seeds are used as herbs because the whole plant has a unique scent, and the scent of the seeds is particularly strong. The leaves are harvested from time to time before buds appear, and the leaves are cut and dried in the shade or frozen before use. When the fruits become yellowish brown, cut them in clusters, spread them out in the sun with good air flow, dry them, dry them completely in the shade, shake off the seeds, and store them in a dry place with a desiccant. The seeds have excellent digestion, carminative, soothing, and hypnotic effects, are good for removing bad breath and preventing arteriosclerosis, and can be used as a pillow to get a good night's sleep. It is a representative herb used in fish dishes because the essential oil of the leaves removes the fishy smell.

상기 카모마일(Chamomile)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풀로, 높이가 50~100㎝이다. 잔털이 거의 없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둥글며 곁가지가 많다. 줄기에는 깃 모양을 한 긴 잎이 뾰족하게 마주난다. 가지 끝에서 너비 1.8~2.5㎝의 꽃부리가 핀다. 꽃부리는 평평하다가 원추형으로 길어지고, 속이 비어있는 꽃턱에는 관 모양의 황금색 중심화가 있다. 꽃은 5~9월에 피며, 혀 모양으로 생긴 15개의 흰색 테두리 꽃잎은 꽃턱이 커지면서 뒤로 젖혀진다. 꽃에서는 사과향이 난다. 정유는 긴장을 완화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등 통증과 염증에도 효능이 있으며, 위장장애가 있을 경우 차로 마시면 효과가 있고, 베개 속에 넣어두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The chamomile (Chamomile) is a grass of the dicotyledonous plant Asteraceae, and has a height of 50 to 100 cm. There are almost no fine hairs, and the stem is upright and round with many side branches. On the stem, long feather-shaped leaves face pointedly. Corollas of 1.8 to 2.5 cm wide bloom at the ends of branches. The corolla is flat and then elongated in a conical shape, and there is a tubular golden central flower on the hollow chin. Flowers bloom from May to September, and 15 tongue-shaped white border petals are bent back as the flower chin grows. The flowers have an apple scent. Essential oils have the effect of relieving tension and warming the body. It is also effective for pain and inflammation such as headache, migraine, and neuralgia, and if you have gastrointestinal disorders, drinking it as a tea is effective, and you can get a good night's sleep by putting it in your pillow.

상기 헬리오트로프(heliotrope)는 지치과 헬리오트로피움속 재배 종의 총칭을 뜻하며, 페루 원산의 관목인 코림보숨(H. corymbosum)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높이 1 m 정도이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한 넓은 타원형으로 암녹색이다. 꽃은 5∼9월에 줄기에서 분지한 가지 끝에 취산꽃이삭(聚花穗)을 형성하여 깔때기모양의 자주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며 독특한 향기가 있다. 온실재배로 분심기를 하여 관상한다. 페루 및 에콰도르 원산의 상록관목인 페루비아눔(H. peruvianum)은 오래 전부터 재배하였으며 코림보숨보다 꽃은 작으나 향기가 높아 향유를 채취하였으므로 향유초(香油草) 또는 향수목(香水木)이라 하며 높이 50~60 cm로 줄기에 약간 굳은 털이 있다. 잎에도 약간 굳은 털이 있다. 꽃은 짙은 자줏빛 또는 담자색으로 깔때기 모양이다. 진한 향기가 나 향수로 이용된다.The heliotrope refers to a generic term for cultivated species of the genus Heliotropium in Bortaceae, and H. corymbosum, a shrub native to Peru, is widely cultivated. It is about 1 m high and has soft hairs on branches. The leaves are alternate, wide elliptical with pointed ends, and dark green. Flowers form cymes at the end of branches branched from the stem from May to September, and funnel-shaped purple or purple flowers bloom and have a unique fragrance. It is ornamental by centrifugation in greenhouse cultivation. H. peruvianum, an evergreen shrub native to Peru and Ecuador, has been cultivated for a long time. Its flowers are smaller than corimbosum, but its fragrance is high, so it is called a scented oil plant or perfume tree. It is 50-60 cm tall and has slightly stiff hairs on the stem. The leaves also have some hard hairs. The flowers are funnel-shaped in dark purple or purplish purple. It has a strong fragrance and is used as a perfume.

