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881A -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881A
KR20230033881A KR1020210116817A KR20210116817A KR20230033881A KR 20230033881 A KR20230033881 A KR 20230033881A KR 1020210116817 A KR1020210116817 A KR 1020210116817A KR 20210116817 A KR20210116817 A KR 20210116817A KR 20230033881 A KR20230033881 A KR 2023003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guardrail
parts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리스
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리스, 유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리스
Priority to KR102021011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881A/ko
Publication of KR2023003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05Dendritic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어 목재 질감을 구현하는 합성목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 60 내지 80 중량% 및 목분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COAGING COMPOSITION AND WOOD COLORED RESING GUARDRA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어 목재 질감을 구현하는 합성목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을 표면에 코팅하여 우드컬러를 구현하는 레진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은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고 차량의 이탈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도로 시설물로서,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가드레일은 차량이 충돌했을 때에 차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충격강도가 높을 것이 필요한 한편, 운전자 및 탑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차량 및 가드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이 동시에 요구된다.
출원인은 기존의 금속 재질 가드레일을 대체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레진 가드레일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35000호, 10-1738549호, 10-1771134호, 10-1763292호, 10-1799852호 등에 관련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이는 가드레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이를 통해 레진 가드레일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금속 재질의 가드레일을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레진 가드레일의 구조를 개량하는 것만으로는 내구성이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4543호를 통하여 폴리염화비닐(PV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레진 가드레일의 소재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드레일의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목재 질감의 표면을 형성한 우드컬러 가드레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출원인은 합성목재를 이용한 가드레일이 개발하고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플라스틱과 목분을 배합하여 성형 가공한 것으로서, 목재와 동일한 질감을 나타낼 수 있어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소재이다. 따라서 건축용 내외장재, 바닥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인도의 가드레일로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합성목재를 이용할 경우 플라스틱과 목분의 배합으로 인한 강도의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로에 설치하는 가드레일에 적용할 경우 충분한 내구성과 내충격성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단순히 목재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가드레일의 소재로 플라스틱과 목분을 배합하는 경우 제조원가의 상승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진 가드레일을 압출성형할 때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이중압출하여 레진 가드레일의 표면에 우드컬러를 구현할 수 있는 합성목재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목분을 함유하는 이종(異種)의 적층구조를 적용하더라도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지 않는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어 목재 질감을 구현하는 합성목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 60 내지 80 중량% 및 목분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로 폐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은 상기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층이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레진 가드레일을 압출성형할 때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형성함으로써 레진 가드레일의 표면에 우드컬러를 구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목분을 함유하는 이종의 적층구조를 적용하더라도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지 않는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진 가드레일이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진 가드레일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진 가드레일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레진 가드레일을 압출성형할 때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형성하여 레진 가드레일 표면에 목재 질감을 구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레진 가드레일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드레일 지주에 결합된 형태로 도로변에 시공된다. 즉, 수직으로 노면에 매립된 지주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수평 방향으로 상기 레진 가드레일을 고정하거나 별도의 브라켓 없이 가드레일 지주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레진 가드레일은 출원인이 개발한 레진 가드레일과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레진 가드레일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벽, 외벽 및 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내벽은 상기 레진 가드레일의 지주에 대한 고정면을 제공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레진 가드레일과 지주가 체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벽은 상기 내벽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외부 충격에 대한 접촉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내벽 및 외벽 간의 공간을 연결하도록 다수 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적층하여 종래에 플라스틱 질감을 나타내던 레진 가드레일이 목재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목재층은 수지 조성물 60 내지 80 중량%에 목분 20 내지 40 중량%을 혼합한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상기 레진 가드레일 본체를 압출할 때 이중압출로 압출성형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합성목재층이 적층되게 된다. 이러한 압출성형은 통상의 레진 가드레일 제조시 적용되는 압출방법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합성목재층은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외벽 및 내벽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에 적층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레진 가드레일은 외부에서 볼 때 우드컬러가 구현된 상태가 된다.
