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916A -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916A
KR20230033916A KR1020210116896A KR20210116896A KR20230033916A KR 20230033916 A KR20230033916 A KR 20230033916A KR 1020210116896 A KR1020210116896 A KR 1020210116896A KR 20210116896 A KR20210116896 A KR 20210116896A KR 20230033916 A KR20230033916 A KR 2023003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soundproof pane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리스
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리스, 유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리스
Priority to KR102021011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916A/ko
Publication of KR2023003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틸(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수소 0.1 내지 0.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BMEP), o-포스포릴에탄올아민(o-PEA), 시트르산 나트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RESING COMPOSITION FOR SOUNDPROOF PANEL AND SOUNDPROOF PANE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패널로 제조했을 때 방음 성능 및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소음을 차단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벽 형태의 구조물로서 도로변이나 공장주변과 같이 차량소음이나 기계소음이 발생하는 곳에 시공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수의 방음패널을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패널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66410호에 개시된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을 들 수 있다. 상기 방음판은 전면에 수 개의 횡공이 형성되고 상기 횡공의 후방에는 소음을 소멸시키는 횡방향 그루브를 가지며, 각 횡공의 전방에 하향 경사진 빗살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판은 상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향하는 소음은 상기 빗살편에 유도되고 횡공을 통하여 그루브 내부로 들어와 소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횡공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소음의 양은 실제로 많지 않으며, 이때 유도된 소음은 그루브 내부로 들어와 소멸되는 것보다는 실제 공진 또는 공명으로 인하여 변질된 다른 형태의 소음이 생성될 수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9308호에서는 내측패널이 발포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외측패널이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방음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방음벽의 소재를 개선한 기술에 해당하나 이러한 적층구조로는 방음벽의 복잡한 구조를 성형 가공하기 어렵고 방음벽에 적용했을 때 충분한 방음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패널을 성형가공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개선함으로써 방음패널의 방음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 폐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자원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방음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틸(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수소 0.1 내지 0.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BMEP), o-포스포릴에탄올아민(o-PEA), 시트르산 나트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지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수득된 재생 원료를 혼합한 혼합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전면판,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의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적층하여 우드컬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방음패널을 성형가공하기에 적합하도록 조성물을 개선함으로써 방음패널로 제조했을 때 방음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 폐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자원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플라스틱 방음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방음패널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소음 차단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패널이다. 상기 방음벽은 다수의 방음패널을 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데, 상기 방음패널이 서로 결합하여 도로변 등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방음벽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패널은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에 의해 이격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격공간에는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음패널의 양측 말단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다른 방음패널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연결부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방음패널을 결합할 때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자를 융착함으로써 방음패널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은 상기 방음패널이 소음 발생원을 향해 배치되는 면을 이루는 것인데, 도 1에서와 같이 평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빗살편에 의해 소음을 유도하는 종래기술의 구조를 감안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개방된 창을 가지는 다수의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공간은 한쪽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게 되며, 상기 창의 상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사편을 구성함으로써 소음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창에 의하여 개방된 이격공간 내로 소음이 진입 및 이동되면서 소멸될 수 있는데, 상기 경사편이 소음을 유도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소음의 진입 및 소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패널은 이격공간의 배면, 즉, 후면판에 다수의 수직 또는 수평 리브로 연결되는 중공형 지지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방음벽을 구성할 때 벽체의 안정성과 강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편은 상기 전면판을 성형 가공할 때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압출 공정을 통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에는 흡음재가 삽입되는데 상기 흡음재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포폼 등의 흡음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방음패널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막대 형상으로 가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흡음재가 이격공간에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방음패널의 가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격공간 내에 흡음재가 기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면판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은 전면판 구조에서는 상기 이격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타공판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타공판은 창의 상단 및 하단에 거치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음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게 하면서도 흡음재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공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공판에 야광도료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음벽을 형성한 후 식별 및 장식 특성을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에는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도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우드컬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시공된 방음벽이 목재 질감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층의 도포를 위해서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60 내지 80 중량%에 목분 20 내지 40 중량%을 혼합하여 상기 전면판을 사출할 때 이중사출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타공판의 표면에 도포할 경우 타공판 표면에 상기 합성목재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합성목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별도로 성형가공되어 이를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판 및 후면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격벽을 포함한 전체 구조를 사출 또는 압출 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음패널은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구성과 강도를 가져야 하는 것이므로, 상기 방음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의 적합한 조성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틸(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수소 0.1 내지 0.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BMEP), o-포스포릴에탄올아민(o-PEA), 시트르산 나트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수지로는 신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폐플라스틱에서 수득된 재생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수지 전체에 대하여 상기 재생 수지를 0 내지 40 중량%의 범위에서 혼합할 수 있다. 재생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재생 수지를 혼합할 때 가공성이 저하되고 성형체의 강도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생 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의 구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상기 방음패널을 성형 가공할 때 충분한 가공성과 내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음패널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원료로 하여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지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신재 수지 또는 신재 수지와 재생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4543호에서 레진 가드레일을 제조할 때 수지 조성물로 PVC 컴파운드 및 ABS 컴파운드를 50:5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과산화수소, 질산리튬 삼수화물,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드레일의 성형 과정에서 수지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가드레일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이는 수지 조성물을 형성할 때 산 성분, 염기 성분, 금속 촉매, 안정화제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성형체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개발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방음패널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서도 산, 염기 및 금속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성형 가공 시 수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제조된 플라스틱 방음패널의 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은 산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종래에는 강산을 사용하여 성형 공정에서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르복실산으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10개인 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카르복실산으로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카르복실산은 pKa가 각각 4.89, 4.96, 4.9로 비교적 약산에 해당하는 것이다. 산도가 약한 경우 염기와 혼합해도 충분한 결합력을 나타낼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압 성형 시 압력과 성형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약산을 함유하더라도 폐플라스틱의 충분한 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산은 3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으면 성형성이 저하되어 성형체의 강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과산화아연은 금속 이온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수용액에서 이온화되어 과산화염과 아연 이온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산화아연은 pKa가 약 7로서 약염기에 해당하는데, 상기 카르복실산과 혼합되어 성형 공정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반응하면서 고분자의 결합 반응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산화아연은 0.5 내지 2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산-염기 반응이 불충분하여 성형체의 제조시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없어 제조된 성형체의 강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과산화아연과 함께 과산화수소를 혼합하는데, 과산화수소 0.1 내지 0.5 중량부의 과산화수소가 부가됨으로써, 과산화물의 총량이 조금 증가하며, 이를 통해 성형 가공시 가압조건에서 산-염기 반응이 더 촉진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여러 배합의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서 소량의 과산화수소가 혼합됨으로써 방음패널을 성형한 후 내구성에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과산화수소 및 과산화아연과 같은 과산화물을 안정화시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기 전까지는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과산화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안정화제로는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BMEP), o-포스포릴에탄올아민(o-PEA), 시트르산 나트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나노입자화된 과산화아연의 표면에 흡착하여 해리되지 않도록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정화제를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내에서 산-염기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정화되게 된다. 상기 안정화제는 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과산화물의 전체 함량에 따라 과산화물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화학양론적으로 결정된 함량으로 도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또는 압출 공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수지 조성물을 180 내지 220℃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사출기 또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 가공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 방음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함유된 산 및 염기 성분이 반응하기 위해서는 120℃ 이상의 온도와 30kgf/㎠ 이상의 압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통상의 압출 공정에서 상기 온도와 압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성형 공정 중 결합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성형 가공이 끝난 후 냉각 안정화 과정에서 수지의 자기 가교 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지의 종류나 재생 수지의 혼합 여부와 관계없이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제조된 플라스틱 방음패널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특히 도로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의 특성상 자외선에 의한 열화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첨가제를 부가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6-(1,1-다이메틸에틸)-4-메틸-페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로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안정제로는 폴리[[6-[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세바스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스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는 총 첨가량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첨가량이 너무 많은 경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형성된 성형체의 내구성이 저하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성형 과정에서 산-염기 반응을 유발하여 경화될 때 성형체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수지 조성물 자체로 시험평가를 하기 곤란하여 방음패널을 성형가공한 후 완제품을 직접 평가하는 방법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프르산 4 중량부, 과산화수소 0.2 중량부, 과산화아연 0.8 중량부, 시트르산 나트륨 6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압출성형함으로써 도 1과 같은 형상의 방음패널 시험체 1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PVC로서 재생 수지 30 중량%와 신재 70 중량%를 혼합한 혼합수지를 사용하여 시험체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시험체 2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험체 1 및 2에 대하여 KS F 2808:2006에 따른 투과손실 및 KS F 2805:2004에 따른 흡음율을 측정한 결과 환경부고시 제2002-184호(2002.12.03)에 따른 방음벽의 성능 및 설치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로변에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구성과 관련하여 시험체 1, 2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출원인이 제조하고 있는 레진 가드레일을 성형 가공하였고, 상기 가드레일 시험체에 대하여 방호울타리 성능평가 및 방호울타리 충격시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SB2(한국기준시험) 등급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가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나타내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방음패널 역시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결과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5)