상기 마조람(marjoram)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물의 높이는 40~60cm 정도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넓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한데, 잎의 길이는 0.5~1.5cm, 너비는 0.2~0.8cm 정도이다. 6∼8월에 연한 노란색이나 연분홍색 혹은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생허브로는 물론 건조시켜도 그 향이 유지되어 좀 더 쉽게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꽃이 지기 전에 잎과 꽃을 뜯어서 말린 뒤 유통된다. 꽃과 잎은 전체적으로 상큼하면서도 가볍고 달콤한 향기가 있는데 맛은 약간 쓴 편이다. 오레가노와도 비슷하나 그보다 순한 맛이 있다. 칠면조, 닭 등의 가금류와 생선류, 육류, 소시지 요리에 활용하거나 수프, 스튜, 소스, 오믈렛, 샐러드, 치즈 요리, 채소 요리 등에 첨가가 가능한데 자체가 열에 약하여 조리의 마지막에 첨가하는 것이 좋다. 그밖에 육수 요리에 활용되는 부케가르니에 포함되는 향신료로 활용되며, 허브 차로 마시면 체내의 독소 배출에도 도움을 준다.The marjoram (marjoram)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 plant plywood group currency plant tree Lamiaceae and has a plant height of about 40 to 60 cm. Leaves are egg-shaped, wide, and the edges are flat, and the length of the leaf is 0.5 to 1.5 cm, and the width is about 0.2 to 0.8 cm. Light yellow, light pink or white small flowers bloom from June to August. As fresh herbs, as well as dried, their fragrance is maintained and can be stored more easily, so the leaves and flowers are plucked and dried before distribution. Flowers and leaves generally have a fresh, light, sweet scent, but the taste is slightly bitter. It is similar to oregano, but has a milder taste. It can be used for cooking poultry such as turkey and chicken, fish, meat, and sausage, or it can be added to soup, stew, sauce, omelet, salad, cheese dish, and vegetable dish. In addition, it is used as a spice included in the bouquet garni used in broth dishes, and drinking it as an herbal tea helps to release toxins from the body.

상기 오레가노(oregano)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박하라고도 하며, 톡쏘는 박하 같은 향기가 특징이다. 병충해와 추위에 잘 견디며 야생화의 강인함이 돋보이는 허브이다. 높이는 30∼60㎝, 잎은 길이 1.5㎝ 정도이고 좋은 향기와 쓴맛이 있으며 상쾌함을 준다. 꽃은 지름 4㎜의 입술모양으로 보랏빛이 도는 담홍색이며 7∼10월에 줄기 끝에서 수상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추위와 더위에 강하고 토질이나 장소를 가리지 않아서 물빠짐이 좋고 햇빛이 잘 드는 토양에서 잘자란다. 파종시기는 4∼6월, 9∼10월로, 씨앗은 묘상이나 화분에 흩뿌리고 얇게 흙을 덮고 물을 준 뒤 손으로 가볍게 다져준다. 꺾꽂이와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키며, 관상용으로 즐길 수도 있다. 꽃이 피는 시기에 수확하여 건조시켜 보존하는데 잎을 말린 것을 향신료로 쓴다. 독특한 향과 맵고 쌉쌀한 맛은 토마토와 잘 어울리므로 토마토를 이용한 이탈리아 요리에 자주 사용되는 향신료이다.The oregano is a perennial plant of the Lamiaceae family, also called flower mint, and is characterized by a pungent mint-like fragrance. It is a herb that is resistant to pests and cold and has the strength of a wild flower. The height is 30 ~ 60 cm, the leaves are about 1.5 cm long, and have a good fragrance and bitter taste, giving a refreshing feeling. The flower is lip-shaped with a diameter of 4mm, purple-pink, and blooms in July-October forming a water inflorescence at the end of the stem. It is resistant to cold and heat, and grows well in soil with good drainage and sunlight because it does not cover the soil quality or place. The sowing season is April-June, September-October, seeds are scattered on seedbeds or pots, covered with soil thinly, watered, and lightly compacted by hand. It is propagated by cuttings and branching, and can also be enjoyed for ornamental purposes. It is harvested during flowering, dried and preserved, and the dried leaves are used as spices. Its unique aroma and spicy and bitter taste go well with tomatoes, so it is a spice often used in Italian cuisine using tomatoes.

