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254A -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254A
KR20230034254A KR1020230023950A KR20230023950A KR20230034254A KR 20230034254 A KR20230034254 A KR 20230034254A KR 1020230023950 A KR1020230023950 A KR 1020230023950A KR 20230023950 A KR20230023950 A KR 20230023950A KR 20230034254 A KR20230034254 A KR 2023003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omposition
leucine
skin
glyc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627B1 (ko
Inventor
김종배
이미경
이원경
정혜인
임성현
최창일
유은정
송순란
정현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16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0436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03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 피로 개선 효과, 및/또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피부 노화 방지, 피로 개선, 항염증, 항산화 및/또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원료, 약학 성분, 의약외품 원료 또는 기능성 식품 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지표성분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Leucine derivative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류신 유도체의 신규한 화장학적 용도, 약학적 용도, 식품학적 용도 및 류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생명의 현상으로, 모든 생명체는 태어나면서부터 노화가 시작된다. 위생과 보건환경 개선으로 인간 수명은 지난 과거보다 상당히 연장되었으며, 고령 인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강태진, BioWave 2011, Vol.13, No.3 (1)). 노화는 신체 전체적으로 일어나는데, 전반적인 신체기능 저하 및 심혈관 질환, 당뇨와 같은 생활습관병과 같이 장기들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된다(최현철, 대한피부과학회지, 1997; 35: 292-302).
피부는 몸의 가장 바깥에서 체내의 수분, 전해질, 단백질이 소실되는 것을 막아주면서, 체온 조절, 피부의 감각 기능, 면역 기능 등 여러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중요 기관이다.
피부 역시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된다. 피부 노화는 내인성 피부 노화(intrinsic skin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성되며, 내인성 피부 노화는 육안적인 형태학적 변화 보다는 기능적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만성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중첩되며, 전신적이거나 피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저한 구조적, 생리적 변화가 나타난다. 노화된 표피에서는 피부의 주름 발생, 장벽 소실, 면역 이상 등의 고유의 기능 이 상실될 뿐 아니라 신체의 외관에 심미적으로 영향을 준다. 피부의 노화를 막을 수 있는 없지만,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고 늦추는데 다양한 시도들이 행하여지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 효소 활성으로 콜라겐 감소가 촉진된다.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엘라스틴 형성하며 피부 탄력에 관여하고 있는 주름 생성에 중요한 피부 구성성분이다. 엘라스틴 섬유의(Elastin) 섬유는 콜라겐과 가교 결합을 결핍과 응집,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지고 있다.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콜라겐 및 엘라스틴 섬유는 진피층 내의 수분 보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 단백질로 이러한 기질 단백질이 수분을 흡착하며, 이들이 이루는 구조 내부에 수분 보유력을 높여 피부가 적정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생성되는 탄력섬유(Elastic fiber)는 콜라겐과 가교 결합을 형성하며 피부 탄력에 관여하고 있는 주름 생성에 중요한 피부 구성성분이다. 탄력섬유의 결핍 및 분해는 피부 주름생성과 탄력 저하의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졌다.
현재, 주름 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태반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엘라스타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며,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피부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무엇보다도 피부에서 탄력 개선, 보습 또는 항노화 효과가 있다고 기존에 알려진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보습, 피부 노화 방지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한편, 피로는 가장 흔한 현대 사회의 질환 중 하나로 신체적인 능력이 저하된 상태이다(Uthayathas et al., 2007). 피로는 과도한 스트레스(Uthayathas et al., 2007) 또는 면역 기능 및 항산화 체계의 이상으로 발생될 수 있다(Cleare, 2003). 피로 관련 지표로서 Blood urea nitrogen(BUN), alanine aminotransaminase(ALT), lactate dehydrogenase(LDH), 글루코스(glucose)와 같은 혈액 내 바이오 마커들이 있다(Klimas et al., 2012). LDH와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CK) 값은 일반적으로 근육 손상과 관련된 마커로 널리 알려져 있다(Coombes and McNaughton, 2000). 능금산 탈수소 효소(MDH) 또한 피로의 산화적 신진대사와 연관되어 있다 (Callister et al., 2004).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 경로와 다양한 염증 경로에서 면역적인 이상 징후 발생을 통해 피로가 유발된다(Liu et al., 2000). 과도한 운동 후 발생되는 활성 산소는 피로를 더욱 가중시킨다(Powers et al., 1999). 이러한 활성 산소를 줄이기 위해 superoxide dismutase(SOD)와 카탈라아제(catalase)가 생성되게 된다(Liu et al., 2000). Nitric oxide(NO)는 만성 피로환자에게서 증가하며(Suarez et al., 2010), 염증성 사이토카인 또한 피로 증상과 관련이 있다 (Liburt et al., 2010).