상기 합성목재층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에 목분을 20 내지 40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목분을 소량 함유하더라도 상기 레진 가드레일의 표면에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목재 질감의 우드컬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진 가드레일 본체는 출원인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4543호를 통해 개시한 폴리염화비닐(PV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는 합성목재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합성목재층은 폴리염화비닐로 제조된 종래의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도 적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합성목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상용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재질의 기재와 이중압출하더라도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지 100 중량부,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목분을 함유하더라도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서 경화되어 합성목재층을 형성할 때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레진 가드레일 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4543호에서는 레진 가드레일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로 PVC 컴파운드 및 ABS 컴파운드를 50:5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한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과산화수소, 질산리튬 삼수화물,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드레일의 성형 과정에서 수지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제조된 레진 가드레일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즉, 상기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 성분, 염기 성분, 금속 촉매, 안정화제가 적절히 배합되면 성형 공정에서 수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성형체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 역시 산, 염기 및 금속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이중 압출에 의한 성형 가공 시 레진 가드레일 본체 표면 상에서 수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고강도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PE, PP, PC, PVC, ABS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특히 수지 자체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성형 과정에서 수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지 조성물의 구성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상기 카르복실산은 산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종래에는 강산을 사용하여 성형 공정에서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르복실산으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8 내지 10개인 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카르복실산으로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카르복실산은 pKa가 각각 4.89, 4.96, 4.9로 비교적 약산에 해당하는 것이다. 산도가 약한 경우 염기와 혼합해도 충분한 결합력을 나타낼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압 성형 시 압력과 성형 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약산을 함유하더라도 폐플라스틱의 충분한 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산은 3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카르복실산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으면 성형성이 저하되어 성형체의 강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과산화아연은 금속 이온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수용액에서 이온화되어 과산화염과 아연 이온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산화아연은 pKa가 약 7로서 약염기에 해당하는데, 상기 카르복실산과 혼합되어 성형 공정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반응하면서 고분자의 결합 반응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과산화아연에 과산화수소(pKa = 11.75)를 소량 혼합함으로써 카르복실산과 혼합될 때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산화아연은 0.5 내지 2 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산-염기 반응이 불충분하여 성형체의 제조시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없어 제조된 성형체의 강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산화아연과 과산화수소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에 과산화수소 0.1 내지 0.5 중량부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배합의 실험을 통해 소량의 과산화수소가 혼합됨으로써 성형공정 중 발생하는 산-염기 반응이 촉진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과산화아연이나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을 안정화시켜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기 전까지는 수지의 경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상기 과산화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안정화제로는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BMEP), o-포스포릴에탄올아민(o-PEA), 시트르산 나트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나노입자화된 과산화아연의 표면에 흡착하여 해리되지 않도록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정화제를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내에서 산-염기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정화되게 된다. 상기 안정화제는 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과산화물의 함량에 따라 과산화물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화학양론적으로 결정된 함량으로 도입되는 것이다.
상기 합성목재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통상의 이중압출 공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목분을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180 내지 220℃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레진 가드레일 본체와 함께 이중압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함유된 산 및 염기 성분이 반응하기 위해서는 120℃ 이상의 온도와 30kgf/㎠ 이상의 압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통상의 이중압출 공정에서 상기 온도와 압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성형 공정 중 결합력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성형 가공이 끝난 후 냉각 안정화 과정에서 수지의 자기 가교 결합이 일어나기 때문에 수지의 종류나 폐플라스틱 또는 신재의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기 합성목재층은 50㎛부터 10㎜까지 넓은 범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층은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두께를 얇게 해도 괜찮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합성목재층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수 ㎜의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합성목재층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특히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특성상 자외선에 의한 열화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첨가제를 부가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6-(1,1-다이메틸에틸)-4-메틸-페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로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안정제로는 폴리[[6-[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일)세바스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스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는 총 첨가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첨가량이 너무 많은 경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저하되어 형성된 합성목재층의 안정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합성목재층이 형성된 레진 가드레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레진 가드레일의 일실시형태로서 도 3을 참조하면 2W 형태의 기본적인 레진 가드레일 구조(도 3(a), (b)) 뿐만 아니라, 3W 형태(도 3(c)) 및 개방형 구조(도 3(d))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리브는 상기 레진 가드레일의 형태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Y’자 형상을 가지거나, ‘I’자, V’자, ‘X’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레진 가드레일 표면에 적층할 때 종래의 레진 가드레일에 비해 물성이 저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압출성형 과정에서 경화되어 합성목재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코팅 조성물 자체로 시험평가를 하기 곤란하여 레진 가드레일을 제조한 후 다른 레진 가드레일 제품과의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4543호에 개시된 레진 가드레일을 제조하였고, 상기 레진 가드레일을 압출성형할 때 목분 30 중량% 및 수지 조성물 70 중량%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이중압출하여 표면에 평균 0.5㎜ 두께로 합성목재층을 형성한 레진 가드레일을 제조하였다.