상기 차이브(Chive)는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시베리아, 유럽, 일본 홋카이도 등이 원산지인 허브의 한 종류이다. 높이 20∼30cm로 매우 작으며, 생김새는 작은 파와 같다. 잎도 매우 가늘다. 6월부터 분홍색, 보라색, 자주색의 작고 귀여운 꽃이 반원형에 가깝게 핀다. 꽃이 피면 잎이 딱딱해지고 풍미가 떨어진다. 햇빛이 비추는 곳에서 잘 자라지만 반그늘에서도 자란다. 봄과 가을에 5∼6본씩 나누어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과수원에 심으면 사과가 부패되는 병을 막아주며, 고기요리, 생선요리, 조개, 수프 등 각종 요리의 향신료로 사용되는데, 톡쏘는 향긋한 냄새가 식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밖에도 염색, 드라이플라워 등으로 이용한다. 약용하기도 하는데 식욕증진, 혈압강하, 빈혈예방, 변비해소 등의 효과가 있다.The chive is a perennial plant of the Liliaceae family and is a kind of herb native to Siberia, Europe, and Hokkaido, Japan. It is very small with a height of 20 to 30 cm, and the appearance is like a small green onion. The leaves are also very thin. From June, small and cute flowers of pink, purple, and purple bloom in a semicircular shape. When the flowers bloom, the leaves harden and lose their flavor. It grows well in full sun but can also grow in half shade. Divide 5-6 copies each in spring and autumn and propagate by division. When planted in an orchard, it prevents apples from decaying diseases, and is used as a spice for various dishes such as meat dishes, fish dishes, shellfish, and soups. In addition, it is used for dyeing and dried flowers. It is also used medicinally, but it is effective in increasing appetite, lowering blood pressure, preventing anemia, and relieving constipation.

상기 타라곤(tarragon)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0~150센티미터이고 잎은 아니스 같은 향미가 있으며 향신료로 쓴다. 주된 향미 화합물은 에스트라골이다. 특히 프랑스 요리에서 중요한 향미료이다. 고기나 고기 제품의 향미료로 쓴다. 잎에서 얻는 방향유도 향미료로 쓴다. 식초에 담가 타라곤 향미를 주어 달팽이 요리에 양념으로 쓴다. 중앙아시아에서 시베리아에 걸쳐 분포한다.The tarragon is a per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Asteraceae, with a height of 120 to 150 cm, and the leaves have an anise-like flavor and are used as spices. The main flavor compound is estragol. It is an important spice, especially in French cuisine. It is used as a flavoring for meat and meat products. The aromatic oil obtained from the leaves is used as a flavoring agent. It is soaked in vinegar to give it tarragon flavor and is used as a seasoning for snail dishes. Distributed from Central Asia to Siberia.

상기 펜넬(fennel)은 회향이라고도 하며,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1.5 내지 2m이며, 개회시기는 4~10월에 해당한다. 잎, 줄기, 꽃을 이용하며 냄새를 제거하거나 소화를 좋게 해 '고기의 허브'라고도 불린다. 성숙한 과실은 건조하여 진통약으로도 사용해 왔다. 이명으로는 야회향(野茴香), 소회향(小茴香), 토회향(土茴香), 향자소향(香子小香) 등이 있고, 시중에서는 회향의 종자를 산미나리씨라 부르기도 한다. 비만, 노화방지, 소화불량 해소, 이뇨작용 효과가 있다.The fennel (fennel) is also called fennel,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Apiaceae, has a height of 1.5 to 2 m, and the opening period corresponds to April to October. Leaves, stems, and flowers are used to remove odors or improve digestion, so it is also called the 'meat herb'. Mature fruits are dried and used as an analgesic. Other names include wild fennel, small fennel, soil hoehyang, and fragrant small fragrance, and in the market, the seeds of fennel are also called san parsley seeds. It has anti-obesity, anti-aging, relieving indigestion, and diuretic effects.