현재 피로를 치료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적합한 방안은 알려지지 않은 현실이다.
피로의 원인은 체내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원의 결핍 또는 이용 불능, 대사 작용에 의한 체내 염증 반응, 항산화 체계의 이상, 피로물질의 축적, 체내의 항상성 실조 등으로 구분되나, 대부분 많은 요인의 상승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로의 회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에너지원의 공급과 휴식, 체내 피로 물질의 생성 억제 및 제거 등이 요구되나 실제로 바쁜 현대사회에서 충분한 영양섭취와 휴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피로 회복을 위한 기능성 소재의 발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여성의 폐경(menopause)이란 태어난 후 약 50년에 이르는 유전적으로 이미 결정된 난소의 기능이 수명을 다 함으로써 나타나는 월경의 중단 현상으로, 생식능력의 소실을 의미하며 병적 현상이 아닌 생리적인 변화이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수명은 81.2세(2011년:통계청)로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규정한 한국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을 50세로 가정한다면 여성 일생의 약 1/3 이상을 여성호르몬이 고갈된 상태로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약학정보원, 김성철)
여성은 폐경을 맞이하면서 여성 호르몬의 분비 불균형 및 감소로 인해 혈관계, 근골격계, 비뇨생식기계 및 뇌신경 등 신체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일어난다. 즉 혈관 운동성증상과 심리적 증상인 안면 홍조, 야간 발한, 수면 장애, 피로감, 우울증, 불안감, 집중력 장애, 그리고 기억 장애와 비뇨생식계 위축에 의한 성교통, 빈뇨, 교원질 감소에 의한 피부탄력의 소실, 유방의 처짐, 그리고 심혈관 및 근골격계 증상, 치매 등의 다양한 질환 등이 동반된다. 갱년기 증상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갱년기 증상을 많이 경험할수록,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여성의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을 뿐만 아니라, 갱년기 증상은 신체적인 노화와 함께 만성 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갱년기 증상의 치료에는 호르몬 요법, 약물 요법, 운동 요법, 식이요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의학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여성 호르몬 치료는 유방암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궁암, 혈전혈관질환, 담낭질환, 고혈압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작용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피부의 탄력 개선, 보습 또는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활성 성분, 즉, 활성 성분의 이러한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작용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활성 성분, 즉, 활성 성분의 이러한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활성 성분, 즉, 활성 성분의 이러한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효능이 우수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더 나아가 상기 효능이 우수한 활성 성분을 유효성분 또는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바람직하게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의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의 용도와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이라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피부에 처리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는 유효성분 또는 지표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는 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천연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및/또는 L-류실글라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글라이실-L-류신 및/또는 L-류실글라이신;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합성 촉진, 프로콜라겐 합성 촉진,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탄력 개선'이라 함은 피부가 쳐지거나 늘어지는 정도를 완화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탄력은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이라 함은 피부에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노화 방지'라 함은 피부에 주름 발생, 탄력 저하 등을 예방하고 완화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서의 용도와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이라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처리하여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산화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는 유효성분 또는 지표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이 운동으로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근육 내 젖산 및 크레아틴키나아제(CK) 축적을 방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피로 개선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은 비장 세포 내 종양괴사인자-α(TNF-α), 인터류킨-6(IL-6)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염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수준을 높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피로 개선'은 누적된 피로를 해소하거나 피로 증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피로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활동으로 세포, 근육, 기관의 힘이나 민감도가 일시적으로 감퇴된 상태를 의미한다. 피로를 회복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신 및 육체활동을 계속하면 피로가 겹쳐 과로나 만성피로의 상태가 되어 운동장애는 물론 건강장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과도한 신체 활동을 하면 피로가 발생하는데 피로의 생리학적인 기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도당, 글리코겐 등 에너지원이 신체활동에 의해 소모되기 때문이며 운동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원은 운동의 강도가 높을수록 근 글리코겐의 소모를 빨리 진행시키고, 낮은 강도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낮은 강도의 운동에서도 시간이 경과할수록 소모가 증가되어 피로의 원인이 된다. 또 다른 피로의 원인은 젖산·이산화탄소 등 대사의 중간 산물이 체내에 축적되어 원인이 된다. 