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056A -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056A
KR20230036056A KR1020220122283A KR20220122283A KR20230036056A KR 20230036056 A KR20230036056 A KR 20230036056A KR 1020220122283 A KR1020220122283 A KR 1020220122283A KR 20220122283 A KR20220122283 A KR 20220122283A KR 20230036056 A KR20230036056 A KR 2023003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laser
posts
sens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097B1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김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환 filed Critical 김계환
Priority to KR102022012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신호등의 신호 체계와 연동하여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함으로써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레이저 휀스 구조체는 제1휀스; 상기 제1휀스와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휀스; 상기 제1휀스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휀스와 상기 제2휀스 각각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는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상기 제2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로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LASER FENCE STRUCTURE THAT CAN ACTIVELY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INDUCING VEHICLES AND PEDESTRIANS TO COMPLY WITH TRAFFIC LAWS BY FORMING LASER SCREEN}
본 발명은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휀스는 울타리를 의미하며 행정 법규가 달리 적용되거나 법적으로 소유권자를 달리하는 영역 등을 표시하기 위해 경계를 따라 설치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이동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물이다.
한편, 교통법규는 사람이나 화물의 수송에 있어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량 등의 운행을 규율하는 법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차도)와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 사이에 사람을 보호하고자 울타리를 설치한다. 또한, 신호등과 횡단보도를 마련하여 일정한 신호체계하에서 차량은 정지하고 사람은 횡단보도를 건너 도로를 횡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차량 정지 신호와 보행자 통행 신호 시, 차량은 도로에 표시된 정지선에 정차하고 사람은 횡단보도를 건너 도로를 횡단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가 신호등의 광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차량이 정지선을 정확하게 지키지 못하여, 교통법규 위반이 빈번하게 이뤄지며 이에 따라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휀스가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신호등과 연동하여 적극적으로 교통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면,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호등의 신호 체계와 연동하여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함으로써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는 제1휀스; 상기 제1휀스와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휀스; 상기 제1휀스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휀스와 상기 제2휀스 각각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는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상기 제2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로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는, 메인 본체; 상기 메인 본체의 제1측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패널; 상기 메인 본체의 제1측면에 상기 레이저 패널의 출사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 상기 메인 본체의 제1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메인 본체의 제2측면에 배치되는 데코 패널; 상기 메인 본체의 상면과, 상기 메인 본체의 제1측면과 상기 메인 본체의 제2측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 본체의 제3측면과 상기 메인 본체의 제4측면을 커버하며 배치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본체의 하단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하여 상기 메인 본체를 지지하는 메인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 제2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각각은, 조인트 본체;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면과 양측면을 커버하며 배치되는 조인트 하우징; 상기 조인트 본체의 하단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를 지지하는 조인트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휀스와 도로와 나란하게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3휀스와, 상기 제3휀스와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4휀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휀스와 상기 제4휀스 각각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는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상기 제3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로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는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상기 제3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로 출사하여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고, 상기 제4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는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상기 제2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로 출사하여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는 휀스가 신호등의 신호 체계와 연동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차량의 이동 통제)과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보행자의 이동 통제)을 형성함으로써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는 복수의 휀스 중 상호 대각으로 대칭하여 배치되는 제1휀스와 제4휀스를 설정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된 반대편 휀스와 도로와 나란하게 이격된 반대편 