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340A - 호이스팅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팅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340A
KR20230033340A KR1020210116189A KR20210116189A KR20230033340A KR 20230033340 A KR20230033340 A KR 20230033340A KR 1020210116189 A KR1020210116189 A KR 1020210116189A KR 20210116189 A KR20210116189 A KR 20210116189A KR 20230033340 A KR20230033340 A KR 2023003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gear
pair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칠
Original Assignee
이종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칠 filed Critical 이종칠
Priority to KR102021011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340A/ko
Publication of KR2023003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하여 중량물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조립장치는 구동축과, 구동기어와, 전달축과, 제1전달기어와, 한 쌍의 제1나선기어와, 한 쌍의 제2나선기어와, 종동축과, 종동기어와,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와,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전달축은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1나선부와, 상기 제1나선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전달기어는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한 쌍의 제1나선기어는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제1나선부와 나선결합한다. 상기 한 쌍의 제2나선기어는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제2나선부와 나선결합한다. 상기 종동축은 외주면에 상기 제2나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나선부를 구비한다.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종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종동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나선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는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종동나선부와 나선결합하며 상기 제2나선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이스팅 조립장치{Hosting assembly apparatus}
본 발명은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하여 중량물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기중기나 크레인 등에서 종래의 호이스팅 장치가 정지한 경우 하중의 중량에 의하여 하중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키를 사용한다. 즉 호이스팅 장치가 정지한 경우 호이스팅 장치가 안전키에 걸려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더 이상 호이스팅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하중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별도 안전키의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의하여 호이스팅 장치가 복잡하였다. 그래서 단순하면서 하중의 위치를 정밀히 제어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호이스팅 기어 조립장치가 등록특허 제10-1057580호에 개시되었다. 등록특허 제10-1058580호에 개시된 호이스팅 기어 조립장치는 자체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하여 하중이 호이스팅 기어 조립장치에 걸리더라도 자동으로 제동되어 하중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하중이 종동축 샤프트에 작용하여 하중의 중량이 커지 아니할 경우 원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나 하중의 무게가 일정한 크기 이상 나갈 경우 브레이크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여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10-2021-0002861호에서는 하중의 무게가 많이 나가서 중량물이 작용하더라도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걸리는 호이스팅 기어 조립장치가 제공되었다.
공개특허 제10-2021-0002861호의 경우 중량의 하중이 작용시 호이스팅 기어조립장치에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수단 이외에 걸림수단과 제한수단 등 여러가지 구성요소가 요구되었다. 이 경우 호이스팅 기어 조립장치를 구현하는데 구성요소가 많이 요구되어 그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하중의 무게가 많이 나가서 중량물이 작용하더라도 브레이크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호이스팅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조립장치는 구동축과, 구동기어와, 전달축과, 제1전달기어와, 제2전달기어와, 한 쌍의 제1나선기어와, 한 쌍의 제2나선기어와, 종동축과, 종동기어와, 브레이크수단과, 중계축과, 한 쌍의 중계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전달축은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벌어진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1나선부와, 상기 제1나선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전달기어는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제2전달기어는 상기 전달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나선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제1나선기어는 상기 제2전달기어와 맞닿게 오무라들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제1나선부와 나선결합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한 쌍의 제2나선기어는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제2나선부와 나선결합한다. 상기 종동축은 외주면에 상기 제2나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나선부를 구비한다.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종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종동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달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한쌍의 종동나선기어는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종동나선부와 나선결합하며 상기 제2나선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중계기어는 상기 한 쌍의 제2나선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중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나선기어가 일정 간격 벌어지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나선기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이 상기 관통공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호이스팅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브레이크패드와, 브레이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상기 종동나선기어의 양단에 결합된다. 상기 브레이크판은 상기 종동나선기어가 벌어지면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의 호이스팅 조립장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판은 중심축이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중심축과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에 의하여 종동축이 회전하면 종동나선기어에 장착된 브레이크수단이 종동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중량물이 밑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시켜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이 갑자기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브레이크수단의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조립장치는 구동축(11)과, 구동기어(13)와, 전달축(15)과, 제1전달기어(19)와, 제2전달기어(20)와,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와, 한 쌍의 제2나선기어(23)와, 종동축(25)과, 종동기어(27)와,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와, 중계축(40)과, 한 쌍의 중계기어(41)와, 브레이크수단(31)을 포함한다.