인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글루코오스로 분해되고, 남은 여분은 글리코겐의 형태로 간과 근육에 저장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데 운동 중 글리코겐이 분해될 때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면 완전 분해되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하여 운동을 지속시키지만 산소 공급이 불충분할 때에는 젖산이 생성되어 축척되는데, 젖산이 축적되면 화학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피로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운동으로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근육 내 젖산 및 크레아틴키나아제(CK) 축적을 방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펩타이드의 피로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 개선'은 염증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생한 염증을 제거 및/또는 완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 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 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 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신체가 여러 요인에 의해 손상을 받았을 때, 그 손상부위를 회복, 재생하려는 면역학적 방어기전이지만,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이 유발된다. 이는 추후 순환장애,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등 질환의 병인이 되기도 한다. 염증 발생은 호르몬 분비, 사이토카인,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등 체내 여러 기전에서 이루어지며, 관련된 물질도 매우 많다. 이 중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은 면역계를 조절하며, 일부는 염증을 촉진 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염증 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운동으로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비장세포 내 종양괴사인자-α(TNF-α), 인터류킨-6(IL-6)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펩타이드의 염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산화'는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생체에서는 산화 스트레스를 야기시키는 물질들이 발생할 수 있다. 체내 에너지원으로 이용된 산소가 불완전하게 환원되는 경우 활성산소가 세포질 내로 유리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주변세포를 손상시키고 염증 진행에 따른 조직손상을 더욱 촉진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산소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발생되지만, 만일 체내에 항산화 방어기전이 없다면 우리는 생명을 영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우리 몸에는 정상적인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항산화 방어체계가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정상 수준을 넘는 산화 스트레스가 일어난다면, 신체는 심각한 손상을 입기 때문에,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항산화제는 천연, 혹은 합성 물질로써 산화 스트레스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 물질의 체내 항산화력 발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체내 항산화 물질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카탈라아제(Catalase),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함량을 여러 방법으로 평가를 하고, 이와 같은 물질들은 주로 활성상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운동으로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수준을 높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펩타이드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서의 용도와 갱년기 증상 완화, 개선 또는 치료용이라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처리하여 갱년기 증상 완화,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는 유효성분 또는 지표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갱년기 증상'이란, 난소의 노화 등으로 인하여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됨에 따라 폐경을 전후로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증상 및 질환을 총칭한다. '갱년기 증후군' 또는 '폐경기 증상' 이라고도 불린다.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은 예를 들어, 안면홍조, 발한, 신경질, 우울증, 어지럼증, 피로감, 관절통, 근육통, 두통, 가슨 두근거림, 의주감, 수면 중 발한, 수면 장애, 피부 건조, 질 건조증, 질 위축, 하부 요도 위축, 성교 통, 질염, 방광염, 배뇨통, 급뇨, 집중 장애, 기억력 장애, 불안, 신경 과민, 기억력 감퇴, 피부건조, 관절통 또는 골다공증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계 이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사라지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투여 전 보다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는 유효성분 또는 지표성분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분자식 C8H16N2O3, 분자량 188.22을 가지며,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으로 명명된다. 글라이신(Glycine)과 L-류신(L-Leucine) 2 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다이펩타이드로서, Gly-Leu 또는 GL로 약칭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글라이실-L-류신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천연물로부터 유래되거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돼지, 소, 양, 말 등의 포유류의 태반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돼지의 태반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분자식 C8H16N2O3, 분자량 188.22을 가지며,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으로 명명된다. L-류신(L-Leucine)과 글라이신(Glycine) 2 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다이펩타이드로서, Leu-Gly 또는 LG로 약칭된다.
본 발명은 상기 L-류실글라이신의 획득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천연물로부터 유래되거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돼지, 소, 양, 말 등의 포유류의 태반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돼지의 태반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0001 내지 100 중량%, 즉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를 그 자체로 섭취,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이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각각의 성분은 1 : 0.0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 0.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성분의 효과와 더불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1:1의 중량비로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상승된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품의 경우에는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약학적, 의약외품 조성물인 경우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의 염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에 산(예를 들어, 독성이 없거나 적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 또는 염기 등을 부가하여 제조된 염을 말한다.