바람직하게, 상기 허브 추출물은 본원발명 옹굿나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헬리오트로프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타라곤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딜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erbal extract may include 40 to 60 parts by weight of heliotrope extract, 20 to 40 parts by weight of tarragon extract, and 20 to 40 parts by weight of dill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f Onggutnamul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중량부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옹굿나물 추출물의 항균 및 탈취 활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상승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미미하게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weight part range, th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activity of the Onggunamul extract can be further improved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each extract. can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은 상기 허브 추출물 이외에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atural extract in addition to the herbal extract.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및 앤디브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atural extract may further include an Abel Moscus sakatensis extract and an Andive extract.

상기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Musk Mallow)는 영국 남부가 원산지로 주로 건조한 목초지에 자라며 털이 많은 줄기와 깊게 자른 깃털 잎이 있는 직립 식물이다. 최대 1m까지 자라며, 주로 7~8월에 볼 수 있다. 5 개의 꽃잎이 있으며 꽃은 보통 옅은 분홍색이나, 흰색 꽃이 피기도 한다.The Abel Moscus sakatensis (Musk Mallow) is native to southern England and grows mainly in dry pastures and is an upright plant with hairy stems and deeply cut feathery leaves. It grows up to 1m and can be seen mainly in July-August. There are 5 petals, and the flowers are usually pale pink, but sometimes white flowers bloom.

상기 앤디브(Endive)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지중해 동부가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에 전래돼 재배하고 있다. 높이는 60∼130cm이고,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고 깊이 들어가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난 잎은 뭉쳐나고 비스듬히 서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면에 주름이 있다. 줄기에서 난 잎은 어긋나고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5∼8월에 짙은 하늘색으로 피고 지름 3∼4cm의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이룬다. 두상화 주위를 싸고 있는 비늘조각 모양의 포는 녹색이며 바깥쪽에 있는 포의 조각은 짧고 안쪽에 있는 포의 조각은 바소꼴이며 곧추선다. 열매는 길이 2∼3mm의 수과이고 회백색이며 비늘 모양의 짧은 관모(冠毛:씨방 맨 끝에 붙은 솜털 같은 것)가 있다. 채소로 심으며, 연한 잎을 봄철에 식용한다. 상추처럼 주로 샐러드로 이용되지만 약간 익혀 먹기도 한다.The Endive is an annual or biennial plant of the dicotyledonous plant Asteraceae, native to the eastern Mediterranean and cultivated in Korea in the early 1980s. The height is 60-130cm, and the roots are cylindrical with both ends pointed, and the branches diverge as they go deep. The leaves from the root are clustered, stand obliquely, have fine sawtooth on the edge, and have wrinkles on the leaf surface. The leaves from the stem are alternate and the lower part covers the stem. Flowers bloom from May to August in dark sky blue, and form a capitulum with a diameter of 3 to 4 cm. The scaly bracts surrounding the capitulum are green, the outer bract pieces are short, and the inner bract pieces are lancet-shaped and stand upright. Fruits are achene with a length of 2~3mm, grayish white, and have scale-like short hairs. It is planted as a vegetable, and the soft leaves are eaten in spring. Like lettuce, it is mainly used in salads, but can also be eaten slightly cooked.

보다 바람직하게,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및 앤디브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옹굿나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헬리오트로프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타라곤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딜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앤디브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Abelmoscus sacatensis extract and an Andive extract, and 40 to 60 parts by weight of a heliotrope extract and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 tarragon extrac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ngothnamul extract It may include 20 to 40 parts by weight of dill extract, 1 to 10 parts by weight of Abelmoscus sakatensis extract,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Andive extract.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동등 또는 향상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미미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may exhibit equal or improved effects, and outside the above range, the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insignifican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스프레이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A deodorizing sp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using the deodoriz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A deodor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using the deodoriz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의하면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악취 제거 뿐 아니라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Onggutnamu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 can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s well as odor removal.