휀스로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함으로써, 최소의 레이저 패널 부품을 사용하여 횡단보도의 사각 경계를 모두 컨트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는 복수의 휀스의 포스트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포스트와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포스트의 구조를 레이저 패널을 제외하고 대략적으로 통일시킴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가 도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레이저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보행자 정지 신호시 레이저스크린이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차량 정지 신호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위반한 경우 경고음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포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레이저광을 출사하지 않는 포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10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가 도로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레이저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보행자 정지 신호시 레이저스크린이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차량 정지 신호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위반한 경우 경고음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포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에서 레이저광을 출사하지 않는 포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1000)는 제1휀스(100), 제2휀스(200), 제3휀스(300), 제4휀스(400), 센서 모듈(미도시) 및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휀스(100)와 제2휀스(200)는 상호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휀스(100)와 제3휀스(300)는 상호 도로와 나란하게 이격되어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휀스(300)와 제4휀스(400)는 상호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휀스(300)와 제4휀스(400)는 상호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휀스(100)와 제2휀스(200) 각각은 프레임(110, 210)과 프레임(110, 2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12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휀스(100)와 제2휀스(200)의 프레임(110, 210)은 제1휀스(100)와 제2휀스(2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이며 라운드처리된 사각 골조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하나(121; 제1포스트)는 메인 본체(121-1), 레이저 패널(121-2), 커버글라스(121-3), 데코 패널(121-4), 메인 하우징(121-5) 및 메인 베이스(12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본체(121-1)는 구조의 중심을 형성(코어)하는 부분으로서 중앙에 중공의 사각 형태의 메인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의 관의 4개의 모서리에 4개의 중공의 사각 형태의 서브관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레이저 패널(121-2)은 메인 본체(121-1)의 제1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메인 본체(121-1)에서 제2휀스(200)와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저 패널(121-2)은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기판에 실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레이저 출력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패널(121-2)은 메인 본체(121-1)에서 제1측면에 대응되며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서브관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버글라스(121-3)는 메인 본체(121-1)의 제1측면에 레이저 패널(121-2)의 출사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슬라스(121-3)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유리나 사출성형물일 수 있으며, 레이저 패널(121-2)에서 출사된 광은 커버글라스(121-3)를 투과하여 광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데코 패널(121-4)은 메인 본체(121-1)의 제1측면과 대향하는 메인 본체(121-2)의 제2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메인 본체(121-1)에서 제2휀스(200)와 대향하는 측면과 나란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코 패널(121-4)은 메인 본체(121-1)에서 제2측면에 대응되며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서브관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1-5)은 메인 본체(121-1)의 상면과 메인 본체(121-1)의 제1측면과 제2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본체(121-1)의 제3측면과 제4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메인 본체(121-1)에서 상면과 레이저 패널(121-2)과 데코 패널(121-4)이 위치하지 않은 측면을 커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121-6)는 메인 본체(121-1)의 하단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하여 메인 본체(12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메인 베이스(121-6)는 메인 본체(121-1)의 하단에 마련된 개방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나머지 하나(122; 제2포스트)와 제2휀스(200)의 한 쌍의 포스트(220) 중 각각의 포스트(221, 222; 제3포스트, 제4포스트)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나머지 하나(122)에 대해서 설명하며, 제2휀스(200)의 한 쌍의 포스트(220) 중 각각의 포스트(221, 222)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나머지 하나(122)에 대한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나머지 하나(122)는 조인트 본체(122-1), 조인트 하우징(122-2) 및 조인트 베이스(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본체(122-1)는 구조의 중심을 형성(코어)하는 부분으로서 대략적으로 중공의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인트 하우징(122-2)은 조인트 본체(122-1)의 상면과 양측면을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조인트 하우징(122-2)은 조인트 본체(122-1)의 상면과 상호 나란하며 제1휀스(100)와 대향하지 않는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인트 베이스(122-3)는 조인트 본체(122-2)의 하단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하여 조인트 본체(12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조인트 베이스(122-3)는 조인트 본체(122-2)의 하단에 마련된 개방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휀스(300)와 