상기 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살리실산염, 안식향산염, 칼슘염, 구연산염, 아황산염 및 아황산수소염, 알루미늄염, 염산염, 과망간산염, 칼륨염, 초산염, 브롬산염, 질산염, 탄산염, 탄산수소염, 치오시안산염, 제일철염, 치오황산염, 제이철염, 제이동염, 젖산염, 마그네슘염, 황산염, 인산염, 브롬화물, 아연염, 요오드염, 호박산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은 수화물, 에탄올화물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능성 식품'이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노화 방지, 피로 개선, 염증 개선, 항산화, 및/또는 갱년기 증상 완화,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 (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 (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첨가물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8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의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의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 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겔(gel), 에멀젼(emulsion),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micro-emulsion), 마이크로캡슐(capsule), 리포좀(liposome), 크림(cream), 로션(lotion), 연고, 에어로졸(aerosol), 스프레이(spray), 페이스트(paste) 및 패치(patch)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 또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 효과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 또는 갱년기 증상을 완화,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노화 방지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지표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보습, 피부 노화 방지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갱년기 증상 완화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원료, 약학 성분, 의약외품 원료 또는 식품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전하면서도 피로 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원료, 약학 성분, 건강기능식품 원료 또는 사료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전하면서도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원료, 약학 성분, 건강기능식품 원료 또는 사료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의 히알루론산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의 프로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또는 이들 모두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프로스타글란딘E2(PGE2) 과도한 분비 억제에 의한 염증 개선 및 피로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DPPH 유리기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근육 내 젖산의 축적 방지에 의한 피로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근육 내 크레아틴키나아제(CK)의 축적 방지에 의한 피로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종양괴사인자-α(TNF-α)의 감소에 의한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인터류킨-6(IL-6)의 감소에 의한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의 증가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처리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증가되는지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및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를 함께 처리했을 때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및/또는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는 갱년기 질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처리하여 파골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글라이실-L-류신 펩타이드 및/또는 L-류실글라이신 펩타이드는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폐경기 후 골다공증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조예 1: 글라이실 -L- 류신 ( Glycyl -L- Leucine ) 펩타이드 물질 정보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물질명 : Glycyl-L-Leucine
CAS No. : 869-19-2
분자식 : C8H16N2O3
분자량 : 188.22
구입처 : Bachem AG(Bubendorf, Switzerland)
참조예 2: L- 류실글라이신 (L- Leucylglycine ) 펩타이드 물질 정보
Figure pat00004
물질명 : L-Leucylglycine
CAS No. : 686-50-0
분자식 : C8H16N2O3
분자량 : 188.22
구입처 : Bachem AG(Bubendorf, Switzerland)
실험예 1: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합성 촉진 효과
피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의 구조를 지탱하는 기본 버팀목 역할을 하는 섬유 조직으로 된 콜라겐과 엘라스틴(Elastin)이 경화되고, 불용성이 된다. 세포 사이와 콜라겐, 엘라스틴(Elastin) 등의 섬유질 사이를 채우고 있는 물질들을 기질이라고 하며,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이 매우 강력한데, 이러한 기질 중 대표적인 것이 히알루론산과 무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s) 등이다. 히알루론산은 관절액과 피부 등 세포 내 조직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다당류이다.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이 결합한 히알루로난의 폴리머로서 보습성과 점성을 가지고 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물질이 감소하면 피부 건조증이 유발되고, 피부의 탄력이 약해지게 된다(김윤범,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 24(4): 533-542).
본 발명자들은 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Leucylglycine 펩타이드의 히알루론산 합성효과를 확인 위하여, 인간 유래 각질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를 배양한 후 시료를 처리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수거한 뒤, 배양액으로부터 생성된 히알루론산은 Hyaluronan DuoSet ELISA Kit(DY3614)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단백질량으로 보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retinoic acid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Leucylglycine 펩타이드는 저농도에서도 히알루론산 생성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어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Glycyl-L-Leucine과 L-Leucylglycine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히알루론산 생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프로콜라겐 ( Procollagen ) 합성 촉진 효과
프로콜라겐은 콜라겐의 구성성분으로 fibroblast, osteoblast 등에서 합성되어 최종적으로 프로콜라겐 펩타아제에 의해 콜라겐으로 전환된다. 프로콜라겐의 증가는 피부의 결합력, 탄력성과 연관성이 있다.
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Leucylglycine 펩타이드의 프로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확인 위해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Normal human primary dermal fibroblast-Neonatal)를 배양한 후, 시료를 처리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수거한 뒤, Procollagen typeⅠ-C peptide(PIP) kit를 사용하여 프로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세포는 DPBS로 세척한 후 1N NaOH로 lysis시켜 BCA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총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고 단백질 당 procollagen 합성 양을 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TGF-β를 사용하였다. 시험결과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Glycyl-L-Leucine 및 L-Leucylglycine 펩타이드는 프로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를 통해 피부 탄력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Glycyl-L-Leucine과 L-Leucylglycine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프로콜라겐 합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엘라스타제 ( Elastase ) 저해 활성
피부의 진피 조직 속에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면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데, 나이, 자외선과 같은 내외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탄력성, 윤택성이 감소하고 과다 발현된 엘라스타제에 의하여 엘라스틴의 그물망 구조가 깨지게 되면서 피부가 처지고 주름이 생기므로 피부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피부 노화의 주 원인 중의 하나인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이재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8, 21(2); 143~147).