또한, 탈취용 스프레이 또는 탈취제로 제공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as a deodorizing spray or deodorizing agen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an provid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at the same tim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제조예 1 : 천연 추출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natural extract]

1. 옹굿나물 추출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Onggutnamul Extract

옹굿나물을 물에 세척한 후,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헬리오트로프를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6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하여 옹굿나물 추출물(AF)을 제조하였다.After washing with water, Onggutnamul was completely air-dried. The dried heliotrope was pulverized in a mixer, leached with 8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36 hours, and then the sample was filtered to prepare an extract of Onggutnamul (AF).

2. 기타 추출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other extracts

상기 옹굿나물 추출물(AF)과 동일한 방법으로 헬리오트로프 추출물(HE), 타라곤 추출물(TE), 딜 추출물(DE),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ME) 및 앤디브 추출물(EE)을 제조하였다.Heliotrope extract (HE), tarragon extract (TE), dill extract (DE), Abelmoscus sacatensis extract (ME), and Andive extract (EE)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nggutnamul extract (AF).

3. 복합 추출물의 제조3. Preparation of complex extracts

상기 헬리오트로프 추출물(HE), 타라곤 추출물(TE), 딜 추출물(DE),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ME) 및 앤디브 추출물(EE)을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 내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The heliotrope extract (HE), tarragon extract (TE), dill extract (DE), Abel Moscus sacatensis extract (ME) and Andive extract (EE) were mixed within the weight range shown in Table 1 below to obtain a composite extract. manufactured.

M1M1 M2M2 M3M3 M4M4 M5M5 M6M6 M7M7 M8M8 M9M9 M10M10 M11M11 AFAF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HEHE -- 3030 4040 5050 6060 7070 5050 5050 5050 5050 5050 TETE -- 1010 2020 3030 4040 5050 3030 3030 3030 3030 3030 DEDE -- 1010 2020 3030 4040 5050 3030 3030 3030 3030 3030 MEME -- -- -- -- -- -- 0.10.1 1One 55 1010 1515 EEEE -- -- -- -- -- -- 0.10.1 1One 55 1010 1515

(단위 :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실험예 1 : 옹굿나물 추출물의 소취 및 항균 성능 실험][Experimental Example 1: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 test of Onggutnamul extract]

소취 성능 실험Deodorization performance test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M1) 20ml를 용기에 넣은 후 포름알데히드(HCHO),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및 트리메틸아민(C3H9N)를 50μmol/mol의 양으로 주입하고 탈취율을 시험하였다. 시험 환경은 21.4±0.2℃에서 41.9±0.4%R.H로 하여 실시하였다.After putting 20ml of the deodorizing composition (M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container, formaldehyde (HCHO), hydrogen sulfide (H 2 S), ammonia (NH 3 ) and trimethylamine (C 3 H 9 N) were added in an amount of 50 μmol/mol. It was injected and the deodorization rate was tested. The test environment was carried out as 41.9 ± 0.4% RH at 21.4 ± 0.2 ° C.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탈취율은 하기 계산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가스의 검출 한계는 0.2μmol/mol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t this time, the result was evaluated for the deodorization rate by measuring the gas concentration using a gas detection tube every 30 minutes, and the deodorization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The detection limit of the gas was 0.2 μmol/mol,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탈취율(%) :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X 100- Deodorization rate (%): [(blank concentration by time period - sample concentration by time period) / blank concentration by time period] X 100

구분division 0분0 minutes 30분30 minutes 60분60 minutes 90분90 minutes 120분120 minutes HCHO(mg/kg)HCHO (mg/kg) M1(AF)M1(AF) 00 95.195.1 95.495.4 95.795.7 95.995.9 H2S (mg/kg)H 2 S (mg/kg) M1(AF)M1(AF) 00 96.296.2 96.696.6 96.996.9 97.197.1 NH3 (mg/kg)NH 3 (mg/kg) M1(AF)M1(AF) 00 95.495.4 95.695.6 95.895.8 96.096.0 C3H9N (mg/kg)C 3 H 9 N (mg/kg) M1(AF)M1(AF) 00 94.894.8 95.095.0 95.495.4 95.695.6

(단위 : %, mg/kg)(Unit: %, mg/kg)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AF)의 경우 포름알데히드(HCHO),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및 트리메틸아민(C3H9N)의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취율이 향상되어 옹굿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M1, AF)의 경우 소취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in the case of the deodorizing composition (M1, AF) of the present invention of Example 1, formaldehyde (HCHO), hydrogen sulfide (H 2 S), ammonia (NH 3 ) and trimethylamine (C 3 H As the concentration of 9 N) increased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odorizing composition (M1, AF) containing the Onggutnamul extract exhibited a deodorizing effect.