제4휀스(400) 각각은 프레임(310, 410)과 프레임(310, 4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32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휀스(300)와 제4휀스(400)의 프레임(310, 410)은 제3휀스(300)와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320, 4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이며 라운드처리된 사각 골조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하나(421; 제77포스트)는 메인 본체(421-1), 레이저 패널(421-2), 커버글라스(421-3), 데코 패널(421-4), 메인 하우징(421-5) 및 메인 베이스(42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본체(421-1)는 구조의 중심을 형성(코어)하는 부분으로서 중앙에 중공의 사각 형태의 메인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의 관의 4개의 모서리에 4개의 중공의 사각 형태의 서브관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레이저 패널(421-2)은 메인 본체(421-1)의 제1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메인 본체(421-1)에서 제3휀스(300)와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저 패널(421-2)은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기판에 실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레이저 출력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패널(421-2)은 메인 본체(421-1)에서 제1측면에 대응되며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서브관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버글라스(421-3)는 메인 본체(421-1)의 제1측면에 레이저 패널(421-2)의 출사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슬라스(421-3)은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유리나 사출성형물일 수 있으며, 레이저 패널(421-2)에서 출사된 광은 커버글라스(421-3)를 투과하여 광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데코 패널(421-4)은 메인 본체(421-1)의 제1측면과 대향하는 메인 본체(421-2)의 제2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메인 본체(421-1)에서 제3휀스(300)와 대향하는 측면과 나란한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코 패널(421-4)은 메인 본체(421-1)에서 제2측면에 대응되며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서브관 사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421-5)은 메인 본체(421-1)의 상면과 메인 본체(421-1)의 제1측면과 제2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본체(421-1)의 제3측면과 제4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메인 본체(421-1)에서 상면과 레이저 패널(421-2)과 데코 패널(421-4)이 위치하지 않은 측면을 커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메인 베이스(421-6)는 메인 본체(421-1)의 하단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하여 메인 본체(42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메인 베이스(421-6)는 메인 본체(421-1)의 하단에 마련된 개방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나머지 하나(422; 제8포스트)와 제3휀스(300)의 한 쌍의 포스트(320) 중 각각의 포스트(321, 322; 제5포스트, 제6포스트)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나머지 하나(422)에 대해서 설명하며, 제3휀스(300)의 한 쌍의 포스트(320) 중 각각의 포스트(321, 322)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나머지 하나(422)에 대한 기술적 특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4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나머지 하나(422)는 조인트 본체(422-1), 조인트 하우징(422-2) 및 조인트 베이스(42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본체(422-1)는 구조의 중심을 형성(코어)하는 부분으로서 대략적으로 중공의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인트 하우징(422-2)은 조인트 본체(422-1)의 상면과 양측면을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 조인트 하우징(422-2)은 조인트 본체(422-1)의 상면과 상호 나란하며 제3휀스(300)와 대향하지 않는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인트 베이스(422-3)는 조인트 본체(422-2)의 하단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하여 조인트 본체(42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조인트 베이스(422-3)는 조인트 본체(422-2)의 하단에 마련된 개방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지면과 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모듈(미도시; 제1센서)은 "교통 신호 정보(차량 정지 신호와 보행자 정지 신호를 포함)"를 센싱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센서 모듈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신호등의 전자 제어 기판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통신)되는 통신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신호등의 스피커의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 모듈은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레이저 패널의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은 센서 모듈(미도시)로부터 "교통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제어 모듈은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레이저 패널의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로부터 "차량 정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휀스(100)를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하나(121; 제1포스트)는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제2휀스(200)의 한 쌍의 포스트(220) 중 하나(221; 제3포스트; 제1포스트와 대향하는 포스트)로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로부터 "차량 정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4휀스(400)를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하나(421; 제7포스트)는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제3휀스(300)의 한 쌍의 포스트(320) 중 하나(321; 제5포스트; 제7포스트와 대향하는 포스트)로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로가 한 방향인 경우 제1휀스(100)를 제어하는 "차량 정지 신호"와 제4휀스(400)를 제어하는 "차량 정지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으나, 도로가 삼거리나 사거리 등 다방향인 경우 제1휀스(100)를 제어하는 "차량 정지 신호"와 제4휀스(400)를 제어하는 "차량 정지 신호"는 상호 다른 신호일 수도 있다.