96 well에 시료와 50mM Tris-Hcl buffer(pH8.0)에 녹인 1U/ml porcine pancreatic elastase(Sigma, E1250)를 첨가 후 상온에서 30분 반응시켰다. 기질로서 N-숙시닐-(L-Ala)3-p-니트로아닐라이드를 첨가한 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니트로아닐라이드의 생성량을 410 nm에서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Glycyl-L-Leucine 펩타이드, L-Leucylglycine 펩타이드 및 Glycyl-L-Leucine 펩타이드와 L-Leucylglycine 펩타이드 혼합물(1:1)은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부 노화의 주 원인인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시험관 실험
본 발명자들은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로개선, 염증 개선 또는 항산화 효과,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에 앞서 시험관 실험을 수행하였다.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은 Bachem AG (Bubendorf, Switzerland)로부터 제공받았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농도 (mg/ml)
글라이실-L-류신
(Glycyl-L-Leucine)
L-류실글라이신
(L-Leucylglycine)
비교예 1 - -
실시예 1 1 ㎍/ml -
실시예 2 10 ㎍/ml -
실시예 3 - 1 ㎍/ml
실시예 4 - 10 ㎍/ml
실시예 5 0.5 ㎍/ml 0.5 ㎍/ml
실시예 6 5 ㎍/ml 5 ㎍/ml
실험예 5: 프로스타글란딘E2 ( PGE2 ) 과도한 분비 억제에 의한 염증 개선 및 피로개선 효과
사이토카인은 염증 반응시 단핵구(monocyte), 림프구(lymphocyte), T세포, B세포,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섬유아세포 (fibroblast) 등에서 주로 분비되는 단백질로서, 신경전달물질처럼 세포막의 수용체에 작용하거나 호르몬처럼 세포 내 수용체에 작용하여 세포 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루킨-1β, -2, -6 (IL-1β, -2, -6), IFN-γ, TNF-α으로 대표되는 염증 촉진 사이토카인은 cyclo-oxygenase-2(COX-2)를 활성화시켜 프로스타글란딘E2(prostaglandine E2, 이하 PGE2)를 증가시키고 염증세포를 활성화하여 염증과정을 유도한다(송후림 등,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13; 24: 5-10). 본 발명자들은 프로스타글란딘E2(PGE2) 분비 억제를 통한 항염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프로스타글란딘E2(PGE2)를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KCLB no 40071, Korean Cell Line Bank, Seoul, Korea)를 구입하여, 2.5X106 cells/㎖의 세포농도로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하였다. 배지는 10% FBS(GibcoBRL,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mycin(Thermo Scientific Hyclone, Waltham, MA, USA)을 첨가한 DMEM(GibcoBRL, Grand Island, NY, USA) 배지를 사용하였고, 5% CO2, 37℃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를 분주한 세포 배양액에 LPS(Lipopolysaccharide)(Sigma, St. Louis, MO, US)를 1㎍/ml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하고, 상기 실험예 1에 따라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24시간 배양하고, 9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배양액 중 생산된 프로스타글란딘E2(PGE2)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E2(PGE2)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PGE2 ELISA 키트(MyBioSource Co., Ltd., San Diego, CA, USA)를 이용,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LPS로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는 염증이 유발되지 않은 세포보다 프로스타글란딘E2(PGE2)가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료가 처리된 세포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l 처리(실시예 1, 실시예 3)하였을 때 보다 10 ㎍/ml를 각각 처리(실시예 2, 실시예 4) 하였을 때 프로스타글란딘E2(PGE2)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실시예 1 내지 4)를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 비해 복합조성물(실시예 5, 실시예 6)를 처리한 세포에서 프로스타글란딘E2(PGE2)의 분비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예 2의 결과는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 염증을 촉진시키는 프로스타글란딘E2(PGE2)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인 항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더 나아가 피로개선 기능성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6: DPPH 유리기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는 보라색의 안정한 유리기로 항산화제와 반응하면 수소를 받아 환원되어 탈색되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시료의 DPPH 유리기 소거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항산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유리기 소거 활성 (%)이 높을 수록 시료의 항산화능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유리기 소거 활성은 먼저, DPPH 4mg을 메탄올 100ml에 녹여 DPPH 용액을 만들고, 실험예 1의 조성물을 에탄올에 농도별 희석하였다. 복합조성물이 포함된 에탄올 1ml와 DPPH 용액 1ml을 잘 섞은 후 37℃에서 30분 정치한 후 51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DPPH 유리기 소거 활성법에 의한 항산화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하였다.