이때,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로 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프르산 4 중량부, 과산화아연 1 중량부, 시트르산 나트륨 6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수지 조성물 1) 및 PVC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프릴산 5 중량부, 과산화아연 1.3 중량부, 과산화수소 0.2 중량부, BMEP 8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 조성물 2를 사용하여 2종의 레진 가드레일을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 1 및 2를 사용하여 목분을 혼합한 코팅 조성물로 합성목재층이 형성된 2종의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과 종래의 레진 가드레일에 대하여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하는 ‘차량방호 안전시설 실물충돌시험’에 따른 SB2 등급의 충돌시험을 실시하였다.
레진 가드레일로는 도 3(a)와 같은 2W형 레진 가드레일을 사용하였다(높이: 750mm, 최소 설치길이 30m, 지주의 수평지지력 4.49tonf).
강도성능 평가 충돌시험은 시험차량중량 8,030㎏, 충돌속도 65.5㎞/h, 충돌각도 15°, 충격도 89kJ의 조건으로 실시하였으며, 탑승자 보호성능 평가 충돌시험은 시험차량중량 1,320㎏, 충돌속도 80.0㎞/h, 충돌각도 20°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2종의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과 종래의 레진 가드레일은 방호울타리 성능평가 및 방호울타리 충격시험에서 모두 SB2(한국기준시험) 등급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합성목재층을 형성하더라도 가드레일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충족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물성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표면에 목재 질감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4)

  1.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어 목재 질감을 구현하는 합성목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 60 내지 80 중량% 및 목분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100 중량부, 카프릴산(caprylic acid),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또는 카프르산(capr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카르복실산 3 내지 5 중량부, 과산화아연 0.5 내지 2 중량부, 및 안정화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광촉매, 광안정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폐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4. 청구항 1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층이 레진 가드레일 본체의 표면에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KR1020210116817A 2021-09-02 2021-09-02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KR20230033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17A KR20230033881A (ko) 2021-09-02 2021-09-02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17A KR20230033881A (ko) 2021-09-02 2021-09-02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881A true KR20230033881A (ko) 2023-03-09

Family

ID=8551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817A KR20230033881A (ko) 2021-09-02 2021-09-02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8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5875B1 (de) Laserstrahl-durchlässiges substratmaterial für sensoranwendungen
EP2496464B1 (de) Kraftfahrzeug-frontend
EP1942144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plastic article
DE19724638A1 (de) Flammenhemmende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en
EP2456619B1 (de) Bauteil umfassend ein einlegeteil sowie eine kunststoffummantelung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2648776C3 (de) Durch Glasfasern verstärkte Poly-(butylenterephthalat)-Formmassen und ihre Verwendung
KR102024543B1 (ko) 레진 가드레일
EP1210388B1 (de) Antistatikum
WO2001085869A1 (de) Antistatikum
DE202020005844U1 (d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für ein Millimeterwellenradar-Element und Formgegenstand
KR100407717B1 (ko)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충전제 블렌드
EP3620288A1 (de) Dynamisch temperiertes folien-hinterspritzen
KR20230033881A (ko)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드컬러 레진 가드레일.
EP0092776B1 (de) Verfahren zum Flammfestausrüsten von Polyamiden
KR20230033933A (ko) 가드레일 엔드 터미널용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엔드 터미널용 표면코팅 조성물.
KR102509295B1 (ko) 레진 가드레일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진 가드레일.
DE19644129C2 (de) Stabilisatorkombination für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en
EP3515964B1 (de) Transparente formteile mit geringer dicke
DE19943637A1 (de) Antistatikum
US20040175563A1 (en) Thick thermoplastic composites
EP3502182B1 (de) Stabilisierte, gefüll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KR102606571B1 (ko) 합성목재 데크
EP2157134B1 (de) Foli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EP0635537A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aumstoff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10241195A1 (de) Lamin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