구동축(11)은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어(13)는 구동축(11)의 일단에 구동축(11)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래서 구동축(11)이 회전하면 구동기어(13)도 함께 회전한다.
전달축(15)은 구동기어(13)로부터 회전력을 받아서 종동축(2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전달축(15)은 구동축(11)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제1나선부(16)와 제2나선부(18)를 구비한다. 제1나선부(16)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한 쌍의 나사산(16a, 16b)이 형성된다. 이 때 한 쌍의 나사산(16a, 16b)는 일정 간격 이격된다. 즉 제1나선부(16)의 좌측편의 나사산(16a)과 우측편의 나사산(16b)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나선부(18)는 제1나선부(16)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나선부(16)와 반대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18a, 18b)이 형성된다. 즉 제2나선부(18)의 좌측편의 나사산(18a)과 우측편의 나사산(18b)은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이지만, 제2나선부(18)의 좌측편의 나사산(18a)과 제1나선부(16)의 우측편의 나사산(16b)은 같은 방향이며, 제2나선부(18)의 우측편의 나사산(18b)와 제1나선부(16)의 좌측편의 나사산(16a)은 같은 방향이다.
제1전달기어(19)는 전달축(1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전달축(15)의 일단에 결합되어 구동기어(13)와 맞물린다. 그래서 구동축(11)이 회전하면 구동기어(13) 및 제1전달기어(19)로 동력이 전달되어 전달축(15)이 회전된다.
제2전달기어(20)는 전달축(15)이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삽입되며, 한 쌍의 제1나선부(21a, 21b)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래서 제2전달기어(20)는 전달축(1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는 제2전달기어(20)와 맞닿게 오무라들거나 떨어지게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제1나선부(16)와 나선 결합한다. 그래서 제1나선기어(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 제1나선기어(21a)는 제1나선부(16)의 좌측의 나사산(16a)과 나사결합하고, 우측 제1나선기어(21b)는 제1나선부(16)의 우측의 나사산(16b)과 나사결합한다. 그래서 전달축(1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는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져서 제2전달기어(20)와 떨어지고.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가까워져서 제2전달기어(20)와 맞닿는다. 그리고 전달축(15) 대신 제1나선기어(2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는 서로 가까워져서 제2전달기어(20)와 맞닿으며,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져서 제2전달기어(20)와 떨어진다.
한 쌍의 제2나선기어(23)는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제2나선부(18)와 나선 결합한다. 그래서 제1나선기어(21)와 동일하게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제2나선기어(23a)는 제2나선부(18)의 좌측의 나사산(18a)과 나사결합하고, 우측 제2나선기어(23b)는 제2나선부(18)의 우측의 나사산(18b)과 나사결합한다. 여기서 제1나선부(16)와 제2나선부(18)는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달축(1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제2나선기어(23)는 서로 가까워져서 맞닿으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다. 그리고 전달축(15) 대신 제2나선기어(2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제2나선기어(23)는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지며,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가까워져서 맞닿는다.
종동축(25)은 구동축(11)의 회전력을 전달수단(20)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한다. 즉 종동축(25)에는 중량물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종동축(25)은 외주면에 종동나선부(26)를 구비한다. 종동나선부(26)는 종동축(25)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한 쌍의 나사산(26a, 26b)이 형성된다. 이때 종동나선부(26)는 제2나선부(18)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래서 종동나선부(26)의 좌측의 나사산(26a)은 제2나선부(18)의 좌측의 나사산(18a)과 방향이 동일하고 종동나선부(26)의 우측의 나사산(26b)는 제2나선부(18)의 우측의 나사산(18b)과 방향이 동일하다.
종동기어(27)는 종동축(25)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종동축(25)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나선기어(21)와 맞물린다.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는 제2나선기어(23)와 동일하게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종동나선부(26)와 나선 결합한다. 그래서 종동나선기어(29)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좌측 종동나선기어(29a)는 종동나선부(26)의 좌측의 나사산(26a)과 나사결합하고, 우측 종동나선기어(29b)는 종동나선부(26)의 우측의 나사산(26b)과 나사결합한다. 종동나선기어(29)의 내부의 나사산의 방향이 제2나선기어(23)의 내부의 나사산과 방향이 같으므로 종동축(2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는 서로 가까워져서 맞닿으며 종동축(25)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진다. 그리고 종동축(25) 대신 종동나선기어(2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는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지며,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가까워져서 맞닿는다.