[수학식 1]
DPPH 유리기 소거 활성 = 100 -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료를 처리했을 때 DPPH 유리기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l 처리(실시예 1, 실시예 3)하였을 때 보다 10 ㎍/ml를 각각 처리(실시예 2, 실시예 4) 하였을 때 DPPH 유리기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실시예 1 내지 4)의 단독 시료에 비해 복합조성물(실시예 5, 실시예 6) 시료에서 DPPH 유리기 소거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예 3의 결과는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7: 동물 실험
본 발명자들은 동물 실험을 위하여 수컷 ICR 마우스(4주령)를 대한바이오링크(대전,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실험 동물들은 온도 22±1℃, 습도 55±10%로 유지되는 사육실에서 한 케이지 당 5 - 10 마리씩 사육하였다.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는 Bachem AG(Bubendorf, Switzerland)로부터 제공받았고, 증류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만 경구투여했으며,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 섭취군은 경구투여용 존데(sonde)를 이용하여 21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구투여 하였다. 그룹별로 투여한 조성물의 종류 및 농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그룹별 각 그룹의 마우스들을 주 1회 30분씩 3주간 운동시켜 피로를 유발시켰다. 운동 속도는 10분간 10 m/min, 10분간 16 m/min, 마지막으로 10분간 21 m/min으로 운동시켰다. 21일째가 되는 날은 처음 5분간 10 m/min 이후 3분에 3 m/min 씩 속도를 늘려가면서 30분간 운동시키고, 희생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섭취량 (mg/kg/day)
글라이실-L-류신
(Glycyl-L-Leucine)
L-류실글라이신
(L-Leucylglycine)
비교예 2 - -
실시예 7 1 mg/kg/day -
실시예 8 10 mg/kg/day -
실시예 9 - 1 mg/kg/day
실시예 10 - 10 mg/kg/day
실험예 8: 근육 내 젖산의 축적 방지에 의한 피로 개선 효과
세포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는 상황에서는 TCA 회로가 원활히 진행되므로 혈중 젖산 농도가 0.56 - 2 mmol/L의 범위로 유지되고 그 이상으로 축적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당 작용과 TCA 회로의 대사적 연계가 당량비로 진행되지 못하고 해당 작용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상황 또는 세포에서 요구되는 산소량보다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근육 내에 젖산이 생성된다. 또한, 고강도 운동시 산소 공급량이 근육의 산소 소모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근육 조직의 젖산 농도는 증가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젖산은 혈액으로 확산되어 심장 및 간에서 처리되어 운동으로 인해 젖산이 축적되면 체내 산성화가 초래되어 피로를 유발시킨다. 운동 중 당질 대사에 관여하는 포스포릴라아제 활성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무산소 상태에서 운동에너지의 급원이 되는 글루코스 신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피로 개선 효과 평가 중에서도 피로 상태를 나타내는 근육 내 젖산과 크레아틴키나아제(CK) 축적 억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경구 투여한 경우(실시예 7 내지 10) 대조군(비교예 2)에 비해 근육 내 축적되는 젖산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g/kg/day을 섭취(실시예 7, 실시예 9)하였을 때 보다 10mg/kg를 각각 섭취(실시예 8, 실시예 10) 하였을 때 젖산의 농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피로가 유발된 개체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의 섭취가 근육 내 젖산의 축적을 감소시켜 피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근육 내 크레아틴키나아제(CK)의 축적 방지에 의한 피로 개선 효과
근육에 다량 존재하는 효소로서 근육 세포들이 손상될 때 이러한 효소는 혈액으로 방출되어 에너지원을 생성한다. 크레아틴키나아제(CK)는 운동 중인 근육 세포에서 무산소 시 ATP 재합성(ADP와 포스포크레아틴(phosphocreatine)으로부터 ATP를 합성하는 과정)에 필요한 크레아틴 포스페이트(creatine phosphate)를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근육 내 크레아틴키나아제(CK)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예 4와 같이 마우스의 피로를 유발시키고, 조성물을 투여한 그룹별 마우스의 근육 조직을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크레아틴키나아제(CK)는 분석 키트(Abcam, Cambridge, UK)를 이용,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경구 투여(실시예 7 내지 10) 했을 경우 대조군(비교예 2)에 비해 근육 내 축적되는 크레아틴키나아제(CK)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g/kg/day을 섭취(실시예 7, 실시예 9)하였을 때 보다 각각 10mg/kg를 섭취(실시예 8, 실시예 10)하였을 때 크레아틴키나아제(CK)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피로가 유발된 개체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의 섭취가 근육 내 크레아틴키나아제 (CK)의 축적을 감소시켜 피로 개선 증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0: 혈액 내 사이토카인의 감소에 의한 염증 개선 효과
사이토카인은 인터루킨(interleukin, IL), 인터페론(interferon, IFN), 케모카인(chemokine),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등이 대표적으로, 이 중 염증 촉진(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으로는 인터루킨-1β, -2, -6(IL-1β, -2, -6), IFN-γ, TNF-α 등이 있고, 항염(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으로는 IL-4, IL-10, IL-11, IL-13, TGF-β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염증 개선 효과 평가 중에서 염증을 촉진하는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인터루킨-6(IL-6) 분비 억제를 확인하였다.