  1. 방음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틸(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수소 0.1 내지 0.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BMEP), o-포스포릴에탄올아민(o-PEA), 시트르산 나트륨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수득된 재생 원료를 혼합한 혼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녈용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녈용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음패널로서,
    상기 방음패널은 전면판,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에 다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적층하여 우드컬러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KR1020210116896A 2021-09-02 2021-09-02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KR20230033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96A KR20230033916A (ko) 2021-09-02 2021-09-02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96A KR20230033916A (ko) 2021-09-02 2021-09-02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916A true KR20230033916A (ko) 2023-03-09

Family

ID=8551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896A KR20230033916A (ko) 2021-09-02 2021-09-02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0013C (en) Compression molded door assembly
DE202015009670U1 (de) Paneel
ES2282892T3 (es) Material compuesto de madera-plastico.
WO1999051425A1 (en) Foamed polymer-fiber composite
US7445840B2 (en) Weather-resistant synthetic wood material
KR20230033916A (ko) 방음패널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KR20110099468A (ko)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50764B1 (ko)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2074515A1 (de) Verbundformteile mit einer folienbesch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4249543A1 (en) Floor or wall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floor or wall panel
KR20170121448A (ko) 난연성 황토시트의 제조방법 및 난연성 황토시트가 접합된 방화문
NL2031888B1 (en) Floor or wall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floor or wall panel
KR100885647B1 (ko) 싱크대 패널용 벌크 몰딩 컴파운드 및 이를 이용한 싱크대 패널의 제조방법.
US20130052395A1 (en) Composite component having a multilayer cap
KR200346972Y1 (ko) 무기심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도어
KR102285935B1 (ko) 열가소성 수지 발포 시트
KR20230033868A (ko) 레진 가드레일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진 가드레일.
JP4273877B2 (ja) 床材
KR20230033933A (ko) 가드레일 엔드 터미널용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엔드 터미널용 표면코팅 조성물.
JP2006219573A (ja) 木質樹脂成形体
KR20230033881A (ko)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KR101614682B1 (ko) 건축물용 벽면 패널
JP4655601B2 (ja) 木質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611049B1 (ko) 폐기물처리가 용이한 폴리스티렌수지 재질의 도어
KR100554439B1 (ko) 방염성능을 지닌 합성수지 도어의 표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