항균 성능 실험Antibacterial performance test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균을 대상으로 항균 실험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tibacteri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상기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등 최적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예비실험을 통하여 배양액의 탁도와 집락(colony) 개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농도가 조절된 각각의 균주 배양액을 한천평판(agar plate) 위에 1mL씩 분주하여 도말하고 24시간 후 집락(colony)를 카운트하여 초기의 세균농도로 하였고, 배양액에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AF)을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초기세균농도 측정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한천평판(agar plate)에 도말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집락(colony)을 카운트하여 세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추출물의 용매인 0.5% DMSO 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rbidity of the culture medium and the number of colonies was identified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while culturing in an optimal medium such as a nutrient broth. Each strain culture solution whose concentration was adjusted was dispensed and smeared on an agar plate by 1mL, and after 24 hours, colonies were counted to the initial bacterial concentration, and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1, AF ) and incubated for 24 hours, spread on an agar plate in the same way as the initial bacterial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cultured for 24 hours, and counted colonies to calculate bacterial reduction (%).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compared using 0.5% DMSO, the solvent of the extrac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시험항목Test Items 초기농도
(CFU/mL)
initial concentration
(CFU/mL)
24시간 후 농도(CFU/mL)Concentration after 24 hours (CFU/mL) 세균 감소율(%)Bacterial reduction rate (%)
Staphylococcus aureusStaphylococcus aureus AFAF 1.8 X 104 1.8 X 10 4 4.0 X 103 4.0 X 10 3 77.777.7 대조군control group 1.8 X 104 1.8 X 10 4 4.4 X 104 4.4 X 10 4 -- Escherichia coliEscherichia coli AFAF 2.0 X 104 2.0 X 10 4 5.0 X 103 5.0 X 10 3 75.075.0 대조군control group 2.0 X 104 2.0 X 10 4 5.1 X 104 5.1 X 10 4 -- Bacillus cereusBacillus cereus AFAF 2.0 X 104 2.0 X 10 4 6.0 X 103 6.0 X 10 3 70.070.0 대조군control group 2.0 X 104 2.0 X 10 4 6.7 X 104 6.7 X 10 4 --

(단위 : CFU/mL, %)(Unit: CFU/mL,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AF)의 경우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옹굿나물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약 70 내지 78% 정도의 세균 감소율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원발명의 옹굿나물 추출물의 경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Table 3, in the case of the deodorizing composition (M1, AF)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bacteria, and even when only Onggutnamul extract is included, it shows a bacterial reduction rate of about 70 to 78% Confirm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nggutnamu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실험예 2 : 복합 추출물의 소취 및 항균 성능 실험][Experimental Example 2: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performance test of composite extract]

상기 실험예 1에서 옹굿나물 추출물 만을 포함하는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AF)의 실험을 통해 소취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한 이후, 추가적인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M2 내지 M11의 종합적인 평가를 비교해 보았다. Comprehensive evaluation of deodorizing compositions M2 to M11 further containing additional natural extracts after confirming the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deodorizing composition (M1, AF)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only the extract of Onggutnamul in Experimental Example 1 compared

상기 실험예 1의 옹굿나물 추출물의 소취 및 항균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상기 옹굿나물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M1(AF)을 비교예로 하여 지수 3으로 고정한 뒤, 1 내지 10 의 지수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지수는 10에 가까울수록 소취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또한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실제 판매되고 있는 탈취 및 항균제를 비교예 1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The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experiments of the extract of Onggunamul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M1 (AF) containing only the extract on Onggunamul was used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index was fixed at 3, and then the index was 1 to 10. The closer the index is to 10, the better the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In addition, for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deodorant and antibacterial agent actually sold was set as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M1M1 M2M2 M3M3 M4M4 M5M5 M6M6 M7M7 M8M8 M9M9 M10M10 M11M11 소취 활성deodorant active 33 33 44 66 66 77 44 66 88 99 99 66 항균 활성antibacterial activity 33 33 33 55 55 66 33 55 77 88 88 55