먼저, 혈액 내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인터루킨-6(IL-6)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예 4과 같이 피로를 유발시키고, 조성물을 투여한 그룹별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60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 0.45 ㎛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인터루킨-6(IL-6)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TNF-α와 IL-6 ELISA 키트(Thermo Scientific Co.,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경구 투여(실시예 7 내지 10) 했을 경우 대조군(비교예 2)에 비해 혈액 내 종양괴사인자-α(TNF-α)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g/kg/day을 섭취(실시예 7, 실시예 9) 하였을 때 보다 각각 10mg/kg/day를 섭취(실시예 8, 실시예 10)하였을 때 종양괴사인자-α(TNF-α)가 감소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경구 투여했을 경우 대조군 (비교예 2)에 비해 혈액 내 인터루킨-6(IL-6)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g/kg을 섭취(실시예 7, 실시예 9)하였을 때 보다 각각 10mg/kg를 섭취(실시예 8, 실시예 10)하였을 때 인터루킨-6 (IL-6)가 감소하였다.
즉, 피로가 유발된 개체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의 섭취가 혈액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를 감소시켜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OD)의 증가에 의한 항산화 효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는 슈퍼옥사이드(Superoxide)를 산소와 과산화수소 (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항산화 효소로서 혈중에서 자유라디칼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혈중의 SOD 증가는 근육 내 피로감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효과 평가를 위하여 체내 항산화 기능을 담당하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예 4 와 같이 피로를 유발시키고, 조성물을 투여한 그룹별 마우스에서 얻어낸 혈청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는 분석 키트(Abcam, Cambridge, UK)를 이용,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로가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경구투여(실시예 7 내지 10) 했을 경우 대조군(비교예 2)에 비해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g/kg을 섭취(실시예 7, 실시예 8)하였을 때 보다 각각 10mg/kg를 섭취(실시예 8, 실시예 10)하였을 때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가 증가하였다.
즉, 피로가 유발된 개체에서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의 섭취가 혈액 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농도를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2.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 평가
'갱년기 증상'이란, 난소의 노화 등으로 인하여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됨에 따라 폐경을 전후로 여성에게서 여러 증상이 유발되게 된다.
화학식 1 및 2의 dipeptide 2종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ERE(estrogen response element) reporter assay를 수행하였다. 293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24 well plate에서 24 시간 배양 후, well당 5% charcoal stripped FBS containing phenol red free medium 500㎕으로 배지를 교환해 주고, transfection을 수행하였다. well당 ERa 0.1ug, ERE 0.1ug, pRL-Tk 10ng의 DNA를 Lipofectamine® reagents(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transfection 하였다. transfection 4시간 후, 실험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E2)을 1ppb(DMSO 0.5㎕)로, 음성 대조군(control,ctrl)으로는 동량의 DMSO(0.5㎕)를 처리하였다. 시료처리 24시간 후, 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Promega)를 사용하여 발광정도(luminescence)를 측정하였고, 음성 대조군의 측정값을 기준(1.0)으로 하였다. 해당 측정값은 firefly luciferase 수치를 renilla luciferase 수치로 보정해 주었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료를 처리했을 때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증가하였다.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l 처리(실시예 1, 실시예 3)하였을 때 보다 10 ㎍/ml를 각각 처리(실시예 2, 실시예 4) 하였을 때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실시예 1 내지 4)의 단독 시료에 비해 복합조성물(실시예 5, 실시예 6) 시료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3.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갱년기가 되면 뼈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성호르몬이 더 이상 난소에서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골 교체에 변화가 나타나서 파골 세포가 녹인 부위를 조골세포가 새로운 뼈를 만들어 채우기는 하지만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골 손실이 오게 된다. 30대 이후 점차 골소실이 오게 되는데, 남성의 경우는 골밀도가 서서히 떨어져 최대 골량의 20-30% 정도 손실이 오는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50대 즉, 갱년기 이후 10년 정도 골밀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떨어지므로 여성은 남성보다 더 빠르고 심하게 골다공증이 진행되게 된다.