나아가 전자 제어 모듈은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를 제어하여 레이저 스크린에 특정 파장 대역(상호 다른 색상)으로 특정 문자와 특정 기호와 특정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되도록 레이저광을 출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의 레이저 패널(121-2, 421-2)에는 전자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호 다른 파장 대역(상호 다른 색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광 출력 다이오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여 전자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레이저광의 출력량을 제어함으로써 상호 출력량이 다른 레이저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켜 출력량이 쎈부분에 특정 문자와 특정 기호와 특정 숫자가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10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차량 통제용의 레이저 스크린뿐만 아니라, 보행자 통제용의 레이저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휀스(100)는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보행자 정지 신호"의 경우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하나(121; 제1포스트)는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제3휀스(300)의 한 쌍의 포스트(320) 중 하나(321; 제5포스트; 제1포스트와 대향하는 포스트)로 출사하여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휀스(400)는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보행자 정지 신호"의 경우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출사하여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하나(421; 제7포스트)는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하나 이상의 레이저광을 제2휀스(200)의 한 쌍의 포스트(220) 중 하나(221; 제3포스트; 제7포스트와 대향하는 포스트)로 출사하여 도로와 나란한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로가 한 방향인 경우 제1휀스(100)를 제어하는 "보행자 정지 신호"와 제4휀스(400)를 제어하는 "보행자 정지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으나, 도로가 삼거리나 사거리 등 다방향인 경우 제1휀스(100)를 제어하는 "보행자 정지 신호"와 제4휀스(400)를 제어하는 "보행자 정지 신호"는 상호 다른 신호일 수도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하나(121)의 레이저 패널(121-2)과 커버글라스(121-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하나는 메인 본체(121-1)의 제1측면에 배치되어 "차량 정지 신호"의 경우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메인 본체(121-1)의 제3측면(제3휀스의 제5포스트와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보행자 정지 신호"의 경우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휀스(100)의 한 쌍의 포스트(120) 중 하나(121)의 메인 하우징(121-5)에서 메인 본체(121-1)의 제3측면을 커버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하나(421)의 레이저 패널(421-2)과 커버글라스(421-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하나는 메인 본체(421-1)의 제1측면에 배치되어 "차량 정지 신호"의 경우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메인 본체(421-1)의 제3측면(제2휀스의 제3포스트와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보행자 정지 신호"의 경우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4휀스(400)의 한 쌍의 포스트(420) 중 하나(421)의 메인 하우징(421-5)에서 메인 본체(421-1)의 제3측면을 커버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레이저 휀스 구조체(10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스피커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모듈(미도시)이 "교통 신호 정보" 외에 "교통 상황 정보"와 "날씨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센서 모듈은 "교통 신호 정보"를 센싱하는 제1센서와 "교통 상황 정보"를 센싱하는 제2센서와 "날씨 정보"를 센싱하는 제3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상황 정보"를 센싱하는 제1센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이하, 제2센서와 제3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제2센서는 "교통 상황 정보(자동차의 정지선 규정 정차 여부 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신호 위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로서,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2차원 정보나 3차원 정보를 센싱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2센서는 2차원 카메라 모듈이나 3차원 카메라 모듈이나 라이다 등이 활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2센서는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광(차량 통제용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수광하는 수광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센서는 제1휀스(1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수광하기 위해 제2휀스(200)의 한 쌍의 포스트(220) 중 하나(221; 제3포스트; 제1포스트와 대향하는 포스트)에 장착될 수 있고, 제4휀스(4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수광하기 위해 제3휀스(300)의 한 쌍의 포스트(320) 중 하나(321; 제5포스트; 제7포스트와 대향하는 포스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는 제1휀스(1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광이 제2휀스(200)에서 수광되지 않으면 정지선을 넘은 차량에의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4휀스(4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광이 제3휀스(300)에서 수광되지 않으면 정지선을 넘은 차량에 의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교통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제어 모듈은 제2센서로부터 "교통 상황 정보"를 수신하며 도로상의 자동차가 신호를 위반하여 레이저 스크린을 넘는 경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3센서는 "날씨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로서, 폭 넓게 해석하여 대기 중의 비 또는 눈 또는 먼지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센서로서 기상 관측용 카메라 모듈이나 라이다 등이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제어 모듈은 제3센서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대기 중의 비 또는 눈 또는 먼지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가 오프되도록 제어시켜 "차량 정지 신호"나 "보행자 정지 신호" 등에서 레이저광을 출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대기상에 비 또는 눈 또는 먼지의 농도가 높은 경우 레이저광의 굴절이나 산란 등에 의해 레이저 스크린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레이저 스크린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1휀스(100)와 제4휀스(40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제1휀스;