(단위 : 지수)(Unit: index)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헬리오트로프 추출물, 타라곤 추출물 및 딜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M2 내지 M6의 경우 옹굿나물 추출물 만을 포함하는 M1에 비해 보다 우수한 소취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는 M3 내지 M5의 경우 보다 우수한 활성 평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M2 to M2 containing herbal extracts including heliotrope extract, tarragon extract and dill extract In the case of M6, it can be confirmed that it exhibits better deodor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compared to M1 containing only the Onggutnamul extract, and in the case of M3 to M5 containing particularly preferred parts by weigh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show better activity evaluation.

또한, 추가 천연 추출물인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및 앤디브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M7 내지 M11의 경우 보다 향상된 소취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M8 내지 M10의 경우 소취 활성 및 항균 활성 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M7 to M11 further containing the additional natural extracts, Abelmoscus sakatensis extract and Andive extract, exhibited more improved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d particularly preferred M8 to M10 containing extracts by weight. In the case of , it was confirmed that the deodor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were improved.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옹굿나물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도 항균 및 소취 효과가 나타났으나 허브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바람직한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경우 그 활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deodoriz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s even in the case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only the extract of Onggutnamul, but the activity was improved when the herbal extract and natural extract were further included in a preferred weight part. ca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Claims (7)

옹굿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ontaining Onggutnamu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탈취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exhibits malodor remov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탈취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odor is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trimethylami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valeraldehyde, i-valeraldehyde, toluene, xylene ,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r ketone, butyl acetate, propionic acid, n-butyric acid, n-valeric acid, i-valeric acid and i-butyl alcohol, and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will b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탈취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extract is extracted b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lower alcohols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d mixtures thereof as an extraction solvent.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스프레이.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Deodorant spra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deodorant.
KR1020210118866A 2021-09-07 2021-09-07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300362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66A KR20230036238A (en) 2021-09-07 2021-09-07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66A KR20230036238A (en) 2021-09-07 2021-09-07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238A true KR20230036238A (en) 2023-03-14

Family

ID=8550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866A KR20230036238A (en) 2021-09-07 2021-09-07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23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077A (en) 2015-06-25 2018-02-28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alpha, beta and gamma cyclodextr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077A (en) 2015-06-25 2018-02-28 아지엔드 키미쉐 리유나이트 안젤리니 프란체스코 에이.씨.알.에이.에프. 에스.피.에이 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alpha, beta and gamma cyclodextr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usinowska et 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KR20170122383A (en) VOCs and stink deodorant with plant material essential oils
KR101561579B1 (en) Hinoki Cypress, cinnamon, flaxseed oil for massage to the type of cosmetic composition as the mai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2036480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mposition for eliminating chicken mite and composition for eliminating chicken mite prepared using the same
KR20100047030A (en) 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silk tree flower
KR101541818B1 (en) Perfume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oil
KR102275549B1 (en) Aroma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hydrangea serrata for psychological relaxation
KR100989944B1 (en) A mixed herb medicine extracts having antioxidant whitening activity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CN107737361A (en) A kind of anti-infection sterilization stacte of high intens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67518B1 (en) Natural air freshener for humidifi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24686A (en) The method of herbs scorched rice boiled chicken
KR10076847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everage extract using pine cone and pine cone
KR100563269B1 (en) Rice having useful ingredients for bod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20150068643A (en) Deodor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deodorant using Abelliophyllum distichum
KR102229621B1 (en) Tobacco filter containing eco-friendly cotton fib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45440A (en) Mosquito repellent compositions
KR20230036238A (en)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fastigiatus fisc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30052398A (en)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primula pjsoana va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30034768A (en)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chondria dasyphyll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11368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comprising extracts of Pelargonium graveolens,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Origanum vulgare, Sambucus nigra L. and Salvia officinalis
KR20230034765A (en)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salt sandspu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30052526A (en) 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diverse-petal angelic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598690B1 (en) Pickled eggplant indicating antioxidant activ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s
KR101940050B1 (en) Perfume composition for inhibiting body od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