대식 전구세포로부터 시험관 내에서 특정 cytokine인 activator of NF-κB ligand(RANKL, RANK ligand)에 의해 파골세포의 생성이 가능하며, TRAP 염색을 하게 되면 RANKL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은 RAW264.7 세포가 구 모양을 유지한 채 증식하며, TRAP 염색에서도 음성반응을 보여 연한 갈색이나 황토색을 띤다. 이에 반해 RANKL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진한 암갈색 내지 적갈색으로 염색된 TRAP(+) 다핵세포가 관찰된다.
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gan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화학식 1 및 2의 dipeptide 2종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가의 실험예 5에서 배양한 RAW264.7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RAW264 세포를 2.5×106 cells/㎖의 세포농도로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한 후 5시간 배양하여 세포가 well에 부착되면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가 첨가된 α-MEM 배지에 파골세포 분화인자인 RANKL 50 ng/mL와 실험예 1의 조성물을 혼합한 배양액을 분주하여 7일간 배양하였다.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배양된 세포에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염색을 실시하였으며, 붉은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파골세포로 간주하여 그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료를 처리했을 때 파골세포 분화가 억제되었다.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를 1 ㎍/ml 처리(실시예 1, 실시예 3)하였을 때 보다 10 ㎍/ml를 각각 처리(실시예 2, 실시예 4) 하였을 때 파골세포가 감소하였다. 특히,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펩타이드 또는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펩타이드(실시예 1 내지 4)의 단독 시료에 비해 복합조성물(실시예 5, 실시예 6) 시료에서 파골세포의 분화가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예 12, 실험예 13의 결과는 글라이실-L-류신(Glycyl-L-Leucine), L-류실글라이신(L-Leucylglycine)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은 증가시키고, 폐경기 후의 골다공증의 유발 요인인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를 통해 여성갱년기 증상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3.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4.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8
  5.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9
  6.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0
  7.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1
  8.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2
  9.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3

KR1020230023950A 2016-10-04 2023-02-22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05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92 2016-10-04
KR20160127792 2016-10-04
KR20160156535 2016-11-23
KR1020160156535 2016-11-23
KR1020170061695A KR102504364B1 (ko) 2016-10-04 2017-05-18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695A Division KR102504364B1 (ko) 2016-10-04 2017-05-18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254A true KR20230034254A (ko) 2023-03-09
KR102605627B1 KR102605627B1 (ko) 2023-11-23

Family

ID=6180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950A KR102605627B1 (ko) 2016-10-04 2023-02-22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7217085B2 (ko)
KR (1) KR102605627B1 (ko)
CN (2) CN107890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227A1 (ja) * 2022-02-03 2023-08-10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041A (ja) * 1998-03-13 2002-02-26 コネクティブ・ティシュー・イメージニアリング・エルエルシー ペプチド組成物及び製剤並びにその使用
KR20100108990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웰스킨 다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홍반반응 억제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507B2 (ja) * 2003-12-26 2008-09-24 堯 近藤 豚のプラセンタを含有した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20110039658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웰스킨 다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1 억제용 조성물 및 그 응용제품
US20140056835A1 (en) * 2012-08-24 2014-02-27 Ae Kyung Industrial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small molecule-peptide conjug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041A (ja) * 1998-03-13 2002-02-26 コネクティブ・ティシュー・イメージニアリング・エルエルシー ペプチド組成物及び製剤並びにその使用
KR20100108990A (ko) *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웰스킨 다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홍반반응 억제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627B1 (ko) 2023-11-23
JP2018058828A (ja) 2018-04-12
CN107890116A (zh) 2018-04-10
JP2023038290A (ja) 2023-03-16
CN115919994A (zh) 2023-04-07
JP7217085B2 (ja) 2023-02-02
CN107890116B (zh)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627B1 (ko)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04364B1 (ko) 류신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20217A (ko) 파제신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6573919B2 (ja) 植物製剤の相乗的組み合わせによってトリグリセリド合成を阻害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5300233B2 (ja) 皮膚化粧料
JP2010155787A (ja) 抗炎症剤、抗老化剤、抗肥満剤、及び育毛剤、並びに、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20160019807A (ko) 도세탁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12A (ko) 라우레이린 b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14A (ko) 마그놀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80072381A (ko) 투탕카멘 완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374A (ko) 휴페헤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67997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20170078360A (ko) 페리플로게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8080A (ko) 주글론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160019770A (ko) 빈돌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769A (ko) 코디세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19817A (ko) α-사이페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56A (ko) 페이미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13A (ko) 이소핌피넬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44A (ko) 세네제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54A (ko) 모모딘 i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076367A (ko) 사이클렌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9981A (ko) 슈도라릭 엑시드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385A (ko) 아이소커큐메놀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403A (ko) (2­(1­에톡시에톡시)에틸)벤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