    상기 제1휀스와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휀스;
    신호등과 통신하여 차량 정지 신호를 센싱하는 제1센서;
    자동차의 정지선 규정 정차 여부를 센싱하는 제2센서;
    날씨 정보를 센싱하는 제3센서;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3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휀스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 및
    상기 전자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휀스와 상기 제2휀스 각각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휀스의 한 상의 포스트 중 하나에는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복수의 레이저광을 출사하는 레이저광 출력 다이오드가 마련되고,
    상기 전자 제어 모듈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차량 정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휀스가 복수의 레이저광을 상기 제1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와 대향하는 상기 제2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로 출사하여 도로를 가로지르는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제2휀스의 한 쌍의 포스트 중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1휀스에서 출사되는 복수의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수광 모듈이고,
    상기 전자 제어 모듈은 상기 제2센서로부터 상기 제1휀스에서 출사되는 복수의 레이저광이 수광되지 않아 자동차가 정지선을 넘은 것으로 판단한 교통 상황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3센서는 비 또는 눈 또는 먼지의 농도를 센싱하는 라이다이며,
    상기 전자 제어 모듈은 상기 제3센서로부터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대기 중의 비 또는 눈 또는 먼지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제1휀스가 오프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센서의 차량 정지 신호에서 상기 제1휀스가 복수의 레이저광을 출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KR1020220122283A 2021-09-06 2022-09-27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KR10255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283A KR102557097B1 (ko) 2021-09-06 2022-09-27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03A KR102449565B1 (ko) 2021-09-06 2021-09-06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KR1020220122283A KR102557097B1 (ko) 2021-09-06 2022-09-27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03A Division KR102449565B1 (ko) 2021-09-06 2021-09-06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056A true KR20230036056A (ko) 2023-03-14
KR102557097B1 KR102557097B1 (ko) 2023-07-18

Family

ID=834620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03A KR102449565B1 (ko) 2021-09-06 2021-09-06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KR1020220122283A KR102557097B1 (ko) 2021-09-06 2022-09-27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03A KR102449565B1 (ko) 2021-09-06 2021-09-06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9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90B1 (ko) * 2023-03-22 2023-11-03 주식회사 가온씨앤디 신호 연동형 횡단보도 보행자 안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168Y1 (ko) * 2001-03-31 2001-10-10 김진규 횡단보도상의 보행자 사고방지장치
JP2002008192A (ja) * 2000-06-27 2002-01-11 Sekisui Jushi Co Ltd 交通信号補助用発光装置
KR200458034Y1 (ko) * 2011-05-17 2012-01-18 (주)천지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휀스
KR101116696B1 (ko) * 2011-08-05 2012-02-22 (주)나노월드엘이디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KR20120026844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144A (ko) * 2009-04-02 2010-10-12 이한영 가상벽 생성 시스템
KR101750008B1 (ko) * 2016-05-18 2017-06-22 (주)한도기공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8192A (ja) * 2000-06-27 2002-01-11 Sekisui Jushi Co Ltd 交通信号補助用発光装置
KR200239168Y1 (ko) * 2001-03-31 2001-10-10 김진규 횡단보도상의 보행자 사고방지장치
KR20120026844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0458034Y1 (ko) * 2011-05-17 2012-01-18 (주)천지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휀스
KR101116696B1 (ko) * 2011-08-05 2012-02-22 (주)나노월드엘이디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565B1 (ko) 2022-09-29
KR102557097B1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097B1 (ko)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FI122000B (fi) Valaisinlaite ja järjestelmä liikenneväylän risteyskohdan turvallisuuden parantamiseksi
US20080216367A1 (en) Road-Marking System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2449570B1 (ko)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시스템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2331250B1 (ko) Led 및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 경고 시스템
KR100997484B1 (ko) 횡단보도 교통 신호등과 이를 이용한 스쿨존 교통신호 조경물
WO1999006636A1 (en) Active light emitting road marking system
KR100653260B1 (ko) Led 백색광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JPH0565706A (ja) 信号装置
WO2013117887A1 (en) A stud and safety system
KR102482455B1 (ko) 차량용 바닥신호등을 이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교통시스템
KR20230013436A (ko) 스마트 레이저 신호등
KR102409485B1 (ko) 감응형 블록과 차량감지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 시스템
JP2001348822A (ja) 縦格子型面状発光情報板
KR102150539B1 (ko) 스마트 횡단보도 표지판
KR200470252Y1 (ko) 발광장치
JPS6117610A (ja) 表示線用発光ブロツク
JP5024932B2 (ja) 発光性表示装置
CN215801158U (zh) 行人安全防护激光装置
KR102455024B1 (ko) 교차로의 교통 신호 통합 제공장치
KR102193026B1 (ko) 횡단보도 신호장치
KR102442010B1 (ko) 투영기를 구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