그리고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는 한 쌍의 제2나선기어(23)와 맞물린다. 여기서 좌측의 종동나선기어(29a)는 좌측의 제2나선기어(23a)와 맞물리고, 우측의 종동나선기어(29b)는 우측의 제2나선기어(23b)와 맞물린다.
중계축(40)과, 한 쌍의 중계기어(41)는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가 서로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전달축(15)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한 쌍의 중계기어(41)는 중계축(40)과 일체로 결합되며,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와 맞물린다. 즉 좌측에 위치한 제1중계기어(41a)는 좌측에 위치한 제1나선기어(21a)와 맞물리고, 우측에 위치한 제1중계기어(41b)는 우측에 위치한 제1나선기어(21b)와 맞물린다.
브레이크수단(31)은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가 일정 간격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가 일정 간격 벌어지면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2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브레이크수단(31)은 브레이크패드(32)와, 브레이크판(34)을 구비한다. 브레이크패드(32)는 한 쌍이 종동나선기어(29)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브레이크판(34)은 종동나선기어(29)를 사이에 두고 전달축(15)과 종동축(25)을 지지하는 측벽(1, 3)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브레이크판(34)은 종동나선기어(29)가 벌어지면 브레이크패드(32)와 맞닿아 브레이크패드(32)를 지지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패드(32)의 대향면에 장착된다. 브레이크판(34)은 측벽(1, 3)에 삽입되어 장착되므로, 브레이크패드(32)가 브레이크판(34)과 맞닿아서 회전할 때 브레이크판(34)이 브레이크패드(32)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브레이크판(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이 브레이크패드(32)와 이격되되도록 측벽(1, 3)에 삽입된다. 한편 측벽(1, 3)과 브레이크패드(32) 사이의 간격은 2 ~ 3 mm 정도로 아주 미세하다. 그래서 종동나선기어(29)가 서로 맞닿으면 브레이크판(34)과 브레이크패드(32)는 접촉하지 아니하여 종동축(25)은 회전할 수 있지만, 종동나선기어(29)가 약간만 벌어지면 브레이크판(34)과 브레이크패드(32)는 접촉한다. 물론 브레이크패드(32) 및 브레이크판(34)이 생략되고, 측벽(1, 3)이 브레이크수단(31)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수단(31)은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가 일정 간격 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브레이크수단(31)은 한 쌍의 제1나선기어(21)와, 측벽(3, 5)에 설치되거나, 측벽(3, 5)이 브레이크수단(31)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11), 전달축(15), 종동축(25)은 측벽(1, 3, 5, 7)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호이스팅 조립장치가 중량물을 올리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11)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구동기어(13)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전달기어(19)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러면 전달축(15)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달축(15)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달축(15)의 제1나선부(16)와 나선 결합하는 제1나선기어(21)는 중계기어(41a, 41b)와 맞물려 있으므로 화살표 C와 같이 이동하여 제2전달기어(20)와 서로 맞닿게 된다. 이때 제1나선기어(21)가 더 이상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2전달기어(20)를 가압하여 제2전달기어(20)가 전달축(15)과 함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나선기어(23)는 화살표 D의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멀어지게 된다.
제1전달기어(20)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전달기어(20)와 맞물리는 종동기어(27)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래서 종동축(25)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린다.
한편 종동축(25)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나선부(26)가 화살표 C와 같이 서로 맞닿고 더 이상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종동축(25)과 함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종동나선부(26)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나선부(26)가 제2나선기어(23)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나선기어(23)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나선기어(23)는 제2나선부(18)에 의하여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진다. 따라서 중량물이 올라갈 때에는 제2나선기어(29)는 화살표 C, D의 방향으로 왔다갔다 하면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종동축(25)에 중량물이 메달려 있는 상태에서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는 도중 구동축(11)이 정지한 경우 중량물이 자중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축(25)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종동축(25)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약간이라도 회전하게 되면 종동나선기어(29)는 종동나선부(26)의 결합에 의하여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벌어져서 브레이크패드(32)는 브레이크판(34)과 맞닿는다. 그러면 종동축(25)이 회전하는 것을 구속시킨다. 따라서 구동축(11)이 정지하더라도 중량물이 갑자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호이스팅 조립장치가 중량물을 내릴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등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11)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구동기어(13)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전달기어(19)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달축(15)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나선기어(21)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1나선기어(21)는 제2전달기어(20)에서 떨어지게 되어 전달축(15)이 하중을 종동기어(27)로 전달하지 못한다. 이때 제1나선기어(21)가 벌어지더라도 벽(3, 5)에 의하여 일정 간격 이상 벌어지지 못한다.
그리고 제2나선기어(23)는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맞닿게 된다. 제2나선기어(23)가 맞닿게 되면 종동축(15)과 함게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종동나선기어(29)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러면 종동나선기어(29)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게 되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종동축(25)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종동축(25)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량물이 하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성요소를 간단하게 구현하여 중량물이 갑자기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11 : 구동축 13 : 구동기어
15 : 전달축 16 : 제1나선부
18 : 제2나선부 19 : 제1전달기어
20 : 제2전달기어 21 : 제1나선기어
23 : 제2나선기어 25 : 종동축
26 : 종동나선부 27 : 종동기어
29 : 종동나선기어 31 : 브레이크수단
32 : 브레이크패드 34 : 브레이크판
40 : 중계축 41 : 중계기어

Claims (5)

  1.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의 일측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외주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벌어진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1나선부와, 상기 제1나선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제2나선부를 구비한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와,
    상기 전달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나선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전달기어와,
    상기 제2전달기어와 맞닿게 오무라들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제1나선부와 나선결합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제1나선기어와,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제2나선부와 나선결합하는 한 쌍의 제2나선기어와,
    외주면에 상기 제2나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된 한 쌍의 나사산이 형성된 종동나선부를 구비한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종동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전달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와,
    서로 맞닿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내주면에서 상기 종동나선부와 나선결합하며 상기 제2나선기어와 맞물리는 한쌍의 종동나선기어와,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종동나선기어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수단과,
    중계축과,
    상기 한 쌍의 제2나선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중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중계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나선기어가 일정 간격 벌어지면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나선기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이 상기 관통공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종동나선기어의 양단에 결합된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종동나선기어가 벌어지면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브레이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판은 중심축이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중심축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팅 조립장치.
KR1020210116189A 2021-09-01 2021-09-01 호이스팅 조립장치 KR20230033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89A KR20230033340A (ko) 2021-09-01 2021-09-01 호이스팅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189A KR20230033340A (ko) 2021-09-01 2021-09-01 호이스팅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340A true KR20230033340A (ko) 2023-03-08

Family

ID=8550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189A KR20230033340A (ko) 2021-09-01 2021-09-01 호이스팅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412B2 (en) Safety system
US7331252B2 (en) Braking system
WO2009152666A1 (zh) 动力绞车变速控制装置
US8246010B2 (en) Fluid shear actuated hoist brake
US20080156132A1 (en) Safety system
KR101723303B1 (ko) 일방향 감속장치
KR20230033340A (ko) 호이스팅 조립장치
US10144624B1 (en) Mute hand winch
JP2013234729A (ja) 内接歯車機構を備えた双方向クラッチ
US6527253B2 (en) Lifting device
US11673777B2 (en) Systems for a braking assembly in a motor housing
KR100990246B1 (ko) 자결 기능을 갖는 감속장치
JP2011102182A (ja) 巻上機におけるメカニカルブレーキ装置
JP6483310B1 (ja) 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2014109168A (ja) 水門開閉装置
US1906677A (en) Door actuating means
US20050133774A1 (en) Drive-through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s
JP2021148205A (ja) 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2016161036A (ja) 遊星歯車機構を備えた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JP2005263420A (ja) ウインチの構造
KR20210059085A (ko) 가변형 로프드럼이 구비된 동력등강기
JP2021139434A (ja) 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KR101615148B1 (ko) 추락방지기능을 구비한 셔터장치
KR20210002861A (ko) 호이스팅 기어 조립장치
CN218290243U (zh) 基于蜗轮蜗杆传动的双动力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